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5년 구파발역~독립문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되어, 현재는 대화역에서 오금역까지 운행한다. 일산선과 직결 운행하며, 지축역과 수서역에 차량기지가 있다. 여러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며, 서울의 주요 관광 명소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과 4호선 폐차 관리, 3호선 전동차 일부를 관리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차량기지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8대를 관리하며,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이어져 입·출고 검수관리를 수행한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이 운영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6개 노선으로 확장되어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며, 철도 교통 부활 노력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경전철과 급행 지하철 시스템을 포함하고 승객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교통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나폴리 지하철
나폴리 지하철은 이탈리아 최초의 도시 철도 노선인 2호선을 전신으로 하여 1993년 개통된 1호선을 포함, 현재 1호선, 6호선, 11호선이 운영 중이며, 유물 전시와 "예술의 역"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 공간으로 변화된 역들이 특징적인 이탈리아 나폴리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수도권 전철 3호선 |
로마자 표기 | 수도권 전철 3호선 |
다른 이름 | 서울 지하철 3호선 |
노선 색상 | '#fe5b10' |
노선 종류 | 급행철도 / 도시 철도 / 광역철도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1985년 7월 12일 |
노선 길이 | 57.4 km |
역 개수 | 34개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
최고 속도 | 80 km/h |
노선 기점 | 대화역 |
노선 종점 | 오금역 |
차량기지 | 지축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 |
노선도 | |
![]() | |
![]() | |
운영 구간 | |
운영 구간 | 일산선, 서울교통공사 3호선 |
차량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추가 정보 | |
통계 |
2. 역사
1980년 수도권 전철 3호선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985년에 구파발역~양재역 구간이 4호선과 함께 개통되었다.[1][2] 이후 1990년 지축역이 개통되었고,[5] 1993년에는 양재역~수서역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6]
1996년에는 한국철도공사 일산선이 개통되면서 3호선 열차가 고양시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지축역과 수서역 근처에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차량기지가 있다.
2. 1. 주요 개통 및 연장
- 1985년 7월 12일: 구파발역~독립문역 구간 개통[1]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역~양재역 구간 개통[2]
- 1990년 7월 13일: 지축역 개통[5]
- 1993년 10월 30일: 양재역~수서역 구간 개통[6]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서울 지하철 3호선, 일산선 직결 운행 개시
- 2010년 2월 18일: 수서역~오금역 구간 개통
-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통
2. 2. 역명 변경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이 경복궁역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중앙청이라는 명칭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과거 중앙청이라는 명칭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점을 지적하며 역명 변경을 추진하였다. 1990년 4월 1일에는 화물터미널역이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되었다.2. 3. 환승역 개통
1994년 9월 1일 분당선 개통과 함께 수서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1996년 12월 30일에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면서 종로3가역에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고속터미널역에서,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연신내역과 불광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1년 3월 9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약수역에서도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3년 9월 3일 분당선 도곡역에서,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대곡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으로 고속터미널역에서 다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개통으로 양재역에서,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수서역에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5월 28일 신분당선 신사역에서, 2023년 7월 1일 서해선 대곡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으로 수서역에서 다시 환승이 가능해졌다.
3. 운영
- -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구간을 나누어 운영하며, 지축차량사업소와 수서차량사업소를 차량기지로 사용한다. 열차는 대부분 대화, 오금, 구파발행으로 운행되지만, 삼송, 수서, 독립문, 약수, 도곡행도 운행된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상대 구간을 운행하기도 한다.[6]
3. 1. 운영 주체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구간을 나누어 운영한다. 서울교통공사는 구파발역~오금역 구간을, 한국철도공사는 지축역~대화역 (일산선) 구간을 담당한다.[1]3. 2. 차량기지
수도권 전철 3호선에는 지축차량사업소와 수서차량사업소 두 곳의 차량기지가 있다.- 지축차량사업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있으며, 지축역 근처에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의 모든 전동차에 대한 중검수 및 경검수를 담당한다.[1]
- 수서차량사업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으며, 수서역 근처에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전동차의 경검수만을 담당한다.[2]
3. 3. 열차 운행
대부분의 전동차는 대화행, 오금행, 구파발행으로 운행되며, 열차 입출고나 배차 간격에 따라 삼송행과 수서행도 운행된다. 막차로는 독립문행, 약수행, 도곡행 등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과 달리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역 ↔ 삼송역 구간을 운행하기도 하며,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역 ↔ 오금역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6]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원래 대화행보다 구파발행을 3배 더 많이 운행했으나,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덕양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손범규가 고양시 주민들의 일산선 및 3호선 이용 불편 문제를 제기하여 구파발역 종착 열차 상당수가 대화역 종착으로 변경되었다. 운행 계획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수송수요를 기준으로 일산선의 수송수요, 한국철도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간의 공동 협의를 통해 수립된다.4. 차량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있다.
4. 1. 현재 운행 중인 차량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세대 - 2009년, 2세대 - 2022년)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2세대 - 2023년, 3세대 - 2023년)
4. 2. 과거 운행했던 차량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GEC 트랙션(GEC Traction) 제어장치 탑재 전동차 (1989년~2022년, 일부는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전출)
- * GEC 트랙션(GEC Traction) 제어장치 탑재 전동차 (개조차) (2010년~2022년)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1세대 (1995년~2024년)
5. 역 목록
(Government Complex-Seoul)
(政府서울廳舍)
5호선
(Shinhan Card)
(Hyundai Department Store)
9호선
(Court & Public Prosecutor’s Office)
(Seoul Arts Center)
(SH Corporation)
S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