맨위로가기

부정 행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정 행위는 시험, 스포츠, 게임, 도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당한 이익을 얻기 위해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시험에서는 커닝, 표절 등이, 스포츠에서는 도핑, 장비 조작 등이, 게임에서는 해킹, 공모 등이, 도박에서는 조작된 장비 사용, 승부 조작 등이 부정 행위로 간주된다. 부정 행위는 학문적, 스포츠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며, 적발 시 시험 실격, 자격 박탈, 형사 처벌 등 엄중한 제재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정 행위 - 이량 (1519년)
    이량은 명종의 외척으로 권력을 휘두르며 요직을 거쳤으나 부정부패와 사림파 제거 시도로 유배되었고, 사후 복권되어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 부정 행위 - 신사헌
    신사헌은 1520년에 태어난 조선 중기 문신으로, 뇌물로 과거에 급제한 혐의를 받았으며, 이량의 심복으로 활동하다가 이량 몰락과 함께 유배된 인물이다.
  • 교육 문제 - 아동 학대
    아동 학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 방임, 착취 등 아동의 건강과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인, 관계,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치료를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 교육 문제 - 학교 폭력
    학교 폭력은 학생이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행위로,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과 사이버 폭력을 포함하며, 가정, 사회, 학교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다각적인 예방 및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
  • 도덕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도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부정 행위
부정행위
유형규칙 위반
설명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
관련 행위사기
부패
범죄
비행
예시
시험표절
대리 시험
컨닝
스포츠심판 매수
도핑
규칙 위반
게임
글리치
트윅
이성 관계바람

2. 용어

대한민국일본에서는 영어 cunning영어(교활한)에서 온 '''컨닝'''(문화어)·'''커닝''' 및 칸닝구(カンニング일본어)를 사용하고, 영어권에서는 치팅(cheating영어)이라고 한다. 중국, 홍콩, 대만에서는 抄小抄(차오샤오차오)라고 부른다.[19]

일본어에서 이 단어의 용법은 다음과 같다.


  • 1902년(메이지 35년) 우치다 로안의 저서 『사회 백면상』에서는 "교활한 수단"에 칸닝이라고 후리가나가 붙어 있다.[20]
  • 1905년 (메이지 38년) 3월 14일 요미우리 신문 조간 미니 코너 『모시호초』에 "시험에서 훔쳐보는 것을 '''칸닝'''이라고 한다"는 기사가 실렸다.
  • 1923년(다이쇼 12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다이쇼 12년 9월 1일의 대지진에 즈음하여』와 1934년(쇼와 9년) 유메노 큐사쿠의 단편 소설 『코다마』에도 "칸닝"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컨닝이라는 용어가 전쟁 전부터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목적

컨닝은 주로 시험에서 더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다.[2] 스포츠, 게임, 도박 등에서도 규칙을 위반하거나 속임수를 써서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행해진다.[7] 비디오 게임에서는 치트키나 해킹 등을 사용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낮추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승리하려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14]

4. 유형

부정 행위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각 분야의 규칙, 규범, 윤리를 위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학업: 커닝 페이퍼 사용, 대리시험, 표절
  • 스포츠: 도핑, 장비 조작, 심판 매수, 고의적인 반칙, 상대 선수 부상 유발 등
  • 게임: 비밀 코드 사용, 해킹, 공모, 게임 객체의 의도된 기능을 벗어나는 행위 등
  • 도박: 조작된 주사위나 룰렛 휠 사용, 승부 조작, 어드밴티지 플레이 등
  • 비즈니스 및 금융: 경쟁법 위반, 내부자 거래, 사기

4. 1. 학업

학문적 부정행위는 미국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상당히 흔하게 발생한다. 통계적으로 공립 고등학교 학생의 64%가 시험 부정행위를 인정하며, 58%는 표절을 했다고 말한다. 학생의 95%는 어떤 형태의 부정행위를 인정하는데, 여기에는 시험, 과제 베끼기, 논문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사립학교 학생의 50%만이 이를 인정한다. 이 보고서는 2005년 6월 럿거스 대학교의 도널드 맥케이브 교수가 학문적 정직성 센터를 위해 작성했다. 이 연구 결과는 갤럽 여론조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뒷받침되었다.[2] 맥케이브가 2001년 고등학생 4,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4%가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고, 72%가 작문에서 부정행위를 했으며, 97%가 적어도 누군가의 숙제를 베끼거나 다른 사람의 시험을 엿봤다고 답했다. 1/3은 반복적으로 부정행위를 했다고 답했다.[3]

전통적인 부정행위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기억하기 어려운 공식이나 용어 등을 메모로 만들어 필통 등에 숨겨 시험 중에 참고한다.
  • 책상 위나 신체(바닥, 허벅지 등)나 문구( 필기구지우개 등)에 직접 필기한다.
  • 다른 사람의 답안을 엿본다.
  • 친구 등 다른 응시자에게 메모를 돌려받는다.
  • 성적이 좋은 친구나 지인에게 부탁하여 대신 시험을 치르게 한다. (대리시험)
  • 책상을 톡톡 두드리는 등, 친구에게 암호로 알려준다.
  • 부정한 수단으로 시험 문제의 출제 내용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 시험 실시자나 감독자 등을 매수한다.


첨단 디지털 정보의 발전은 새로운 형태의 부정행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온라인 논문 공장에서는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한 보고서를 판매하고, 학생들을 위해 모든 종류의 숙제를 준비하거나 온라인 시험을 대행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과 웹사이트는 교육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성행하고 있다.[4]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는 메모를 저장할 수 있고, 그래프 계산기는 수학 문제를 풀기 위한 공식을 저장한다.[5]

현대적인 부정행위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휴대 전화를 반입하여 전자 메일로 답을 주고받는다.
  • 소형 무선기를 사용하여 시험장 밖과 연락을 취한다. 극소형 무선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고, 외부 조력자로부터 답안을 듣는 수법 등이 사용된다.[21]


한국에서는 200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휴대 전화를 이용한 대규모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관련 학생들이 처벌받았다. 2006년에는 TOEIC에서도 유사한 대규모 부정행위가 적발되었다.

4. 2. 스포츠

도핑은 금지 약물을 복용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행위로, 랜스 암스트롱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7][8] 장비 조작은 규정에 맞지 않는 장비를 사용하거나 경기 중 장비 상태를 불법적으로 변경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는 투수가 침 발이나 에머리 볼과 같은 조작된 야구공을 사용하거나, 타자가 코르크 배트를 사용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미식축구에서는 리시버가 스틱컴을 사용하여 공을 더 쉽게 잡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외부 보조 장치를 사용한 장비 부정 행위에 해당한다.[10][11][12]

심판 매수는 심판에게 뇌물을 주거나 압력을 가해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2002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스캔들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3] 이 외에도 고의적인 반칙, 상대 선수 부상 유발 등의 행위도 부정 행위에 포함된다. 1994년 피겨 스케이팅에서 토냐 하딩의 전 남편과 경호원이 낸시 케리건의 다리를 부러뜨려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 또한 1986년 FIFA 월드컵 8강전에서 디에고 마라도나가 손으로 공을 쳐서 골을 넣은 사건도 유명하다.[9]

4. 3. 게임

Action Replay 카드는 아미가 컴퓨터 사용자가 비디오 게임에서 부정 행위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비디오 게임에서 부정 행위는 싱글 플레이어 게임에서 입력 시 플레이어에게 보너스를 제공하는 비밀 액세스 코드(예: 코나미 코드[14])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 및 싱글 플레이어 모드에서 플레이어에게 부당한 이점을 제공하는 해킹 및 악용, 또는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 간의 부당한 공모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예: 경기를 관전하여 "안개 효과"와 같은 제한을 제거하고 적의 위치를 게임 파트너에게 보고하는 플레이어).

부정 행위에 대한 태도는 다양하다. 싱글 플레이어 모드에서 익스플로잇을 사용하는 것은 플레이어의 업적이 경쟁적으로 제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게임 콘텐츠를 탐험하는 또 다른 형태일 뿐이며, 높은 난이도를 가진 싱글 플레이어 게임에서 흔하다. 그러나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의 부정 행위는 부도덕하다고 여겨지며 공정한 플레이어와 개발자 모두에게 가혹하게 비난받는다. 부정 행위는 캐주얼 플레이어가 게임을 훨씬 빠른 속도로 완료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주관적으로 완료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일부 시네마틱 또는 싱글 플레이어 게임,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 (RPG) 장르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이는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는 성급한 이점으로 보일 수 있지만, MMORPG와 같은 멀티 플레이어 게임에서는 부정 행위의 여파가 훨씬 더 파괴적이어서 게임의 위험/보상 곡선을 깨고 공정한 플레이어가 온라인 경기 및/또는 캐릭터 개발에서 패배하게 만든다. 이러한 유형의 게임에서 부정 행위는 일반적으로 금지되지만 종종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 많은 곳에서 게임 외부의 출처에서 아이템이나 통화를 구매하는 것도 부정 행위로 간주된다. 이 활동이 가능한 많은 게임의 서비스 약관은 이 활동을 직접 금지한다. 논쟁의 여지가 거의 없는 한 분야는 실제 돈을 게임 내 서비스, 아이템 및 이점으로 교환하는 것을 지원하는 현대적인 부분 유료화 비즈니스 모델이다. 유료 고객에게만 제공되는 과도한 이점을 부여하는 게임은 'Pay to Win'으로 비판받을 수 있으며[15] 때로는 시스템에 의해 정당화되는 "부정 행위"의 한 형태로 간주되며 반면 실제 돈 구매를 외형적 변화로 제한하는 게임은 일반적으로 공정하다고 받아들여진다.

비디오 게임 부정 행위의 또 다른 형태는 플레이어가 프로그래머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게임 객체와 상호 작용하여 객체의 의도된 기능이나 보상 시스템을 깨는 것이다. 여기에는 적과의 조우 방식, 목표 달성, 아이템 사용, 또는 소프트웨어 버그가 포함된 다른 모든 게임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한 가지 흔한 예는 적의 경로 찾기에서 오류를 악용하는 것이다. 플레이어가 적이 특정 지형 특징에 "갇히도록" 만들 수 있다면,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훨씬 더 강하더라도 위험 없이 원거리에서 적을 죽이고, 플레이어가 해당 레벨 진행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초창기 1인칭 슈팅 게임에서 흔했으며, 무기를 실제로 재장전하지 않고 무기를 빠르게 교체하여 무기의 재장전 타이머를 건너뛰는 것으로, 사실상 즉시 재장전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일반 파일을 대체하는 변경된 게임 파일, 또는 대상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변경된 이미지 그래픽을 통해 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경과 섞이도록 설계된 어두운 색상의 적의 색상을 즉시 가시성과 타겟팅을 허용하는 밝은 색상으로 대체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익스플로잇이 애초에 존재하게 된 것은 프로그래머의 잘못이므로 이것이 진정한 부정 행위가 아니라는 우려가 종종 있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라이브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가 공식적으로 승인된 방식으로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고 불문율을 어기는 경우 부정 행위가 된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동작이 게임의 서비스 약관에 의해 직접 금지된다.[16]

조르주 드 라 투르의 ''다이아몬드 에이스를 든 사기꾼''


어떤 사건에 돈을 거는 행위는 경쟁자뿐만 아니라 사기의 동기를 확대한다. 도박에서의 사기는 일반적으로 규칙이나 법을 직접적으로 위반하거나, 돈을 건 사건을 잘못 나타내거나, 결과에 간섭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조작된 주사위로 게임을 하는 카지노, 조작된 룰렛 휠 또는 슬롯 머신, 또는 조작된 카드 덱은 일반적으로 사기로 간주된다. 이는 베팅하는 사람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기대하는 합리적인 수준 이상으로 게임 결과의 가능성을 잘못 표현했기 때문이다.

말에게 도핑하는 것은 베팅 대상 사건의 도구를 방해함으로써 저지르는 명백한 사기의 예이다. 일반적으로, 간섭은 스포츠 경기의 수준을 저하시키거나, 참가자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사건 또는 게임의 장치를 수정하는 경우 사기로 간주될 가능성이 더 높다.[17]

도박의 세계에서 배당률에 반영되지 않은 비밀을 아는 것은 상당한 이점을 가지며, 이는 사기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법률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으로 비밀리에 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그 자체로 형사 기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이는 내부자 거래라는 범죄를 구성하는 금융 세계와는 대조적이다.

어드밴티지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정신적, 관찰적 또는 기술적 기술을 사용하여 언제, 얼마나 베팅할지 선택하며, 게임의 도구를 방해하거나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카지노 업계의 대표자들은 모든 어드밴티지 플레이가 사기라고 주장했지만, 이러한 관점은 일반 사회나 입법에서 반영되지 않는다. 어드밴티지 플레이의 한 유형이 불법인 유일한 사례는 어드밴티지 플레이어가 네바다 주에서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 주의 입법은 대형 카지노 기업의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어가 합법적으로 보유하고 게임 규칙에 따라 금지되지 않은 정보로부터 플레이 또는 베팅 결정을 내리는 방법에 대해 법이 제한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 널리 유지되고 있다. "홀 카드"에서는 카지노 플레이어가 규칙에 따라 뒷면이 보이게 처리된 카드의 앞면을 보려고 시도한다.

도박을 통해 사기를 치고 이익을 얻는 한 가지 방법은 자신에게 반대하는 베팅을 한 다음 의도적으로 지는 것이다. 이는 게임 버리기 또는 다이빙하기로 알려져 있다. 불법 도박꾼은 때때로 스포츠 선수에게 돈을 지불하여 예상치 못한 손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악명 높은 사건은 1919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선수 8명이 도박꾼으로부터 돈을 받고 의도적으로 부진한 경기를 펼친 블랙삭스 스캔들이다. 또 다른 사건은 복싱에서 발생했는데, 제이크 라모타가 마르셀 세르당과의 챔피언십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빌리 폭스를 상대로 다이빙을 했는데, 이는 프로 복싱을 지배하는 갱스터들이 제안한 거래였다.

4. 4. 기타

비디오 게임에서의 부정 행위는 싱글 플레이어 게임에서 비밀 코드를 사용하거나, 멀티플레이어 게임에서 해킹을 통해 부당한 이점을 얻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싱글 플레이어 게임에서의 부정 행위는 게임 콘텐츠 탐험의 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멀티플레이어 게임에서는 비도덕적인 행위로 간주된다. MMORPG와 같은 게임에서는 부정 행위가 게임의 밸런스를 무너뜨리고 공정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금지되지만, 여전히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5] 게임 내 아이템이나 통화를 실제 돈으로 구매하는 것 또한 부정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많은 게임의 서비스 약관에서 금지하고 있다. 부분 유료화 게임에서 과도한 이점을 유료 고객에게만 제공하는 경우 'Pay to Win'으로 비판받기도 한다.[15]

또한, 플레이어가 게임 객체의 의도된 기능을 벗어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 예를 들어 적의 경로 찾기 오류를 악용하거나 무기 재장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행위도 부정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16]

도박에서의 부정 행위는 규칙 위반, 결과 조작, 베팅 조작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조작된 주사위나 룰렛 휠, 조작된 카드 덱을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승부 조작은 도박꾼이 선수에게 돈을 주고 의도적으로 경기에 지게 하는 대표적인 부정 행위이다. 블랙삭스 스캔들이나 제이크 라모타의 경기 조작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어드밴티지 플레이는 정신적, 관찰적, 기술적 능력을 이용해 베팅하는 전략으로, 게임의 도구를 조작하거나 규칙을 위반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네바다 주에서는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어드밴티지 플레이가 불법이다.

비즈니스 및 금융 분야에서는 경쟁법 위반, 내부자 거래 등의 행위가 부정 행위로 간주된다.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부정 행위는 사기이다.

5. 수법 (일본어 문서)


  • 메모: 필기구 등에 메모를 만들어 시험 중 참고한다. '컨닝 페이퍼'라고도 불리지만, 시험에 메모 내용과 동일하게 출제된다는 보장은 없다. 필기구 외 물품 소지 자체를 금지하는 경우도 있다.[19]
  • 엿보기: 다른 사람의 답안을 엿본다. 부자연스러운 시선 이동으로 수상한 행동을 하기 쉽고, 오답을 베낄 수도 있다. 비슷한 답안이 많거나 답안이 완전히 같으면 채점 중 발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제 내용을 응시자마다 다르게 하는 경우가 있다.
  • 메모 전달: 다른 응시자에게 메모를 전달받는다. 감독관이나 다른 응시자가 보기에 명백히 수상한 행동이다.
  • 대리 시험: 성적이 좋은 지인에게 대리 시험을 부탁한다. '대리(かえだま) 시험'이라고도 불린다. 대리 시험 의뢰 시 많은 보수를 지불해야 하고, 증명사진 제출로 인해 발각되기 쉽다. 입시나 국가시험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 사람 모두 처벌받는다. 학교 정기 시험에서는 불가능하다.
  • 전자기기:

:* 휴대 전화 반입 후 전자 메일로 답을 주고받는다. 감독관에게 눈에 띄기 쉽다. 2011년 대학 입시 문제 인터넷 투고 사건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대책으로 휴대 전화 반입 금지, 재밍, 시험 감독관 보관, 전원 끄고 가방에 넣게 하거나 전원 꺼짐 확인 등이 있다. 일본에서 통신 기능 억제 장치 사용 시, 실시자는 특별 업무의 국 면허 취득 및 제3급 육상 특수 무선 기사 이상의 무선 종사자 관리가 필요하다.

:* 소형 무선기를 이용해 시험장 밖과 연락한다. 극소형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고 답을 듣는 수법 등이 있다.[21] 2012년 운전 면허 시험 커닝 사건에 사용되었다.[22] 감독관은 전계 강도계로 발신원 특정 등의 대책을 하지만, 기술 개발 경쟁으로 단속 측이 뒤처지게 된다.[23]

  • 암호: 책상을 두드리는 등 암호로 답을 주고받는다. 모스 부호 이용 수법이다. 소리 때문에 눈에 띄기 쉽고, 정확한 전달이 어렵다.
  • 정보 획득: 부정한 수단으로 시험 문제 출제 정보를 얻는다. 통째로 암기해 시험에 임하는 것은 커닝이 아니다. 입시, 자격 시험에서는 문제 유출이 드물지만, 학교 정기 시험에서는 학생이 훔쳐보거나 문제 작성자가 일부 학생에게 알려주는 경우가 있다. 시험 성적에 영향이 크지만, 사전 문제 유출 여부나 정보 부정 입수자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교사가 시험 범위를 알려주는 것은 부정이 아니다.
  • 매수: 시험 실시자나 감독자를 매수한다. 최근에는 드물지만, 뇌물이나 매수도 부정 행위 수법으로 행해졌다. 과거 중국 과거에서 매수 시도 사례가 있었다.
  • 기타: 시험 감독관 지시 불이행 등 행위로 주의를 끌고 다른 사람이 커닝하게 한다.

6. 대책

전자 기기의 발달에 따라 부정 행위 방지 대책도 향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학 입시나 자격 시험에서 화장실에서의 전자 기기 사용을 막기 위해, 화장실에 갈 때는 남성은 시험관 감시하에 소변기를 사용하거나, 확실히 전자 기기를 사용하지 않았음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시험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시험 중에 화장실에 가면 그 후 시험을 계속할 수 없게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조치는 사법 판단에서도 인정되었다.[24]

또한, 대학 입시에서는 시험 문제를 준비하는 장소에의 접근을 막기 위해, 휴식 시간을 포함하여 수험생이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대폭 제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제한되어, 시험장에서는 남자 화장실의 개인실을 중심으로 화장실이 매우 혼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2011년 입시에서 전자 기기를 이용한 부정 행위가 발생한 교토 대학에서는 부정 행위 방지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통신 기능이나 계산 기능을 갖춘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컴퓨터 단말기가 보급되면서, 입시일에 모든 시험실에 전파 시계를 설치하는 동시에, 수험생에게 시험 실내에서의 각자의 시계(손목시계, 탁상시계, 스마트 워치 등) 사용을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25]

중국에서는 금속 탐지기나 소형 전파 방해 장치를 설치하고, 더 나아가 드론을 띄워 하늘에서도 방해 전파를 발신하는 등 철저한 전자 기기 부정 행위 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다.[26]

7. 컨닝 사건의 예 (일본어 문서)

cunning영어의 일본어 발음은 '커닝'이며, 이는 교활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본어에서 칸닝(カンニング)은 영어의 cheating(치팅 - 부정 행위)에 해당한다. 즉, 칸닝은 일본식 영어이다[19]

일본어에서 이 단어가 사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 1902년(메이지 35년) 우치다 로안의 저서 『사회 백면상』에서는 "교활한 수단"에 칸닝이라는 후리가나가 붙어 있다[20]
  • 1905년(메이지 38년) 3월 14일 요미우리 신문 조간 『모시호초』 코너에 "시험에서 훔쳐보는 것을 '''칸닝'''이라고 한다"는 기사가 실렸다.
  • 1923년(다이쇼 12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다이쇼 12년 9월 1일의 대지진에 즈음하여』와 1934년(쇼와 9년) 유메노 큐사쿠의 단편 소설 『코다마』에도 "칸닝"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이를 통해 칸닝이라는 단어가 전쟁 전부터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일본에서 발생한 주요 컨닝 사건이다.

연도사건 내용
1971년오사카 대학오사카 시립 대학 의학부 입시 문제 유출 사건[27][28]
1977년게이오기주쿠 대학 상학부 입시 문제 유출 사건[29]
1977년군마현 종합 교통 센터 커닝 사건. ×표시를 할 문제 번호가 적힌 연필을 사용[30]
1980년와세다 대학 상학부 입시 문제 유출 사건[31]
2000년치과의사 국가 시험 문제 유출 사건
2002년히토츠바시 대학 학기말 시험 문제 집단 커닝 사건[32]
2004년 5월도코로자와 고등학교 커닝 자살 사건
2010년간호사 국가 시험 문제 유출 사건
2011년대학 입시 문제 인터넷 게시 사건
2011년오키나와현 경찰 학교 졸업 시험 문제 유출 사건[33]
2012년중국인 그룹 자동차 운전 면허 시험 문제 커닝 사건[22]
2014년요코하마 시립 대학 의학부 실기 시험 문제 집단 커닝 사건
2015년사법 시험 문제 유출 사건
2016년운행 관리자 시험에서 대규모 커닝이 발각되어, 효고현 경찰이 운송 회사 직원 9명을 서류 송검[34]
2017년해상자위대 "해상사 기능 검정" 시험 문제 유출 사건. 4개 지방 총감부에 인맥을 통해 유출[35]
2017년6월 2일 효고현아카시 시립 아카시 상업고등학교 실용 영어 기능 검정에서 학생 2명이 커닝. 감독 인원 부족으로 발생[36]
2018년간사이 대학 기타요 고등학교 일부 학생, 간사이 대학 내부 진학용 모의고사 답변을 인터넷으로 사전 입수. 간사이 대학은 해당 모의고사 결과 미반영, 부정 응시 학생 선발 제외 않기로 결정[37][38]
2018년육상자위대이타미 주둔지 소속 자위관 43명, 오쓰 주둔지에서 치러진 육사장 승진 시험 문제 사전 입수. 지도 교관 2명 부정행위, 타 부대 육사 5명 스마트폰으로 문제 전송[39]
2021년 12월오사카시 세이후 고등학교 기말 시험 커닝 학생, 2일 후 자살[40]



다음은 한국 및 기타 국가에서 발생한 주요 컨닝 사건이다.

연도국가사건 내용
2004년 11월한국대학 입시 문제 집단 커닝 사건
2005년 7월대만대학 입시 문제 집단 커닝 사건
2006년한국TOEIC 집단 커닝 사건


8. 처벌

부정행위는 공정하고 공정한 시험에 반하는 행위이므로 적발 시 해당 시험은 '''실격''' 처리되며 처벌이 가해진다. 실격되면 즉시 답안지를 회수당하거나 시험장에서 퇴장당한다. 응시료나 검정료는 반환되지 않으며, 합격 후 부정행위가 발각된 경우에도 합격이 취소된다.[2]

중국 과거 시험에서는 수세기 동안 부정행위와 시험관 매수가 만연했다. 이는 제국 시대 중국에서 과거 시험이 문해력을 갖춘 남성들이 성공적인 경력을 쌓는 주요 통로였기 때문이며, 명나라 시대의 ''사고전서'' 등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6]

유럽미국에서는 대학 등을 학문을 하는 중요한 장소로 여기며, 부정행위는 스스로 배우고 생각하는 것을 부정하는 행위로 간주한다. 이 때문에 처분도 엄격하며,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퇴학 처분이 비교적 많다. 하버드 대학교의 경우, 리포트를 베껴서 제출한 학생 125명이 시험 실격, 퇴학, 정학 등의 처분을 받았다.[42]

취업이 결정되지 않아 유급하거나, 전부 실격(0점) 처리 후 재수강하여 좋은 성적을 받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특대생 선발이나 추천 입시에서 제외될 위험성도 있다.

미수 또는 예비 행위도 기수에 한하지 않고 처벌받는 경우가 있다.

8. 1. 일본 (일본어 문서)

일본에서는 개별 법률 규정에 따라 일부 시험(주로 국가시험)에서 부정행위가 적발되면 일정 기간 응시 자격이 제한되거나, 향후 응시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精神保健福祉士試験일본어 (정신보건복지사 시험), 言語聴覚士試験일본어 (언어청각사 시험), 救急救命士試験일본어 (응급구조사 시험) 등이 그 예시이다.[41]

시험 문제 유출, 면허증 부정 취득 등 부정행위 유형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運転免許試験일본어 (운전 면허 시험)에서 면허증을 부정하게 취득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만 엔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41]

학교 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경우, 해당 교과나 과목은 실격 처리되며, 학교 판단에 따라 해당 시험 기간 중 모든 시험이 실격 처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학(일명 자택 근신) 등 학교 처벌을 받게 되며, 학점 부족으로 유급되거나 최악의 경우 퇴학당할 수도 있다.[41]

대학교 기말고사에서도 부정행위는 엄격하게 다루어진다. 부정행위를 한 시험은 실격 처리되고, 해당 과목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 다른 과목 학점까지 모두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교장(총장)으로부터 징계 처분을 받게 되며, 정학이나 퇴학 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41]

일부 학교에서는 애플 워치와 같은 스마트 워치 사용을 금지하기도 한다.[41]

8.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부정행위가 발생하며,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중요한 시험에서 부정행위는 심각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응시자는 시험이 무효 처리되고, 1년간 응시 자격이 박탈된다.[2] 또한, 부정행위의 정도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에서도 시험 부정행위는 다음과 같은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처벌 종류내용
시험 무효해당 시험의 성적이 무효 처리된다.
응시 자격 제한일정 기간 동안 시험 응시 자격이 제한된다. (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경우 1년)
형사 처벌부정행위의 정도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9. 기타 (일본어 문서)

칸닝의 어원은 영어의 "cunning" (커닝 - 교활한, 약삭빠른)이지만, 일본어의 칸닝은 영어로 cheating (치팅 - 부정 행위)이라고 한다. 즉 일본어의 칸닝은 일본식 영어이다[19]

일본어에서 이 의미로 사용된 용례는 다음과 같다.


  • 1902년(메이지 35년) 우치다 로안의 저서 『사회 백면상』에서는 "교활한 수단"에 칸닝이라고 후리가나가 붙어 있다[20]
  • 1905년 (메이지 38년) 3월 14일 요미우리 신문 조간 미니 코너 『모시호초』에 "시험에서 훔쳐보는 것을 '''칸닝'''이라고 한다"는 기사가 있다.
  • 1923년 (다이쇼 12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쓴 『다이쇼 12년 9월 1일의 대지진에 즈음하여』와 1934년 (쇼와 9년) 발표된 유메노 큐사쿠의 단편 소설 『코다마』에도 이 의미의 "칸닝"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이러한 사례들로 볼 때, 칸닝이라는 단어는 전쟁 전부터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중국에서는 6세기부터 시작된 과거에서 이미 부정행위가 만연했다. 과거는 당시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등용 시험이었으며,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엄중한 신체 검사도 했지만, 합격하면 관료로서의 지위와 명성, 부가 약속되었기에 수험생들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했다. 사서오경을 통째로 암기해야 했기에, 두본[43], 대리 시험, 시험관 뇌물 등은 상투적인 수단이었으며, 심지어는 전면에 세밀한 글씨로 수십만 자에 달하는 텍스트의 문장을 써 넣은 부정행위용 속옷까지 존재했다. 이 속옷은 일본 후지이 사이세이칸 유린관에 전시되어 있다. 부정행위가 발각될 경우, 본인뿐만 아니라 일족 전체가 사형에 처해진 예도 있었다[44]. 감시 역할 측에서도 수험생의 부정행위를 눈감아 주면 처벌 대상이 되었고, 반대로 부정행위를 발견하면 포상금이 약속되어 엄중한 태세로 감시했다.
  • 인도 북부 라자스탄 주에서는 2021년, 교원 채용 시험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주 내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는 조치가 취해졌다[45].
  • 마사오카 시키1884년 (메이지 17년) 도쿄대 예비문 입시에서 부정행위를 했다. 영어 시험에서 "judiciary"의 의미를 몰라 옆 수험생에게 물었더니 "호칸"이라고 들었다. 실제로는 "법관"이었지만, 시키는 "방간" (딴청꾼)이라고 오해하고 답안지에 썼다. 시키는 합격했지만, 답을 알려준 수험생은 불합격되었다(『묵즙 한 방울』)[46].
  • 시키의 친구 나쓰메 소세키도 도쿄대 예비문 입시에서 부정행위를 했다. 소세키는 수학 시험 때 "옆 사람에게 보여주었는지, 아니면 몰래 봤는지, 뭐 그런 짓을 해서 시험을 겨우 마쳤다"고 밝혔다. 소세키는 합격했지만, 답을 보여준 수험생은 불합격되었다(『내가 거쳐온 학생 시절』)[46].
  • 이시카와 다쿠보쿠 - 구제 중학교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보증인 교체 신청이 남아 있다.
  • 하시모토 류타로 (전 총리) - 아자부 중학교 재학 중 부정행위를 도왔다[47].
  • 가와시마 나오미 - 대학 시절 부정행위를 했다고 발언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 나가시마 가즈시게 - 대학 시절 부정행위를 했다고 발언했다[48].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5대 대통령) - 조카 메리 트럼프의 폭로본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남자』에 대학 입시 때 동급생에게 돈을 주고 대리 시험을 치르게 했다는 과거가 쓰여 있다. 트럼프 본인은 부인하고 있다.
  • 노부 (개그맨) - 고등학교 시절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여 정학 처분을 받았다.
  • 모치다 코시히카리 - 고등학교 입학 직후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여 2주간 정학 처분을 받았다.[49]
  • 후지노 가쓰미 - NPO 법인 일본 점자 보급 협회 이사장. 점자를 이용한 부정행위를 꾀했지만, 촉독을 하지 못해 실패했다[50]

참조

[1] 웹사이트 California State University, East Bay https://archive.toda[...] Csuh.iii.com 2013-07-21
[2] 웹사이트 ICAI https://web.archive.[...] 2018-04-25
[3] 문서 The Case of the Purloined Paper by Brigid Schulte
[4] 웹사이트 Ohiomatyc.org https://web.archive.[...] 2013-07-21
[5] 문서 "[[Reader's Digest]]'', pp. 123-7, March 2006; Cheating: "but everybody is doing it"
[6] 문서 "Type 20: Corruption in Education", in Zhang Yingyu, ''The Book of Swindles: Selections from a Late Ming Collection'', translated by Christopher Rea and Bruce Rusk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pp. 142-163.
[7] 뉴스 Canseco:Steroids made my baseball career possible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09-11-19
[8] 뉴스 Sports Illustrated:Steroids in baseball https://web.archive.[...] Sportsillustrated.cnn.com 2009-11-19
[9] 뉴스 Sportsillustrated.cnn.com https://web.archive.[...] Sportsillustrated.cnn.com 2009-11-19
[10] 웹사이트 Jerry Rice admitted to cheating just days before calling Pats cheaters https://web.archive.[...] 2015-02-08
[11] 웹사이트 Who's cheating now? Jerry Rice admits to stickum use after New England Patriots comments https://www.nj.com/g[...] 2015-02-06
[12] 웹사이트 Yahoo Sports NFL https://sports.yahoo[...]
[13] 뉴스 Three-year Ban for Skating Judge http://news.bbc.co.u[...] 2017-05-04
[14] 웹사이트 Gradius Cheats & Codes https://www.ign.com/[...] IGN 2016-07-29
[15] 웹사이트 Separating Free-to-Play and Pay-To-Win https://uk.ign.com/a[...] IGN.com 2014-01-26
[16] 서적 Cheating: Gaining Advantage in Videogames https://archive.toda[...] MIT Press 2013-07-21
[17] 웹사이트 California State University, East Bay https://archive.toda[...] Csuh.iii.com 2013-07-21
[18] 웹사이트 Unfair Competitive Advantage [Energy] Law and Legal Definition | USLegal, Inc. https://definitions.[...]
[19] 서적 NHKカタカナ英語うそ・ほんと 日本放送出版協会 1988-05-20
[20] 뉴스 "[日めくり]カンニング 英語では「不正」ではない!?" 読売新聞 2002-07-03
[21] 웹사이트 もしかすると日本にも!? 中国にあふれるカンニングツール http://trendy.nikkei[...] 日経トレンディネット 2012-10-01
[22] 뉴스 運転免許試験、米粒イヤホンで無線カンニング サンケイスポーツ 2012-06-23
[23] 뉴스 「全国統一大学入試で横行するカンニング 科挙の時代から続く伝統は今や先進技術を駆使して集団化」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8-07-11
[24] 뉴스 朝日新聞 試験中、トイレで退室 認める?認めない?司法判断は… https://www.asahi.co[...]
[25] 웹사이트 京大 入学試験における時計の持ち込みについて https://www.kyoto-u.[...]
[26] 웹사이트 山谷剛史の「中国ビジネス四方山話」大学受験でハイテク機器とハイテク機器が正面衝突--中国のカンニング事情 https://japan.zdnet.[...]
[27] 문서 『[[奇跡体験!アンビリバボー]]』2009年1月15日放送
[28] 웹사이트 BEACON-うぇーぶ!!トピックス: (18) 親バカが狂わせた人生 〜入試問題密売事件 http://www.icom.co.j[...] アイコム
[29] 뉴스 慶応大学商学部入試問題漏えい事件 http://www.jiji.com/[...] 時事通信
[30] 뉴스 運転免許受験学校 カンニング鉛筆乱売 九百万円荒稼ぎ 94人合格取り消し 朝日新聞 1977-03-26
[31] 뉴스 早稲田大学入試問題漏えい事件『[[ザ!世界仰天ニュース]]』2011年1月19日放送
[32] 뉴스 一橋大で集団カンニング 携帯メール使い26人 共同通信 2002-12-03
[33] 뉴스 警察学校で大胆カンニング未遂 試験問題盗む ZAKZAK 2011-03-31
[34] 뉴스 運行管理者試験 カンニングで9人書類送検 兵庫県警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7-20
[35] 뉴스 試験問題漏えいで12人懲戒 海自隊員、LINEで送信 https://www.nikkei.c[...] 共同通信 2017-08-28
[36] 뉴스 英検で生徒がカンニング 監督教員規定より少なく 兵庫・明石商業高校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3-01
[37] 뉴스 内部進学模試で生徒が解答事前入手…関大北陽高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8-07-24
[38] 뉴스 関大の内部進学不正、民間模試での選考見直しへ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8-07-25
[39] 뉴스 陸自試験で集団カンニング 45人停職、教官が漏えい https://web.archive.[...] サンケイスポーツ(産経デジタル) 2019-08-20
[40] 뉴스 【速報】カンニングが発覚『卑怯者』と言わされ高校生自殺 父親「なぜ…未だに心の整理つかない」裁判で学校側は争う姿勢「教師から言わせた証言は得られていない」両親が清風高校に1億円あまりの賠償求めた訴訟(MBSニュース)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41] 웹사이트 共通テスト 試験中に問題撮影し外部に送信か 警視庁が捜査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2-01-26
[42] 간행물 誇り喪失 大規模カンニング 米ハーバード大、70人退学処分 産経エクスプレス 2013-02-04
[43] 뉴스 「カンペ」も!100年前の科挙登用試験 古書の教科書展示会 https://www.afpbb.co[...] AFPBB
[44] 서적 科挙 -中国の試験地獄-
[45] 웹사이트 教員試験のカンニング防止、ネットを一時遮断 https://www.cnn.co.j[...] CNN 2021-10-30
[46] 뉴스 知恵袋 産経新聞 2011-03-01
[47] 뉴스 慶大法学部政治学科の著名OBらが語る「百年史」が記念出版 読売新聞 1998-12-04
[48] 뉴스 長嶋一茂「カンニングやった。野球ばっかりだったから、オレ」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1-03-04
[49] 뉴스 餅田コシヒカリ 高校入学早々にカンニングで2週間停学の過去 母を号泣させ「後悔しかなかった」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08-10
[50] 뉴스 タウンニュース https://www.townnews[...] 2022-01-08
[51] 웹사이트 24ソフト指し取締委員会|利用規約 https://www.shogidoj[...] 日本将棋連盟公式 将棋倶楽部24 2023-07-23
[52] 웹사이트 グルジアのチェス名人、スマホでカンニング http://www.cnn.co.jp[...] CNN.co.jp 2015-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