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하기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하기는 일본 제국 해군이 1912년 취역한 지쿠마급 경순양함이다. 1907년 해군 확장 계획에 따라 건조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연합국 측에서 활동했다. 이후 시베리아 출병에 참여했고, 중일 전쟁 발발 후 훈련선으로 사용되다가 1940년 해군 함정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1947년에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쿠마급 방호순양함 - 지쿠마 (방호순양함)
    지쿠마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지쿠마급 방호순양함의 1번함으로, 자매함 야하기, 히라도와 함께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처음으로 터빈 기관을 채용하여 각기 다른 타입의 기관 성능을 시험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러 해역에서 작전에 참가 후 1935년경 격침 처분되었다.
  • 지쿠마급 방호순양함 - 히라도 (방호순양함)
    히라도는 러일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1907년 일본 해군 확장을 위해 건조된 치쿠마급 방호순양함의 2번함이자 일본 해군이 건조한 마지막 방호순양함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했고, 전간기에는 훈련 및 순찰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0년 해군 명부에서 삭제된 후 1944년 해체되어 이와쿠니 항구의 방파제로 사용되었다.
  • 1911년 선박 - RMS 타이타닉
    RMS 타이타닉은 1912년 처녀 항해 중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한 호화 여객선으로, 당시 세계 최대 크기를 자랑하며 2,200명 이상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우고 뉴욕으로 향하다 침몰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된다.
  • 1911년 선박 - 지쿠마 (방호순양함)
    지쿠마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지쿠마급 방호순양함의 1번함으로, 자매함 야하기, 히라도와 함께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처음으로 터빈 기관을 채용하여 각기 다른 타입의 기관 성능을 시험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러 해역에서 작전에 참가 후 1935년경 격침 처분되었다.
  • 일본의 순양함 - 이쓰쿠시마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는 189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인도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12년 2등해방함으로 분류가 변경된 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1926년 해체되었다.
  • 일본의 순양함 - 요시노 (방호순양함)
    요시노는 1893년 영국에서 건조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군함이었으나 1904년 러일 전쟁 중 장갑순양함 가스가와 충돌하여 침몰했다.
야하기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함명야하기
원어 함명矢矧
함명 유래야하기강
함종지쿠마급 방호순양함
함번3
1916년의 야하기
1916년의 야하기
제원
배수량5,121톤
전장144.8m
선폭14.2m
흘수5.1m
추진4축 파슨스식 터빈 엔진, 16개 보일러
마력22,500마력 (16,800 kW)
연료1,128톤 석탄
속력26노트 (시속 48 km/h; 30 mph)
항속 거리10노트(19 km/h)로 19,000km
장갑갑판: 27-57mm, 사령탑: 100mm
정원370명
무장
주포8 × QF 150mm /45 41년형 포
부포4 × QF 12 파운드 12cwt 함포
기관총2 × 7.7mm 루이스 경기관총
어뢰3 × 18인치 어뢰발사관
건조 및 취역
발주1907년 회계년도
기공1910년 6월 20일
진수1911년 10월 3일
취역1912년 7월 27일
퇴역1940년 4월 1일
최후1940년 해체
건조 조선소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소속
국가일본 제국 해군
동형함지쿠마, 히라도

2. 건조 배경 및 설계

`야하기`는 일본 제국 해군러일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1907년 해군 확장 계획에 따라 건조한 지쿠마급 순양함 3척 중 하나이다. 이 함급은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택했으며, 기관 성능 비교를 위해 동급함마다 다른 종류의 기관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야하기`는 이러한 설계 방침에 따라 건조된 함선이다.

2. 1. 건조 과정

지쿠마급 순양함은 러일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1907년 일본 해군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했다. 기관 성능 비교를 위해 동급함 3척(지쿠마, ''야하기'', 히라도)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기관이 탑재되었는데, ''야하기''에는 파슨스식 증기 터빈 4기 4축 추진 방식이 채택되었다.

1909년 12월 23일, 나가사키 미쓰비시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인 이등 순양함(프로젝트명 궁호(呂號))을 내부적으로 '야하기(矢矧)'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야하기''는 1910년 6월 20일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 1911년 10월 3일 진수식을 거행하며 정식으로 ''야하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후 1912년 7월 27일에 취역하였고, 동시에 이등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

2. 2. 설계 특징

지쿠마급 순양함은 일본 해군의 순양함 중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한 함급이다. 기관 성능 비교를 위해 동급함 3척(지쿠마, 야하기, 히라도)에는 각각 다른 유형의 기관을 탑재했는데, 야하기는 파슨스식 증기 터빈을 선택했다.

야하기는 전체 길이 144.8m, 너비 14.2m의 선체를 가졌으며, 통상 배수량은 5,040톤, 흘수선은 5.1m였다.

주 기관으로는 총 22,500 마력의 출력을 내는 파슨스 증기 터빈 엔진 2기를 탑재하여 2개의 스크루를 구동했다. 보일러는 캄폰 보일러 16기를 장착했으며, 4개의 높은 굴뚝을 통해 배기했다. 이 엔진 덕분에 당시로서는 빠른 27.14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었으나,[1] 신형 엔진의 기어 재료 강도 문제로 유지 보수가 어려워 제 성능을 발휘하기는 힘들었다.

무장은 15 cm/45 41년식 주포 8문을 장비했는데, 함수와 함미에 각 1문씩, 그리고 선체 양쪽 스폰슨에 3문씩 배치되었다. 지쿠마급 순양함은 측면 무장과 주포에 동일한 구경의 포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었다. 부무장으로는 QF 12파운더 12 cwt 해군포 4문과 7.7mm 루이스 기관총 2정을 탑재했다. 또한, 457mm 어뢰를 발사하는 어뢰 발사관 3문을 갖추었다. 1919년 이후에는 대공 방어 강화를 위해 4번 굴뚝의 빔 부분에 8 cm/40 3년식 해군포 2문을 추가로 설치하고, 기존의 12파운더 포 3문을 제거했다.[1]

3. 함력

지쿠마급 순양함의 2번함인 야하기는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한 함선 중 하나이다[10]. 기관 성능 비교를 위해 동급함 3척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기관이 탑재되었는데, 야하기에는 파슨스식 증기 터빈 4기와 4축 추진 방식이 채택되었다[10].

야하기는 1910년 6월 20일, 미쓰비시 합자회사 미쓰비시 조선소에서 기공되었고[12], 1911년 10월 3일에 진수식을 거쳐 정식으로 '야하기'로 명명되었다[12][5][9]. 1912년 7월 27일에 준공되었으며, 같은 날 일본 해군의 이등함(경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12][14].

취역 후 야하기는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다. 1915년 12월 4일 요코하마 앞바다에서 열린 특별 관함식에서는 공봉함(供奉艦)으로 참가했다[15][16].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남양 군도 점령 작전에 참가했으며, 남중국해, 인도양, 술루해 등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12]. 1917년에는 연합국 함선 호위 임무를 마치고 호주 프리맨틀에 입항하려다 해안포로부터 경고 포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이후 호주 총독의 사과로 마무리되었다.

전후에는 시베리아 출병에 참가하여 일본 지상군을 지원했으며, 1918년에는 스페인 독감 유행으로 마닐라에 긴급 입항하여 많은 승무원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1922년에는 히로히토 황태자시코쿠 순행 시 일부 구간에서 어소함(御召艦) 임무를 수행하고 공봉함으로 동행했다[17][21][24]. 1923년부터는 주로 중국 해역 경비 임무에 투입되어 양쯔강 등지에서 활동했다[12]. 1926년 함정 분류 등급 개정에 따라 지쿠마급 순양함의 3번함이 되었다[11].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예비함으로 분류되었고, 1940년 4월 1일에 함적에서 제외되어 '폐함 제12호'로 가칭되었다[26]. 이후 구레 해병단의 연습선으로 사용되다가 1943년에는 오타케로 옮겨져 해군 잠수 학교에서 사용되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인 1947년 1월 31일부터 7월 8일까지 가사도의 도크에서 해체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1912년의 야하기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 제국영일 동맹에 따라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였다. 야하기는 1914년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이 이끄는 독일 동아시아 전대를 추격하는 일본 함대에 속했다. 야하기는 히라도와 함께 마쓰무라 다쓰오 소장이 지휘하고 전함 사쓰마가 이끄는 연합군 제2 남부 전대에 배속되어, 독일 순양함 엠덴을 수색하기 위해 수마트라 일대를 순찰했으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또한 야하기는 남양 군도 점령 작전에 참가했으며[12], 남중국해, 인도양, 술루해 등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12]. 1914년 12월부터 1915년 1월까지는 치쿠마와 함께 호주 북부 퀸즐랜드 해안에서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1917년 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은 야하기를 비롯하여 쓰시마, 스마, 니이타카 순양함과 제2 구축대로 구성된 제1 특별 전대를 창설했다. 이 전대는 싱가포르에 기지를 두었으며 오구리 고자부로 소장이 지휘했다. 같은 해 3월 26일, 영국 해군성은 독일의 통상 파괴 작전에 대응하여 연합국 선박 보호 강화를 위해 치쿠마와 히라도를 호주와 뉴질랜드에 추가로 파견해 줄 것을 일본 측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야하기와 스마는 인도양으로 이동하여 영국 중국 전대와 협력 작전을 지속했고, 쓰시마와 니이타카는 모리셔스로 이동했다. 야하기는 1917년 5월부터 10월까지 호주와 뉴질랜드 동부 해안을 순찰하며 연합군 함선 호위 작전에 기여했다.

1917년 11월 20일, 연합국 함선 호위 임무를 마치고 호주 프리맨틀 항에 입항하려던 야하기는 해안포로부터 포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포탄 한 발이 야하기의 돛대를 스치고 갑판을 넘어 바다에 떨어졌다. 호주 정부는 야하기에 탑승하고 있던 도선사가 입항 시 요구되는 적절한 신호를 보내지 않아 경고 차원에서 포격한 것이라고 해명했으며,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총독이 퍼스에 정박 중인 야하기를 직접 방문하여 함장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호주와 뉴질랜드 방어 임무를 수행하던 야하기는 1918년 10월 21일 시드니를 출발하여 일본으로 귀환했다.

3. 2. 시베리아 출병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야하기''는 볼셰비키 적군에 맞선 일본시베리아 출병 기간 동안 러시아 동부 해안에서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시베리아에 파견된 일본 지상군에게 보급품을 제공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3. 3. 전간기

1932년경, USS ''Black Hawk'' (AD-9)에서 촬영한 ''야하기'', 아마도 필리핀 마닐라 만에 있었을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야하기''는 볼셰비키 적군에 맞선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 기간 동안 시베리아에 있는 일본 지상군에 보급품을 제공하고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 동부 해안에서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1918년 12월, ''야하기''의 승무원들은 스페인 독감 대유행으로 인플루엔자에 걸렸고, 이로 인해 필리핀 마닐라 항구에 46일 동안 긴급 입항해야 했다. 이 기간 동안 승무원 300명이 활동 불능 상태가 되었고, 48명이 사망했다. 1938년에 매장지에 세워진 기념비는 오늘날에도 발렌수엘라에 남아 있다.

1922년(다이쇼 11년) 11월, 다이쇼 천황의 황태자(섭정궁 히로히토 친왕, 후의 쇼와 천황)가 특별 기동 훈련 통제를 위해 시코쿠로 향했을 때, ''야하기''는 어소함(御召艦)의 임무를 일부 수행했다[17][18][19]. 11월 22일, 황태자는 가가와현 다카마쓰항에서 ''야하기''(함장 시마 유키치 대좌)에 승선하여 에히메현 이마바리시로 이동했고, 같은 날 오후 다시 ''야하기''를 타고 미쓰하마정으로 이동했다[21]. 이 순행에서 주 어소함은 전함 이세였으며, ''야하기''는 구축함 타니카제와 함께 공봉함(供奉艦)으로도 활동했다[24].

1923년(다이쇼 12년)부터 ''야하기''는 주로 중국 해역의 경비 활동에 투입되었으며[12], 마닐라마카오에 자주 입항했다. 1923년부터 1937년까지는 순양함 도네를 대신하여 양쯔강 순찰 임무를 수행하며 중국 내륙 수역에서 해상 경계 임무를 맡았다.

1926년(다이쇼 15년) 11월 29일, 함정 종류 등급 개정에 따라 지쿠마급 순양함이 제정되면서 ''야하기''는 동급의 3번함으로 분류되었다[11].

1935년(쇼와 10년) 3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히로시마현 구레시에서 개최된 국방과 산업 대박람회에서는 려호 제53 잠수함과 함께 일반 관람에 제공되었다[25].

1937년 중일 전쟁이 시작된 후, ''야하기''는 예비함으로 분류되어 주로 계류 훈련선으로 사용되었다.

3. 4. 중일 전쟁 및 태평양 전쟁

1940년 4월 1일, 야하기는 함적에서 제외되어 '''폐함 제12호'''로 가칭되었다[26]. 이후 구레 해병단의 연습선으로 사용되었다. 1943년에는 오타케로 옮겨져 해군 잠수 학교에서 사용되다가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이했다. 전후 1947년 1월 31일부터 7월 8일까지 가사토 조선소의 도크에서 해체되었다.

3. 5. 최후

1940년 4월 1일 제적되어 '''폐함 제12호'''로 가칭되었고[26], 구레 해병단의 연습선으로 사용되었다. 1943년에는 오타케로 회항하여 해군 잠수 학교에서 사용되다가 종전을 맞이했다. 1947년 1월 31일부터 7월 8일까지 가사토섬 도크에서 해체되었다.

4.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1918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독감(인플루엔자)은 야하기 함에도 큰 비극을 안겼다. 1918년 10월, 야하기는 군함 치토세와 교대 명령을 받고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를 출항하여 함대 사령부가 있던 싱가포르에 11월 9일 입항했다. 교대함 도착을 기다리며 정박하는 동안, 함장 야마구치 덴이치 대좌는 승무원들의 사기를 고려하여 상륙을 허가했다. 당시 다른 함정에서도 독감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으나, 싱가포르 시내를 눈앞에 두고 승무원들을 함내에만 머물게 하는 것이 사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한 것으로 추측된다.[27]

11월 30일 싱가포르를 출항한 후, 함내에 스페인 독감이 급속도로 퍼지기 시작했다. 감염자가 늘어났지만 제대로 된 치료나 간호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식사를 준비할 취사병마저 부족해져 승무원들은 밥과 소금으로 끼니를 때우는 등 처참한 상황에 놓였다. 12월 5일, 야하기는 필리핀 마닐라에 긴급 입항했다. 당시 함선은 닻을 올리거나 밧줄을 내릴 승무원조차 부족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였으며, 갑판 곳곳에 쓰러져 신음하는 승무원들의 모습은 방문객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마닐라 입항 후에도 사망자가 속출했다. 12월 9일 후몬 부장이 사망한 것을 시작으로, 10일에는 14명, 11일 5명, 12일 8명, 13일 4명이 사망했다. 총 사망자는 함내에서 6명, 병원에서 42명으로 총 48명에 달했다. 이는 당시 승선 인원 469명(편승자 포함) 중 상당한 비율이었다.[28] 야하기는 마닐라 항구에 46일 동안 머물러야 했으며, 이 기간 동안 승무원 300명이 활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1921년 1월 19일, 마닐라 교외 산페드로 마카티의 영국인 묘지에 높이 1장 6척(약 4.8m)의 "마닐라 주둔 군함 야하기 병사자 묘비"가 세워졌고, 같은 날 납골식이 거행되었다. 또한, 야하기 신사에 사진 액자를 봉납(1920년 5월 27일)하고, 신사의 분령(分霊)을 함선에 안치(1920년 9월 7일)했으며, 1/100 크기의 함선 모형을 봉납(1921년 10월 말)하고 승무원 전원이 참배하는 등 추모 활동이 이어졌다. 야하기 신사의 분령을 함선에 안치한 것은 일본 해군 내에서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되며, 이후 함내 신사 설치가 해군 전체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1937년 3월 4일에는 일본 구레 해군 묘지 내에 유족들의 뜻을 모아 "군함 야하기 순직자지비"가 건립되었다. 이 비석은 이후 일부 변형(표면 제자 및 뒷면 금속판 제거)되었다가, 1982년에 제자만 복원되었다. 뒷면 금속판의 내용은 기록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당시 "구레 신문" 기사에 전문으로 보이는 내용이 실려 있어 복원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필리핀 발렌수엘라에도 1938년 매장지에 세워진 기념비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5. 기념물 및 유물

아이치현 야하기 신사 (오카자키시)에는 승무원들이 봉납한 1/100 크기의 군함 모형과 관련 자료들이 보존되어 있다.[1] 또한, 함선 함수를 장식했던 국화 문장은 오사카 호국 신사에 현존하며, 이는 일본 전국적으로도 드문 유물로 평가받는다.

5. 1. 야하기 신사 봉납 모형

아이치현 야하기 신사 (오카자키시)에는 유리 케이스에 보관된 1/100 크기의 야하기 봉납 모형이 현존한다.[1] 이는 1921년(다이쇼 10년) 4월 5일과 6일 양일간, 가마고리항에 정박 중이던 야하기의 전 승무원이 상륙하여 이 신사에 참배한 것을 기념하여 승무원들의 손으로 직접 제작된 것이다.[1] 모형은 같은 해 10월 말에 신사에 봉납되었다.[1]

전 승무원의 신사 참배는 이후에도 이어졌는데, 1922년(다이쇼 11년) 4월 4일과 5일, 그리고 1925년(다이쇼 14년)에는 지타군 다케토요항에 정박 중일 때 이루어졌다.[1] 이 외에도 신사에는 1920년(다이쇼 9년) 5월 27일자 봉납 사진 액자, 두 차례의 참배 요령, 함장의 명함, 관련 신문 기사 등의 자료가 권자장(巻子装) 자료로 보존되어 있다.[1]

한편, 1911년(메이지 44년) 10월 3일 나가사키 미쓰비시 조선소에서의 진수 기념 엽서 3점과 야하기 신사 참배 시에 발행된 『야하기의 족자』(16페이지, 19cm)는 오카자키 시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1] 이 중 『야하기의 족자』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1]

5. 2. 국화 문장

군함 야하기의 함수를 장식했던 '''국화 문장'''(菊の御紋|키쿠노 고몬일본어, 16엽 팔중)이 현재 오사카 호국 신사 본전에 남아 있다. 이 문장은 철제 프레임에 부착되어 전시 중이다. 크기는 직경 약 75cm, 두께 약 7cm의 목재이며, 금색(금박으로 추정)을 띠고 있다.

문장 뒷면에는 먹으로 쓴 글씨가 남아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일본 군함 야하기의 어문장"

"이 어문장은 대동아 전쟁 중 오사카 국방관에 하사되어, 쇼와 20년(1945년) 8월 15일 종전과 동시에 오사카 호국 신사에 봉납되었으며, 이듬해 21년(1946년) 8월 동 신사로부터 배령한 것이다"

"이마이 가이치로"

이 문장은 야하기가 쇼와 15년(1940년) 4월 1일에 제적될 때 함선에서 분리되었다. 이후 어떤 경위로 '오사카 국방관'에 하사되었고, 오사카 대공습으로 국방관이 소실되기 전에 다른 곳에 보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종전일인 쇼와 20년(1945년) 8월 15일에 오사카 호국 신사에 봉납되었다. 당시 신사의 신직이었던 이마이 가이치로(今井嘉一郎일본어)는 진주군에 의해 몰수될 것을 우려하여 문장을 개인적으로 보관해왔다. 이후 헤이세이 27년(2015년) 이후 그의 아들에 의해 신사에 반환되었다.

원래 야하기의 함수는 뾰족한 형태였으며, 뱃머리 좌우 양쪽에 국화 문장이 하나씩 부착되어 있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현재 남아있는 것은 오른쪽에 붙어있던 것이라고 한다. 이 문장은 일본 전국적으로도 보기 드문 유물로 평가받는다.

6. 역대 함장

※『일본 해군사』 제9권·제10권의 「장관 이력」 및 『관보』에 근거함. 계급은 취임 당시 기준.순번계급이름재임 기간비고1대좌코바야시 케이키치로(小林恵吉郎)1912년 4월 20일 - 1912년 12월 1일겸 해군 함정본부 의장원 (1912.4.20-7.31)
겸 사세보 해군 공창 의장원 (1912.7.31-8.31)2대좌야마오카 토요이치1912년 12월 1일 - 1913년 12월 1일3대좌사카모토 노리토시(坂本則敏)1913년 12월 1일 - 1914년 5월 6일4대좌나가시마 지로(永田次郎)1914년 5월 6일 - 1915년 2월 1일5대좌시마우치 칸타1915년 2월 1일 - 1915년 12월 13일6대좌우치다 토라사부로(内田虎三郎)1915년 12월 13일 - 1916년 12월 1일7대좌미야지 민사부로(宮地民三郎)1916년 12월 1일 - 1917년 12월 1일8대좌야마구치 덴이치(山口伝一)1917년 12월 1일 - 1918년 12월 1일9대좌오구라 요시아키1918년 12월 1일 - 1919년 10월 1일10대좌후지무라 쇼키치(藤村昌吉)1919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5일재임 중 사망11대좌타카쿠라 마사하루(高倉正治)1919년 12월 18일 - 1920년 12월 1일12대좌츠네마츠 켄조(恒松兼三)1920년 12월 1일 - 1921년 4월 14일13대좌사코니 마사조1921년 4월 14일 - 1921년 11월 20일14대좌시마 유키치(島祐吉)1921년 11월 20일 - 1922년 12월 1일15대좌마시코 로쿠야(益子六弥)1922년 12월 1일 - 1924년 12월 1일16대좌야마모토 토키히코(山本徳彦)1924년 12월 1일 - 1925년 4월 20일17중좌사가라 타츠오(相良達雄)1925년 4월 20일 - 1925년 12월 1일18대좌카와무라 기이치로(河村儀一郎)1925년 12월 1일 - 1926년 11월 1일19대좌헤미 타츠히코(辺見辰彦)1926년 11월 1일 - 1927년 12월 1일20대좌이케나카 켄이치(池中健一)1927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21대좌코하타 타케시(木幡行)1928년 12월 10일 - 1929년 5월 1일22대좌이노우에 카츠즈미1929년 5월 1일 - 1929년 11월 30일23대좌마스시마 타다오(増島忠雄)1929년 11월 30일 - 1930년 11월 15일24대좌미토 하루조(水戸春造)1930년 11월 15일 - 1931년 5월 15일25대좌이와무라 세이이치1931년 5월 15일 - 1931년 12월 1일26대좌이노우에 야스오(井上保雄)1931년 12월 1일 - 1932년 12월 1일


7. 동형함

참조

[1] 문서 Friedman, p. 237
[2] 문서 "[[#戦史叢書31海軍軍戦備1]]pp.229-231"
[3] 문서 "[[#M45-T1公文備考27/軍艦筑摩、矢矧、平戸製造の件(3)]]画像22"
[4] 문서 "[[#海軍制度沿革11-2(1972)]]pp.1057-1087、昭和3年2月14日(内令43)艦船要目公表範囲。"
[5] 문서 "[[#M45-T1公文備考27/軍艦筑摩、矢矧、平戸製造の件(5)]]画像45-46、官房第3394号"
[6] 간행물 "達第百九號 軍艦河內外四隻ニ左ノ通信號符字ヲ點付ス 明治四十四年十月三日 海軍大臣 男爵齋藤實 信號符字 艦名 GQHM 河內 GQHN 攝津 GQHP 筑摩 GQHR 矢矧 GQHS 平戶」"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 간행물 "達第百二十七號 左記艦艇ノ信號符字ヲ各頭書ノ通改正ス 本達ハ昭和八年十二月二十八日ヨリ之ヲ實施ス 昭和八年十月十八日 海軍大臣 大角岑生 新符字 舊符字 艦艇名 …JJDA GQHR 矢矧…"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 문서 "[[#軍艦2600年|日本軍艦集2600年版]]コマ37(原本44頁)『―二等巡洋艦― 矢矧(やはぎ) 基準排水量4,400噸、長さ134.11米、幅14.15米、平均吃水5.03米、速力26節、備砲15糎砲8門、8糎高角砲2門、8糎砲2門、魚雷發射管3門、起工明治43年6月20日、進水明治44年10月3日、竣工明治45年7月27日、建造所三菱長崎造船所―我國最古の輕巡。同型艦に平戸(明治45年6月17日竣工)がある。』"
[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200(原本361頁)『◎二等巡洋艦矢矧命名ノ件 明治四十四年十月三日(達一〇八)長崎三菱造船所ニ於テ製造ノ呂號二等巡洋艦ヲ矢矧ト命名セラル』"
[10] 문서 "[[#丸写真五|写真日本の軍艦重巡(I)]]251-252頁『阿部安雄、日露戦争後の巡洋艦』"
[11]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64-66(原本88-92頁)『◎艦艇類別等級 大正十五年十一月二十九日(內令二三八)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定ム(別表)』『軍艦|巡洋艦|二等|筑摩、平戶、矢矧』"
[12] 문서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コマ129(原本204頁)
矢矧(やはぎ) 艦種二等巡洋艦
艦名考川の名、矢作川に採る、河は三河國にあり、矢作は古來 矢矧・矢矯・箭作等と混用す、此艦名は矢矧として命名せられたるなり。
艦歴大正3年乃至9年戰役(日獨)に從軍:同3年9月第二南遣支隊に属し西カロリン群島方面警戒、次で印度洋方面警備(艦長大佐長鋪次郎)、昭和6・7年事變(日支)に從軍:同7年1月南支那方面警備(艦長大佐井上保雄)。
―要目― 長134.11米/幅14.15米/吃水5.03米/排水量4,400噸/機關 タルビン2軸/馬力 22,500/速力 26/兵装 15糎砲8 8糎高角砲2 發射管3
起工 明治43-6-20 進水 同44-10-3 竣工 同45-7-27 建造所 三菱長崎造船所』"

[13]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200(原本360頁)『◎二等巡洋艦筑摩矢矧及平戸命名ノ件/明治四十二年十二月二十三日(內令二一六)/新造軍艦三隻艦名左ノ通御治定ニツキ命名式擧行マテ部內限リ通用スルコトヲ得ル義ト心得ヘシ
佐世保海軍工廠ニ於テ建造 伊號二等巡洋艦 チク
長崎三菱造船所ニ於テ製造 呂號二等巡洋艦 ハキ
神戸川崎造船所ニ於テ製造 波號二等巡洋艦 ヒラ』"

[14]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56(原本72頁)『明治四十五年七月二十七日(達七九)艦艇類別等級別表中巡洋艦ノ欄内「平戶」ノ次ニ「矢矧」ヲ加フ』"
[15] 문서 "[{{NDLDC|953954/255}} 『御大礼記録』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255] 『同時に艦隊の編成は行はれたり、左の如し。御召艦 筑波 供奉艦 常磐、矢矧、滿州 …』"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6] 문서 "[{{NDLDC|953954/257}} 『御大礼記録』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257] 『去程に午前十時ともなれば御召艦は徐ろに錨を拔き、輕巡洋艦矢矧の御先導にて供奉艦常磐、滿州を隨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7]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42-743頁『(大正11年11月)十二日 日曜日 特別大演習御統裁のため香川県へ行啓/東京駅御発/静岡御用邸御着』"
[18]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43-744頁『(大正11年11月)十三日 月曜日 静岡駅御発/神戸駅御着/軍艦伊勢に御乗艦』"
[19]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44頁『(大正11年11月)十四日 火曜日 高松港御着/大本営披雲閣/大演習の一般方略』"
[20]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51頁『(大正11年11月)二十日 月曜日 南海道行啓/屋島/崇徳天皇陵に御参拝/高屋神社』"
[21]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54-755頁『(大正11年11月)二十二日 水曜日 高松御出港/今治御着/今治中学校/吹揚公園/今治御出港/三津浜御上陸』"
[22]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58頁『(大正11年11月)二十四日 金曜日 三津グラウンド/愛媛県行啓関係者御陪食/御出港』"
[23]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68-769頁『(大正11年12月)一日 金曜日 洲本御出港/由良要塞司令部/深山御入港』"
[24] 문서 "[[#S天皇実録三|昭和天皇実録三]]763頁『(大正11年11月)二十八日 火曜日 小松島御入港』"
[25] 문서 "[{{NDLDC|1218737/234}} 呉市編『呉市主催国防と産業大博覧会誌』。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 https://dl.ndl.go.jp[...] 呉市編『呉市主催国防と産業大博覧会誌』。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6] 간행물 "官房第一六五五號 當分ノ間除籍艦船ヲ左ノ通假稱シ部內限之ヲ使用ス 昭和十五年四月一日 海軍大臣/假稱名 舊艦名/廢艦第九號 舊軍艦 韓崎/廢艦第十號 舊軍艦 對馬/廢艦第十一號 舊軍艦 平戶/廢艦第十二號 舊軍艦 矢矧/廢艦第十三號 舊軍艦 淀/廃艦第十四號 舊特務艦 洲埼/廢艦第十八號 舊驅逐艦 浦風/廢艦第十九號 舊驅逐艦 谷風/廃艦第二十號 舊驅逐艦 時津風/廢艦第二十一號 舊驅逐艦 榎/廢艦第二十二號 舊驅逐艦 椿(以下略)』"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논문 "日本を襲ったスペイン・インフルエンザ"
[28] 논문 속수미 전저
[29] 뉴스 『관보』제530호 1914-05-07
[30] 간행물 해군 사령 공보 다이쇼 4년 2월 아시아 역사 자료 센터
[31] 뉴스 『관보』제2199호 1919-12-02
[32] 뉴스 『관보』제2218호 1919-12-24
[33] 뉴스 『관보』제2214호 1919-12-19
[34] 뉴스 『관보』제2501호 1920-12-02
[35] 뉴스 『관보』제2609호 1921-04-15
[36] 간행물 官報 第3684号 1924-12-02
[37] 간행물 官報 第3796号 1925-04-21
[38] 간행물 官報 第4258号 1926-11-02
[39] 간행물 官報 第279号 1927-12-02
[40] 간행물 官報 第587号 1928-12-11
[41] 간행물 官報 第699号 1929-05-02
[42] 간행물 官報 第878号 1929-12-02
[43] 간행물 官報 第1166号 1930-11-17
[44] 서적 해군제도연혁(8권, 19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