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윤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료윤리학은 의학적 행위와 관련된 도덕적 가치와 원칙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기원전 히포크라테스 선서에서부터 시작하여, 토마스 퍼시벌의 《의료 윤리학》 출간을 통해 학문적으로 정립되었다. 주요 원칙으로는 자율성 존중, 선행, 악행 금지, 정의가 있으며, 생명 윤리, 임상 윤리, 연구 윤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다. 문화적 차이는 의료 윤리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불교, 중국, 이슬람 등 각 문화와 종교는 고유한 의료 윤리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사건을 통해 의료 자원 배분, 백신 거부 등 새로운 윤리적 쟁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호학 - 호스피스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의 고통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신체적, 심리적, 영적, 사회적 돌봄을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이며, 1960년대 현대 호스피스 개념이 발전하여 입원형, 가정형, 자문형 등의 종류가 있다. - 간호학 - 나이팅게일 선서
나이팅게일 선서는 간호사의 헌신과 윤리 등 기본적인 가치와 신념을 담은 선서로, 간호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의례이지만 시대적 상황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의료 윤리 - 히포크라테스 선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또는 그의 제자들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맹세로,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해를 끼치지 않으며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의사의 기본 의무로 강조하며, 현대에는 제네바 선언 등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의료 윤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의료 윤리 - 안락사
안락사는 더 이상의 고통을 막기 위해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로, 환자의 동의, 수행 방식 등에 따라 분류되며, 법적, 윤리적, 종교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법적 입장이 다르다.
의료윤리학 | |
---|---|
의료윤리학 | |
분야 | 윤리학 |
관련 분야 | 의학 의료 행위 |
주요 가치 | 프리뭄 논 노체레 정보에 입각한 동의 선의 비밀 유지 자율성 |
갈등 | 능력 비자발적 치료 경고 의무 보호 의무 사례 |
프레임워크 | 사전 의료 지시 대리 의사 결정자 |
관련 개념 | 의료 전문직 의료법 생명윤리 |
비판 | 의료 사회학 |
2. 역사
의료와 관련된 가치 판단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함무라비 법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201] 기원전 히포크라테스 선서에는 의사가 지켜야 할 도덕적 의무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전문직 윤리로서 의료 윤리가 의사라는 직업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음을 보여준다.[202]
'의료 윤리(medical ethics)'라는 용어는 1803년 토머스 퍼시벌의 저서 《의료 윤리학》(''Medical Ethics'')에서 처음 등장했다. 퍼시벌은 이 책에서 전문가로서 의사에게 요구되는 윤리 강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203]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까지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변화하면서, 온정주의적 의사 모델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의사 결정 권한이 변화했다.[16]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의료 윤리에 대한 많은 담론이 생명 윤리로 재구성되는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18] 1970년대 이후, 현대 의학에서 윤리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인간 피험자에 대한 실험 평가를 위한 기관 검토 위원회 사용 증가, 병원 윤리 위원회 설립, 임상 윤리학자 역할 확대, 그리고 많은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윤리 통합 등이 나타나고 있다.[19]
헬싱키 선언 이후 다양한 지침이 요구되어 왔으며, 의학 윤리를 포함한 연구를 위한 최초의 행동 규범은 뉘른베르크 강령이다.
2. 1. 서양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초기 기독교의 가르침은 서구 의료 윤리의 기원이다. 최초의 의료 윤리 강령인 ''Formula Comitis Archiatrorum''은 5세기 동고트족의 테오도리크 대왕 시대에 발표되었다. 중세와 근대 초기에는 이슬람 학문이 큰 영향을 주었는데, 이샤크 이븐 알리 알-루하위(의료 윤리에 관한 최초의 책 ''의사의 행동'' 저술), 아비센나의 ''의학 정전'',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아르-라지(서양에서는 라제스로 알려짐), 유대 사상가인 마이모니데스, 로마 가톨릭의 스콜라 철학 사상가인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지적 전통은 가톨릭 윤리, 이슬람 및 유대교 의료 윤리에서 지속되고 있다.18세기와 19세기에 의료 윤리는 더욱 자의식적인 담론으로 부상했다. 영국의 의사이자 작가인 토마스 퍼시벌은 최초의 현대적 의료 윤리 강령을 만들었다. 그는 1794년에 이 강령이 담긴 소책자를 작성했고, 1803년에는 "의료 윤리"와 "의료 법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확대판을 저술했다.[13] 그러나 퍼시벌의 의사 진찰에 관한 지침이 자택 의사의 명성을 지나치게 보호한다는 견해도 있다.[14] 제프리 벌란트는 이러한 비판가 중 한 명으로, 퍼시벌의 의사 진찰에 대한 강령을 경쟁 제한적인 의사 사회의 초기 "길드"와 같은 특성의 예시로 간주한다.[15]
1847년, 미국 의사 협회는 윤리 강령을 채택했는데, 이는 퍼시벌의 작품을 상당 부분 기반으로 했다.[17] 20세기에는 자유주의 개신교 사상가인 조셉 플레처와 같은 사람들이 자유주의 이론과 절차적 정의를 기반으로 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의료 윤리에 대한 많은 담론이 극적인 변화를 겪었고, 대부분 생명 윤리로 재구성되었다.[18]
2. 2. 이슬람
중세와 근대 초기에 이 분야는 이슬람 학문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샤크 이븐 알리 알-루하위는 의료 윤리에 관한 최초의 책인 ''의사의 행동''을 저술하였고, 아비센나의 ''의학 정전'' 그리고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아르-라지 등이 대표적이다.[203] 이러한 지적 전통은 이슬람 의료 윤리에서 지속되고 있다.2. 3. 한국
한국의 전통 의료 윤리는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적 배경의 영향을 받았으며, 인(仁), 의(義), 예(禮), 지(智)와 같은 덕목을 중시하였다. 근대 이후 서양 의학의 도입과 함께 서구 의료 윤리 원칙이 수용되었으며,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의료 윤리 의식이 희미해지기도 하였다. 민주화 이후 환자의 권리 의식이 신장되면서 의료 윤리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었으며, 1997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설명과 동의" 의무가 명문화되었다.3. 주요 원칙
의료 윤리는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행동 규범과 가치 판단에 대한 도덕철학이다.[204] 임상 의학, 의학 산업, 공중 보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되며,[205] 의료 종사자와 환자, 건강한 사람(친척), 의료 종사자 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의료 기밀, 의료 과실, 의원성 질환 등에 대한 조항을 포함한다.
의료 윤리 분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틀은 톰 보챔과 제임스 칠드레스가 제시한 "네 가지 원칙" 접근 방식이다.[33] 이들은 자율성 존중, 선행, 악행 금지, 정의 원칙을 제시하며, 각 원칙은 서로 비교 평가되어야 한다.[33]
- '''자율성 존중''': 환자는 치료를 거부하거나 선택할 권리가 있다.[34]
- '''선행''': 의료인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행동해야 한다.[34]
- '''악행 금지''':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하며, 해보다 더 많은 선을 증진해야 한다.[34]
- '''정의''': 부족한 의료 자원 분배와 치료 대상 결정에 관련된 원칙이다.[34]
이 네 가지 원칙은 상호 보완적이지만, 특정 상황에서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자율성과 의료인의 선행 원칙이 충돌할 수 있다.
인권 시대는 1945년 국제 연합의 결성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세계 인권 선언(1948년)은 인권을 정의하는 최초의 주요 문서였다. 의사는 환자의 인간 존엄성을 보호할 윤리적 의무가 있으므로, 인권 관련 문서의 등장은 의료 윤리에 영향을 미쳤다.[44]
유럽 평의회는 법치주의와 유럽 인권 준수를 장려하며, 인권 및 생명 의학 협약(1997년)을 채택하여 통일된 의료 윤리 강령을 만들었다. 이 협약은 국제 인권법을 의료 윤리에 적용하며, 어린이를 포함한 동의 불가능한 사람들의 신체적 완전성을 보호한다.[45] 2013년 12월 현재, 유럽 평의회 29개 회원국에서 비준 또는 가입되었다.[46]
유네스코는 인권과 인간 존엄성 보호를 증진하며, 인권 및 생명 의학에 관한 세계 선언(2005년)을 채택하여 의료 윤리에서 국제 인권법 적용을 진전시켰다. 이 선언은 무능력자에 대한 인권 보호를 강조한다.[47]
기밀 유지는 일반적으로 의사와 환자 간 대화에 적용되며,[62] 환자-의사 특권으로 알려져 있다. 법적 보호는 의사가 법정에서 환자와의 대화를 공개하는 것을 막는다.
3. 1. 자율성 존중 원칙
환자는 자신의 건강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에 따라 치료를 선택하거나 거부할 권리가 있다.[34] 자기 결정권은 한국 사회에서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여전히 가족 중심주의 문화와 온정주의적 의료 관행이 남아있어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16] 정신과 의사나 임상 심리학자는 종종 말기에 환자의 생사 결정을 하는 의사 결정 능력을 평가하도록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38] 일본 의사 회는 리스본 선언의 "환자의 자기 결정의 권리"에 대해 유일하게 기권한 바 있다.[155]자율성의 정의는 개인이 합리적이고 영향을 받지 않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다.[16] 많은 말기 질환은 다양한 방식과 범위로 자율성을 잃게 만든다. 예를 들어, 뇌를 공격하는 만성 진행성 질환인 치매는 기억 상실을 유발하고 합리적 사고를 감소시켜 거의 항상 자율성을 잃게 된다.[37]
섬망이나 임상적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이 있는 사람은 삶의 마지막 결정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치료 거부 요청은 그들의 상태를 고려하여 받아들여질 수 있다. 명확한 사전 지시가 없는 한, 정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최선의 이익에 따라 치료를 받는다. 여기에는 그 사람이 능력을 잃지 않았더라면 어떤 결정을 내렸을지 그 사람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을 포함한 평가가 포함될 것이다.[38] 삶의 마지막 결정을 내릴 정신적 능력이 있는 사람은 생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치료를 거부할 수 있다. 정신과 의사와 심리학자는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39]
일본 의료 분야에서는 "환자의 자주권·자기 결정"의 맥락에서 "자율성"을 오역하여 "환자가 스스로를 절제하고 자기 규제하는 것" 등 정반대의 "환자의 권리를 부정"하는 의미로 오용되고 있다.
3. 2. 선행 원칙
톰 보챔과 제임스 칠드레스가 제시한 "네 가지 원칙" 중 하나인 선행의 원칙에 따르면, 의료인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행동해야 한다.[34] 선의(善意)는 타인의 안녕을 증진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의료 환경에서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는 행위를 하는 것을 뜻한다.[2]그러나 어떤 행위가 실제로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불확실할 수 있다. 환자의 가치관, 문화적 배경, 사회경제적 상황 등에 따라 '최선의 이익'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임스 차일드리스와 톰 보챔프는 저서 《생물의학 윤리의 원리》(1978)에서 선의를 의료 윤리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규정했다.[2] 에드먼드 펠레그리노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선의가 의료 윤리의 유일한 기본 원칙이라고 주장하며, 치료가 의학의 유일한 목적이 되어야 하고, 성형수술과 안락사와 같은 행위는 비윤리적이며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위배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의료 전문가는 환자에게 최선이라고 믿는 권고에 환자가 동의하지 않을 때,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이 충돌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종교적 또는 문화적 신념 때문에 치료를 거부하거나, 안락사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건강 염려증이나 성형 수술처럼 의학적으로 불필요한 치료를 원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의료인은 환자의 자율성과 선행 원칙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
영과 와그너는 일반적으로 선행이 역사적으로나 철학적으로 악행 금지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했다.[1]
3. 3. 악행 금지 원칙
primum non nocerela 또는 "우선, 해를 끼치지 말라"는 격언은 악행 금지 원칙을 나타낸다. 많은 사람들은 환자에게 이로운 일을 하는 것보다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열정적인 의료인들이 환자에게 좋다고 믿는 치료법을 충분한 평가 없이 사용하여 해를 끼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치료는 성공했지만 환자는 사망했다"라는 말처럼, 환자에게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40]해를 끼치지 않는 것뿐만 아니라, 치료가 환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의사는 해롭다고 알려진 약을 처방하지 않는 것을 넘어, 치료가 해롭지 않다는 것을 알지 못하면 약을 처방해서는 안 된다. 적어도 환자가 위험과 이점을 이해하고, 예상되는 이점이 위험보다 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치료법은 어느 정도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치료 없이 결과가 심각할 수 있는 절박한 상황에서는 위험한 치료가 정당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악행 금지 원칙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선의 원칙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 두 원칙의 효과가 함께 작용하여 종종 이중 효과를 발생시킨다. 혈액 채취나 약물 주입과 같은 기본적인 행동조차 환자에게 해를 끼친다. 안락사는 환자가 의사의 의료 행위로 인해 사망하므로 선의 원칙에 어긋난다.
3. 4. 정의 원칙
톰 보샴과 제임스 칠드레스가 제창한 "4원칙"은 의료 윤리 분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틀로, 다음 네 가지 기본적인 도덕적 원칙을 포함한다.[122]- 자율성 존중 원칙 (respect for a patient's personal autonomy): 환자를 개인으로서 존중하고, 그 자기 결정권을 존중한다. 환자는 자신의 치료를 거부하거나 선택할 권리가 있다.
- 이익 제공 원칙 (선행, 이익 제일) (beneficence): 의료인은 환자에게 최대한의 이익을 주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
- 무해 원칙 (무해) (non-maleficence): 해악을 가하지 않는다. 또는, "실용적으로는" 해악보다 선을 증진한다.
- 공정성 원칙 (justice/equality): 부족한 건강 자원의 분배, 그리고 누가 어떤 치료를 받을지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공정 원칙.[122]
이 4가지 원칙은 중요성이나 관련성의 순위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모두 동등하게 의료 윤리에 포함된다.[125] 그러나 윤리적 충돌로 인해 계층화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모순(딜레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몇몇 도덕적 요소는 어려운 의학적 상황에서 최선의 도덕적 판단을 적용하는 데 있어 다른 몇몇 원칙을 무시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126]
일본에서는 법학자 우타 코이치의 1965년 논문에서 독일어 Personale Selbstbestimmung의 번역어로서 환자의 "개인의 자기 결정권"이 사용되었다고 한다.[154] 그와 동시에 헬싱키 선언을 포함하여, 구미에서의 환자의 권리를 위한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거기에서 주장된 영어 Patient Autonomy가 "환자의 자기 결정권"으로 번역되었다고 한다.[154]
4. 현대 의료 윤리의 쟁점
현대 의학 기술의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윤리적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는 고령화, 저출산, 의료 상업화, 경쟁 심화 등의 사회적 문제와 함께 의료 윤리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현대 의학에서 윤리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인간 피험자에 대한 실험 평가를 위한 기관 검토 위원회 사용 증가, 병원 윤리 위원회 설립, 임상 윤리학자 역할 확대,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윤리 통합 등이 이루어졌다.[19]
2019년 12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 공중 보건에 위협으로 등장하여 현대 의학 윤리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촉발했다. 우한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20] 2020년 중반까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오픈 사이언스 원칙 채택 요구가 연구 커뮤니티를 지배했다.[21] 일부 학자들은 연구 그룹 간 지속적인 소통, 연구 결과의 공공 정책으로 신속한 전환, 과학적 과정의 투명성 등이 바이러스 영향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개입이 속도를 위해 안전을 무시하고, 연구 자본을 낭비하며, 대중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1]
이러한 관행의 단점으로는 히드록시클로로퀸과 아지트로마이신의 코로나19 치료제 사용에 대한 자원 낭비 및 대중의 혼란(나중에 코로나19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당한 심독성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남)[22], 코로나19 백신 개발 속도에 기인한 백신 거부 등이 있다.[23] 그러나 오픈 사이언스는 수술용 마스크 착용 및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생명 구조 개입의 신속한 구현, 전파 및 사망률을 크게 낮춘 백신 및 단클론 항체 개발,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가, 유행의 심각성 설명, 손 씻기와 같은 코로나19 감염 예방 조치를 가능하게 했다.[21]
코로나19 윤리에 영향을 받은 의학의 다른 영역은 다음과 같다.
- 인공호흡기나 병상이 부족한 중환자실에서의 자원 배분.[24]
- 개인 보호 장비 부족으로 인한 의료 제공자의 감염 위험 증가.[25]
- 보건 전문가 및 필수 노동자에게 가해지는 과도한 부담.[26]
- 학교 폐쇄 및 온라인 학교 증가로 인터넷 접근이 제한된 가족에게 발생한 문제.[27]
- 건강 불평등 심화로 인한 BIPOC 및 장애인 커뮤니티에 대한 더 큰 영향.[28]
- 코로나19 관련 제노포비아와 관련된 아시아계 미국인, 특히 중국계 미국인에 대한 혐오 범죄 증가.[29]
- 사업체, 사무실, 식당 폐쇄로 인한 실업 증가 및 경제 침체.[30]
- 백신 거부.[23]
- 마스크 착용 또는 사회적 거리두기 거부로 인한 감염률 증가.[31]
- 코로나19 환자들로 인한 병원 및 진료소 과부하로 비필수 의료 절차 중단, 정기 진료 지연, 원격 의료로 전환.[32]
코로나19 윤리는 위에 언급된 것보다 더 많은 의학과 사회 영역에 걸쳐 있으며, 이러한 원칙 중 일부는 2022년 9월 12일 현재 진행 중인 유행병이 끝날 때까지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의료 윤리는 혼란과 모순이 발생했을 때 전문가가 참조할 수 있는 일련의 가치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치관에는 '''자율성 존중 원칙 (자기 결정권)'''[119], '''무해성 원칙'''[120], '''이익 제공 원칙'''[121], '''공정 및 정의 원칙'''[122] 등이 포함되며,[123] 이 4가지 원칙을 "생명 의학 윤리 4원칙"이라고 한다. 의사, 간병인, 환자 가족은 이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동일한 목표를 향해 노력할 수 있다.[124] 이 4가지 가치관은 중요도나 관련성 순위가 정해져 있지 않고 모두 동등하게 의료 윤리에 포함된다.[125] 하지만 윤리적 충돌로 인해 계층화가 필요한 모순(딜레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어려운 의학적 상황에서 최선의 도덕적 판단을 위해 일부 원칙이 무시될 수 있다.[126]
히포크라테스 선서(의료 전문가), 나이팅게일 선서(간호사)는 이러한 윤리 행동 규범의 기반이 된다.[127] 헬싱키 선언(1964년)과 뉘른베르크 강령(1947년)은 의료 윤리에 기여했으며 널리 알려져 있다. 1973년 낙태 권리를 다룬 로 대 웨이드 사건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 1960년대 혈액 투석 개발도 의료 윤리 역사에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게놈 편집 기술이 질병 치료, 예방에 응용되면서 미래 세대에 대한 사회적 영향에 대한 중요한 도덕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129]
의료 윤리학은 임상 현장 적용뿐만 아니라 역사, 철학, 사회학에 관한 학술 연구도 포함하며, 전 세계 모든 문화 및 종교적 배경에서 공정하고 균형 잡힌 도덕적 사고방식에 초점을 맞춘다.[130] [131]
의료 윤리는 안락사, 환자 정보 기밀 유지, 사전 동의, 의료적 이해 상충 등과 관련하여 환자 이익 우선 원칙, 자기 결정권, 공정 및 정의 개념을 포괄한다.[132] [133] [134] 문화에 따라 윤리적 가치관이 다를 수 있으며, 가족 가치관에 중점을 두고 개인 자율성을 경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포함하여 병원이나 의료 현장에서 문화적 차이에 능숙한 의사나 윤리 위원회 필요성이 요구된다.[135] [136] [137]
4. 1. 생명 윤리
생명의 본질적 가치를 다루는 도덕 철학으로, 좁은 의미의 생명윤리학이라고 한다.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행동 규범과 가치 판단에 대한 도덕 철학인 의료 윤리와는 대비된다.[204] 낙태, 안락사, 연명 의료 중단, 장기 이식, 인체 실험, 유전자 조작 등 생명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어렵고, 개인의 가치관과 종교적 신념에 따라 첨예하게 대립한다. 특히 한국 사회는 전통적인 생명 존중 사상과 현대적 가치관이 충돌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논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반출생주의는 인간을 생식하는 것을 도덕적으로 부당하다고 보는 관점으로, 소수 의견이며 논란이 있는 입장이다.[2]
4. 2. 임상 윤리
사전 동의는 환자가 권장되는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의 치료에 대해 신중하고 자발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이다.[55] 환자는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릴 능력이 있어야 하며, 치료 권고와 관련된 정보, 즉 그 성격과 목적, 모든 옵션과 대안의 부담, 위험 및 잠재적 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56] 이 정보를 받고 이해한 후 환자는 치료에 동의하거나 거부하는 완전히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57] 응급 의료 상황이나 환자의 무능력 등의 상황에서는 사전 동의의 필요성에 대한 예외가 있을 수 있다.[58]사전 동의는 윤리적, 법적 의무를 모두 갖는다.[60] 절차, 치료 또는 연구 참여 전에 적절한 동의를 받지 못하면 제공자는 폭행 및/또는 기타 불법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다.[60]
비밀 유지 의무는 일반적으로 의사와 환자 간의 대화 등에 적용된다.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환자-의사 간의 비밀 특권"(Physician–patient privilege)으로 알려져 있다.
의사는 이해 상충이 의학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서는 안 된다. 연구에 따르면 이해 상충은 학계 의사[92]와 개업 의사[93][94] 모두에게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의사와 환자 간의 성적 관계는 의사의 수탁 책임과 성적 동의가 상충될 수 있으므로 윤리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107] 환자와 성적 관계를 맺는 의사는 의사 면허를 박탈당하고 기소될 위협에 직면한다. 1990년대 초반에는 의사의 2~9%가 이 규칙을 위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10]
4. 3. 연구 윤리
헬싱키 선언 이후 다양한 지침이 요구되어 온 역사가 있으며, 많은 문서가 존재한다. 의학 연구를 위한 최초의 행동 규범은 뉘른베르크 강령이다. 1947년에 도입된 이 문서는 나치 전쟁 범죄와 관련이 깊어, 일반적인 의료 행위를 규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새로운 지침이 필요하게 되었고, 헬싱키 선언이 등장했다. 헬싱키 선언은 뉘른베르크 강령과 달리 자세한 설명을 포함하여 작성되었다.[19]영국에서는 'Good Medical Practice' 성명을 통해 명확하고 현대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세계 의료 보호 협회나 여러 대학 부서 등의 조직은 윤리 문제에 대한 상담을 제공한다.
다음은 잘 알려진 의료 윤리 사례들이다.
사건명 | 설명 |
---|---|
앨버트 클리그먼의 피부과 실험 | |
깊은 수면 요법 | |
의사 재판 | |
그린버그 대 마이애미 어린이 병원 연구소 | |
헤리 에타 랙스 | |
체스터 M. 사우스햄의 암 주사 연구 | |
인간 방사선 실험 | |
제시 겔싱어 | |
무어 대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 | |
정신 건강 개선을 위한 신체 부위 외과적 제거 | |
흑인 미국인에 대한 의료 실험 | |
밀그램 실험 | |
방사성 요오드 실험 | |
몬스터 연구 | |
플루토늄 주사 | |
데이비드 라이머 사건 | |
스탠퍼드 감옥 실험 | |
터스키기 매독 연구 | |
윌로브룩 주립학교 | |
야노마미 혈액 샘플 수집 |
다음은 연구 윤리와 관련된 주요 개념 및 지침들이다.
관련 개념 및 지침 |
---|
동물 실험 |
임상 연구의 아동 |
CIOMS 지침 |
임상적 동등성 |
임상 연구 윤리 |
제네바 선언 |
헬싱키 선언 |
도쿄 선언 |
임상 시험에서 아동을 사용하는 윤리적 문제 |
인체 첫 투여 연구 |
우수 임상 관리 기준 |
건강 보험 이동성 및 책임에 관한 법률 |
기관생명윤리위원회 |
뉘른베르크 강령 |
연구 윤리 상담 |
세계 인권 선언 |
4. 4. 기타 윤리
간호 윤리, 군 의료 윤리Military medical ethics|군 의료 윤리영어, 직업 윤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윤리가 적용된다.5. 문화와 의료 윤리
의료 윤리는 문화적 배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윤리적 가치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문화적 차이는 어려운 의료 윤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부 문화권에서는 질병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영성주의 또는 마법적인 이론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믿음과 서양 의학의 원칙을 조화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81]
서로 다른 문화가 계속 섞이고 더 많은 문화가 서로 공존함에 따라, 출생, 죽음, 고통과 같은 중요한 삶의 사건을 다루는 의료 시스템은 문화적 충돌과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어려운 딜레마를 점점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 문화적으로 민감한 방식으로 대응하려는 노력은 문화적 관용의 한계를 구별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이루어진다.[81]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국가로 이주함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커뮤니티에 문화적으로 민감하게 대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82] 문화적 지식이 부족하면 오해를 일으키고 부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윤리적 문제로 이어진다. 환자들이 흔히 하는 불만은 자신이 제대로 듣지 못하거나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이다.[82] 갈등의 악화를 예방하려면 통역을 활용하고, 자신과 환자 모두의 몸짓 언어와 어조에 주의하며,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82]
일부에서는 미래의 대부분의 의료 종사자가 이중 언어 구사자가 되어야 하거나 그렇게 되는 것이 큰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언어를 아는 것 외에도, 진정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최적의 치료를 위해 가장 좋다.[83] 최근, '내러티브 의학'이라는 실천이 환자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 및 환자 관점 이해를 개선할 가능성이 있어 관심을 받고 있다. 환자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수집하는 대신, 환자의 이야기나 일상 활동을 해석하는 것은 각 환자의 질병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더 잘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정보가 없으면 많은 의사들은 두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문화적 차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으며, 따라서 문화적으로 무감각하거나 부적절한 진단을 내리거나 치료를 권할 수 있다.
인권의 시대는 1945년 유엔이 결성되면서 시작되었다. 세계 인권 선언(1948)은 인권을 정의하는 최초의 주요 문서이다. 의사는 환자의 인권과 개인의 존엄성을 지켜야 할 윤리적 의무가 있으며, 인권을 정의하는 문서의 출현은 의료 윤리에도 영향을 미쳤다.[163] 대부분의 의료 윤리 규정은 현재 환자의 인권 존중을 요구하고 있다.
유럽 평의회는 47개 회원국을 위해 통일된 의학 윤리 규정을 제정하기 위해 '인권과 생명 의학에 관한 유럽 협약'(1997)을 채택했다. 협약은 국제 인권법을 의료 윤리에 적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아동을 포함하여 동의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신체적 완전성에 대한 특별한 보호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2013년 12월 현재 이 협약은 유럽 평의회 29개 회원국에서 비준 또는 승인되었다.[165]
유네스코에서도 인권과 개인의 존엄성 보호를 추진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에 따르면 "선언은 비준 대상이 아닌 규범을 정의하는 또 다른 수단이다"라고 한다. 권고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국가 공동체가 가능한 최대의 권위를 부여하고 가능한 가장 광범위한 지원을 제공하기를 희망하는 보편적인 원칙을 정했다. 유네스코는 의료 윤리에서 국제 인권법의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세계 인권 선언 및 생명 의학 선언'을 채택했다.
앵글로색슨 공동체에서 볼 수 있는 사회 정의와 관련된 자율성 및 개인적 인권에 대한 보다 개성적인 기준은 공동체라는 개념과 충돌할 수도 있고, 이를 보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타적인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의료를 제공하고자 한다.[167] 미국에서는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헬스케어 규범이 지지받고 있지만, 유럽 국가를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는 공동체에 대한 존중과 개인적인 지원이 무상 의료와 관련하여 더 큰 지지를 받고 있다.[167]
5. 1. 불교
불교 윤리와 의학은 고통과 인과 관계에 대한 자비와 이해의 종교적 가르침에 기반하며, 삶에는 시작이나 끝이 없고, 무한한 윤회의 순환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생각에 기반한다.[81] 이러한 관점에서 죽음은 영원히 긴 과정의 한 단계일 뿐, 끝이 아니다. 그러나 불교의 가르침은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모든 고통 속에서도 후회가 없도록 삶을 최대한 충실히 살아가도록 권장한다. 불교는 고통을 피할 수 없는 경험으로 받아들이지만, 행복을 소중히 여기며 삶을 가치 있게 여긴다.[81] 이러한 이유로 자살과 안락사는 금지된다. 그러나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괴로움을 없애려는 시도는 좋은 행위로 여겨진다. 반면에 진정제와 약물은 임종 과정에서 의식과 인지 능력을 손상시킨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임종 시 의식이 남아 새로운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임종 시 온전하게 존재하여 의식을 건강하게 전달하기 위해 진통제는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서양 의료 행위에서 임종 간호 중에 심각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81]5. 2. 중국
전통적인 중국 철학에서 인간의 삶은 자연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으며, 자연은 모든 생명의 단계를 유지하는 기초이자 포괄적인 힘으로 여겨진다.[81] 계절의 변화, 삶, 탄생과 죽음은 음과 양의 원리에 의해 조절되는 주기적이고 영구적인 현상으로 인식된다.[81] 사람이 죽으면 육체와 정신을 모두 포괄하는 생명력을 의미하는 '기'는 우주의 물질적 힘에 다시 결합되어 음과 양에 의해 설정된 리듬에 따라 순환한다.[81]5. 3. 이슬람
많은 사람들은 이슬람 의료 윤리와 그 틀이 의료 분야 종사자들에게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이슬람은 의학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측면을 아우르고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91] 질병의 치료는 신앙과 최고의 신에 달려 있다고 믿기 때문에, 의사는 치유 또는 의료 과정에서 단순한 조력자 또는 중개자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91]6. 한국 의료 시스템과 의료 윤리
한국 의료 시스템은 높은 의료 접근성과 우수한 의료 기술을 자랑하지만, 의료 상업화, 과잉 경쟁, 의료 불평등, 의료인의 권위주의적 태도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의료 윤리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환자와 의료인 간의 불신을 초래하며, 의료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문제점 섹션에서, 개선 방안은 #개선 방안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6. 1. 문제점
의료윤리학은 의료 상업화, 경쟁 심화, 의료 불평등, 의료인의 권위주의적 태도, 의료 분쟁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의료 상업화는 과도한 영리 추구로 이어져 비급여 진료 확대, 과잉 진료, 환자 유인 행위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의사들은 제약 회사로부터의 선물, 식사 등 유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97] 업계에서 후원하는 지속적 의학 교육(CME) 프로그램은 처방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98] 한 연구에서는 많은 환자들이 제약 회사의 의사 선물이 처방 관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데 동의했다.[9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탠퍼드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술 기관에서는 제약 회사 후원 점심 및 선물 금지를 발표하기도 했다.[100][101]
경쟁 심화는 병원 간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여 의료인의 소진,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의사는 이해 상충이 의학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서는 안 되지만, 현실에서는 이해 상충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92][93][94] 미국 의사 협회 윤리 매뉴얼은 환자를 의학 검사로 의뢰하여 수입을 얻는 의사가 더 많은 환자를 의학 검사로 의뢰하는 관행을 금지하고 있다.[95][96]
의료 불평등은 지역 간 의료 격차,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 접근성 차이, 취약 계층의 의료 소외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의료인의 권위주의적 태도는 환자와의 소통 부족, 일방적인 의사 결정, 환자의 권리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의료 분쟁은 의료 과실, 설명 의무 위반, 진료 거부 등으로 인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병원 내에서 적절한 윤리적 가치관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병원 인증'이 필요하며, 의사의 인테그리티 평가, 이해 상충 행위 방지책, 연구 윤리 및 장기 이식 윤리에 관한 윤리적 고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복잡한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병원에서 윤리위원회 소집이 요구되기도 한다. 윤리위원회는 주로 의료 전문가로 구성되지만, 법조인, 철학자, 일반인, 성직자를 포함하는 경우도 많으며, 실제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들의 존재가 필수적이라고 여겨진다.
6. 2. 개선 방안
의료 개혁은 생활 습관 개선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1990년에는 담배 사용, 식단, 운동 부족이 조기 사망의 약 80%를 차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다.[88] 심장병, 뇌졸중, 치매, 당뇨병과 같은 질병은 생활 습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88] 따라서 의료 생활 방식 상담과 건강한 습관 형성이 의료 개혁의 한 방법으로 제시되기도 한다.[88]환자의 알 권리에 입각한 동의는 의료 윤리의 중요한 원칙이다. 환자는 치료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제공받고 이해한 후 치료를 선택하거나 거부할 권리가 있다. 환자가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경우, 법률에 따라 가족 등이 의사 결정을 위임받을 수 있다. 단, 담당 의사는 중립성을 위반할 수 있으므로 위임 대상이 될 수 없다.
병원 내 윤리적 가치관 적용을 위해 효과적인 병원 인증이 필요하며, 의사의 인테그리티 평가, 이해 상충 방지책, 연구 윤리, 장기 이식 윤리 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7. 결론
의료 윤리는 환자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하고, 의료인과 환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며, 더 나은 의료 시스템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사회는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다양한 윤리적 쟁점들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를 통해 바람직한 의료 윤리 문화를 정립해야 한다. 특히, 한국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고, 중도 진보적 가치를 바탕으로 환자와 의료인 모두가 행복한 의료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의료 윤리는 생명 윤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더 광범위한 문제를 다룬다.[10] 또한 법과도 관련이 있지만, 윤리는 종종 법이 규정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행동을 의미한다.[11] 의료 윤리는 안락사, 환자 정보에 대한 의료 기밀 유지, 사전 동의, 의료적인 이해 상충 등과 관련하여 환자의 이익 우선 원칙, 자기 결정권, 그리고 공정 및 정의 원칙을 포괄한다.[132] [133] [134]
이 분야는 역사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해 왔기 때문에, 전 세계 모든 문화적 및 종교적 배경에서 공정하고 균형 잡힌 도덕적인 사고방식 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130] [131]
참조
[1]
간행물
Medical Ethic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11-24
[2]
학술지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3]
학술지
Medical Ethics Made Easy
[4]
웹사이트
Bioethic Tools: Principles of Bioethics
https://depts.washin[...]
2017-03-21
[5]
학술지
The Hippocratic Oath and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5-01-10
[6]
학술지
The Code of Medical Ethic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
[7]
학술지
The Evolving Ethics of Dialysis in the United States: A Principlist Bioethics Approach
2016-04-07
[8]
웹사이트
Safeguarding the future of human gene editing.
https://login.proxyl[...]
2019-03-19
[9]
학술지
Procreative Beneficence and Genetic Enhancement
2018
[10]
서적
Medical Ethics Manual
[11]
학술지
СУЧАСНА МЕДИЧНА ЕТИКА: ВІД ГІППОКРАТА ДО БІОЕТИКИ {{!}} Український Медичний Часопис
https://umj.com.ua/u[...]
2003-10-30
[12]
학술지
The Code of Medical Ethic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3]
웹사이트
''Codes of Ethics: Some History'', Center for the Study of Ethics in the Professions at IIT
http://ethics.iit.ed[...]
[14]
서적
Jeffrey Lionel Berlant, Profession and monopoly, A study of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Berkeley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8vo, pp. Xi, 337, £9.60.
https://archive.org/[...]
1976
[15]
서적
Medical ethics
https://archive.org/[...]
John Henry Parker
[16]
학술지
A Brief Histo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on Patient Autonomy and Medical Decision Making
2011-06
[17]
웹사이트
Percival
http://www.uab.edu/r[...]
2007-10-16
[18]
문서
Walter, Klein eds. ''The Story of Bioethics: From seminal works to contemporary explorations''.
[19]
학술지
Time for a unified approach to medical ethics
[20]
웹사이트
Chinese researchers reveal draft genome of virus implicated in Wuhan pneumonia outbreak
https://www.science.[...]
2022-09-13
[21]
학술지
Open science saves lives: less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2021-06-05
[22]
학술지
Hydroxychloroquine with or without Azithromycin in Mild-to-Moderate Covid-19
https://doi.org/10.1[...]
2020-11-19
[23]
학술지
Understanding vaccine hesitancy in COVID-19
2021-05-14
[24]
학술지
Covid-19: Ethical Challenges for Nurses
2020-05
[25]
학술지
Ethical Ration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Minimize Moral Residu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0-06
[26]
학술지
The COVID-19 burden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Results of a global survey
2021-01
[27]
학술지
School closures were over-weighted against the mitigation of COVID-19 transmission: A literature review on the impact of school closures in the United States
2021-07-30
[28]
웹사이트
COVID-19 Cases and Deaths by Race/Ethnicity: Current Data and Changes Over Time
https://www.kff.org/[...]
2022-09-13
[29]
학술지
Anti-Asian Hate Cri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xploring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y
2020
[30]
학술지
The impact of COVID-19 on small business owners: Evidence from the first three months after widespread social-distancing restrictions
2020
[31]
학술지
Negative attitudes about face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dual importance of perceived ineffectivenes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2021-02-17
[32]
학술지
Ethical Considerations for Telepsychotherapy and the Management of High-Risk Patients During Coronavirus 2019 (COVID-19): Challenges and Practice Considerations
https://www.tandfonl[...]
2021-04-03
[33]
학술지
Medical ethics: four principles plus attention to scope
[34]
웹사이트
Principles of Bioethics {{!}} UW Department of Bioethics & Humanities
https://depts.washin[...]
2021-01-18
[35]
학술지
Paternalism and autonomy: views of patients and providers in a transitional (post-communist) country
[36]
논문
Autonomy and paternalism in medicine
[37]
논문
Alzheimer, Dementia and the living will: a proposal
2014
[38]
웹사이트
Assessing mental capacity
https://www.bma.org.[...]
BMA
2018-05-24
[39]
논문
Ethical issues, part 2: ethics, psychiatry, and end-of-life issues
http://www.searchmed[...]
[40]
논문
The Hippocratic Oath and Contemporary Medicine: Dialectic Between Past Ideals and Present Reality?
2005-01-01
[41]
웹사이트
Medical.Webends.com > Double effect
http://medical.weben[...]
2010-09-05
[42]
서적
Primary hematology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43]
서적
Clinical pain management: Cancer pain
Hodder Arnold
[44]
웹사이트
Principal features of medical ethics
http://www.wma.net/e[...]
[45]
간행물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
http://conventions.c[...]
1997-04-04
[46]
웹사이트
Table of Ratifications and Accessions
http://www.conventio[...]
[4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http://portal.unesco[...]
2005-10-19
[48]
논문
Solidarity and justice in Health Care. A critical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https://s3.us-east-1[...]
2015-03
[49]
논문
Renewing Medicine's basic concepts: on ambiguity
http://go.galegroup.[...]
2018-07
[50]
웹사이트
Physician-Assisted Suicide Fast Facts
https://edition.cnn.[...]
2014-11-26
[51]
웹사이트
Member organizations – The World Federation of Right to Die Societies
https://www.worldrtd[...]
2020-10-25
[52]
웹사이트
Louisiana Euthanasia Laws
https://statelaws.fi[...]
[53]
웹사이트
Assisted Suicide Laws in the United States {{!}} Patients Rights Council
http://www.patientsr[...]
[54]
웹사이트
Euthanasia, Ethics and Public Policy: an Argument against Legislation
http://site.ebrary.c[...]
2002
[55]
간행물
Informed Cons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56]
뉴스
Informed Consent
https://www.ama-assn[...]
[57]
웹사이트
Informed Consent
https://www.ama-assn[...]
[58]
논문
Informed consent—It's more than a signature on a piece of paper
https://www.scienced[...]
2017-12-01
[59]
논문
How to obtain informed consent for research
https://breathe.ersj[...]
2018-06-01
[60]
웹사이트
informed consent
https://www.law.corn[...]
[61]
논문
Informed-consent laws vary from state to state
https://jada.ada.org[...]
2005-11-01
[62]
웹사이트
Confidentiality
https://www.themedic[...]
2020-12-02
[63]
웹사이트
Confidentiality and HIPAA – Fundamentals
https://www.msdmanua[...]
[64]
웹사이트
Legislative News, Studies and Analysis –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http://www.ncsl.org/[...]
[65]
웹사이트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 Abortion Laws > Parental Involvement in Minors' Abortions
http://www.ncsl.org/[...]
Webarchive.loc.gov
[66]
서적
Handbook of professional ethics for psychologists: issues, questions, and controversies
Sage Publications, Inc.
2003
[67]
간행물
Must My Doctor Tell My Partner? Rethinking Confidentiality In the HIV Era
2006-06
[68]
논문
Eth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on internet communities
[69]
논문
Studying the amateur artist: A perspective on disguising data collected in human subjects research on the Internet
[70]
논문
Constructions and Reconstructions of Self in Virtual Reality
[71]
논문
Multiple subjectivity and virtual community at the end of the Freudian century
[72]
논문
Privacy and Health in the Information Age: A Content Analysis of Health Web Site Privacy Policy Statements
[73]
웹사이트
Pr News Now -
http://www.prnewsnow[...]
2008-09-14
[73]
논문
Physicians Competing for TopTen Search Engine Placements Find Success Inexpensive
[74]
논문
Health care in the metaverse
2023-01-16
[75]
논문
Medical ethics and law for doctors of tomorrow: the 1998 Consensus Statement updated
https://jme.bmj.com/[...]
2010-01-01
[76]
서적
Sanctions Guidance
Medical Practitioners Tribunal Service
[77]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2007
[78]
웹사이트
Good medical practice – GMC
http://www.gmc-uk.or[...]
Gmc-uk.org
2018-05-24
[79]
문서
http://www.chrcrm.or[...]
[80]
논문
Research Ethics Committees (RECS)/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and the Globalization of Clinical Research: Can Ethical Oversight of Human Subjects Research be Standardized?
https://openscholars[...]
2021-01-19
[81]
서적
A Cross-Cultural Dialogue on Health Care Ethics.
Waterloo, Ont :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82]
논문
When culture and medicine collide
2002-06
[83]
논문
reconsidering the role of language in medicine
2018
[84]
논문
Good medical ethics, justice and provincial globalism
2014-10
[85]
논문
Perceiving Sympathetically: Moral Perception, Embodiment, and Medical Ethics
2015-12
[86]
논문
New trends of short-term humanitarian medical volunteerism: profession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87]
논문
Ethical dilemmas in medical humanitarian practice: cases for reflection from Medecins Sans Frontieres
2011-03
[88]
논문
Lifestyle is the medicine, culture is the spoon: the covariance of proposition and preposition
2013-10
[89]
논문
Lessons for the Health-care Practitioner from Buddhism
2018
[90]
논문
Are medical ethics universal or culture specific
2013-08
[91]
논문
Islam and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3-08
[92]
논문
Scope and impact of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in biomedical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93]
논문
Pharmaceutical company payments to physicians: early experiences with disclosure laws in Vermont and Minnesota
[94]
논문
Conflicts of interest in divisions of general practice
2006
[95]
논문
Increased costs and rates of use in the California workers' compensation system as a result of self-referral by physicians
[96]
논문
Ethics manual. Fourth editio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http://www.annals.or[...]
[97]
논문
The influences of drug companies' advertising programs on physicians
[98]
논문
Physicians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a gift ever just a gift?
[99]
논문
Patients' attitudes about gifts to physicians from pharmaceutical companies
[100]
뉴스
Drug money withdrawals: Medical schools review rules on pharmaceutical freebies
http://www.montereyh[...]
LA Times
2007-02-12
[101]
웹사이트
JH Medicine Policy on Interaction with Industry
http://www.hopkinsme[...]
2009-07-01
[102]
간행물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of Ethics May 2012, Volume 14, Number 5: 396–397
[103]
논문
Role conflicts of physicians and their family members: rules but no rulebook
[104]
논문
When physicians treat members of their own families. Practices in a community hospital
[105]
논문
Is there a doctor in the house? An analysis of the practice of physicians' treating their own families
[106]
간행물
"Medline search requests by physicians relating to their own health or to the health of members of their family."
https://drive.google[...]
[107]
논문
Doctor–patient sexual relationships in medical oaths
2006-12-01
[108]
논문
Whe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urns sexual
http://go.galegroup.[...]
2016-03
[109]
논문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1039 U.S. Physicians Reported to the National Practitioner Data Bank for Sexual Misconduct, 2003–2013
2016-02
[110]
논문
Physician-patient sexual contact. Prevalence and problems
[111]
문서
May Physicians Date Their Patients' Relatives? Rethinking Sexual Misconduct & Disclosure After Long v. Ostroff
2004-05
[112]
논문
Elective Non-therapeutic Intensive Care and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3-01-26
[113]
웹사이트
medical ethics
https://eow.alc.co.j[...]
[114]
웹사이트
医の倫理
https://kotobank.jp/[...]
[115]
웹사이트
医療倫理 概要 臨床倫理(MEDICAL ETHICS Overview CLINICAL ETHICS)
https://vtethicsnetw[...]
[116]
논문
Medical ethics
https://www.ncbi.nlm[...]
2016
[117]
웹사이트
ヒポクラテス
https://kotobank.jp/[...]
[118]
웹사이트
医学史
https://kotobank.jp/[...]
[119]
문서
「[[オートノミー]](Autonomy)」の訳語として一部日本の医療関係者においては、「自律性尊重原則」や「自律原則」などといった表記もなされる場合もある。しかしながら、文中の中ほどの定義でも触れられているように「自律」はこの文脈では誤りであり、「自主」または「[[自己決定権]]」の意味である。[[オートノミー]]は「"autos" (self=自ら) and "nomos (rule=治む・統治・支配)」を元にしており、単語の定義は「Autonomy is the capacity of a rational individual to make an informed, un-coerced decision; or, in politics, self-government」つまり、「合理的な個人として、よく情報を与えられた上でなおかつ他から影響されない自由な意思決定をすることが可能なキャパシティー(能力を与えられている状態=権利)。政治においては自治」となる。
[120]
문서
non-maleficenceは、日本では「無危害原則」との表記も多くみられる。
[121]
문서
beneficenceは、日本では「善行原則」や「利益第一原則」などの表記も多くみられる。
[122]
문서
justice/equalityは、単に「正義原則」などとする場合もある。
[123]
논문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124]
논문
Medical Ethics Made Easy
http://journals.lww.[...]
2019-01-25
[125]
웹사이트
Bioethic Tools: Principles of Bioethics
https://depts.washin[...]
2017-03-21
[126]
논문
The Hippocratic Oath and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5-01-10
[127]
논문
The Hippocratic Oath and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5-01-10
[128]
논문
The Code of Medical Ethic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
[129]
웹사이트
Safeguarding the future of human gene editing.
https://login.proxyl[...]
2019-03-19
[130]
서적
A Cross-Cultural Dialogue on Health Care Ethics.
Waterloo, Ont :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31]
논문
When culture and medicine collide
2002-06
[132]
문서
Must My Doctor Tell My Partner? Rethinking Confidentiality In the HIV Era
2006-06
[133]
논문
Good medical ethics, justice and provincial globalism
2014-10
[134]
논문
The influences of drug companies' advertising programs on physicians
[135]
서적
A Cross-Cultural Dialogue on Health Care Ethics.
Waterloo, Ont :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36]
논문
Are medical ethics universal or culture specific
2013-08
[137]
논문
When culture and medicine collide
2002-06
[138]
논문
The Code of Medical Ethic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39]
웹사이트
Bioethic Tools: Principles of Bioethics
https://depts.washin[...]
2017-03-21
[140]
웹사이트
'Codes of Ethics: Some History'
http://ethics.iit.ed[...]
[141]
논문
Profession and Monopoly: a study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142]
서적
Medical ethics
https://books.google[...]
John Henry Parker
[143]
논문
A Brief Historical an Theoretical Perspective on Patient Autonomy and Medical Decision Making
https://pdf.scienced[...]
2011-06
[14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ab.edu/r[...]
2007-10-16
[145]
문서
Walter, Klein eds. ''The Story of Bioethics: From seminal works to contemporary explorations''.
[146]
논문
Medical ethics: four principles plus attention to scope
[147]
논문
A Brief Historical an Theoretical Perspective on Patient Autonomy and Medical Decision Making
https://pdf.scienced[...]
2011-06
[148]
논문
Elective Non-therapeutic Intensive Care and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3-01-26
[149]
논문
Paternalism and autonomy: views of patients and providers in a transitional (post-communist) country
[150]
논문
Autonomy and paternalism in medicine
[151]
논문
Alzheimer, Dementia and the living will: a proposal
2014
[152]
웹사이트
Assessing mental capacity
https://www.bma.org.[...]
BMA
2018-05-24
[153]
논문
Ethical issues, part 2: ethics, psychiatry, and end-of-life issues
http://www.searchmed[...]
[154]
웹사이트
「自己決定(英)self-determination, autonomy」
http://www.arsvi.com[...]
2019-05-21
[155]
논문
ヨーロッパにおける患者の権利法 (翻訳・解説 ヨーロッパにおける患者の権利法)
https://cir.nii.ac.j[...]
2006-02
[156]
웹사이트
http://medical.nihon[...]
[157]
간행물
シンポジウム
https://www.nichiben[...]
第54回人権擁護大会
2011-10-06
[158]
논문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159]
논문
The Hippocratic Oath and Contemporary Medicine: Dialectic Between Past Ideals and Present Reality?
2005-01-01
[160]
웹사이트
Medical.Webends.com > Double effect
http://medical.weben[...]
[161]
서적
Primary hematology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162]
서적
Clinical pain management: Cancer pain
[163]
웹사이트
Principal features of medical ethics
http://www.wma.net/e[...]
2015-11-03
[164]
간행물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
http://conventions.c[...]
1997
[165]
웹사이트
Table of Ratifications and Accessions
http://www.conventio[...]
[166]
간행물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http://portal.unesco[...]
UNESCO
2005-10-19
[167]
논문
Solidarity and justice in Health Care. A critical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https://s3.us-east-1[...]
2015-03
[168]
논문
Renewing Medicine's basic concepts: on ambiguity
http://go.galegroup.[...]
2018-07
[169]
논문
Elective Non-therapeutic Intensive Care and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2013-01-26
[170]
웹사이트
Euthanasia, Ethics and Public Policy: an Argument against Legislation
https://www.cambridg[...]
2019-05-17
[171]
웹사이트
Legislative News, Studies and Analysis -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http://www.ncsl.org/[...]
2010-02-24
[172]
웹사이트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 Abortion Laws > Parental Involvement in Minors' Abortions
http://www.ncsl.org/[...]
Webarchive.loc.gov
2018-05-24
[173]
문서
Appel, JM. Must My Doctor Tell My Partner? Rethinking Confidentiality In the HIV Era, ''Medicine and Health Rhode Island'', Jun 2006
[174]
논문
Eth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on internet communities
[175]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http://search.proque[...]
2007
[176]
웹사이트
Good medical practice - GMC
http://www.gmc-uk.or[...]
Gmc-uk.org
[177]
링크
http://www.chrcrm.or[...]
[178]
서적
A Cross-Cultural Dialogue on Health Care Ethics.
Waterloo, Ont :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79]
간행물
When culture and medicine collide
2002-06
[180]
간행물
reconsidering the role of language in medicine
2018
[181]
간행물
Scope and impact of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in biomedical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182]
간행물
Pharmaceutical company payments to physicians: early experiences with disclosure laws in Vermont and Minnesota
[183]
간행물
Increased costs and rates of use in the California workers' compensation system as a result of self-referral by physicians
[184]
간행물
Ethics manual. Fourth editio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http://www.annals.or[...]
[185]
간행물
The influences of drug companies' advertising programs on physicians
[186]
간행물
Physicians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a gift ever just a gift?
[187]
간행물
Patients' attitudes about gifts to physicians from pharmaceutical companies
[188]
뉴스
Drug money withdrawals: Medical schools review rules on pharmaceutical freebies
http://www.montereyh[...]
LA Times
2007-02-12
[189]
웹사이트
JH Medicine Policy on Interaction with Industry
http://www.hopkinsme[...]
2009-07-01
[190]
문서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of Ethics May 2012, Volume 14, Number 5: 396-397
[191]
간행물
Role conflicts of physicians and their family members: rules but no rulebook
[192]
간행물
When physicians treat members of their own families. Practices in a community hospital
[193]
간행물
Is there a doctor in the house? An analysis of the practice of physicians' treating their own families
[194]
간행물
Whe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urns sexual
http://go.galegroup.[...]
2016-03
[195]
간행물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1039 U.S. Physicians Reported to the National Practitioner Data Bank for Sexual Misconduct, 2003–2013
2016-02
[196]
간행물
Physician-patient sexual contact. Prevalence and problems
[197]
문서
May Physicians Date Their Patients’ Relatives? Rethinking Sexual Misconduct & Disclosure After Long v. Ostroff
Medicine & Health, Rhode Island
2004-05
[198]
웹사이트
患者からのデートの誘いはOK? 医師の恋愛ルール|WOMAN SMART|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19-05-17
[199]
서적
医師の言葉があなたを変える! 徹底相談 ~精神科医熊木に訊け!
熊木徹夫
2012-11-28
[200]
문서
Professional Boundaries and the Nurse-Client Relationship: Keeping it Safe and Therapeutic - Guidelines for Registered Nurses
https://crnns.ca/wp-[...]
[201]
저널
https://ir.ymlib.yon[...]
2019-09-22
[202]
저널
2019-09-22
[203]
저널
https://www.medhist.[...]
2019-09-22
[204]
저널
2019-09-22
[205]
저널
https://pdfs.semanti[...]
2019-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