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소공동선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소공동선언은 1956년 일본과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전쟁 상태를 종료하고 외교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이 선언을 통해 소련은 일본의 유엔 가입을 지지하고,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일본인을 석방하며 배상 청구권을 포기했다. 주요 내용은 양국 간의 국교 정상화, 통상 및 어업 협력, 그리고 평화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 지속을 명시했다. 특히,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 섬을 일본에 양도하기로 합의했지만, 쿠릴 열도 분쟁으로 인해 평화 조약 체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선언은 양국 간의 경제, 문화 교류를 활성화시켰으나, 북방 영토 문제로 인해 양국 관계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국제 관계 - 인격 숭배와 그 결과
인격 숭배와 그 결과는 스탈린 격하 연설로 시작된 탈스탈린화 운동을 중심으로, 정치적, 사회적 변화와 그 영향, 그리고 흐루쇼프의 의도에 대한 논쟁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주제이다. - 1956년 국제 관계 -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의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발언은 냉전 시대 미-소 간 긴장을 격화시킨 사건으로, 식민주의 종식을 의미했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서방 세계는 핵 위협으로 받아들이며 강하게 반발, 군사적 위협, 체제 경쟁, 문화적 오해 등 다양한 해석과 함께 대중문화에 널리 인용되었다.
일소공동선언 | |
---|---|
기본 정보 | |
명칭 | 일본-소련 공동 선언 |
원어 명칭 | ja: 日本国とソヴィエト社会主義共和国連邦との共同宣言 (니혼코쿠토 소비에토 샤카이슈기 교와코쿠 렌포-토노 쿄-도-센겐) ru: Совместная декларация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Японии (소브메스트나야 데클라라치야 소유자 소베츠키흐 소치알리스티체스키흐 레스푸블리크 이 야포니) |
약칭 | ja: 日ソ共同宣言 (닛소 쿄-도-센겐) ru: Советско-Японская Совместная Декларация (소베츠코-야폰스카야 소브메스트나야 데클라라치야) |
조약 정보 | |
서명일 | 1956년 10월 19일 |
서명 장소 | 모스크바, 소련 |
효력 발생일 | 1956년 12월 12일 |
당사국 | 일본 소련 |
언어 | 일본어, 러시아어 |
내용 | 일본과 소련 간의 전쟁 상태 종료 선언 양국 간의 평화 및 우호 선린 관계 회복 선언 |
외무성 자료 | 자료 |
배경 | |
내용 설명 | 일본과 소련 간의 전쟁 종결 및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선언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쿠릴 열도 분쟁 |
2. 경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얄타 협정에 따라 소련은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파기하고 일본에 선전포고했다. 이후 소련은 만주국, 한반도 북부, 사할린섬 남부, 쿠릴 열도를 점령했고, 1945년 9월 2일 일본은 항복문서에 서명했다.
패전한 일본은 미국에 의해 단독 점령되었는데,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일원임을 내세워 일본 통치에 관여하려 했다. 소련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자문기구인 대일이사회에 참석했지만, 더글러스 맥아더는 이를 거의 무시했고 미국 정부 역시 일본 통치 권한을 소련과 나누려 하지 않았다. 이로써 일본과 소련의 외교 경로는 사실상 끊겼다. 1948년 일소 간 민간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사할린, 쿠릴 열도, 북한, 시베리아 등 소련 영향권 내 일본인들이 송환되었지만, 지속적인 외교 관계 구축에는 실패했다.
일본 내 정치적 혼란이 진정되고 일본과 연합국 간 평화조약 체결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일본 내에서는 서방과의 단독 강화와 동구권을 포함한 전면 강화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일본사회당은 전면강화를 지지했지만, 요시다 시게루 총리는 단독강화를 주장했다. 이 무렵,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조약에 일본 군국주의 부활 반대가 명기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 내 반소 감정이 심화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은 일본이 미군의 후방지원기지 역할을 하고 소련이 간접 참전하는 대리전 양상을 띠면서 대소 감정을 더욱 악화시켰다. 소련이 시베리아에 억류되었던 일본군 일부를 전쟁범죄자로 재판하여 소련에서 복역시킨 사건, GHQ 주도 하에 일본공산당을 탄압한 레드 퍼지 등도 일소 관계 정상화를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1951년 9월 8일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체결하여 단독 강화의 길을 택했다. 강화 회의에 소련은 전권대표를 참석시켰지만, 중국 대표가 초청받지 못한 것에 반발하여 조약 조인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1952년 4월 28일 대일이사회가 소멸하면서 일소 간 접점은 완전히 사라졌다.
하지만 소련도 일본과의 외교 관계 회복을 전후 처리의 정치적·경제적 과제로서 해결하길 원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서거와 한국 전쟁 휴전은 소련이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추진하는 요소가 되었다. 일본에서도 친미 정권인 요시다 내각이 퇴진하고 독자 외교를 모색하던 하토야마 이치로가 총리로 취임하면서 양국 간 외교 교섭 개시를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일본은 유엔 가입을 희망했는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소련이 지속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해왔기 때문에 소련과의 관계 정상화를 바라고 있었다.
2. 1. 교섭 개시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얄타 협정에 따라 소련은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파기하고 일본에 선전포고했다. 이후 소련은 만주국, 한반도 북부, 사할린섬 남부, 쿠릴 열도를 점령했고, 1945년 9월 2일 일본은 항복문서에 서명했다.패전한 일본은 미국에 의해 단독 점령되었는데,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일원임을 내세워 일본 통치에 관여하려 했다. 소련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자문기구인 대일이사회에 참석했지만, 더글러스 맥아더는 이를 거의 무시했고 미국 정부 역시 일본 통치 권한을 소련과 나누려 하지 않았다. 이로써 일본과 소련의 외교 경로는 사실상 끊겼다. 1948년 일소 간 민간무역협정이 체결되어 사할린, 쿠릴 열도, 북한, 시베리아 등 소련 영향권 내 일본인들이 송환되었지만, 지속적인 외교 관계 구축에는 실패했다.
일본 내 정치적 혼란이 진정되고 일본과 연합국 간 평화조약 체결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일본 내에서는 서방과의 단독 강화와 동구권을 포함한 전면 강화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일본사회당은 전면강화를 지지했지만, 요시다 시게루 총리는 단독강화를 주장했다. 이 무렵,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조약에 일본 군국주의 부활 반대가 명기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 내 반소 감정이 심화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은 일본이 미군의 후방지원기지 역할을 하고 소련이 간접 참전하는 대리전 양상을 띠면서 대소 감정을 더욱 악화시켰다. 소련이 시베리아에 억류되었던 일본군 일부를 전쟁범죄자로 재판하여 소련에서 복역시킨 사건, GHQ 주도 하에 일본공산당을 탄압한 레드 퍼지 등도 일소 관계 정상화를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1951년 9월 8일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체결하여 단독 강화의 길을 택했다. 강화 회의에 소련은 전권대표를 참석시켰지만, 중국 대표가 초청받지 못한 것에 반발하여 조약 조인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1952년 4월 28일 대일이사회가 소멸하면서 일소 간 접점은 완전히 사라졌다.
하지만 소련도 일본과의 외교 관계 회복을 전후 처리의 정치적·경제적 과제로서 해결하길 원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서거와 한국 전쟁 휴전은 소련이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추진하는 요소가 되었다. 일본에서도 친미 정권인 요시다 내각이 퇴진하고 독자 외교를 모색하던 하토야마 이치로가 총리로 취임하면서 양국 간 외교 교섭 개시를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일본은 유엔 가입을 희망했는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소련이 지속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해왔기 때문에 소련과의 관계 정상화를 바라고 있었다.
2. 2. 교섭 과정
1955년 6월 런던에서 일소 간 국교 정상화 교섭이 개시되었다. 마쓰모토 슌이치 일본 전권대사와 야코프 말리크 소련 대사의 협상은 북방 영토 문제로 난항을 겪었고, 일본에서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라는 거대 보수 정당이 탄생하면서 협상은 일시 중단됐다.[19] 같은 해 12월 소련은 일본을 포함한 18개국의 유엔 가입에 또다시 거부권을 행사했다.[23]하지만 소련과의 국교 회복 및 유엔 가입을 정권 핵심 과제로 삼은 하토야마 이치로의 열의에 따라 고노 이치로 농림상이 직접 모스크바를 방문해 협상을 재개했다. 이후 체결된 일소어업교섭은 양국 국교 정상화의 사전 작업이 되기도 했다.[20][22]
1956년 10월 12일 하토야마는 고노 등과 함께 모스크바를 방문해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 등과 정상 회담을 진행했다. 문제가 된 영토 분쟁은 국교 회복을 먼저 이룬 다음에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을 일본에 양도하는 것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24][20][22]
10월 19일 하토야마와 소련의 정부수반 니콜라이 불가닌 사이에서 국교 정상화를 위한 조약에 서명했고, 비준을 거친 뒤 12월 12일 도쿄에서 비준서가 교환되면서 발효되었다.[24][19]
3. 선언 내용
- 일소 양국은 전쟁 상태를 종결하고 외교 관계를 회복한다.[3]
- 일소 양국은 각각의 자위권을 존중하고 상호 내정 불간섭을 확인한다.[3]
- 소련은 일본의 국제 연합 가맹을 지지한다.[3]
- 소련은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은 일본인을 석방하고 일본에 송환한다.[3]
- 소련은 일본에 대한 일체의 배상 청구권을 포기한다.[3]
- 일소 양국은 1945년 8월 9일 이후의 전쟁 결과로서 생긴 각각의 국가·단체·국민에 대한 모든 청구권을 상호 포기한다.[3]
- 일소 양국은 통상에 관한 교섭을 시작한다.[3]
- 일소 양국은 어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이행한다.[3]
- 일소 양국은 계속해서 평화 조약의 체결 교섭을 진행하여 조약 체결 후 소련은 일본에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 섬을 양도한다.[3]
공동 선언 제9조는 양국 간의 외교 관계 회복 후 평화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의 지속을 규정했으며, "일본의 희망을 충족시키고 일본 국가의 이익을 고려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하보마이 열도와 시코탄 섬을 일본에 양도하는 데 동의하며, 이 섬들의 일본으로의 실제 양도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일본 간의 평화 조약 체결 후에 이루어진다"라고 명시했다.[3][4] 당시, 미국은 일본이 다른 섬들을 포기할 경우 류큐 열도를 유지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는 약속된 조약의 협상을 막았다.[5][6]
이 조항은 양국 간 합의에 기초한 것으로 보였지만, 각국은 다르게 해석했다. 소련은 영토 문제는 종결되었으며, 약속된 두 섬의 양도 외에는 영토 획정에 대해 논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7]
일본 측은 협상 지속에 관한 문구에 '영토 문제 포함'이라는 구절을 포함시키려 했지만, 소련은 이를 거부했다.[8] 소련은 시코탄-하보마이 문제 외에 다른 "영토 문제"를 암시하는 해석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혔다.[9]
일본은 해당 표현을 삭제하는 데 동의했지만, 다른 해석에 도달했다. 일본 대표단은 공동 선언의 조건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졌을 때, 선언을 '하토야마-불가닌 서한'과 '마쓰모토-그로미코 서한'과 함께 해석함으로써, 미래의 평화 협상에서 영토 문제 논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로 결정했다. 선언에 대한 최종 협상 전에 교환된 이 서한들은 평화 조약 체결 없이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영토 문제는 미래 협상으로 미루는 소위 "아데나워 공식"에 따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공식은 통과되지 못했다. 소련과의 예비 합의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협상에서 영토 문제를 제기했고 선언에 자국의 영토 조항을 포함시켰지만, "본국에서 전권 대사들의 체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해석했다. 즉, "공동 선언에서 하보마이와 시코탄이 약속되었고, 쿠나시르와 에토로후 문제는 평화 조약 협상 중에 해결되어야 한다."[8] 1956년 선언에 명시된 "두 섬 양도"와 일본의 지속적인 "네 섬 반환" 요구 간의 불일치는 소비에트 및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의 쿠릴 열도 분쟁 지속의 초석이 되었다.[10]
4. 영향
일소공동선언 체결로 일본의 국제 연합 가입에 대한 장애가 사라졌다. 1956년 12월 18일 국제 연합 총회에서 소련은 다른 동유럽 국가들과 함께 일본의 가입에 찬성하여 만장일치로 가입이 실현되었다.[23][24] 이는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의 총사퇴와 이시바시 내각 (이시바시 탄잔 수상) 출범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평화 조약 체결 교섭은 북방 영토 문제로 난항을 겪었다. 일본은 북방 영토 전면 반환을 요구했지만, 소련은 평화 조약 체결 후 2개 섬(하보마이 군도, 시코탄 섬) 반환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여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1960년 제2차 기시 개조 내각 (기시 노부스케 수상)이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개정을 단행하자 소련은 반발하여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의 반환[25]을 철회했고, 양국 관계는 다시 냉각되었다. 1973년 일본의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이 모스크바를 방문하기까지 양국 정상 회담은 17년 동안 개최되지 않았다.
한편, 소련에게는 1955년 서독과의 국교 수립에 이은 패전국[28]과의 외교 관계 회복이며, 전후 처리는 일단락되었다. 흐루쇼프에게는 서방 국가와의 평화 공존 정책 ("해빙")의 성과 중 하나였으나, 일본이 서방 국가의 일원이 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고, 영토 문제는 일본 국민의 소련에 대한 감정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4. 1. 정치
일소공동선언으로 일본의 유엔 가입이 실현되었다. 1956년 12월 18일 유엔 총회에서 소련은 다른 동유럽 국가들과 함께 일본의 유엔 가입을 만장일치로 찬성했다.[23][24]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 시코탄 섬 2개 섬 반환으로 분쟁을 마무리하려 했으나, 일본은 쿠나시르 섬, 에토로후 섬을 포함한 남은 2개 섬의 반환까지 요구하여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약속된 2개 섬의 양도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1960년,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을 추진하자,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의 양도를 철회했다.[25] 이로 인해 1973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모스크바 방문까지 17년간 양국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았다.
소련 해체 이후, 1993년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이 방일하여 일소공동선언이 러일 관계에도 적용된다는 도쿄 선언이 이루어졌다.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일소공동선언의 유효성을 인정했으며, 2001년 양국이 발표한 이르쿠츠크 성명에서는 일소공동선언의 법적 유효성이 문서로 확인되었다.[26][27]
4. 2. 경제
양국 간의 국교 정상화는 경제 교류 부활로 이어졌다. 일본은 시베리아의 풍부한 산림 자원에 주목하는 한편, 유럽과의 여객·화물 이동을 위한 시베리아 횡단 철도도 적극 활용하게 되었다. 소련은 일본을 동북아시아에서의 경제적 동반자로 간주해 국제박람회 등을 개최하여 투자를 유도하고, 군항으로서 외국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던 블라디보스토크를 대신해 나홋카를 정비해 대일 무역항으로 삼았다.하지만 태평양 북서부 오호츠크해에서 이루어진 북양 어업은 양국 간의 안정적인 조업에 도움을 주었지만, 북방 영토 문제로 인해 근해에서 나포 사건이 다수 발생해 양국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9]
4. 3. 문화
NHK는 국내 학습자들의 요청에 따라 NHK 라디오 제2방송에서 러시아어 강좌를 시작했다.[29] 1957년 2월 28일, 쇼와 기지를 설치한 제1차 남극 관측 중 돌아오는 길에 옹굴 섬 근해의 빙원에 갇힌 관측선 소야를 소련 쇄빙선 오비호가 구조했다.[29] 3월 1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양측 승무원 교환회가 열렸고, 이는 일본 내 소련에 대한 감정 완화에 기여했다.5. 논란 및 과제
일소공동선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란과 과제가 존재한다.
쿠릴 열도 분쟁(북방 영토 문제)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소련은 얄타 회담에 근거하여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쿠릴 열도 전체를 점령했다.[18] 일본은 일소 중립 조약이 유효한 기간에 침공이 이루어졌고, 쿠나시르, 에토로후, 하보마이, 시코탄 4개 섬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북방 영토 문제)[18]
1956년 공동 선언 당시 일본은 4개 섬 반환을 요구했지만, 소련은 하보마이, 시코탄 2개 섬 반환만을 주장하며, "영토 문제"를 암시하는 해석을 피하려 했다.[8][9] 일본은 소련과 예비 합의를 했지만, 협상에서 영토 문제를 제기했고, "본국 전권 대사들의 체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선언에 영토 조항을 포함시켰다.[8] 이러한 "두 섬 양도"와 "네 섬 반환" 요구 간 불일치는 쿠릴 열도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10]
평화 조약 체결 문제일소공동선언 제9조는 외교 관계 회복 후 평화 조약 체결 협상 지속과 하보마이 열도, 시코탄 섬의 양도를 규정했지만, 실제 양도는 평화 조약 체결 후에 이루어진다고 명시했다.[3][4] 그러나 미국은 일본이 다른 섬을 포기하면 류큐 열도를 유지하겠다고 위협하여 조약 협상을 막았다.[5][6]
소련은 영토 문제는 종결되었고, 두 섬 양도 외에는 논의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7] 일본은 "영토 문제 포함" 문구를 협상에 넣으려 했지만, 소련은 이를 거부했다.[8][9]
1960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이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개정을 단행하자,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 반환을 철회했고,[25] 양국 관계는 냉각되었다. 1973년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이 모스크바를 방문하기 전까지 17년간 정상 회담이 열리지 않았다.
1993년 보리스 옐친 대통령 방일 시 "일소 간 모든 국제 약속이 일러 간에도 계속 적용된다"는 도쿄 선언을 확인했고,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방일 시 "56년 선언(일소 공동 선언)은 유효하다"고 발언했다. 2001년 양국은 "이르쿠츠크 성명"으로 일소 공동 선언의 법적 유효성을 확인했다.[26][27]
2004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956년 선언을 인정하고 일본과 영토 회담을 가질 준비가 되었다고 밝혔다.[11] 그러나 분쟁은 지속되고 있으며,[12][13][14][15] 평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고, 해당 섬들은 러시아의 행정 하에 있다.
5. 1. 쿠릴 열도 분쟁 (북방 영토 문제)
쿠나시르, 에토로후, 하보마이, 시코탄 4개 섬의 반환을 요구하는 일본과 달리, 러시아는 2개 섬(하보마이, 시코탄) 반환만을 주장하고 있다. 1956년 공동 선언 당시, 일본 측은 협상 지속 관련 문구에 "영토 문제 포함"이라는 구절을 넣으려 했으나, 소련은 이를 거부했다.[8] 소련은 시코탄-하보마이 문제 외 다른 "영토 문제"를 암시하는 해석을 피하려 했다고 명시적으로 밝혔다.[9]일본은 해당 표현 삭제에 동의했지만, 다른 해석을 했다. 공동 선언 조건 최종 합의 시, 일본 대표단은 선언을 "하토야마-불가닌 서한"과 "마쓰모토-그로미코 서한"과 함께 해석하여, 미래 평화 협상에서 영토 문제 논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로 했다. 이 서한들은 평화 조약 체결 없이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영토 문제는 미래 협상으로 미루는, 소위 "아데나워 공식"에 따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공식은 통과되지 못했다. 소련과의 예비 합의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협상에서 영토 문제를 제기했고 선언에 자국 영토 조항을 포함시켰지만, "본국 전권 대사들의 체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해석했다. 즉, "공동 선언에서 하보마이와 시코탄이 약속되었고, 쿠나시르와 에토로후 문제는 평화 조약 협상 중에 해결되어야 한다."[8] 1956년 선언의 "두 섬 양도"와 일본의 지속적인 "네 섬 반환" 요구 간 불일치는 소비에트 및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 쿠릴 열도 분쟁 지속의 초석이 되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8월 8일, 소련은 얄타 회담에 근거하여 대일본 제국에 일소 중립 조약 파기를 통보하고 국교를 단절하며 선전 포고를 했다. 일본은 포츠담 선언 수락을 결단했지만, 소비에트 연방군은 이후에도 침공을 계속하여 만주국(중국 동북부) · 한반도 북부 (북한) · 남사할린 (사할린 남부) 및 제정 러시아와 국교 수립 이후 일본 고유 영토로 인정되었던 북방 영토를 포함한 쿠릴 열도 전체를 점령했다. 특히 쿠나시르섬 · 시코탄섬 · 하보마이 군도 점거는 일본 항복 문서 서명 (9월 2일) 전후에 이루어졌다.[18]
일본은 이 침공이 일소 중립 조약 잔존 기간 중에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며, 특히 북방 4개 섬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입장을 오늘날까지 유지하고 있다 (북방 영토 문제).
5. 2. 평화 조약 체결 문제
일소공동선언 제9조는 양국 간의 외교 관계 회복 후 평화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의 지속을 규정했으며, 더 나아가 "일본의 희망을 충족시키고 일본 국가의 이익을 고려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하보마이 열도와 시코탄 섬을 일본에 양도하는 데 동의하며, 이 섬들의 일본으로의 실제 양도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일본 간의 평화 조약 체결 후에 이루어진다."라고 규정했다.[3][4] 그러나 당시 미국은 일본이 다른 섬들을 포기할 경우 류큐 열도를 유지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는 약속된 조약의 협상을 막았다.[5][6]이 조항은 양국 간의 합의에 기초한 것으로 보였지만, 각국은 이를 다르게 해석했다. 소련은 영토 문제는 종결되었으며, 약속된 두 섬의 양도 외에는 영토 획정에 대해 논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7] 일본 측은 협상의 지속에 관한 문구에 "영토 문제 포함"이라는 구절을 포함시키려 했지만, 소련은 이를 거부했다.[8] 소련은 시코탄-하보마이 문제 외에 다른 "영토 문제"를 암시하는 해석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혔다.[9]
일본은 해당 표현을 삭제하는 데 동의했지만, 다른 해석을 했다. 일본 대표단은 선언을 "하토야마-불가닌 서한"과 "마쓰모토-그로미코 서한"과 함께 해석함으로써, 미래의 평화 협상에서 영토 문제 논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로 결정했다. 선언에 대한 최종 협상 전에 교환된 이 서한들은 평화 조약 체결 없이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영토 문제는 미래 협상으로 미루는 소위 "아데나워 공식"에 따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공식은 통과되지 못했다. 일본은 협상에서 영토 문제를 제기했고 선언에 자국의 영토 조항을 포함시켰지만, "본국에서 전권 대사들의 체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해석했다. 즉, "공동 선언에서 하보마이와 시코탄이 약속되었고, 쿠나시르와 에토로후 문제는 평화 조약 협상 중에 해결되어야 한다."[8] 1956년 선언에 명시된 "두 섬 양도"와 일본의 지속적인 "네 섬 반환" 요구 간의 불일치는 소비에트 및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의 쿠릴 열도 분쟁 지속의 초석이 되었다.[10]
2004년 11월 14일,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NTV와의 인터뷰에서 소련의 후계 국가인 러시아 연방이 1956년 선언을 인정하며, 이를 토대로 일본과 영토 회담을 가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고, 다음 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 발언을 지지했다.[11] 그러나 분쟁은 지속되고 있으며,[12][13][14][15] 아직 평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고, 해당 섬들은 여전히 러시아의 행정 하에 있다.
1960년 제2차 기시 개조 내각 (기시 노부스케 수상)이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개정을 단행한 것에 대해 소련이 반발하여,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의 반환[25]을 철회함에 따라 양국의 정치적 관계는 다시 냉각되었다. 1973년 일본의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이 모스크바를 방문하기까지 양국 정상 회담은 17년 동안 개최되지 않았다.
1993년 보리스 옐친대통령 방일 시에 "일소 간의 모든 국제 약속이 일러 간에도 계속 적용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도쿄 선언),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방일 시에 "56년 선언(일소 공동 선언)은 유효하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2001년 양국이 발표한 "이르쿠츠크 성명"에서는 일소 공동 선언의 법적 유효성이 문서로 확인되고 있다.[26][27]
6. 평가
일소공동선언은 냉전 시기 적대 관계였던 일본과 소련 간의 관계 정상화를 이룬 역사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선언으로 일본은 국제 연합 가입에 성공하여 국제 사회에 복귀하였고, 서독과의 수교에 이어 일본과도 외교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소련의 전후 처리가 일단락되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흐루쇼프가 추진한 평화공존론의 성과이기도 하다.[28]
하지만, 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소련은 2개 섬(하보마이 군도, 시코탄섬)의 반환으로 분쟁을 마무리하려 했지만, 일본은 나머지 2개 섬의 반환까지 요구하면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약속된 2개 섬의 양도도 이루어지지 않았다.[25] 1960년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을 추진하자,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의 양도를 철회해버렸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정부가 들어선 뒤, 1993년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방일하여 일소공동선언이 러일 관계에도 적용된다는 도쿄 선언을 발표했고,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일소공동선언의 유효성을 인정했다.[26][27] 2001년 이르쿠츠크 성명에서는 양국이 일소공동선언의 법적 유효성을 문서로 확인했다. 2004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956년 선언을 인정하고 이를 토대로 일본과 영토 회담을 가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11] 그러나 분쟁은 지속되고 있으며,[12][13][14][15] 평화 조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고, 해당 섬들은 여전히 러시아의 행정 하에 있다.
이처럼 일소공동선언은 양국 관계의 진전을 가져왔지만, 영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양국 관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Compendium of Documents
http://www.mofa.go.j[...]
[3]
뉴스
Texts of Soviet–Japanese Statements; Peace Declaration Trade Protocol.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56-10-20
[4]
간행물
Joint Declaration of the Union of the Soviet Socialist Republics and Japan. Signed at Moscow, on 19 October 1956
https://treaties.un.[...]
1957
[5]
논문
50 Years from San Francisco: Re-Examining the Peace Treaty and Japan's Territorial Problems
https://www.jstor.or[...]
2001
[6]
뉴스
Northern Territories dispute highlights flawed diplomacy.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05-03-24
[7]
서적
Japan, Russia and their Territorial Dispute: The Northern Delus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Japanese-Soviet/Russian Relations since 1945: A Difficult Peace
https://www.questia.[...]
[9]
간행물
Memorandum of conversation between Nikita Khrushchev and Ichirō Kōno. 19 October 1956
1996
[10]
서적
Japan, Russia and their Territorial Dispute: The Northern Delus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웹사이트
Россия и проблема курильских островов
http://www.pravoslav[...]
pravoslavie.ru
[12]
웹사이트
President Vladimir Putin held a meeting with the Cabinet members
http://en.kremlin.ru[...]
2019-10-30
[13]
웹사이트
Сте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тчет о совещании с членами Правительства
http://kremlin.ru/ev[...]
2019-10-30
[14]
웹사이트
Япония требует отдать ей все острова Южных Курил
https://rg.ru/2004/1[...]
2019-10-30
[15]
웹사이트
Пресс-конференция для российских и иностранных журналистов
http://kremlin.ru/ev[...]
2019-10-30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北方領土 屈辱の交渉史(3)】密約にスターリンは狂喜した 米ソのパワーゲームに翻弄された千島列島
https://www.sankei.c[...]
2022-05-15
[19]
서적
三宅久之の書けなかった特ダネ
青春出版社
[20]
웹사이트
【北方領土 屈辱の交渉史(4)】「歯舞、色丹の2島返す」揺さぶるソ連 窮地の重光葵を待っていたのは… 米国の恫喝「4島返還でないと沖縄返さない」
https://www.sankei.c[...]
2022-05-15
[21]
웹사이트
日ソ国交正常化問題に関するドムニツキー書簡
https://worldjpn.net[...]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22-05-15
[22]
웹사이트
河野家三代 領土への挑戦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19-03-06
[23]
웹사이트
国際連合への加盟
https://www.mofa.go.[...]
外務省
2020-07-01
[24]
웹사이트
【北方領土 屈辱の交渉史(5)】「抑留者の命には限りがある」 領土問題棚上げでも日ソ国交回復急いだ鳩山一郎
https://www.sankei.c[...]
2022-05-15
[25]
문서
[26]
웹사이트
【北方領土 屈辱の交渉史(6)=完】父・晋太郎に見た命懸けの対ソ外交 安倍晋三首相は新たな日露時代を切り開けるか
https://www.sankei.c[...]
2022-05-15
[27]
웹사이트
外務省:日ソ・日露間の平和条約締結交渉
https://www.mofa.go.[...]
2010-11-03
[28]
문서
[29]
문서
[30]
서적
今だから話そう
春陽堂書店
1958-02-01
[31]
서적
英才の家系 鳩山一郎と鳩山家の人々
講談社
[32]
서적
鳩山一郎・薫日記 下巻 鳩山薫篇
中央公論新社
20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