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폭파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중폭파대(UDT)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상륙 작전의 성공을 위해 미 해군에서 창설된 특수 부대이다. UDT는 해안 정찰, 장애물 제거, 상륙 병력 유도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타라와 전투의 실패를 계기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UDT는 해군 전투 파괴대(NCDU)의 훈련을 기반으로 해군 공병대(Seabees) 출신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UDT는 이후 해상, 공중, 육상에서의 작전을 수행하는 미 해군 특수부대(SEAL)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군의 특수부대 - 해군특수전개발단
해군특수전개발단은 미국 해군의 특수 부대로, 대테러 작전, 대량 살상 무기 확산 방지, 적대 국가 내 고가치 목표 제거 또는 확보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SEAL 팀 6으로 창설되었다가 재창설되어 엄격한 선발 과정과 강도 높은 훈련을 거친 요원들이 육군의 델타 포스와 함께 합동 특수 작전 태스크 포스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한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MACV-SOG
MACV-SOG는 1964년 미국 합동참모본부가 창설한 기밀의 합동 비정규전 태스크 포스로, 미국 육군 특수부대, 해군 씰, CIA 등으로 구성되어 북베트남을 상대로 비밀 작전을 수행하며 베트남 전쟁에 관여하다 해체되었다. - 군사공학 - 공병
공병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건설 및 파괴 임무를 수행하며, 도로 및 교량 건설,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지뢰 매설 및 제거, 도하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전투 공병과 시설 공병으로 구분된다. - 군사공학 - 윤승선
윤승선은 대한제국 관료 윤치오의 아들로,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관동군사령부 대위와 해군 소령을 거쳐 해병대 공병감 등을 지냈으며, 응용공업주식회사 부사장과 민주당 고문을 역임했다.
수중폭파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해군 |
종류 | 특수부대 |
역할 | 직접 행동 수중 폭파 특수 정찰 해상 침투 및 철수 |
별칭 | UDT, 개구리 인간 |
역사 | |
창설일 | 1942년 8월 15일 |
해체일 | 1983년 (SEAL로 재지정) |
주요 참전 | 오버로드 작전 횃불 작전 콰잘레인 전투 로이 나무르 전투 사이판 전투 티니안 전투 괌 전투 펠렐리우 전투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 보르네오 전역 레이테 해전 링가옌 만 침공 빌라겔 작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기지 | |
위치 | 플로리다주 포트 피어스,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 미국 |
2. 초창기 역사
미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에서 연합국의 상륙작전 실패를 통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1930년대 중반 새로운 상륙전 전술을 연마하며 발전시켰다. 1941년 8월, 상륙전 훈련 중 로이드 E. 페디코드 소위에게 인간정보(HUMINT) 필요성 검토 명령이 주어졌다.[2]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면서, 미 해군은 추축국 공격을 위한 상륙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륙 해안 정찰, 엄폐물 및 방어물 표시, 상륙 병력 유도를 위한 공작팀을 결성했다. 1942년 8월, 페디코드는 버지니아주 리틀 크릭에 있는 상륙훈련기지에 해군 정찰/기습 교육대를 창설하였다.[2]
같은 해, 플로리다주 포트 피어스에 육군/해군 통합 상륙 정찰/기습 교육대가 창설되었고, 필 H. 버클루 중령은 상륙 정찰/기습에 특화된 해군 첫 조직 창설 및 훈련을 도왔다. 이 교육대를 통해 배출된 해군 대원들로 구성된 해군 정찰/기습부대(Navy Scouts & Raiders)는 1942년 11월 북아프리카 침략전인 횃불 작전에 처음으로 투입되었다.[5]
타라와 전투 이후, 미 해군은 미국 육군 공병대로부터 폭파술을 전수받아 해안 지역 엄폐물과 방어물 제거 임무를 맡게 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의 교훈
미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에서 연합군의 상륙 작전 실패를 통해 상륙전의 문제점을 인식했다.[2] 1930년대 중반, 이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상륙전 전술을 연구하고 발전시켰으며, 1941년 상륙 훈련 중 인간정보(HUMINT)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2]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과 특수부대의 필요성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추축국을 상대로 수많은 상륙작전을 실시해야 했다. 미 해군은 상륙 해안을 정찰하고, 장애물과 방어 시설을 확인하며, 상륙 부대를 안내할 특수부대의 필요성을 인식했다.1942년 8월, 버지니아주 리틀 크릭의 상륙훈련기지에 해군 정찰/기습 교육대가 창설되었다.[2] 로이드 E. 페디코드 소위는 인간정보(HUMINT) 능력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해군 스카우트 및 레이더를 위한 정찰 학교를 설립했다.[2]
같은 해, 플로리다주 포트 피어스에 미국 육군과 해군이 통합된 상륙 정찰/기습 교육대가 창설되었다. 이곳에서 "해군 특수전의 아버지"라 불리는 필 H. 버클루 중령은 상륙 정찰/기습에 특화된 해군 부대 ('첫 번째 그룹') 창설 및 훈련을 주도했다.
1943년 11월 타라와 전투에서 미 해병대의 상륙정이 산호초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으면서, 상륙 전 정보 수집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당시 공중 정찰기는 산호섬의 수심이 충분히 깊어 상륙정이 통과할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 이로 인해 해병대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상륙정을 버리고 퇴각해야 했고, 일본 제국 육군의 포격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2]
이후 미국 육군 공병대로부터 폭파술을 전수받은 미 해군은 해안 지역의 장애물과 방어 시설 제거 임무를 맡게 되었다. 제5 상륙군단 (VAC) 사령관 켈리 터너 소장은 씨비 중위 크리스트(CEC)에게 산호를 처리할 병력을 마련하도록 지시했고, 크리스트 중위는 와이피오 상륙 작전 기지에서 제7 해군 건설 연대[4]의 장교 30명과 사병 150명을 모아 정찰 및 폭파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곳에서 태평양 UDT가 탄생했다.[5][6]
2. 3. 타라와 전투와 인적 정보의 중요성
1943년 11월, 타라와 전투에서 미 해병대의 상륙정들이 산호초에 부딪히면서 상륙 작전 이전에 인적(人的) 정보 수집의 중요성이 절실하게 드러났다. 당시 공중 정찰기는 산호초의 깊이가 상륙정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다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였다.[2] 해병대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가슴 깊이의 물에서 상륙정을 버리고 퇴각해야 했으며, 일본 제국 육군의 포격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2]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 해군은 미국 육군 공병대로부터 폭파술을 전수받아 해안 지역의 장애물과 방어 시설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켈리 터너 제독은 9개의 수중파괴대(UDT)를 편성할 것을 명령했고, 이 부대의 인원은 씨비에서 선발되었다.[5][6]
3. 해군 전투파괴대(NCDU)
1942년 하반기, 미 해군 인명 구조단은 폭발물 처리, 케이블 절단, 침투 기술 등을 집중 훈련받았다. 이들은 북아프리카에서 횃불 작전 중 육군 레인저들이 강을 건너 비행장을 장악하도록 케이블과 철조망을 절단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43년, 미 해군은 해군 전투파괴대(NCDU, Naval Combat Demolition Units)를 창설한다. NCDU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타라와 작전 이후, 플린트록 작전이 마셜 제도에서 진행되었다. 1944년 1월 콰잘린 섬에서 크리스트 중위가 조직한 UDT 1과 UDT 2가 투입되었다. 초기 팀 지휘관은 E. D. 브루스터 사령관(CEC)과 크리스트 중위(CEC)였다. 크리스트 중위는 팀 2의 작전 장교가 되었고, 존 T. 쾰러 중위가 팀 지휘관이 되었다.[6] 해병대 상륙정찰대대는 UDT 1과 2의 해군건설대원들에게 5주간 추가 훈련을 제공했다.[20]
소위 루이스 F. 루어스와 해군건설대 선임 부사관 빌 아체슨은 수영복 차림으로 은밀하게 수영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터너 제독에게 직접 보고했다.[21] 터너 제독은 이 방식을 채택했고, 이는 UDT 역사에서 임무 모델과 훈련 체제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터너 제독은 9개 팀(III 상륙군단용 3개 팀, V 상륙군단용 6개 팀)을 편성하라고 명령했고, 해군건설대원들이 1–9, 13, 15팀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UDT 2는 크리스트 중위가 은성 무공훈장을 받은 로이-나무르로 파견되었다. UDT 1과 2는 하와이로 돌아와 해체되었으며, 대부분의 병력은 UDT 3, 4, 5, 6으로 전출되었다. UDT 15는 NCDU로만 구성된 팀이었다. 쾰러는 마우이 해군 전투 파괴 훈련 및 실험 기지의 지휘관이 되었고, 터너 제독은 전투 장교로 드레이퍼 카우프만을 영입했다.[6]
카우프만 사령관은 더 이상 해군건설대원을 모집하지 않았고, 니미츠 제독은 태평양 함대에 자원자를 모집하라는 요청을 보냈다. 징집 문제로 폭파 경험이 없는 세 명의 중령이 USN 해변 대대에서 UDT 11, 12, 13을 지휘하도록 전출되었다.
터너 제독은 키헤이에 해군 전투 파괴 훈련 및 실험 기지를 설립하여 콰잘린에서 UDT 1으로부터 배운 것을 확장할 것을 요청했다. 1944년 2월에 루어스 중위가 최초의 훈련 책임자로 작전을 시작했다. 포트 피어스의 절차 대부분이 변경되었으며, 수영 선수 개발, 주간 정찰, 생명선 미사용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당시 제복은 잠수 마스크, 수영복, 카-바로 바뀌어 UDT 이미지를 "네이키드 워리어"로 만들었다(UDT 10이 수영 핀을 도입한 후 추가됨).
3. 1. NCDU 창설과 훈련
1943년, 해군은 해안 장애물 제거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인 해군 전투파괴대(NCDU, Naval Combat Demolition Units)를 창설했다. 해군 참모총장 어니스트 킹 대장은 드레이퍼 L. 코프먼 소령에게 NCDU 훈련을 지휘하도록 명령했다.[11]NCDU는 해군 전투공병대(Seabees) 출신 수영 숙련자들을 중심으로 선발되었으며, 육군 전투 공병대원들 중 수영 능숙자들도 일부 포함되었다. 훈련은 "진짜 사나이 선발법"으로 계획된 극한의 첫 주, 즉 "지옥주(Hell Week)"로 시작되었다. 1주일간 잠을 재우지 않고 계속되는 극한의 훈련 속에서 육체적/정신적으로 강인한 지원자들만 남게 되었다.[14] 이 지옥주 훈련은 이후 전 세계 특수부대들의 바다 관련 특수교육의 전형적인 롤모델이 되었다.
드레이퍼 L. 코프먼의 훈련 구상은 처음엔 폭발물 해체에 중점을 두었으나, 공격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방향을 확장하였다. 한 실험에서는 약 1.13kg팩의 테트릴을 고무 튜브에 집어넣어, 약 9.07kg 넓이의 폭파 튜브를 만들어 방어물을 꼬아 폭파시킬 수 있는 폭파 튜브를 제작하였다.[15]
3. 2. 노르망디 상륙작전
1944년 6월, NCDU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해안 장애물 제거 임무를 부여받았다. 독일군은 프랑스 해안에 벨기에 게이트, 체코 헤지호그 등 대형 강철 바리케이드와 폭발물이 장착된 강철 기둥, 해안 포병, 박격포, 기관총 진지 등 복잡한 방어선을 구축했다.[5]해군 정찰대와 습격대는 프랑스 해안을 오가며 정보를 수집했고, NCDU는 영국 남부 해안에 설치된 벨기에 게이트 복제품으로 해체 훈련을 했다. NCDU는 게이트의 구조적 연결부를 폭파하여 평평하게 무너뜨리는 것이 최상의 방법임을 알게 되었다.[5]
NCDU 팀은 간조 때 장애물을 제거하여 미군 상륙 지점(오마하 해변, 유타 해변)에 약 15.24m 폭의 복도를 16개 열 계획이었다. 그러나 준비 공습과 해상 폭격이 효과가 없었고, 조수 상태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했다. 독일군의 공격과 사상자 발생에도 불구하고 NCDU는 방어선에 틈새를 만들었다.[5]
오마하 해변에서는 175명의 NCDU 대원 중 31명이 사망하고 60명이 부상을 입어 계획된 16개의 틈새 중 13개만 열렸다. 유타 해변에서는 4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어 비교적 성공적이었다.[5] NCDU는 드라군 작전 (프랑스 남부 침공)에도 투입되었으며, 전체적으로 53%의 사상률을 기록했다.[5]
4. 수중파괴대(UDT)
태평양 전쟁에서 해군의 상륙전 전문가인 터너 제독은 타라와 전투의 상륙 작전 실패에 대응하여 수중폭파대(UDT) 창설을 명령했다. UDT는 상륙 작전 시 수중 장애물에 대한 전략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았다.[6] 초기 UDT는 주로 시비에서 차출된 인원들로 구성되었으며, 1팀과 2팀은 "임시" 부대로 해병대 상륙 정찰대대의 훈련을 받았다.
UDT 훈련은 V 상륙군단의 지휘 하에 와이피오 상륙 작전 기지에서 실시되었다. 훈련 교관과 훈련생은 대부분 포트 피어스 NCDU, 스카우트 앤 레이더 학교, 시비, 해병대, 육군 출신이었다. UDT는 수영복, 오리발, 마스크를 착용하고 주간 정찰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임무를 수행했으며, 콰잘레인에서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통해 그 중요성을 입증했다.
UDT는 약 16명의 장교와 80명의 사병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팀에는 해병 장교 1명과 육군 장교 1명이 연락 장교로 배속되었다.[18] 1~21팀은 실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시비 출신이었다.
오키나와 침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큰 UDT 작전이었다. 7, 11, 12, 13, 14, 16, 17, 18팀 등 약 1,000명이 참여했다. 오키나와 주변 바다는 수온이 낮아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었지만, UDT 대원들은 보온 장비 없이 작전을 수행해야 했다. 이들은 실제 정찰, 상륙 해변 폭파, 기만 작전 등을 수행했다.
전쟁 말까지 34개 팀이 구성되었고, 1~21팀이 실제로 배치되었다. 시비는 작전에 투입된 팀의 절반을 구성했다. 미 해군은 UDT의 존재를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공개하지 않았으며, 공개 후에는 리처드 코프만 중령과 시비에게 공을 돌렸다.[3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UDT는 별도의 계급이나 휘장이 없었다. 대원들은 자신을 "수중폭파대"나 "프로그맨" 대신 NCDU[32]에서 유래한 "폭파병"이라고 불렀다.
일본 침공을 대비해 냉수 훈련 센터가 설치되었고, UDT는 새로운 신체 기준을 충족해야 했다. UDT 9팀은 이 변경으로 인해 팀원의 70%를 잃었다. 마지막 UDT 폭파 작전은 1945년 7월 4일 보르네오 발릭파판에서 이루어졌다. UDT는 VJ Day까지 일본 침공을 준비했으나, 종전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사라졌다.
전후 병력 감축으로 두 개의 절반 규모 UDT가 유지되었지만, UDT는 전쟁 후에도 완전히 해산되지 않은 유일한 특수 부대였다.[6]
4. 1. UDT 창설과 타라와 작전
태평양 전쟁에서 최초의 UDT가 창설되었다. 1943년 11월, 타라와 전투에서 켈리 터너 제독은 상륙 작전 실패에 대한 대응으로 UDT 창설을 명령했다.[6] 타라와 전투는 미크로네시아 제도 동부에 위치한 타라와에서 낮은 조수 때 진행되었는데, LCVP들이 산호에 좌초되어 해병대가 해안까지 걸어가야 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해병대가 익사하거나 사망했고, 첫 번째 공격은 큰 피해를 입었다.터너 제독은 상륙 작전에 앞서 수중 장애물에 대한 전략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6] 이에 해군 공병대(Seabees) 지원자들로 '전투 수영 정찰대'를 조직하고, 이들이 UDT 훈련을 받으면서 해군 UDT가 되었다. UDT 훈련은 와이피오 상륙 작전 기지에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교관과 훈련생은 포트 피어스 NCDU, 스카우트 앤 레이더 학교, 시비, 해병대, 육군 군인 출신이었다.
타라와 이전, 해군과 해병대는 산호가 상륙 작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타라와에서 조금으로 인해 히긴스 보트가 암초를 통과하기 어려웠다. 첫 번째 상륙 부대를 태운 Amtrac는 암초를 통과했으나, 두 번째 상륙 부대를 실은 LCVP는 좌초되어 해병들이 공격을 받으며 해안으로 이동해야 했다.
이러한 재앙을 막기 위해 터너 제독은 해변 상태를 정찰하고 수중 장애물을 제거할 팀을 구성하도록 지시했다.[6] 제5상륙군단은 산호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해군 건설 부대 병력을 확인했고, 제독은 CB 10의 토마스 C. 크리스트 중위(CEC)에게 전투 환경에서 산호를 폭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팀을 구성하도록 지시했다.[19] 크리스트 중위는 1943년 11월 말 마우이의 와이피오 상륙 작전 기지에서 장교 30명과 사병 150명을 모았다.[4][19]
4. 2. UDT 발전사
하와이 와이마날로에서 최초 UDT 훈련이 이루어졌다. 초기 훈련은 고무보트 이용법을 중점으로 이루어졌으나, 콰자레인 작전 이후 루이스 F. 루에즈 소위와 빌 어케슨 상사의 결단으로 UDT 전술은 수영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이들은 속옷만 남기고 모든 장비를 벗은 채 수영하여 산호를 넘어갔고, 이는 UDT의 별명인 "벌거벗은 전사들"을 탄생시켰다.[7]콰자레인 이후, UDT는 마우이섬 카마올에 해군 전투 폭파 훈련/실험 기지를 설치하고 훈련 방식을 수영 중심으로 발전시켰다. 훈련은 수경, 수영복, 오리발만을 착용한 채 진행되었다.[14]
34개의 UDT 팀이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의 주요 상륙작전에 참여했다. UDT 10팀은 OSS 예하에서 활동했다.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UDT는 수중 및 얕은 수역 작전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 힘썼다. 특히 SCUBA 장비 사용을 연구하여, 크리스 람버트슨 박사가 개발한 람버트슨 수륙양용 호흡 장치(LARU)를 도입했다.[40][41] LARU는 산소 재호흡기로, OSS의 해양 부대에서 사용되었다.[40][41] 1947년 람버트슨 박사는 당시 UDT 고위 지휘관이었던 프랜시스 "더그" 페인 중령에게 LARU를 시연했다.[40][42]
페인 중령은 새로운 잠수 기술에 주목하여 UDT 대원들에게 SCUBA 훈련을 실시하고, 잠수함에서의 락아웃 및 재진입을 시연했다. 1948년 1월 버지니아주 NAB 리틀 크릭에서 UDT 인원을 대상으로 SCUBA 작전을 시연하고 훈련했는데, 이는 미 해군 잠수사들을 위한 최초의 SCUBA 훈련이었다.[40][43] UDT는 처음에는 아쿠아 렁 개방 회로 SCUBA 시스템을 사용했으나, 이는 거품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1950년대 초, UDT는 개방 회로 SCUBA를 선호하기로 결정하고 완전히 전환했다가, 이후 람버트슨 박사가 개발한 개선된 재호흡기를 사용하여 폐쇄 회로 SCUBA로 다시 전환했다.
UDT는 해안 지역에서의 육상 코만도 작전을 위한 무기 기술과 절차 개발도 시작했다. 헬리콥터 투입/인출, 스카이훅 등을 실험했다. 스카이훅은 헬륨 풍선과 케이블 장비를 이용하여 사람을 공중으로 들어 올리는 시스템이었으나, 훈련 중 사망 사고로 인해 중단되었다.
5. 1. 일본 점령
1945년 8월 20일, 는 일본으로 향하는 미국 점령군의 일원으로 괌에서 UDT 21을 수송했다.[16] 9일 후, UDT 21은 도쿄 만의 후츠미사키 곶 해변을 정찰하면서 일본 본토에 발을 디딘 최초의 미군 부대가 되었다.[16] UDT 21은 이 지역이 미 해병대의 상륙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UDT 21은 해변에서 해병대를 맞이하기 위해 "USN UDT 21"의 인사가 적힌 큰 표지판을 만들었다. 다음 날, ''Begor''는 UDT 21을 요코스카 해군 기지로 데려갔고,[16] 그곳에서 UDT 21은 일본에 처음 정박하는 미군 군함인 을 위해 부두를 정리했다.[16] UDT 21은 9월 8일까지 도쿄 만에 머물면서 가미카제와 2인승 잠수함 잔해를 스가 만, 우치우라 만, 스루가 만, 센다이, 오노하마 조선소, 초시에서 찾았다.[33]9월 21일부터 26일까지 UDT 11은 나가사키에 있었으며, 악취로 인해 사람들이 병에 걸렸다고 보고했다.[34]
5. 2. 중국
1945년 10월, UDT 9는 타쿠와 칭다오에서 제1해병사단의 상륙을 정찰하는 작전 벨리거에 배정되었다.[35] UDT 8은 타쿠, 옌타이, 칭다오에 파견되었다.[36]5. 3. 크로스로드 작전
비키니 환초는 크로스로드 작전의 핵실험 장소로 선택되었다. 1946년 3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의 프로젝트 Y 과학자들은 핵 폭발 직후의 물 샘플 분석이 실험을 제대로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결정했다.[37] 이를 위해 여러 제안을 고려한 후, 전쟁 중 프랑스에서 해군 전투 폭파 부대가 사용했던 유형의 드론 보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했다.[37]UDT 이지(UDT Easy, 이후 UDT 3)는 이 작전에서 TU 1.1.3으로 지정되어 드론 보트의 제어 및 유지 관리를 담당했다. 1946년 4월 27일, 7명의 장교와 51명의 사병이 Begor에 탑승하여 비키니로 이동했다. 드론은 비키니에서 ''Begor''에서 제어되었다. 물 샘플 채취 후 드론은 제염을 위해 ''Begor''로 돌아와 물청소를 받았다. 방사선 안전 책임자가 가이거 계수기로 판독하여 OK를 받으면, UDT가 방사선 화학자와 함께 탑승하여 샘플을 회수했다.[38] ''Begor''는 함대에서 가장 오염된 보트라는 평판을 얻게 되었다.[38]
이후 주요 문제는 이주된 원주민의 처우였다. 1948년 11월, 비키니 주민들은 무인도인 킬리로 이주했지만, 킬리 섬은 바다로 접근할 수 있는 수로가 없는 산호초 안에 위치해 있었다.[16] 1949년 봄, 신탁 통치령의 총독인 마셜 그룹은 미국 해군에게 수로를 폭파해 달라고 요청했다.[16] 이 임무는 콰잘린의 시비즈에게 주어졌으며, 이들의 지휘관은 이것이 UDT 프로젝트임을 빠르게 파악했다.[16] 그는 CINCPACFLT에 요청을 보냈고, CINCPACFLT는 COMPHIBPAC로 전달했다.[16] 이는 결국 UDT 3이 정치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낳은 시민 행동 프로그램에 파견되는 결과를 낳았다. 비키니 왕은 UDT가 떠나기 전날 밤에 UDT를 위한 송별 잔치를 열었다.[39]
5. 4. 잠수 작전 능력 개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UDT는 수중 및 얕은 수역 작전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했다. SCUBA 장비의 사용이 연구되었고, 크리스 람버트슨 박사가 개발한 람버트슨 수륙양용 호흡 장치(LARU)가 도입되었다. LARU는 산소 재호흡기로, OSS의 해양 부대에서 사용되었다.[40][41] 1947년, 람버트슨 박사는 당시 UDT 고위 지휘관이었던 프랜시스 "더그" 페인 중령에게 LARU를 시연했다.[40][42]페인 중령은 새로운 잠수 기술에 열광하여 UDT 대원들에게 SCUBA 훈련을 실시하고, 잠수함에서의 락아웃 및 재진입을 시연했다. 그는 1948년 1월 버지니아주 NAB 리틀 크릭에서 UDT 인원을 대상으로 SCUBA 작전을 시연하고 훈련시켰는데, 이것이 미 해군 잠수사들을 위한 최초의 SCUBA 훈련이었다.[40][43]
UDT는 처음에는 아쿠아 렁 개방 회로 SCUBA 시스템을 사용했으나, 이는 사용된 공기가 거품 자국을 남겨 전투 잠수사에게는 덜 유용했다. 1950년대 초, UDT는 개방 회로 SCUBA를 선호하기로 결정하고 완전히 전환했다. 이후 UDT는 람버트슨 박사가 개발한 개선된 재호흡기를 사용하여 폐쇄 회로 SCUBA로 다시 전환했다.
UDT는 해안 지역에서의 육상 코만도 작전을 위한 무기 기술과 절차 개발도 시작했다. 헬리콥터 투입/인출, 스카이훅 등을 실험했다. 스카이훅은 헬륨 풍선과 케이블 장비를 이용하여 사람을 공중으로 들어 올리는 시스템이었으나, 훈련 중 사망 사고로 인해 중단되었다.
6. 한국 전쟁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수중폭파대(UDT)는 북한 해안에서 폭파 및 기뢰 제거 작전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특공대와 함께 철도 터널과 교량을 파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UDT 고위 장교들은 해군력을 비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전쟁 특성상, UDT는 첩보원 침투, 어망 파괴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낮은 작전 프로파일을 유지했다.
인천 상륙 작전 (크로마이트 작전)에서 UDT 1팀과 3팀은 상륙정보다 먼저 갯벌을 정찰하고, 수로의 낮은 지점을 표시하고, 기뢰를 수색했으며, 4명의 UDT 대원이 해병대 상륙 유도 역할을 했다.[45]
UDT는 원산 항구의 기뢰 제거를 지원했으며, 이 과정에서 2척의 기뢰 제거함이 침몰했다. UDT 잠수부는 SCUBA 장비를 사용한 최초의 미국 전투 작전인 의 잔해에 잠수했다.
한국 전쟁은 UDT에게 전환기였다. UDT는 이전의 한계를 시험하고, 새로운 기술과 확장된 지평선을 통해 베트남 전쟁에서 더 광범위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46]
6. 1. 북한 해안 작전
한국 전쟁 기간 동안, UDT는 북한 해안에서 폭파 및 기뢰 제거 작전을 수행했다. UDT는 대한민국 특공대와 함께 북한에 침투하여 철도 터널과 교량을 파괴했다.[45] UDT 고위 장교들은 해군력을 비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는데, 이는 UDT를 해안선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게 했기 때문이다.[45] UDT는 전쟁 특성상 낮은 작전 프로파일을 유지했으며, 첩보원을 북한에 침투시키거나 북한 어망을 파괴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45]6. 2. 인천 상륙작전 지원
인천 상륙 작전(크로마이트 작전)에서 UDT 1팀과 UDT 3팀 잠수부들은 상륙정에 앞서 갯벌을 정찰하고, 수로의 낮은 지점을 표시했으며, 엉킨 프로펠러를 제거하고, 기뢰를 수색했다. 4명의 UDT 대원이 해병대 상륙을 위한 유도 역할을 했다.[45]6. 3. 원산 항구 기뢰 제거 지원
한국 전쟁 당시, UDT는 원산 항구의 기뢰 제거 작전을 지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UDT 잠수부들은 의 잔해에 잠수하였는데, 이는 SCUBA 장비를 사용한 최초의 미국 전투 작전이었다.[45] 이 작전에서 2척의 기뢰 제거함이 침몰하기도 했다.6. 4. UDT의 전환기
한국 전쟁은 UDT에게 전환기였다. UDT는 이전의 한계를 시험하고, 새로운 기술과 확장된 지평선을 통해 베트남 전쟁에서 더 광범위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46]7.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시기, 미 해군 수중폭파대(UDT)는 1958년 메콩강 상류 라오스로 소형 수송선을 보내는 것을 시작으로 참전했다.[48] 1961년에는 남베트남에서 '리엔 도안 응어이 냐이'(Liên Đoàn Người Nhái)로 불리는 베트남 개구리 특공대(Frogmen Team)를 훈련시키기 시작했다.[48]
UDT 팀은 위험한 환경과 적의 공격 속에서도 남베트남 해안 수역의 수로측량을 실시하고 항구, 해변, 강에 대한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48] 또한, 남베트남 강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상륙 준비 부대를 지원하며, 강가 순찰정을 운용하고 상륙하여 장애물과 적 벙커를 파괴했다. UDT는 메콩 삼각주에서 캄보디아 파롯 부리, 1군단을 거쳐 다낭 남쪽의 송 쿠이 다이 하구에 이르기까지 남베트남 전역에서 활동했다.[48]
7. 1. 초기 참전과 남베트남 UDT 훈련
미 해군은 1958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수중폭파대가 작은 수송선을 메콩강 상류 라오스로 보냈다.[48] 1961년, 해군 고문단은 남베트남에서 'Liên Đoàn Người Nhái'(LDNN) Liên Đoàn Người Nhái|리엔 도안 응어이 냐이vi 또는 베트남 개구리 사나이(Frogmen Team)로 불리는 남베트남 인력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48]UDT 팀은 위험한 상황과 적의 공격을 받으면서 남베트남 해안 수역에서 수로 측량을 실시하고 항구, 해변, 강에 대한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48]
7. 2. 수로 측량 및 정찰 임무
UDT 팀은 남베트남 해안 수역에서 수로 측량을 실시하고 항구, 해변, 강에 대한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48]7. 3. 상륙 준비 부대 지원 및 강가 작전
UDT는 남베트남 강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상륙 준비 부대를 지원했다. UDT는 강가 순찰정을 운용하고 상륙하여 장애물과 적 벙커를 파괴했다. UDT는 메콩 삼각주(씨 플로트)에서 캄보디아 파롯 부리, 1군단을 거쳐 다낭 남쪽의 송 쿠이 다이(Song Cui Dai) 하구에 이르기까지 남베트남 전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48]9. UDT 재편성과 SEAL로의 전환
1983년 5월, 남은 수중폭파대(UDT) 팀들은 SEAL 팀으로 재편성되었다. UDT 11팀은 SEAL 팀 5, UDT 12팀은 수중 침투 장비 1팀, UDT 21팀은 SEAL 팀 4, UDT 22팀은 수중 침투 장비 2팀이 되었다.[1] 1983년 10월, SEAL 팀 3이 창설되었다.[1]
10. UDT 부대 표창
UDT는 여러 개의 부대 표창 및 포상을 받았다. 포상을 받을 만한 작전에 참여한 대원들은 해당 포상과 관련된 메달이나 리본을 제복에 착용할 수 있다. 미국군 훈장 및 장식은 근무, 캠페인, 부대, 개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부대 표창은 다른 장식과 구별된다.[52]
부대 | 표창 종류 | 수여 지역 및 시기 |
---|---|---|
해군 전투 파괴 부대 O (오마하 해변) | 대통령 부대 표창 | 노르망디 |
해군 전투 파괴 부대 U (유타 해변) | 해군 부대 표창 | 노르망디[16] |
UDT 1 | 해군 부대 표창 -- | 한국[53] |
UDT 4 | 해군 부대 표창 -- | 괌[16] |
해군 부대 표창 -- | 레이테[16] | |
해군 부대 표창 -- | 오키나와[16] | |
UDT 7 | 해군 부대 표창 -- | 마리아나[16] |
해군 부대 표창 -- | 서부 캐롤라인[16] | |
UDT 11 | 대통령 부대 표창 | 오키나와[54] |
대통령 부대 표창 | 브루니 만, 보르네오[54] | |
대통령 부대 표창 | 발릭파판, 보르네오[54] | |
해군 부대 표창 -- | 1966[54] |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1968[54] | |
해군 부대 표창 -- | 1969[54] | |
대통령 부대 표창 | 1969 |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 1969[54] | |
1970[54] | ||
남베트남 민사 활동 훈장 부대 표창 | ||
남베트남 무공 십자장 (팜 포함) 부대 표창 | ||
UDT 11, 12 | 해안 경비대 공로 부대 표창 | |
UDT 12 | 대통령 부대 표창 | 이오지마[54] |
대통령 부대 표창 | 오키나와[16] | |
해군 부대 표창 -- | 1966[54] |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 베트남, 1967[16] | |
베트남, 1968[16] | ||
베트남, 1969[16] | ||
남베트남 무공 십자장 (팜 포함) 부대 표창 --[16] | ||
이글 풀 작전 | ||
프리퀀트 윈드 작전 -- | ||
UDT 12 | 인도주의 봉사 훈장 | 1979 보트 피플[16] |
UDT 13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 베트남, 1969[55] |
남베트남 무공 십자장 (팜 포함) 부대 표창 -- | 1970[55] | |
UDT 14 | 해군 부대 표창 -- | 루손[16] |
해군 부대 표창 -- | 이오지마[16] | |
해군 부대 표창 -- | 오키나와[16] | |
UDT 21 | 해군 원정 훈장 |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 베트남[56] | |
베트남[16] | ||
베트남[16] | ||
베트남[16] | ||
UDT 22 | 해군 공로 부대 표창 -- | 베트남, 1969[57] |
11. UDT를 소재로 한 작품
- 프록맨(The Frogmen) (1951): 다나 앤드루스와 리처드 위드마크가 주연으로 출연한 제2차 세계 대전 영화이다. 수중폭파대를 소재로 하였으며, 현대 UDT 대원들이 여러 장면에 출연한다.
- 언더워터 워리어(Underwater Warrior) (1958): 앤드류 마턴이 감독했으며, 프란시스 더글러스 페인 중령의 회고록 ''네이키드 워리어스''(Naked Warriors)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EAL History: Before the First Mercury Splashdown |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https://web.archive.[...]
Navysealmuseum.com
2014-05-12
[2]
서적
The Frogmen of World War II: An Oral History of the U.S. Navy's Underwater Demolition Teams
https://books.google[...]
Pocket Star
[3]
웹사이트
Navy SEAL History
http://www.navyseals[...]
2008-01-25
[4]
간행물
Submarine Blasting, 301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Cruisebook, Seabee Museum Archives website
https://www.history.[...]
Seabee Museum Archives
2020-01
[5]
웹사이트
SEAL History: Origins of Naval Special Warfare-WWII |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https://navysealmuse[...]
Navysealmuseum.com
2014-05-12
[6]
서적
By Water Beneath the Walls
Bantam Books
[7]
웹사이트
This Week in Seabee History (Week of May 14)
https://web.archive.[...]
Navy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2017-05-12
[8]
웹사이트
Opening Omaha Beach: Ensign Karnowski and NCDU-45
https://web.archive.[...]
Navy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2014-06-06
[9]
웹사이트
Seal History: Origins of Naval Special Warfare – WWII
https://www.navyseal[...]
2017-10-18
[10]
문서
pp. 30–31 Dockery & Brutsman
[11]
문서
p.34 Dockery, Kevin & Brutsman, Bud ''Navy SEALs A History of the Early Years'' Berkley Publishing 2001
[12]
웹사이트
Naval Combat Demolition Units
http://www.specwarne[...]
2018-03-01
[13]
뉴스
Training the Fighting Seabees of WWII at Camp Peary
https://web.archive.[...]
2017-12-03
[14]
서적
The Fleet at Flood Tide: America at Total War in the Pacific, 1944–1945
Bantam Books
2017
[15]
웹사이트
World War II Era Beach Obstacles and Hedgehogs from Original NCDU School |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https://navysealmuse[...]
NavySealMuseum.com
2014-05-12
[16]
문서
Report on Naval Combat Demolition Units in Operation "Neptune" as part of Task Force 122, Submitted by: Lt.(jg) H. L. Blackwell, Jr. D-V(G), USNR, 5 July, 1944
https://www.ibiblio.[...]
[17]
서적
World War II US Navy Special Warfare Units
Osprey Publishing
[18]
문서
Commander, V Amphibious Corps to CinCPac, report, ''Underwater Demolition Teams, Recommendations Concerning-Based on Experience in Flintlock (Kwajalein)'', 2 June 1944, declassified from secret.
[19]
문서
The Water Is Never Cold, James Douglas O'Dell, 2000, p. 132, Brassey's, 22841 Quicksilver Drive, Dulles, Va. 20166
[20]
서적
Swift, Silent, and Deadly: Marine Amphibious Reconnaissance in the Pacific, 1942–1945
Naval Institute Press
2004
[21]
서적
Seals at War
https://books.google[...]
Dell Books
1993
[22]
웹사이트
This Week in Seabee History
https://web.archive.[...]
Navy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2016-09-12
[23]
서적
America's First Frogman: The Draper Kauffman Story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21-02-02
[24]
문서
Naked Warriors, Cdr. Francis Douglas Fane USNR (Ret.), St. Martin's Press, 175 Fifth Ave, New York, NY 10010, 1996, pp. 122, 131
[25]
문서
Amphibious Assault: Key to the World War II Battle for Peleliu, Toni L. Carrell, PhD,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web site
https://oceanexplore[...]
[26]
문서
This Week in Seabee History, Sept 10–17, for Sept 12, Seabee Magazine online
http://seabeemagazin[...]
[27]
문서
OSS in Action The Pacific and the Far East, Series: OSS Training in the National Parks and Service Abroad in World War II, Catoctin Mountain Park, Prince William Forest Park webpage, 8 August 2017, National Park Service, 1100 Ohio Drive, SW, Washington, DC 20242
https://www.nps.gov/[...]
[28]
문서
OPERATIONAL SWIMMER GROUP NAMES IS FROM A LIST WITH THE OSS HONOR ARTICLE PAGE, Military Memories webpage
http://www.armory.co[...]
[29]
웹사이트
The Teams in World War II
http://www.viewofthe[...]
2017-10-18
[30]
문서
UDT 13, The Men From Fort Pierce(excerpts), Marvin Cooper, U. S. Naval Special Warfare Archives web-site
http://www.navyfrogm[...]
[31]
문서
Underwater Demolition, "All Hands", The Bureau of Naval Personal Information Bulletin, October 1945, NAVPERS-0 NUMBER 343 pp. 12–15
https://www.navy.mil[...]
[32]
문서
NCDU 216 Photo
https://navysealmuse[...]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North Hutchinson Island, Fort Pierce, FL.
[33]
문서
USS BEGOR (APD-127) veterans webpage
https://www.ussbegor[...]
[34]
문서
UDT 11, U. S. Naval Special Warfare Archives web site, "The Men From Fort Pierce" by Marvin Cooper
http://www.viewofthe[...]
[35]
문서
UNDERWATER DEMOLITION TEAM HISTORIES, WWII UDT TEAM NINE, compiled by Robert Allan King for the UDT-SEAL Museum from public records at the Operational Archives of the Naval Historical Center, U. S. Naval Special Warfare Archives web-site
http://www.viewofthe[...]
[36]
웹사이트
UNDERWATER DEMOLITION TEAM HISTORIES, WWII UDT TEAM EIGHT
http://www.viewofthe[...]
UDT-SEAL Museum
[37]
간행물
Operations Crossroads, DNA 6032F
http://www.dtra.mil/[...]
Defense Nuclear Agency
[38]
웹사이트
USS BEGOR (APD-127) Veterans webpage
https://www.ussbegor[...]
[39]
문서
U.S. Naval Special Warfare Archives, After Operation Crossroads – Kili Island
http://www.navyfrogm[...]
2013-12-21
[40]
논문
Closed-circuit oxygen diving in the U.S. Navy
http://archive.rubic[...]
2009-03-18
[41]
논문
OSS Maritime
2000
[42]
논문
Lambertsen and O2: beginnings of operational physiology
http://archive.rubic[...]
2009-03-18
[43]
논문
The evolution of diving in UDT from WW II through Korea.
2000 Spring
[44]
웹사이트
CDR Doug Fane, Navy Udt leader
http://www.bigisland[...]
bigislandforum.org
2009-12-06
[45]
웹사이트
SEAL History: Underwater Demolition Teams in the Korean War |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https://navysealmuse[...]
Navysealmuseum.com
2014-05-12
[46]
웹사이트
Navy UDT-SEAL Museum: History, Korea
http://navysealmuseu[...]
navysealmuseum.com
2008-01-25
[47]
웹사이트
UDTs and the Space Flight Programs
https://www.navyseal[...]
UDT Navy Seal Museum Archives
[48]
웹사이트
SEAL History: Vietnam-The Men With Green Faces | National Navy UDT-SEAL Museum
https://web.archive.[...]
Navysealmuseum.com
2014-05-12
[49]
서적
A Founding Father of the Navy SEALs
http://www.navyfrogm[...]
[50]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Navy SEALs
https://web.archive.[...]
2013-05-12
[51]
논문
SEAL Story of – SEAL Teams
http://www.udtseal.o[...]
UDT-SEAL Association
2009-12-06
[52]
웹사이트
List of Award Abbreviations,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
https://web.archive.[...]
2018-03-16
[53]
웹사이트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website, Part 2 – Unit Awards
https://www.history.[...]
2015-08-31
[54]
웹사이트
US Navy Awards,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
https://awards.navy.[...]
[55]
웹사이트
US Navy Awards,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
https://awards.navy.[...]
[56]
웹사이트
US Navy Awards,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
https://awards.navy.[...]
[57]
웹사이트
US Navy Awards,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
https://awards.navy.[...]
[58]
문서
OPNAV NOTICE 1650, MASTER LIST OF UNIT AWARDS AND CAMPAIGN MEDALS
http://goatlocker.or[...]
DEPARTMENT OF THE NAVY,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0 NAVY PENTAGON, WASHINGTON, DC 20350-2000
2002-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