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정명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정명훈은 대한민국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로, 1976년 지휘자로 데뷔하여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활동했다. 그는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노 부문 2위를 차지했고,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파리 오페라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재임하며 악단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2011년에는 북한 국립 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하기도 했다. 그는 다양한 수상 경력과 서훈을 받았으며, 한국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수상자 - 반 클라이번
    반 클라이번은 1958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권위를 인정받고 대통령 자유 훈장, 러시아 우정 훈장, 그래미 평생 공로상 등을 수상한 미국의 피아니스트이다.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수상자 - 손열음
    손열음은 1986년생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로,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최연소 2위 입상을 비롯한 다수의 국제 콩쿠르 최연소 우승, 세계적인 오케스트라 협연, 평창대관령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호암상 - 송건호
    송건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민주화 운동가로, 동아일보 편집국장 해직 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월간 《말》지를 통한 보도지침 폭로, 한겨레신문 창간 및 초대 사장 역임 등 언론 자유와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언론 정신을 기리는 송건호 언론상이 제정되었다.
  • 호암상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정명훈
기본 정보
이름정명훈
한자 표기鄭明勳
로마자 표기Jeong Myeonghun
매큔-라이샤워 표기Chŏng Myŏnghun
예일 표기Ceng Myenghwun
공식 로마자 표기Chung Myung-whun
출생일1953년 1월 22일
출생지서울,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피아노 연주자, 지휘자
가족누나 정경화, 정명화
학력줄리아드 스쿨, 마네스 음악대학
경력
활동 시기1976년 ~ 현재
장르클래식 음악
악기피아노
레이블도이체 그라모폰
수상
훈장[[파일:ROK_Order_of_Cultural_Merit_Geum-gwan_(1st_Class)_ribbon.PNG|border|23px]] 문화훈장 금관장 (1996년)

2. 약력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니스트로 2위에 입상한 정명훈은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했다. 1976년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공식 데뷔했고, 1980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어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를 보좌했다. 1983년 유럽으로 거처를 옮긴 후, 1984년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었다. 재임 기간 동안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의 활동으로 주목받았다.

1986년 파리 국립 오페라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오페라 지휘를 시작했다. 198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수상했고, 1989년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다. 1990년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메시앙의 작품을 비롯한 다양한 음반을 녹음했다. 1994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으나,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고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97년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음악 감독, 1998년 KBS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2000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2001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을 역임했다. 2005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으며, 2012년부터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했고,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 두 누나(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첼리스트 정명화)와 함께 정 트리오를 결성해 활동하기도 했다.

201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하고 남북 합동 공연을 제안했다. 2012년 라디오 프랑스 초청으로 은하수관현악단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합동 연주회를 성사시켰다.[29]

직책기간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 수석지휘자1984년 - 1989년
피렌체 오페라극장 수석객원지휘자1987년 - 1992년
파리 오페라 극장(바스티유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1989년 - 1994년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1997년 - 2005년
KBS 교향악단 음악감독1998년 - 1999년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0년 - 2015년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5년 - 현재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2001년 - 2010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10년 - 2016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6년 - 현재
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5년 - 2015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수석객원지휘자2012년 - 현재
밀라노 스칼라 극장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23년 - 현재


2. 1. 어린 시절과 음악 교육

부산에서 7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다.[22] 서울덕수초등학교에 입학했으며, 어릴 적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7세 때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함께 하이든의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하는 등[12] 일찍부터 재능을 보였다.[23]

1961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서 한식당을 운영했던 그의 부모미국 워싱턴주 킹 군 시애틀로 이주하여 워싱턴 대학가에서 한식당을 경영했다.[24] 정명훈은 이 시절을 회상하며 "부모님의 식당에서 부엌 일을 도왔고 새벽 신문 배달과 잔디 깎기까지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신문을 돌리고서 나중에 구독료를 받으러 다니는 '수금'이 특히 힘들었다"고 말했다.[25]

1968년 미국 뉴욕의 메네스 음악원에 입학해 나디아 라이젠버그와 칼 밤베르거에게 각각 피아노지휘를 배웠다. 1974년에는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 피아니스트로 참가해 2위로 입상했다.[27] 미국 시민권자임에도 김포공항에서 서울시청까지 카 퍼레이드를 벌이고 박정희 대통령의 만찬에도 초대되었다.[27] 이듬해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지휘를 추가로 공부한 후 1978년졸업했다.

2. 2. 지휘자 경력

정명훈은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니스트로 2위에 입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하고, 1976년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공식 데뷔했다.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에서 경험을 쌓은 후, 1984년 자를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어 본격적인 지휘 경력을 시작했다.

1986년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예프의 '불의 천사'를 지휘하고,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를 지휘하며 오페라 지휘자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89년에는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하여 베를리오즈의 '트로이인'을 공연하는 등 호평을 받았으나, 1994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

1997년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2000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2001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는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했으며,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맡아 아시아 지역의 음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2011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하고 남북 합동 공연을 제안하는 등 남북 화해를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2012년에는 라디오 프랑스 초청으로 은하수관현악단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합동 연주회를 성사시키기도 했다.[29]

2. 2. 1. 서울시립교향악단 재임 기간 (2005-2015)

2005년, 당시 서울시장 이명박의 요청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음악감독에 취임했다.[4][5] 전 세계에서 오디션을 실시하여 단원의 약 1/3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고, 2009년에는 아시아 오케스트라 최초로 도이치 그라모폰과 장기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음악감독 취임 후 개혁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어, 이전 40%를 밑돌던 티켓 판매율이 2014년에는 92.8%까지 상승했다.[13] 그러나 2014년 초,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서울시 경영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고, 같은 해 12월 8일에는 인사고과 없이 특정 인물들의 승진 인사가 이루어졌던 사실이 발각되었다. 또한 행정 감사에서는 정명훈 음악감독이 해외 지휘 활동을 이유로 취소할 수 없는 악단 일정을 여러 차례 결석한 사실도 드러났다.[14]

한편, 악단 직원에 의해 박현정 대표의 폭언·성희롱 문제가 제기되자, 정명훈은 “용납할 수 없는 인권 유린”이라며 박 대표를 비판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의혹을 부인하며 “음악감독이 나를 몰아내려 한다”고 반박했다.[15]

결국 박현정 대표는 사임했지만, “음악감독이 서울시향의 인사와 예산 등에 대해 독단적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감사원 조사 결과, 박 대표의 발언은 사실로 확인되었다.[13]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아들의 피아노 레슨 강사(처제의 친구)를 정식 직책이 없는 자리에 서울시향에 취업시킨 것, 친형이 대표로 있는 회사에서 과장직을 맡았던 사람을 서울시향에 채용한 것, 매니저에게 지급되어야 할 항공권 일부를 자신의 아들 등 가족에게 유용한 것 등이었다.[16][13] 2015년, 정명훈은 음악감독직에서 사임했다.[6]

3. 연주 활동

정명훈은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로 폭넓은 연주 활동을 펼쳤다.

피아니스트로서는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2위에 입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정 트리오 활동 및 유명 성악가들의 반주자로도 참여했다.

지휘자로서는 1976년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데뷔한 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경력을 쌓았다. 1984년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어 윤이상의 작품을 초연하는 등 주목할 만한 활동을 펼쳤다. 1986년에는 파리 국립 오페라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오페라 지휘를 시작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

1989년 파리 국립 오페라 음악 감독으로 부임하여 베를리오즈의 '트로이인'을 공연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1994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1997년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음악 감독, 2000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2001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을 역임했다.

2005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첫 수석 객원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했다.

2011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하고 남북 합동 관현악단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2012년에는 파리에서 은하수관현악단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합동 연주회를 성사시켰다.

정명훈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직책기간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수석지휘자1984 - 1989
피렌체 오페라극장 수석객원지휘자1987 - 1992
파리 오페라 극장(바스티유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1989 - 1994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1997 - 2005
KBS교향악단 음악감독1998 - 1999
프랑스 방송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0 - 2015
프랑스 방송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5 -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2001 - 2010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10 - 2016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6 -
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5 - 2015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수석객원지휘자2012 -
밀라노 스칼라 극장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23 -


3. 1. 피아니스트

부산[22]에서 7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나, 서울덕수초등학교입학했다. 일찍부터 피아노 연주에 재능을 보여 피아노를 배운 지 3년만인 일곱 살 때인 1960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하이든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해 화제가 되었다.[23] 1961년 가족과 함께 미국 워싱턴주 킹 군 시애틀로 이주했다. 14세에 첫 개인 리사이틀을 가졌는데, 연주 도중 곡을 잊어버리는 실수를 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반복해서 연주한 끝에 무사히 공연을 마쳤다.[26]

1968년 미국 뉴욕의 메네스 음악원에 입학해 나디아 라이젠버그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 피아니스트로 참가해 2위로 입상해 화제가 되었고, 미국 시민권자임에도 김포공항에서 서울시청까지 카 퍼레이드를 벌이고 박정희 대통령의 만찬에도 초대되었다.[27]

두 누나(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첼리스트 정명화)와 함께 피아노 3중주단인 정 트리오를 결성해 활동하기도 했고,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 유명 성악가들의 리사이틀이나 독창곡 녹음에서 피아노 반주자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3. 2. 지휘자

1976년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공식 데뷔했고,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경험을 쌓았다.[27] 1980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부지휘자가 되어 줄리니를 보좌했고, 1983년 가족과 함께 유럽으로 이주했다.[27] 1984년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어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으로 주목받았다.[27]

1986년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에프의 '불의 천사'를 지휘했고, 같은 해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를 지휘하며 오페라 지휘자로도 활동하기 시작했다.[27] 1988년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에서 무소륵스키, 베르디, 모차르트의 오페라를 지휘해 호평받았고,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받았다.[27] 1989년 파리 바스티유 감옥 부지에 신축된 오페라극장 전속 오페라단인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현.파리 국립 오페라) 음악 감독으로 부임, 베를리오즈의 '트로이인'을 상연했다.[27]

1990년 10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비제의 관현악 작품, 생상, 메시앙, 베를리오즈, 뒤티외 등의 작품과 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생상의 '삼손과 데릴라(EMI)', 베르디의 '오텔로' 등 오페라 전곡을 녹음했다.[27] 1994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27]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27] 1997년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음악 감독으로 부임해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녹음 활동을 병행했다.[27] 1998년 KBS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맡았으나, 수 개월 후 사임했다.[27] 2000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2001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으로 초청되었다.[27]

2005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4][5] 2012년부터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첫 수석 객원지휘자로 활동 중이다.[27]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극장들을 객원 지휘하고 있다.[27]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을 맡아 인천과 서울에서 매년 정기 공연한다.[27]

2011년 9월 북한 국립 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지휘하고,[28] 남북 합동 관현악단 연주회 개최를 제안했다. 2012년 3월 파리 살 플레옐에서 은하수관현악단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관현악단 합동 연주회를 실현하였다.[29]

1984년부터 1990년까지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자를브뤼켄 수석 지휘자, 1987년부터 1992년까지 플로렌스 코무날레 극장 수석 객원 지휘자였다.[3] 1987-88 시즌 이탈리아 아비아티 상, 이듬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수상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파리 오페라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바스티유 오페라 개막 공연에서 베를리오즈의 《트로이인들》 전곡을 지휘했다.

1991년 프랑스 극장 및 음악 비평가 협회 "올해의 예술가", 1992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90년부터 독일 그라모폰 전속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많은 음반을 발매했고, 1995년 프랑스 클래식 음악상 3개 부문, 올해의 최고 지휘자로 선정되었다. 메시앙의 《4중주 협주곡》 세계 초연을 지휘했다.

1997년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예술 감독, 2000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예술 감독을 맡았다.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2001년 특별 예술 고문, 2010년 명예 지휘자, 2016년 명예 음악 감독으로 임명했다. 2012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첫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되었다. 2005년부터[4][5] 2015년[6]까지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메이저 음반사와 계약한 첫 아시아 오케스트라가 되었고,[7] 프롬스에서 첫 공연을 가졌다.[8]

유네스코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고, 유엔 마약퇴치 프로그램 대사, 한국 명예 문화 대사를 역임했다.

1974년 줄리아드 음악학교 대학원에서 본격적으로 지휘 공부를 시작, 오페라 「나비부인」을 지휘하고 뉴욕 유스 오케스트라 지휘자를 역임했다. 1978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에서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조수로, 1980년 부지휘자가 되었다. 1984년 사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수석 지휘자에 취임했다. 1990년 클라우디오 아바도 취임에 항의해 출연을 취소한 로린 마젤 대역으로 베를린 필하모닉에 데뷔했다. 1986년 주세페 베르디 오페라 「시몬 보카네그라」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데뷔, 1987년 피렌체 오페라극장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되었다.

1989년 파리 오페라 극장 초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 1990년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었다. 올리비에 메시앙과 친분을 쌓았고, 1994년 『네 개의 성악과 현악을 위한 콘체르토』를 세계 초연했다. 1992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94년 정치적 이유로 해임 후, 1997년 로마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에 취임했다. 1998년 KBS 교향악단 음악 감독에 취임했지만 이듬해 사임했다. 2000년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에 취임했다.

2001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스페셜 아티스틱 어드바이저로 취임, 루트비히 판 베토벤 교향곡 전곡 연주로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명예 지휘자, 2016년 명예 음악 감독에 취임했다.

2011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건너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지휘, 남북 합동 오케스트라 연주회 개최를 제안했다. 2012년 3월 은하수관현악단을 이끌고 살 플레이엘에서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합동 연주회를 실현했다.

2005년 이명박 요청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에 취임, 단원의 약 1/3을 교체했다. 2009년 도이치 그라모폰과 계약을 체결했다.

음악감독 취임 후 개혁은 성공을 거두어 티켓 판매율이 2014년 92.8%까지 상승했다.[13] 2014년 초, 서울시립교향악단은 경영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4년 12월 8일 인사고과 없는 승진 인사가 발각되었고, 해외 지휘 활동으로 악단 일정을 결석한 사실도 드러났다.[14] 악단 직원에 의한 박현정 대표의 폭언·성희롱 고발에 대해 박 대표를 비판했으나, 박 대표는 “음악감독이 나를 몰아내려 한다”고 비판했다.[15]

박 대표는 사임했지만, “음악감독이 서울시향의 인사와 예산 등에 대해 독단적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감사원은 조사를 통해 박 대표 발언이 사실임을 확인했다.[13] 2015년 음악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정명훈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직책기간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수석지휘자1984 - 1989
피렌체 오페라극장 수석객원지휘자1987 - 1992
파리 오페라 극장(바스티유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1989 - 1994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1997 - 2005
KBS교향악단 음악감독1998 - 1999
프랑스 방송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0 - 2015
프랑스 방송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5 -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2001 - 2010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10 - 2016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음악감독2016 -
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2005 - 2015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수석객원지휘자2012 -
밀라노 스칼라 극장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지휘자2023 -


4. 가족 관계

정명훈은 7남매 중 여섯째로, 부인 구순열과의 사이에 세 아들(정진, 정선, 정민)을 두고 있다. 정경화정명화는 그의 친누나이다.[29] [30]

정명훈의 가족 관계
이름관계출생사망비고
정준채아버지1913년1980년간경화로 별세
이원숙어머니1918년2011년함경남도 원산 출생, 루시여고, 배화여고, 이화여전 가사과 졸업, 동덕여고 교사, 이화여대 가정과 강사, 1986년 미국 밸리포지신학대 졸업, 1988년 목사 안수[25]
정명소1943년2007년플루트 전공, 목사
정명근비올라 전공, CMI 대표
정명화누나1944년첼로 전공, 대관령국제음악제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구삼열매형1941년정명화의 배우자, 월드임브레이스 대표, 2012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유엔특별대표, 아리랑TV 사장 역임
정경화누나1948년바이올린 전공, 대관령 국제 음악제 예술감독, 줄리아드 음악원 교수
정명철클라리넷 전공, 미국에서 교통사고로 사망
구순열배우자정경화의 남편인 구삼열의 여동생
정명규동생재미 의사


5. 수상 경력 및 서훈

정명훈은 다양한 상을 받고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으로는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피아노 부문 2위, 1988년과 2015년 이탈리아 음악평론가협회 선정 올해의 지휘자 상, 1989년 이탈리아 토스카니니 지휘자상, 1991년 프랑스 올해의 음악상 및 올해의 아티스트, 1992년 메시앙의 ‘투랑갈릴라 교향곡’으로 디스크 그랑프리 및 미국 엑설런스 2000상, 1995년 프랑스 클래식 음악의 승리상 중 최고의 지휘자상과 최고의 음반상 및 프랑스 최고 오페라 연출상, 1996년 일본 아사히 방송사 ABC음악재단의 96 ABC인터내셔널 음악상, 1997년 호암상 예술상, 2003년 프랑스 클래식 음악의 승리상을 다시 한번 수상한 기록이 있다.

받은 훈장으로는 1974년 은관문화훈장(2등급), 1990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슈발리에, 1992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1994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 1995년 금관문화훈장(1등급), 2011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코망되르, 2017년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별 훈장 콤멘다토레, 2022년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대장군장(2등급)이 있다.

또한 1995년 유네스코 올해의 인물[11], 올해의 지휘자(Victoires de la musique classique)로 선정되었고, 문화훈장(Order of Cultural Merit (Korea))과 호암예술상(Ho-Am Prize in the Arts)을 받았다. 1988년에는 프랑코 아비아티 상(Premio Franco Abbiati), 1989년에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Arturo Toscanini prize), 1991년에는 올해의 예술가(프랑스 극장 및 음악 평론가 협회)로 뽑혔다.

정명훈은 유엔 마약통제 프로그램 홍보대사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명예 문화 홍보대사였다.

5. 1. 수상 경력

프랑코 아비아티 상(Premio Franco Abbiati)1989년이탈리아 토스카니니 지휘자상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Arturo Toscanini prize)1991년프랑스 올해의 음악상, 프랑스 비평가협회 ‘올해의 아티스트’
올해의 예술가(프랑스 극장 및 음악 평론가 협회)1992년메시앙의 ‘튀랑갈릴라 교향곡’으로 디스크 그랑프리, 미국 엑설런스 2000상
레지옹 도뇌르 훈장(Legion of Honour)1995년프랑스 클래식 음악의 승리상 중 최고의 지휘자상과 최고의 음반상, 프랑스 최고 오페라 연출상
올해의 지휘자(Victoires de la musique classique)
유네스코 올해의 인물(UNESCO Man of the Year)[11]1996년일본 아사히 방송사 ABC음악재단의 96 ABC인터내셔널 음악상
대한민국 문화훈장(Order of Cultural Merit (Korea))1997년호암상 예술상2003년프랑스 클래식 음악의 승리상 두 번째 수상2011년예술문학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훈장(Commandeur)2015년제34회 이탈리아 음악평론가협회 "Premio Franco Abbiati" 올해의 지휘자 상(2014시즌)[31]2017년이탈리아 공화국 스타 훈장(Order of the Star of Italy), 훈장(Commander)[9]2022년이탈리아 공화국 스타 훈장(Order of the Star of Italy), 대훈장(Grand Officer)[10]



정명훈은 유엔 마약통제 프로그램 홍보대사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명예 문화 홍보대사였다.

5. 2. 서훈

연도구분내용
1974년훈장은관문화훈장(2등급)
1990년프랑스 훈장문예공로훈장 슈발리에
1992년프랑스 훈장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1994년프랑스 훈장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
1995년대한민국 훈장금관문화훈장(1등급)
1995년기타유네스코 올해의 인물[11]
1995년기타올해의 지휘자(Victoires de la musique classique)
1996년대한민국 훈장문화훈장(Order of Cultural Merit (Korea))
1997년대한민국호암예술상(Ho-Am Prize in the Arts)
2011년프랑스 훈장문예공로훈장 코망되르
2017년이탈리아 훈장이탈리아의 별 훈장 콤멘다토레[9]
2022년이탈리아 훈장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대장군장(2등급)[10]
1988년기타프랑코 아비아티 상(Premio Franco Abbiati)
1989년기타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Arturo Toscanini prize)
1991년기타올해의 예술가(프랑스 극장 및 음악 평론가 협회)



정명훈은 유엔 마약통제 프로그램 홍보대사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명예 문화 홍보대사였다.

6. 일본과의 관계

정명훈은 1975년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일본 투어에 피아니스트로 참여하며 처음 일본을 방문했다. 1978년에는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 정기 연주회에 피아니스트로 출연했다.[18] 그러나 이후 일본 방문은 뜸했는데, 그의 어머니가 일본어를 능숙하게 구사했음에도 일본인과 대화할 때 영어, 한국어만 사용하고 일본어를 쓰지 않는 모습을 보았고, NHK 교향악단 간부가 그의 언니인 정경화에게 차별적인 발언을 한 사건 등의 영향이 있었다.[18]

1995년, 필하모니아 관현악단과 함께 지휘자로서 처음 일본을 방문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연주 후 큰 박수갈채를 받으며 "마침내 받아들여졌다는 실감에 눈물이 나왔다"고 회고했다.[19] 이후 정명훈은 일본을 자주 방문하게 된다. 1998년 9월 NHK 교향악단과 첫 공연을 시작으로, 2000년 5월, 2008년 2월, 2011년 2월, 2013년 6월에도 공연했다. 1999년 신성 일본 교향악단과의 공연을 계기로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예술 고문으로 취임했고, 2016년부터는 명예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 이외에도 파시픽 뮤직 페스티벌, 베푸 알게리치 음악제 등에서도 지휘했다.

일본 오케스트라와의 공연뿐만 아니라, 해외 오케스트라와 오페라의 일본 공연을 지휘하는 기회도 많았다. 필하모니아 관현악단(1995년),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1996년, 2006년),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1997년, 1998년, 2001년),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2000년),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2002년, 2006년, 2013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2006년), 밀라노 스칼라 극장 필하모닉 오케스트라(2008년),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투어 중단), 서울시립교향악단(2011년, 2012년), 베니스 페니체 극장(2013년)과 함께 일본 공연을 가졌다.

현재는 친일적인 성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의 상황황제와 실내악(주로 피아노 사중주, 정명훈은 피아노 담당)을 여러 번 함께 연주했다.

2002년 FIFA 월드컵을 계기로 "한일 간의 어려운 과거를 잊으려면 승패를 결정해야 하는 스포츠보다 음악의 아름다움을 공유하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고 말하며,[19] 이웃 나라로서 더 좋은 한일 관계 구축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울시립교향악단을 아시아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만들겠다"는 요청을 받고 음악 감독에 취임하면서 "아시아 최고의 음악 도시인 도쿄의 청중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아시아 최고의 오케스트라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여 정기적인 일본 공연을 제안했고, 2011년 일본 공연은 "제1회 도쿄 정기 공연"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다.

참조

[1] 뉴스 Maria Curcio https://www.theguard[...] 2020-05-28
[2] 뉴스 Chung Trio Re-unites as 'Trio of Filial Devotion' http://english.chosu[...] 2007-09-07
[3] 뉴스 Report: Myung-whun Chung Is Top Candidate to Lead Seoul Philharmonic http://www.playbilla[...] 2008-01-10
[4] 뉴스 Concert Review: LSO/Chung https://www.theguard[...] 2007-09-07
[5] 뉴스 Myung-whun Chung Named Music Director of Seoul Philharmonic http://www.playbilla[...] 2008-01-10
[6] 뉴스 Maestro Chung Myung-whun announces departure from SPO http://www.koreahera[...] 2020-05-28
[7] 뉴스 Seoul Philharmonic signs to DG http://www.gramophon[...] 2015-07-04
[8] 뉴스 Seoul Philharmonic Orchestra/Chung/Wu review – playful and stylish sheng odyssey https://www.theguard[...] 2015-07-04
[9] 웹사이트 Myung-whun Chung decorated https://www.quirinal[...] Th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cy of the Italian Republic.
[10] 웹사이트 Myung-whun Chung decorated https://www.quirinal[...] Th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cy of the Italian Republic.
[11] 웹사이트 OSR - Myung-Whun Chung https://www.osr.ch/e[...] 2021-08-04
[12] 서적 피아니스트 가이드 청궁사 2006-02-10
[13] 뉴스 【社説】ソウル市響が市民からより多くの拍手を得るには http://www.chosunonl[...] 2015-01-25
[14] 뉴스 【取材日記】ソウル市響から改革のまな板にのせるべき https://web.archive.[...] 2015-01-25
[15] 뉴스 ソウル市響代表「鄭明勲氏が私を追いだそうとしている」 https://web.archive.[...] 2015-01-25
[16] 뉴스 鄭明勲氏「特恵疑惑」は事実…ソウル市の1年契約延長に批判 https://web.archive.[...] 2015-01-25
[17] 웹사이트 정치인물사 수완이 풍부한 타협과 대화의 정치인, 화순 구흥남 http://www.namdonews[...] 2023-01-30
[18] 웹사이트 伊東乾の「知の品格」 vol.12 バナナを齧り飛ばせ!「ヘイト」を笑う知の品格(1) https://www.business[...]
[19] 뉴스 일본경제신문 2002-01-01
[20] 간행물 음악之友社 2001-08
[21] 웹사이트 必ず よみがえる〜魂のオーケストラ 1年半の闘い〜 https://www.nhk.jp/p[...] NHK 2021-09-24
[22] 뉴스인용 운명처럼 다가왔던 베토벤 '운명' 들고 태어난 부산방문 설레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3-05-09
[23] 뉴스인용 [피플Q 정명훈의삶&음악] 정명훈은 누구?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5-24
[24] 뉴스인용 마에스트로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http://news.mk.co.kr[...] mk뉴스 2009-12-25
[25] 뉴스인용 "北 악단장도 스트라디바리우스(바이올린 최고 명기) 쓴대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4-13
[26] 서적 아들아 너는 세계를 무대로 살아라 북로그컴퍼니 2009
[27] 뉴스인용 김문관의 클래식 산책 스승의 노래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2-05-14
[28] 뉴스인용 정명훈, 평양에서 북한 교향악단 지휘 http://www.ytn.co.kr[...] YTN 2013-05-10
[29] 뉴스인용 북한 은하수 관현악단, 정명훈 지휘로 파리서 ‘박수갈채’ 이끌다 http://view.asiae.co[...] YTN 2013-05-10
[30] 간행물 2004-02
[31] 문서 역대 수상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