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엄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월 엄씨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귀화한 엄림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엄수안, 엄공근 등이 활동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개국공신 엄유온,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했다. 영월 엄씨는 군기공파, 복야공파, 문과공파로 나뉘며, 주요 인물로는 고려의 유학자 엄정간이 있다. 집성촌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함경남도 함주군, 경기도 화성시, 광주시, 전라남도 곡성군 등에 분포하며,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어 성종의 후궁 귀인 엄씨, 고종의 후궁 순헌황귀비 등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월 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한국 |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
주요 구성원 | 엄현경 유아인 엄지원 엄효섭 엄태웅 엄정화 엄홍길 엄기영 엄앵란 엄복동 |
웹사이트 | 영월 엄씨 대종회 |
역사 | |
시조 | (엄림의) |
통계 | |
2015년 인구 | 140,206명 |
2. 역사
영월 엄씨의 시조 엄림의/嚴林義중국어는 당나라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신라에 와서 내성군(奈城郡)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영월 엄씨는 크게 군기공파(軍器公派), 복야공파(僕射公派), 문과공파(文科公派)로 나뉜다. 군기공파는 엄태인, 복야공파는 엄덕인, 문과공파는 엄처인을 파조로 한다.
영월 엄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유학자인 엄정한이 대표적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와 팔괴리, 북면 문곡리, 남면 북상리와 조전리, 함경남도 함주군 지곡면 흥서리[5],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구 태안면 능리),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금산리에 영월 엄씨 집성촌이 있다.[4]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의 영월 엄씨 인구는 1,659명으로, 영월군 전체 인구의 4.82%를 차지하며, 이는 전국에서 영월 엄씨가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4] 경기도화성시의 영월 엄씨 인구는 1,891명으로, 화성시 전체 인구의 0.35%를 차지한다.[4]
wikitext
고려 시대에는 엄수안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6]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11세 엄유온은 조선 개국공신으로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역임하였고, 그의 증손녀가 성종의 후궁인 귀인 엄씨이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하였다. 16세 엄흔은 중종 때 홍문관전한(典翰)을 지냈고, 엄흔의 현손인 엄집은 숙종 때 우참찬에 이르렀다. 엄집의 손자 엄숙은 영조 때 대사헌에 올랐고, 엄숙의 손자 엄도는 순조 때 대사간을 역임하였다. 25세 엄석정은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 엄진삼의 딸은 고종의 후궁 순헌황귀비이며, 순헌황귀비의 아들이 황태자가 된 영친왕이다.
3. 분파
4. 인물
5. 집성촌
6. 항렬자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석(錫) 口영(永) 주(柱) 口섭(燮) ○세손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행렬자[5] 석(錫) 영(永) 주(柱) 섭(燮) 재(在) 용(鎔) 태(泰) 상(相) 희(熙) 배(培) ○세손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행렬자[5] 선(善) 수(洙) 병(柄) 점(點) 규(奎) 현(鉉) 낙(洛) 표(杓) 환(煥) 준(埈)
6. 1. 대동항렬
wikitable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석(錫) | 口영(永) | 주(柱) | 口섭(燮) 口현(炫) | 재(在) 익(翼) 기(基) | 口용(鎔) 口호(鎬) 口현(鉉) | 태(泰) | 口상(相) 口식(植) | 희(熙) | 口배(培) | 선(善) | 口수(洙) | 동(東) 병(柄) | 口훈(勳) 口묵(默) | 규(奎) | 口강(鋼) 口현(鉉) | 낙(洛) | 口표(杓) | 환(煥) | 口준(埈) | 일(鎰) |
○세손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
행렬자[5] | 석(錫) | 영(永) | 주(柱) | 섭(燮) 현(炫) | 재(在) 익(翼) 기(基) | 용(鎔) 호(鎬) | 태(泰) | 상(相) 식(植) | 희(熙) | 배(培) |
○세손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행렬자[5] | 선(善) | 수(洙) | 병(柄) 동(東) | 점(點) 훈(勳) | 규(奎) | 현(鉉) 강(鋼) | 락(洛) | 표(杓) | 환(煥) | 준(埈) |
7.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영월엄씨 寧越嚴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2
[4]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5]
웹사이트
엄씨(嚴氏) 본관(本貫) 영월(寧越)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간행물
《고려사》 권106, 열전19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