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군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군포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1989년 시흥군 군포읍에서 시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과천현 남면에 속했으며, 이후 시흥군 남면을 거쳐 1979년 군포읍으로 승격되었다.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본 신도시 개발을 통해 인구가 급증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4호선, 고속도로를 통해 교통이 편리하다. 군포시는 "책 읽는 도시"를 지향하며, 수리산, 반월호수 등 자연환경과 철쭉동산, 벚꽃길 등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김연아, 지수 등 유명 인물들이 군포시 출신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행정 구역 - 산본동
    산본동은 경기도 군포시의 법정동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가며 금정역과 산본역이 위치하고, 이기조 선생 묘, 전주이씨 안양군 묘, 군포시립어린이도서관, 롯데피트인 산본점 등의 시설이 있다.
  • 군포시의 행정 구역 - 금정동
    금정동은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한 동으로, 큰 샘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금정역을 통해 철도 교통 이용이 가능하고 군포시청 등 공공기관과 편의시설이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89년 설치 - 오산시
    오산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1989년 시로 승격되었고, 오산천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교통의 요지이자 한국 전쟁 당시 오산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약 23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1989년 설치 - 시흥시
    시흥시는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인천광역시, 부천시, 광명시, 안양시, 안산시와 접하고 서해와 면하는 도시로, 198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시화국가산업단지와 택지 개발을 통해 인구가 증가하고 시흥갯골생태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군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군포 사진 모음
시계 방향으로 위쪽부터: 수리산역 근처 언덕의 군포시 로고, 금정동의 벚꽃, 반월 저수지, 부곡동 아파트 단지, 철쭉동산, 산본동 시내
군포시 휘장
군포시 휘장
슬로건나의 군포시
별칭행운의 페니 샵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수도권)
하위 행정 구역11개 동
시장하은호(국민의힘)
면적36.38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257,498명
인구 밀도7874.79명/km²
웹사이트gunpo21.net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철쭉
시조까치
지리

2. 역사

군포시의 주요 행정 구역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군포시 행정 구역 변천사'''
날짜내용비고 (행정동 수, 법정동 수)
조선 시대 | 과천현 남면
1895년 | 과천군 남면
1914년 4월 1일 | 시흥군 남면
1979년 5월 1일 | 시흥군 남면 → 군포읍 승격
1989년 1월 1일 | 시흥군 군포읍 → 군포시 승격[41][42]6행정동, 5법정동 (군포1동, 군포2동, 당정동, 산본1동, 산본2동, 금정동)
1992년 5월 1일 | 금정동에서 재궁동 분동[43]7행정동
1993년 1월 14일 | 재궁동에서 오금동 분동[44]8행정동
1993년 6월 8일 | 산본2동에서 수리동 분동[45]9행정동
1994년 7월 19일 | 산본2동에서 궁내동 분동[46]10행정동
1994년 12월 26일 | 화성군 반월면 일부 편입, 대야동 설치[47][48]
안양시 동안구 일부 편입
11행정동, 9법정동
1995년 2월 28일 | 산본2동에서 광정동 분동[49]12행정동
1998년 10월 1일 | 군포1동, 당정동군포1동으로 합동[50]11행정동
2015년 4월 1일 | 군포1동, 군포2동, 대야동 책임읍면동제 도입 (군포1·2·대야 행정센터 설치)11행정동
2021년 7월 1일 | 대야동, 군포2동 일부를 분리하여 송부동 설치12행정동


2. 1. 고대 ~ 조선 시대

삼국 시대 현재의 군포 지역은 고구려에 속했으며, 475년(장수왕 63년)에는 율목군(栗木郡)이었다.[4] 757년(경덕왕 16년) 통일 신라 시대에는 율진군(栗津郡)으로 개칭되었다.[4] 940년(태조 23년) 고려 시대에는 과주군(果州郡)으로 다시 바뀌었다.[4] 1413년(태종 13년) 조선 시대에는 과천현(果川縣)으로 개편되었고, 군포 지역은 과천현 '''남면'''에 속하게 되었다.[4]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과천군 남면이 되었다.[4]

2. 2.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 초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기존 과천군 남면 지역이 시흥군 남면으로 편입되었다.[4] 일제강점기대한민국 초기 수십 년 동안 남면이라는 행정 구역 명칭과 관할 구역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4] 이후 인구 증가와 지역 발전에 따라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시흥군 남면이 '''군포읍'''으로 승격하였다.[4]

한편, 1905년에는 대한민국 전역을 잇는 경부선의 철도역인 군포역이 처음 개통되어 교통의 요지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2. 3. 군포시 승격 이후

1989년 1월 1일, 시흥군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하였다.[41][42] 이는 서울의 급속한 산업 성장과 도시화에 따라 수도권안양, 성남, 부천, 고양 등과 함께 5개의 신도시를 건설하는 국가 정책의 일환이었다.[5] 행정 수요 증가에 따른 효율적인 지역 관리를 위해 시흥군이 해체되고 군포읍이 시로 승격된 것이다.[4] 시 승격 당시 군포시는 6개의 행정동(군포1동, 군포2동, 당정동, 산본1동, 산본2동, 금정동)과 5개의 법정동을 관할했다.[1] 당시 면적은 20.7km2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작은 시였다.[5]

여름밤의 산본신도시 분수


1989년 2월, 군포시는 산본동, 금정동, 당동 전체를 주거 예정 지구로 지정하고 대규모 주택 단지 조성을 시작했다.[5] 산본신도시 개발은 1995년에 완료되었으며, 이 지역은 군포의 중심지로 성장했다.[5] 산본의 설계는 인사동 등을 설계한 유명 건축가 김진애가 맡았는데, 그는 ''타임''지가 선정한 21세기 100대 리더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했다.[6][7] 1992년 12월에는 군포시청이 당동에서 금정동으로 이전했다.[1]

시 승격 이후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조정되었다.

교통망도 확충되었다. 시 승격 직전인 1988년 금정역이 개통되면서 서울 지하철 1호선4호선이 군포까지 연장되었다. 군포역과 금정역은 1호선 역으로, 금정역은 4호선 환승역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1992년에는 수도권 전철 4호선산본역이 개통되었고,[1] 1994년 반월면 일부 편입으로 대야미역이 군포시 관할이 되었다. 2003년에는 대야미와 산본 사이에 수리산역이, 2010년에는 군포역과 의왕역 사이에 당정역이 1호선과 경부선 역으로 개통되어 시내 전철역은 총 6개가 되었다.

2000년에는 새로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시의 로마자 표기가 'Kunp'o'에서 'Gunpo'로 공식 변경되었다.[8] 2015년 4월 1일에는 군포1동, 군포2동, 대야동을 관할로 책임읍면동제가 도입되어, 군포1동 주민센터에 군포1·2·대야 행정센터가 설치되어 일부 시청 업무를 처리하게 되었다.

2. 4. 지명 유래

'''군포'''(軍浦)라는 이름은 안양시 동안구 호계3동에 있었던 시장인 '''군포장'''(軍浦場)에서 유래하였다. 이 시장은 원래 구군포사거리와 안양천 사이에 있었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군포역 자리에 군포장역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1925년 을축년 대홍수안양천이 범람하면서 군포장은 군포장역 앞(현재의 군포 역전시장)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고, 이로 인해 원래 군포장이 있던 곳은 구군포(舊軍浦)로 불리게 되었다. 1938년에는 군포장역의 이름이 군포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79년시흥군 남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군포역'''에서 이름을 따와 행정구역명이 군포읍으로 정해졌다.

군포장과 함께 과천 지역의 옛 지도에서는 군포천(軍浦川)이라는 이름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안양천 상류를 일컫는 옛 이름으로 여겨진다. 군포의 어원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하나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과 싸우기 위해 모인 관군을 배불리 먹인 곳이라는 의미에서 군포(軍飽)라고 불리던 것이 군포(軍浦)로 변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현재 호계동에 군웅제를 지내던 군웅산이 있었는데, 이 산 아래에 있는 물가 마을이라는 뜻에서 '군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다. 군포의 한자 표기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했는데, 정조 시대의 ‘원행정례 도로교량’ 기록에는 軍布와 軍堡로, 고종 시대의 대동지지에는 軍鋪로 표기된 예가 있다.[51][52]

3. 지리

수리산에서 바라본 군포시 전경


대야동 중심부의 도시와 농촌 모습


대한민국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수도권의 서울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의왕시, 서쪽은 시흥시, 남쪽은 안산시, 북쪽은 안양시와 접해있다.

지리적으로는 북동쪽에 모락산, 북서쪽에 수리산, 동쪽에 오봉산 등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을 이룬다. 산본천이 시의 북동쪽으로 흐르다가 금정동에서 안양천과 합류하여 북쪽으로 흘러간다.

총 면적은 36.38km2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0.36%를 차지한다. 2004년 1월 1일 기준으로 시 면적의 17.8%는 주거 지역, 1.8%는 상업 지역, 7.2%는 공업 지역이었으며, 녹지 비율은 73.2%에 달했다.[9]

군포시는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 산본동, 금정동, 당동, 당정동: 시의 북쪽에 위치하며 고도로 도시화된 주거, 상업, 공업 지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이 이 지역을 통과한다.
  • 부곡동, 대야동, 도마교동: 시의 남쪽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주로 농촌 지역이었으나, 부곡동은 최근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고 도마교동 역시 개발 사업이 계획되어 있다. 대야동에는 대야미역을 중심으로 한 작은 도시 지역도 형성되어 있다.
  • 둔대동, 속달동: 시의 서쪽에 위치하며 수리산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는 산지 지역이다. 계곡 지역에는 농경지가 분포한다. 수리산은 산본동 서쪽까지 이어져 있다.


행정 운영을 위해 11개의 행정동으로 나누기도 한다.[1]

  • 법정동 산본동은 산본1동, 산본2동, 광정동, 궁내동, 수리동으로 나뉜다.
  • 법정동 금정동은 금정동, 오금동, 재궁동으로 나뉜다.
  • 법정동 당동, 당정동, 부곡동은 군포1동과 군포2동으로 묶인다.
  • 법정동 대야동, 둔대동, 속달동, 도마교동은 행정동 대야동 하나로 통합된다.


군포시는 동경 126도, 북위 37도에 위치하며, 황해와 가까워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연평균 강수량은 1284mm이고, 1월 평균 기온은 -3.2°C, 8월 평균 기온은 26°C이다.[5]

4. 행정 구역

군포시의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아래 표와 같다.


4. 1. 행정동별 인구 및 면적 (2021년 11월 기준)

군포시의 행정 구역은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11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군포시의 인구는 269,086명, 113,188 가구이며, 군포2동에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53] 면적은 경기도의 0.36%에 해당하는 36.42km2이다.[54]

군포시 행정동 지도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명)세대
군포1동軍浦1洞3.7033,61315,781
군포2동軍浦2洞2.9543,85016,513
산본1동山本1洞0.7515,7418,532
산본2동山本2洞1.1726,7679,979
금정동衿井洞1.2617,2418,545
재궁동齋宮洞0.8718,6128,472
오금동五禁洞1.0721,4588,699
수리동修理洞2.7316,2957,170
궁내동宮內洞1.6820,6387,019
대야동大夜洞12.89,4323,830
광정동光亭洞1.9024,85010,470
송부동松富洞5.5420,5898,178
군포시軍浦市36.42269,086113,188


  • 인구·세대는 2021년 11월 30일 주민등록 기준

4. 2. 인구

군포시는 2009년 기준으로 0~14세 인구가 18.5%, 65세 이상 인구가 7.5%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4%로 전국 평균 72.8%보다 비율이 높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24.9%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으며, 노년 인구 부양비는 10.1%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성 인구 100명당 남성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9.8로 여성이 다소 많다.[55] 산본동, 금정동, 당동 일원이 1기 신도시 중 하나인 산본신도시로 개발되면서 인구가 급속히 늘었다. 하지만 현재는 대야미역 주변을 제외하면 개발할 유휴지가 부족하여 신규 건축·토목 사업이 지체되었고, 이로 인해 인구가 27만 명 선에서 정체 중이다.

  • '''군포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56]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5,866명시흥군 남면
1955년5,246명
1960년6,073명
1966년7,458명
1970년11,325명
1975년23,422명
1980년40,253명시흥군 군포읍
1985년52,664명
1990년100,059명군포시
1995년235,233명
2000년263,760명
2005년270,042명
2010년278,083명
2015년285,721명
2019년275,154명


5. 행정과 정치

군포시청


군포시의 교육 행정은 군포의왕교육지원청에서 담당하며, 이는 의왕시와 통합하여 관할하고 있다.[1] 치안은 군포경찰서가, 소방 업무는 군포소방서가 각각 책임지고 있다.[1] 또한, 산본동에는 군포환경관리소라는 이름의 쓰레기 소각장이 운영되고 있다.[1]

6. 군포시 상징



군포시의 워드마크는 영문 명칭 'GUNPO'를 활용한 워드마크(Word Mark, 글자를 이용한 마크)형 심볼이다. 특히 알파벳 'P'는 나무 또는 나뭇잎 모양으로 형상화되었으며, 이는 도시를 상징하는 푸른색의 'GUN' 글자와 조화를 이루며 자연과 어우러진 환경 도시 군포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시 캐릭터의 이름은 '화니'로, 군포시를 이끌어가는 건강하고 밝은 시민을 표현한다. 마주 보고 있는 즐거운 표정의 얼굴은 시민 간의 어울림을 나타낸다. 캐릭터 팔의 주황색은 밝은 미래를, 초록색은 깨끗한 자연을 상징하며, 아이디어가 샘솟는 창의적인 도시의 모습을 단순한 선으로 표현했다.[57]

7. 산업

군포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11.851조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6%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9억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제조업(2차산업)은 4.264조으로 36%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7.584조으로 6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사업서비스업(9.2%)과 건설업(9.0%), 도소매업(6.6%)과 운수업(6.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60]

7. 1. 주요 기업

2014년 기준 군포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96,615명으로 경기도 전체 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7명으로 비중이 매우 낮으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종사자는 26,136명(27.1%),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종사자는 70,473명(72.9%)이다.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비중은 경기도 전체 평균과 유사하다. 3차 산업 내에서는 사업서비스업(12.2%), 도소매업(11.1%), 운수업(8.7%), 교육서비스업(8.1%)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58]

군포시에 위치한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그룹 / 분류소재지 (군포시)
(주)현대케피코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당정동 고산로 102
SKC 인프라서비스(주)SK텔레시스 종속회사 (SK그룹)산본동 엘에스로 163
한국복합물류(주)CJ그룹 계열사부곡동 번영로 82
LS글로벌인코퍼레이티드(주)LS그룹 계열사산본동 엘에스로 163
가온전선(주)LS그룹 계열사금정동 엘에스로 45번길 120
롯데하이마트(주) 산본점롯데그룹 계열사산본동 고산로 714
(주)현대홈쇼핑 물류센터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부곡동 번영로 82 (한국복합물류 I동)
(주)아이리스코리아외부감사법인금정동 공단로 278-19
(주)케어젠 (제1, 2공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금정동 공단로 272
(주)백금티앤에이코스닥시장 상장법인엘에스로 153-18
(주)휴비츠코스닥시장 상장법인금정동 공단로 298-29
(주)산본역사삼라마이다스그룹 계열사 (외부감사법인)산본동 번영로 504 (산본쇼핑센터)
(주)에스에이티코스닥시장 상장법인엘에스로 175
(주)서원인텍코스닥시장 상장법인엘에스로115번길 69



또한, 글로벌 품질 보증 기업인 인터텍(Intertek)은 2016년 5월 18일 군포시에 새로운 사무소를 공식 개소했다.[38] 당시 김윤주 군포시장을 비롯한 한국 기업 관계자 150여 명이 개소식에 참석하여 인터텍 코리아의 성장을 축하했다. 인터텍 군포 사무소는 인터텍 빌딩 5개 층을 사용하며, 최첨단 10m 전자파 적합성(EMC) 시험 챔버와 전기 및 무선 제품의 안전, EMC 시험을 위한 추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전, 에너지 효율, 화학, EMC, 무선 주파수 시험 등 유럽 연합(EU) 및 미국 시장 진출에 필요한 종합적인 시험 역량을 제공하며, 한국 내 품질 보증 분야에서 인터텍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8. 문화·관광

군포시는 "책과 함께"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책 읽는 도시를 지향한다.[11] 도시 로고와 마스코트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깨끗하고 창의적이며 환경적인 도시 이미지를 강조한다.[12]

군포시의 중심지는 수리산 기슭 근처에 위치한 산본 신도시이다.[5] 산본역 옆 보행자 전용 "문화의 거리", 일명 로데오 거리[13]는 레스토랑, 바, 의류 매장, 노래방 등 다양한 상업 시설이 밀집한 번화가이다.[14][15] 이곳에는 군포시청에서 고용한 외국인 영어 교사를 포함한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과거에는 얼음 잔에 맥주를 담아 목표물을 맞추면 상품을 주는 '해적 바'가 있었으나 2015년에 문을 닫았다.[16][17] 로데오 거리 중앙에는 큰 분수가 있으며,[18] 주말이나 축제 기간에는 공연 무대가 설치되기도 한다. 로데오 거리 너머 산본역에서 금정역까지 이어지는 도심 지역에는 산본 시장과 아파트 단지 등이 있다. 동쪽으로는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이 흐르는데, 2005년 시의 정화 사업 이후 다양한 물고기와 새들이 돌아왔다.[19]

군포시의 다른 명소로는 대야동 공공 도서관의 누리천문대,[20] 여러 불교 사찰,[21] 부곡동의 회원제 골프장인 안양 베네스트 클럽 등이 있다.[22] 수리산 등산도 시민들이 즐겨 찾는 활동이다. 시민의 날 축제와 철쭉 축제를 비롯해 연중 여러 축제가 열리며,[23] 2014년에는 산본 로데오 거리에서 다문화 음식 축제(5월)[24]와 대한민국 독서 축제(9월)가 개최되었다.[13]

8. 1. 군포 8경

군포시가 선정한 8경은 다음과 같다.[14]

  • 수리산 태을봉: 수리산의 489m 봉우리이다.[14]
  • 수리사: 수리산에 위치한 전통 조계종 불교 사찰이다. 역사상 여러 번 파괴되었으나 1955년에 마지막으로 재건되었으며, 1988년에 대한민국의 86번째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14]
  • 반월호수: 반월저수지의 일몰 풍경이다.[14]
  • 덕고개 당 숲: 대야미 근처 덕고개 언덕의 숲으로, 대한민국 제3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14]
  • 군포 벚꽃길: 매년 봄 금정역 인근 지역을 장식하는 벚꽃길이다.[14]
  • 철쭉동산:
    만개한 철쭉동산
    벚꽃 시즌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9만 그루의 보라색 철쭉이 만개하는 동산이다.[14]
  • 밤바위: 산본 신도시 근처의 낮은 산등성이이다.[14]
  • 산본로데오거리: 산본 로데오 거리의 야경이다.[14]

8. 2. 문화 시설


  • 군포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군포 시립 소년소녀 합창단
  • 군포시립여성합창단


군포시 3개의 도서관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현장사례 공모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61] "책과 함께"라는 슬로건으로 대표되는 군포시는 책 읽는 도시를 지향한다. 2014년 1분기, 군포시의 7개 공공 도서관은 협력하여 군포시 시민 286,485명 중 237,902명(약 83%)이 도서관 회원이라고 보고했다. 도시 곳곳에서 어린이 동화책이 꽂힌 책장을 찾아볼 수 있다. 김윤주 전 군포시장은 독서 문화와 철쭉을 통해 도시를 홍보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11]

8. 3. 문화재

정난종 선생 묘 및 신도비외 묘역일원

9. 교육

군포시에는 45개의 공립학교가 있다. 초등학교 25개, 중학교 12개, 고등학교 7개이다.[9]

학교급학교명
대학교한세대학교 (사립)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한세대학교는 군포시의 유일한 대학교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는 기독교 계열 사립 대학이다.[25] 1953년 순복음신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학교 이름을 변경하고 1993년 종합대학교로 인가받았다.[27] 국내 학생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연수원도 운영하고 있다.[26]

10. 교통

군포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이 통과하는 편리한 철도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금정역에서 두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도로 교통 접근성도 우수하다.

시내버스 노선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일부 노선은 인근 도시나 인천국제공항까지 운행한다. 버스와 수도권 전철 모두 티머니 교통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시외버스 터미널은 없지만, 가까운 안산시외버스터미널이나 안양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부곡동에는 화물 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과거 확장 계획 당시 교통 체증, 소음, 대기 오염 등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가 있었다.[28]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연아는 군포에서 성장했다.

10. 1. 철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이 군포시를 통과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철도를 이용하며, 군포시 내 정차역은 금정역, 군포역, 당정역이다. 당정역한세대학교와 인근 시가지 접근성을 높인다. 부곡동 주민들은 인접한 의왕역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은 행정구역상 의왕시에 속하지만 군포시와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열차가 함께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과천선안산선 구간을 지나며, 군포시 내 정차역은 금정역, 산본역, 수리산역, 대야미역이다. 산본역은 산본 신도시의 중심 역 역할을 하며, 수리산역대야미역도 4호선 노선에 포함된다.

금정역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의 환승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호선을 이용하면 북쪽으로 안양시,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 북부 지역, 남쪽으로는 의왕시, 수원시 등지로 이동할 수 있다. 4호선은 북동쪽으로 안양시, 과천시, 서울특별시와 연결되고, 남서쪽으로는 안산시, 시흥시 방향으로 운행하여 수인선으로 환승하면 인천까지 갈 수 있다.

10. 2. 버스



; 시내버스

군포시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업체명대표자위 치
군포교통피정권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62]
우신버스조희삼
조혜전
조상현
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63]
군포여객김경순송부로 153 (부곡동 881-1)
산본여객



; 마을버스

군포시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업체명대표자위 치
군포운수김경순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
사랑교통김민철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
오성교통두우택송부로 153 (부곡동 881-1)
행복운수김흥근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



군포시에는 많은 시내버스가 운행하며, 일부는 다른 도시나 인천국제공항까지 급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버스와 수도권 전철 모두 한국의 티머니 교통 카드를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군포시에는 시외 버스 터미널이 없지만, 안산시외버스터미널과 안양시외버스터미널이 가까운 거리에 있어 이용이 가능하다.

10. 3. 도로

11. 출신 인물

2010년 동계 올림픽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29]이자 201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싱글 은메달리스트인 김연아는 군포시와 인연이 깊다.[30] 1990년 부천시에서 태어났지만, 6살 때 군포시로 이사 와서[29] 수리고등학교를 졸업했다.[31] 김연아는 뛰어난 성과로 많은 한국인에게 영웅이자 국보로 여겨지며[32][33][34], 2014년 동계 올림픽 당시 많은 젊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롤모델로 언급되었다.[35] 또한 여성 스포츠 재단에서 2010년 올해의 여성 스포츠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29]

한편, 2011년 김연아의 소속사인 올댓스포츠는 군포시에 '김연아 거리' 조성을 중단해 달라고 공식 요청했으며, 2012년에는 시에서 추진하던 동상 건립 계획과 김연아 측이 거리를 두는 일이 있었다. 소속사는 김연아가 군포시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지만, 시민 단체가 동상 디자인 회사에 제기한 부패 혐의 논란에 유감을 표명했다.[36]

또한 K팝 걸그룹 블랙핑크의 멤버인 김지수는 군포시에서 태어났다.[37]

12. 자매 도시

캐나다 온타리오주 벨빌에 있는 평화의 봉(The Peace Pole). 군포시와의 우호 교류 증진을 위해 세워졌으며, 군포시 반월호수에도 같은 평화의 봉이 있다.


국가도시명체결 연도
캐나다벨빌1997년[39]
미국클락스빌1999년[39]
미국그랜트군2003년[39]
일본아쓰기시2005년[39]
중국린이시 (산둥성)2012년[39]




참조

[1] 웹사이트 About Gunpo: History, page 2 http://english.gunpo[...] 2014-05-01
[2] 웹사이트 Past Mayors/Vice Mayors https://www.gunpo.go[...] 2024
[3]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4] 웹사이트 About Gunpo: History http://english.gunpo[...] 2014-05-01
[5] 웹사이트 About Gunpo: Introduction http://english.gunpo[...] 2014-05-15
[6] 웹사이트 김진애 건축가 겸 국회의원 제주대문화광장 특강 http://www.jejunews.[...] 2014-09-26
[7] 웹사이트 History: 1990 - 1995 http://kifaonline.co[...] 2014-09-26
[8] 웹사이트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http://www.korea.net[...] 2014-07-10
[9] 웹사이트 About Gunpo: Overview http://english.gunpo[...] 2014-05-15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11] 웹사이트 (김윤주 군포시장) 책 읽는 도시 군포시장입니다 http://www.anewsa.co[...] 2014-06-08
[12] 웹사이트 About Gunpo: Symbol http://english.gunpo[...] 2014-06-08
[13] 웹사이트 '대한민국 독서대전' 26~28일 군포서 열린다 http://news1.kr/arti[...] 2014-09-26
[14] 웹사이트 Culture and Tourism: 8 Famous Scenic Spots http://english.gunpo[...] 2014-06-08
[15] 웹사이트 Downtown Sanbon & Shopping at EMart http://aviewfromkore[...] Blogspot 2014-06-08
[16] 웹사이트 A Smashing Good Time at the King of Pirates http://www.onourownp[...] 2014-06-08
[17] 웹사이트 King of Pirates & Hello Kitty Cafe http://sbondetravels[...] Blogspot 2014-06-08
[18] 웹사이트 Street of Culture http://english.gunpo[...] 2014-07-10
[19] 웹사이트 Visible Achievement for River Water Quality Improvement http://www.apec-vc.o[...] 2014-06-30
[20] 웹사이트 Nuri Astronomical observatory http://english.gunpo[...] 2014-06-30
[21] 웹사이트 Temples http://english.gunpo[...] 2014-06-30
[22] 웹사이트 Reservoirs/Others http://english.gunpo[...] 2014-06-30
[23] 웹사이트 Festivals and Events http://english.gunpo[...] 2014-06-30
[24] 웹사이트 군포시, 다문화 음식축제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속 성료 http://www.anewsa.co[...] 2014-09-26
[25] 웹사이트 About Hansei http://www.hansei.ac[...] 2014-07-07
[26] 웹사이트 Hansei Korean Language Institute http://www.hansei.ac[...] 2014-07-07
[27] 웹사이트 About Hansei: History http://www.hansei.ac[...] 2014-07-07
[28] 웹사이트 부곡화물터미널 확장 반대여론 거세 http://gunpo.newsk.k[...] 2014-07-08
[29] 웹사이트 Yuna Kim http://www.ifsmagazi[...] 2014-07-08
[30] 웹사이트 Yuna Kim announces retirement after Sochi silver http://olympictalk.n[...] 2014-07-08
[31] 웹사이트 Kim Yu-na Starts High School Teaching Assignment http://english.chosu[...] 2014-07-08
[32] 웹사이트 12 things: Inside the world of Yuna Kim http://www.nbcolympi[...] 2014-07-08
[33] 웹사이트 Kim Yu-na's skating triumph stirs Korean nationalist fervor https://www.latimes.[...] 2014-07-08
[34] 웹사이트 Koreans Send the Biggest Support to Their Hero Yuna Kim https://ph.celebrity[...] 2014-07-08
[35] 웹사이트 Kim Yu-na Is a Hero to Fellow Skaters http://english.chosu[...] 2014-07-08
[36] 웹사이트 Figure skater Kim Yu-na not tied to controversial statue: agency https://www.koreatim[...] 2012-09-27
[37] 웹사이트 Jisoo Kim https://www.imdb.com[...] 2022-06-29
[38] 웹사이트 Intertek Opens New State-of-art facilities in Gunpo, South Korea http://www.koreaitti[...] 2016-05-19
[39] 웹사이트 Sister Cities & Friendly Relationship Cities http://english.gunpo[...] 2014-07-08
[4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41]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1988년 12월 31일)
[42] 조례 군포시 조례 제23호(1989년 1월 1일)
[43] 조례 군포시 조례 제281호(1992년 4월 28일)
[44] 조례 군포시 조례 제298호(1993년 1월 14일)
[45] 조례 군포시 조례 제308호(1993년 6월 8일)
[46] 조례 군포시 조례 제347호(1994년 7월 19일)
[47] 대통령령 대통령령 14434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94년 12월 22일) 제5조 제3항
[48] 조례 군포시 조례 제364호(1994년 12월 29일)
[49] 조례 군포시 조례 제381호(1995년 2월 28일)
[50] 조례 군포시 조례 제520호(1998년 10월 1일)
[51] 서적 군포시 지명유래집 군포시 1999
[52] 웹사이트 지명유래 https://biz.gunpo.go[...] 군포시청 2021-09-27
[5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2021-12-05
[54]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s://www.gunpo.go[...] 군포시청 홈페이지 2021-12-05
[55] 웹사이트 군포시 통계연보 http://www.gunpo.go.[...]
[56] 간행물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57] 웹인용 군포시청 - 군포시 소개 http://www.gunpo.go.[...] 2017-11-20
[58]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9]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60]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 내 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61] 뉴스 군포시3개 도서관, 우수현장사례 장려상 수상 http://www.jeonmae.c[...]
[62] 문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63] 문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