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과 나》는 조선 성종 시대의 내시 김처선을 중심으로, 성종, 폐비 윤씨, 연산군의 이야기를 다룬 2007년작 MBC 드라마이다. 김처선은 성종과 윤소화의 어린 시절 친구였으며, 윤소화가 성종의 후궁이 되자 거세하고 입궐하여 그들을 돕는다. 연산군 시대에 김처선은 폭정을 막으려다 죽음을 맞이하며 드라마는 마무리된다. 이 드라마는 역사 왜곡, 제작 과정의 문제, 시청률 부진 등의 논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예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조선 예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임금님의 사건수첩
영화 《임금님의 사건수첩》은 예종과 사관 윤이서가 조선 왕조를 위협하는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조선 성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조선 성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어우동 (영화)
어우동은 조선 성종 시대 유교 사상 속 여성 억압을 배경으로 이보희, 안성기 주연의 영화로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백상예술대상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 세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설중매 (드라마)
《설중매》는 1984년부터 1985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인수대비와 한명회를 중심으로 계유정난, 사육신 사건 등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었으나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다. - 조선 세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공주의 남자
2011년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 '공주의 남자'는 조선 세조 시대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수양대군의 딸 이세령과 김종서의 아들 김승유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이다.
왕과 나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5분 (한국 표준시) |
방송 분량 | 70분 |
제작 | 올리브 9 Co. Ltd.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SBS TV |
방송 시작일 | 2007년 8월 27일 |
방송 종료일 | 2008년 4월 1일 |
방송 횟수 | 63부작 |
작곡가 | 오준성 |
제작진 | |
프로듀서 | 윤영묵 (SBS) |
연출 | 김재형 이종수 손재성 |
극본 | 유동윤 |
출연진 | |
주연 | 오만석 구혜선 고주원 |
조연 | 전광렬 양미경 전인화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왕과 나 공식 홈페이지 |
2. 줄거리
조선 성종과 윤소화, 내시 김처선은 어릴 때 우연히 만나 가까이 지냈다. 성종과 소화는 정표를 나누어 가진 사이였고 처선은 남몰래 소화를 사모했다. 소화가 성종의 후궁이 되자 처선은 스스로 거세하고 내시가 되어 입궐한다.
처선은 판내시부사 조치겸의 양자가 되고 중전이 별세하자 후궁 소화가 중전에 오른다. 그러나 새 중전 소화는 친정의 세력이 없어 어려운 처지에 몰리고 강직한 성격의 시어머니인 인수대비와도 갈등을 겪는다. 남편 성종이 왕실 종친의 아내 어을우동과 외도를 하면서 이런 갈등이 격화되다가 오해를 받아 중전 자리에서 쫓겨나고 사저로 유폐되어 사약을 받는다. 폐서인 소화는 처선에게 어린 연산군이 훌륭한 임금이 되도록 지켜 달라고 부탁하며 자신을 연모하던 처선의 품에 안겨 눈을 감는다.
성종이 죽고 연산군이 보위에 오른다. 폐비 윤씨의 사건이 김자원의 발설로 연산군에게 알려지자 생모를 그리워하는 연산군은 어질고 총명하던 성격이 점점 난폭해지고 왕실과 조정에서 피바람을 일으키며 어머니의 원한을 갚아나간다. 연산군의 폭정과 호화로운 생활은 당연히 민중들의 원한을 사고 처선은 술과 유흥을 중지하고 성군이 되라는 간청을 올리다 연산군의 칼에 무참히 살해된다. 결국 중종반정으로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고 연산군은 폐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된다.
''왕과 나''는 조선 시대에 살았던 최고의 환관 시종으로 여겨지는 김처선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3] 김처선은 어린 시절 친구인 소화를 몰래 사랑하지만, 신분 차이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고백할 수 없다. 결국 소화가 성종과 결혼하게 되자, 그녀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거세하고 환관으로 입궁한다.
처음에는 왕의 후궁이었던 소화는 이후 왕비의 자리에 오른다. 그러나 그녀는 격렬한 정치 세력 간의 갈등 속에서 희생양이 되어 폐위되고 궁궐에서 쫓겨난다. 김처선은 그녀를 돕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그녀는 사형을 선고받는다. 김처선은 평생 사랑했던 여인이 눈앞에서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며 그녀에게 독이 든 사발을 건네는 명령을 수행한다.[4] 그녀의 죽음 이후 그는 그녀의 아들인 연산군을 돌본다.
3. 등장인물
드라마 《왕과 나》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구분 배역 역할 설명 왕실 고주원
(유승호 아역)성종 조선 제9대 국왕, 김처선과 신분을 초월한 친구. 윤소화를 사랑해 왕비로 맞이했지만, 갈등 끝에 폐위시키고 사사한다. 구혜선
(박보영 아역)윤소화 김처선의 연인. 성종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왕비가 되지만, 정치 세력 간 갈등으로 폐위되고 사사된다.[4] 정태우
(정윤석 아역)윤왕자/연산군 조선 제10대 국왕, 소화의 아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알고 폭군이 된다. 양미경 정희왕후 세조의 정실이자 성종의 할머니. 소화를 아끼고 보호한다. 전인화 인수대비 성종의 어머니이자 연산군의 할머니. 소화와 갈등하며, 결국 소화를 폐위시키고 사사한다. 유동혁 예종 조선 제8대 국왕이자 성종의 숙부. 내시 통제를 강화하려다 조치겸과 한명회의 공모로 독살된다. 한다민
(김희정 아역)공혜왕비 성종의 첫 번째 정실이자 한명회의 딸. 병약하여 젊은 나이에 사망한다. 내시부 오만석
(주민수 아역)김처선 내시[11](환관). 후에 내시부장[12], 상선[13]. 성종, 윤소화와 신분을 초월한 소꿉친구. 소화를 연모하여 스스로 거세하고 내시가 된다. 갖은 고난과 음모를 헤쳐나가며 성종, 연산군을 섬긴다.[4] 전광렬 조치겸 내시부장, 후에 상선. 김처선의 의붓아버지로, 궁정의 실력자. 왕실에 충성하지만, 비정한 면모도 지니고 있다. 안재모
(백승도 아역)정한수 감찰부장, 양반 출신 내시. 김처선과 라이벌 관계이며, 소화를 몰락시키는 음모에 관여한다. 김명수 양성윤 상약, 후에 내시부장, 상선. 조치겸의 친구이자 처선의 조력자. 한정수 도금표 호위내시 대장, 조치겸의 충신. 신구 노종섭 상선, 조치겸과 정한수의 양아버지. 강인형 문소운 내시, 김처선의 친구로, 처선을 흠모한다. 강재 김자원 내시, 후에 감찰부장, 내시부장. 연산군의 측근으로, 갑자사화를 일으킨 장본인. 궁인 이진 윤숙의 성종의 세 번째 정실 (정현왕후). 진성대군의 어머니로, 온화한 성품으로 소화와도 친하게 지낸다. 한소정 엄귀인 성종의 측실, 질투심 강한 야심가. 소화를 몰락시키는 음모에 관여한다. 양정아 어씨 상궁, 김자명의 아내이자 김처선의 친어머니, 조치겸의 연인. 조정 대신 김종결 한명회 훈구파 대신의 중심 인물, 세조 즉위의 공신. 임병기 임사홍 김자원과 함께 간신. 기타 김사랑 어우동 자유분방한 삶을 살아가는 여성으로, 성종과 사랑에 빠진다.
3. 1. 주요 인물
3. 2. 왕실 인물
배역 | 배우 |
---|---|
세조 | 김병세 |
정희왕후 | 양미경 |
단종 | 이풍운 |
예종 | 유민호 |
인혜왕대비 | 이옥정 |
공혜왕후 | 한다민 |
엄귀인 | 한소정 |
정귀인 | 윤혜경 |
연산군 | 정태우 |
중전 신씨 | 박하선 |
장녹수 | 오유나 |
의경세자 | 이지오 |
제안대군 | 임성표 |
진성대군 | 노영학 |
성종 | 고주원 |
인수대비 | 전인화 |
정현왕후 | 이지현 |
3. 3. 내시부 인물
배우 | 역할 | 설명 |
---|---|---|
한정수 | 도금표 | |
김하균 | 장순무 | |
김명수 | 양성윤 | |
김세현 | 최자치 | |
김영준 | 홍귀남 | |
강인형 | 문소운 | |
김용헌 | 엄경환 | |
이건주 | 송개남 | |
이상원 | 심기수 | |
전태수 | 한치근 | |
강민석 | 황귀동 | |
안정훈 | 박근수 | |
서민우 | 송만득 | |
강재 | 김자원 | |
이현 | 이공신 | |
유병준 | 안병두 | |
최병학 | 김연 | |
유종근 | 홍득경 | |
진봉진 | 최숙손 | |
신구 | 노내시 | 지겸의 양아버지, 전직 내시 |
전광렬 | 조치겸 | 내시부장, 후에 상선, 김처선의 의붓아버지 |
오만석 (주민수 아역) | 김처선 | 내시[11](환관). 후에 내시부장[12], 상선[13]. 본작의 주인공. 초명은 천동. |
3. 4. 궁인 세력
- 양정아 : 김처선의 생모 오상궁 역을 연기했다.
- 김정민 : 버들이 역
- 최은숙 : 대전상궁 역
- 전현아 : 나상궁 역
- 오아랑 : 박상궁 역
- 봉혜선 : 홍상궁 역
- 최하나 : 생과방 궁녀였다가 엄숙의 궁녀가 된 홍비 역
- 임지현 : 달래 역
- '''어씨'''(양정아 분)
: 상궁이자 김자명의 아내이며, 조선의 친어머니이자 조치겸의 연인이다. 남편을 살해당하고 도망치던 중 조선을 출산했으나, 절벽에서 떨어지는 충격으로 남편과 조선에 대한 기억을 잃고 조선과 헤어진다. 조치겸의 소개로 성종의 유모가 되었고, 성종 즉위 후 인수대비에 의해 내자원에 몸을 의탁하게 된다. 여기서 친아들인 줄도 모르고 조선과 마음을 나누게 된다. 성종이 상사병으로 앓아눕자 궁에 불려가 상궁으로 모시게 된다.[24]
: 소화가 어우동을 만난 사건으로 인수대비에게 문책당해 궁에서 쫓겨난 후, 조치겸의 보살핌으로 옛집에서 살게 되고 결국 조치겸과 인연을 맺는다. 하지만 상궁 신분으로 조치겸의 측실이 된 것을 책망받고 도성에서 쫓겨난다. 이후 소화를 둘러싼 악행이 드러나자 자신을 버린 조치겸을 원망하는 전한수로부터 옛 내반원 일지를 받고 기억을 되찾아 조치겸을 거부한다. 월라로부터 진실을 전해 듣고 찾아온 조선에게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 후, 조선의 품에서 숨을 거둔다. 남편의 원수와 인연을 맺은 것을 후회하며, 이전에 질투했던 조치겸의 정실인 정씨가 남기고 간 독을 마신 것이다.[24]
'''최보들'''(김정민 분)
: 윤소화의 궁녀이다. 왕비가 되고 싶어 어상궁의 궁녀로 궁에 들어왔지만, 바느질 담당이 되어 꿈을 접는다. 처음에는 측실 후보로 별궁에 온 소화에게 가혹하게 대하고 짓궂게 굴었다. 궁지에 몰린 왕비 소화를 돕고 싶은 마음에, 전한수에게 꾀여 나상궁이 소화의 방에 숨겨둔 독과 저주의 실을 숨긴 것은 자신이라고 위증하여, 오히려 소화를 폐위로 몰아넣는다.[24]
'''송달래'''(임지현 분)
: 엄숙의 궁녀이자 심내관의 정부이다. 임신 사실이 밝혀지고 궁중에서 상대방을 찾는 가운데, 심내관을 지키기 위해 혀를 깨물고 자살한다.[24]
3. 5. 폐비 윤씨 가족
- '''선우재덕''' : 윤기견 역 - 폐비 윤씨의 아버지. 함안부원군[5]
- '''최정원''' : 장흥 부부인 고령 신씨 역 - 폐비 윤씨의 어머니. 부부인[5]
- '''정은찬''' : 윤기현 역 - 폐비 윤씨의 오빠. 병조참판, 후일 의정부 좌의정[5]
- '''신귀식''' : 신숙주 역 - 폐비 윤씨의 외당숙[5]
3. 6. 조정 대신
배역 | 역할 |
---|---|
김종결 | 한명회 역 |
최종환 | 윤호 역 |
차광수 | 박진성 역 |
김영선 | 유자광 역 |
임병기 | 임사홍 역 |
신귀식 | 신숙주 역 |
이경영 | 이세좌 역 |
김익태 | 어유소 역 |
이배국 | 여자신 역 |
송석호 | 신승선 역 |
김상원 | 신수근 역 |
차기환 | 박원종 역 |
맹봉학 | 성희안 역 |
박규점 | 류순정 역 |
나재균 | 육구현 역 |
원종선 | 권상필 역 |
이성 | 노사신 역 |
3. 7. 그 외 인물
4. 제작진
- 원작: 이수광
- 제작: olive9, TV ZONE
4. 1. 극본
유동윤이 극본을 썼다.[1]4. 2. 연출
김재형, 손재성이 연출을 맡았으며, 도중에 이종수 연출이 합류하였다.[6][7]박상민은 원래 성종 역으로 섭외되었지만 하차하였고, 고주원으로 교체되었다.
여운계는 소귀 역을 맡을 예정이었지만, 이미 몇몇 장면을 촬영했음에도 건강 문제로 하차해야 했다. 김수미가 대신 소귀 역을 맡았다.
전인화의 남편 유동근은 대본이 늦게 나오는 일이 반복되어 출연 배우들이 힘들어하자, 이에 화가 나 2007년 12월 29일 촬영장에서 프로듀서 두 명을 폭행했다. 그는 이후 이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6][7]
5.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6. 평가
《왕과 나》는 김처선이 성종의 측실 윤소화와 그의 아들 연산군을 지키는 모습, 내시의 인생을 상세히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세조 시대의 사육신에서 중종이 궁정에 들어서는 중종반정까지를 그리고 있다.
연출은 김재형이 맡았지만, 2011년 4월 10일 건강 악화로 병사하면서 사실상 그의 유작이 되었다.
6. 1. 부정적 평가
《왕과 나》는 20~25%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상위 10위 안에 드는 등 비교적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2008년 1월 말, MBC의 《이산》과의 경쟁으로 시청률이 10% 중반대로 하락하여, 대한민국에서 간신히 20위 안에 들었다.[8]SBS는 당초 50회로 계획했던 에피소드를 67회로 연장했지만, 시청률 부진으로 다시 61회로 줄였다가 최종적으로 63회로 결정했다.[9]
7. 수상
8. 참고 사항
- 2007년 9월 25일 - 추석 특선 영화 《미녀는 괴로워》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27]
- 2007년 12월 31일 - 《2007 SBS 연기 대상》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28]
- 극중 조선 예종이 독살되는 것으로 묘사하여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다.[29]
- 당초 5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후속작인 《카인과 아벨》의 제작 지연으로 인해 3회 축소된 63회로 종영하였다.[30]
- 쇠귀노파(쇠기노파) 역의 여운계가 건강 문제로 하차하면서 김수미로 배우가 교체되었다.[31]
- 2008년 1월 5일, 김재형 연출자가 건강 문제로 하차하였다.[32]
- 당초 박상민이 성종 역으로 내정되었으나 무산되었다.[34]
- 당초 《내 남자의 여자》 후속으로 방송 예정이었으나, 캐스팅 문제로 《강남엄마 따라잡기》가 먼저 방송되었고, 이후 《강남엄마 따라잡기》의 2회 연장으로 첫 방송일이 2007년 8월 27일로 변경되었다.[36]
- 전인화의 남편 유동근이 2007년 12월 29일 촬영장에서 프로듀서 두 명을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이후 사과했다.[6][7]
참조
[1]
웹사이트
TV Falls in Love with Epic Dramas
https://www.koreatim[...]
2007-09-18
[2]
웹사이트
Eunuchs make me long to get my hands on father's remote
http://koreajoongang[...]
2007-09-19
[3]
웹사이트
About The King and I
http://www.arirang.c[...]
[4]
웹사이트
Ingredients of poison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kill traitors
http://rki.kbs.co.kr[...]
2008-02-23
[5]
웹사이트
Park Ji Hoon, the wink guy in Produce 101 was in drama 'King and I'
https://kpople.com/p[...]
2017-04-16
[6]
웹사이트
[Talk of town]Real life punch-up upstages SBS drama
https://koreajoongan[...]
2008-01-01
[7]
웹사이트
''Page Scripts'' Symbolize Darker Side of Korean Drama Industry
http://english.donga[...]
2007-12-31
[8]
웹사이트
TV Ratings for January
http://www.soompi.co[...]
2008-02-08
[9]
웹사이트
2008 K-DRAMA: First Half Wrapup
http://twitchfilm.co[...]
2008-07-18
[10]
웹사이트
2007 Year-end Korean drama awards round-up
http://www.hancinema[...]
2008-01-07
[11]
문서
내시(네시): 왕의 재보부터 건강에 이르기까지를 관리하는 자.
[12]
문서
판내시부사(판네시부사): 내시부의 장.
[13]
문서
상선(상선): 내시부의 고관. 현역 은퇴 후에도 원로로서 권세를 유지.
[14]
문서
내자원(네자원): 내시의 사적 양성소.
[15]
문서
도자장(도자장): 거세를 담당하는 직업.
[16]
문서
육각(육각) 항아리: 절제한 남근을 소금절임한 항아리.
[17]
문서
내반원(네반원) 일지: 내시부의 사건을 기록한 서적.
[18]
문서
삼사(삼사): 왕에게 직언을 허락받은 세 개의 기관, 사헌부(사헌부), 사간원(사간원), 홍문관(홍문관)의 일.
[19]
문서
고자(고자): 남성기를 갖지 않은 남성.
[20]
문서
상약(상약): 약의 관리나 조합 등을 하는 자.
[21]
문서
테사리: 성기능이 재생된 남성.
[22]
문서
부관참시: 무덤에서 시체를 파내어 목을 베는 일.
[23]
문서
사초(사초): 사관이 실록을 쓰기 위해 메모한 초고. 왕조차 볼 수 없었다.
[24]
문서
혜인(혜인): 왕족의 아내의 계급.
[25]
문서
서규(서규/혜택): 거북이의 등딱지를 구워 생긴 균열의 무늬로 길흉을 판단한 고대의 점술. 기도사.
[26]
뉴스
https://news.naver.c[...]
2013-05-31
[27]
뉴스
https://entertain.na[...]
2022-02-07
[28]
뉴스
https://entertain.na[...]
2022-02-07
[29]
뉴스
http://spn.chosun.co[...]
2007-12-01
[30]
뉴스
http://entertain.nav[...]
2018-11-17
[31]
뉴스
http://www.hani.co.k[...]
2008-08-02
[32]
뉴스
http://www.yonhapnew[...]
2008-06-08
[33]
뉴스
http://sports.hankoo[...]
2008-01-09
[34]
뉴스
http://v.entertain.m[...]
2017-07-03
[35]
뉴스
http://entertain.nav[...]
2018-11-12
[36]
뉴스
하희라 '강남엄마 따라잡기', 2회 연장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8-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