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세충렬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여물과 병자호란 때 순절한 그의 가족들을 기리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정문이다. 현재 건물은 1971년에 재건되었으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김여물은 임진왜란 당시 신립과 함께 충주에서 왜군과 싸우다 전사했으며, 그의 후실 평산 신씨, 아들 김류의 처 진주 류씨, 손자 김경징의 처 고령 박씨, 증손자 김진표의 처 진주 정씨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했다. 사세충렬문은 김여물 가문의 충절을 기리는 건축물로, 내부에는 김여물의 충신 정문과 4대 열녀의 정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려 - 의령 칠정려
의령 칠정려는 경상남도 의령군에 있는 조선 시대 정려 건축물로, 1798년에 충신, 효자, 열녀 등 7명의 인물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조선 시대 정려 건축의 전형을 보여주는 역사적·건축적 가치를 지닌다. - 정려 - 안산 화정동 오정각
안산 화정동 오정각은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한 김문기 등 5명의 충절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1870년에 세워진 정각으로,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 - 안산시의 문화유산 - 안산읍성 및 관아지
안산읍성 및 관아지는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에 위치하며, 수암봉 능선을 따라 축조된 평산성으로 고려 시대 후기에 처음 만들어져 조선 시대에 왜구 방어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현재 객사가 복원되어 읍성과 관아의 흔적을 보여준다. - 안산시의 문화유산 - 안산 대부광산 퇴적암층
안산 대부광산 퇴적암층은 중생대 후백악기 응회암질 사암 및 이암으로 구성되었으며, 공룡 발자국과 식물 화석이 발견되었고, 7,000만 년 전 호수 환경이었음을 보여주는 지질층이다. - 1971년 완공된 건축물 - 핀란디아 홀
핀란디아 홀은 알바 알토가 설계한 헬싱키 툴뢰만 지역의 기념비적인 건물로, 시각적 착시 설계, 게잠트쿤스트베르크 원칙에 따른 실내 디자인, 그리고 국제적인 행사 장소로 사용되는 특징을 지닌다. - 1971년 완공된 건축물 - 투손 컨벤션 센터
투손 컨벤션 센터는 미국 애리조나주 투손에 위치한 복합 시설로, 린다 론스타트 음악당, 레오 리치 극장, 투손 아레나를 갖추고 다양한 공연과 행사를 개최하며, 투손 로드러너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2014년 개보수를 거쳐 현재 ASM 글로벌이 관리한다.
사세충렬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사세충렬문 정보 | |
![]() | |
이름 | 사세충렬문 |
종류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8 |
지정일 | 1983년 9월 19일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 151번지 |
시대 | 해당사항 없음 |
소유자 | 해당사항 없음 |
참고 | 해당사항 없음 |
면적 | 해당사항 없음 |
수량 | 일곽 |
전승지 | 해당사항 없음 |
전승자 | 해당사항 없음 |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문화재청 ID | 31,00080000,31 |
2. 역사
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 때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순절한 순천 김씨 김여물(1548~1592)과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그의 가문 4대 여성들의 충(忠)과 열(烈)을 기리기 위해 국가에서 정문(旌門)을 내린 것이다. 김여물은 1592년 신립 장군과 함께 충주에서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그의 부인 함양 박씨, 아들 김류의 처 진주 류씨, 손자 김경징의 처 고령 박씨, 증손자 김진표의 처 진주 정씨는 1636년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로 피난했다가 강화도가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정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하였다.
나라에서는 이들의 충렬을 기려 각각 정문을 내렸으며, 본래 각 집 문에 걸도록 하였으나 후대에 이를 한 곳에 모아 보존하기 위해 정자를 세웠다. 현재의 건물은 1979년에 재건되었고, 1983년에 보수되었다.
2. 1. 건립 배경
정문(旌門)은 국가에서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고 세상에 널리 알려 풍속을 권장하기 위해 그들이 살던 마을 입구나 집 문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을 일컫는다.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신립(申砬) 장군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김여물(金汝<0xEC><0x8A><0x89>, 1548~1592)의 충절과,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대에 맞서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김여물 가문의 여성들(부인, 며느리, 손부, 증손부)의 열녀 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정에서 세운 정문이다.
김여물은 임진왜란 발발 시 신립과 함께 충주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강물에 몸을 던져 순국하였다. 병자호란 때 순절한 여성들은 김여물의 부인 함양 박씨, 아들 김류(金<0xE7><0x90><0xA7>)의 처 진주 류씨, 손자 김경징(金慶徵)의 처 고령 박씨, 증손자 김진표(金震標)의 처 진주 정씨이다. 이들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로 피난하였으나, 적군에게 정절을 더럽히지 않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처럼 김여물 가문 4대에 걸친 충(忠)과 열(烈)을 기리고자 조정에서 정문을 내린 것이 사세충렬문 건립의 배경이 되었다.
2. 2. 김여물과 임진왜란
김여물金汝岉한국어(1548~1592)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여물은 신립 장군과 함께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일본군과 맞서 싸웠다. 그러나 치열한 전투 끝에 결국 패배하였고, 김여물은 강물에 몸을 던져 순국하였다. 나라에서는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정문(旌門)을 내렸으며, 이 충신 정문은 사세충렬문의 오른편 칸에 모셔져 있다.2. 3. 4대 열녀와 병자호란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청나라 군대를 피해 강화도로 피신했던 김여물 집안의 네 여인이 정절을 지키기 위해 순국하였다. 이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정문(旌門)을 내렸으며, 이는 사세충렬문의 일부가 되었다.사세충렬문에 모셔진 4대 열녀는 다음과 같다.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이들은 강화도로 피난했으나, 강화도가 청군에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적군에게 욕을 당하지 않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어 절개를 지켰다. 조정에서는 이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려 정려(旌閭)를 내렸고, 이 정문들은 현재 사세충렬문 건물 왼쪽 칸에 모셔져 있다. 본래 이 정문(기념 현판)들은 각 집 문에 걸도록 되어 있었으나, 보존을 위해 사세충렬문 내부에 함께 보관하게 되었다.
2. 4. 연혁
정문(旌門)은 국가에서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고 풍속을 권장하기 위해 마을 입구나 집 문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을 일컫는다.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신립 장군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김여물(金汝岉, 1548~1592)의 충절과,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청나라 군대에 맞서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김여물 가문의 여성들을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내린 정문이다. 정려(旌閭)를 받은 여성은 김여물의 후실인 평산 신씨(平山 申氏), 아들 김류(金瑬, 1571년~1648년)의 처 진주 류씨(晉州 柳氏), 손자 김경징(金慶徵, 1589년~1637년)의 처 고령 박씨(高靈 朴氏), 증손자 김진표(金震標, 1614년~1671년)의 처 진주 정씨(晋州 鄭氏) 4대에 걸친 인물들이다. 이들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로 피난했으나, 강화도 함락 위기에 처하자 순결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원래 이 기념 현판들은 각 인물의 집 문에 걸도록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보존을 위해 한 곳에 정자를 지어 보관하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1979년에 고쳐 지은 것이며, 1983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면서 다시 보수되었다. 건물 안은 두 칸으로 나뉘어 있는데, 오른쪽 칸에는 김여물의 충신 정문이 있고 왼쪽 칸에는 4대 열녀의 정문이 있다. 건물 정면에는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이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으며, 이는 "4대에 걸친 충렬을 기리는 문"이라는 뜻이다.
3. 구조
사세충렬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가운데 칸에 사가(私家) 대문 형태의 문과 "사세충렬문" 현판이 있다. 내부는 두 칸으로 나뉘어, 오른쪽에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여물의 충절을 기리는 정문(旌門, 현판)이, 왼쪽에는 병자호란 때 순절한 김여물 가문의 네 여성(함양 박씨, 진주 류씨, 고령 박씨, 진주 정씨)의 열행을 기리는 정문이 각각 모셔져 있다. 현지 안내판에 따르면 이 건물은 본래 문에 걸기 위한 정려 현판들을 보존하기 위해 세운 정자 형태이며, 건물 앞에는 관련 사적을 기록한 표지판이 있다.
3. 1. 건축 양식
사세충렬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건물이다. 가운데에는 일반적인 사가(私家) 대문 형태의 문이 있고, 문 위에는 "사세충렬문"이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현지 안내판에 따르면, 이 건물은 김여물(1548-1592)과 그의 가문 네 여성의 정려 현판을 보관하기 위한 정자 형태이다.내부는 두 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다. 오른쪽 방에는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김여물의 충절을 기리는 현판이, 왼쪽 방에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김여물의 부인 함양 박씨, 며느리 진주 류씨, 손부 고령 박씨, 증손부 진주 정씨 네 여성의 열행을 기리는 현판이 각각 모셔져 있다. 이 현판들은 본래 문에 걸기 위한 것이었으나, 현재는 보존을 위해 정자 건물 내부에 보관 중이다.
건물의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나뉜다. 1971년에 재건되고 1983년에 보수되었다는 기록과, 현지 안내판의 1979년에 재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3. 2. 내부 구조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다. 가운데 칸에는 민가 대문 형식의 문이 달려 있고, 문 위에는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이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내부는 두 칸으로 나뉘어 있다. 오른쪽 칸은 마룻바닥으로 되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순국한 김여물의 충신 정문이 보관되어 있다. 왼쪽 칸에는 병자호란 때 순절한 4대 열녀, 즉 김여물의 후실, 아들 김류의 처 진주 류씨, 손자 김경징의 처 고령 박씨, 증손자 김진표의 처 진주 정씨의 정문이 있다. 이 정문(현판)들은 원래 문에 걸도록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보존을 위해 건물 내부에 보관 중이다.
4. 문화재 지정
사세충렬문은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이 정자는 조선 시대 문신 김여물(1548-1592)과 그의 가족 중 네 명의 열녀를 기리기 위한 기념 현판을 보관하기 위해 세워졌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김여물은 충주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그의 충성심을 기리기 위해 정부에서 기념 현판을 하사했으며, 이 현판은 현재 정자의 오른쪽에 보관되어 있다.
정자 왼쪽에 있는 네 개의 기념 현판은 김여물의 부인 함양 박씨, 며느리인 김류의 부인 진주 류씨, 손자인 김경징의 부인 고령 박씨, 증손자인 김진표의 부인 진주 정씨를 기리는 것이다. 이들은 병자호란(1636년-1637년) 때 강화도로 피신하였다가 정절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기념 현판들은 원래 문에 걸어두기 위한 것이었으나, 현재는 보존을 위해 이 정자 안에 보관되어 있다. 정자는 1979년에 다시 세워졌다. 건물에 걸려 있는 현판에는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4대에 걸친 충렬을 기리는 문"이라는 의미이다.
5. 의의 및 평가
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 때 순절한 충신 김여물(순천 김씨)과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정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한 그의 부인, 며느리, 손부, 증손부 등 네 명의 열녀를 함께 기리기 위해 국가가 건립한 정문이다. 이는 한 가문 4대에 걸친 충(忠)과 열(烈)을 기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건물 현판에도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이라 새겨져 있다.
국가가 직접 충신과 열녀를 위한 정문을 내린 것은 유교적 가치를 중시했던 조선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며,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의 희생을 기리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원래 기념 현판은 문에 걸도록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보존을 위해 정자 형태의 건물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 오른쪽 방에는 김여물의 충신 정려 현판이, 왼쪽 방에는 네 여성의 열녀 정려 현판이 각각 모셔져 있다.
현재 건물은 1979년에 재건되었다는 기록과 1971년 재건 후 1983년 보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비록 재건된 건물이지만, 사세충렬문은 두 차례의 큰 전란 속에서 희생된 인물들의 충절을 후세에 전하는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