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영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사회 영향의 유형
- 2.1. 켈만(Kelman)의 분류
- 2.2. 동조 (Conformity)
- 2.3. 소수자의 영향력 (Minority Influence)
- 2.4. 자기 충족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2.5. 사회적 전염 (Social Contagion)
- 2.6. 심리적 반발 (Reactance)
- 2.7. 복종 (Obedience)
- 2.8. 설득 (Persuasion)
- 2.9. 심리 조작 (Psychological Manipulation)
- 2.10. 권력과 통제의 남용 (Abusive Power and Control)
- 2.11. 선전 (Propaganda)
- 2.12. 하드 파워 (Hard Power)
- 3. 사회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 사회 구조 (Social structure)
- 참조
1. 개요
사회 영향은 개인의 행동, 신념, 태도에 타인이나 집단이 미치는 영향력을 의미하며, 사회 심리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사회적 영향은 규범적 사회 영향과 정보적 사회 영향으로 분류되며, 동조, 순응, 동일시, 내면화, 복종, 설득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회적 영향은 켈만의 분류, 빕 라타네의 사회 영향 이론, 치알디니의 설득의 무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사회 구조, 특히 소셜 네트워크는 사회적 영향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영향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사회 영향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민족
민족은 언어, 종교, 문화, 역사적 경험 등 특정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 집단으로, 본질주의적,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고, 민족주의, 민족자결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관련되며, 모어, 생활 양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사회심리학 -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는 모든 형태의 폭력으로, 다양한 주체에 의해 자행되며 유엔 등 국제기구는 이를 인권 침해 및 성별 불평등의 결과로 규정하고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다. - 사회심리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사회 영향 | |
---|---|
사회적 영향 | |
정의 | 타인의 행동, 태도, 감정 등에 대한 개인의 생각, 감정, 태도 또는 행동의 변화 |
관련 분야 | 심리학 사회심리학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정치학 경제학 |
사회적 영향의 종류 | |
복종 | 권위 있는 인물에 대한 행동 변화 |
설득 | 메시지를 통해 태도나 행동을 바꾸려는 시도 |
사회적 촉진 | 타인의 존재가 특정 작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방관자 효과 | 다른 사람들이 존재할 때 도움을 제공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현상 |
동조 | 그룹의 규범에 맞추어 자신의 행동이나 의견을 조정하는 것 |
정보적 영향 | 다른 사람의 정보에 의존하여 행동하는 것 |
규범적 영향 | 다른 사람에게 수용받기 위해 행동하는 것 |
소수자 영향 | 소수 집단이 다수 집단의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추가적인 측면 | |
사회적 영향력의 요인 | 응집력 지위 규범 |
사회적 영향에 대한 반응 | 순응 동일시 내면화 |
관련 연구 | 스탠리 밀그램의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 솔로몬 애쉬의 동조 실험 필립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 |
2. 사회 영향의 유형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 영향을 크게 '''규범적 사회적 영향'''(normative social influenceeng)과 '''정보적 사회적 영향'''(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eng)으로 분류한다.[41][42] 규범적 사회 영향은 법, 제도, 규칙과 같이 사회적 외부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반면, 정보적 사회 영향은 외부 환경의 정보를 참고하는 데 있어 개인의 심리적, 가치관적, 경험적 판단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분은 동조 현상의 원인을 사회적 영향의 관점에서 규범적 영향과 정보적 영향으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
사회적 영향은 다양한 현상과 관련된 광범위한 용어이다.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사회적 영향의 유형들을 연구하고 있다.
2. 1. 켈만(Kelman)의 분류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자 허버트 켈만(Herbert Kelman)은 1958년 "갈등 해결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사회적 영향으로 인한 태도 변화의 과정을 순응, 동일시, 내면화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했다.[1] 켈만은 이러한 분류를 통해 사회적 영향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했으며, 특히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변화(공개적 동조)와 개인의 신념 변화(개인적 수용)를 구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2. 1. 1. 순응 (Compliance)

순응은 다른 사람이 제시한 명시적 또는 암묵적인 요청에 호의적으로 응답하는 행위이다. 기술적으로 순응은 행동의 변화이지만 반드시 태도의 변화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단순한 복종이나 사회적 압력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지 않고 따르는 방식으로 순응이 나타나기도 한다.[4] 사회심리학자 허버트 켈만(Herbert Kelman)은 1958년 연구에서 순응을 통해 얻는 만족감은 보상을 얻거나 처벌을 피하려는 사회적 영향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 즉, 사람들은 순응함으로써 얻게 될 이익이나 피할 수 있는 불이익을 고려하여 행동한다는 것이다.
2. 1. 2. 동일시 (Identification)
동일시(同一視, Identification)는 개인이 자신이 존경하거나 선망하는 대상, 혹은 특정 집단의 태도나 행동, 가치관 등을 받아들여 모방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는 심리적 과정이다. 이는 개인이 특정 대상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기제이며, 사회적 규범이나 가치를 받아들이는 내면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내면화는 개인이 영향력 있는 사람이나 집단이 제시하는 규범이나 가치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 개인은 그 내용 자체가 보상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받아들인다. 즉, 받아들인 규범이나 가치가 개인의 기존 가치관과 일치하기 때문에 수용하는 것이다. 사회심리학자 허버트 켈먼(Herbert Kelman)에 따르면, 내면화를 통한 행동 변화의 "보상"은 바로 "새로운 행동의 내용" 그 자체이다.[1] 동일시는 이러한 내면화가 특정 인물이나 집단을 향한 감정적 유대와 존경심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대중문화가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는 유명인, 예를 들어 정치인이나 연예인 등이 강력한 동일시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말과 행동은 대중, 특히 가치관 형성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큰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인 역할 모델로서 사회 정의나 인권 신장에 힘쓰는 인물을 동일시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 의식 함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동일시는 비판적 사고 없이 이루어질 경우, 대상의 부정적인 측면까지 무분별하게 수용하게 만들 위험성도 내포한다. 따라서 건강한 동일시는 대상에 대한 존경심과 함께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2. 동조 (Conformity)
동조(同調, Conformityeng)는 다른 사람 또는 사회적 규범 기준에 맞춰 자신의 행동, 신념, 또는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사회적 영향의 한 유형이다.[4] 이는 사회적 영향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퍼져 있는 형태이다.사회 심리학 연구에서는 동조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경향이 있다. 하나는 정보적 동조(Informational Conformity)로, 이는 '사회적 증거'(social proof) 또는 허버트 켈만(Herbert Kelman)의 용어로 '내면화'(internalization)라고도 불린다. 다른 하나는 규범적 동조(Normative Conformity)로, 켈만은 이를 '순응'(compliance)이라고 불렀다.[4] 이러한 구분은 동조가 발생하는 원인을 사회적 영향을 통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41][42]
2. 2. 1. 정보적 사회 영향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적 영향을 크게 규범적 사회적 영향과 정보적 사회 영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41][42] 정보적 사회 영향은 어떤 상황에 대해 확신이 없거나 정보가 부족할 때,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의견을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 삼아 이를 받아들이고 따르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법이나 규칙 같은 외부적인 압력보다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알기 위해 타인의 판단과 정보를 참고하려는 개인의 심리적 과정에 더 가깝다.[41][42]이러한 정보적 사회 영향은 동조 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동조는 다른 사람이나 사회적 기준에 맞춰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바꾸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회 심리학 연구에서는 동조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정보적 사회 영향은 그중 하나인 정보적 동조 (다른 말로 사회적 증거 또는 허버트 켈만(Herbert Kelman)이 말한 내면화)로 이어진다.[4] 이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 '옳다'고 판단하여 진심으로 그 행동이나 신념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을 뜻하며, 단순히 처벌을 피하거나 보상을 얻기 위해 겉으로만 따르는 규범적 사회적 영향과는 구별된다.[4] 특히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어떤 정보가 신뢰할 만한지 판단하기 어려워, 자신도 모르게 특정 집단이나 여론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정보적 사회 영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2. 2. 2. 규범적 사회 영향 (Normative Social Influence)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적 영향을 크게 규범적 사회 영향(normative social influenceeng)과 정보적 사회적 영향(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eng)으로 분류한다.[41][42] 규범적 사회 영향은 법, 제도, 규칙과 같이 사회적인 외부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면, 정보적 사회 영향은 외부 환경의 정보를 참고할 때 개인의 심리, 가치관, 경험적 판단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분은 동조 현상의 원인을 사회적 영향의 관점에서 규범적 영향과 정보적 영향으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동조는 다른 사람이나 사회적 규범에 맞춰 자신의 행동, 신념, 생각 등을 바꾸는 사회적 영향의 한 형태이다. 이는 사회적 영향 중 가장 흔하고 널리 퍼져 있는 유형이다. 사회 심리학 연구에서는 동조를 두 가지 유형, 즉 정보적 동조(사회적 증거 또는 켈만(Kelman)의 용어로는 "내면화")와 규범적 동조(켈만의 용어로는 "순응")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4] 규범적 사회 영향은 이러한 규범적 동조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2. 3. 소수자의 영향력 (Minority Influence)
사회 심리학자들은 30년 이상 사회적 영향과 소수자의 영향력을 연구해 왔다. 이 주제를 다룬 첫 번째 연구 결과는 사회 심리학자 세르주 모스코비치가 1976년에 발표했다.[5] 소수자의 영향력은 다수가 소수의 신념이나 행동을 받아들이도록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향력은 다수와 소수 집단의 규모 차이, 소수 집단의 주장이 얼마나 일관성을 갖는지, 그리고 소수 집단이 가진 부나 사회적 지위와 같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6] 소수자의 영향력은 다수가 소수를 반드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주로 정보적 사회적 영향력을 통해 나타난다. 이는 단순히 집단 규범에 따르려는 규범적 사회적 영향력과는 다른 메커니즘이다.[7]한국 사회에서도 소수자의 영향력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에 맞섰던 민주화 운동 세력이나,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정당이 소수 야당으로서 활동하며 사회의 불합리한 제도나 관행에 대해 꾸준히 문제를 제기하고 변화를 촉구했던 사례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소수 집단이라도 일관된 목소리를 내고 새로운 정보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다수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고 사회 전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4. 자기 충족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자기 충족적 예언은 믿음과 행동 사이의 긍정적인 피드백 때문에, 어떤 예측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스스로 실현되도록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처음에는 거짓이었던 예측이라도 사람들이 그것을 사실이라고 믿게 되면, 그 믿음(예를 들어 공포나 혼란)이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결국 예측이 현실이 되게 만들 수 있다. 이 용어는 사회학자 로버트 K. 머튼이 194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5. 사회적 전염 (Social Contagion)
사회적 전염은 집단, 개체군 또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행동이나 감정이 자발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이다. 사회적 전염은 행동 전염과 감정 전염의 두 가지 범주로 구성된다. 동조와는 달리, 사회적 전염을 통해 받아들여지는 감정이나 행동이 반드시 사회적 규범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9]2. 6. 심리적 반발 (Reactance)
심리적 반발은 개인이 특정 견해를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받고 있다고 인식할 때, 오히려 그와 반대되는 견해를 채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신의 행동 자유가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반순응'이라고도 불린다. 심리적 반발의 결과는 영향을 주려는 사람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반발적인 행동 역시 사회적 압력의 한 결과이다.[10] 중요한 점은 반순응이 반드시 ''독립''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심리적 반발은 설득 내용이 명백히 옳다고 하더라도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11]2. 7. 복종 (Obedience)
복종은 권위자로부터 비롯된 사회적 영향의 한 형태로, 명령이나 지시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12] 밀그램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 그리고 호프링 병원 실험은 복종에 관한 대표적인 실험들이다. 이 실험들은 모두 인간이 정당하다고 인지하는 권위자가 있을 때 놀라울 정도로 그 지시에 복종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2. 8. 설득 (Persuasion)
설득은 합리적이거나 상징적인 수단을 통해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이 특정 태도를 받아들이도록 이끄는 과정이다.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는 의도적인 방법을 통해 동조를 유도하기 위한 여섯 가지 "영향력의 무기"를 정의했는데, 이는 상호성, 약속, 사회적 증거, 권위, 호감, 그리고 희소성이다. 설득은 이성에 대한 호소 또는 감정에 대한 호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13]2. 9. 심리 조작 (Psychological Manipulation)
심리 조작은 부당하고, 기만적이며, 교활한 전술을 통해 타인의 행동이나 인식을 바꾸려는 사회적 영향력의 한 형태이다.[14] 이러한 방법은 조작자의 이익을 증진시키면서 종종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기 때문에 착취적이고, 학대적이며, 교활하고 기만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사회적 영향력 자체가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의사가 환자에게 건강하지 못한 습관을 바꾸도록 설득하는 경우가 그렇다. 사회적 영향력은 영향을 받는 사람이 이를 수용하거나 거부할 권리를 존중하고 지나치게 강압적이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다. 상황과 동기에 따라 사회적 영향력은 교활한 조작이 될 수도 있다.
2. 10. 권력과 통제의 남용 (Abusive Power and Control)
통제하는 학대자는 다양한 전술을 사용하여 피해자에게 권력과 통제를 행사한다.[15] 이러한 전술에는 강압 및 위협, 정서적 학대, 고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학대자의 목표는 피해자를 통제하고 위협하거나, 관계에서 동등한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느끼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16] 정치 단체는 자신들에게 복종하는 사람들에게 권력과 통제의 남용을 행사할 때 유사한 기술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17]2. 11. 선전 (Propaganda)
선전은 객관적이지 않고 주로 청중에게 영향을 미치고 특정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종종 특정 해석이나 인식을 장려하기 위해 사실을 선택적으로 제시하거나, 제시된 정보에 대한 합리적인 반응보다는 감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선동적 어조를 사용한다.[18]2. 12. 하드 파워 (Hard Power)
하드 파워는 다른 정치체의 행동이나 이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군사력과 경제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정치 권력은 종종 공격적(강압)이며, 하나의 정치체가 군사력 및/또는 경제력이 약한 다른 정치체에 이를 행사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19] 하드 파워는 외교, 문화, 역사에서 나오는 소프트 파워와 대조된다.[19]3. 사회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 영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많다.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 영향을 크게 규범적 사회영향(Normative social influence)과 정보적 사회영향(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으로 분류하기도 한다.[41][42] 규범적 사회영향은 법, 제도, 규칙과 같이 사회적 외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이며, 정보적 사회영향은 외부 환경의 정보를 참고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심리, 가치관, 경험적 판단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구분은 동조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구체적인 영향 요인으로는 영향력 있는 집단의 특성(강도, 근접성, 규모), 설득 전략(치알디니의 설득 원칙), 집단의 만장일치, 개인이나 집단의 지위, 문화적 배경, 개인의 감정 상태 등이 있다.
3. 1. 사회 영향 이론 (Social Impact Theory)
사회 영향 이론은 1981년 빕 라타네가 개발했다. 이 이론은 사회적 영향에 반응할 가능성을 높이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20]- 강도: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집단의 중요성
- 근접성: 영향 시도 시 영향을 미치는 집단과 개인의 물리적 (및 시간적) 근접성
- 수: 집단의 인원 수
3. 2. 치알디니의 설득의 무기 (Cialdini's "weapons of influence")
설득은 합리적이거나 상징적인 수단을 통해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태도를 바꾸도록 유도하는 과정이다. 설득은 이성에 호소하거나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13]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는 사람들이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여섯 가지 주요 원칙, 이른바 '설득의 무기'를 제시했다.[13][21]- '''상호성''':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받은 호의를 되갚으려는 경향이 있다.
- '''일관성''': 사람들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 태도 등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번 어떤 입장을 정하면 특별한 이유 없이 바꾸려 하지 않는다.
- '''사회적 증거''': 사람들은 다른 많은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식사를 마친 후 다른 사람들이 남은 음식을 포장해 가는 것을 보면, 자신도 그렇게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22]
- '''권위''': 사람들은 전문가나 권위 있는 인물의 의견이나 지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 '''호감''':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거나 매력을 느끼는 사람에게 더 쉽게 설득된다.
- '''희소성''': 어떤 것이 희귀하거나 얻기 어렵다고 인식될 때, 사람들은 그것을 더 가치 있게 여기고 원하는 경향이 있다.
3. 3. 만장일치 (Unanimity)
사회적 영향력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이 일관성을 유지하고 헌신적일 때 가장 강력하다. 집단 내에서 단 한 명이라도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 그 영향력은 크게 약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그램 실험의 첫 번째 복종 실험에서는 참가자의 65%가 가짜 권위자의 지시에 따라 공모자에게 '최대 충격'을 가하는 수준까지 복종했다. 그러나 세 명(참가자 1명, 공모자 2명)이 함께 충격을 가하는 밀그램 실험의 변형에서 공모자 중 한 명이 복종하지 않자, 최대 충격을 가한 참가자의 비율은 10%에 불과했다.[23]3. 4. 지위 (Status)
전문가로 인식되는 사람들은 그들의 인식된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는 신뢰성과 관련이 깊은데, 신뢰는 사회적 영향력의 중요한 도구이다. 사람들은 특정 개인이 가진 경험, 매력, 지식 등을 바탕으로 그를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개인은 자신의 평판을 지키고 집단 내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압력을 느껴 집단의 의견에 동조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집단 사고로 이어진다.[24] 권위에의 호소는 특히 복종의 규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명한 밀그램 실험은 사람들이 인식된 권위에 얼마나 쉽게 복종하는지를 보여주며, 권위가 지닌 권력의 힘을 입증한다.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접근성을 이용하여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치인은 연설을 통해 대중이 특정 사안을 지지하도록 설득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불리 풀핏(bully pulpiteng)"을 활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마찬가지로, 유명인들은 직접적인 정치적 권력은 없지만, 높은 인지도와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대중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권력은 개인이 다른 사람의 제안을 따르게 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어떤 집단 내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권위를 가지고 있거나 더 강력하다고 인식되는 사람은 그 집단의 상징적인 인물이나 가장 "인기 있는" 사람이 되어 다른 구성원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예를 들어, 학교 환경에서는 학생들 사이의 인식을 주도하는 것으로 보이는 학생이 다른 아이들에게 가장 강력한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25]
3. 5. 문화 (Culture)
문화는 개인이 집단의 기준에 따르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스탠리 밀그램은 노르웨이가 프랑스보다 동조 성향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26] 이는 프랑스의 개인주의적 문화에 비해 노르웨이의 오랜 사회적 책임 전통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일본은 집단주의적 문화를 가지고 있어 동조 성향이 더 높다. 그러나 1970년 아시 스타일 연구에서는, 소외된 일본인 학생들은 반동조(집단이 정답을 협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답을 제시하는 것)에 3분의 1의 확률로 더 취약했는데, 이는 과거 아시 연구에서 관찰된 것보다 훨씬 높았다.[11]3. 6. 감정 (Emotions)
감정과 기질은 개인이 집단의 의견이나 행동에 동조하거나 반대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예를 들어, 2009년에 발표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포를 느끼는 경우 집단에 동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낭만적인 감정이나 욕정을 느낄 때는 집단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9]4. 사회 구조 (Social structure)
사회 구조는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개인, 집단, 제도 등)이 상호작용하며 형성하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계의 틀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의 행동 방식, 사고방식,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질서 유지와 변화의 기반이 된다. 사회 구조는 계급, 계층, 성별, 인종, 민족 등 다양한 차원에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적 요인들은 개인의 기회와 제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사회 구조 내에서 개인과 집단이 어떻게 연결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사회적 영향력이 전파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분석의 한 예로 소셜 네트워크 연구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사회 구조의 미시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데 활용된다.
4. 1. 소셜 네트워크 (Social networks)
소셜 네트워크는 개인이나 조직을 나타내는 노드(node)와 이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호 의존적 관계(예: 우정, 공통 관심사나 신념, 성적 관계, 친족 관계 등)로 구성된 사회 구조이다. 이러한 연결은 ''관계(tie)'', ''엣지(edge)'', ''연결(connection)'', 또는 ''링크(link)''라고도 불린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 관계를 조사하는 방법론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사회적 영향이 전파되는 경로와 그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어 중요성이 커졌다. 예를 들어, 크리스타키스와 파울러는 연구를 통해 비만,[30] 흡연,[31][32] 음주[33] 및 행복[34]과 같은 상태나 행동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음을 밝혔다.그러나 이러한 연구들 중 상당수에서 가정하고 사용된 사회적 영향의 전염 모델(contagion model)에는 중요한 결함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35][36][37]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관찰 데이터를 사용할 때 다른 가능한 교란 요인으로부터 사회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리해내기 위한 인과 추론 방법들이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38][39]
참조
[1]
논문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http://scholar.harva[...]
2016-10-16
[2]
논문
Social Influence: Compliance and Conformity
https://doi.org/10.1[...]
2004-02-01
[3]
논문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https://web.archive.[...]
2016-10-16
[4]
서적
Social Psychology
Prentice Hall
[5]
논문
Minority Influence, Social Change, and Social Stability
[6]
문서
Minority influence
Rand McNally
[7]
논문
Minority Influence: A Meta-Analytic Review of Social Influence Processes
[8]
논문
The Self Fulfilling Prophecy
[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ocial Influ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Academic Press
[11]
논문
Conformity and anti-conformity in Japan
[12]
논문
Obedience without orders: Expanding social psychology's conception of 'obedience'
[13]
서적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Allyn & Bacon
[14]
서적
Who's Pulling Your Strings ? How to Break The Cycle of Manipulation
McGraw Hill Professional
[15]
논문
The Abusive Behavior Inventory–Revised
https://doi.org/10.1[...]
2015-04-21
[16]
서적
When Love Hurts: A Woman's Guide to Understanding Abuse in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WomanKind Press
2000-01-01
[17]
웹사이트
Venezuela: Concentration and Abuse of Power Under Chávez
https://www.hrw.org/[...]
2012-07-17
[18]
웹사이트
Propagand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02-17
[19]
웹사이트
Hard Power Vs. Soft Power
http://www.themarkne[...]
The Mark
2012-04-26
[20]
논문
The psychology of social impact
[21]
웹사이트
What are the 6 principles of influence?
https://conceptually[...]
2017-10-25
[22]
논문
Be the Change You Want to See: Modeling Food Composting in Public Places
[23]
논문
Behavioral Study of Obedience
http://content.apa.o[...]
[24]
뉴스
Ivory Tower Unswayed by Crashing Economy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5]
문서
Social Representation and Social Influence
[26]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Basic Books
[27]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cy, communion, and neural processes associated with conforming to social influence
2023-10-01
[28]
문서
1971-02
[29]
웹사이트
Fear or romance could make you change your mind, U of Minnesota study finds
http://www.eurekaler[...]
EurekAlert
[30]
논문
The Spread of Obesity in a Large Social Network Over 32 Years
[31]
논문
The Collective Dynamics of Smoking in a Large Social Network
[32]
뉴스
Gina Kolata, "Study Finds Big Social Factor in Quitting Smoking," The New York Times, May 22, 200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2-23
[33]
논문
The Spread of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in a Large Social Network
[34]
논문
The Dynamic Spread of Happiness in a Large Social Network: Longitudinal Analysis Over 20 Year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35]
논문
Information Is Not a Virus, and Other Consequences of Human Cognitive Limits
2016-05-13
[36]
논문
The spread of evidence-poor medicine via flawed social-network analysis
2011
[37]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 and Social Media
2019-10-21
[38]
서적
Social Informatics
2019-11-07
[39]
논문
Homophily and contagion are generically confounded in observational social network studies
2011
[40]
간행물
Influence & Systems: Provisional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Influence and Manipulation
http://www.theory-in[...]
2019-06-16
[41]
데이터베이스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https://psycnet.apa.[...]
APA PsycArticles
[42]
논문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https://psycnet.apa.[...]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