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복궁역은 1985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했으며, 개통 당시에는 중앙청역으로, 1987년 경복궁역으로 변경되었다.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7개의 출구가 있다. 역 주변에는 경복궁,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각국 대사관, 교육 시설, 문화 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혜화역
혜화역은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인근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2018년 불법촬영 규탄 시위, 2023년 엘리베이터 훼손 논란이 있었다.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경복궁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경복궁(정부서울청사) |
로마자 표기 | Gyeongbokgung (Jeongbu Seoul Cheongsa) |
한자 표기 | 景福宮 (政府서울廳舍) |
역 번호 | 327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지하 130 (적선동 81-1)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
영업 거리 | 대화역 기점 30.4 km |
전 역 | 326 독립문역 |
전 역 거리 | 1.6 km |
후 역 | 328 안국역 |
후 역 거리 | 1.1 km |
일일 승객 수 (2012년) | 46,531명 (3호선) |
AFC 코드 | 0317 |
사진 | |
![]() | |
![]() | |
![]() | |
![]() |
2. 역사
경복궁역은 김수근이 설계하여 1985년에 완공되었다. 역사 내에는 서울교통공사 미술관이 있으며, 1985년 우수 건축물로 선정되어 한국건축가협회상을 받았다.
2. 1. 연혁
- 1983년 9월 13일 : '''중앙청역'''으로 역명 결정[7]
-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8]
- 1987년 5월 1일 : '''경복궁역'''으로 역명 변경[9][10]
- 2000년 3월 : 부역명 '''정부중앙청사''' 부여
- 2013년 1월 3일 : 부역명을 '''정부서울청사'''로 변경[11]
3. 역 구조
경복궁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은 지하 1층과 지하 2층에,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출구는 7개가 있으며, 5번 출구는 경복궁과 연결되어 있다. 지하 2층에는 개찰구가 독립문 방면(서쪽), 중앙, 안국 방면(동쪽)에 각각 있으며, 중앙 개찰구에만 승강장 연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서쪽 개찰구 안에 있고, 지하 1층에는 미술관이 있다.
역 구내는 1985년 우수 건축물로 선정되어 한국 건축가 협회상을 수상했다.[1]
3. 1. 승강장
경복궁역은 섬식 승강장 구조로,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2. 출구 정보
4. 역 주변
경복궁역 주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역사적, 문화적, 행정적으로 중요한 시설들이 밀집해 있다.
역 주변에는 사직동주민센터, 파출소, 청운효자동행정복지센터, 종로구보건소, 통의동우체국,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정부정보화교육센터, 종로문화체육센터 등 다양한 공공기관 및 편의시설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연합뉴스, 연합뉴스TV, 교보문고 광화문점, 다이소 경복궁역점, 세종로성당 등도 역 근처에 위치한다.
주한 미국 대사관, 주한 일본 대사관,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 등 여러 국가의 대사관이 경복궁역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4. 1. 주요 시설
- 경기상업고등학교
- 경복고등학교
- 경복궁
- 광화문
-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서울농학교
- 국립서울맹학교
- 동십자각
- 배화여자고등학교
- 배화여자대학교
- 배화여자중학교
- 사직공원
- 서울특별시경찰청
- 세종문화회관
- 통인시장
- 정부서울청사
- * 여성가족부
- * 외교부
- * 통일부
-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 금융위원회
- 종로도서관
- 주한 교황청 대사관
- 청와대
- 한국생산성본부
- 문화체육관광부
4. 2. 교육 기관
4. 3. 기타 시설
경복궁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경기상업고등학교
- 경복고등학교
- 경복궁
- 광화문
- 근정전
- 다이소 경복궁역점
- 교보문고 광화문점
- 구세군 회관
-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서울농학교
- 국립서울맹학교
- 도렴동
- 동십자각
- 주한 미국 대사관
- 주한 일본 대사관
-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
- 배화여자고등학교
- 배화여자대학교
- 배화여자중학교
- 사직공원
- 사직동주민센터, 파출소
- 상명대학교
- 서울특별시경찰청
-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 서울특별시교원연수원
- 세종로
- 세종로성당
- 세종문화회관
- 연합뉴스
- 통인시장
- 연합뉴스TV
- 옥인시장
- 정부정보화교육센터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정부서울청사
- * 여성가족부
- * 외교부
- * 통일부
-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 금융위원회
- 종로도서관
- 종로구보건소
- 종로문화체육센터
- 주한 교황청 대사관
- 청와대
- 청운효자동행정복지센터
- 통의동우체국
- 한국생산성본부
- 광화문역
- 문화체육관광부
출구별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3호선 | 승차 | 18,965 | 19,672 | 19,843 | 19,735 | 20,768 | 20,049 | 19,690 | 20,121 | 20,293 | 21,267 | 21,466 | 21,819 | 22,616 | 23,281 | 24,639 | 24,641 | 25,813 | 25,109 | 25,376 | [12],[6] |
하차 | 20,320 | 21,169 | 21,084 | 21,033 | 21,879 | 21,061 | 20,805 | 21,180 | 21,393 | 22,518 | 22,828 | 23,381 | 24,101 | 24,684 | 26,274 | 26,228 | 27,035 | 26,107 | 25,898 | ||
승하차 | 39,285 | 40,841 | 40,927 | 40,769 | 42,646 | 41,110 | 40,495 | 41,302 | 41,686 | 43,786 | 44,294 | 45,200 | 46,717 | 47,965 | 50,914 | 50,869 | 52,848 | 51,216 | 51,274 |
6. 관광
역 안에는 다양한 왕조 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고, 벽은 관광객들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4]
2013년 1월, 이 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와 번체) 세 가지 언어로 된 무료 안내 책자를 발행했다. 이 책자에는 8개의 관광 코스와 숙박 시설, 음식점, 쇼핑센터에 대한 추천 정보가 담겨 있다. 관광 코스는 한국 전통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로3가역에서 안국역과 이 역을 잇는 3호선을 따라 인사동의 골동품 상점과 미술관을 소개하는 코스도 그 중 하나이다.[5]
경복궁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관광 명소 및 시설이 있다.
7.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3호선 | ||
---|---|---|
독립문 (326) | 안국 (328) |
참조
[1]
웹사이트
경복궁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1-20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3]
웹사이트
Gyeongbokgug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7-01-20
[4]
뉴스
Seoul's 6 coolest subway stops
http://travel.cnn.co[...]
2013-02-26
[5]
뉴스
Free guide for Seoul's subway riders
http://koreajoongang[...]
2013-01-27
[6]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7]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8]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1985-10-18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136호
http://event.seoul.g[...]
1987-03-02
[10]
뉴스
지하철 3호선역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
http://imnews.imbc.c[...]
1987-04-30
[11]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2-369호
http://event.seoul.g[...]
2013-01-03
[1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꺾이고·부러지고…과잉 진압에 탄핵 촉구 시민들 ‘후유증’
“탄핵해도 일상으로 못 돌아와”···‘집회 통제 후유증’ 겪는 사람들
[포토] 세월호 기억들이 모였다, 진실도 비처럼 내릴 것이다
경복궁역 인근 3개교·정독도서관도 탄핵 선고일 휴업·휴관
“윤석열 파면” 시민 함성 속…도심 한복판 트랙터도 농민 품으로
도심 진입 트랙터 견인…탄핵 찬반집회 가열
트랙터 대치, 판사 조리돌림…늦어지는 탄핵 선고에 커지는 갈등
트랙터 1대 둘러싼 서울 도심 대치 이어져…시민들 “경찰 불법 탈취”
서울 도심 진입한 전농 트랙터 1대…경찰 견인 시도에 대치
윤석열 ‘주먹 불끈’ 보고 비상계엄 이후 처음 집회 현장 찾은 시민들···“사법부 신뢰 금가”
“다시 돌아간 듯 참담”…윤석열 석방에 또다시 밤샘 집회 돌입한 시민들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일에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폐쇄
윤 탄핵심판 선고 당일,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폐쇄
윤석열 탄핵 선고일 지하철 안국역 폐쇄…8일 7개역 무정차도 고려
[포토뉴스] 106년 전 하나 되어 외치던 목소리는 어디 가고…
3·1절 서울 도심 탄핵 찬반집회…교통 혼잡 예상
99명 더 많이, 무정차도…탄핵심판 선고일까지 비상 대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