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5년 6월 1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5년 6월 1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대본영, 해군총대, 경비부, 진수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본영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제3남견함대, 제11항공함대 등을 지휘했다. 해군총대는 연합함대, 제4함대, 제6함대, 제7함대, 제1, 3, 5, 10, 12항공함대, 제10방면함대 등을 포함했다. 경비부에는 오미나토, 진해, 다카오, 오사카 경비부 등이 있었으며, 진수부에는 요코스카, 구레, 사세보, 마이즈루 진수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2년 7월 14일)
1942년 7월 14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를 포함한 다양한 함대와 부대의 편성 정보를 상세히 보여주는 자료로, 각 함대별 전력 편성을 통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15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및 부대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지나방면함대, 제1기동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8함대, 항공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등의 상세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군대의 편성과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 1945년 일본 - 일본의 항복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은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함락, 본토 침공 위협, 경제 붕괴 직전 상황,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소련의 대일 참전 등으로 항복을 결정,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패전을 선포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 1945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5년 6월 1일) | |
---|---|
일본 제국 해군 전투 서열 (1945년 6월 1일) | |
![]() | |
개요 | |
시기 | 1945년 6월 1일 |
관련 전쟁 | 태평양 전쟁 말기 |
특징 | 일본 제국 해군의 사실상 마지막 전투 서열 |
해군 총사령부 | |
사령장관 | 도요다 소에무 대장 |
참모장 |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 |
총사령부 위치 | 미쓰시마 |
연합 함대 | |
사령장관 | (겸임) 도요다 소에무 대장 |
참모장 | (겸임)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 |
제1함대 | |
사령장관 | 다카스 시로 중장 |
기함 | 가스미가우라 |
전력 | 경순양함 1척 해방함 8척 해방함대 및 경비대 부설함 2척 구축함 2척 감시대 2척 수뢰정 다수 |
제2함대 (해체) | |
사령장관 | 이세이 가쿠타 중장 (사망) |
비고 | 전함 야마토를 포함한 잔존 함정은 해체 후 각 방면에 전출 |
제3함대 | |
사령장관 | 시바타 다케오 중장 |
기함 | 기타카미 |
전력 | 중순양함 1척 해방함 약간 특설 항공모함 2척 기타 소형 함정 다수 |
제4함대 | |
사령장관 | 하라 다다이치 중장 |
기함 | 야에야마 |
전력 | 남방 방면의 경비 및 수송 담당 부대 |
제5함대 | |
사령장관 | 시마다 슈운지 중장 |
기함 | 묘코 |
전력 | 구축함 2척 해방함 4척 기타 소형 함정 다수 |
제1항공함대 | |
사령장관 | 데라오카 기미카즈 중장 |
전력 | 전투기 대다수 폭격기 정찰기 연습 항공대 |
비고 | 육상 기지 항공 부대 |
제3항공함대 | |
사령장관 | 마쓰다 지카시게 중장 |
전력 | 전투기 폭격기 정찰기 |
비고 | 육상 기지 항공 부대 |
제5항공함대 | |
사령장관 | 우가키 마토메 중장 |
전력 | 가미카제 특별 공격대 |
비고 | 특공 전문 부대 |
제10방면함대 | |
사령장관 | 신자키 쇼이치 중장 |
전력 | 경순양함 1척 해방함 4척 구축함 1척 기타 소형 함정 다수 |
관할 | 동인도 제도 방면 |
각 경비부 | |
요코스카 진수부 | 요코스카 방면 |
구레 진수부 | 구레시 방면 |
사세보 진수부 | 사세보 방면 |
마이즈루 진수부 | 마이즈루시 방면 |
기타 부대 | |
연습함대 | 해군 병학교 졸업생의 원양 항해 훈련 담당 |
수뢰 학교 | 수뢰 기술 교육 기관 |
항공 기술창 | 항공기 및 관련 기술 연구 개발 기관 |
2. 대본영
2. 1. 남동방면함대
뉴기니, 솔로몬 제도 방면을 담당하던 함대였다.- 직속
- * 제14근거지대
- ** 제80, 83경비대
- 부속
- * 제81, 84~86경비대
- * 제8잠수함 기지대
- * 요코스카 진수부 소속
- ** 제8특별육전대
- ** 제8통신대
- ** 제8항무대
- ** 제101설영대
- 제8함대
- * 직속: 제1근거지대
- ** 제82, 87, 88경비대
- ** 제1통신대
- ** 사세보 진수부 제6특별육전대
- ** 구레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 * 부속: 제20, 26, 32, 34, 121, 131설상대
- 제11항공함대
- * 제958해군항공대
- * 제105항공기지대
- * 제18, 28, 211, 212설상대
2. 1. 1. 제14근거지대
라바울을 거점으로 활동하였다.2. 1. 2. 제8함대 (일본)
제8함대는 뉴브리튼섬, 뉴기니섬 동부, 비스마르크 제도, 솔로몬 제도 방면을 담당하던 함대였다.2. 1. 3. 제11항공함대
제11항공함대는 남동방면함대 소속 항공부대였다.2. 2. 남서방면함대
필리핀,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담당하던 함대였다.- 직속: 제26항공전대
- * 북비 해군항공대[1], 중비 해군항공대[2], 남비[3] 해군항공대, 제141해군항공대, 제153해군항공대
- * 제201해군항공대, 제221해군항공대, 제341해군항공대, 제761해군항공대, 제763해군항공대
- * 제37경비대
- 제3남견함대
- * 제30근거지대
- ** 제21호 소해정
- ** 서캐롤라인 해군항공대, 제45, 46경비대, 제30항무부, 제3통신대, 제6특설수송대
- * 제31특별근거지대
- ** 제35경비대, 제31항무부, 제31통신대
- * 제32특별근거지대
- ** 제33경비대, 제32통신대, 제10특설수송대
- * 제33특별근거지대
- ** 제36경비대
- * 부속: 제21구잠대, 제12어뢰정대, 제25어뢰정대, 제31어뢰정대
- ** 제955해군항공대, 제135, 136, 166~168, 183~185, 187, 204~207방공대
- ** 제205, 214, 215, 225, 235, 301, 308, 311, 318, 328, 331, 332, 3011설상대, 제9특설수송대
2. 2. 1. 제3남견함대
남중국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보르네오 북부를 담당하던 함대였다.2. 2. 2. 제32특별근거지대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다바오를 거점으로 활동하였다.3. 해군총대
3. 1. 연합함대
무사시, 야마토, 후소, 야마시로- 항공모함: 즈이카쿠, 다이호, 가쓰라기, 시나노, 가이요
- 경순양함: 기타가미, 야하기
- 제22전대: 제1~4감시정대, 기쿠마루
- 제31전대: 하나쓰키
- ** 제17구축대: 하마카제, 유키카제
- ** 제21구축대: 하쓰시모
- ** 제41구축대: 후유쓰키, 스즈쓰키, 요이즈키, 나쓰즈키
- ** 제43구축대: 다케, 마키, 기리, 가야, 쓰타, 시이
- ** 제52구축대: 스기, 모미, 가시, 히노키, 가에데, 하기, 나시, 니레
- 제11수뢰전대: 사카와
- ** 제53구축대: 사쿠라, 나라, 쓰바키, 야나기, 다치바나, 게야키
- ** 구축함: 가키, 스미레, 에노키, 구스노키, 오다케, 하쓰자쿠라, 가파
- 제101항공전대
- ** 제1001해군항공대
- ** 제1021해군항공대
- ** 제1022해군항공대
- ** 제1081해군항공대
- 제10특공전대: 나미109
- 제1구축대: 가미카제, 시오카제, 아사가오
- 구축함: 우시오, 유카제, 나미카제
- 표적함: 야카제, 세쓰, 하카치, 오하마
- 제9, 11, 15수송함, 제28, 30호 구잠정
- 제1연합통신대
3. 1. 1. 제4함대 (일본)
제4함대는 중부 태평양 도서 지역을 담당하던 함대였다.
- 제4근거지대
- * 제41~44, 47~49, 67경비대, 제4통신대, 제4항무부
- 제6근거지대
- * 제62~66경비대
- 부속: 동캐롤라인 해군항공대, 마리아나 해군항공대, 요코스카 진수부 제2특별육전대, 제216, 221, 223, 227설상대
3. 1. 2. 제6함대 (일본)
이8, 이12- 제1잠수대 : 이13, 이14, 이400, 이401
- 제15잠수대 : 이36, 이44, 이46, 이53, 이58, 이361, 이363, 이366, 이367
- 제16잠수대 : 이369, 이372, 나미102, 나미103, 나미104, 나미105
- 제34잠수대 : 이156, 이157, 이158, 이159, 이162, 이1675, ?46, 이50, ?109
- 제11잠수전대 : 초게이, 이201, 이202, 이373
- 제631해군항공대
- 제31잠수함기지대
3. 1. 3. 제7함대 (일본)
도키와, 고에이마루, 에이조마루로 구성된 기뢰부설함 부대와 제102, 104, 106, 154해방함으로 구성된 을급 해방함 부대가 있었다. 1945년 6월 5일 제18전대 사령부는 폐지되었다. 제7함대는 대한해협, 동해, 황해의 경비와 방위를 담당하였다.3. 1. 4. 제1항공함대 (일본)
제132해군항공대, 제133해군항공대, 제205해군항공대, 제765해군항공대는 일본 제국 해군의 기동부대 핵심 전력이었으나, 전쟁 후반 전력 상실로 유명무실해졌다.3. 1. 5. 제3항공함대 (일본)
간토 해군항공대, 쓰쿠바 해군항공대, 제131해군항공대, 제252해군항공대제601해군항공대, 제706해군항공대, 제722해군항공대, 제752해군항공대
제13항공전대
스즈카 해군항공대, 오이 해군항공대, 아오시마 해군항공대, 야마토 해군항공대, 제3오카자키 해군항공대, 미네야마 해군항공대, 가시마 해군항공대, 제2고와 해군항공대
제53항공전대
제210해군항공대, 도요하시 해군항공대, 나고야 해군항공대
3. 1. 6. 제5항공함대 (일본)
사이카이 해군항공대, 산인 해군항공대, 난세이 군도 해군항공대, 다쿠마 해군항공대제171해군항공대, 제634해군항공대, 제701해군항공대, 제721해군항공대
제762해군항공대, 제801해군항공대, 제931해군항공대
제12항공전대
도쿠시마 해군항공대, 고치 해군항공대, 간논지 해군항공대, 사이조 해군항공대,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지쿠조 해군항공대, 하카타 해군항공대, 이사하야 해군항공대, 광주 해군항공대, 부산 해군항공대, 아마쿠사 해군항공대, 후쿠야마 해군항공대
제72항공전대
제203해군항공대, 제332해군항공대, 제343해군항공대, 제352해군항공대
규슈 해군항공대
우치카이 해군항공대
제12, 23육상수송대
3. 1. 7. 제10항공함대 (일본)
가스가미우라 해군항공대도쿄 해군항공대
제2고오리야마 해군항공대
진마치 해군항공대
야타베 해군항공대
원산 해군항공대
햐쿠리하라 해군항공대
마쓰시마 해군항공대
3. 1. 8. 제12항공함대
호쿠토 해군항공대3. 2. 제10방면함대
하구로[4][5], 아시가라경순양함: 이스즈[6][5]
포함 "난카이"
제33, 105방공대
제36, 201, 202, 203, 224, 232설영대
제25근거지대
설영함 "와카타카", 수뢰정 "키지"
제7, 20, 21, 26, 27, 29경비대
제27특별근거지대
제28근거지대
제18경비대
부속: (이스즈)[7], 난카이
제33, 105방공대, 제36, 201~203, 224, 232설상대
3. 2. 1. 제1남견함대
하쓰타카제4, 34호구잠정, 제44소해대
제10항무부, 제10통신대
제41, 43호구잠정
제10, 11경비대
雁일본어 간 카리
제14, 25경비대
제12, 13, 17경비대
제11구잠대
제9경비대, 제11잠수함기지대
묘코, 다카오, 제61호 해방함, 제57호 구잠정
제3110설상대
3. 2. 2. 제2남견함대
일본 제국 해군의 제2남견함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 방면을 담당하던 함대였다.- 제21특별근거지대
- * 제1~3호구잠정
- * 제3~6경비대, 제21잠수함기지대, 제1항무부, 제21통신대
- 제22특별근거지대
- * 제4, 5, 56호구잠정, 제2, 36호초계정
- * 제2경비대, 제2항무부
- 제23특별근거지대
- * 제8호소해정
- * 제8경비대
- 부속: 제106, 109호초계정
- * 제7특설수송대
3. 2. 3. 제13항공함대
제10방면함대 소속 항공부대였다.- 직속
- * 제31해군항공대
- * 제381해군항공대
- * 제936해군항공대
- 제28항공전대:
- * 말레이 해군항공대
- * 동인도 해군항공대
- * 인도차이나 해군항공대
3. 3. 지나방면함대
지나방면함대는 중화민국 방면을 담당하던 함대였다. 일본 제국 해군은 중화민국을 침략하고 여러 만행을 저질렀다.3. 4. 해상호위총사령부
해상호위총사령부는 해상 수송로 보호를 담당하던 부대였다. 직속 부대로 제901해군항공대가 있었다.제1호위함대 예하에 제102전대가 있었으며, 7월 5일 제2해방대로 재편성되었다. 제102전대에는 가시마, 간쥬, 가사도, 제2, 29, 34, 41, 81호 해방함이 소속되어 있었다. 제103전대는 7월 10일, 제7함대로 전속되었다. 제103전대에는 하루쓰키, 오키, 미야케, 하부시, 가나와, 우쿠, 제59, 60, 67, 192, 213호 해방함이 소속되어 있었다.
해상호위총사령부 부속 부대로는 제1, 11, 12, 21, 22, 31해방대, 제17, 39, 41호소해정, 제31구잠대, 제19, 20, 21, 26, 60호구잠정이 있었다. 7월 10일에는 제105전대가 전속되었으며, 히비키와 해방함 6척으로 구성되었다.
3. 5. 진수부
3. 5. 1. 요코스카 진수부
오바야시 스에오 소장이 지휘하는 제1특공전대는 요코스카에 배치되어 있었다.[8]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미토 히사시 소장이 지휘하는 제4특공전대는 미에에 배치되어 있었다.[8]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잠수모함:고마하시
- 제13돌격대 (도바)
- 제19돌격대 (아고)
스기우라 노리오 대좌가 지휘하는 제7특공전대는 가쓰우라에 배치되어 있었다.[8]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2돌격대(가쓰우라)
- 제14돌격대(노노하마)
- 제17돌격대(고나하마)
구니노미야 아사아키라 왕 중장이 지휘하는 제20연합항공대는 오이에 배치되어 있었다.[8]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스노사키 해군항공대 - 야마가타 슌지 대좌
- 후지사와 해군항공대 - 우에다 야스히코 대좌
- 다우라 해군항공대 - 쓰치다 히사오 중좌
- 제1사가미노 해군항공대 - 시노자키 이소지 대좌
- 제2사가미노 해군항공대 - 시노자키 이소지 대좌
- 제1고리야마 해군항공대 - 사카쿠라 다케시 대좌
- 제1고와 해군항공대 - 다나카 와사부로 대좌
- 쓰치우라 해군항공대 - 후지요시 나오시로 소장
- 미에 해군항공대 - 가토 나오 소장
- 시가 해군항공대 - 벳푸 아케토모 소장[8]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대가 있었다.
-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 마쓰다 지아키/松田千秋일본어 소장
-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 오니즈카 다케지 대좌
- 제312해군항공대("스스이") - 시바타 다케오 대좌
- 제725해군항공대 - 스즈키 쇼이치 대좌
- 지미치마 방면 특별근거지대 - 모리 구니조 중장
요코스카 해군시설부는 히오카 나가아키 기술소장이 지휘했으며,[8]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요코스카 설영대 - 히오카 나가아키 기술소장
- 제208설영대(하치조섬)- 하마다 노리이치 기술대위
- 제209설영대(지미치마) - 요시모토야 벤지 기술대위
- 제5010설영대(도쿄)- 구와바라 아사히코 기술대위
- 제5011설영대(도쿄)- 오카모토 요시타로 기술중좌
- 제5012설영대(고리야마) - 오시마 이쿠히코 기술대위
- 제5013설영대(도요가와)- 사이토 준이치 기술대위
- 제5014설영대(이시오카)- 니시마쓰 조지 기술대위
- 제5015설영대(도모베)- 시켄 히데시 기술대위
- 제5016설영대(하기노)- 고바야시 시게루 기술대위
- 제5017설영대(미나미타마)- 노리스기 마코토 기술대위
- 제5018설영대(이와키)- 요시다 사다오 기술대위
- 제5019설영대(가케가와)- 마쓰모토 아리 기술대위
요코스카 해군공창은 호소야 신자부로 중장이 지휘했으며,[8] 제1항공기술창은 다다 리키조 중장이 지휘했다.[8]
3. 5. 2. 구레 진수부
- 제81전대(구레): 水井静治 소장
- * 제48호해방함
- * 시모노세키 방비대
- 제2특공전대(구레): 長井満 소장
- * 가사도 돌격대
- * 히라오 돌격대
- * 히카리 돌격대
- * 오미와돌격대: 山田盛重 대좌
- * 제81돌격대(구레)
- 제8특공전대(구레): 清田孝彦 소장
- * 사에키 해군항공대: 野村勝 중좌
- * 제21돌격대(스쿠모)
- * 제23돌격대(스자키)
- * 제24돌격대(사에키)
- 구레 잠수전대: 市岡寿소장
- * 제33잠수대: 小泉麒一대좌
- ** 이49, 이62, 이63, 이64, 이67, 이68, 이500
- 구리시타 해군항공대: 森本丞 소장
- 구레 해군시설부: 田中秀康 기술대좌
- * 구레 설영대: 田中秀康 기술대좌
- * 제3111설영대(이와쿠니): 小林健三郎 기술소좌
- * 제3113설영대(간논지): 木村成博 기술대위
- * 제3114설영대(오이테): 沼田等 기술소좌
- * 제3115설영대(도쿠야마): 首藤安正 기술대위
- * 제3116설영대(미나기): 小森久 기술대위
- * 제3117설영대(스쿠모): 諸富有海 기술소좌
- * 제5110설영대(사에키): 중松敦雄 기술소좌
- * 제5111설영대(이와쿠니): 小林健三郎 기술대위
- * 제5112설영대(간논지): 木村成博 기술대위
- * 제5113설영대(고치): 島本茂 기술대위
- * 제5114설영대(구라시타): 飯敏夫 기술소좌
- * 제5115설영대(시모노세키): 信岡龍 二기술대위
- * 제5116설영대(구레): 杉江直巳 기술중좌
- * 제5117설영대(도쿠야마): 橘好茂 기술소좌
- * 제5216설영대(오무타): 織田文雄 기술대위
- 구레 해군 공창: 妹尾知之 중장
3. 5. 3. 사세보 진수부
준요, 제44, 118, 215, 219호 해방함, 제27어뢰정대제951해군항공대
오키나와 방면근거지대
제3특공전대
제5특공전대: 제49, 58호 구잠정
제22연합항공대
3. 5. 4. 마이즈루 진수부
제51전대: 로68, 로500, 야스타카, 이카라, 이오지마, 하부토, 다카네, 제75, 79, 87, 124, 156, 158, 200, 225호 해방함제105전대: 히비키, 제12, 40, 65, 112, 150, 205호 해방함
제23연합항공대
3. 6. 경비부
3. 6. 1. 오미나토 경비부
제47호, 제49호, 제196호, 제221호 해방함, 제28, 제52소해대, 제15호 구잠정, 오토마리, 이시자키, 제2호 신코마루, 제52포정대제104전대: 후카에, 구나시리, 하치조, 가사토, 시무슈, 에토루후
제903해군항공대
3. 6. 2. 진해 경비부
진해 경비부는 한반도 남동단에 위치한 주요 거점이었다. 이 곳은 일제강점기 조선 수탈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곳으로, 당시 조선인들에게는 아픈 기억으로 남아있다.- 제48, 49소해정
- 라진 방면특별근거지대
- 뤼순 방면특별근거지대
3. 6. 3. 다카오 경비부
다카오 경비부는 타이완 남부에 위치한 경비부이다.- 다카오 방면근거지대
- 마궁 특별근거지대
- 타이완 해군항공대
3. 6. 4. 오사카 경비부
- 제6특공전대: 제30호, 제190호 해방함, 제104호 초계정
- 제24연합항공대
참조
[1]
문서
北菲
[2]
문서
中菲
[3]
문서
南菲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