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래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래전은 국가 간의 갈등으로, 국가와 그 대표자만이 무기를 소지하고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톤의 국가 옹호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권력 통합에서 비롯되어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현대 국가의 탄생을 알렸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으로 정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핵무기 확산으로 국가 간 전면전의 위험성이 커졌다. 현대에는 재래식 수단을 사용한 전쟁이 주를 이루며, 핵무기는 전쟁 억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전쟁 - 소모전
    소모전은 상대의 군사력과 전쟁 수행 능력을 파괴하는 전략으로, 기습전이나 병력 집중을 통한 전투는 포함되지 않으며 자원이 풍부한 쪽이 유리하다.
  • 유형별 전쟁 - 대공전
  • 군사 교리 - 종심방어
    종심 방어는 적의 공격을 여러 겹의 방어선으로 지연시켜 아군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반격 기회를 확보하는 군사 전략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전투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전과 사이버전, 그리고 군사 외 다양한 분야에서 다중 방어 개념으로 응용되고 있지만, 영토 포기 문제와 부대 사기 저하 가능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군사 교리 - 충격과 공포
    충격과 공포는 할란 K. 울만과 제임스 P. 웨이드가 정의한 급속 지배 전략의 핵심 효과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적의 주요 기지를 신속하고 동시적으로 타격하여 전쟁 수행 의지를 마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사용되어 논란을 야기했다.
  • 군사학 - 전자전
    전자전은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군사 작전이며, 전자 공격, 전자 보호, 전자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통신 방해, 레이더 교란, 스텔스 기술 등을 포함한다.
  • 군사학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재래전
개요
제1차 세계 대전 중 서부 전선의 참호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서부 전선의 참호전
유형전쟁
특징공개적인 군사력 사용, 선전포고, 지정된 전장, 비무장 민간인 및 비전투원에 대한 제한된 공격, 핵무기, 생물학 무기, 화학 무기 금지
상세 정보
방법대규모 무기 사용
조직화된 군대 간의 전투
전선 형성
목표적 군대의 약화 및 영토 점령
윤리적 고려 사항전쟁법 및 국제인도법 준수
대조비정규전
관련 개념전면전, 제한전, 냉전
역사적 맥락
기원국가의 등장과 함께 발전
주요 예시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현대적 관점
중요성여전히 국가 간 분쟁의 주요 형태
도전 과제비정규전과의 구별
기술 발전으로 인한 변화
사이버전의 등장
미래기술 발전과 국제 관계 변화에 따라 진화

2. 역사

플라톤이 처음 국가를 옹호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 아래에서 권력이 통합되면서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이후 유럽의 군주들은 세속 권력이 가톨릭 교회에서 박탈되고 왕권신수설로 대체되면서 권력을 얻었다. 1648년, 유럽의 열강들은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여 종교적 폭력을 종식시키고 순전히 정치적인 통치와 관점을 위한 현대 국가의 탄생을 알렸다.[3][4]

프로이센의 장교였던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저서 ''전쟁론''을 통해 국가 중심의 전쟁관을 제시했다.[6] 습격이나 피의 복수와 같은 행위는 범죄 행위로 간주되어 정당성을 박탈당했다.[7] 클라우제비츠는 ''카수스 벨리''의 문제도 제기했는데, 전쟁이 사회적, 종교적, 또는 문화적 이유로도 벌어졌지만,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이라고 보았다. 이는 정상적인 담론이 단절된 후 국가가 자국의 이익(경제적, 안보 관련 등)을 위해 싸우는 합리적인 계산이다.[9]

제2차 세계 대전은 국가와 클라우제비츠적 원칙이 절정에 달한 시기였지만, 핵무기의 등장으로 국가 간 전면전의 위험성이 커졌다. 냉전 동안 초강대국들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고, 이는 양측 모두 그러한 충돌이 핵무기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대신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경쟁했다.[13][14]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짧은 충돌을 제외하면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 간의 직접적인 정규전은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945년 이후 이란-이라크 전쟁과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과 같이 핵무기가 없는 국가들 간의 정규전, 또는 걸프 전쟁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이 핵 보유국과 핵 비보유국 간의 정규전은 발생했다.[15][16][17]

2. 1. 국가 형성

국가는 처음 플라톤에 의해 옹호되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 아래에서 권력이 통합되면서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이후 유럽의 군주들은 세속 권력을 가톨릭 교회가 박탈당하고 왕권신수설로 대체되면서 권력을 얻었다. 1648년, 유럽의 열강들은 순전히 정치적인 통치와 관점을 위한 종교적 폭력을 종식시키는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며 현대 국가의 탄생을 알렸다.[3][4]

2. 2. 클라우제비츠의 전쟁관

프로이센의 장교였던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저서 ''전쟁론''을 통해 국가 중심의 전쟁관을 제시했다.[6] 그는 국가 이전의 전쟁은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반란과 같은 다른 모든 형태의 국가 내 분쟁은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말년에 이르러 "무장한 국민"이라는 개념에서 드러나듯이, 비국가 행위자의 중요성을 점차 인식하게 되었다.[6]

습격이나 피의 복수와 같은 행위는 범죄 행위로 간주되어 정당성을 박탈당했다.[7]

클라우제비츠는 ''카수스 벨리''의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전쟁이 사회적, 종교적, 또는 문화적 이유로도 벌어졌지만,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이라고 보았다. 이는 정상적인 담론이 단절된 후 국가가 자국의 이익(경제적, 안보 관련 등)을 위해 싸우는 합리적인 계산이다.[9]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은 국가와 클라우제비츠적 원칙이 절정에 달한 시기였지만, 동시에 핵무기의 등장으로 인해 국가 간 전면전의 위험성이 커진 시기이기도 하다. 냉전 기간 동안 초강대국들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는데, 이는 양측 모두 그러한 충돌이 핵무기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대신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경쟁했다.[13][14]

따라서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 간의 직접적인 정규전은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았으며,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짧은 충돌만 있었을 뿐이다. 그러나 1945년 이후 이란-이라크 전쟁과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과 같이 핵무기가 없는 국가들 간의 정규전, 또는 걸프 전쟁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이 핵 보유국과 핵 비보유국 간의 정규전은 발생했다.[15][16][17]

3. 현대 전쟁의 양상

현대 전쟁은 대부분 재래식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생물학전은 1945년 이후 국가 주도로 사용된 적이 없으며, 화학전시리아 내전 등 몇 차례 사용되었다.[10][11][12] 핵전쟁은 1945년 8월 미국일본 제국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 투하를 한 것이 유일한 사례이다.[10][11][12]

핵 확산은 20세기 세계 대전 동안 절정에 달했던 국가와 클라우제비츠적 원칙이 쇠퇴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냉전 기간 동안 초강대국들은 군대 간의 공개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는데, 이는 그러한 충돌이 핵무기 사용으로 쉽게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양측 모두 인식했기 때문이다. 대신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싸웠다. 따라서 아직까지 두 핵 강국이 직접적으로 정규전을 벌인 적은 없으며,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두 차례의 짧은 충돌이 있었을 뿐이다.[13][14]

3. 1. 재래식 전쟁

현대 전쟁은 대부분 재래식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생물학전은 1945년 이후 국가 주도로 사용된 적이 없으며, 화학전시리아 내전 등 몇 차례 사용되었다.[10][11][12] 핵전쟁은 1945년 8월 미국일본 제국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 투하를 한 것이 유일한 사례이다.[10][11][12]

3. 2. 핵무기와 전쟁 억제

핵 확산은 20세기 세계 대전 동안 절정에 달했던 국가와 클라우제비츠적 원칙이 쇠퇴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냉전 기간 동안 초강대국들은 군대 간의 공개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는데, 이는 그러한 충돌이 핵무기 사용으로 쉽게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양측 모두 인식했기 때문이다. 대신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싸웠다. 따라서 아직까지 두 핵 강국이 직접적으로 정규전을 벌인 적은 없으며,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두 차례의 짧은 충돌이 있었을 뿐이다.[13][14]

4. 한국의 특수한 상황

(내용 없음)

4. 1. 한국전쟁과 분단

Cold War영어 기간 동안 초강대국들은 각 군대 간의 공개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는데, 양측 모두 그러한 충돌이 매우 쉽게 확대되어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대신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싸웠다. 따라서 아직까지 두 핵 강국이 직접적으로 재래전을 벌인 적은 없으며,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두 차례의 짧은 충돌이 있었을 뿐이다.[13][14]

그러나 1945년 이후 이란-이라크 전쟁과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과 같이 핵무기가 없는 국가들 간의 재래전, 또는 걸프 전쟁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이 핵 보유국과 핵 비보유국 간의 재래전이 벌어졌다.[15][16][17]

4. 2. 북한 핵 문제와 안보 위협

핵 확산은 20세기 세계 대전 동안 절정에 달했던 국가와 클라우제비츠적 원칙의 쇠퇴 토대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냉전 기간 동안 초강대국들은 군대 간의 공개적인 충돌을 피하려 했는데, 이는 그러한 충돌이 핵무기 사용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초강대국들은 대리전, 군비 증강, 외교적 교착 상태를 통해 서로 경쟁했다. 두 핵 강국이 직접적으로 정규전을 벌인 적은 없으며, 1969년 중국-소련 국경 분쟁과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인도파키스탄 간의 짧은 충돌이 있었을 뿐이다.[13][14]

1945년 이후 이란-이라크 전쟁과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과 같이 핵무기가 없는 국가들 간의 정규전, 또는 걸프 전쟁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이 핵 보유국과 핵 비보유국 간의 정규전이 벌어졌다.[15][16][17]

참조

[1] 웹사이트 How ar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warfare different? https://science.hows[...] 2024-01-17
[2] 웹사이트 IRREGULAR VERSUS CONVENTIONAL WARFARE: A DICHOTOMOUS MISCONCEPTION https://mwi.westpoin[...] 2021-04-05
[3] 웹사이트 Qual era a melhor forma de governo para Platão, que fazia duras críticas à democracia https://www.bbc.com/[...] 2021-02-10
[4] 논문 The Divine Right of Kings Reconsidered https://academic.oup[...] 1992-01-01
[5] 논문 War and the Nation-State https://www.jstor.or[...]
[6] 논문 Guerrillas in the mist: reassessing strategy and low intensity warfare
[7] 논문 Shifting the Clausewitzian Paradigm from Battlefield to Political Arena https://cesran.org/s[...]
[8] 논문 Clausewitz and Sun Tzu - Paradigms of Warfar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thepenin[...] 2023-04-27
[9] 논문 The New War Thesis and Clausewitz: A Reconciliation https://onlinelibrar[...] 2019-08-05
[10] 논문 The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11] 논문 The 10th Anniversary of Two Ghoutas Attack: The Largest Chemical Weapons Attack by the Syrian Regime on Syrian Citizens https://reliefweb.in[...] 2023-08-20
[12] 웹사이트 Hiroshima and Nagasaki bombings https://www.icanw.or[...] 2024-01-17
[13] 웹사이트 The 1969 Sino-Soviet Border Conflicts As A Key Turning Point Of The Cold War https://www.hoover.o[...] 2022-12-13
[14] 논문 The Kargil War: a war that defied all odds https://www.gallantr[...]
[15] 웹사이트 Are Ethiopia and Eritrea on the Path to War? https://foreignpolic[...] 2023-11-07
[16] 논문 Foreign Overt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Nuclear Age https://www.jstor.or[...]
[17] 웹사이트 Consequences of Conflict: The Russia-Ukraine War and the Gulf https://gulfif.org/c[...] 2022-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