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단체로, 1990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로 시작하여 201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위안부 문제의 국제적 공론화, 일본 정부의 사죄 및 배상을 요구하는 활동을 펼쳐왔으며, 수요시위를 주도하고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추진했다. 그러나 기부금 사용 의혹, 회계 부정, 위안부 피해자 이용 및 배제 논란, 북한과의 연계 의혹 등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윤미향 전 대표의 기부금 횡령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었으며, 단체의 활동 방식과 목적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단법인 (여성가족부 소관) - 정의기억재단
정의기억재단에 대한 정보가 없어 개요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재단법인 (여성가족부 소관)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은 가족정책, 다문화가족사업, 가족친화지원센터 운영 등을 통해 건강한 가정과 가족 친화적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기관으로, 양육비이행관리원도 운영하고 있으며, 2011년 설립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일본군 위안부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일본군 위안부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민단체로, 피해자 지원, 수요시위, 국제 연대 활동 등을 전개하며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고 전쟁과 여성인권센터 및 박물관 건립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정의기억연대로 통합되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정의기억연대 | |
---|---|
기본 정보 | |
약칭 | 정의연 (정의련) |
영어 명칭 |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
이전 명칭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挺対協, Chong Dae Hyup,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 |
설립 | 1990년 |
본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11길 20 |
주요 인물 | 윤미향 (전 이사장) |
관련 조직 |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
웹사이트 | 정의기억연대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정의기억연대는 1990년대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해 온 단체이다. 1990년 윤정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가 주도하여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16개 단체가 참여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결성되었고, 초대 대표는 윤정옥이 맡았다.[32]
1992년부터 매주 수요일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서 수요시위를 개최하여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2011년 12월 14일에는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하기도 했다.[58]
2016년 김복동의 제안에 따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이 설립되었고,[36][35] 2018년 7월 16일, 이 재단과 정대협은 조직을 통합하여 현재의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되었다.[37]
2. 1. 창립 배경 및 초기 활동 (1990년대)
1990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윤정옥이 주도하여,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16개 단체가 참여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결성되었다. 초대 대표는 윤정옥이 맡았다.[32] 정대협은 구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비난하며, 일본 정부에 "위안부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배상금"을 요구했다.[32] 또한, 세계 각국에 "일본군 위안부는 강제 동원되었다"는 주장을 펼치며 일본을 비난하는 활동을 전개했다.[33]특히, 매주 수요일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수요 시위는 한일 양국 정부 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정대협은 일본기독교단 등 일본 좌파 단체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위안부 문제의 국제적 공론화에 힘썼다.[32]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비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을 서울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정의연의 사무실도 이 곳에 위치해 있다.[34]
1997년 일본 정부가 아시아 여성 기금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게 기부금을 지급하려 하자, 정대협은 이를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지급이 아니라며 거부했다. 기부금을 받은 위안부 피해자들은 한국 정부, 지원 단체, 한일 시민 단체 등 기금 반대파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했다.[66][67][12]
2. 2. 수요시위와 국제 연대 (1992년 ~ 2010년대)
1992년부터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매주 수요일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서 수요시위를 개최하여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또한, 유엔 인권위원회 등 국제기구를 통해 위안부 문제를 제기하고 국제적 연대를 강화했다.[53]아시아 여성 기금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라며 비판했다. 아시아 여성 기금이 전 위안부 개인에게 '보상금' 지급을 추진했을 때, 정의연은 "스스로 매춘부 행위를 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반대했다.[53] 1997년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출신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한국 내 지원 단체와 언론은 맹렬히 비판했고,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들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
2011년 12월 14일, 정의연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 공도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했다.[58] 주한 일본 대사는 한국 정부에 항의했지만, 한국 측은 일본 정부가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묵인했다.[59]
2015년 한일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에 합의한 것에 대해, 정의연은 반발하며 위안부상을 국내외에 더 설치해 나갈 뜻을 밝혔다.[60]
2. 3. 정의기억재단과의 통합과 명칭 변경 (2018년)
2016년 6월 9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015년 12월의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와 이에 따른 "화해·치유 재단"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김복동의 제안에 따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을 설립했다.[36][35]2018년 7월 16일, 정의기억재단과 정대협은 조직을 통합하여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로 명칭을 변경했다.[37]
3. 주요 활동
정의기억연대는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이 국가 배상이 아니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모호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1997년 한국인 위안부 출신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맹렬히 비판하며 해당 인물들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 한국 정부에 일본의 NGO 인물 1명의 입국 거부를 요청하기도 했다.[55][56]
2011년 정대협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수요 시위 활동 기록 '20년간의 수요일'을 출판, 일본도서관협회 선정 도서가 되었다.[57] 같은 해 12월 14일 서울특별시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했다.[58][59]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에 반발, 평화의 소녀상을 국내외에 더 설치할 것을 밝혔다.[60]
나비기금을 통해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베트남, 팔레스타인 등 전쟁 성폭력 피해 여성과 아동을 지원하고 있다.[78] 베트남 전쟁에서 한국군에 의한 피해자와 그 후손들의 자립을 지원하며, 한국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79]
3. 1. 피해자 지원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 건강 치료, 심리 상담 등을 지원한다고 밝히고 있다.[83] 그러나 정의연의 전신인 정대협 시절부터 기부금 및 보조금 착취, 좌파 단체 자금 유용, 친북 협력, 위안부 차별, 좌파 정치 운동 이용 등 수많은 부정 행위가 고발되어 왔다.[32][84][85][86][87][88][89][90][91][92] 2020년 5월,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로 인해 기부금 대부분을 위안부 당사자가 아닌 다른 곳에 사용하며,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 돈을 버는 '위안부 비즈니스' 단체로 한국 내에서 인식되기 시작했다.[32][84]정의연은 활동 자금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일반 기부금 22억 원 중 피해자 지원 사업에 9억 원을 집행했다고 설명했다.[83] 그러나 실제로는 2016년에는 30명에게 1인당 약 7,800원, 2018년에는 27명에게 1인당 약 7만 5,000원, 2019년에는 23명에게 1인당 약 9만 2,000원밖에 지급하지 않았다. 이는 각 연도에 모인 기부금 수입의 0.2%, 1.9%, 3%에 불과하다.[32][84]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 따라 현금 수령을 거부한 위안부(주로 정대협, 나눔의 집에 소속된 위안부)에게 정대협은 국민 모금으로 1억 원을 지급했지만, 전액이 즉시 인출되었고 이 중 절반이 정대협에 기부되었다. 당시 위안부는 치매를 앓고 있어 횡령 혐의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95]
3. 2. 진상 규명 및 연구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에 대해서는 그것이 국가 배상이 아니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모호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아시아 여성 기금이 전 위안부 개인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도록 활동했을 때, 위와 같은 이유로 반대하며, 받으면 "스스로 매춘부 행위를 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된다고 비난했다.[53] 1997년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출신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한국 내 지원 단체와 언론이 맹반발했다. 7명은 거센 비판에 직면했고,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7명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2011년 12월 14일 서울특별시에 있는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 공도에 허가 없이 소녀 위안부를 본뜬 청동상(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일본의 주한 대사는 한국 정부에 항의했지만, 한국 측은 일본 정부가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묵인했다.[58][59]
2015년 12월, 한일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에 합의한 것에 반발하여, 위안부상을 국내외에 더욱 설치해 나갈 생각을 밝혔다.[60]
2024년 기준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베트남, 팔레스타인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78] 베트남에서는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 전쟁 피해자와 2세, 3세의 자립 지원을 하며, 한국 정부에 그들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79]
3. 3. 국제 연대 및 홍보
정의기억연대는 수요시위와 국제 캠페인, 해외 연대 활동 등을 통해 위안부 문제의 국제적 공론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1년 9월에는 정대협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수요시위 활동 기록을 담은 '20년간의 수요일'을 출판하여 일본도서관협회의 선정 도서로 채택되기도 했다.[57] 2011년 12월 14일에는 서울특별시에 있는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하였다.[58][59]2012년에는 김복동 할머니와 함께 위안부 소녀상 건립을 위한 나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61] 이 프로젝트를 통해 싱가포르에 소녀상 건립을 추진했으나, 싱가포르 정부는 이를 허가하지 않았다.[65]
아시아 여성 기금에 대해서는 국가 배상이 아니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모호하게 한다는 이유로 비판했다.[53] 1997년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출신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한국 내 지원 단체와 언론은 맹렬히 비판했으며,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들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
2015년 한일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에 합의한 것에 대해 반발하며, 위안부상을 국내외에 더 설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60]
나비기금은 전쟁 성폭력 피해를 입은 해외 여성과 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024년 기준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베트남, 팔레스타인에서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78] 베트남에서는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 전쟁 피해자와 그 후손들의 자립을 지원하며, 한국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79]
4. 조직
- 이사회
- 운영위원회
- 네트워크협의회
- 사무총장
- 운영지원국
- 인권연대처
- 기억교육국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평화의 우리집
5. 논란 및 비판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을 비롯한 직원들의 기부금 횡령 및 개인 용도 사용, 김복남 할머니 장례비 명목 모금액 횡령, 여성가족부 국고보조금 부정 사용 등의 혐의로 법적 처벌을 받았다.[24]
위안부 피해자 심미자 등 33명은 2004년 성명을 통해 "정대협(정의연의 전신)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고 비판하며, 모금 성금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기억의 터 조형물에 이름 새겨지는 것을 원치 않은 위안부 피해자가 직접 망치와 끌로 자신의 이름을 파내려다 지구대에 연행된 사건도 있었다.
현대중공업 기부금으로 구매한 쉼터를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매각하여 다운 계약서 작성 및 차액 횡령 논란이 있었고, 쉼터 관리인으로 윤미향의 아버지를 고용하여 월급을 지급한 점도 논란이 되었다.
정의연 관련자와 지지자들은 횡령 혐의를 부인하며 가짜뉴스라고 주장하지만, 검찰은 공소시효 내 범죄사실만 기소했고, 금융기관은 10년 이상 거래 내역을 보관하므로 이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정의연은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에 대해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모호하게 한다고 비판했다.[53] 1997년 한국인 위안부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한국 내 지원 단체와 언론이 맹반발했고, 정대협은 이들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
2011년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앞에 허가 없이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하여 논란이 되었다.[58][59]
마이니치 신문 기자 출신 사와다 가츠미는 정대협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50]
5. 1. 기부금 사용 의혹 및 회계 부정
2020년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을 통해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처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47][48] 이 할머니는 정의연이 금전적 이익을 챙기거나 자신들의 정치 활동에 위안부들을 이용하고 있다고 폭로했다.법원 재판을 통해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을 비롯한 정의연 직원들이 2011년부터 기부금을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이 유죄로 인정되었다. 윤미향이 위안부 피해자 김복남 할머니의 장례비 명목으로 1.3억원을 모금한 뒤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 '위안부 피해자 치료사업' 등의 명목으로 총 7개의 국가 사업에 참여하여 여성가족부로부터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도 유죄로 인정되었다.
2004년 1월, 일본 최고재판부에서 최초로 위안부 피해자라는 것을 인정받은 심미자 등 33명은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정대협을 비판했다. 이들은 정대협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달려왔다며, “당신들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고 비판했다.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부한 10억원으로 쉼터용 주택을 2013년에 7.5억원에 매입하여 2020년 4월 23일 4.2억원을 받고 매각하여 다운 계약서 작성과 차액 횡령 논란이 있었다.
쉼터 관리인으로 윤미향의 아버지를 정하고 매월 120만원씩 6년 동안 상주하면서 관리하게 한 점에 대해 정의연은 "친인척에게 관리를 맡긴 점에 대해 사려깊지 못했다"며 사과했다.
정의연은 3년간의 일반 기부금 22억원 중 피해자 지원 사업에 9억원을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015년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 따른 화해·치유 재단 기금과 거의 같은 액수를 8명의 거부자에게 지급한 경우를 제외하면, 2016년에는 30명에게 1인당 약 7,800원을, 2018년에는 27명에게 1인당 약 75,000원을, 2019년에는 23명에게 1인당 약 92,000원밖에 지급하지 않았다. 이는 각 연도에 모인 기부금 수입의 0.2%, 1.9%, 3%에 불과하여 위안부들을 포함하여 '위안부 비즈니스'라는 비판을 받았다.[32][84][85][86][87][88][89][90][91][92]
정의연 관련자와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잘못이 가짜뉴스라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공소시효가 도과되지 않은 10년 내의 범죄사실에 대해서만 기소했으며, 대한민국의 은행과 카드회사 등 금융기관은 법률에 따라 최소 10년 이상 이체와 결제내역을 보관한다.
5. 2. 위안부 피해자 이용 및 배제 논란
정의기억연대가 위안부 피해자들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고, 피해자들의 의견을 무시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을 비롯한 정의연 직원들이 기부금을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 윤미향이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남 할머니의 장례비 명목으로 모금한 뒤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 '위안부 피해자 치료사업' 등의 명목으로 여성가족부로부터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이 법원의 재판을 통해 유죄로 인정되었다.[24]
- 일본 최고재판부에서 최초로 위안부 피해자라는 것을 인정받은 심미자 등 33명은 2004년 1월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정대협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달려왔다”고 하면서 “당신들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고 비판했다. 이로 인하여 피해자들에게 모금 성금이 제대로 순환되거나 전달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생기게 된다.
- 2020년 5월 7일, 이용수는 기부금 사용처 등으로 정의연을 공식적으로 비난했다. 정의연은 금전적 이익을 챙기거나 자신들의 정치 활동에 위안부들을 이용하고 있으며, 조직의 말을 듣지 않는 위안부들을 배제하고 있다고 고발했다.[47][48] 또한 기부금이 피해자에게 사용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 2015년 인터뷰에서 이용수는 "일본이 대화하려 하는데. 만나지 않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까"라며 정대협을 비판했고, 정대협이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매주 열고 있는 항의 집회(수요 집회)에 대해 "무엇을 위해 하는지 모르겠다. 단지 '사죄하라', '배상하라'고 외치고 집회 횟수를 채우면 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 외에도 정대협에 대한 비판으로, 전 위안부의 의견 없이 독자적으로 행동하며, 수요 집회의 기부금, 출판물의 인세 이익도 전 위안부에게 거의 환원되지 않고 기부금은 거의 부당하게 횡령되었다고 고발했다.[47][102][124][125]
- 기억의 터 조형물에 자신의 이름이 새겨지는 것을 원하지 않은 위안부 피해 당사자가 직접 망치와 끌을 갖고 가 자신의 이름을 파내다 지구대에 연행됐다.
- 정의기억연대 관련자와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잘못이 가짜뉴스라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너무 오래된 지출이라 증빙하지 못해서 유죄 판결이 나왔다"라는 황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공소시효가 도과되지 않은 10년 내의 범죄사실에 대해서만 기소했으며, 대한민국의 은행과 카드회사 등 금융기관은 법률에 따라 최소 10년 이상 이체와 결제 내역을 보관한다.
5. 3. 북한 및 친북 단체와의 연계 의혹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북한 공작 기관 산하의 조선일본군성적노예 및 강제연행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와 협력 관계에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32][38][51]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은 이 단체를 "북한 공작 기관과 연계하여 북한의 이익을 대변하는 친북 단체"로 감시하고 있다.[52]정의연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초대 공동 대표 두 명이 1992년 9월 평양에서 김일성과 함께 찍은 단체 사진이 발견되면서, 한국의 반일 운동가와 북한의 연계가 드러났다.[101]
정대협 상임 대표였던 윤미향은 북한과의 관계 때문에 한국 공안 당국의 감시 대상이었다.[52] 윤미향의 남편 김삼석과 그의 여동생 김은주는 일본에서 북한 공작원과 접촉한 혐의로 1993년 체포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06][107] 김은주의 남편 최기영도 일심회 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일부 유죄 판결을 받았다.[108]
2016년 1월 18일, 정대협은 NGO 블루유니온에 의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한국 검찰에 고발되었다.[109] 블루유니온은 정대협이 서울특별시로부터 받은 공익사업비 일부를 이적단체 혐의를 받는 '코리아연대' 지원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110]
2020년에는 1987년 8월 원자폭탄 반대 세계대회에서 북한 공작 기관, 시미즈 스미코가 이끄는 사회당 부인회, 한일 좌파 간의 3자 연대 밀약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1991년 5월 도쿄에서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북한 대표 려연구, 정대협 공동대표 윤정옥, 이효재가 참가하여 남북 공조에 합의했다. 1992년 9월 평양에서 열린 제3회 심포지엄에서 정대협 멤버는 김일성 주석과 면담했다.[112][113][114][115][116]
한국 좌파 출신 주동식은 "윤미향과 정대협(정의기억연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원치 않으며, 문제의 심각화, 악화, 만성화를 통해 한일·한미 관계를 파탄내고 대한민국을 '김씨 조선'(북한)과 중국의 손에 넘기려 했다"고 비판했다.[112][113][114][115][116]
5. 4. 일본과의 관계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 대해 강경하게 반대한다. 2015년 12월의 합의와 이에 따른 "화해·치유 재단" 설립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전 위안부 김복동은 시민 재단 구상을 제안하기도 했다.[35]정의연은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강조하며, 아시아 여성 기금 등 일본 측의 사죄 및 배상 노력을 인정하지 않는다. 아시아 여성 기금이 전 위안부 개인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려 했을 때, 정의연은 이를 국가 배상이 아니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모호하게 한다고 비판했다.[53] 또한, 기금 수령은 "스스로 매춘부 행위를 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된다고 주장했다.[53]
1997년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출신 7명이 아시아 여성 기금에서 일시금을 받은 것에 대해, 한국 내 지원 단체와 언론은 맹렬히 비판했다.[54] 이들은 거센 비판에 직면했고, 정대협은 이들을 모금 대상에서 제외했다.[54]
2011년 12월 14일, 정의연(당시 정대협)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주 대한민국 일본국 대사관 앞 공도에 허가 없이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했다.[58]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항의했지만, 한국 측은 일본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묵인했다.[58][59]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정의연은 위안부상을 국내외에 더 설치할 뜻을 밝혔다.[60]
마이니치 신문 기자 출신 저널리스트 사와다 가츠미는 저서에서 "하나의 시민 단체일 뿐인 정대협(정의연)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50] 그는 2012년 일본 정부가 대한민국 정부에 해결책을 제시했지만, 한국 측이 강하게 거부한 사례를 언급하며, 대한민국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 조세영이 거부 이유를 "일본의 국가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안을, 피해자와 관련 단체가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라고 설명한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50]
2012년, 당시 노다 요시히코 정권과 이명박 정권이 협의하던 위안부 문제 해결책에 대해, 천영우 외교안보 수석비서관은 윤미향 당시 정대협 대표에게 설명하고 최소한 반대는 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윤미향 대표는 곤혹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정대협과 위안부 피해자의 이해관계가 다를 수도 있구나. 이 해결책은 위안부 피해자에게 나쁜 것은 아니지만, 정대협으로서는 일이 없어지니 조직을 닫을 준비를 하라는 사형 선고와 같다"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71]
2014년, 정의당이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의 한국 초청을 추진했을 때, 정의연은 무라야마 내각에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을 발족시킨 것을 문제 삼아 반대했다.[72] 정의연은 "당시 피해자들에게 국민 기금을 수령하게 하기 위해 브로커를 고용하고 협박성 전화 등, 다양한 일이 벌어졌고, 지금도 이것은 일본 정부가 해야 할 일을 했다는 착실한 변명의 씨앗이 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72]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생존해 있던 위안부 피해자 47명 중 나눔의 집 거주자 등 12명 중 11명이 합의를 거부했다. 나머지 위안부 피해자 전원은 합의안을 받아들여 일본으로부터 100억엔으로 설립된 "화해·치유 재단"으로부터 1인당 1억원 (약 900만엔)의 지원금 수령을 희망했다. 유족 199명에게는 각 2000만원(약 180만엔)을 지급하는 사업이 시작되었다. 나눔의 집의 한 사람은 거부에 반대하여, 비밀리에 합의금을 받았다.[73][74]
태평양 전쟁 유족회 회장은 "정대협(정의연)은 지금까지 아시아 여성 기금을 무너뜨리고, 화해·치유 재단을 해산으로 몰아가는 등, 항상 위안부 문제 해결의 길을 방해해 왔습니다"라고 비판했다.[70]
정의연은 북한 공작 기관 산하의 조선일본군성적노예 및 강제연행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와 협력 관계에 있으며, 이 단체와 함께 한일 양국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을 여러 번 방해해 왔다.[32][38][51]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은 이 단체를 "북한 공작 기관과 연계하여 북한의 이익을 대변하는 친북 단체"로 감시하고 있다.[52]
2020년 7월 16일, 정의연은 "한일 화해와 평화 플랫폼"을 발족하여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일본 평화 헌법 유지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이 발족식에는 일본 기독교 협의회, 일본 가톨릭 정의와 평화 협의회 등이 참석했다.[118]
5. 5. 기타 비판
정의연은 '위안부'라는 용어 대신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피해자들의 의사와 다른 주장을 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용수는 정의연이 '성노예'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미국을 향한 언론 플레이이며, 전 위안부 본인들은 이를 부정한다고 고발했다.[47]마이니치 신문 기자 출신 서울 지국장 사와다 가츠미는 저서에서 "하나의 시민 단체일 뿐인 정대협(정의연의 전신)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라고 비판했다.[50] 안병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정대협과 3년간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공동 조사를 실시했지만, 위안부 강제 동원 증거는 없었고, 전 위안부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증언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도 없었다고 말했다.[122] 이영훈 서울대학교 교수는 "종군 위안부는 매춘업"이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123]
오누마 야스아키 메이지대 특임 교수는 정대협의 활동에 대해 "위안부 문제를 한국에서 뿌리 깊은 반일 문제의 방향으로 왜곡했다"라고 비판했다.[123] 이용수는 2015년 인터뷰에서 "일본이 대화하려 하는데, 만나지 않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까"라며 정대협을 비판했고, 수요 시위에 대해서도 "무엇을 위해 하는지 모르겠다"라며 의문을 제기했다.[47]
평론가 지만원은 수요 시위에 참여하는 전 정신대 여성들에 대해 "가짜"라는 비판을 했다.[126] 한국 좌파 출신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 추동식은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원하지 않는다. (중략) 그것은 운동이 아니라, 음모를 위한 기획이다"라고 비판했다.[127]
참조
[1]
웹사이트
한국 위안부 지원 단체 “정대협”, “정의기억연대”로 개명해 새로운 출발
https://japanese.joi[...]
2018-07-17
[2]
웹사이트
정대협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로 명칭 변경 한국 의 원위안부 지원 단체
https://www.sankei.c[...]
산케이 디지털
2018-07-16
[3]
웹사이트
접속
http://www.womenandw[...]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18-07-29
[4]
웹사이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기억재단') 윤미향 이사장 취임
http://www.womennews[...]
2018-07-17
[5]
Twitter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
https://twitter.com/[...]
2022-11-04
[6]
웹사이트
윤미향씨는 당선을 사퇴하고, 진실을 밝히다 한국 전 위안부 지원 단체의 부정 의혹:아사히 신문 GLOBE+
https://globe.asahi.[...]
2020-05-26
[7]
웹사이트
전 위안부 지원 단체, 탈북자에게 귀국 권고? 금전 지원도:아사히 신문 디지털
https://www.asahi.co[...]
2020-05-26
[8]
웹사이트
【중앙시평】용권이 된 시민단체=윤미향 사태
https://japanese.joi[...]
2020-05-26
[9]
웹사이트
한국 정부 전 고관 “정의연은 이익 추구 단체…문정권, 정의연을 피해자와 착각”
http://www.chosunonl[...]
2020-05-26
[10]
웹사이트
한국 정부 전 고관이 말한 금기 “전 위안부와 지원 단체는 이해 관계가 다르다”
https://www.fnn.jp/a[...]
2020-05-26
[11]
웹사이트
【기고】정의기억연대의 적폐를 계기로 다시 생각하는 위안부 문제
http://www.chosunonl[...]
2020-05-26
[12]
웹사이트
아시아 여성 기금에 시민 단체 반발:아사히 신문 디지털
https://www.asahi.co[...]
2014-08-06
[13]
웹사이트
'윤미향 정대협' 비판 할머니 8명, 남산 기림비 명단서 빠졌다
https://news.naver.c[...]
2021-01-09
[14]
웹사이트
[단독]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일본 지원금 받으면 배신자 낙인
https://n.news.naver[...]
2021-01-09
[15]
웹사이트
위안부 피해자 “나의 피의 대가인데, 한국 정대협이 왜 일본의 돈을 받지 못하게 하는가”
https://s.japanese.j[...]
2021-01-09
[16]
웹사이트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 “정대협이 더러운 돈을 받지 말라고 했다”
https://s.japanese.j[...]
2021-01-09
[17]
웹사이트
전 위안부에게 고발당한 지원 단체의 “부패의 구도”
https://www.newsweek[...]
2020-05-25
[18]
웹사이트
한국인의 「불편한 진실」을 한국인 스스로 밝힌다。『한국인, 한국을 꾸짖다 일한 역사 문제의 새로운 증언자들』
https://prtimes.jp/m[...]
2020-06-26
[19]
웹사이트
“인권과는 무관”을 드러낸 한국의 위안부 지원 활동【최씨의 눈】:시사닷컴
https://www.jiji.com[...]
2020-06-26
[20]
웹사이트
위안부 지원 단체가 비협조적인 피해자를 차별? 최대 야당 의원이 지적
http://www.wowkorea.[...]
2020-06-05
[21]
웹사이트
한국에서 대소동, 전 위안부 단체를 둘러싼 “의혹의 여러 가지”가 멈추지 않는 이유(현대 비즈니스) - Yahoo! 뉴스
https://archive.is/h[...]
2020-06-26
[22]
웹사이트
한국에서 반일 파문의 「영원한 속죄」 동상, 「윤미향 사태처럼 돈벌이로 설치한 것이 아니다」=식물원장
https://www.wowkorea[...]
2020-07-29
[23]
웹사이트
[만물상] ‘재주는 곰이, 돈은 되놈이’
https://www.chosun.c[...]
2023-01-07
[24]
웹사이트
검찰, ‘정의연 기부금 횡령 의혹’ 윤미향 의원에 징역 5년 구형
https://n.news.naver[...]
2023-01-07
[25]
뉴스
한국 검찰, 윤미향 의원에 징역 5년 구형…“전 위안부를 위한 돈, 용돈처럼 유용”
2023-01-06
[26]
웹사이트
archive.md
https://archive.md/V[...]
2023-01-16
[27]
뉴스
위안부 단체 전 수장에 벌금형 윤미향 피고, 기부금 횡령―한국
https://www.jiji.com[...]
2023-02-10
[28]
뉴스
위안부 단체 전 대표에 유죄 판결 항소심, 확정되면 의원직 상실
https://www.nikkei.c[...]
2023-09-20
[29]
뉴스
전 위안부 단체 대표, 2심은 징역형 확정되면 의원직 상실
https://www.sankei.c[...]
2023-09-20
[30]
뉴스
한국 위안부 지원 단체 전 이사장 집행유예부 유죄 확정=기부금 횡령
https://m-jp.yna.co.[...]
2024-11-14
[31]
뉴스
위안부 단체의 업무상 횡령으로 전 대표의 유죄 확정 한국 대법원 기부금을 사적으로 유용
https://www.sankei.c[...]
2024-11-14
[32]
웹사이트
위안부 피해자 “텔레비전을 보고 ‘휴식의 장’을 알게 되어, 분해서 몸이 떨렸다”(조선일보 일본어판)
https://headlines.ya[...]
2020-05-18
[33]
뉴스
위안부 문제를 호소하는 수요 집회, 광복절을 앞두고 각국에서 개최
http://japanese.yonh[...]
2009-08-06
[34]
웹사이트
한국 위안부 단체의 부정 의혹, 무엇이 문제인가
https://toyokeizai.n[...]
2020-05-30
[35]
웹사이트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해 “정의기억재단” 설립
http://japan.hani.co[...]
2016-01-14
[36]
웹사이트
市民がつくった独自財団創設/「慰安婦」問題の正しい解決に向け 10万人に及ぶ募金で10億ウォン
https://www.chosonsi[...]
2020-05-29
[37]
웹사이트
挺対協が「日本軍性奴隷制問題解決のための正義記憶連帯」に名称変更 韓国の元慰安婦支援団体
https://www.sankei.c[...]
2018-11-21
[38]
뉴스
慰安婦問題 日韓歩み寄りを妨害する韓国の親北勢力と北朝鮮(2/5ページ)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9-03-07
[39]
웹사이트
日本基督教団【4575号】「平和聖日献金」の一本化を協議 在日韓国朝鮮人・日韓連帯特別委員会
http://uccj.org/newa[...]
[40]
웹사이트
慰安婦問題解決を阻んだ朝日と韓国
https://ironna.jp/ar[...]
2020-05-18
[41]
웹사이트
韓国慰安婦支援団体の挺対協 正義連に統合後も補助金受給で物議
http://www.chosunonl[...]
2020-05-18
[42]
웹사이트
【独自】正義記憶連帯、4年間13億ウォンの国庫補助金のうち8億ウォンが消えた(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18
[43]
웹사이트
慰安婦問題の韓国重鎮女性「少女像で騒ぐだけの団体は大嫌い」
https://www.news-pos[...]
2020-05-18
[44]
뉴스
[政治の現場]冷え切る日韓<9>決断せぬ韓国へ「疲れ」
http://premium.yomiu[...]
読売新聞
2013-11-26
[45]
웹사이트
元慰安婦の告発が剥がす慰安婦団体元代表の化けの皮 「利用された」と憤る元慰安婦、「記憶歪曲」と反論する支援団体
https://jbpress.isme[...]
2020-05-18
[46]
웹사이트
李容洙さん「30年間熊が芸を見せ、熊使いがカネを受け取った」-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japanese.joi[...]
2020-05-18
[47]
웹사이트
イ・ヨンス「慰安婦への寄付金はどこに使ったのか」…正義記憶連帯「誤解」
https://news.naver.c[...]
2020-05-07
[48]
웹사이트
李容洙さん「30年間熊が芸を見せ、熊使いがカネを受け取った」-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w[...]
2020-06-06
[49]
웹사이트
検察の家宅捜索受けた慰安婦支援施設の所長 自宅で死亡
http://world.kbs.co.[...]
2020-07-05
[50]
서적
韓国「反日」の真相
文藝春秋
2015-01-00
[51]
뉴스
慰安婦問題 日韓歩み寄りを妨害する韓国の親北勢力と北朝鮮(1/5ページ)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2-09-23
[52]
뉴스
北朝鮮が仕掛けた「20万人性奴隷」「親北」公言する韓国の反日団体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4-05-24
[53]
문서
市民連帯国際セミナー
1997-02-27
[54]
뉴스
共同通信
1997-06-20
[55]
웹사이트
「韓国政府からあなたを入国禁止に、と電話が」慰安婦支援30年の日本人をハメた挺対協の謀略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0-06-29
[56]
문서
日本の戦後責任をハッキリさせる会
1999-00-00
[57]
뉴스
従軍慰安婦水曜集会を取り上げた本、日本図書館協会の「選定図書」に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1-09-21
[58]
뉴스
産経新聞
2011-12-14
[59]
뉴스
読売新聞
2011-12-14
[60]
웹사이트
元慰安婦の支援団体“少女像 韓国内外でさらに設置”
http://www3.nhk.or.j[...]
2021-12-20
[61]
웹사이트
GObalnews
http://www.gobalnews[...]
[62]
Youtube
慰安婦お婆さん"蝶プロジェクト"予告篇
http://www.youtube.c[...]
[63]
웹사이트
蝶プロジェクト87歳慰安婦お婆さん平和の大長征出発!
http://www.gobalnews[...]
2012-12-01
[64]
뉴스
シンガポールにも従軍慰安婦の少女像を建設、3月に場所決定=韓国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3-01-23
[65]
뉴스
Singapore rejects "comfort women" statue
http://www.iol.co.za[...]
AFP
2013-01-30
[66]
웹사이트
慰安婦問題解決を阻んだ朝日性奴隷であると韓国
https://ironna.jp/ar[...]
2020-05-07
[67]
서적
帝国の慰安婦 植民地支配と記憶の闘い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
[68]
웹사이트
慰安婦支援団体代表が韓国選挙に与党から出馬へ 突然の政界転身の理由 (3/4)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0-05-10
[69]
웹사이트
慰安婦支援団体代表が韓国選挙に与党から出馬へ 突然の政界転身の理由 (3/4)
https://bunshun.jp/a[...]
2020-05-10
[70]
웹사이트
慰安婦支援団体代表が韓国選挙に与党から出馬へ 突然の政界転身の理由 (4/4)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0-05-10
[71]
웹사이트
韓国政府元高官が語ったタブー「元慰安婦と支援団体は利害関係が違う」
https://www.fnn.jp/a[...]
Fuji News Network
2020-12-02
[72]
뉴스
挺対協「村山元総理は歓迎できない」
http://www.labornetj[...]
2014-02-12
[73]
웹사이트
韓国政府は元慰安婦に「日本の支援金」をなぜ渡さないのか?
https://www.msn.com/[...]
2020-05-07
[74]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の李容洙さん「尹美香は良心もない、ありのままに話すべき」(1)
https://s.japanese.j[...]
2020-06-26
[75]
웹사이트
慰安婦支援団体代表が韓国選挙に与党から出馬へ 突然の政界転身の理由 (2/4)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0-05-10
[76]
웹사이트
【日韓合意検証発表】かき消される合意受け入れ派の声 現実論は袋だたき
https://www.sankei.c[...]
2017-12-27
[77]
웹사이트
「慰安婦活動がまるで巨大な産業…正義連は解決を望んでいない」(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1-01-24
[78]
웹사이트
蝶基金
https://womenandwar.[...]
日本軍性奴隷制問題解決のための正義記憶連帯
2024-01-24
[79]
웹사이트
Vietnamese war victims speak of sexual violence by S. Korean troops for the first time
https://english.hani[...]
ハンギョレ
2024-01-24
[80]
웹사이트
正義記憶連帯、国庫補助金の公示漏れ…“外部監査”で疑惑解消なるか
http://japan.hani.co[...]
2020-06-27
[81]
웹사이트
正義連「一般寄付金3年分の41%、被害者のハルモニの支援に使った」
http://japan.hani.co[...]
2020-06-27
[82]
뉴스
元慰安婦支援団体、今後は公金もらわず 疑惑受け改善策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2-04
[83]
뉴스
정의연 “3년간 일반 기부금 22억 중 피해자 지원사업에 9억 집행”
http://news.kbs.co.k[...]
KBSニュース
2020-05-11
[84]
웹사이트
【独自】挺対協、元慰安婦の憩いの場をペンションのように使っていた
http://www.chosunonl[...]
2020-05-18
[85]
웹사이트
【朝鮮日報コラム】正義も記憶も連帯もなかった
http://www.chosunonl[...]
2020-05-18
[86]
웹사이트
【朝鮮日報コラム】かつては甘いと思ったけれど今となっては苦いとでも?
http://www.chosunonl[...]
2020-05-18
[87]
웹사이트
【社説】悪臭漂う慰安婦支援団体「正義連」疑惑、国民は苦々しい(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18
[88]
웹사이트
李栄薫氏「正義記憶連帯、神聖不可侵の権威を捨てて公論の場に出るべき」(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18
[89]
웹사이트
共に市民党代表「慰安婦被害者・李容洙さん、記憶が歪曲されたようだ…検証必要」
https://japanese.joi[...]
2020-05-18
[90]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私の血の代償なのに、韓国挺対協がなぜ日本のお金を受け取れないようにするのか」
https://japanese.joi[...]
2020-05-18
[91]
웹사이트
慰安婦被害女性ら、日本からの支援金受け取ると「裏切り者」の烙印
https://japanese.joi[...]
2020-05-18
[92]
웹사이트
2004年慰安婦被害者33人「挺身隊対策協議会、私たちを物乞いに売った悪党」
https://japanese.joi[...]
2020-05-18
[93]
웹사이트
「正義連『ユン・ミヒャン1人体制』が問題を大きくした」
http://japan.hani.co[...]
2020-05-19
[94]
웹사이트
위안부 할머니들 "정대협, 中서 정체불명 피해자 6명 수입"
https://archive.is/W[...]
[95]
웹사이트
吉元玉ハルモニの口座に寄付金1億ウォン入金、1時間後に全額引き出し
http://www.chosunonl[...]
2020-07-04
[96]
웹사이트
【ソウルからヨボセヨ】宗教化した慰安婦運動
https://www.sankei.c[...]
2020-06-11
[97]
웹사이트
【朝鮮日報コラム】与党勢力の「大邱たたき」-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J[...]
2020-06-08
[98]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と批判対象の支援団体理事長が面談 7月に共同会見へ
https://jp.yna.co.kr[...]
2020-06-27
[99]
웹사이트
「水曜集会への出席は正義連の問題が解決できてから」…李容洙さん激怒
https://japanese.joi[...]
2020-07-02
[100]
웹사이트
水曜集会の中止を主張していた慰安婦被害者、翌月水曜集会に出席
https://japanese.joi[...]
2020-07-31
[101]
웹사이트
韓国の反日デモは北朝鮮が黒幕か 慰安婦問題広げた市民団体と金日成主席の決定的写真入手(テレビ愛知)
https://news.yahoo.c[...]
2023-07-11
[102]
웹사이트
「親日ばあさん」「認知症」慰安婦支援団体カネ疑惑、告発者が罵詈雑言を浴びせられている(文春オンライン)
https://news.yahoo.c[...]
2020-06-05
[103]
서적
韓国人の皆さん「強制連行された」で本当にいいの?
2017
[104]
서적
素晴らしき哉、常識!
2017
[105]
서적
米国人弁護士だから見抜けた 日弁連の正体
2018
[106]
문서
null
[107]
뉴스
'93년 남매간첩사건'... 재심 재판부 일부 유죄
http://m.ohmynews.co[...]
오마이뉴스
2016-03-27
[108]
잡지
「慰安婦像を作った韓国人夫婦は北朝鮮シンパの過激派だった!」
週刊文春
2014-02-27
[109]
뉴스
블루유니온, ‘정대협을 국보법 위반 혐의로 검찰 고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6-01-18
[110]
웹사이트
보도자료
http://www.blueunion[...]
2016-01-20
[111]
웹사이트
「慰安婦団体の挺対協、脱北従業員の顔を露出して北送還を要求しようと…」
https://japanese.joi[...]
2020-05-22
[112]
웹사이트
韓国激震、支援団体真の目的(Japan In-depth)
https://headlines.ya[...]
2020-05-26
[113]
웹사이트
パリの水曜集会で…尹美香氏、北朝鮮に核開発情報渡したフランス人と接触
http://www.chosunonl[...]
2020-05-26
[114]
웹사이트
パリの水曜集会で…尹美香氏、北朝鮮に核開発情報渡したフランス人と接触(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26
[115]
웹사이트
挺対協、「欧州平和紀行」で親北朝鮮教育(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26
[116]
웹사이트
韓国で大騒動、元慰安婦団体をめぐる「疑惑の数々」が止まらないワケ(現代ビジネス)
https://headlines.ya[...]
2020-05-26
[117]
웹사이트
"정의연은 운동권 물주"…재벌 뺨치는 그들만의 일감 몰아주기
https://news.naver.c[...]
2020-06-10
[118]
뉴스
韓国の市民団体・宗教団体が日本との新しい関係づくりへ 「和解と平和プラットフォーム」
http://www.kirishin.[...]
キリスト新聞(The Christ Weekly)
2020-07-06
[119]
웹사이트
2022年8月ご支援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http://womenandwar.n[...]
2023-01-07
[120]
웹사이트
仁藤夢乃さん代表のColaboが韓国の元慰安婦支援団体やドイツ慰安婦像のスポンサーに? SNSでの指摘にひろゆきさんは「 ほほぉ。」(2023年1月8日)|BIGLOBEニュース
https://news.biglobe[...]
2023-01-09
[121]
웹사이트
「水曜集会」に日本市民団体も参加
https://jp.yna.co.kr[...]
2022-08-31
[122]
뉴스
教科書フォーラムの安秉直、「慰安婦は自発的」妄言で波紋
https://web.archive.[...]
デイリー・サプライズ
2006-12-06
[123]
뉴스
「韓国の強硬姿勢に絶望」 アジア女性基金の元理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8-31
[124]
뉴스
元慰安婦が支援団体「挺対協」批判 「当事者の意見聞かない」「事実と異なる証言集出し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7-03
[125]
웹사이트
【外交安保取材】挺対協 元慰安婦の告発で浮かび上がるその目的と実態
https://www.sankei.c[...]
2020-05-19
[126]
뉴스
池萬元氏「偽の慰安婦」疑惑を提起、波紋広が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5-04-14
[127]
웹사이트
韓国激震、支援団体真の目的
https://japan-indept[...]
2020-05-26
[128]
웹사이트
https://www.womenand[...]
[129]
뉴스
矯風会元会長の[[高橋喜久江]]さん、北星学園大学の決定を評価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5-01-07
[130]
뉴스
慰安婦問題 日韓歩み寄りを妨害する韓国の親北勢力と北朝鮮(3/5ページ)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2-09-23
[131]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の李容洙さん「尹美香は良心もない、ありのままに話すべき」(2)
https://s.japanese.j[...]
2020-06-10
[132]
웹사이트
元慰安婦語って、一儲け・二儲け「鬼畜の韓国・人権団体」実態は詐欺師集団か!
https://news.nicovid[...]
2020-06-10
[133]
웹사이트
祖国日本を貶める慰安婦騒動に憤った元軍人たちが声をあげた。『日本軍人が証言する戦場の花 朝鮮人慰安婦』刊行
https://prtimes.jp/m[...]
2020-06-10
[134]
웹사이트
“慰安婦問題”利用のツケ… 李容洙さんと挺対協の告発トラブル(デイリー新潮)
https://news.yahoo.c[...]
2020-06-10
[135]
웹사이트
国連委員会は左派の牙城 「慰安婦=性奴隷」を広めた日本人たち
https://ironna.jp/ar[...]
2020-06-15
[136]
웹사이트
「当事者は“良し”としていないのに『性奴隷』と……」慰安婦支援30年の日本人が見た挺対協の仕打ち
https://bunshun.jp/a[...]
2020-06-15
[137]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の李容洙さん「尹美香は良心もない、ありのままに話すべき」(2)
https://s.japanese.j[...]
2020-06-15
[138]
웹사이트
韓国の元慰安婦リーダーから届いた手紙「被害者たちは食い物にされている」: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0-06-15
[139]
웹사이트
元慰安婦が支援団体批判 「利用され、だまされてきた」: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06-15
[140]
웹사이트
告発の元慰安婦も嫌悪「性奴隷」の語源 – 東京スポーツ新聞社
https://www.tokyo-sp[...]
2020-06-15
[141]
웹사이트
「お金をあげるから事務所に来なさい」慰安婦支援団体がいかに日本政府の調査を妨害したか
https://bunshun.jp/a[...]
2020-06-15
[142]
웹사이트
韓国の元慰安婦リーダーから届いた手紙「被害者たちは食い物にされている」(文春オンライン)
https://news.yahoo.c[...]
2020-06-15
[143]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テレビを見て『憩いの場』のことを知り、悔しくて身震いがした」(朝鮮日報日本語版) - Yahoo!ニュース
https://archive.is/t[...]
2020-05-18
[144]
뉴스
挺身隊対策協、「偽者慰安婦発言」チ・マンウォン氏を告発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4-18
[145]
뉴스
挺身隊問題対策協、日本に慰安婦問題解決要請書伝達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3-06
[146]
웹사이트
慰安婦像製作で意外な収入に 制作をつづける韓国人夫妻が明かす
https://news.livedoo[...]
2020-06-15
[147]
웹사이트
【外信コラム】「おばあさんへの関心」より 宗教化した慰安婦運動(産経新聞)
https://news.yahoo.c[...]
2020-06-15
[148]
웹사이트
金銭疑惑が次々と浮上! “慰安婦ビジネス”に口を閉ざしてきた日本の左派の責任 識者「実態を知らなかったはずはない」
https://news.yahoo.c[...]
2020-06-15
[149]
웹사이트
이용수 할머니 비판에…28년전 영수증⋅전표 꺼낸 與비례당 윤미향
https://news.naver.c[...]
2020-05-08
[150]
웹사이트
ただし、改称後も2020年8月まで二つの団体が別の法人として存続し続けていた
https://jp.yna.co.kr[...]
[151]
웹사이트
위안부 할머니들 "정대협, 中서 정체불명 피해자 6명 수입"
https://archive.is/W[...]
2020-05-22
[152]
뉴스
【独自】金福童さん賠償金、挺対協が受取人に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1-02-06
[153]
뉴스
元慰安婦支援事業、韓国政府が「正義連」への委託打ち切り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2-04
[154]
웹사이트
慰安婦支援団体前理事長の議員 3年ぶり「水曜集会」に=韓国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