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민수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민수는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홍건적 격퇴, 왜구 토벌 등 군사적 활약을 펼쳤으며,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다.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을 단행했으나, 창왕 옹립에 관여하고 이성계 일파의 개혁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그는 여러 드라마에서 묘사되었으며, 창녕에 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0년 사망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1390년 사망 - 후안 1세 (카스티야)
    후안 1세 (카스티야)는 엔리케 2세의 아들로 카스티야의 왕이 되었으며, 포르투갈 병합 시도 실패, 유대인 관용 정책, 아르메니아 왕 구출 등의 활동을 했고, 아라곤의 엘레오노르와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했으며,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아들 엔리케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창녕군 출신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창녕군 출신 - 노태강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 임명되었다.
  • 고려의 군인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군인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조민수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창녕 창성부원군 조민수의 묘
이름조민수
원어명曺敏修
출생일1324년
사망일1391년 1월 27일(음력 1390년 12월 22일)
본관창녕(昌寧)
별명작위는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정치
정당무소속
직책북계 순주부사
임기1361년 2월 1일 ~ 1362년 5월 31일
군주고려 공민왕 왕기
군사 복무
복무 기간1361년 ~ 1389년 3월
군 복무고려 군사
계급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
지휘양광전라경상서해교주도도통사
가족 관계
부모성주 이씨 부인(모)
형제조경수(아우)
친인척이만년(외조부)
이백년(큰외종조부)
이천년(큰외종조부)
이억년(작은외종조부)
이조년(작은외종조부)
이포(외종숙)
이인임(외종육촌)
배극렴(방계 외가친척)

2. 생애

1361년(고려 공민왕 10) 순주부사(順州府使)로 여러 장군들과 함께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2등공신에 올랐다.[4] 1362년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를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였다.

1368년 명나라원나라의 수도인 연경(燕京)을 포위하자 좌상시(左常侍)로서 의정주등처안무사(義靜州等處安撫使)가 되어 명나라의 위협에 대비하였으며, 충근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우왕 초에 경상도도순문사로 왜구를 물리쳤고,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서북면도체찰사에 올랐다.

1379년(우왕 5) 문하평리(門下評理), 1383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군되었다. 다음해 밀직부사로서 전라도조전원수(全羅道助戰元帥)를 겸임, 1385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388년 요동 정벌군의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로 출정하였다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하였다. 이인임의 아버지의 사촌 누이 소생 아들이 배극렴과 조민수인데 조민수는 이인임이 자신을 천거해 준 은혜를 생각하여 이인임의 외종형제인 이임의 딸인 근비(謹妃)의 아들되는 왕창을 세우려고 마음먹었다. 장수들이 자기의 뜻을 어기고 왕씨를 세울까 우려해 당시 명망있는 유학자였던 한산군(韓山君) 이색의 말을 끌어대보려고 은밀히 이색에게 물었다.

이색도 역시 창을 옹립하려고 당연히 전임 왕의 아들로 왕을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성계가 조민수에게, 회군 때 했던 말은 어떻게 되었는가하고 힐문하자 조민수가 갑작스레 얼굴빛이 변하며, 이색이 이미 원자를 세우기로 결정했으니 어찌 어길 수 있겠는가라고 변명하며 결국 창을 왕으로 옹립했다. 이렇게 우왕을 폐하고 창왕을 세우는 데 중요구실을 하여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에 양광전라경상서해교주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西海交州道都統使)가 되었다.

1389년(고려 창왕 1)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하다가 조준 등의 탄핵으로 창녕에 유배되었다. 이해 창왕의 생일에 특사로 풀려나왔으나, 우왕의 혈통을 에워싼 논쟁으로 이성계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다시 창녕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군사적 활약

1361년(고려 공민왕 10) 순주부사(順州府使)로 여러 장군들과 함께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2등공신에 올랐다.[4] 1362년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를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였다. 1368년 명나라원나라의 수도인 연경(燕京)을 포위하자 좌상시(左常侍)로서 의정주등처안무사(義靜州等處安撫使)가 되어 명나라의 위협에 대비하였으며, 충근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우왕 초에 경상도도순문사로 왜구를 물리쳤고,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서북면도체찰사에 올랐다. 1379년(우왕 5) 문하평리(門下評理), 1383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군되었다. 다음해 밀직부사로서 전라도조전원수(全羅道助戰元帥)를 겸임, 1385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4] 1388년 요동 정벌군의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로 출정하였다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하였다. 이인임의 아버지의 사촌 누이 소생 아들이 배극렴과 조민수인데 조민수는 이인임이 자신을 천거해 준 은혜를 생각하여 이인임의 외종형제인 이임의 딸인 근비(謹妃)의 아들되는 왕창(王昌)을 세우려고 마음먹었다. 장수들이 자기의 뜻을 어기고 왕씨를 세울까 우려해 당시 명망있는 유학자였던 한산군(韓山君) 이색의 말을 끌어대보려고 은밀히 이색에게 물었다.[4] 이색도 역시 창을 옹립하려고 당연히 전임 왕의 아들로 왕을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성계가 조민수에게, 회군 때 했던 말은 어떻게 되었는가하고 힐문하자 조민수가 갑작스레 얼굴빛이 변하며, 이색이 이미 원자를 세우기로 결정했으니 어찌 어길 수 있겠는가라고 변명하며 결국 창을 왕으로 옹립했다. 이렇게 우왕을 폐하고 창왕을 세우는 데 중요구실을 하여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에 양광전라경상서해교주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西海交州道都統使)가 되었다.[4] 1389년(창왕 1)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하다가 조준 등의 탄핵으로 창녕에 유배되었다. 이해 창왕의 생일에 특사로 풀려나왔으나, 우왕의 혈통을 에워싼 논쟁으로 이성계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 1390년(공양왕 2)에 다시 창녕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3]

2. 2. 정치적 활동과 위화도 회군

1361년(공민왕 10) 순주부사(順州府使)로 여러 장군들과 함께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2등공신에 올랐다.[4] 1362년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를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였다.

1368년 명나라원나라의 수도인 연경(燕京)을 포위하자 좌상시(左常侍)로서 의정주등처안무사(義靜州等處安撫使)가 되어 명나라의 위협에 대비하였으며, 충근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우왕초에 경상도도순문사로 왜구를 물리쳤고,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서북면도체찰사에 올랐다.

1379년(우왕 5) 문하평리(門下評理), 1383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군되었다. 다음해 밀직부사로서 전라도조전원수(全羅道助戰元帥)를 겸임, 1385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388년 요동정벌군의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로 출정하였다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하였다. 이인임의 아버지의 사촌 누이 소생 아들이 배극렴과 조민수인데 조민수는 이인임이 자신을 천거해 준 은혜를 생각하여 이인임의 외종형제인 이임의 딸인 근비(謹妃)의 아들되는 왕창(王昌)을 세우려고 마음먹었다. 장수들이 자기의 뜻을 어기고 왕씨를 세울까 우려해 당시 명망있는 유학자였던 한산군(韓山君) 이색의 말을 끌어대보려고 은밀히 이색에게 물었다.

이색도 역시 창을 옹립하려고 당연히 전임 왕의 아들로 왕을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성계가 조민수에게, 회군 때 했던 말은 어떻게 되었는가하고 힐문하자 조민수가 갑작스레 얼굴빛이 변하며, 이색이 이미 원자를 세우기로 결정했으니 어찌 어길 수 있겠는가라고 변명하며 결국 창을 왕으로 옹립했다. 이렇게 우왕을 폐하고 창왕을 세우는 데 중요구실을 하여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에 양광전라경상서해교주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西海交州道都統使)가 되었다.

1389년(창왕 1)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하다가 조준 등의 탄핵으로 창녕에 유배되었다. 이해 창왕의 생일에 특사로 풀려나왔으나, 우왕의 혈통을 에워싼 논쟁으로 이성계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 1390년(공양왕 2)에 다시 창녕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3]

2. 3. 몰락과 죽음

1388년 요동정벌군의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로 출정하였다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에서 회군하였다.[3] 이인임의 아버지의 사촌 누이 소생 아들이 배극렴과 조민수인데 조민수는 이인임이 자신을 천거해 준 은혜를 생각하여 이인임의 외종형제인 이임의 딸인 근비(謹妃)의 아들되는 왕창을 세우려고 마음먹었다.[3] 장수들이 자기의 뜻을 어기고 왕씨를 세울까 우려해 당시 명망있는 유학자였던 한산군(韓山君) 이색의 말을 끌어대보려고 은밀히 이색에게 물었다.

이색도 역시 창을 옹립하려고 당연히 전임 왕의 아들로 왕을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3] 이성계가 조민수에게, 회군 때 했던 말은 어떻게 되었는가하고 힐문하자 조민수가 갑작스레 얼굴빛이 변하며, 이색이 이미 원자를 세우기로 결정했으니 어찌 어길 수 있겠는가라고 변명하며 결국 창을 왕으로 옹립했다.[3] 이렇게 우왕을 폐하고 창왕을 세우는 데 중요구실을 하여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에 양광전라경상서해교주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西海交州道都統使)가 되었다.[3]

1389년(고려 창왕 1)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하다가 조준 등의 탄핵으로 창녕에 유배되었다.[3] 이해 창왕의 생일에 특사로 풀려나왔으나, 우왕의 혈통을 에워싼 논쟁으로 이성계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다시 창녕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3]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조민수가 등장하는 작품

5. 관련 문화재


  • 창녕 창성부원군 조민수의 묘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282호이다.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45, 세가 45 1390-12-22
[2] 웹인용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0-05-05
[3]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웹인용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