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장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 장기는 손상된 장기를 대체하거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보철의 역사에서 시작하여 삽입형 의료 기기로 발전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물 반응 문제를 극복하고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재료 개발을 통해 인공 장기 기술이 발전했다. 현재 인공 심장, 신장, 간, 호흡기 등 다양한 종류의 인공 장기가 실용화되었으며, 기계 기술, 조직 공학, IT 기술 등 다양한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있다. 인공 장기 개발은 장기 이식 대기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명 연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논의 또한 필요하다.
인공 장기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그 기원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에는 주로 팔, 다리와 같은 보철 장치, 즉 인공 사지 형태로 나타났다. 심장, 폐, 간, 신장 등의 기능이 손상되면 여러 질병에 걸리고, 심한 경우에는 생명의 위협에 처하게 된다. 인공 장기는 이처럼 병든 장기를 대신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치료를 통해 기능 보조에 사용되고 있다.
인공 장기는 손상된 장기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이다. 크게 기계 기술 기반 인공 장기와 조직 공학 기반 인공 장기로 나뉜다.
2. 역사
인공 장기는 크게 재료공학이나 전자공학 등의 기계 기술을 사용한 것과 조직 공학(영문: Tissue Engineering)을 사용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예로는 인공 심장을, 후자의 예로는 배양 피부를 들 수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대 이집트인들은 인공 장기의 선구자였으며, 기원전 10세기경 신왕국 시대의 유해에서 나무로 만든 발가락이 발견되었다.[52] 또 다른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경 예언자 헤게시스트라토스가 스파르타의 포로에서 도망치기 위해 스스로 다리를 절단한 후, 나무로 만든 의족을 사용했다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이다.[53] 가장 오래된 의지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12세기에 성립된 리그 베다이다.[51]
2. 2. 근대
인공 팔과 다리, 또는 보철은 절단 환자에게 어느 정도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절단 환자가 다시 걷거나 두 손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 장치는 고대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이후 인공 사지의 개발은 급속도로 발전했다. 탄소 섬유와 같은 새로운 플라스틱 및 기타 재료를 통해 인공 사지는 더 강하고 가벼워졌으며, 사지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추가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추가 재료를 통해 인공 사지는 훨씬 더 현실적으로 보이게 되었다.[11]
1950년대에는 혈관이나 인공 관절 등의 삽입형 기구가 합성 수지나 금속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물 반응에 의해 인공 장기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응고 반응에 의해 혈전이 생기는 등, 장기간 사용에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 재료 공학의 발전에 따라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재료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초기 삽입형 인공 뼈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나와 같은 금속 재료를 사용했다. 이러한 재료는 뼈와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달라서, 수 년에서 10년에 한 번, 외과적 검사 또는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체내에 삽입된 인공 뼈를 검사하고, 경우에 따라 교체하는 등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치료 방법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인산칼슘이라는 뼈의 조성과 유사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공 뼈 주변에 생체 조직이 정착하기 쉬워졌다.
2. 3.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삽입형 인공장기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이전에는 이물 반응 때문에 실현이 어렵다고 여겨졌지만, 1949년 영국의 의사 해럴드 리들리가 비행사 치료 과정에서 스핏파이어 전투기의 방풍창이 이물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인공 수정체를 개발하면서 삽입형 의료 기기의 시초가 되었다.[51]
1950년대에는 혈관이나 인공 관절 등의 삽입형 기구가 합성 수지나 금속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물 반응으로 인해 인공 장기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응고 반응에 의해 혈전이 생기는 등 장기간 사용에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 재료 공학의 발전에 따라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재료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초기 인공 뼈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나와 같은 금속 재료를 사용했다. 이러한 재료는 뼈와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달라, 환자는 수 년에서 10년에 한 번씩 외과적 검사 또는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체내 삽입된 인공 뼈를 검사하고, 경우에 따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뼈의 조성과 유사한 인산칼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공 뼈 주변에 생체 조직이 정착하기 쉬워졌고, 환자들이 안심하고 인공 뼈 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52] [53]
3. 인공 장기의 종류
이 외에도 인공 췌장, 인공 항문, 인공 뼈, 인공 관절, 인공 망막, 인공 신경, 인공 혈관, 인공 피부 등 다양한 인공 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 장기 제작, 세포를 캡슐로 만들어 이식하는 치료법 등 새로운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 1. 기계 기술 기반 인공 장기
기계 기술 기반 인공 장기는 기계적 작동 원리를 이용하여 손상된 장기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공 장기는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개발 및 실용화가 가능하며, 기능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체 적합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외부 에너지 공급 및 장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1][4][5][6]
대표적인 기계 기술 기반 인공 장기로는 인공 심장, 인공 신장, 인공 심폐 장치, 인공 관절, 의수(義手), 의족(義足), 인공 와우, 심장 박동 조율기 등이 있다.
인공 신장은 CAPD(계속식 휴대형 복막투석법)가 등장하여 주목받고 있으며,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앞으로의 인공 신장 개발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에는 기계와 컴퓨터 기술을 결합하여 체력 저하나 사고 등으로 인한 기능 장애를 보조하는 인공 팔다리, 인공 팔, 보조 장치 등의 실용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자신의 의지로 의수나 의족을 움직일 수 없었지만, 운동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개발 등으로 가능해졌다.
발기부전 치료를 위해 해면체 두 개를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로 대체하는 외과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이는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발기부전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தீவிர 치료법이다. 고환이나 음낭에 삽입된 펌프를 통해 인공 실린더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발기를 유도할 수 있다.[21]
식도암, 식도 이완 불능증, 위식도 역류 질환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 문부와 유문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위의 양쪽 끝 판막과 같은 부위의 수리에 사용된다.
3. 1. 1. 순환계
인공 심장은 심장 이식까지의 기간을 연결하거나 심장 이식이 불가능한 경우 심장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공 심박 조율기는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심박을 보강하거나, 지속적으로 보강하거나, 자연적인 심장 박동 조율기를 완전히 우회할 수 있도록 이식할 수 있는 심혈관 장치이다.[24] 심실 보조 장치는 실패한 심장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체하는 기계적 순환 장치로, 심장 자체를 제거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24]
이 외에도 장기 배양 및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심장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25][26] 다만, 현재 과학자들은 혈관과 실험실에서 제작된 조직이 응집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심장을 배양하고 프린팅하는 능력에 제한이 있다.[27]
세라믹으로 제작된 인공뼈나 임플란트 치료에 사용되는 치과 재료, 그리고 기계식 보조 인공 심장 등이 인공 장기에 해당한다. 다른 예로는 심장 질환 환자에게 직접 삽입하는 심장 박동 조율기가 있다.
3. 1. 2. 신경계
신경 보철은 부상이나 질병으로 손상되었을 수 있는 운동, 감각 또는 인지 양식을 대체할 수 있는 일련의 장치이다.
신경 자극기는 심부 뇌 자극기를 포함하여 신경 및 운동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뇌에 전기 자극을 보낸다. 여기에는 파킨슨병, 간질, 치료 저항성 우울증 및 요실금과 같은 기타 질환이 포함된다. 이러한 장치는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기존의 생물학적 신경망을 대체하기보다는 기존의 오작동 신경 센터의 출력을 방해하여 증상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17][18][19]
2013년 과학자들은 태아 성숙의 초기 임신 단계까지 주요 신경학적 구성 요소를 개발하는 미니 뇌를 만들었다.[20]
사람이 양쪽 귀 모두에서 심각한 난청 또는 고도 난청을 겪는 경우, '''달팽이관 임플란트'''를 수술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달팽이관 임플란트는 말초 청각 시스템의 대부분을 우회하여, 일반적으로 귀 뒤쪽에 위치한 마이크와 외부 전자기기를 통해 소리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외부 구성 요소는 달팽이관에 배치된 전극 배열에 신호를 전달하고, 이는 다시 달팽이관 신경을 자극한다.[22]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인 기능 대체 인공 눈은 실제로 디지털 카메라와 원격 단방향 전자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외부 소형 장치로, 망막, 시신경 또는 뇌 내부의 다른 관련 위치에 이식된다. 현재 기술 수준은 밝기, 색상의 견본 및/또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모양의 인식과 같은 부분적인 기능만 제공하며, 개념의 잠재력을 입증한다.[23]
다양한 연구자들은 망막이 뇌에 대한 전략적인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완전히 기능하는 인공 전자 눈을 만드는 문제는 훨씬 더 복잡하다. 망막, 시신경 또는 관련 뇌 영역과의 인공 연결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은 컴퓨터 과학의 지속적인 발전과 결합되어 이 기술의 성능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임상 시험이 완료되어 실용화된 인공 장기로는, 전자 공학 기술과 뇌의 청신경과의 연결을 통해 귀가 들리지 않는 사람에게 청각을 부여하는 인공 와우도 있다. 또한, 다점 전극을 사용하여 시각 중추에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 시력을 부여하는 인공 시각 시스템 (인공 망막, 인공 안)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도호쿠 대학에서는 펠티어 소자와 경피 에너지 전달 시스템의 조합을 통한 뇌신경 기능 후기 기능 제어 장치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54][55] 이 시스템은 간질 등 뇌신경계의 병적 발작에 대해 완전히 무침습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3. 1. 3. 근골격계
인공 관절은 손상된 관절을 대체하여 통증을 줄이고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사용된다. 의수(義手)와 의족(義足)은 절단된 팔, 다리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장치이다.
보철은 절단 환자에게 어느 정도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절단 환자가 다시 걷거나 두 손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 장치는 고대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10]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간단한 의족이다. 이후 인공 사지의 개발은 급속도로 발전했다. 탄소 섬유와 같은 새로운 플라스틱 및 기타 재료를 통해 인공 사지는 더 강하고 가벼워졌으며, 사지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추가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추가 재료를 통해 인공 사지는 훨씬 더 현실적으로 보이게 되었다.[11] 보철은 대략적으로 상지 및 하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인공 사지의 새로운 발전에는 인체와의 추가적인 통합 수준이 포함된다. 전극을 신경 조직에 삽입할 수 있으며, 신체는 보철을 제어하도록 훈련받을 수 있다. 이 기술은 동물과 인간 모두에게 사용되어 왔다.[12] 보철은 직접 이식 또는 다양한 근육에 이식을 사용하여 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13]
3. 1. 4. 비뇨기계
방광 기능을 대체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은 소변 흐름을 우회하거나 방광을 ''제자리에서'' 교체하는 것이다.[14] 방광 대체 표준 방법은 장 조직으로 방광과 유사한 주머니를 만드는 것이다.[14] 2017년 기준으로 줄기 세포를 사용하여 방광을 배양하는 방법이 임상 연구에서 시도되었지만, 이 절차는 의학의 일부가 아니었다.[15][16]
3. 1. 5. 소화기계
직장암 등의 이유로 항문을 제거한 환자를 위해 인공 항문이 사용된다.
3. 2. 조직 공학 기반 인공 장기
조직 공학(영문: Tissue Engineering)을 이용한 인공 장기는 생체 내에서 손상된 장기나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하여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의학 연구자뿐만 아니라, 세포나 유전자를 다루는 분자 생물학 연구자, 플라스틱이나 고분자 재료를 다루는 재료 공학 연구자 등이 학문 영역의 틀을 넘어선 학제적 연구 개발을 통해 만들어진다.
2014년 시점에 피부, 혈관[56], 뼈, 기관[57][58], 식도, 질[59], 연골[60]과 같은 장기, 조직은 인공적인 처치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인 기능 재생이 실현되었다. 폐[61], 신장[62], 간[63]의 재생은 실험 동물에서 보고되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인공 장기를 만드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의 제약 회사, 연구 기관들이 경쟁하고 있다. 세포를 반투막 캡슐로 만들어 이식하는 치료법도 시도되는데, 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를 감싸 당뇨병 치료에 사용된다.
3. 2. 1. 피부
인공 피부는 화상이나 궤양 등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1968년 창(Chang)과 포즈난스키(Poznanski)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및 항산화 기능을 가진 최초의 인공 적혈구를 만들었다.[36] 과학자들은 인간 적혈구의 50분의 1 크기인 새로운 인공 적혈구를 연구하고 있는데, 이는 정제된 인간 헤모글로빈 단백질을 합성 고분자로 코팅한 것이다. 이 인공 적혈구는 혈액 pH에 따라 산소를 포획하거나 방출하며, 고분자 코팅 덕분에 혈관 수축을 예방한다. 앨런 닥터(Allan Doctor) 박사는 이 인공 적혈구가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모든 혈액형에 사용 가능하다고 말했다.[37]
조직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로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여 만든 인공 피부도 있다. 이는 피부[56], 뼈, 기관[57][58] 등과 같은 조직 재생에 사용된다.
3. 2. 2. 연골
인공 연골은 관절 연골 손상 치료에 사용된다.[60]
3. 2. 3. 뼈
골절, 골 결손 등 뼈 손상 치료에는 인공 뼈가 사용된다.[57][58]
3. 2. 4. 혈관
혈관은 생체 내에서 손상된 부분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며, 인공 혈관은 손상된 혈관을 대체하거나 우회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56]
3. 3. 기타 인공 장기
인공 췌장은 당뇨병 환자와 같이 췌장의 내분비 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사용된다.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거나 생체 적합성 물질로 캡슐화된 베타 세포를 이용한 바이오 인공 췌장을 개발하여 인슐린 대체 요법을 개선하고, 혈당 조절을 돕는다.[56]
방광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소변 흐름을 개선하거나, 장 조직으로 만든 방광 모양 주머니 또는 환자 세포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방광으로 대체한다.
체외 막 산소 공급(ECMO)은 펌프를 통해 혈액, 산소, 이산화탄소를 교환하여 폐와 심장의 부담을 줄인다. 체외 이산화탄소(CO2) 제거(ECCO2R)는 산소 공급보다 이산화탄소 제거에 집중하여 폐 회복을 돕는다.[30]
4. 사회적 배경 및 윤리적 문제
인공장기는 고령화 사회 진입, 만성 질환 증가 등으로 인해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 수에 비해 장기 기증자 수는 부족하여 인공장기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인공장기 사용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동안 생명 유지 (예: 인공심장)
-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향상 (예: 인공사지)
- 환자의 사회적 상호 작용 능력 개선 (예: 인공달팽이관)
- 암수술이나 사고 이후 미용적 복원 (예: 인공피부)
인공장기 사용에는 광범위한 동물 실험이 선행되며,[7][8][9] 초기 임상 시험은 다른 치료 가능성이 없는 환자로 제한된다.
인공장기 개발은 현대 의료에서 장기 이식의 문제점, 즉 뇌사와 같은 생명 윤리 문제, 장기 기증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장기 개발 및 사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 동물 실험
- 임상 시험
- 생명 연장
- 형평성 문제
인공장기는 제작 및 이식에 많은 비용이 들고, 자연 장기에는 필요 없는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1][4][5][6] 또한 인공 장기 고장 시 응급 조치와 책임 소재 등, 특히 체내 장착형 영구 인공 심장이 실용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기술적, 의료적 대비가 필요하다.
5. 한국의 인공장기 개발 현황
인공 장기 연구는 생체 기능을 표면적으로 모방한 1세대에서 나아가 생체에 가까운 기능을 가진 2세대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① 장기간 사용, ② 기능의 완전성, ③ 소형화, ④ 새로운 인공 장기 개발 등이 주요 연구 방향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공 장기의 재료, 구동 장치, 에너지원, 계측, 제어 등에서 기술 혁신이 더욱 필요하다.[1]
인간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인공 신장, 인공 심장 외에도 인공 이자, 인공 청각 기관, 인공 피부, 인공 간, 인공 관절 등 다양한 인공 장기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인공 장기 고장 시 응급 조치와 책임 소재, 특히 체내 장착형 영구 인공 심장이 실용화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따라서 인공 장기를 안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확실한 기술적 뒷받침과 의료 체제 강화가 요구된다.[1]
6. 미래 전망
인공 장기 연구는 현재 제1세대(생체의 기능을 표면적으로 모방)에서 제2세대(생체에 가까운 기능 구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① 장기간 사용, ② 기능 완전성, ③ 소형화, ④ 새로운 인공 장기 개발 등의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1] 이러한 발전을 위해서는 재료, 구동 장치, 에너지원, 계측, 제어 등 다양한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
미래에는 나노 기술, 바이오 기술, IT 기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된 형태의 인공 장기가 개발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장기 이식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인공 장기 개발이 목표이다.
인간의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인공 신장, 인공 심장 외에도 인공 이자, 인공 청각 기관, 인공 피부, 인공 간, 인공 관절 등 다양한 인공 장기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개인 맞춤형 인공 장기, 질병 예방 및 조기 진단 기능을 갖춘 인공 장기 등 새로운 개념의 인공 장기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 장기 개발은 인류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 장기 설계 및 이식을 통해 기존에 없던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특히 시각, 기억, 정보 처리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며,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된 기억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6] 2002년 영국의 과학자 케빈 워릭은 신경계에 전극을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해 로봇 손을 조종하고, 두 사람 간의 신경계 통신을 실험하기도 했다.[46]
RFID 태그와 같은 피하 칩 이식을 통해 식별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도 활용될 수 있다.[47] 외교 및 군사적 목적의 언어 번역기 이식도 연구 아이디어 중 하나이지만, 아직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Research on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and Advanced Bioengineering Learning: Interdisciplinary Concepts - Volume 1
Medical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16-03-16
[2]
서적
Polymeric Materials and Artificial Organs
American Chemical Society
[3]
웹사이트
Artificial Organs
http://www.reference[...]
RES, Inc
2012-06-06
[4]
논문
Artificial Organs
1998
[5]
웹사이트
A First: Organs Tailor-Made With Body's Own Cells
https://www.nytimes.[...]
2012-09-15
[6]
논문
Cost effectiveness of artificial organ technologies versus conventional therapy
1997-05
[7]
웹사이트
Why are animals used for testing medical product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03-04
[8]
논문
Laboratory animals for artificial organ evaluation
1997-02
[9]
웹사이트
A bioprosthetic ovary created using 3D printed microporous scaffolds restores ovarian function in sterilized mice.
https://www.nih.gov/[...]
NIH
2017-05
[10]
논문
The ancient origins of prosthetic medicine
2011-02
[11]
웹사이트
Artificial Limb
http://www.madehow.c[...]
Advameg, Inc
[12]
웹사이트
Motorlab - Multimedia
https://web.archive.[...]
2016-05-01
[13]
웹사이트
Targeted Muscle Reinnervation: Control Your Prosthetic Arm With Thought
https://web.archive.[...]
2016-05-01
[14]
웹사이트
Urinary Diversion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3-09
[15]
논문
Concise Review: Tissue Engineering of Urinary Bladder;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2017-11
[16]
논문
The utility of stem cells in pediatric urinary bladder regeneration
2018-01
[17]
서적
Biomaterials: Principle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3-16
[18]
웹사이트
Download Product Code Classification File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11-04
[19]
서적
Oxford Handbook of Clinical Surge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6-03-16
[20]
웹사이트
Artificial Organs — The Future of Transplantation
http://www.immortali[...]
2018-08-20
[21]
논문
Penile prosthesis implan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22]
웹사이트
Cochlear Implants
https://www.nidcd.ni[...]
National Institute on Deafness and Other Communication Disorders
2016-02
[23]
서적
The Body Electric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6-03-16
[24]
논문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drug therapy for the reversal of heart failure
2006-11
[25]
웹사이트
Researchers Can Now 3D Print A Human Heart Using Biological Material
https://www.iflscien[...]
2015-10-26
[26]
논문
Three-dimensional printing of complex biological structures by freeform reversible embedding of suspended hydrogels
2015-10
[27]
뉴스
Scientists grew beating human heart tissue on spinach leaves
https://www.cnbc.com[...]
2017-03-27
[28]
웹사이트
Artificial Liver
https://web.archive.[...]
HepaLife
2008-06-02
[29]
논문
Advances in artificial lungs
2010-04
[30]
논문
Extracorporeal CO2 removal
2010
[31]
논문
Restitution of fertility in sterilized mice by transferring primordial ovarian follicles
1990-07
[32]
논문
Model artificial human ovary by pre-fabricated cellular self-assembly
2008-09
[33]
논문
A bioprosthetic ovary created using 3D printed microporous scaffolds restores ovarian function in sterilized mice
2017-05
[34]
웹사이트
Artificial Pancrease
http://jdrf.org/rese[...]
JDRF
2011-02-09
[35]
웹사이트
Collaborative Efforts Key to Catalyzing Creation of an Artificial Pancreas
https://web.archiv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4-03-01
[36]
논문
From artificial red blood cells, oxygen carriers, and oxygen therapeutics to artificial cells, nanomedicine, and beyond
2012-06
[37]
논문
Biomimetic Rebuilding of Multifunctional Red Blood Cells: Modular Design Using Functional Components
2020-07
[38]
웹사이트
Testicular Implants
http://urology.ucla.[...]
Urology at UCLA
2019-09-15
[39]
웹사이트
Testicular Implants
https://my.cleveland[...]
2019-09-15
[40]
논문
An organized and functional thymus generated from FOXN1-reprogrammed fibroblasts
2014-09
[41]
웹사이트
Meet The Bionic Thymus: The Artificial Organ For Pumping T Cells For Cancer Treatment
https://www.techtime[...]
2019-09-15
[42]
웹사이트
Artificial thymus developed at UCLA can produce cancer-fighting T cells from blood stem cells
https://medschool.uc[...]
2020-12-19
[43]
논문
Superstar surgeon fired, again, this time in Russia
2017-05-16
[44]
웹사이트
From Confines Of Russia, Controversial Stem-Cell Surgeon Tries To Weather Scandal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17-02-06
[45]
논문
Reconstruction of defects of the trachea
2017-02
[46]
논문
Thought communication and control: a first step using radiotelegraphy
2004
[47]
논문
Ethical implications of implantabl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in humans
2008-08
[48]
논문
Organ-on-a-Chip Systems: Microengineering to Biomimic Living Systems
2016-05
[49]
논문
Evaluating Drug Efficacy and Toxicology in Three Dimensions: Using Synthetic Extracellular Matrices in Drug Discovery
https://pubs.acs.org[...]
2008-01-01
[50]
웹사이트
日本人工臓器学会 人工臓器とは?
https://www.jsao.org[...]
[51]
웹사이트
A Brief Review of the History of Amputations and Prostheses Earl E. Vanderwerker, Jr., M.D. JACPOC 1976 Vol 15, Num 5
http://www.acpoc.org[...]
2011-05-06
[52]
웹사이트
No. 1705: A 3000-Year-Old Toe
http://www.uh.edu/en[...]
Uh.edu
2013-03-13
[53]
문서
Herodotus, ''The Histories''
[54]
문서
Biomed Pharmacother
2005-10
[55]
웹사이트
東北大学加齢医学研究所 病態計測制御分野 脳神経機能制御装置の発明。
http://mec1.idac.toh[...]
[56]
간행물
Transplantation of an allogeneic vein bioengineered with autologous stem cells: a proof-of-concept study
[57]
간행물
Clinical transplantation of a tissue-engineered airway
[58]
간행물
The first tissue-engineered airway transplantation: 5-year follow-up results
[59]
간행물
Tissue-engineered autologous vaginal organs in patients: a pilot cohort study
[60]
간행물
Engineered autologous cartilage tissue for nasal reconstruction after tumour resection: an observational first-in-human trial
[61]
간행물
Tissue-Engineered Lungs for in Vivo Implantation
[62]
간행물
Nature Medicine
[63]
간행물
Organ reengineering through development of a transplantable recellularized liver graft using decellularized liver matri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