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1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1보병사단은 1939년 독일 국방군 제11군관구에서 창설된 보병 사단으로, 하노버, 힐데스하임 등 니더작센 주 출신 병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프랑스 침공, 동부 전선, 이탈리아 전선 등 주요 전역에 참전했으며,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1943년 재편성 후 이탈리아 전선에서 몬테카시노 전투 등에 참여했고,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에서 전투를 벌이다 1945년 영국군에 항복했다. 사단은 1943년 티찬 학살에 연루되었으며, 3개 보병 연대와 포병 연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역대 지휘관으로는 볼프강 치글러, 카를 바이젠베르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창설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재편성되어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71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부대 명칭 | 제71보병사단 |
원어 명칭 | 71. Infanterie-Division |
별칭 | 행운아 클로버 잎 사단 "Glückhafte Division" (독일어) |
군사 정보 | |
국가 | 나치 독일 |
군 종류 | 보병 |
규모 | 사단 |
소속 군대 | 독일 국방군육군 |
특기 | 보병 |
연혁 | |
창설일 | 1939년 8월 26일 |
해체일 | 1945년 5월 |
주요 참전 전투 |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지크프리트 선 프랑스 전투 키예프 전투 제1차 하르코프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악세 작전 몬테카시노 전투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카를 바이젠베르거 알렉산더 폰 하르트만 |
2. 편성
1939년 8월, 제71보병사단은 독일 니더작센 주 출신 병사들을 중심으로 창설되었다. 주로 하노버, 힐데스하임, 브라운슈바이크, 하르츠 산맥 서부 지역 출신 징집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1910년에서 1920년 사이에 태어났다.[3] 초기 병력은 약 15,000명이었다.[3] 동원령은 1939년 8월 25일/26일에 힐데스하임의 제19보병사령관에 의해 암호명 "Sigurd 9757"로 발령되었다.[4]
초대 사단장은 볼프강 지글러 소장이었으며, 연대 지휘관은 제1차 세계 대전 경험이 풍부한 장교들이 맡았다.
제71보병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77]
- 사령부
- 제191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191척탄병연대''로 개칭), 하노버-보트펠트 주둔
- 제59 보병 연대 제1대대, 힐데스하임
- 제73 보병 연대 제2대대, 첼레
- 제74 보병 연대 제3대대, 하멜른
- 제194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194척탄병연대''로 개칭), 할버슈타트 주둔
- 제12 보병 연대 제1대대, 퀘들린부르크
- 제17 보병 연대 제2대대 (''III. 예거-대대''), 고슬라와 블랑켄부르크 (하르츠)
- 제82 보병 연대 제3대대, 노르트하임
- 제211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211척탄병연대''로 개칭), 마그데부르크 인근 부르크
- 제33 보병 연대 제1대대, 데사우
- 제66 보병 연대 제2대대, 마그데부르크 인근 부르크
- 제93 보병 연대 제3대대, 슈텐달 및 잘츠베델
- 제171포병연대, 할버슈타트의 ''제2군 AR 31''에 주둔
- 정규 병력 AR 19, AR 31, AR 55 및 AR 67의 4개 대대
- 제171정찰대대 (''Aufklärungs-Abteilung 171'')
- 제11군단에서, 루트비히슬루스트와 파르침의 기병 연대
- 제171 대전차대대 (''Panzerabwehr-Abteilung 171'')
- 하노버 인근 엥겔보스텔에 주둔한 ''제19 대전차 대대''에서
- 제171 공병대대 (''Pionier-Bataillon 171''), 제19 공병대대에서, 홀츠민덴에 주둔
- 마그데부르크의 PiBtl. 4 및 데사우-로슬라우의 PiBtl. 51 (기계화)의 병력
- 제171 통신 대대
- 제171 보병 사단 뉴스 부서 (''Infanterie-Divisions-Nachrichten-Abteilung 171'')
- 제171 사단 보급 부대 (''Kommandeur der Infanterie-Divisions-Nachschubtruppen 171'')[78]
1939년 당시 제71보병사단은 현역 6%, 예비군 I 83%, 예비군 II 8%, 향토방위군 징집병 3%로 구성되었다. 계급별로는 장교 491명, 문관 98명, 부사관 2,273명, 사병 12,411명이었다. 수송 수단은 말 4,854마리, 마차 823대, 차량 393대, 트럭 509대, 장갑차 3대, 국방군 오토바이 497대, 사이드카 190대였다.[75]
보병 연대의 각 대대는 경 기관총 9정이 장착된 3개의 소총 중대와 중기관총 12정이 장착된 1개의 중기관총 중대로 구성되었다. 1941년 4월부터 소총 중대는 경기관총 12정과 유탄 발사기 3정으로, 기관총 중대는 중기관총 12정과 중형 유탄 발사기 6정으로 강화되었다.[76]
2. 1. 초기 훈련
1939년 봄, 볼프 대령 지휘 하의 제211보병연대(IR 211)는 베르겐 군사 훈련장에서 제1훈련보병연대(''Übungs-Infanterie-Regiment 1'')로 전투 작전을 위한 훈련을 받았다.[5] 훈련은 주로 무기 조작, 전투 훈련, 은밀 접근, 야간 이동 및 사격 등으로 구성되었다.[6]3. 주요 작전 및 전투
제71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다양한 전선에서 주요 작전 및 전투에 참여했다.
- 지크프리트 선 (1939년 9월 – 1940년 5월)
- 프랑스 (1940년 5월 – 1941년 6월)
- 동부 전선 (1941년 6월 – 1941년 10월)
- 프랑스 (1941년 10월 – 1942년 4월)
- 동부 전선 (1942년 4월 – 1942년 8월)
- 스탈린그라드 전투 (1942년 8월 – 1943년 1월)
- 덴마크 (1943년 3월 – 1943년 8월)
- 슬로베니아 (1943년 8월 – 1943년 9월)
- 이탈리아 (1943년 9월 – 1944년 12월)
- 헝가리 및 오스트리아 (1944년 12월 – 1945년 5월)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서 룩셈부르크와 벨기에 남부를 통과하여 마지노 선을 공격하고,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했다. 베르됭 지역 요새들을 점령하고 낭시까지 진격했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하여 우크라이나를 통과하고 키예프 전투에 참전했다. 1942년에는 하르코프 전투에서 도네츠강 지역을 방어하고,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되어 스탈린그라드 시내에서 시가전을 벌였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71보병사단은 볼가강에 도달, 시내 중심부, 중앙역, 붉은 광장 등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였으나, 큰 피해를 입고 1943년 1월 소련군에 항복했다.
1943년 여름 재편성된 후 이탈리아 전선으로 이동,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모로코 산악 병력을 포함한 자유 프랑스 원정군과 전투를 벌였고, 아브루초 지역을 상실했다. 이후 북부 이탈리아에서 고딕 선 방어에 참여했으나, 소모으로 큰 손실을 입었다.
1944년 말 헝가리로 이동하여 전투를 계속했지만, 1945년 5월 오스트리아에서 영국군에 항복했다.
3. 1. 서부 전선 (1940년)
제71보병사단은 프랑스 공방전 당시 룩셈부르크와 벨기에 남부를 거쳐 남서쪽으로 진격한 후, 시에르 강을 건너 마지노 선으로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전술적으로 중요한 해발 311고지 공격에 집중했고,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한 최초의 부대 중 하나가 되었다.[15]1940년 5월 18일, 공병 및 대전차병(panzerjäger)과 협력하여 빌리 마을, 505 전차 공장 및 라 페르테 지역(마지노 선)의 요새들을 점령했다. IR 188과 함께 올리시와 해발 342 고지를 점령했다.[15]
1940년 5월 21일부터 6월 10일까지 마지노 선에서 방어전을 펼치며 반격을 막아냈다. 5월 22일에는 7명의 장교와 170명의 부사관 및 사병이 사망했다.[15] 6월 초, "녹색 지옥"(Grüne Hölle)으로 불린 부아 도르 숲에서 모로코 티레르와 외인부대의 반격을 격퇴한 후 뫼즈 강 동쪽 베르됭 지역으로 이동했다.[15]
6월 15일, IR 211을 주축으로 포트 보와 포트 두오몽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베르됭 전투에 참전했던 하우프트만 코르두안의 지휘 하에 공격은 성공했다. 두 요새의 함락은 프로아드 테르 요새 함락 이후 베르됭 요새로 가는 길을 열었다.[15]
6월에는 모젤 강을 건너 후퇴하는 프랑스군을 추격하여 낭시까지 진격했다. 서부 전선에서의 임무는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수여로 마무리되었는데, 장군 중장 카를 바이젠베르거, 대령 한스-카를 폰 셰엘레, 중위 게르머, 하사관 파페가 훈장을 받았다.[15]
1940년과 1941년 사이에는 쾨니히스브뤼크 군사 훈련장에서 훈련 사단(Lehr-Division)으로 복무했다.

3. 2. 동부 전선 (1941년 ~ 1943년)
1941년, 제71보병사단은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전하여 소련 국경 요새를 돌파하고 우크라이나를 통과했다. 키예프 전투에서 독일 제6군의 핵심 부대(''Schwerpunkt'')로 활약하며 크사베로프카(IR 211), 마자로우카(IR 194) 및 젤레노우카(IR 191) 마을을 점령하고 키예프 점령에 기여했다.[20] 제99경보병사단과 제95보병사단 사이에서 키예프 남쪽 지역을 공격, 베타 강을 따라 이어진 벙커 라인을 끈질긴 전투 끝에 돌파하여 제29군단이 키예프로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20] 1941년 8월 10일부터 24일까지 붉은 군대의 대규모 반격을 모두 막아냈다.[20] 이후 제296보병사단과 교체되어 이르펜 강 강둑의 요새화된 키예프 서부 지역에서 60km 폭의 새로운 작전 구역을 받았다. 1941년 9월 16일, 제29군단은 키예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시작하여 3일 후 붉은 군대를 포위하고 도시를 점령했다.[21]1942년 4월, OKW의 명령에 따라 동부 전선에서의 하계 공세에 참여하기 위해 프랑스에서 동부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제6군과 함께 하르코프 남쪽의 소련 전선을 돌파하고 도네츠강 지역으로 주 전투선을 이동하여 남부 집단군의 새로운 출발점을 만드는 임무를 부여받았다.[22] 하르코프 전투에 참전하여 이줌 북쪽의 도네츠강 지역을 방어했다. 독일군은 제6군과 제57군을 포위하는 데 성공했고, 1942년 5월 17일부터 24일까지 벌어진 하르코프 봄 전투는 붉은 군대의 패배로 끝났다.[22] 이후 바브카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니콜라예프카를 거쳐 오스콜 지구로 진격했다. 벨로보도스크, 모로조프스카야, 치르를 거쳐 제네랄로프 지역의 돈강까지 추격전에 참여했으며, 칼라치 서쪽에서 추가적인 방어 전투를 벌였다.[22]
1942년 8월부터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되어 돈강을 건너 카르포프카와 로소시카 독일 전쟁 묘지를 점령하고 스탈린그라드에 도달했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스탈린그라드 정복을 위해 LI 군단 소속 3만 명(제71보병사단 포함)과 제4 기갑군 소속 5만 명 등 총 8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23] 알렉산더 폰 하르트만 소장이 지휘하는 제71보병사단은 LI 군단에 배속되어 스탈린그라드의 서부와 북서부 교외를 돌파하는 임무를 맡았다.[24] 1942년 9월 3일 저녁, 제71사단과 제295사단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소련군과 전투를 벌여 굼라크 역을 점령하고, 고로디셰와 마마예프 언덕 공격을 위한 주력을 집중시켰다. 제211, 제194 보병 연대는 소련 제112 소총병 사단의 방어선을 돌파했고, 제191 연대는 탈로와이, 오피트나이아, 에쇼브카 역을 점령했다.[26]
1942년 9월 4일, 안톤 로파틴 소장은 제71보병사단이 차리차 강 동쪽 둑에 발판을 확보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반격을 명령했다.[27] 1942년 9월 8일, 제295사단과 제71사단은 고로디셰와 라즈굴라예프카에서 굼라크에서 스탈린그라드로 향하는 주요 도로를 따라 진격을 계속했다.[29] 하르트만의 제71보병사단은 병원과 차리차 강 사이에서 약간의 영토를 확보했다.[29] 스탈린그라드 교외 전투는 9월 12일에 절정에 달했다.[31]
제71보병사단은 스탈린그라드 공세를 앞두고 "붉은 10월" 강철 공장과 차리차 강 서쪽에 배치되었다.[32][33] 제295사단과 제71사단은 스탈린그라드 시내로 직접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4] 프리드리히 로스케(Friedrich Roske) 대령과 프리케(Fricke) 대위는 각각 제194보병연대와 제191보병연대 병사들에게 볼가강 점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명령을 내렸다.[35][36]
제71보병사단은 295보병사단과 함께 볼가강에 도달한 최초의 대규모 부대 중 하나였다. 시내 중심부에 대한 집중적인 공격으로 부대 간격이 얇아져 소련 저격수의 표적이 되었다.[37] 첫 번째 목표인 "벽돌 공장" 주변 능선에 도달하여 시내 중심부로 신속하게 진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스탈린그라드 시내에서 사단은 시가전에 빠르게 휘말렸고, 어려운 전투 환경에서 지역 전투를 배워야 했으며, 이는 막대한 손실로 이어졌다.

제71보병사단은 소련 방어 부대를 시내의 언덕과 차리차강 남쪽으로 몰아넣었다. 1942년 9월 13일, 제71보병사단은 급강하 폭격기의 지원을 받아 중앙역 방향으로 진격했고, 다음 날 차리차강 북쪽의 스탈린그라드 시내 중심부에 도달했다. 시내를 둘러싼 전투는 중앙역, 정부 및 당 건물, 붉은 광장 주변에서 양측의 엄청난 광신주의로 치러졌다.[39] 제71사단의 신속한 진격은 제62군을 놀라게 했고, 그들은 예비대를 동원하여 결정적인 전투에 투입했다. 제194보병연대는 연락선을 위협하고 볼가강 페리 2척을 침몰시켰다. 1942년 9월 14일 스탈린그라드가 함락되지 않은 것은 시내 남부의 제35근위소총사단의 저항 때문이었다.[40] 1942년 9월 14일부터 15일 밤에 도착한 제13근위소총사단은 중앙역 동쪽의 거리와 건물을 되찾고 마마예프 쿠르간에서의 전투에 개입하여 시내 중심부의 완전한 정복을 막았다.[40] 1942년 9월 14일 제71보병사단의 전투력은 8개 보병대대(300-400명)와 1개 공병대대(300-400명)였다.[41]
1942년 9월 15일, 스탈린그라드 중앙역 주변에서 제13근위소총사단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42] 제24기갑사단은 1942년 9월 16일 차리차강 근처에서 제71사단과 합류하려 했으나, 오인 사격을 받았다. 제71보병사단의 주력 부대는 제13근위소총사단과 함께 3.5km 폭의 혼란스러운 전투를 벌였다.[43] 제71보병사단은 차리차강 입구에 있는 Kampfgruppe Edelsheim (제24기갑사단)에 증원을 보낼 수 없었다.[44] 1942년 9월 17일, 근위병들은 잠시 동안 중앙역에서 위치를 포기하고 전문가의 집을 다시 점령하려 했다.[45] 제211연대는 차리차강에서 헬러만 및 에델샤임 전투단과 합류하여 강을 건너는 철도 다리를 통제했다. 밤새 제191연대는 제211연대 뒤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제194연대와 함께 시내 중심부 전투에 개입했다.[46]

윌리엄 크레이그는 1942년 9월 붉은 광장을 놓고 벌어진 전투의 심각성을 묘사했다.[47] 1942년 9월 18일, 제71보병사단은 마마예프 쿠르간과 시내 중심부 주변에서 제62군과의 전투에 집중했다.[48]
1942년 9월 19일, 제71보병사단은 전투 기술을 변경하여 소대와 중대를 소규모 그룹으로 재편성했다.[49] 같은 날 제284사단의 상륙은 스탈린그라드 중심부에서 심하게 훼손된 제13근위소총사단의 어려운 상황을 완화하고 새로운 병력을 투입했다. 붉은 광장과 중앙 기차역 주변의 막대한 손실은 위협적으로 증가했다.[49] 제62군 전체는 9월 동안 볼가강으로 거침없이 후퇴했다.[49]

1942년 9월 20일, 제13근위소총사단은 중앙역 동쪽에 작은 고립된 "방어 섬"만 있었다.[50] 다음 날 전투는 코뮤니체스카야, 레스푸블린스카야, 크라스노피테르스카야, 스탈린스카야 및 나베레시나야 거리의 지역에 집중되었다.[51] 1942년 9월 20일 곡물 사일로를 거의 완전히 점령한 후, 이들은 스탈린그라드 남부에서 붉은 군대의 마지막 활성 전투 부대였다.[51]
1942년 9월 21일, 근위병들은 전술적으로 중요한 가옥 집단을 점령하고 스탈린그라드의 중앙 페리 터미널로 진격할 수 있었다.[52] 한 익명의 참가자는 스탈린그라드 시내를 놓고 벌어진 전투의 마지막 단계를 보고했다.[53] 1942년 9월 22일, 독일군은 공격을 재개했다. 근위병들은 200명의 군인을 잃고 여러 거리를 재점령했다. 일주일간의 시가전 이후, 제13GRD는 전투 준비가 된 군인 1,000명만 남았다. 제211연대는 하수구 도랑을 사용하여 중앙 기차역 동쪽의 볼가강에 도달했고, 밤에 다시 후퇴했다. 제13GRD의 좌익은 이미 완전히 붕괴되었다. 제71보병사단의 압박으로 근위병들은 모든 전선에서 붕괴되었다. 그러나 붉은 군대에 따르면 500명의 독일군이 사망하고 43대의 전차가 파괴되었다.
1942년 9월 25일, 제71보병사단은 다시 차리차 협곡 북쪽의 스탈린그라드 중심부 주변에서 격렬한 전투에 휘말렸고, 붉은 군대와 교착 상태에 빠졌다. 1942년 9월 26일 제71보병사단은 붉은 광장의 당 건물에 제국 전쟁 기를 게양했다. 제71보병사단은 1942년 9월 말 스탈린그라드 남부에서 제6군 전체 사단 폭으로 볼가강에 도달한 유일한 사단이었다.
제71사단의 3개 보병대대는 1942년 9월 28일 스탈린그라드 중심부 주변에서 장기간에 걸쳐 피비린내 나는 전투를 벌인 후 심하게 지쳐 피투성이가 되었고(각각 300명 미만), 1942년 10월 중순까지 제71사단의 모든 보병대대는 이미 ''전투 불능 상태''에 있었다. 1942년 9월 14일부터 26일까지 제71사단, 제295사단 및 제389사단은 1,000명이 사망하고 3,000명이 부상했으며 100명이 실종되었다.[54]
스탈린그라드 중심부의 전투가 소강 상태에 접어든 후, 제71보병사단은 볼가강의 방어 위치로 더 넓은 구역으로 확장했다.[55]

소장 폰 하르트만은 1942년 9월 27일 제94보병사단이 북부 전투를 위해 철수된 후 돌기슐루크에서 엘샨카강까지 남부 및 중앙 구역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맡았다.[56] 그러나 제194연대는 파블로프의 집과 볼가강둑에 있는 붉은 군대의 진지에 대해 어떤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에는 너무 약했다.[57] 1942년 9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제295보병사단과 함께 여러 공격이 수행되었으나, 모두 실패했다.[58] 1942년 10월 5일, 제71보병사단의 전투력은 약한 보병대대 1개와 완전히 소진된 보병대대 7개로 악화되었다.[59]
1942년 10월 25일부터 11월 1일 사이에 제64군은 스탈린그라드 남부에서 반격을 가했지만, 격퇴되었다.[60] 1942년 11월 후베르투스 작전 기간 동안 제71보병사단은 소규모 기습 작전만 수행할 수 있었다.[61]

1942년 11월 21일, 우라노스 작전으로 소련군 전차가 칼라치 근처의 독일군 진지를 점령하면서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이 닫혔다. 제71보병사단은 도시에 참호전을 벌이라는 명령을 받았다. 로스케 대령은 ''제194척탄병연대''에 특정 화력 계획에 따라 전면 방어를 위한 구역을 할당했다. 체발 드 프리즈와 대인 지뢰를 통해 볼가강을 건너는 소련군 상륙을 막으려 했다.
1942년 12월 11일, 붉은 군대는 독일군의 방어선을 더 안쪽으로 밀어내기 위해 추가 공격을 감행했다. 1943년 1월 26일, 알렉산더 폰 하르트만 중장 등이 차리차 근처 남부 지역의 철도 제방에서 벌어진 교전에서 사망했다. 하르트만 사망 후 사단 지휘를 맡은 로스케 대령은 남부 구역에서 총 17,000명의 병사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 약 2,000~3,000명이 전투 가능하다고 언급했다.[63] 1943년 1월 26일, 파울루스는 제6군의 참모와 함께 우니베르마그 백화점으로 이동했으며, 로스케 대령은 제194척탄병연대 (GR 194)를 지휘했다.[63]
제6군은 두 부분으로 나뉘었으며, 1943년 1월 27일부터 2월 3일 사이에 북부와 남부 구역이 붕괴되었다.[64] 제71보병사단은 1943년 1월에 특정 조건 하에서 소련 전차와 여전히 싸울 수 있었던 마지막 부대 중 하나였다. 1943년 1월 30일, 붉은 군대는 역 지역을 점령하고 붉은 광장으로부터 300m 이내에 배치된 마지막 방어선에 접근했다. 저녁 무렵, GR 194의 저항은 탄약 부족으로 끝났고, 로스케 소장은 모든 전투 중단을 명령했다.[65][66] 1943년 1월 31일, 제6군의 잔존 병력이 항복했으며, 제71보병사단에서는 로스케 소장 등이 항복했다.[67]
3. 3. 이탈리아 전선 (1943년 ~ 1945년)
1943년 여름, 제71보병사단은 재편성되었다. 11월부터 이탈리아 전선으로 이동했으나,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85]1943년 8월, 제71보병사단은 케른텐으로 이동하여 이탈리아군을 무장 해제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는 축선 작전 중에 트레비소-고리치아-트리에스테 및 피우메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이후 몬팔코네 및 피우메 지역에서 해안 방어와 게릴라 전투가 벌어졌다. 1944년 1월부터 5월까지 몬테카시노 전투에 참전한 것도 중요했다.
제211 보병 연대는 카시노 시에서 전선의 4km 구간을 방어했으며, 바른베크 대령의 지휘 아래 뉴질랜드 부대와 역에서 소유권을 놓고 백병전을 벌였다. 제194 보병 연대는 1944년 2월 중순까지 안치오-네투노의 미국 교두보 앞에서 사용되었다.

1944년 3월, 프리드리히 빌헬름 크누트 소령과 제211 보병 연대는 제3차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몬티 아우룬치의 산기슭, 카스텔포르테 및 에스페리아에서 전투를 벌였다. 크누트 소령은 이 교전으로 1944년 6월 3일 기사십자 훈장을 받았다. 그는 1944년 3월 10일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중령으로 진급했다.
알퐁스 쥐앵 장군 휘하의 자유 프랑스 원정군 4개 정규 사단( 모로코 산악 병력 포함)에 맞서 제71사단의 6개 대대가 심하게 지친 상태로 전투를 벌였다.[68] 독일의 저항은 연합군의 압박과 침투 및 측면 기동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마크 W. 클라크 장군은 그의 회고록에서 프랑스군이 1944년 5월에 구스타프 선을 돌파한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그동안 프랑스군은 가릴리아노 (강)를 건너 리리 강 남쪽에 있는 산악 지형으로 진격했다. 쉽지 않았다. 언제나 그렇듯, 독일 베테랑들은 강력하게 반응했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프랑스군은 적을 기습하여 몬테 파이토 세라솔라와 카스텔포르테 근처의 고지대를 포함한 핵심 지형을 신속하게 점령했다. 제1 기동 사단은 제2 모로코 사단이 핵심인 몬테 지로파노를 점령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이후 북쪽으로 빠르게 진격하여 산트 아폴리나레와 산트 암브로지오로 진격했다. 적의 맹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제2 모로코 사단은 이틀도 안 되는 전투 만에 구스타프 선을 돌파했다. 프랑스 전선의 다음 48시간은 결정적이었다. 칼을 든 구미에는 특히 밤에 언덕을 휩쓸었고, 쥐앵 장군의 전 병력은 독일군이 견딜 수 없는 공격성을 매 시간마다 보여주었다. 세라솔라, 산 지오르지오, 몬테 도로, 아우소니아 및 에스페리아는 이탈리아 전쟁에서 가장 훌륭하고 대담한 진격 중 하나로 점령되었으며, 5월 16일까지 프랑스 원정군은 좌익에서 몬테 레볼레까지 약 10마일 전진했으며, 나머지 전선은 영국 8군과의 연락을 유지하기 위해 약간 뒤로 기울어져 있었다.
>
> 가장 신중한 준비와 최고의 결단력만이 이 공격을 가능하게 했지만, 쥐앵은 그런 종류의 전사였다. 당나귀 팩 열차, 숙련된 산악 전사, 그리고 위험한 지형을 통해 긴 야간 행진을 할 힘을 가진 사람들이 거의 난공불락인 산맥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했다. 프랑스군은 베스트팔이 보여준 감각적인 진격에서 그러한 능력을 보여주었고, 케셀링의 참모장은 나중에 시간과 공격성 모두에서 주요한 놀라움이라고 묘사했다. 로마로 진격하는 전체 작전의 성공의 열쇠가 될 이 성능에 대해 나는 항상 쥐앵 장군과 그의 웅장한 FEC의 고마운 팬이 될 것이다. 8군의 지연은 쥐앵의 임무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는데, 그는 너무 빠르게 전진하여 영국군과 인접한 그의 우익이 끊임없이 반격에 노출되었기 때문이다.[69]
카시노 진지를 포기한 후, 아브루초 지역은 상실되었고, 1944년 9월까지 이탈리아 중부에서 방어 전투가 계속되었다. 북부 이탈리아에서 제71보병사단은 제1 캐나다 보병 사단과 고딕 선에 맞서 메타우로 강에 주둔했으며, 여기에서 소모 작전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3. 4. 헝가리 및 오스트리아 (1944년 ~ 1945년)
1943년 여름 재편성된 제71보병사단은 11월부터 이탈리아 전선으로 이동했으나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다시 큰 피해를 입었다.[85] 잔존 부대는 헝가리에서 전투를 계속했지만, 결국 오스트리아에서 영국군에 항복했다.4. 전쟁 범죄
제71보병사단은 1943년 9월 11일, 현재 크로아티아의 비슈냔에서 민간인 84명이 처형된 티찬 학살 사건에 연루되었다.[70][71]
5. 사단 구조
부대 | 주둔지 | 구성 |
---|---|---|
사령부 | ||
제191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191척탄병연대로 개칭) | 하노버-보트펠트 | |
제194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194척탄병연대로 개칭) | 할버슈타트 | |
제211보병연대 (1942년 10월 15일부터 제211척탄병연대로 개칭) | 마그데부르크 인근 부르크 | |
제171포병연대 | 할버슈타트의 제2군 AR 31 | 정규 병력 AR 19, AR 31, AR 55 및 AR 67의 4개 대대 |
제171정찰대대 | 루트비히슬루스트와 파르침의 기병 연대 | |
제171대전차대대 | 하노버 인근 엥겔보스텔에 주둔한 제19 대전차 대대 | |
제171공병대대 | 홀츠민덴 | 제19 공병대대, 마그데부르크의 PiBtl. 4 및 데사우-로슬라우의 PiBtl. 51 (기계화)의 병력 |
제171통신대대 | ||
제171보병사단 통신부서 | ||
제171사단 보급부대 | [78] |
각 보병 연대는 3개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각 대대는 경 기관총 9정이 장착된 3개의 소총 중대와 중기관총 12정이 장착된 1개의 중기관총 중대로 편성되었다. 1941년 4월부터 소총 중대는 경기관총 12정과 유탄 발사기 3정, 기관총 중대는 중기관총 12정과 중형 유탄 발사기 6정으로 강화되었다.[76]
6. 역대 지휘관
취임일 | 계급 | 이름 |
---|---|---|
1939년 8월 26일 | 소장 | 볼프강 치글러 |
1939년 10월 15일 | 보병대장 | 카를 바이젠베르거 |
1941년 2월 15일 | 보병대장 | 프리드리히 헤를라인 |
1941년 3월 28일 | 보병대장 | 알렉산더 폰 하르트만 |
1943년 1월 25일 | 소장 | 프리츠 로스케 |
1943년 3월 14일 | 중장 | 빌헬름 라프케 |
1945년 1월 1일 | 소장 | 에버하르트 폰 슈크만 |
참조
[1]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2]
서적
Die Träg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1945 — Die Inhaber der höchsten Auszeichnung des Zweiten Weltkrieges aller Wehrmachtteile
https://www.worldcat[...]
Podzun-Pallas
1986
[3]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4]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5]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6]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7]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8]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9]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0]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1]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2]
서적
With Paulus at Stalingrad
Pen and Sword Books Ltd.
2015
[13]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4]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5]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6]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7]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8]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19]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20]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21]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22]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23]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4]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5]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6]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7]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8]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29]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0]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1]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2]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3]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34]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5]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36]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37]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38]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39]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0]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1]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2]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3]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4]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5]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6]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7]
서적
Die Schlacht um Stalingrad: Tatsachenbericht [The Battle of Stalingrad: Factual Report] (in German)
https://www.worldcat[...]
Heyne
1977
[48]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49]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0]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1]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2]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53]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54]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5]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56]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7]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8]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59]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60]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61]
서적
Armageddon in Stalingrad: September-November 1942 (The Stalingrad Tri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9
[62]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The 71st Infantry Division 1939-1945; Combat and experience reports from the battles of the "Lucky Division" from Verdun to Stalingrad, from Monte Cassino to Lake Balaton]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63]
서적
Stalingrad: Analyse und Dokumentation einer Schlacht
https://www.worldcat[...]
Deutsche Verlags-Anstalt
1974
[64]
서적
Stalingrad : Analyse und Dokumentation einer Schlacht
https://www.worldcat[...]
Deutsche Verlags-Anstalt
1974
[65]
웹사이트
Fritz Roske
http://www.lexikon-w[...]
2021-04-01
[66]
서적
Stalingrad : Analyse und Dokumentation einer Schlacht
https://www.worldcat[...]
Deutsche Verlags-Anstalt
1974
[67]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68]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69]
서적
Calculated Risk
Harper
1950
[70]
웹사이트
Tićan (Bivio di Tissano), Višnjan (Visignano), 11.09.1943
http://www.straginaz[...]
Atlas of Nazi and Fascist Massacres in Italy
2018-09-20
[71]
웹사이트
71. Infanterie-Division
http://www.straginaz[...]
Atlas of Nazi and Fascist Massacres in Italy
2018-09-20
[72]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73]
간행물
V.O./OKH b. AOK 6, Bericht über eine Fahrt nach Stalingrad, A.H. Wu. 25.9.42
[74]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fler
2006
[75]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76]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77]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Volume 1: 1st-290th Infantry Divisions in World War II
https://www.worldcat[...]
Stackpole Books
2007
[78]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1939 - 1945;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https://www.worldcat[...]
Dörfler
2006
[79]
웹사이트
Wigand Wüster als Artillerist in Stalingrad
http://www.tonbildfi[...]
2021-08-13
[80]
서적
An artilleryman in Stalingrad: memoirs of a participant in the battle
https://www.worldcat[...]
Leaping Horseman Books
2007
[81]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1939-1945 :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82]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1939-1945 :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83]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1939-1945 :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84]
서적
Die 71. Infanterie-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1939-1945 : Gefechts- und Erlebnisberichte aus den Kämpfen der "Glückhaften Division" von Verdun bis Stalingrad, vom Monte Cassino bis zum Plattensee
[85]
서적
With Paulus at Stalingrad
Pen and Sword Books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