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섬은 홋카이도 동쪽, 쿠릴 열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현재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해 있다. 1799년 일본 도쿠가와 막부가 아이누족과의 교역을 위해 교역소를 설치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메이지 시대에 하보마이촌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점령되어 주민들이 강제 퇴거되었고, 현재는 무인도로 남아 있다.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섬은 다양한 해양 생물과 식물이 서식하는 자연 보전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역사

유리섬은 본래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였다. 1799년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 시기, 아이누와의 교역 등을 위해 앗케시네무로 지역을 중심으로 정착지가 건설되었으며[5][3], 메이지 시대에는 홋카이도 하보마이촌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는 어업 기지로 이용되며 50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기도 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고[5], 이후 원주민들은 홋카이도강제퇴거되었다.[1][6]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에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를 이어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의 쿠릴 열도 포기 조항과 관련하여, 소련(러시아)과 일본 간의 해석 차이로 인해 영토 분쟁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6] 일본은 1959년 유리섬을 네무로 시의 일부로 편입하는 행정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현재 유리섬은 러시아 사할린주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일부로 관리되고 있으며, 사람은 살지 않는다.

2. 1. 초기 역사

유리섬은 본래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였다. 1799년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홋카이도앗케시네무로 지역을 중심으로, 아이누를 비롯한 사할린, 홋카이도 지역 주민들과의 교역을 위해 유리섬에 교역소와 정착지를 건설했다.[3][5] 이후 유리섬은 네모로 지역 어민들의 어장이 되었다.[3]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리섬은 홋카이도 하보마이촌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섬 인구가 501명에 달했으며, 주민 대부분은 상업 어업에 종사했다.

유리섬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련쿠릴 열도 상륙 작전을 통해 큰 저항 없이 유리섬을 점령하였다.[1][5]

2. 2. 소련 점령과 강제 퇴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유리섬에는 501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대부분 상업 어업에 종사했다.

러시아가 관할하는 유즈노쿠릴스키 구. 붉은색 음영 지역의 왼쪽 하단은 유리섬이 속한 하보마이 군도이다. 회색 지역은 홋카이도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5년 소련쿠릴 열도 상륙 작전을 통해 별다른 저항 없이 유리섬을 점령하였다. 이후 유리섬은 남사할린 지역과 함께 소련유즈노사할린주에 병합되었다.[5] 같은 해, 가라후토 및 쿠릴 열도 철수 정책에 따라 섬에 살던 원주민들이 홋카이도로 추방되기 시작했으며[1], 1949년까지 강제퇴거가 완료되어 섬에는 사람이 살지 않게 되었다.[6] 1991년 소련의 붕괴가 일어날 때까지 주둔하던 소련 국경 수비대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무인도 상태였다.

한편, 일본 측은 1959년 유리섬을 네무로 시의 일부로 편입하는 행정 조치를 취했다.

소련 해체 후에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를 계승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유리섬은 무인도이며, 러시아 연방의 사할린주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일부로 관리되고 있다. 일본 역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문제는 북방 영토 문제의 일부로 남아 있다.

2. 3. 현대: 러시아 실효 지배와 영토 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쿠릴 열도 상륙 작전을 통해 저항 없이 소련에 점령되었으며, 남사할린 지역과 함께 유즈노사할린주에 병합되었다.[5] 1949년 주민들이 홋카이도강제퇴거되어 1991년 소련의 붕괴가 일어날 때까지 주둔하던 소련군을 제외하고는 거주하는 사람이 없었다.[6] 1991년 소련 해체 후에 성립한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를 계승했다. 현재 유리섬에는 아무도 살지 않으며, 러시아 연방의 사할린주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일부로서 관리되고 있다.

1951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은 "쿠릴 열도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포기한다"고 명시했으나, 소련은 이 조약에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일본은 하보마이 군도(유리섬 포함)를 포기 대상인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여 영토 분쟁은 계속되었다. 1956년 일본과 소련 간 연합 선언으로 외교 관계가 복원될 때, 소련은 평화 조약 체결 후 시코탄 섬과 하보마이 군도를 일본에 인도하는 안을 제시했지만, 일본은 나머지 두 섬까지 포함한 반환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하였다.[6] 현재까지도 러시아 연방이 점령·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일본 역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3. 지리

총 면적은 9.98km2이며, 언덕이 많다.[12] 총 길이는 7km이고 최대 너비는 2km이다. 평균 고도는 20m~36m이며[12] 최고봉은 로모티봉(44m)이다. 해안선의 총 길이는 23.9km이다.[7] 섬의 전체적인 모양은 가늘고 길며 구불구불한 형태로, 큰 돌출부는 없다. 지형적으로 북서쪽에 있는 카테르나야(Катерная|카테르나야ru)만과 시로카야(Широкая|시로카야ru)만은 바람과 파도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된다.[8]

시로카야만 입구 부분의 절벽에는 암초, 암붕, 시스택이 분포하며, 수심은 5m ~ 17m이다. 위치상 시로카야만은 북풍의 영향을 받는다.[8] 시로카야만은 유리섬으로 들어가는 데 주로 이용된다.

유리섬의 나머지 해안은 자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해안은 대체로 바위가 많고 가파르며, 자갈 및 모래 해변이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경사가 완만하다.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최대 1km 정도 암초가 널려 있다.[9] 섬 중앙에는 근처 만으로 이어지는 담수호 4개가 있다.[10]

유리섬은 북동쪽의 젤레니섬으로부터 보예이코프 해협을 사이에 두고 1.5km, 서쪽의 탄필레바섬으로부터 탄필레바 해협을 사이에 두고 6km, 남서쪽의 아누치나섬으로부터 유리 해협을 사이에 두고 3km 떨어져 있다. 동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는 하르카르섬이 있다. 유루 섬 수로를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아키유리 섬이 있으며, 북쪽에는 시보츠 섬이 있다. 섬의 절벽에는 이름 유래처럼 가마우지가 서식하고 있다. 과거에는 북양, 중치시마로의 어업 근거지였으며, 통조림 공장 등 가공 시설이 설치되기도 했다.

4. 기후

대체로 온난 습윤한 서안 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 봄은 춥고 길게 이어지며, 가을은 맑고 건조하다. 겨울은 대체로 습하며, 가장 추운 달인 1월과 2월에도 기온이 -5°C 이하로 내려가는 일이 드물다. 기록적으로 추웠던 겨울에도 -15°C 아래로 기온이 내려간 적은 없었다. 서리가 심하게 내리지는 않지만, 날씨가 특별히 더워지지도 않는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여름에는 비가 자주 오며 안개가 자주 낀다.

섬 주변 바다는 얼지 않는다. 다만, 2월부터 4월 사이에는 오호츠크해에서 내려오는 유빙으로 바다가 덮이는 경우가 있다.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해안가에 폭풍이 오래 지속되기도 한다.

바다는 열용량이 높아 계절이 바뀌는 데 약 1.5개월 정도 걸린다. 연평균 기온은 6°C이며 습도가 높다. 여름철 잦은 안개와 비는 잔디가 자라기에는 좋은 환경이지만, 건초를 보관하기 어려워 목축업에는 어려움이 따른다.[11]

유리섬은 산이 없고 대체로 평탄하여 연중 바람이 불지만, 오네코탄섬처럼 바람이 아주 강하지는 않다.

5. 생태

유리섬은 소쿠릴 열도에 속하며, 비교적 단순한 식물상을 가지고 있다. 나무는 자라지 않으며 초원과 습지가 주를 이룬다.[13][15] 주요 동물로는 붉은여우, 해달, 왜가리, 흰꼬리수리 등이 서식하며, 두루미도 관찰된다.[16][4][17] 딱정벌레 종 다양성이 소쿠릴 열도 내에서 높은 편이다.[4] 섬 전체가 러시아의 자연 보전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8]

5. 1. 식물

2013년 조사에서 수중식물 33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12] 해안가는 홍조식물이 우세하며, 다시마도 일부 분포한다.[12] 시로카야만에는 녹조식물도 상당량 분포하지만,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12] 해안가의 무성한 수풀은 주로 다시마로 이루어져 있다.

유리섬의 식물상은 전반적으로 풍부하지 못한 편이다. 초기 연구에서는 관다발식물이 100종 미만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인근 쿠나시르섬의 1067종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다.[13] 이후 연구에서는 212종이 확인되었다.[14]

2016년에는 식물상에 대한 상세 조사가 진행되었다. 토양 분석 결과, 초원은 홀로세 중반부터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15] 유리섬에는 나무가 전혀 자라지 않는다. 섬의 식생은 크게 넓은잎 풀로 덮인 언덕과, 강 주변 및 사초-이끼 늪으로 이루어진 습지 저지대로 구분된다. 타래난초가 흔하게 발견되지만, 이는 캄차카 변경주, 사하 공화국, 유대인 자치주 등 러시아 극동 지방 전반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4개의 담수호에서는 왜개연꽃(Nuphar pumilala)이 자란다. 쿠릴 열도 고유종인 이투루프민들레(Taraxacum yetrofuensela Kitam.)도 서식한다.

5. 2. 동물

2000년에 실시된 대규모 조사에 따르면, 유리섬에는 왜가리흰꼬리수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6] 또한 두루미도 정기적으로 유리섬을 방문한다.[4] 섬의 절벽에는 가마우지가 서식하는데, 이는 섬 이름의 유래와도 관련이 있다.

섬의 주요 포유류 서식종은 붉은여우이다. 유리섬의 붉은여우는 인접한 쿠나시르섬이나 시코탄섬에 사는 여우보다 사람에게 더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해달쿠릴 열도에 다시 서식하기 시작했으며, 2016년 조사에서는 유리섬에서 해달 41마리의 서식이 확인되었다.[17]

양서류로는 주로 에조산개구리가 분포하며, 청개구리는 발견되지 않았다.[4]

곤충의 경우, 딱정벌레 종 수가 26종으로 소쿠릴 열도의 섬들 중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다. 2016년 조사 결과, 해안가에는 먼지송장벌레과 딱정벌레가 서식하며, 과거 흔했던 검은 딱정벌레는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4] 개미 중에서는 털개미속 개미가 널리 분포한다.

5. 3. 보전

러시아 정부의 자연 보전 구역인 소쿠릴 열도Малые Курилыru 지역의 일부이다.[8]

6. 대중 문화

2015년 이고리 유리예비치는 유리섬을 주제로 "유리섬"이라는 노래를 작곡했다.[18]

참조

[1] 뉴스 Kuril islands dispute between Russia and Japan https://www.bbc.com/[...] BBC News 2010-11-00
[2] 웹사이트 秋勇留島・勇留島 https://nihonshima.n[...] 2022-10-29
[3] 문서 場所境調書
[4] 뉴스 Ученые не нашли на курильском острове Юрий жуков-чернотёлок https://skr.su/news/[...]
[5] 문서 Из Указов Президиума ВС СССР от 2 февраля 1946 г. http://hrono.ru/doku[...]
[6] 웹인용 Kuril islands dispute between Russia and Japan https://www.bbc.com/[...] BBC news
[7] 논문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популяций калана (Enhydra lutris L.) в российской части ареала https://cyberleninka[...] 2010-00-00
[8] 서적 Лоция Охотского моря. Навигационное описание http://parusanarod.r[...] Главное управление навигации и океанографии МО СССР 1984-00-00
[9] 논문 Водоросли прибрежных вод острова Юрий (Малая Курильская гряда) 1968-00-00
[10] 서적 Курильская островная дуга (физ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й очерк) Географгиз 1958-00-00
[11] 웹인용 О Сахалине и Курилах.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положение и климатические условия https://sakhalin.gov[...]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Губернатора и Правительства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2012-04-16
[12] 논문 Литоральная флора островов Малой Курильской гряды (Диссертация на соискание ученой степени кандидата би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http://www.imb.dvo.r[...] 2016-00-00
[13] 논문 Флора Курильских островов https://www.disserca[...]
[14] 논문 Ландшафтное разнообразие Курильских островов http://www.izdatgeo.[...] 2012-00-00
[15] 논문 Луговые ландшафты южных Курил: происхождение, возраст и развитие http://www.izdatgeo.[...] 2011-00-00
[16] 논문 К авифауне Курильских островов https://cyberleninka[...]
[17] 뉴스 Каланы возвращаются https://www.nkj.ru/n[...]
[18] 영상 Остров Юрий https://www.youtube.[...] 2015-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