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역 없는 구조 개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역 없는 구조 개혁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 추진된 구조 개혁의 일환으로,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의 일본전신전화공사 및 일본전매공사 민영화,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의 6대 개혁 발표 등을 거쳐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고이즈미는 우정민영화 등을 통해 공공 부문의 역할을 축소하고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였으나, 야당과 노동조합의 반발, 주일미군 관련 재정 지출 문제 등으로 '성역 없는 구조 개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개혁 과정에서 저항 세력과의 갈등, 총선 승리, 지지율 감소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학계에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경제 정책 - 아베노믹스
    아베노믹스는 일본 경제 회복을 위해 아베 신조 정권이 추진한 경제 정책으로, 금융 완화, 재정 지출 확대, 성장 전략을 통해 주가 상승, 실업률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엔화 약세, 소비세 인상, 정부 부채 증가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 일본의 경제 정책 - 소득 배증 계획
    소득 배증 계획은 이케다 하야토 내각이 10년 안에 국민 소득을 두 배로 늘리기 위해 추진한 경제 정책으로, 고도 경제 성장, 산업 구조 전환, 과학 기술 진흥,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등을 포함하며 일본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사회적 문제점도 야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헤이세이 시대의 경제 - 버블 붕괴
    버블 붕괴는 1980년대 후반 일본의 자산 가격 거품 붕괴로 시작되어 주식 시장 폭락,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초래하고, 일본 경제를 장기간의 침체에 빠뜨린 심각한 불황이다.
  • 헤이세이 시대의 경제 - 아베노믹스
    아베노믹스는 일본 경제 회복을 위해 아베 신조 정권이 추진한 경제 정책으로, 금융 완화, 재정 지출 확대, 성장 전략을 통해 주가 상승, 실업률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엔화 약세, 소비세 인상, 정부 부채 증가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 정치 구호 - 노동에 따른 분배 법칙
    노동에 따른 분배 법칙은 사회주의 경제 원칙으로, 개인의 노동량과 가치에 비례하여 보상받는 방식으로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사회주의 사상가들이 지지했고 공산주의 사회 초기 단계에 적용되지만, 공산주의 발전과 함께 다른 분배 방식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치 구호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는 슬로건은 마오쩌둥의 연설에서 유래하여 중국 공산당과 인민해방군이 인민에게 봉사하는 목표를 나타내며,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대중의 행동 강령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 중국에서는 권위주의 통치 정당화에 이용된다는 비판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성역 없는 구조 개혁
구조 개혁
명칭
일본어聖域なき構造改革
로마자 표기Seīki naki kōzō kaikaku
한국어성역 없는 구조 개혁
개요
주요 목표일본의 경제 및 사회 구조 전반에 걸친 개혁
주요 내용공공 부문 개혁
규제 완화
민영화 추진
시장 경쟁 활성화
재정 건전성 강화
세제 개혁
사회보장제도 개혁
배경
일본의 경제 상황1990년대 초 거품 경제 붕괴 이후 장기적인 경기 침체
필요성일본 경제의 활력 회복 및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추진 과정
주도 세력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
주요 정책우정사업 민영화
도로공단 민영화
지방 분권 추진
세제 개혁 추진
공공 투자 축소
반대 세력기존 기득권 세력
공공 부문 노조
일부 정치 세력
사회적 논란빈부 격차 심화 우려
고용 불안정 심화 우려
지역 경제 침체 우려
주요 결과 및 평가
경제적 효과단기적인 경기 부양 효과 미흡
구조 조정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 발생
일부 산업 경쟁력 강화
디플레이션 탈피에 대한 제한적인 효과
사회적 효과비정규직 증가
고용 불안정 심화
양극화 심화
정치적 효과정치 개혁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기존 정치 세력의 영향력 약화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
종합 평가긍정적 및 부정적 평가가 혼재하며, 개혁의 성과에 대한 논쟁 지속
기타
관련 문서구조 개혁
아베노믹스

2. 역사적 배경

일본의 구조 개혁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의 공기업 민영화[6]와 1990년대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의 6대 개혁[6] 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개혁의 흐름을 이어받아 2001년 총리로 취임한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구조 개혁 없이는 경기 회복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하며 '성역 없는 구조 개혁'을 내걸었다.[6]

고이즈미는 우정민영화를 비롯한 공급 측면의 개혁이 일본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 보고, 다케나카 헤이조를 경제재정정책 담당 특명대신으로 기용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를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자신의 개혁 노선에 반대하는 정치인이나 관료들을 '저항 세력'으로 지칭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하지만 공공 부문 축소를 중심으로 한 개혁 방향은 지방 경제 위축과 고용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고, 야당과 노동조합 등으로부터 '구조 개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미일안전보장조약에 근거한 주일미군 관련 재정 지출은 개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서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8]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고이즈미는 2003년 자민당 총재 선거 재선[9]과 2005년 총선거 압승 등을 통해 개혁 동력을 확보하려 했으나, 임기 말에는 여러 의혹 사건이 불거지며 개혁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나타나기도 했다. 2006년 고이즈미 퇴임 후, 후임 아베 신조 총리는 고이즈미의 구조 개혁 노선을 기본적으로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10]

2. 1. 1980년대 ~ 1990년대

일본은 1980년대 중반부터 구조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1985년 4월, 당시 총리였던 나카소네 야스히로일본전신전화공사와 일본전매공사를 민영화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어 1987년에는 일본국유철도 역시 민영화되었다.

이러한 개혁의 흐름은 1990년대에도 이어졌다. 1995년 5월 무라야마 도미이치 내각은 행정개혁위원회 산하에 규제완화소위원회를 설치하여 규제 완화를 추진했다. 1996년 11월에는 하시모토 류타로가 신임 총리로 취임하면서 6대 개혁 방침을 발표하며 개혁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하시모토 내각 시기의 구조 개혁은 이후 고이즈미 내각으로 이어지며 계승되었다.

2. 2. 고이즈미 내각의 등장 (2001년)

일본은 1980년대 중반부터 구조 개혁을 추진해왔다.[6]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의 일본전신전화공사, 일본전매공사, 일본국유철도 민영화(1985년, 1987년)를 시작으로,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은 1996년 6대 개혁 방침을 발표했다.[6] 하시모토 내각의 구조 개혁 노선은 이후 고이즈미 내각으로 이어졌다.[6]

2001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예상을 뒤엎고 승리하여 총리대신으로 취임한 고이즈미는 같은 해 5월 5일 소신 표명 연설에서 "지금의 아픔을 견뎌내고 내일을 좋게 하려는 쌀 백 섬(米百俵)의 정신이야말로 개혁을 진행하려는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7]라고 말하며 개혁 의지를 강조했다.

고이즈미는 "구조 개혁 없이는 경기 회복은 있을 수 없다"는 신념 아래, 우정민영화나 기업 관련법 정비 등 공급 측면에서의 구조 개혁이 일본 경제 회복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개혁의 대상을 다나카 가쿠에이가 만든 정치·사회 구조, 즉 우정, 도로, 의료, 연금 등에서 이익을 특정 세력이 독점하는 구조로 보고 이를 바꾸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개혁 추진을 위해 경제학자 출신인 다케나카 헤이조를 경제재정정책 담당 특명대신으로 발탁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를 개혁의 사령탑으로 삼아 정책을 추진했다.

고이즈미는 자신의 개혁 노선에 반대하는 자민당 내 의원들이나 관료들을 "저항 세력"이라 부르며 대립각을 세웠다. 특히 우정민영화에 강하게 반대했던 가메이 시즈카 등은 결국 자민당에서 제명되어 국민신당을 창당하기에 이르렀다. 다만 '저항 세력'이라는 명칭은 고이즈미가 자신의 정책 추진을 위해 반대파에게 낙인을 찍으려 사용했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반면 가메이 같은 인물은 오히려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개혁파'라며 이 용어를 역이용하기도 했다.

고이즈미 개혁은 공공 부문 축소를 골자로 했기에, 지방 경제 위축과 고용 불안을 우려하는 야당과 노동조합 등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이들은 고이즈미의 정책을 '구조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미일안전보장조약에 근거한 주일미군 관련 비용(이른바 '오모이야리 예산')은 개혁 대상에서 제외된 점을 들어, 야당은 이를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고 비판했다.[8]

이러한 반발 속에서도 고이즈미는 2003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당내 반대파의 '고이즈미 끌어내리기' 시도를 극복하고 재선에 성공했다.[9] 2005년에는 우정민영화를 쟁점으로 중의원을 해산하고 치른 총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개혁 동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총선 직후 건축물의 구조계산서 위조 문제, 라이브도어 사건, 무라카미 펀드 사건,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부적절한 주식 거래 의혹 등이 연이어 터져 나오면서, 개혁에 대한 국민적 신뢰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내각 지지율도 하락세를 보였다.

고이즈미는 "성역 없는 구조 개혁"을 내걸었지만, 이러한 논란 속에서 2006년 9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후임 아베 신조 총리는 고이즈미 노선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며 구조 개혁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10]

3. 개혁의 주요 내용

일본은 1980년대 중반부터 구조 개혁을 추진해왔다. 1985년 4월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는 일본전신전화공사와 일본전매공사를 민영화했고, 1987년에는 일본국유철도를 민영화했다. 이후 무라야마 도미이치 내각(1995년 5월)은 행정개혁위원회 산하에 규제완화소위원회를 설치했으며,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1996년 11월)는 6대 개혁 방침을 발표했다. 이러한 하시모토 내각의 구조 개혁 노선은 이후 고이즈미 내각으로 이어졌다.

총리대신으로 취임한 고이즈미는 2001년 5월 5일 소신 표명 연설에서 "지금의 아픔을 견뎌내고 내일을 좋게 하려는 쌀 백 섬의 정신이야말로 개혁을 진행하려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라고 말하며 개혁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구조 개혁 없이는 경기 회복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으며, 우정민영화나 기업 관련법 정비 등 공급 측면에서의 구조 개혁을 통해 일본 경제를 회복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다케나카 헤이조를 경제재정정책 담당 특명대신으로 임명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를 적극 활용했다.

고이즈미는 자신의 개혁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저항 세력'이라고 불렀는데, 특히 우정민영화에 반대했던 가메이 시즈카가 대표적이다. 가메이 등은 고이즈미와의 대립 끝에 자민당에서 제명되어 국민신당을 창당했다. 다만 '저항 세력'이라는 용어는 고이즈미가 정책 추진을 위해 반대파에게 부정적인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로 사용했다는 비판이 있다. 반면 가메이는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개혁파라며 이 용어를 역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고이즈미 개혁은 공공 부문의 역할을 축소하는 것을 핵심으로 했기 때문에, 지방 경제 쇠퇴와 고용 악영향을 우려하는 야당과 노동조합 등의 격렬한 반발에 부딪혔다. 이들은 고이즈미의 정책을 '구조 개혁'이 아닌 '구조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미일안전보장조약에 근거한 주일미군 관련 재정 지출은 개혁 대상에서 제외된 것에 대해, 야당은 이를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2003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고이즈미 퇴진 움직임이 있었으나, 그는 "총재 선거에서 발표한 내 방침은 국정 선거에서 자민당의 공약이 된다"고 호소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2005년 여름에는 우정민영화를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실시했으며, 여기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총선 직후 1급 건축사의 구조계산서 위조 문제, 라이브도어 사건, 무라카미 펀드 사건,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주식 거래 의혹 등이 연이어 터지면서 개혁에 대한 국민적 의구심이 커지고 지지율도 하락했다.

2006년 9월 고이즈미는 총재직에서 물러났고, 후임 아베 신조는 고이즈미의 구조 개혁 노선을 계승하고 더욱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조개혁'이라는 용어 자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 팔미로 톨리아티가 제시한 노선에서 유래했으며, 민주주의 틀 안에서 정치·경제 체제의 기본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규모 사회 개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구조개혁은 공기업 민영화, 규제 완화, 무역 장벽 철폐, 경쟁 촉진 정책 등을 통해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여 잠재 GDP 또는 잠재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 고이즈미 내각에서 개혁을 주도한 다케나카 헤이조는 구조개혁의 본질을 공급 측면 강화로 보았다.[5] 한편, 고이즈미 자신은 구조개혁에 대해 다나카 가쿠에이가 만든 이익 추구형 정치 구조, 즉 우정, 도로, 의료, 연금 등의 기존 체제를 바꾸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3. 1. 정부에서 민간으로


  • 우정민영화
  • 도로관계 4공단 민영화
  • 시장화 테스트 도입
  • 지정관리자 제도 도입
  • 파견근로자법 개정
  • 독립행정법인 및 정책금융기관의 통폐합
  • 구조개혁특별지역 추진

3. 2. 중앙에서 지방으로 (3대 개혁)


  • 국고 지출금 개혁
  • 지방교부세 교부금 개혁
  • 세원 이전을 포함한 지방세 배분 재검토


三位一体改革|산이잇타이 가이카쿠일본어(삼위일체 개혁)을 실시하여 “의무적 지출은 전액 이양, 기타 지출은 8할을 목표로 이양”이라는 목표 아래 약 3조 규모의 세원을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했다.

3. 3. 기타 개혁

고이즈미 내각은 다음과 같은 개혁들을 추가적으로 추진하였다.

  • 부실채권 처리 (금융재생 프로그램)
  • 혼합진료 허용 추진
  • 특별회계 개혁
  • 자유무역협정(FTA) 및 경제연합협정(EPA) 추진
  • 국회의원 연금 폐지 등


재정투융자 개혁이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된 특별회계의 폐지 및 재편도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21개였던 특별회계는 18개로 통폐합되었다.

정부계 금융기관 개편도 진행되었다. 주택금융공고는 독립행정법인 주택금융지원기구로 전환되었고, 국민생활금융공고, 중소기업금융공고, 농림어업금융공고는 통합되어 주식회사 일본정책금융공고로 개편되면서 비공무원화되었다.

우정민영화 실시에 따라 관영금융이었던 우편저금과 간이보험도 민영화되었으며, 잔여 부채는 독립행정법인 우편저금·간이생명보험관리기구가 인수하였다.

4. 개혁 추진 과정과 논란

일본은 1980년대 중반 이후 구조 개혁을 추진해 왔다.[6] 1985년 4월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 시기 일본전신전화공사와 일본전매공사가 민영화되었고, 1987년에는 일본국유철도가 민영화되었다.[6] 1995년 5월 무라야마 도미이치 내각 때는 행정개혁위원회 산하에 규제완화소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1996년 11월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는 6대 개혁(행정개혁·재정개혁·사회보장개혁·금융시스템개혁·경제구조개혁·교육개혁) 방침을 발표했다.[6] 하시모토 내각의 구조 개혁 노선은 이후 고이즈미 내각으로 계승되었다.[6]

2001년 5월 5일, 총리대신으로 취임한 고이즈미는 소신 표명 연설에서 "지금의 아픔을 견뎌내고 내일을 좋게 하려는 쌀 백 섬의 정신이야말로 개혁을 진행하려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라고 말하며 개혁 의지를 밝혔다.[7] 고이즈미는 "구조 개혁 없이 경기 회복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우정민영화나 기업 관련법 정비 등 일본 국내 공급 측면에서의 구조 개혁을 통한 확충과 안정이 일본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개혁 추진을 위해 다케나카 헤이조를 경제재정정책 담당 특명대신으로 기용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를 정책 결정의 사령탑으로 적극 활용하여 '뼈대 있는 방침'(경제재정 운영과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등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자민당 내 개혁 반대파 의원들이나 관공청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이즈미는 구조 개혁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후에는 개혁에 반대하는 관청들도 포함하여) 통틀어 '저항 세력'이라고 불렀다. 이는 고이즈미가 자신의 정책 추진을 위해 반대 세력에게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가 담긴 호칭이라는 비판이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 우정민영화에 반대한 가메이 시즈카 등이 있으며, 이들은 결국 자민당에서 제명되어 국민신당을 창당했다. 하지만 가메이는 오히려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개혁파"라고 반박하며 저항 세력이라는 용어를 역이용하기도 했다.

고이즈미의 개혁은 공공 부문의 역할을 축소하는 것을 골자로 했기에, 공공사업 감축으로 인한 지방 경제 쇠퇴와 고용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특히 야당, 노동조합, 의사회 등은 고이즈미의 정책이 구조 개혁이 아닌 구조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미일 안전보장 조약에 근거한 주일미군 주둔 비용(원활한 부담)은 여전히 방만하게 지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야당으로부터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8]

2003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는 당내에서 "고이즈미 끌어내리기" 시도가 있었지만, 고이즈미는 "총재 선거에서 발표한 내 방침은 국정 선거에서 자민당의 공약이 된다"고 호소하며 재선에 성공했다.[9] 2005년 여름에는 우정민영화를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소위 고이즈미 극장)를 실시하여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총선 직후 소집된 국회에서 일급건축사 등에 의한 구조계산서 위조 문제, 라이브도어 사건, 무라카미 펀드 사건,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주식 거래 의혹 등이 연이어 터져 나오면서 고이즈미 내각을 지지했던 국민 일부는 개혁에 대해 의구심을 품기 시작했고 지지율도 하락했다.

고이즈미는 2006년 9월 총리직에서 물러났으며, 후임자인 아베 신조는 취임 후 첫 회견에서 "구조 개혁을 가속화하고 보강하겠다"고 밝히며 정책 면에서 기본적으로 고이즈미 노선을 계승할 뜻을 내비쳤다.[10]

5. 개혁의 성과 및 영향

고이즈미 내각은 '구조 개혁 없이 경기 회복은 없다'는 기조 아래, 우정민영화를 비롯한 공급 측면의 구조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를 위해 다케나카 헤이조를 경제재정정책 담당 특명대신으로 기용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를 적극 활용했다.

정부는 2001년 '규제 완화 추진 3개년 계획'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규제 완화를 단행했으며[13], 주류 판매업 면허 기준 폐지[14], 알코올 전매법 폐지[15], 주식회사 농지 경영 허용, 회사법 개정(최저 자본금 1엔), 지정 관리자 제도 신설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재정투융자 개혁을 통해 특별회계를 통폐합하고 정부계 금융기관을 개편하여 비공무원화하는 등 공공 부문 개혁도 병행했다.

450px


450px


경제적으로는 버블 경제 붕괴 이후의 숙원이었던 부실채권 처리가 진전되고 기업 및 은행 실적이 회복되면서 경기가 일시적으로 상승했으며(제14순환), 구조개혁 특구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고용 창출 효과도 일부 나타났다. 취업빙하기로 치솟았던 실업률은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여성의 노동참가율이 크게 상승하는 등 고용 지표 개선이 이루어졌다.[16] 그러나 임시직 비율은 개혁 기간 동안 13% 후반대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16]

550px


고용자 중 임시직 비율[16]
연도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
비율(%)14.5212.7613.5113.7613.9214.0113.9713.8613.6213.7113.75



이러한 개혁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고이즈미 총리가 개혁 반대파를 '저항 세력'으로 규정한 것은 정치적 낙인찍기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공공 부문 축소는 지방 경제 쇠퇴와 고용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야당과 노동조합의 거센 반발을 샀다. 특히 주일미군 관련 예산은 개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2005년 총선 압승에도 불구하고, 이후 라이브도어 사건 등 여러 스캔들이 터지면서 개혁 동력이 약화되고 국민적 의구심이 커지기도 했다. 고이즈미 퇴임 후 총리직을 계승한 아베 신조는 기본적으로 고이즈미 노선을 이어받아 구조 개혁을 가속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5. 1. 긍정적 평가

일본 일반직 국가공무원 재직자·이직자 수 추이(단위: 명). 독법화·우정민영화로 감소


정부 직원의 비공무원화와 민영화를 추진하여 국가공무원 수를 절반 가까이 줄였다. 특수법인 등 개혁 기본법을 제정하여 특수법인 등 개혁 추진 본부를 설치하고, “'''신 독립행정법인의 직원은 원칙적으로 비국가공무원으로 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11]

2001년 1월 정부 직원 수 (단위: 만 명)[12]
행정기관 (제외: 자위관)특수법인
84.142.7



2003년 3월 정부 직원 수 (단위: 만 명)[12]
행정기관 80.7만 명정부계 기관민영화 완료
치안 관계국세사회보험·노동하천·도로·만구방위(제외: 자위관)입국관리·세관등기기타국유림우정 현업조폐·인쇄국립병원국립학교독법특수법인JR 동일본(7.5)
JR 도카이(2.2)
JR 서일본(3.9)
4.95.64.12.02.41.31.211.50.628.60.74.413.41.926.1
※기타는, 식량(9300), 통계(8200), 항공안전(6900), 기상(6100), 외교(5400), 특허(2500) 등



2006년 3월 정부 직원 수 (단위: 만 명)[12]
공무원 66.4만 명비공무원
행정기관 33.2만 명공무원 신분의 외곽단체
치안 관계국세사회보험·노동하천·도로·만구방위(제외: 자위관)등기기타국유림특정 독법우정공사비특정 독법국립대학법인특수법인
6.35.64.02.92.41.210.80.57.126.15.111.818.9
※2007년에 우정공사는 민영화되었다



또한, 의원연금을 폐지했다.

30조 엔을 넘는 의료비 급증에 제동을 걸기 위해 환자, 의료기관, 보험자 모두에게 부담을 주는 방향으로 의료 제도를 개정했다.


  • 환자의 본인 부담률을 30%로 인상했다.
  •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진료수가를 2.7% 인하했다.
  • 협회건강보험의 보험료율을 인상했다.

5. 2. 부정적 평가

고이즈미 총리는 구조 개혁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저항 세력'이라 불렀는데, 이는 자신의 정책 추진을 위해 반대 세력에게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우정민영화에 반대했던 가메이 시즈카는 이러한 '저항 세력'의 대표적 인물로 지목되었으며, 결국 자민당에서 제명되어 국민신당을 창당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가메이는 오히려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개혁파라며 반박하기 위해 '저항 세력'이라는 용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개혁의 주요 내용이 공공 부문의 역할을 축소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야당과 노동조합 등은 지방 경제의 쇠퇴와 고용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고이즈미의 정책이 '구조 개혁'이 아니라 실제로는 '구조 개악'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미일안전보장조약에 따른 주일미군 관련 재정 지출은 개혁의 대상에서 제외된 듯 방만하게 유지되었는데, 야당은 이를 두고 '성역 있는 구조 개혁'이라며 조롱하기도 했다.

2005년 여름, 우정민영화를 둘러싼 논란 속에 치러진 총선에서 고이즈미가 이끄는 자민당이 압승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총선 직후 여러 사건들이 터져 나오면서 개혁 동력은 약화되었다. 1급 건축사들의 구조계산서 위조 문제, 라이브도어 사건, 무라카미 펀드 사건,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부적절한 주식 거래 의혹 등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고이즈미를 지지했던 국민의 일부는 개혁의 방향과 성과에 대해 의구심을 품기 시작했고 지지율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이즈미 개혁이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카츠마 카즈요는 부실 채권 처리나 공공 사업 감축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사회 보장을 축소한 것은 무리한 정책이었으며 이로 인해 의료·간호·교육·워킹맘 문제 등이 오히려 악화되었다고 지적했다.[47] 경제 평론가 모리나가 타쿠로는 상속세 감세 조치가 부의 대물림을 용이하게 만들어, 개혁이 내세웠던 기회균등의 원칙과 모순된다고 비판했다.[48]

6. 학계의 평가

구조개혁은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 개혁을 의미하며, 공기업 민영화, 규제 완화, 무역 제한 철폐, 경쟁 촉진 정책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생산 자원의 배분을 최적화하고 잠재 GDP 또는 잠재 성장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4] 경제학자 다케나카 헤이조는 구조개혁의 본질이 공급 측면 강화에 있다고 설명했으며,[5]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구조개혁을 다나카 가쿠에이가 구축한 정치 및 이익 구조를 개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학자 이토 슈는 '구조개혁'이라는 용어의 연원을 짚으며, 고이즈미 개혁의 정책들이 시장주의와 작은 정부를 지향하지만 부실채권 처리 문제에서는 국가 개입을 필요로 해 사상적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17][18]

폴 크루그먼은 2001년 당시 일본 경제의 문제는 수요 부족이며, 고이즈미 개혁이 부실채권 처리와 비효율적 공공사업 감축에 집중함으로써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19] 토루 시게토 역시 구조개혁 자체가 목적이 되었고, 잠재 성장률 제고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했으며,[20] 다케모리 슌페이는 고이즈미 정권의 목적이 불분명했다고 지적했다.[21]

나카타니 이와오는 고이즈미 구조개혁이 양극화, 지방 경제 침체, 개인주의 심화 등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했으며, 고용 개혁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했다.[22] 반면, 다케나카 헤이조는 고이즈미 내각이 '잃어버린 10년'을 끝냈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명을 완수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3]

사와 타카미츠는 고이즈미 개혁의 내용이 부실채권 처리와 재정 개혁에 그쳐 본래적 의미의 '시장주의 개혁'과는 거리가 있다고 보았다.[24] 노구치 아키라, 타나카 히데오미, 이와타 노리오 등 다수의 경제학자들은 구조개혁이 본질적으로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하는 미시적 정책이며, 경기 부양을 위한 거시 경제 정책(재정·금융 정책)과는 구분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25][26][27][28]
부실채권 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이것만으로 경기가 회복되지는 않으며[33][34] 디플레이션 해소 없이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36][37][38] 오히려 정부의 강압적인 부실채권 처리가 자산 가격 하락을 통해 경제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35] 경기 회복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부실채권 처리는 디플레이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39] 나카노 고지는 고이즈미 개혁 시기 부실채권 감소는 세계 경제 호황에 따른 수출 주도 경기 회복의 결과일 뿐이라고 분석했다.[40]
불평등 문제와 관련하여, 구조개혁이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주장에 대해 하라다 야스시, 타나카 히데오미, 야시로 나오히로, 오타케 후미오, 이이다 야스유키 등은 고령화 영향, 실제 고용 지표 개선, 파견 규제 완화의 제한적 영향, 디플레이션의 근본 원인 등을 근거로 반박하는 견해를 제시했다.[41][42][43][44][45][46] 반면, 카츠마 카즈요는 디플레이션 하에서의 사회 보장 감축이 여러 사회 문제를 악화시켰다고 비판했고,[47] 모리나가 타쿠로는 상속세 감세가 기회균등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48]
경제 성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구조 개혁 없이는 경제 성장 없다"는 슬로건이 잠재 성장률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57] 기카와 히로시는 공급 측 개혁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보았으나,[49] 정부가 잠재 성장률을 직접 통제하려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51][52] 이와타 노리오는 구조 개혁에 따른 일시적 '고통'을 언급하며, 디플레이션 대책과 병행 가능한 수요 창출형 구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3][54]

많은 경제학자들은 구조개혁을 경기 대책으로 잘못 배분하는 정책 배분의 오류를 경고했다.[57][59] 디플레이션을 방치한 채 구조 개혁만 추진하면 효과가 제한적일 뿐 아니라,[58] 오히려 디플레이션을 심화시키는 합성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60][61] 모리나가 타쿠로와 엔죠 소이치는 고이즈미 개혁이 결과적으로 경제를 위축시키고 디플레이션을 구조화했다고 비판했다.[62][63][64]

고이즈미 정권 시기의 경제 성장에 대해, 다케모리 슌페이는 본질적으로 '수출 주도 성장'이었다고 평가했다.[65] 하라다 야스시는 긴축 재정 속 성장은 양적 완화 정책 덕분이라고 분석했고,[66] 다카하시 요이치는 세수의 자동 안정 장치 작동을 언급했다.[67] 타나카 히데오미는 재정 긴축 회피와 환율 개입이 경기 회복에 기여했지만, 본질적으로는 외수 의존적인 '가짜 경기 회복'이었다고 평가 절하했다.[68][69][70]

마지막으로, 구조 개혁이 새로운 권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타나카 히데오미는 구조 개혁 과정에서 특정 집단에 이익이 돌아갈 위험성을 지적했고,[71] 오타케 후미오는 고이즈미 정권의 정책이 시장주의와 재계 이익 유도가 혼합된 형태였으며, '관에서 민'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대기업 관계자가 이익을 얻었다면 이는 시장주의와 상반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72]

6. 1. 우정 민영화에 대한 평가

경제학자 다카하시 요이치(高橋洋一)는 "우정사업을 민영화하지 않고 유지할 경우, 연간 1조의 세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왔다"고 지적했다.[29]

메이지 대학(明治大学) 국제종합연구소 펠로우 오카베 나오아키(岡部直明)는 "고이즈미 정권의 우정사업 민영화는 전쟁 전후 체제의 탈피이며, '금융사회주의'를 끝맺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 고이즈미 개혁의 유일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30] 또한 오카베는 "우정개혁에 매달리는 바람에 경제구조 전체의 개혁이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했다"고 지적했다.[31]

경제학자 조지프 E. 스티글리츠(Joseph E. Stiglitz)는 "우정사업 민영화를 큰 쟁점으로 삼은 결과, 더 근본적인 문제에서 눈을 돌리게 되었다"고 지적했다.[32]

참조

[1] 웹사이트 新世紀維新の構造改革をめざして(小泉内閣:タウンミーティング) https://www8.cao.go.[...]
[2] 회의록 衆議院本会議 所信表明演説 https://kokkai.ndl.g[...] 2001-05-07
[3] 웹사이트 クローズアップ あなたの生活こうなります https://web.archive.[...] 2009-09-03
[4]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2001
[5] 서적 あしたの経済学 幻冬舎 2003
[6]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7]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 2003
[8] 회의록 外務委員会 https://www.shugiin.[...] 2006-03-08
[9] 뉴스 自民の約束、実行は 検証・マニフェスト https://www.asahi.co[...] 2007-07-20
[10] 웹사이트 安倍内閣総理大臣記者会見 http://www.kantei.go[...] 2006-09-26
[11] 보고서 特殊法人等の廃止・民営化等及び独立行政法人の設立等に当たっての基本方針について http://www.gyoukaku.[...] 特殊法人等改革推進本部 2002-10-18
[12] 보고서 独立行政法人は民営化か廃止すべき http://www.nikkeibp.[...] 2006-02-20
[13] 보고서 規制改革推進3か年計画 https://www8.cao.go.[...] 内閣府 行政改革推進本部 規制改革委員会 2012-10-28
[14] 뉴스 酒類小売免許の規制緩和---酒の仕入れ先見直しのきっかけに http://www.nikkeibp.[...] 2003-08-26
[15] 법률 アルコールノ製造、輸入、収納及売渡ノ権能ハ国ニ専属ス
[16] 보고서 OECD Labour Force Statistics 2020 OECD 2020
[17] 서적 日本の経済-歴史・現状・論点 中央公論新社 2007
[18] 서적 日本の経済-歴史・現状・論点 中央公論新社 2007
[19] 웹사이트 小泉元首相の「脱原発」論の不毛〔1〕 http://shuchi.php.co[...] 2013-11-19
[20]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06
[21]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06
[22] 웹사이트 資本主義はなぜ自壊したのか:「日本」再生への提言 http://www.hitachi-h[...]
[23] 서적 竹中先生、経済ってなんですか? ナレッジフォア 2008
[24]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1
[25]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2001
[26]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
[27]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
[28]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29] 서적 高橋教授の経済超入門 アスペクト 2011
[30] 서적 ベーシック日本経済入門 日本経済新聞社 2009
[31] 서적 ベーシック日本経済入門 日本経済新聞社 2009
[32] 서적 不謹慎な経済学 講談社 2008
[33] 서적 あしたの経済学 幻冬舎 2003
[34]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2001
[35]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
[36]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
[37]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38]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39]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40]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
[41] 웹사이트 誤った認識で3本の矢を狂わせるな https://wedge.ismedi[...] 2014-03-03
[42]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43] 웹사이트 いまこそ小泉構造改革に学ぶとき http://shuchi.php.co[...] 2012-09-18
[44]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45] 서적 世界一シンプルな経済入門 経済は損得で理解しろ! 日頃の疑問からデフレまで エンターブレイン
[46] 서적 脱貧困の経済学 筑摩書房
[47] 서적 自分をデフレ化しない方法 文藝春秋
[48]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49] 서적 日本の経済-歴史・現状・論点 中央公論新社
[50]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51]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
[52]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53]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54]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55]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56]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57] 서적 日本型サラリーマンは復活する 日本放送出版協会
[58] 서적 震災恐慌!〜経済無策で恐慌がくる! 宝島社
[59]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60]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61]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62]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
[63] 서적 原発に頼らなくても日本は成長できる ダイヤモンド社
[64] 서적 原発に頼らなくても日本は成長できる ダイヤモンド社
[65] 웹사이트 [アベノミクス]一票の格差是正こそ最強の3本目の矢〔2〕 http://shuchi.php.co[...] 2014-03-20
[66] 웹사이트 公共事業が持つ景気抑制効果 第2の矢の再考を https://wedge.ismedi[...] 2014-04-02
[67]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68]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69]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70]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71]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
[72]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
[73] 웹사이트 신세기 유신의 구조 개혁을 목표로 (고이즈미 내각: 타운 미팅) https://www8.cao.go.[...] 2012-01-25
[74] 콘퍼런스 衆議院本会議 http://kokkai.ndl.go[...] 2001-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