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안동시와 안동군이 통합되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에서는 정현모, 임영신, 김익기, 박해충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역대 선거 결과는 다양한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보수,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의 지지, 정당의 조직력 등이 당선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시의 정치 - 안동시 (2000년 선거구)
안동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안동시 갑, 안동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16년까지 존속하다가 예천군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안동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는 2018년 치러졌으며, 총 18명의 의원 중 자유한국당이 10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안동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안동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북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안동시·안동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安東郡중국어을 선거구는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안동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으로 안동시와 안동군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정현모가 당선되었다.
3. 2. 1949년 재보궐선거
1949년 재보궐선거에서 대한여자국민당 임영신 후보가 당선되었다. 임영신은 한국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 중 한 명이다.
3. 3.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1950년 독립노농당 김익기가 당선되었다. 1954년에는 무소속으로, 1958년에는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김익기는 초기 진보 성향에서 보수 정당인 자유당으로 당적을 변경하였다.
3. 4.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960년 선거에서 민주당의 박해충 후보가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정현모 후보가,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대한여자국민당 임영신 후보가 당선되었다.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와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독로당 김익기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으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익기 후보,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박해충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각 선거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정현모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현모 후보는 19,787표(55.87%)를 얻어, 13,023표(36.77%)를 얻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유태하 후보와 2,604표(7.35%)를 얻은 무소속 김중희 후보를 제쳤다. 당시 보수적인 성향의 유권자들이 정현모 후보를 지지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4. 2.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대한여자국민당 임영신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임영신 | 대한여자국민당 | 7,263 | 22.34% |
권중순 | 무소속 | 6,442 | 19.81% |
장택상 | 무소속 | 5,488 | 16.88% |
윤필영 | 조선민족청년단 | 4,296 | 13.21% |
유진걸 | 무소속 | 2,368 | 7.28% |
권오경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135 | 6.56% |
김병동 | 조선건국청년회 | 1,761 | 5.41% |
조흥노 | 무소속 | 1,672 | 5.14% |
남성민 | 무소속 | 1,078 | 3.31% |
합계 | 32,503 |
4. 3.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독로당 김익기 후보가 43.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익기 후보는 진보 성향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익기 | 독로당 | 13,066 | 43.13 |
유림 | 독로당 | 9,438 | 31.15 |
정휘양 | 대한청년당 | 3,397 | 11.21 |
김중희 | 대한국민당 | 2,667 | 8.80 |
김두화 | 독로당 | 1,724 | 5.69 |
합계 | 30,292 | 100.00 |
4. 4.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익기 후보가 40.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박해충 후보는 27.57%, 권오경 후보는 16.33%, 오성 후보는 10.60%, 권한상 후보는 4.66%를 득표하였다. 김익기 후보는 보수와 진보 양 진영의 후보들이 경쟁한 가운데,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중도층의 지지를 확보한 것으로 분석된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익기 | 무소속 | 13,933 | 40.82 |
박해충 | 무소속 | 9,412 | 27.57 |
권오경 | 무소속 | 5,575 | 16.33 |
오성 | 무소속 | 3,620 | 10.60 |
권한상 | 무소속 | 1,592 | 4.66 |
합계 | 34,132 | 100 |
4. 5.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익기 후보가 42.4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당시 여당이었던 자유당의 조직력과 보수 유권자들의 결집이 당선 요인으로 분석된다.
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박해충 후보가 39.1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해충 | 민주당 | 15,413 | 39.12 |
유림 | 독립노농당 | 6,106 | 15.50 |
김구직 | 무소속 | 4,187 | 10.62 |
박무칠 | 무소속 | 4,067 | 10.32 |
권태리 | 사회대중당 | 4,051 | 10.28 |
강석일 | 무소속 | 3,546 | 9.00 |
오성 | 한국사회당 | 2,020 | 5.12 |
합계 | 39,390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