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공치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치관은 손상되거나 마모된 치아의 형태, 기능, 심미성을 회복하기 위해 씌우는 보철물이다. 다양한 적응증에 따라 사용되며, 치아 삭제, 임시 치관 제작, 인상 채득, 수복물 선택 등의 임상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장착된다. 인공치관은 전부 피개관과 부분 피개관으로 나뉘며, 금속, 금속-세라믹, 전체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다. CAD/CAM 기술을 활용한 제작 방식도 발전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인공치관의 역사는 고대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 보철물 - 갈바니즘
  • 치과 보철물 - 관교의치
    관교의치는 치아가 없는 부분을 주변 치아에 고정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키는 고정성 가공의치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며 성공적인 사용을 위해 정기적인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 치과보철학 - 덴탈임플란트
    덴탈임플란트는 티타늄 재질의 인공 치아 뿌리를 턱뼈에 심어 치아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하는 치료 방법으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안정성과 저작력을 제공하며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지만, 외과 수술 위험, 시술 후 관리, 비용,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 치과보철학 - 치과 보철학
    치과 보철학은 인공적인 보철물로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키는 치의학 분야로,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어 피에르 포샤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결손된 치아의 수와 상태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인공치관
기본 정보
명칭치과 크라운 (보철)
정의치아의 보이는 부분을 재현하는 치과 보철물
포스트 위의 전방 치아 크라운
관련 질병 및 시술
ICD-10Z98.811
ICD-923.41
MeSH IDD003442

2. 적응증

임플란트 수복의 일부로 사용되는 크라운


크라운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2][21][3][60]

  • 기존 크라운 실패 시 교체.
  • 심하게 손상, 마모, 파절된 치아의 형태, 기능, 외관 회복 (다른 간단한 형태의 수복으로는 부적절하거나 임상적으로 실패한 경우).
  • 보기 흉한 치아의 심미성 개선 (간단한 심미적 및 수복 시술로 관리할 수 없는 경우).
  •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를 포함, 심하게 수복된 치아의 구조적 안정성 유지 및 파절 위험 감소.
  • 단일 치과 임플란트의 보이는 부분 수복.

2. 1. 손상된 치아의 회복

크라운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된다.[2][21][3][60]

  • 기존 크라운이 실패한 경우 교체.
  • 심하게 손상되거나 마모되거나 파절된 치아의 형태, 기능 및 외관을 회복 (다른 간단한 형태의 수복으로는 부적절하거나 임상적으로 실패한 경우).
  • 보기 흉한 치아의 심미성을 개선 (더 간단한 심미적 및 수복 시술로 관리할 수 없는 경우).
  • 광범위하게 수복된 치아, 특히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파절 위험을 감소.
  • 단일 치과 임플란트의 보이는 부분을 수복.


2. 2. 기존 크라운의 교체

기존 크라운이 실패한 경우 교체한다.[2][21][3][60]

2. 3. 심미성 개선

크라운은 간단한 심미적 및 수복 시술로 관리할 수 없는 보기 흉한 치아의 심미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2][3][21]

2. 4. 근관 치료 후 치아 보호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는 파절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크라운과 같은 간접 수복물을 사용하여 교두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였다.[4] 이 때문에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에 크라운 처방이 일반화되었다.[3]

그러나 최근 문헌 검토에 따르면 크라운이 근관 충전된 치아를 수복하는 데 다른 일반적인 수복물보다 더 낫다는 강력한 증거는 없다. 치과의사는 크라운 사용 여부를 결정할 때 환자의 선호를 고려하여 임상 경험을 활용해야 한다.[5]

일반적으로 접근 공동의 표면적이 치아 교합면의 1/3을 초과하거나, 설면 또는 협면 벽이 약화되었거나, 근심 및 원심 변연 융선이 없는 경우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에 크라운 및 기타 간접 수복물 사용이 정당화된다.[3]

2. 5. 임플란트 수복



크라운은 단일 치과 임플란트의 보이는 부분을 수복하는 데 사용된다.[2][21][3]

3. 임상 단계

인공치관 치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3]

인공치관 치료 단계
단계내용
평가환자 병력과 임상 치과 검사를 통해 환자의 기대, 치료 계획 준수 및 유지를 위한 동기, 금전적 및 시간적 비용, 치주 건강 상태, 치수 건강, 치아 우식, 교합 문제, 남아있는 치아 구조, 준비될 치아의 높이와 너비, 부착 수준, 뿌리 모양과 길이, 심미적 요인 등을 고려한다.
수복물 선택자연 치관의 크기와 적용 범위(전체 치관, 3/4 및 7/8 치관), 사용될 재료(금속, 금속-세라믹 치관, 전체 세라믹 치관) 등을 고려하여 수복물을 선택한다.
치아 삭제인공 치관을 씌우기 위해 치아를 삭제할 때는 유지와 저항, 치아 구조 보존, 구조적 내구성, 변연 완전성, 치주 조직 보존, 심미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임시 수복물 제작 및 장착치아 삭제 후 최종 보철물을 기다리는 동안 다듬어진 치아에 임시 치관(크라운)을 장착한다. 임시 치관은 치수염 및 치수 괴사 예방, 잇몸 성장 방지, 세척 용이, 교합 및 인접면 접촉 유지, 심미적 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치아 삭제 인상 채득제작될 보철물이 요구되는 치수에 부합하고 정확한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치아 삭제 부위 또는 치과 임플란트, 주변 경조직 및 연조직, 반대쪽 치열에 대한 정확한 인상을 만든다. 디지털 방식 또는 기존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 수복물 장착임시 치관을 제거하고 최종 크라운을 구강 내에 장착한다. 이때 임시 시멘트 잔여물은 잇몸 건강을 해치고 최종 수복물의 정확한 장착과 영구 시멘트 부착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단기/장기 추후 관리치과의사나 치과 기공사의 기술, 사용되는 재료, 환자의 구강 위생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인공치관의 수명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평균 수명은 10년 정도이다.[1] 정기적인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는 인공치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중요하다.[1]


3. 1. 평가

환자의 환자 병력과 임상 치과 검사를 통해 여러 요소를 탐구하여 최적의 상태와 제안된 치관의 수명을 보장해야 한다.[3]

  • '''환자 요인'''
  • 환자 기대
  • 치료 계획 준수 및 결과 유지를 위한 환자의 동기 부여
  • 환자의 금전적 및 시간적 비용
  • '''생물학적 요인'''
  • 치주 건강 상태 및 치주 질환 위험
  • 치수 건강 및 근관 치료 질환 위험
  • 치아 우식 및 우식 위험
  • 교합 및 교합 문제 위험
  • '''기계적 요인'''
  • 남아있는 치아 구조의 양
  • 준비될 치아의 높이와 너비
  • 준비될 치아의 부착 수준
  • 준비될 치아의 뿌리 모양과 길이
  • '''심미적 요인'''


치관을 구강 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치아를 많이 삭제해야 하는데, 이는 불가역적인 행위이므로 필요하지 않다면 치관은 금기이다. 치관의 평균 수명은 치과의사나 치과 기공사의 기술, 사용되는 재료, 환자의 구강 내 위생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0년 정도이다. 전부 피복관의 경우, 치수 진단을 위한 치면이 없어져 치수 치료학적인 분석이 어렵다. 또한, 많은 국가에서 치관 치료는 고가(약 600USD~1200USD 정도)이며, 여러 번 치과에 방문해야 한다.

3. 2. 수복물 선택

인공치관 수복물은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 자연 치관의 크기와 적용 범위
  • 전체 치관
  • 3/4 및 7/8 치관
  • 사용될 재료
  • 금속
  • 금속-세라믹 치관
  • 전체 세라믹 치관

3. 3. 치아 삭제

인공 치관을 씌우기 위해 치아를 삭제할 때는 다음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따라야 한다.[20][21][22]

1. 유지와 저항

2. 치아 구조 보존

3. 구조적 내구성

4. 변연 완전성

5. 치주 조직 보존

심미성 또한 디자인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치관을 접착력만으로 고정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시멘트가 없으므로, 치아 삭제 형태는 치관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와 저항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유지란 수복물이 삽입 경로 또는 치아의 장축을 따라 움직이는 것에 대한 저항을 의미한다. 저항은 교합력 하에서 치관의 움직임을 막는, 치근단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치관의 저항을 의미한다. 유지는 치아 삭제된 면의 반대면 사이의 관계(예: 협측 및 설측 벽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이론적으로 치아 삭제 부위의 반대쪽 벽이 평행할수록 유지력이 향상되지만, 임상적으로 이를 달성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전체 피개관 수복을 위한 치아 삭제 시, 교합 방향으로 약간의 테이퍼(taper) 또는 수렴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삭제 부위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언더컷(undercut)을 방지하며, 크라운 제작의 부정확성을 보완하고, 시멘트 접착 단계에서 과도한 시멘트가 빠져나가 크라운이 치아 삭제 부위에 최적으로 안착하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긴 원추형 고속 절삭기를 사용하여 치축벽을 삭제하면 각 벽에 2~3°의 테이퍼가 생기고 전체 삭제 부위에는 4~6°의 테이퍼가 생긴다. 테이퍼가 증가하면 유지력이 감소하므로 언더컷 제거를 보장하면서 테이퍼는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한다. 임상적으로 16°의 전체 테이퍼가 달성 가능하며, 앞서 언급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고 한다. 이상적으로는 테이퍼가 20도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데, 이는 유지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교합-치은 길이 또는 치관 형성의 높이는 저항과 유지력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삭제 부위가 높을수록 표면적이 커진다. 치관이 충분히 유지되려면, 삭제 부위의 길이는 보철물의 반대쪽 가장자리에서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형의 호에 의해 형성된 높이보다 커야 한다. 이 호는 준비된 치아의 직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직경이 작을수록 제거에 저항하기 위해 치관의 길이가 짧아도 된다. 넓은 직경의 짧은 벽 치아의 유지력은 축벽에 홈을 배치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이는 호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치관의 유지력은 치관이 치아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기하학적으로 제한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 하나의 변위 경로만 존재할 때 최대의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저항력은 홈과 같은 구성 요소를 삽입하여 개선할 수 있다.

전체 치관을 수용하기 위해 치아를 삭제하는 것은 비교적 파괴적인 과정이다. 이 절차는 기계적, 열적, 화학적 외상을 통해 치수를 돌이킬 수 없게 손상시키고, 치수를 세균 침투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24] 따라서 강하고 유지력이 있는 수복물을 제작하면서도 가능한 한 치아 구조를 보존해야 한다. 때로는 더 크고 통제되지 않는 치아 구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건강한 치아 구조를 희생해야 할 수도 있다.[20]

치관이 오래 유지되려면 정상적인 저작 기능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며, 치아 삭제로 생성된 공간 안에 위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심미성 및 교합 안정성(예: 높은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하고 치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관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치관을 수용하기 위해 최소한의 교합면 및 축면 삭제가 필요하다.

금 합금의 경우 1.5mm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며, 금속-세라믹 크라운 및 전체 세라믹 크라운의 경우 2mm가 필요하다. 교합면 삭제량은 치아의 자연스러운 윤곽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복물의 일부 영역에서 재료가 너무 얇아질 수 있다. 구치부 치아의 경우, 상악 치아의 구개 측 교두와 하악 치아의 협측 교두와 같이 기능 교두에 넓은 베벨이 필요하다. 만약 이 기능 교두 베벨이 없고 치아의 정확한 크기를 재현하도록 크라운을 주조하면, 교합면에서 이 부위의 재료 양이 너무 적어 교합력을 견디지 못할 수 있다.

선택된 재료에 충분한 두께를 허용해야 하며, 장착할 크라운의 종류에 따라 최소 삭제량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전부 금속 크라운은 최소 0.5mm, 금속-세라믹 크라운과 전부 세라믹 크라운은 최소 1.2mm가 필요하다.

구강 환경에서 주조 수복물이 오래 지속되고 기저 치아 구조를 보호하려면, 주조물과 치아 삭제 부위 사이의 변연이 최대한 밀착되어야 한다. 변연선 디자인과 위치는 치태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선택한 수복 재료의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여 변연에서 크라운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해야 한다. 여러 종류의 변연선 구성이 제안되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아래 표 참조). 챔퍼 변연은 일반적으로 완전 금속 변연에 권장되며, 숄더는 금속-세라믹 크라운과 전체 세라믹 크라운 변연에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는 데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변연에 경사를 추가하면, 특히 변연이 두꺼운 경우, 크라운과 치아 조직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다양한 변연선 마감의 장단점 [20]
이름장점단점적응증
frameless
나이프 에지최소한의 치아 삭제세라믹 크라운 사용 시 심미성 불량, 크라운 변연 약화권장되지 않음
frameless
챔퍼최소한의 치아 삭제, 최소한의 스트레스세라믹 사용 시 크라운 강도와 심미성이 부족함; 지지되지 않는 법랑질의 립이 남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Deep chamfer 참조)금속 크라운 변연; 금속-세라믹 크라운의 설면 변연
frameless
딥 챔퍼적절한 치아 삭제, 최소한의 스트레스잠재적인 립 형성챔퍼와 동일
frameless
래디얼 숄더최고의 심미성, 최고의 크라운 강도, 전통적인 숄더보다 적은 스트레스치아 삭제량 많음, 챔퍼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
frameless
베벨이 있는 래디얼 숄더우수한 크라운 강도, 전통적인 숄더보다 적은 스트레스; 지지되지 않는 법랑질 제거 가능치아 삭제량 많음, 챔퍼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
frameless
클래식 숄더최고의 심미성, 최대 크라운 강도, 과도한 윤곽 형성 방지최대 치아 삭제 및 치아 스트레스금속-세라믹 크라운 또는 올-세라믹 크라운의 순면 변연



생물학적 폭


마진의 무결성과 연결되어, 마감선의 위치는 치관의 제작 용이성과 치주조직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상의 결과는 마감선이 잇몸선 위에 위치하여 완전히 세척 가능한 경우에 달성된다. 또한, 더 나은 밀봉을 생성하므로 법랑질에 배치해야 한다. 상황에 따라 마진이 잇몸선 아래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제조 과정에서 인상을 채득할 때 마진을 포착하는 데 문제가 발생하여 부정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둘째, 생물학적 폭, 즉 치조골의 높이와 수복물의 마진 사이에 남겨야 하는 필수적인 거리(약 2mm)가 침해되면 치은염으로 이어져 포켓 형성, 치은 퇴축 및 치조골 능선의 높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치관 확대술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20][21]

3. 4. 임시 크라운

치아를 다듬고 최종 보철물을 기다리는 동안 다듬어진 치아에 임시 치관(크라운)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아 삭제 후 임시 치관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35][36]

  • 새롭게 노출된 상아세관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 치수염 및 치수 괴사를 예방한다.
  • 치아 삭제 부위에 잇몸이 자라는 것을 방지한다.
  • 해당 부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하여 최종 보철물 장착 시 출혈 및 잇몸 염증 발생 빈도를 줄인다.
  • 교합 및 인접면 접촉을 유지하여 과도한 맹출, 회전 및 공간 폐쇄를 방지한다.
  • 심미적인 이유로 필요하다.


임시 치관은 교합, 심미 또는 치주 변화가 필요한 치료 계획에서 진단적 역할을 할 수 있다.[35]

임시 치관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35][36]

  • 유지 기간:
  • 단기
  • 중기
  • 장기
  • 제작 방식:
  • 직접 제작 (진료실에서 제작)
  • 간접 제작 (기공소에서 제작)
  • 재료의 심미성:
  • 금속
  • 주조
  • 기성품
  • 치아 색상
  • 플라스틱 기성품 (예: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아크릴)
  • 레진 복합재


임시 치관은 며칠 동안 사용하는 경우 '단기적', 몇 주 동안 사용할 경우 '중기적', 몇 달 동안 사용할 경우 '장기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기 임시 치관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수복에 적합하며, 여러 치아를 포함하는 복잡한 경우에는 장기 임시 치관이 필요하다.[9][35][37]

임시 치관은 치과의사가 진료실에서 제작하는 경우 '직접' 제작 방식, 치과 기공소와 같은 외부에서 제작하는 경우 '간접' 제작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임시 치관은 단기적인 사용에 적합하다. 중장기적인 임시 치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간접 임시 치관을 사용한다.[9]

임시 치관을 제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직접 임시 치관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사전 성형 치관, 화학 경화 또는 광중합형 레진 또는 레진 복합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간접 수복물은 화학 경화 아크릴, 열 경화 아크릴 또는 금속 주조로 제작된다.[35]

임시 치관 재료
재료장점단점적응증
사전 성형 치관
치아 색상
폴리카보네이트모든 치아, 특히 앞니의 직접 수복물
아크릴모든 치아, 특히 앞니의 직접 수복물
금속
알루미늄구치부의 직접 수복물
스테인리스 스틸구치부의 직접 수복물
니켈 크롬구치부의 직접 수복물
자가 경화 및 광중합형 레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간접 임시 치관, 모든 치아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사전 성형 치관용 라이너
비스아크릴 복합체직접 수복물 모든 치아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직접 수복물 모든 치아
수복용 복합체직접 수복물 전치부



임시 치관 접착제의 목적은 치관 형성 부위와 임시 수복물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이다.[9] 최종 치관 접착과는 달리, 임시 치관은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접착성 시멘트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임시 시멘트와 치관 모두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시멘트가 선호된다. 이는 치아 표면에 남아있는 임시 시멘트 잔여물이 잇몸 건강을 해치고 최종 수복물의 정확한 장착과 영구 시멘트 부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임시 시멘트는 임시 기간 동안 변형되거나 파절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강해야 한다.[36]
산화 아연 유제놀(ZOE) 임시 접착 시멘트이 시멘트는 낮은 인장 강도와 접착력이 없어 제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최종 치관 접착을 위해 레진 복합체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이 제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유제놀은 상아질을 통해 침투하고 확산될 수 있으며;[38][39] 치아 표면을 오염시키고 레진의 중합을 억제하여 접착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40][41] 시판 제품으로는 RelyX Temp E (3M ESPE), Temp-Bond (Kerr), Flow Temp (Premier Dental Products) 등이 있다.
비유제놀 임시 접착 시멘트비유제놀 시멘트는 유제놀을 최종 접착을 억제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한다.[42][43] 이 시멘트는 임시 레진 재료 및 최종 레진 시멘트와 호환되며 ZOE 함유 시멘트에 비해 유지력이 증가한다.[44] 시판 제품의 예로는 RelyX Temp NE (3M ESPE) 및 Temp-Bond NE (Kerr) 등이 있다.
폴리카르복실산 임시 접착 시멘트이 친수성 시멘트는 임시 레진 함유 제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치아 조직에 대한 접착력이 약하여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시멘트는 모든 임시 시멘트 유형 중에서 세척하기가 가장 쉽다.[45] Ultradent 및 Hy-Bond (Shofu Dental) 등이 있다.
레진 임시 접착 시멘트이 시멘트의 장점으로는 우수한 심미성, 더 높은 강도, 뛰어난 유지력, 그리고 세척의 용이성이 있다. 그러나 이 시멘트의 단점으로는 변색, 미세 누출 및 냄새 발생률이 높다는 점이 있다. 시판되는 임시 레진 시멘트의 예로는 Systemp.link (Ivoclar Vivadent), Temp-Bond Clear (Kerr) 및 ImProv (Nobel Biocare) 등이 있다.

3. 5. 인상 채득

문제가 되는 치아가 허용 가능한 치수 내로 치아 삭제가 이루어진 후, 제작될 보철물이 요구되는 치수에 부합하고, 체어사이드에서 많은 수정을 하지 않고도 가능한 한 정확한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당 치아 삭제 부위 또는 치과 임플란트, 주변 경조직 및 연조직, 그리고 반대쪽 치열에 대한 정확하고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기록 또는 인상을 만드는 것이 똑같이 중요하다.[22]

인상은 디지털 방식 또는 기존의 기법으로 만들 수 있다. 기존 인상 기법과 관련하여, 선택된 재료는 충분한 세부 사항 재현 및 모형 주조 시 내구성을 갖도록 적절한 물리적 특성과 취급 특성을 가져야 하며, 효과적인 오염 제거 절차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22] 일반적으로 치아 삭제가 이루어진 치열에 대한 인상은 "와시 인상" 기법을 사용하여 부가 실리콘(폴리비닐 실록산)으로 제작되고, 반대쪽 치열의 인상은 알지네이트로 제작된다.[37]

전체 치열 부가 실리콘(폴리비닐 실록산) 인상으로 "와시 인상" 기법 사용


디지털 인상은 전용 광학 스캐너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인상은 기존 인상과 동일한 정확도를 제공하며 환자에게 더 편안하고 치과의사에게 더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46][47]

3. 6. 최종 크라운 장착

최종 크라운을 구강 내에 장착하기 전, 임시 치관은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접착성 시멘트는 사용하지 않고, 부드러운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임시 시멘트 잔여물은 잇몸 건강을 해치고, 최종 수복물의 정확한 장착과 영구 시멘트 부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36]

임시 접착 시멘트는 다음의 종류들이 있다.

'''산화 아연 유제놀(ZOE) 임시 접착 시멘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로, 낮은 인장 강도와 접착력이 없어 제거가 쉽다. 그러나 유제놀은 상아질을 통해 침투 및 확산되어[38][39] 치아 표면을 오염시키고 레진의 중합을 억제하여 접착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40][41], 최종 치관 접착을 위해 레진 복합체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시판 제품으로는 RelyX Temp E (3M ESPE), Temp-Bond (Kerr), Flow Temp (Premier Dental Products) 등이 있다.

'''비유제놀 임시 접착 시멘트'''

유제놀 대신 최종 접착을 억제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카르복실산을 사용한다.[42][43] 임시 레진 재료 및 최종 레진 시멘트와 호환되며, ZOE 함유 시멘트에 비해 유지력이 좋다.[44] 시판 제품으로는 RelyX Temp NE (3M ESPE), Temp-Bond NE (Kerr) 등이 있다.

'''폴리카르복실산 임시 접착 시멘트'''

친수성 시멘트로, 임시 레진 함유 제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치아 조직에 대한 접착력이 약해 제거가 용이하다. 모든 임시 시멘트 유형 중에서 세척이 가장 쉽다.[45] 시판 제품으로는 Ultradent, Hy-Bond (Shofu Dental) 등이 있다.

'''레진 임시 접착 시멘트'''

심미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으며 유지력이 뛰어나고 세척이 용이하다. 그러나 변색, 미세 누출, 냄새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시판 제품으로는 Systemp.link (Ivoclar Vivadent), Temp-Bond Clear (Kerr), ImProv (Nobel Biocare) 등이 있다.

3. 7. 유지 관리

치과의사나 치과 기공사의 기술, 사용되는 재료, 환자의 구강 위생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인공치관의 수명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평균 수명은 1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1] 정기적인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는 인공치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중요하다.[1]

4. 종류

인공치관은 피개 범위와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피개 범위에 따른 분류

종류설명특징
전부 피개관치아 전체를 덮는 형태
3/4관치아의 4개 면 중 3개 면을 덮는 형태주로 으로 제작, 협측(볼 쪽) 면은 남겨 치아 삭제 최소화[3]
4/5관치아의 5개 면중 4개 면을 덮는 형태
7/8관치아의 8개 면 중 7개 면을 덮는 형태주로 으로 제작[3]



부분 피개관은 건강한 치아 삭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작이 까다롭고 금속이 비쳐 보일 수 있어 환자의 선호도가 낮을 수 있다.[3]
재료에 따른 분류

종류설명특징
금속 크라운, 팔라듐, 니켈, 크롬, 코발트, 티타늄 등의 합금으로 제작강도가 높고 잘 깨지지 않음, 금니와 은니가 대표적
금속-세라믹 크라운금속 위에 도재나 레진을 씌운 형태심미성이 우수
전체 세라믹 크라운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리튬 디실리케이트 등 세라믹 재료로만 제작심미성이 매우 뛰어나지만, 재료에 따라 강도가 다름



부분 피복관


스테인리스 스틸 성형 크라운


금속 쉘 크라운


최근에는 CAD/CAM 기술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도재 블록을 직접 깎아 만드는 방법도 발달하였다.

4. 1. 피개 범위에 따른 분류

인공치관은 피개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전부 피개관: 치아 전체를 덮는 형태이다.
  • 전부 주조관: 금속으로만 제작한다.
  • 전장 주조관: 금속으로 제작 후 심미성을 위해 도재(도재 소성 전장 주조관, 도치 전장 주조관)나 레진(레진 전장 주조관)을 덧씌운다.
  • 자켓 크라운(자켓관): 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레진이나 도재만으로 만든다.
  • 부분 피개관: 치아의 일부분만 덮는 형태이다.
  • 3/4관: 치아의 4개 면 중 3개 면을 덮는다. 주로 으로 제작되며, 협측(볼 쪽) 면은 남겨두어 건강한 치아 조직 삭제를 줄인다.[3]
  • 4/5관
  • 7/8관: 치아의 8개 면 중 7개 면을 덮는다. 3/4관과 마찬가지로, 주로 금으로 제작된다.[3]


부분 피개관은 건강한 치아 삭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작이 까다롭고 금속이 비쳐 보일 수 있어 환자의 선호도가 낮을 수 있다.[3]

최근에는 CAD/CAM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도재 블록을 직접 깎아 만드는 방법도 발달하였다.

4. 2. 재료에 따른 분류

인공치관(크라운)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크게 금속, 금속-세라믹, 전체 세라믹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전부 주조관: 금속으로만 만든다.
  • 전장 주조관: 금속 위에 도재(도재 소성 전장 주조관, 도치 전장 주조관)나 레진(레진 전장 주조관)을 씌워 심미성을 높인다.
  • 자켓 크라운 (자켓관): 레진이나 도재만으로 만들어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CAD/CAM 기술을 이용해 금속이나 도재 블록을 깎아 만드는 방법도 발전하고 있다.

4. 2. 1. 금속 크라운

금속 크라운은 금속 합금으로 완전히 주조된다. 사용되는 합금은 비용, 취급, 물리적 특성, 생체 적합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6] 미국 치과 협회는 합금을 고귀 금속 합금, 귀금속 합금, 비귀금속 합금의 세 그룹으로 분류한다.[7]

크라운 주조에 사용되는 귀금속 합금 및 고귀금속 합금은 일반적으로 합금을 기반으로 한다. 순수한 금은 너무 무르고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금 합금에는 구리, 백금, 팔라듐, 아연, 인듐, 니켈 등이 포함된다. 보철학에서 사용되는 금 주조 합금은 금 함량 백분율과 경도에 따라 I형에서 IV형까지 분류되며, I형이 가장 부드럽고 IV형이 가장 단단하다. 일반적으로 III형 및 IV형 합금(각각 62 - 78% 및 60 - 70%의 금 함량)은 교합력을 견딜 수 있을 만큼 단단하기 때문에 전체 크라운 주조에 사용된다.

금 크라운(''금 쉘 크라운''이라고도 함)은 심미적인 이유로 주로 어금니에 사용된다. 금 크라운은 기능적으로 내구성이 좋고 얇은 부분에서도 강하기 때문에 치아 삭제를 최소화한다.[8] 또한 법랑질과 유사한 마모 특성을 가지므로 반대편 치아에 과도한 마모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9][10][11] 주조 시 치수 정확도가 우수하여 치과 진료 시간/예약 시간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 비교적 쉽게 연마할 수 있다.[9] 팔라듐 기반 합금도 사용되는데, 1970년대에 금 합금의 저렴한 대체품으로 도입되었다.[6] 팔라듐은 강력한 미백 효과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합금에 은색 외관을 부여한다.

주조 베이스 메탈 합금은 전체 금속 크라운을 만드는 데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접착 합금으로 금속-세라믹 크라운의 일부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고귀금속 및 귀금속 합금과 비교했을 때, 강도가 더 높고 경도가 더 높다. 얇은 단면(0.5mm 대신 0.3mm)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조정하기가 더 어렵고 실제 반대쪽 치아에 과도한 마모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다.[9] 또한 니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

치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베이스 메탈 합금은 다음과 같다.

  • 은-팔라듐
  • 은-팔라듐-구리
  • 니켈-크롬
  • 니켈-크롬-베릴륨
  • 코발트-크롬
  • 티타늄


티타늄과 티타늄 합금은 생체 적합성이 매우 높다. 강도, 강성 및 연성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조 합금과 유사하다. 티타늄은 또한 표면에 산화물 층을 쉽게 형성하여 부식 방지 특성을 부여하며, 금속-세라믹 크라운 제조에 유용한 특성인 세라믹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9][12]

금속 크라운은 강도가 높고 잘 깨지지 않아 널리 사용된다. 은색을 속칭 '''은니''', 금색을 속칭 '''금니'''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18K나 20K로 사용되는 금니는 금 특유의 유연성이 있어 틈이 잘 생기지 않으며, 다른 치아를 손상시키는 일도 적다. 금니는 세계적으로도 널리 사용되며, 세라믹 등으로도 아직 금을 능가하는 재료는 없다고 여겨진다.

  • '''금 팔라듐 합금''': 일본에서 널리 사용된다. 통칭 "금파라". 일본의 공적 보험 적용 대상이며, 소위 은니이다.
  • '''금 합금''': 생체 적합성이 높고 안전하며 유연한 재질로 적합성이 매우 높다. 변연 폐쇄성이 좋고, 2차 충치의 위험이 낮다. 따라서 치과의사 등 많은 사람들이 금 합금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적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4. 2. 2. 금속-세라믹 크라운

금속-세라믹 크라운은 금속과 세라믹 크라운을 혼합한 형태이다. 금속 부분은 주로 비귀금속 합금(결합 합금)으로 만든다. 선택하는 금속 합금은 결합될 세라믹의 특성과 잘 맞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세라믹이 벗겨지거나 깨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심미적인 마무리를 위해서는 세라믹과 금속 재료가 최소한의 두께를 가져야 하며, 이는 치아 성형 단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세라믹은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금속 프레임워크에 결합된다.

  • 압착 적합 (소성 시 세라믹 수축을 통해)
  • 미세 기계적 유지 (표면 불규칙성을 통해)
  • 화학적 결합 (산화물 형성을 통해)


전체 치관을 덮는 전부 피복관으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전부 주조관: 전부를 금속으로 주조한다.
  • 전장 주조관: 심미성을 위해 금속 위에 도재(도재 소성 전장 주조관, 도치 전장 주조관)나 레진(레진 전장 주조관)을 사용한다.
  • 자켓 크라운 (자켓관): 금속 없이 레진이나 도재만으로 만든다.


최근에는 CAD/CAM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도재 블록을 직접 깎아 만드는 방법도 발달했다. 크라운의 토대(코어)로 보험 진료에 쓰이는 메탈 코어는 쐐기 효과로 치아를 쪼개거나, 뿌리 질환 감염 시 제거가 어려워 발치로 이어지기도 한다. 일반 치과의 근관 치료 성공률은 50% 이하이므로, 크라운의 토대가 되는 메탈 코어는 바람직하지 않다.[1]

4. 2. 3. 전체 세라믹 크라운

실리카 기반 세라믹은 유리 함량이 높아 자연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 색상을 모방할 수 있어 심미성이 뛰어나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예: 장석), 합성 도재, 류사이트 강화 세라믹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기계적 강도가 약해 더 강한 하부 구조를 위한 비니어링에 주로 사용된다.[13]

리튬 디실리케이트와 같은 충전 입자를 첨가하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킨 유리 세라믹은 단일 형태(단일층)로 올세라믹 수복물을 제작하거나, 약한 장석 도재를 사용한 비니어링(2층)을 위한 하부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나(Alumina, 산화 알루미늄)는 1989년 치과용 하부 구조물(코어)로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슬립 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전기 영동 증착이라는 신속한 나노 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이 공정을 통해 정밀하게 맞는 코어 그린 바디를 몇 초 만에 형성하고, 소결하여 유리를 침투시킨다. 유리 침투 알루미나는 CAD/CAM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및 알루미나 코어보다 도재 결합 강도가 높다.[13]

유리가 없는 알루미나 코어는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사전 소결된 재료 블록을 밀링하여 생산되며, 소결 시 발생하는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약간 크게 제작된다. 알루미나 코어는 장석 도재로 층을 이루어 실제와 같은 색상과 형태를 만든다. 알루미나 코어는 지르코니아보다 투명도가 높지만, 디실리케이트 리튬보다는 투명도가 떨어진다.[13]

이트리아 부분 안정화 지르코니아(지르코니아)는 매우 단단한 세라믹으로, 일부 전체 세라믹 수복물의 강력한 기반 재료로 사용된다. 치과용 지르코니아는 이산화 지르코늄(ZrO2)에 산화 이트륨을 첨가하여 안정화시킨 것으로, YSZ라고도 한다.

지르코니아 하부 구조(코어)는 환자의 구강에 대한 디지털 표현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사전 소결된 지르코니아 블록에서 밀링된다. 밀링 후 소결 과정을 거쳐 20% 수축하고 850MPa–1000MPa의 강도에 도달하며, 최근에는 1200MPa에 이르는 강도를 가진 지르코니아도 보고되고 있다.[14] 지르코니아 코어는 장석 도자기로 층을 이루어 최종 색상과 모양을 만들지만, 지르코니아에 융합된 층상 도자기의 결합 강도가 강하지 않아 베니어 세라믹 파절이 자주 발생한다.[15]

최근에는 색상과 구조가 등급별로 매겨진 지르코니아 블록으로 제작된 모놀리식 지르코니아 크라운이 많이 사용되며, 얇은 층의 글레이즈 착색제로 코팅된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반사, 내부 색상, 상아질 코어 해부학에 영향을 받는 색상 그라데이션을 가진 심미적 보철 수복물은 모놀리식 지르코니아 크라운보다 베니어 지르코니아로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다중 유리 성분 도자기 적용을 통해 파절 문제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으며,[16] 특히 상아질 코어의 인지적 설계를 통해 자연 치아의 구조를 모방하는 수복물은 CAD/CAM을 사용하여 고강도 도자기로 베니어 지르코니아의 자연 수복물을 제작하는 새로운 생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지르코니아는 산업에서 알려진 가장 단단한 세라믹이며 치과에서 사용되는 가장 강한 재료로, CAD/CAM 치과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작해야 한다.[17] 모놀리식 지르코니아는 자연 에나멜과 도자기의 일반적인 마모와 달리 마모되지 않아 반대 치아 손상 여부에 대한 임상 데이터가 필요하다. 모놀리식 지르코니아에 반대되는 샘플에서는 더 광범위하고 분지된 에나멜 미세 균열이 관찰되었다.[18]

모놀리식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불투명하고 밝은 색상을 띠며 반투명도와 형광이 부족한 경향이 있어 전치(앞니)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색상 및 구조 등급의 지르코니아 블록으로 제작되며, 얇은 유약 얼룩 층으로 코팅되어 형광을 제공한다.

일부 모놀리식 지르코니아 재료는 치과에서 가장 강한 크라운을 생산하지만(1200MPa에 육박),[14] 구강 전면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자연스럽지 않다고 여겨진다. 덜 강력하지만, 일부 새로운 지르코니아 재료는 외관이 더 좋지만, 일반적으로 도재 소부 크라운만큼 좋지는 않다. 반대로, 도재가 유리 침투 알루미나에 소부될 때, 크라운은 매우 자연스러워 보이고 매우 강하지만, 모놀리식 지르코니아 크라운만큼 강하지는 않다.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금속-세라믹 크라운보다 대합 치아에 마모성이 적다고 한다.[19]

리튬 디실리케이트는 극도로 투명한 류사이트 강화 크라운을 생성하지만, 입 안에서 너무 회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밝은 색조의 다가 색소를 사용하면 부자연스럽고 밝은 흰색으로 나타난다.

5. CAD/CAM 크라운

CAD/CAM 방식은 준비된 치아의 사진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캡처하여 저장하고,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보철 디자인을 만든다. 이 방식은 인상 채득 과정을 생략한다.[48][49] 치과의사는 적절한 기능을 선택하고 컴퓨터 모델에 대한 결정을 내린 후, 컴퓨터에게 정보를 밀링 머신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이 기계는 특수 설계된 다이아몬드 버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와 일치하도록 미리 결정된 색상의 세라믹 잉곳 고체에서 보철물을 밀링한다. 약 20분 후 보철물이 완성되면 치과의사는 밀링되지 않은 잉곳의 나머지 부분에서 이를 분리하여 구강 내에서 시험해 본다. 보철물이 잘 맞으면 치과의사는 즉시 보철물을 시멘트할 수 있다.[48][49]

치과 진료실에서 CAD/CAM 사용


일반적으로 치과 CAD/CAM 및 Vita Mark I 및 Mark II 블록을 사용하여 제작된 보철물의 95% 이상이 5년 후에도 임상적으로 성공적이다.[48][49] 또한, 최소 90%의 보철물이 10년 후에도 성공적으로 기능한다.[48][49] Mark II 블록은 자연 치아만큼 빠르게 마모되고,[49][50] 파괴 하중이 자연 치아와 매우 유사하며,[49][51] Mark II가 법랑질에 닿았을 때의 마모 패턴이 법랑질 대 법랑질의 마모 패턴과 유사하다는 장점이 있다.[49][52][53]

최근 CAD/CAM 치과 기술의 발전은 많은 경우에 전통적인 크라운 보철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공한다.[14][54][55] 전통적인 간접 제작 크라운은 정상적인 크라운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표면적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치아 구조가 손실될 수 있는 반면, 올 포세린 CAD/CAM 크라운은 훨씬 적은 표면적으로 예측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 많은 법랑질이 유지될수록 성공적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더 커진다. 크라운의 씹는 부분인 상단에 있는 포세린의 두께가 1.5mm 이상인 한, 보철물은 성공적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전통적인 크라운에서 일반적으로 완전히 희생되는 측벽은 CAD/CAM 옵션에서는 일반적으로 훨씬 더 온전하게 남아 있다. 크라운레이는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를 복원할 때 포스트 및 코어 빌드업의 훌륭한 대안이다.

6. 크라운 제거

크라운 보철물 아래의 치아 조직을 치료하거나, 괴사되거나 이전에 치료받은 치수의 비수술적 근관 치료를 위해 크라운을 제거해야 할 수 있다.[56]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크라운 보철물의 특성과 품질, 유지 또는 교체 여부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56]

크라운 유지 또는 제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교체 비용 (시간 및 재정적)
  • 심미성
  • 제거 용이성
  • 변연부 완전성
  • 계획된 보철물 (크라운에서 브릿지로 변경, 부분 틀니 지주대 역할 등)
  • 치아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필요한 접근성


임시 크라운은 제거 및 교체가 쉬우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확정 크라운 보철물을 제거하기 전에는 임시 크라운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실이나 치과 기공소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크라운의 인상을 채취한다. 크라운 제거에는 여러 도구와 방법이 있으며, 크라운에 얼마나 보존적인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57][56] 일반적으로 치아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새로운 크라운(임시 또는 확정)을 장착하기 전에 수복해야 한다.

크라운 보철물에 얼마나 보존적인지에 따라 분류된 크라운 제거 방법
보존적준보존적파괴적


  • 매트릭스 밴드: 언더컷에 연마하고 수직으로 당겨 제거한다.[57]
  • 초음파: 초음파 팁을 주조 금속 크라운에 적용하여 시멘트 접착제를 파괴한다. 세라믹 수복물에는 파절 위험이 있어 피해야 한다.[56]
  • 포셉 및 크라운 트랙터: 수복물을 잡고 치아 삭제 부위에서 제거한다. 고무 그립과 부리에 가루를 묻힌 크라운 트랙터는 세라믹 수복물의 손상 위험을 줄여준다. 임시 시멘트로 접착된 크라운 제거에 효과적이다.[57]
  • 태핑 및 공압 도구:
  • 끈끈한 사탕 방법: 따뜻한 물에 부드럽게 한 열가소성 수지를 제거할 치관의 교합면에 놓고, 환자가 깨물어 레진 블록을 압축시킨 후 재빨리 입을 벌려 보철물을 제거한다. 효과가 낮고, 보철물 손상이나 반대쪽 치아 발치 위험이 있어 반대쪽 치아 상태 확인이 필수적이다.[56]
  • 슬라이딩 해머:
    슬라이딩 해머, 추를 이용한 두드리는 장치
    치관 변연부에 팁을 대고 샤프트를 따라 무게를 움직여 탭하여 보철물을 느슨하게 한다. 추 또는 스프링 방식이 있다.[56]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항상 성공적이지 않으며, 치주 질환이 있는 치아에는 금기이다. 세라믹 변연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57]
  • 웨징 장치: 길고 뾰족한 버의 측면을 사용하여 치관 협측면에 슬롯을 절개하고, 얇고 평평한 플라스틱 기구, 스트레이트 워릭 제임스, 쿠플랜드 엘리베이터 또는 WamKey와 같은 전용 시스템을 슬롯에 삽입하여 치아로부터 치관을 벌린다.[56]
  • Metalift 크라운 및 브릿지 제거 시스템: 나사식 잭 원리에 기반한다. 주조 수복물 교합면에 정밀한 채널을 드릴로 뚫고 특수 버로 구멍 주변을 언더컷한 후 나사산이 있는 나사를 조인다. 나사가 수복물 코어에 닿으면 회전시켜 크라운을 들어 올린다. 올 메탈 및 메탈-세라믹 크라운 제거에 사용 가능하나, 메탈-세라믹 크라운은 파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주의해야 한다. 최소 금속 두께는 약 0.5mm이다. 손상은 플라스틱 충전재로 수리할 수 있다.[57]
  • : 버를 사용하여 크라운을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다.[14]
    텅스텐 카바이드 버를 사용하여 절단된 금속 쉘 크라운

7. 역사

금으로 만든 치아 보철물의 증거는 에트루리아인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58] 고대 로마의 치과의사들도 이러한 도구를 사용했다.[59]

참조

[1] 웹사이트 Dental Crowns https://www.webmd.co[...] 2017-06-14
[2] 웹사이트 CROWNS, FIXED BRIDGES AND DENTAL IMPLANTS GUIDELINES https://www.bsrd.org[...] 2018-03-14
[3] 서적 Indirect restorations Quintessence 2007
[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 crowns on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2007-10
[5] 논문 Single crowns versus conventional fillings for the restoration of root filled teeth. 2012
[6] 논문 Crowns and extra-coronal restorations: Materials selection 2002-02
[7] 웹사이트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lloys for Fixed Prosthodontics https://www.ada.org/[...] 2018-03-15
[8] 서적 Planning and making crowns and bridges Informa Healthcare 2007
[9] 서적 A clinical guide to applied dental material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2013
[10] 논문 Direct and indirect restorative materials 2003-04
[11] 논문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osterior ZrSiO(4)-ceramic crowns 2009-03
[12] 서적 Prosthodontics at a glance Wiley-Blackwell 2012
[13] 뉴스 Ceramics in Dental Restorations – A Review and Critical Issues http://www.azom.com/[...] Azom 2002-10-08
[14] 논문 Machinability and properties of zirconia ceramics prepared by gelcasting method https://doi.org/10.1[...] 2020-08-17
[15] 논문 Clinical trials in zirconia: a systematic review 2010-04
[16] 논문 Influence of stress simulation parameters on the fracture strength of all-ceramic fixed-partial dentures. Dent Mater 2006;22(2):176-182. 12 2006-02
[17] 논문 CAD/CAM systems available for the fabrication of crown and bridge restorations 2011-05-13
[18] 논문 Two-body wear of monolithic, veneered and glazed zirconia and their corresponding enamel antagonists. 2013-01
[19] 논문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wear of natural enamel antagonist to zirconia and metal ceramic crowns 2015-09
[20] 서적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21] 논문 Crowns and extra-coronal restorations:Considerations when planning treatment 2002-03
[22] 논문 Guidelines for crown and bridge. British Society for Restoration Dentistry 1999-03
[23] 논문 Intracoronal reinforcement and coronal coverage: A study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https://www.thejpd.o[...] 1984-06-01
[24] 논문 Tooth Preparation and Pulp Degeneration 1997-03
[25] 논문 Ferrule Effect: A Literature Review 2012-01
[26] 논문 Rethinking ferrule – a new approach to an old dilemma 2010-07
[27] 논문 Ferrule design and fracture resistanc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1990-05
[28] 논문 Remaining Coronal Dentin and Risk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Post-Core Restoration Failure: A Meta-analysis
[29]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and compare three chairside techniques of veneering stainless steel crowns
[30] 논문 Restorations in primary teeth: a systematic review on survival and reasons for failures 2018-05-25
[31] 서적 The handbook of clinical techniques in pediatric dentistry
[32]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and compare three chairside techniques of veneering stainless steel crowns Khurana D, Indushekar K R, Saraf BG, Sheoran N, Sardana D -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33] 논문 The Cochrane Library 2015-12-31
[34] 웹사이트 The Hall Technique: A minimal intervention, child-centred approach to managing the carious primary molar https://dentistry.du[...]
[35] 논문 Crowns and other extra-coronal restorations: Provisional restorations 2002-06
[36] 서적 Fixed prosthodontics in dental practice Quintessence Pub 2005
[37] 서적 Applied dental material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 2008
[38] 논문 Dentin permeability and eugenol diffusion after full crown preparation 2003-04
[39] 논문 Diffusion behavior of eugenol from zinc oxide-eugenol mixtures through human and bovine dentin in vitro 1997-01
[40] 논문 Retentive strength of six temporary dental cements 1990-03
[41] 논문 Effects of temporary cements on crown-to-composite resin core bond strength 1986-01
[42] 서적 Phillip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 11th Edition https://www.elsevier[...] Saunders 2003-06-30
[43] 논문 Effect of eugenol and non-eugenol containing temporary cement on permanent cement retention and microhardness of cured composite resin 2003-12
[44] 논문 Effect of zinc oxide-eugenol on shear bond strengths of selected core/cement combinations 1986-02
[45] 논문 Temporary cements.
[46] 논문 Digital Versus Conventional Impressions in Fixed Prosthodontics: A Review https://erepo.uef.fi[...] 2018-01
[47] 논문 Clinical marginal fit of zirconia crowns and patients' preferences for impression techniques using intraoral digital scanner versus polyvinyl siloxane material 2017-09
[48] 논문 Clinical long-term results and 10-year Kaplan-Meier analysis of CEREC Restorations 2000-09
[49] 웹사이트 BlocTalk http://www.vident.co[...]
[50] 논문 In-vitro wear of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51] 논문 Molar fracture resistance after adhesive restoration with ceramic inlays or resin-based composites 2001-08
[52] 간행물 Wear of ceramic and other restorative materials 1991
[53] 논문 Wear of enamel and amalgam and their enamel antagonists in a computer-simulated chewing simulation
[54] 논문 Reproducing natural color effects on milled ceramic restorations 1999-07
[55] 논문 Margin isolation for optical impressions and adhesion 2005-01
[56] 서적 Managing endodontic failure in practice Quintessence 2004
[57] 논문 Removal of failed crown and bridge 2012
[58] 간행물 "The Valsiarosa Gold Dental Appliance: Etruscan Origins for Dental Prostheses" http://scholarworks.[...] 1999
[59] 서적 Acrylic Polymers in Healthcare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7-11-02
[60] 웹사이트 Crowns and extra-coronal restorations: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treatment https://pubmed.ncbi.[...] 2024-10-30
[61] 웹사이트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 crowns on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https://pubmed.ncbi.[...] 2024-10-30
[62] 웹사이트 Guide to Dental Crowns https://www.sacharde[...] 2024-10-30
[63] 웹사이트 The root canal vs. dental crown relationship https://www.animated[...] 2024-10-30
[64] 웹사이트 Dental Crowns for Root Canal-Treated Teeth https://www.hinsdale[...] 2024-10-30
[65] 웹사이트 Crown or not to Crown Root Canal Treated Teeth: Minireview https://bbrc.in/crow[...] 2024-10-30
[66] 웹사이트 Single crowns versus conventional fillings for the restoration of root filled teeth https://repositorio.[...] 2024-10-30
[67] 웹사이트 Single crowns versus conventional fillings for the restoration of root filled teeth https://pubmed.ncbi.[...] 2024-10-30
[68] 서적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https://www.worldcat[...]
[69] 웹사이트 http://www.webmd.com[...]
[70] 웹사이트 http://www.webmd.com[...]
[71] 웹사이트 https://www.guttryde[...]
[72] 웹사이트 http://wiki.answ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