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은 'Be The Legend'를 컨셉으로, 취업 포털 사이트 인크루트가 후원한 스타크래프트 리그이다. 2008년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36강, 16강,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졌다. 36강에서는 듀얼 토너먼트와 스타 챌린지를 폐지하고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송병구가 결승에서 정명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대회 개요

리그 컨셉은 'Be The Legend (전설이 되라)'이며,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나만의 취업전략 인크루트'였다.[1] 취업 포털 사이트인 인크루트가 스타리그를 후원하였으며, 이는 스페셜포스 마스터리그를 포함하여 세 번째 후원이었다.[1] 인크루트 대표이사 이광석은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1020세대가 자신의 꿈을 설계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후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1]

전체적인 방송 컨셉은 'BE THE LEGEND'로, 36강 오프닝에는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마재윤과 같은 '본좌' 전설들과 박정석, 오영종과 같은 '가을의 전설'들이 등장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기존의 듀얼토너먼트 방식에서 벗어나 36강 체제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총 12개 조로 구성되며, 각 조는 예선 통과자 2명과 지난 시즌 스타리그 탈락자 1명으로 구성되었다. 예선 통과자끼리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치고, 그 승자가 지난 시즌 스타리그 탈락자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자가 16강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위부터 4위는 16강 시드)

36강 1차전 맵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경기
1경기Plasma
2경기왕의 귀환
3경기Andromeda



8월 4일부터 월, 수, 금 주 3일 방송되었으며, 8월 넷째 주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36강이 방송되었다. 중립 러커 에그를 사용한 시간형 섬 맵인 '플라즈마'와 NHN 한게임 배와 질레트 배에 사용된 '남자이야기' 맵을 재해석한 '왕의 귀환'이 사용되었다.

박카스 스타리그 이후 탑시드 4명에 테란이 없었으며, 9월 17일부터는 수요일과 금요일 오후 6시 30분에 16강전이, 10월 3일부터는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30분에 8강전이 방송되었다. 8강에는 SK텔레콤 T1 선수가 4명이나 진출하여 명가 재건을 알렸다. 지난 시즌 우승자인 박성준은 16강에서 탈락하며 '우승자 징크스'를 이어갔다.

3. 리그 일정

4. 대회 방식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는 스타리그 하부 리그였던 듀얼토너먼트와 스타 챌린지를 폐지하고 36강 방식을 도입했다. 스타리그 예선(PC방 예선)을 통과한 24명과 지난 대회 16강 탈락자 12명이 36강을 구성했다. 3명이 한 조를 이루어 총 12개 조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각 조에서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탈락자와 3전 2선승제로 대결하여 최종 승리자가 16강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이는 예선 통과자 간 대결인 챌린지 리그와 그 승자가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와 대결하는 듀얼 토너먼트가 스타리그 본선 36강으로 통합된 것이다.[2]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 등 기존 스타리그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4. 1. 36강 대진표 및 결과

36강은 각 조별로 3명씩(PC방 예선 통과자 2명,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 1명) 구성되어, 예선 통과자끼리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여기서 승리한 선수가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와 다시 3전 2선승제 경기를 펼쳐 16강 진출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6강에서 탈락하면 다시 예선으로 돌아가야 한다.

36강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고 종족별 배분 등을 고려하여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정영철서기수김정우김구현박수범김대겸변형태이재호김창희이학주한동훈신상호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김민제우정호박지수정명훈진영수박세정서경종박지호전상욱박종수박재혁원종서



매치 1 (챌린지리그)매치 2 (듀얼토너먼트)
A조박세정2박재혁1염보성 2박세정1
B조김구현0김정우2이영호2김정우0
C조박지수2서경종1박영민2박지수1
D조진영수0정영철2윤종민1정영철2
E조신상호2김대겸1박성균2신상호0
F조변형태2박지호1변형태1김택용2
G조이재호2우정호0허영무1이재호2
H조원종서1박수범2안기효2박수범1
I조서기수1이학주2송병구2이학주0
J조김창희0김민제2김준영2김민제0
K조박종수1정명훈2이윤열1정명훈2
L조전상욱2한동훈0박명수0전상욱2


4. 2. 16강 대진표 및 결과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각 선수는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치르게 되며, 한 조는 총 여섯 경기를 치른다. 16강에서 탈락하면 다음 시즌 36강 시드를 받는다.[1]

A조B조C조D조
박성준1승 2패도재욱3승 0패박찬수1승 2패손찬웅0승 3패
이영호3승 0패김준영2승 1패정영철1승 2패송병구3승 0패
김택용1승 2패안기효0승 3패전상욱2승 1패염보성1승 2패
박영민1승 2패이재호1승 2패박성균2승 1패정명훈2승 1패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진출할 선수를 가린다.[1]

A조 재경기
박성준0승 1패
김택용2승 0패
박영민0승 1패


4. 3. 8강 ~ 결승 대진표 및 결과

(9시즌 만에 첫 우승)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송병구는 9시즌 만에 첫 우승을 달성했고, 삼성 갤럭시 (e스포츠)는 개인전 첫 우승을 기록했다.

5. 상금

6. 경기장

7. 사용 맵

오프라인 예선에서는 이전 대회 공식 맵인 트로이, 아레나 MSL에서 사용된 아테나, 프로리그 공통맵 블루스톰이 사용되었으며, 추첨으로 순서를 정했다. 이 맵들은 36강 이후 사용되지 않았다.

7. 1. 맵 정보

36강에서는 신맵인 Plasma, 왕의 귀환을 각각 1, 2경기에 배치하고 3경기는 프로리그 맵인 Andromeda를 배치했다.

16강에서는 36강에 사용되었던 Plasma, 왕의 귀환에 프로리그 맵인 메두사와 추풍령을 추가하고 노동환 방식으로 추첨했다.

종족AndromedaPlasma왕의 귀환추풍령Medusa
인원43423
P vs Z2:02:20:51:12:0
Z vs T0:12:64:40:22:1
T vs P5:310:88:72:41:1
Z vs Z1번1번1번1번0번
T vs T1번2번2번0번3번
P vs P1번3번4번3번3번


8. 리그 BGM

구분곡명
티저 오프닝R.A.T.M. - Sleep now in the fire
36강 오프닝The Latest Plague - From First To Last (1.15 속업버전)
16강 오프닝Divine Heresy - Failed Creation
오프닝멘트Puddle Of Mudd, Famous
Today Match, Next Week, 각 조 상황 (月)Firewind, "Maniac" - The Premonition (2008)
선수소개(1차 본선)The Offspring, Half-Truism
선수소개(교체후)Testament, Killing season
최근 10경기, Next WeekThe Offspring, Half-Truism - Rise And Fall, Rage And Grace (2008)
경기시작전Disturbed - Perfect Insanity (1.15 속업버전)


9. 출전 선수

36강
종족이름
테란13김xx, 박성균, 박지수, 변형태, 염보성, 원xx, 이영호, 이윤열, 이재호, 이학주, 전상욱, 정명훈, 진영수
저그8김대겸, 김정우, 김준영, 박xx, 박재혁, 서경종, 윤종민, 정영철
프로토스15김구현, 김민제, 김택용, 박세정, 박수범, 박영민, 박종수, 박지호, 서기수, 송병구, 신상호, 안기효, 우정호, 한동훈, 허영무



16강
종족이름
테란6박성균, 염보성, 이영호, 이재호, 전상욱, 정명훈
저그4김준영, 박성준, 박xx, 정영철
프로토스6김택용, 도재욱, 박영민, 손찬웅, 송병구, 안기효

}

36강 조별 명단은 다음과 같다.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정영철서기수김정우김구현박수범김대겸변형태이재호김창희이학주한동훈신상호
김민제우정호박지수정명훈진영수박세정서경종박지호전상욱박종수박재혁원종서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12명의 선수들은 36강 시드를 받았다.[1]



종족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팀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합계=자동진출+예선)

10. 특이사항

11. 대회 결과

(9시즌 출전만에 첫 우승)

참조

[1] 뉴스 스타리그 후원 인크루트 대표이사 인터뷰 http://people.incrui[...] 조선일보
[2] 뉴스 인크루트, 차기 스타리그 후원...36강제 도입 http://www.fomos.kr/[...] 포모스 2008-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