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범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범죄는 일반적으로 사형 또는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지는 범죄를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법률 체계에 따라 정의와 처벌 기준이 다르게 적용된다. 영국의 경우 중범죄는 재산 몰수를 동반하는 범죄를 의미했으나, 1967년 형법에 따라 경범죄로 통합되었다. 미국에서는 연방법과 주법에 따라 중범죄를 규정하고 있으며, 심각성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분류된다. 독일은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지는 범죄를 중범죄로 정의하며, 카메룬에서는 최고 형량이 10년 이상 또는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를 중범죄로 분류한다. 중범죄는 대인, 재산, 사회적 법익 침해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폭력성 여부에 따라서도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죄 - 폭력
폭력은 자신, 타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행위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며, 자기 지향적, 대인, 집단 폭력으로 분류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여 예방과 개입을 위한 전략이 사용된다. - 범죄 - 가정폭력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과 지배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해자의 권력 및 통제 욕구, 세대 간 악순환,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보호를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범죄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범죄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 법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중범죄 | |
---|---|
중범죄 정보 | |
![]() | |
법률 분야 | 형법 |
범죄 요소 | |
행위 | Actus reus |
고의 | Mens rea |
인과 관계 | Causation |
동시성 | Concurrence |
형사 책임 범위 | |
종범 | Accessory |
방조죄 | Accomplice |
공범 | Complicity |
법인 책임 | Corporate |
주범 | Principal |
사용자 책임 | Vicarious |
범죄의 심각성 | |
중범죄 또는 정식 기소 범죄 | Felony (or Indictable offense) |
경범죄 (미국) | Infraction (also called violation) |
경범죄 또는 약식 기소 범죄 | Misdemeanor (or Summary offense) |
미수범 | |
미수죄 | Attempt |
범죄 공모 | Conspiracy |
선동죄 | Incitement |
교사죄 | Solicitation |
대인 범죄 | |
암살 | Assassination |
폭행 | Assault |
구타죄 | Battery |
아동 학대 | Child abuse |
업무상 과실치사상죄 | Criminal negligence |
가정 폭력 | Domestic violence |
불법 감금 | False imprisonment |
누명 | Frameup |
괴롭힘 | Harassment |
가택 침입 | Home invasion |
증오 범죄 | Hate crime |
살인 | Homicide |
인신매매 | Human trafficking |
협박 | Intimidation |
납치 | Kidnapping |
위협 | Menacing |
과실치사 | Manslaughter (기업 과실치사) |
상해죄 | Mayhem |
살인죄 | Murder |
강도살인죄 | felony |
예기치 않은 결과로 인한 살인 | Preterintention |
과실치사 | Negligent homicide |
강도죄 | Robbery |
스토킹 | Stalking |
칼부림 | Stabbing |
고문 | Torture |
성범죄 | |
간통 | Adultery |
중혼 | Bigamy |
아동 성 학대 | Child sexual abuse |
사이버 성매매 | Cybersex trafficking |
간음 | Fornication |
동성애의 범죄화 | Homosexuality |
근친상간의 합법성 | Incest |
음란 노출 | Indecent exposure |
자위 행위의 법률 | Masturbation |
외설 | Obscenity |
매춘 | Prostitution |
강간 | Rape |
소아 성애 | Pederasty |
성매매 | Sex trafficking |
성폭행 | Sexual assault |
성희롱 | Sexual harassment |
성노예 | Sexual slavery |
관음증 | Voyeurism |
재산 범죄 | |
방화 | Arson |
무기 밀매 | Arms trafficking |
공갈 | Blackmail |
뇌물 | Bribery |
강도질 | Burglary |
사이버 범죄 | Cybercrime |
횡령 | Embezzlement |
갈취 | Extortion |
사기죄 | False pretenses |
위조 | Forgery |
사기 | Fraud |
도박 | Gambling |
지적 재산권 침해 | Intellectual property violation |
절도 | Larceny |
약탈 | Looting |
불법 자금 제공 | Payola |
소매치기 | Pickpocketing |
장물 취득 | Possessing stolen property |
강도죄 | Robbery |
밀수 | Smuggling |
탈세 | Tax evasion |
절도 | Theft |
불법 침입 | Trespass to land |
기물 파손죄 | Vandalism |
재물 손괴 | Mischief |
사법 방해죄 | |
범죄 은닉 | Compounding |
직권 남용 | Malfeasance in office |
오심 | Miscarriage of justice |
범죄 불고지 | Misprision |
사법 방해 | Obstruction |
위증 | Perjury |
사법 방해 | Perverting the course of justice |
공공에 대한 범죄 | |
배교 | Apostasy |
구걸 | Begging |
부패 | Corruption |
검열 위반 | Censorship violation |
결투 | Dueling |
집단 학살 | Genocide |
인종 청소 | Ethnic cleansing |
인질극 | Hostage-taking |
내부자 거래 | Insider trading |
밀수 | Smuggling |
불법 소비 | Illegal consumption (such as prohibition of drugs, alcohol, and smoking) |
인종 혼합 금지법 | Miscegenation |
해적 | Piracy |
군주 살해 | Regicide |
테러 | Terrorism |
찬탈 | Usurpation |
전쟁 범죄 | War crimes |
동물에 대한 범죄 | |
동물 학대 | Cruelty to animals |
밀렵 | Poaching |
야생 동물 밀매 | Wildlife smuggling |
수의 성애 | Bestiality |
국가에 대한 범죄 | |
불경죄 | Lèse-majesté |
반역죄 | Treason |
간첩 행위 | Espionage |
분리 독립 | Secession |
선동 | Sedition |
전복 | Subversion |
책임에 대한 항변 | |
실제 무죄 | Actual innocence |
자율증 | Automatism |
동의 | Consent |
재산 방어 | Defense of property |
심신 미약 | Diminished responsibility |
강요 | Duress |
함정 수사 | Entrapment |
법률 부지 항변 | Ignorantia juris non excusat |
형사 책임 연령 | Infancy |
심신 상실 항변 | Insanity |
정당화 | Justification |
착오 | Mistake (법률의 착오) |
필요성 | Necessity |
도발 | Provocation |
정당방위 | Self-defense |
기타 보통법 영역 | |
계약 | Contracts |
형사 방어 | Defenses |
증거법 | Evidence |
재산법 | Property |
불법 행위 | Torts |
관련 포털 | |
법률 포털 | Law |
2. 역사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나 마약 소지 또는 판매[66], 살인죄, 강간죄, 공공기물에 대한 반달리즘 등은 중범죄로 간주된다. 죄의 형태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상황에 따라 경범죄 또는 중범죄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된 약품의 불법적인 제조, 유통 및 판매는 중범죄이지만, 같은 물질을 소량만 소지하는 행위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
2. 1. 한국
한국의 형법은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대륙법계와 영미법계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특히 1953년 제정된 형법은 중범죄와 경범죄를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시대 변화에 따라 중범죄의 범위와 처벌 수위를 조정해 왔다.2. 2. 서구권
서구권에서 중범죄(Felony)라는 용어는 봉건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재산 몰수와 같은 형벌과 관련이 있었다.독일의 고대 게르만족은 중범죄를 mientat이라 했고, 몰래 누군가를 해치려는 목적으로 장치를 한 경우를 음흉범죄(Neidingswerk)라고 하여 중하게 처벌하였다. 영미법 하에서 중범죄는 사형, 재산 몰수 또는 그 둘 모두로 처벌받는 범죄였다. 중범죄 혐의는 여전히 심각하지만, 비례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입법부는 징역의 단기형부터 구금형 대체, 또는 피고인이 보호관찰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것을 조건으로 모든 수감을 유예하는 것까지 덜 심각한 처벌을 부과하도록 허용해 왔다.[5][6][7] 범죄의 심각성을 측정하는 기준에는 특정 피해자 또는 일반적으로 사회에 미치는 범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비교하려는 시도가 포함된다.[8]
미국이 독립된 후 영국에서 유래한 가혹한 중범죄 법의 개혁은 "자유의 첫 열매 중 하나"로 여겨졌다.[9]
2. 2. 1. 영국
18세기 윌리엄 블랙스톤 경은 중범죄(felony)를 "관습법상 토지 또는 재산의 몰수를 초래하는 모든 종류의 범죄"로 정의했다.[33] 그러나 그는 "중범죄의 개념은 사형 선고의 개념과 너무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이 둘을 분리하기 어렵다"라고 인정했다.[33]19세기 형사법 개혁을 통해 사형 선고 대상 범죄는 점진적으로 줄었고, 1870년 몰수법에 의해 중범죄에 대한 몰수가 폐지되었다. 그 결과 중범죄와 경범죄의 구별은 점차 임의적이 되었다. 영국 및 웨일스 법률위원회는 중범죄를 전면 폐지할 것을 권고했고, 이는 1967년 형사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법은 범죄를 "체포 가능" 및 "체포 불가능" 범죄로 분류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다(5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지는 범죄에 대해 일반적인 체포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36]
2. 2. 2. 미국
미국 연방법에는 중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살인죄와 같은 극범죄에 대해서는 사형을 집행한다. 최근에는 보호관찰에서 징역형, 심한 경우에는 사형을 선고하여 중범죄를 다스리고 있다.[4]악한 습성의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마약 소지 또는 판매[66], 살인죄, 강간죄, 공공기물에 대한 반달리즘 등은 중범죄로 간주된다. 죄의 형태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상황에 따라 경범죄 또는 중범죄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된 약품(controlled substances)의 불법적인 제조, 유통 및 판매는 중범죄이지만, 같은 물질을 소량만 소지하는 행위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
3. 유형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마약 소지 또는 판매[66], 살인죄, 강간죄, 반달리즘 등은 중범죄로 간주된다. 범죄의 유형은 비슷하지만, 세부 상황에 따라 경범죄 또는 중범죄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규제 약품의 불법 제조, 유통, 판매는 중범죄이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일 수 있다.
미국은 연방법에 중범죄 처벌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 1년 이상의 징역이나 사형을 선고할 수 있다. 고대 독일 게르만족은 중범죄를 mientat이라 칭했고, 몰래 타인을 해치려는 목적의 장치는 음흉범죄(Neidingswerk)로 엄벌했다.
다음은 중범죄의 예시이다.
범죄 유형 | 설명 |
---|---|
동물 학대 | 동물을 학대하는 행위 |
협박 | 타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 |
절도(강도) | 타인의 재물을 빼앗는 행위 |
아동 학대 | 아동에게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를 가하는 행위 |
아동 포르노 | 아동 대상 음란물 제작, 배포, 소지 행위 |
사이버 범죄 | 컴퓨터,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 이용 범죄 |
음주 운전 | 음주 상태 운전 (신체 상해/사망, 특정 금액 이상 재산 피해 시 중범죄) |
위법 감금 | 타인의 자유를 불법 구속하는 행위 |
위조 | 문서, 화폐 등을 위조하는 행위 |
사기 | 타인을 속여 재산상 이익을 취하는 행위 |
중절도/중절도죄 | 법정 가치/수량 이상 상품 절도 |
신원 도용 | 타인 신분 정보 도용 범죄 |
마약 밀매, 제조, 판매, 유통 | 마약 불법 거래, 제조, 판매, 유통 (일부 관할 구역은 특정 마약 개인 소지도 중범죄) |
납치 | 타인을 불법 이동시키는 행위 |
과실치사 | 타인의 의도치 않은 죽음 초래 |
사법 방해 | 수사/재판 방해 행위 |
위증 | 법정 거짓 증언 행위 |
경찰 사칭 | 경찰관 사칭 범죄 |
강간/성폭행 | 동의 없는 성관계/성폭력 |
체포 저항 | 체포 저항 행위 (예: 고속 추격) |
강도/공갈 | 재물 강제 탈취/협박 갈취 |
권력 남용 | 권력 이용 부당 이익/타인 피해 |
탈세 | 세금 미납/축소 행위 |
미국 정부 관리 위협 | 경찰관, 판사 등 정부 관리 위협 |
반역죄 | 국가 배신 행위 |
연방 재산 훼손 | 국가 재산 파괴/손상 |
미국은 주별로 중범죄를 심각성과 처벌에 따라 분류한다.
- 버지니아주: 6급(경미: 1~5년 징역/최대 12개월 구금)~2급(20년~무기징역: 1급 살인, 가중 악의적 상해)~1급(무기징역)으로 분류.[11]
- 뉴욕주: E급(경미)~D, C, B, A-II급~A-I급(심각)으로 분류.
- 매사추세츠주: 징역형 수반 범죄를 중범죄로 분류.
- 오하이오주: 1급(심각)~5급(경미)으로 분류.[12]
- 텍사스주: 사형 집행 대상, 1~3급, 주 교도소 수감 대상 중범죄로 분류.[13]
일부 중범죄는 강력/폭력 범죄로 분류되어 추가 처벌을 받는다. 일리노이주[14], 플로리다주[15]는 절도도 강력 범죄로 분류한다.
3. 1. 대상에 따른 분류
중범죄는 크게 대인 범죄, 재산 범죄, 사회적 법익 침해 범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인 범죄: 살인죄, 강간죄, 폭행죄 등 개인의 생명, 신체, 자유를 침해하는 범죄이다.
- 재산 범죄: 강도죄, 절도죄, 사기죄 등 재산권을 침해하는 범죄이다.
- 사회적 법익 침해 범죄: 방화죄, 마약 관련 범죄, 반달리즘 등 사회 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이다.[66]
이러한 범죄들은 상황에 따라 중범죄 또는 경범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의 불법 제조, 유통, 판매는 중범죄이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일 수 있다.[10]
3. 1. 1. 대인 범죄
살인죄, 강간죄, 폭행죄, 위법 감금, 납치 등 개인의 생명, 신체, 자유를 침해하는 범죄가 중범죄에 해당한다.[66] 동물 학대, 아동 학대와 같은 행위 또한 중범죄로 간주된다.이러한 범죄는 상황에 따라 중범죄 또는 경범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의 불법 제조, 유통, 판매는 중범죄에 해당하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10]
3. 1. 2. 재산 범죄
강도죄, 절도(강도), 사기죄, 횡령, 배임 등 재산권을 침해하는 범죄는 재산 범죄에 해당한다.[66] 이러한 범죄는 개인의 재산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며,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된다. 특히, 보이스피싱과 같은 신종 금융 범죄는 많은 사람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사회적 경각심과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3. 1. 3. 사회적 법익 침해 범죄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나 마약을 소지 또는 판매한 죄[66], 반달리즘, 저작권 침해[10] 등은 사회 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사회적 법익 침해 범죄로 간주된다. 이러한 범죄는 상황에 따라 경범죄가 될 수도 있고 중범죄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규제된 약품의 불법 제조, 유통 및 판매는 중범죄에 해당하지만, 같은 물질을 소량만 소지한 경우에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다음은 사회적 법익 침해 범죄에 포함될 수 있는 범죄 유형이다.
범죄 유형 | 설명 |
---|---|
동물 학대 | 동물을 학대하는 행위 |
협박 | 타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 |
절도(강도) | 타인의 재물을 빼앗는 행위 |
아동 학대 | 아동에게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를 가하는 행위 |
아동 포르노 |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란물을 제작, 배포, 소지하는 행위 |
사이버 범죄 | 컴퓨터,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저지르는 범죄 |
음주 운전 |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하는 행위 (신체 상해 및/또는 사망을 수반하거나, 특정 금액 이상의 재산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 중범죄로 간주될 수 있음) |
위법 감금 | 타인의 자유를 불법적으로 구속하는 행위 |
위조 | 문서, 화폐 등을 위조하는 행위 |
사기 | 타인을 속여 재산상의 이익을 취하는 행위 |
중절도 또는 중절도죄 | 법률로 정한 특정 가치 또는 수량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절도 |
신원 도용 | 타인의 신분 정보를 도용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행위 |
마약 밀매, 제조, 판매, 유통 | 마약을 불법적으로 거래하거나 제조, 판매, 유통하는 행위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특정 유형의 마약을 개인적으로 소지하는 경우도 중범죄) |
납치 | 타인을 불법적으로 이동시키는 행위 |
과실치사 | 타인의 의도치 않은 죽음을 초래한 행위 |
사법 방해 | 수사나 재판을 방해하는 행위 |
위증 | 법정에서 거짓 증언을 하는 행위 |
경찰 사칭 | 경찰관을 사칭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행위 |
강간/성폭행 | 타인의 동의 없이 성관계를 맺거나 성적 폭력을 가하는 행위 |
체포 저항 | 체포에 저항하는 행위 (예: 고속 추격) |
강도/공갈 | 타인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거나 협박하여 갈취하는 행위 |
권력 남용 | 권력을 이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얻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 |
탈세 | 세금을 내지 않거나 속여서 적게 내는 행위 |
미국 정부 관리 위협 | 경찰관, 판사 등 정부 관리를 위협하는 행위 |
반역죄 | 국가에 대한 배신 행위 |
연방 재산에 대한 훼손 | 국가 소유의 재산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행위 |
이러한 범죄들은 사회 전체의 안전과 질서를 위협한다. 특히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 정당에서는 국가보안법 위반과 같은 범죄를 더욱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3. 2. 폭력성 여부에 따른 분류
중범죄는 크게 폭력 범죄와 비폭력 범죄로 나눌 수 있다.[10]폭력 범죄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폭력을 행사하거나 폭력으로 위협하는 범죄를 말한다. 일부 주에서는 재산 소유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는 특정 재산 범죄도 폭력 범죄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버지니아 주에서는 야간에 주택에 침입하는 주거침입죄와, 시간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범죄 목적으로 침입하는 법정 주거침입죄를 모두 중범죄로 취급한다.
비폭력 범죄는 직접적인 폭력은 없지만 사회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범죄이다. 마약이나 재산 관련 범죄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어떤 범죄는 상황에 따라 중범죄가 되기도 하고 경범죄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을 불법 제조, 유통, 소지하는 행위는 중범죄이지만, 소량만 소지한 경우에는 경범죄로 처벌될 수 있다. 치명적인 무기를 학교 등 제한 구역에 반입하는 행위는 사용할 의도가 없더라도 중범죄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음주운전은 처음에는 경범죄이지만, 반복될 경우 중범죄가 될 수 있다.
3. 2. 1. 폭력 범죄
살인, 강도, 강간, 가중폭행 등과 같이 직접적인 폭력 행위 또는 폭력의 위협을 동반하는 범죄가 이에 해당한다.[10] 상황에 따라, 재산 소유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는 특정 재산 범죄도 폭력 범죄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지니아주에서는 주거침입죄(절도, 폭행 등의 중범죄를 저지를 목적으로 야간에 주택에 침입하는 것) 및 법정 주거침입죄(추가적인 범죄를 저지를 목적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주택이나 시간 요건은 없으며 사업장 침입도 포함)는 중범죄로 다루어진다.3. 2. 2. 비폭력 범죄
사기, 횡령, 마약 소지, 저작권 침해[10] 등과 같이 직접적인 폭력 행위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범죄가 비폭력 범죄에 해당한다. 마약 또는 재산과 관련된 범죄의 대부분은 비폭력적인 것으로 간주된다.비폭력 범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사기
- 횡령 (주어진 원문에 횡령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요약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포함)
- 특정 종류 및 양의 마약류 제조, 판매, 유통 또는 유통 목적의 소지
- 국가 또는 주에 따라, 특정 종류의 마약류의 단순 소지 (일반적으로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 중절도죄 또는 중절도죄, 즉 일정한 법정 가액 또는 수량을 초과하는 물품에 대한 절도죄
- 저작권 침해[10]
- 위조
- 신원 도용
- 수표 사기
상황에 따라 중범죄 또는 경범죄가 될 수 있는 범죄도 있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의 불법 제조, 유통, 소지는 중범죄일 수 있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일 수 있다. 또한, 음주 운전은 초범인 경우 경범죄, 상습범인 경우 중범죄가 될 수 있다.
4. 대한민국 형법상 중범죄
대한민국 형법은 악한 습성의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마약 소지 또는 판매[66], 살인죄, 강간죄, 공공기물 반달리즘 등을 중범죄로 간주한다. 죄의 형태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상황에 따라 경범죄가 될 수도 있고 중범죄가 될 수도 있다.
4. 1. 주요 중범죄
대한민국 형법상 주요 중범죄로는 살인죄, 강간죄, 강도죄, 방화죄, 마약 관련 범죄, 국가보안법 위반 등이 있다.[10] 특히,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짐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은 성범죄 처벌 강화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해 왔다.상황에 따라 중범죄 또는 경범죄가 될 수 있는 범죄도 있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의 불법 제조, 유통, 소지는 중범죄에 해당하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 또한, 치명적인 무기 소지는 일반적으로 합법적이지만, 학교와 같은 제한 구역에 반입하는 경우, 사용 의도와 관계없이 중대한 범죄로 간주될 수 있다. 주에 따라 음주 운전은 초범인 경우 경범죄, 상습범인 경우 중범죄가 될 수 있다.
4. 2. 처벌
미국에서는 연방법에 중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 1년 이상의 징역형이나 사형을 집행한다.[66] 중범죄는 보호관찰에서 징역형, 심한 경우에는 사형을 선고하여 죄를 다스린다. 1776년 영국과 미국의 법 체계가 분리되었을 당시의 영미법에서는 중죄란 사형 또는 재산 몰수 중 하나를 형벌로 하는 범죄를 의미했다.[48][49][50]범죄의 심각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는, 어떤 범죄가 그 피해자 또는 사회 일반에 미친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는 시도도 있다.[51] 주에 따라서는 모든 또는 많은 중죄가 그 범죄의 심각성 및 유죄 판결에 따라 여러 등급 중 하나로 분류된다. 범죄 등급의 수와 그에 해당하는 범죄는 주마다 다르며, 이를 결정하는 것은 주 의회이다. 일반적으로 주 의회는 중죄 각 등급에 대해 허용되는 형벌의 상한선도 결정한다.
예를 들어,
- 버지니아주에서는 많은 중죄가 숫자로 분류되며, 6급(1년에서 5년의 징역 또는 12개월까지의 구류)부터 2급(20년에서 무기징역. 예를 들어, 1급 살인죄나 가중 고의 상해죄)을 거쳐 1급(무기징역 또는 사형. 특정 유형의 살인죄)에 이른다.
- 뉴욕주에서는 중죄가 문자로 분류되며, 일부 등급은 로마 숫자로 하위 분류된다. 등급은 E급(가장 가벼운 중죄 포함)부터 D급, C급, B급, A-Ⅱ급을 거쳐 A-Ⅰ급(가장 무거운 것 포함)에 이른다.
독일의 고대 게르만족의 경우 중범죄를 mientat이라 했고 예를 들어 몰래 누군가를 해치려는 목적으로 장치를 한 경우를 음흉범죄(Neidingswerk)라고 하여 중하게 처벌하였다.
5. 다른 국가의 중범죄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마약 소지 및 판매[66], 살인죄, 강간죄, 공공기물 반달리즘 등은 여러 국가에서 중범죄로 간주된다. 죄의 형태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상황에 따라 경범죄가 될 수도 있고 중범죄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규제된 약품의 불법 제조, 유통 및 판매는 중범죄이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에 그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법에 중범죄 처벌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 1년 이상의 징역이나 사형을 선고한다. 고대 게르만족은 중범죄를 'mientat'이라 칭했고, 몰래 해치려는 목적의 장치를 하는 '음흉범죄(Neidingswerk)'를 중하게 처벌했다.
5. 1. 미국
미국에서 중범죄(felony)는 사형 또는 1년 이상의 징역에 처해지는 범죄이다.[4] 살인죄, 강간죄, 가중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주거침입죄, 여러 가지 사기죄, 특정 종류 및 양의 마약류 제조, 판매, 유통 또는 유통 목적의 소지, 반역죄, 유괴죄, 위증죄 등이 중범죄에 해당한다.중범죄는 크게 폭력적인 범죄와 비폭력적인 범죄로 나뉜다. 폭력적인 범죄는 사람에 대한 폭력 또는 폭력에 의한 위협을 포함하며, 버지니아주에서는 주거침입죄가 폭력적인 범죄로 간주된다. 마약 또는 재산 관련 범죄는 대부분 비폭력적인 범죄로 분류된다.
범죄의 상황에 따라 중범죄와 경범죄가 구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규제 물질의 불법 제조, 유통, 소지는 중범죄이지만, 소량 소지는 경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음주운전은 초범일 경우 경범죄이지만, 2회 이상일 경우 중범죄가 될 수 있다.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은 형기 만료 후에도 장기간 법적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는 투표권 박탈, 특정 직업 허가 거부, 총기 소지 제한, 배심원 자격 상실, 정부 지원 주택 입주 불가 등이 포함된다.[57] 또한, 취업 및 주거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가석방 조건으로 다른 중범죄자와의 교류가 금지되기도 한다.[57]
중범죄자의 법적 지위는 영구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항소 승소 또는 사면을 통해서만 해소될 수 있다.[57] 다만, 일부 주에서는 일정 기간 경과 후 특정 권리 회복을 신청할 수 있다.
5. 2. 독일
독일 형법(Strafgesetzbuchde)에서 중범죄(Verbrechende)는 최소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지는 불법 행위(rechtswidrige Tatde)로 정의된다.[38] 경범죄(''Vergehen'')는 그 밖의 범죄로서, 최소 1년 미만의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진다.[39] 다만, 경우에 따라 경범죄 중에서도 중한 경우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지만, 범죄 자체는 여전히 경범죄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중범죄 중에서도 가벼운 경우 1년 미만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40]중범죄를 시도하는 것은 그 자체로 범죄가 되지만, 경범죄를 시도하는 것은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범죄가 된다.[41]
5. 3. 일본
일본은 형법상 중죄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폭행죄, 방화죄, 강도죄, 마약 소지 및 판매, 살인죄, 강간죄, 공공기물 반달리즘 등 중대한 범죄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다.[66]5. 4. 카메룬
카메룬 법에서 중범죄는 최고 형량이 10년 이상이거나 사형인 범죄이다.[29] 중범죄는 경범죄(최고 형량 10일~10년) 및 위반행위(10일 이하)와 구별된다.[30] 경범죄는 치안판사 법정에서 재판받는 반면, 중범죄는 고등법원(''tribunal de grande instance'')에서 재판받아야 한다.[31]1967년 카메룬의 이중언어 형법을 제정한 입법자들은 프랑스법과 나이지리아법을 바탕으로 작업을 수행했다. 중범죄의 경우, 프랑스법(5년)이나 나이지리아법(3년)보다 중범죄의 기준을 훨씬 높게 설정하여 카메룬 법에 따른 중범죄의 수를 크게 줄였다. 또한 당시 동카메룬 법원에서 배심원 재판의 대상이 되는 범죄의 수도 줄였다.[32]
6. 중범죄와 관련된 문제점 및 논란
중범죄의 범위와 처벌 수위에 대한 사회적 논쟁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중범죄 유죄 판결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법적 불이익에 대한 논란이 크다.
주법상 유죄 판결의 경우, 범죄 기록 말소는 주 법률에 따라 결정된다. 많은 주에서 범죄 기록 말소를 허용하지 않지만, 중범죄자는 사면과 특사를 신청할 수 있으며, 권리 회복도 포함될 수 있다.[26]
연방법에는 연방 미국 지방 법원에서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의 기록 말소 신청 조항이 없다.[27] 현재 연방 법원에서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유일한 구제는 대통령 사면이며, 이는 유죄 판결을 말소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한 시민적 불이익으로부터 구제를 부여하는 것이다.[27][28]
6. 1. 과잉 처벌 논란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중범죄자는 수감 생활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법적인 불이익을 겪는다. "중범죄자"라는 지위는 영구적이며, 형벌 집행이 완료되거나 가석방, 집행유예 등으로 조기 석방되어도 사라지지 않는다.[16] 이 지위는 항소나 사면권 행사를 통해서만 없어질 수 있다. 그러나 중범죄자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부 권리를 회복할 수도 있다.[17][18]대부분의 주에서 중범죄자들이 겪는 불이익은 다음과 같다.
불이익 종류 | 내용 |
---|---|
참정권 박탈 | 14조 수정 조항에 명시적으로 허용되며, 대법원의 리차드슨 대 라미레즈 판결에서 언급됨[19] |
직업 제한 | 비자나 전문 자격증 취득 불가, 일부 직업 금지[20], 노동 조합 직책 수행 불가 (1959년 랜드럼-그리핀 법 조항) |
무기 소지 제한 | 화기, 탄약, 방탄복 구매 및 소지 불가 |
공직 참여 제한 | 배심원 복무 불가 |
복지 혜택 제한 | 정부 지원 또는 복지 수급 불가 |
강제 추방 | 시민이 아닌 경우 해당 |
많은 구직 신청서와 임대 신청서에 중범죄 전력을 묻는 항목이 있으며(매사추세츠 연방주에서는 금지[21]), 거짓으로 답하면 신청이 거부되거나 나중에 발각되면 해고될 수 있다. 중범죄자는 특정 전문 자격증이나 보증을 받기 어려울 수 있고,[22] 이들을 고용하면 고용주의 보험료가 오를 수 있다.
고용[23] 및 임대 결정에서 중범죄자에 대한 차별은 광범위하게 합법적이다(중범죄자 임대 거부 전면 금지는 연방 주택법 위반 가능성[24]). 따라서 중범죄자는 일자리와 주택을 구하기 어렵다. 가석방 협정 조건으로 다른 중범죄자와 교류를 피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중범죄 유죄 판결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많은 중범죄자가 가석방 위반으로 체포될 위험을 안고 살아가기도 한다.[16] 은행은 중범죄자에게 대출을 거부할 수 있고, 중범죄 유죄 판결은 은행이나 금융 분야 취업을 방해할 수 있다.[25]
일부 주에서는 피해자 배상, 미납 벌금 등 중범죄자 체포, 처리, 수감 관련 비용을 상환해야 권리가 회복되기도 한다.[16]
6. 2. 범죄 예방 및 재범 방지
미국에서는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이 형 집행을 마친 후에도 장기간 법적 불이익을 겪는다. "중범죄자"라는 낙인은 영구적이며, 가석방, 집행유예, 조기 석방 여부와 관계없이 사라지지 않는다.[16] 이 낙인은 항소 성공이나 사면을 통해서만 없어질 수 있다. 다만, 일정 기간 후에는 일부 권리 회복이 가능하다.[17][18]중범죄자가 겪는 불이익은 다음과 같다.
- 참정권 박탈: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14조에 명시적으로 허용되며, 미국 연방 대법원의 ''리차드슨 대 라미레즈'' 판결에서도 언급되었다.[19]
- 비자 또는 전문 자격증 취득 제한 및 일부 직업 접근 금지[20]
- 노동 조합 간부 자격 박탈 (1959년 랜드럼-그리핀 법 조항)
- 화기, 탄약, 방탄복 구매 및 소지 금지
- 배심원 복무 자격 박탈
- 정부 지원 또는 복지 혜택 수급 자격 박탈
- (시민권자가 아닌 경우) 강제 추방
중범죄자는 구직 및 임대 과정에서 차별을 받는다.[23] 많은 구직/임대 신청서에 중범죄 전과 기록 질문이 포함되며, 허위 답변은 거부 또는 해고 사유가 될 수 있다. 특정 전문 자격증 취득이 불가능하고, 고용주의 보험료가 증가할 수 있다.[22]
중범죄자에 대한 고용 및 임대 차별은 합법적이다. 따라서 중범죄자는 일자리와 주거 공간을 찾기 어렵다. 가석방 조건에는 다른 중범죄자와의 교류 금지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중범죄 유죄 판결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가석방 위반으로 체포될 위험이 상존한다.[16] 은행은 대출을 거부할 수 있고, 금융 분야 취업도 제한될 수 있다.[25]
일부 주에서는 피해자 배상, 벌금, 수수료 납부 여부에 따라 권리 회복이 결정된다.[16]
중범죄로 잃은 시민권을 회복하는 주요 방법은 행정부의 사면과 범죄 기록 말소이다. 주법에 따른 유죄 판결의 범죄 기록 말소는 주 법률에 따라 다르다. 많은 주에서 범죄 기록 말소를 허용하지 않지만, 사면 및 특사 신청을 통해 권리 회복이 가능하다.[26]
연방법에는 연방 미국 지방 법원에서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의 기록 말소 신청 조항이 없다.[27] 현재로서는 대통령 사면이 유일한 구제책이며, 이는 유죄 판결을 말소하는 대신 시민적 불이익을 해소한다.[27][28]
6. 3. 피해자 지원 및 권리 보호
(주어진 문서는 '피해자 지원 및 권리 보호' 섹션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원본 소스에서 해당 섹션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요약에 제시된 문장만을 출력합니다.)중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권리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Invasion of the Information Snatchers: Creating Liability for Corporations with Vulnerable Computer Networks
https://repository.j[...]
2019-06-09
[2]
서적
Evidence in trials at common law
Little Brown
1979
[3]
법규
[4]
웹사이트
What Happens in a Felony Case
https://www.justice.[...]
Office of the United States Attorney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Illinois
2022-06-08
[5]
서적
Doing Justice – The Choice of Punishments
1976
[6]
서적
Criminology
[7]
논문
An Economic Analysis of the Criminal Law as a Preference-Shaping Policy
https://www.jstor.or[...]
1990
[8]
논문
Offense seriousness scaling: An alternative to scenario methods
https://doi.org/10.1[...]
1993-09-01
[9]
논문
Felony Law Reform in the Early Republic
1989-04-01
[10]
간행물
Legislative History – Copyright Felony Act. H.R. REP. NO. 997.
[11]
웹사이트
§ 18.2-10. Punishment for conviction of felony; penalty.
http://leg1.state.va[...]
2017-11-19
[12]
법규
[13]
웹사이트
About Texas Felonies
https://mac.harrisco[...]
Office of Managed Assigned Counsel, Harris County, Texas
2024-08-06
[14]
법규
[15]
웹사이트
Chapter 776 Section 08 - 2011 Florida Statutes - The Florida Senate
https://flsenate.gov[...]
2022-06-08
[16]
서적
The New Jim Crow: Mass Incarceration in the Age of Colorblindness
The New Press
[17]
웹사이트
Felon Voting Rights
http://www.ncsl.org/[...]
2016-09-29
[18]
웹사이트
Loss and Restoration of Civil Rights & Firearms Rights
https://ccresourcece[...]
Collateral Consequences Resource Center
2017-05-01
[19]
웹사이트
Richardson v. Ramirez, 418 US 24, 94 S. Ct. 2655, 41 L. Ed. 2d 551 (1974)
https://scholar.goog[...]
2017-09-07
[20]
논문
Combat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Formerly Incarcerated in the Labor Market
https://scholarship.[...]
2020-02-11
[21]
웹사이트
Massachusetts Law about Criminal Records
http://www.mass.gov/[...]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2017-09-07
[22]
웹사이트
Federal Bonding Program
http://bonds4jobs.co[...]
U.S. Department of Labor
2017-09-07
[23]
웹사이트
EEOC Enforcement Guidance: Enforcement Guidance on the Consideration of Arrest and Conviction Records in Employment Decisions
https://www.eeoc.gov[...]
2017-09-07
[24]
웹사이트
Denying Housing Over Criminal Record May Be Discrimination, Feds Say
https://www.npr.org/[...]
2016-04-04
[25]
뉴스
FDIC quietly changes rule that cost thousands their jobs
https://www.usatoday[...]
2013-07-25
[26]
웹사이트
Restoration of Rights Project
https://ccresourcece[...]
2017-09-07
[27]
웹사이트
Federal Restoration of Rights, Pardon, Expungement & Sealing
https://ccresourcece[...]
Collateral Consequences Resource Center
2017-09-07
[28]
웹사이트
Pardon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https://www.justice.[...]
2017-09-07
[29]
법규
Republic of Cameroon, Law No. 2016/007 of July 12, 2016, Relating to the Penal Code, section 21
https://www.droit-af[...]
[30]
웹사이트
The Sentencing System under Cameroon Criminal Law
https://dayspringlaw[...]
Dayspring Law Firm
2018-01-01
[31]
웹사이트
The Force of the Cameroon Legal System
https://www.hg.org/l[...]
Henry, Samuelson & Co.
[32]
논문
The Cameroon Penal Code: Practical Comparative Law
https://www.jstor.or[...]
1968-07-01
[33]
서적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http://www.lonang.co[...]
Clarendon Press
1765
[34]
서적
[35]
웹사이트
Criminal Law
https://www.law.corn[...]
2021-08-28
[36]
법률
Serious Organised Crime and Police Act 2005
[37]
서적
A First Book of English Law
Sweet and Maxwell
1960
[38]
웹사이트
StGB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u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39]
웹사이트
StGB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u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40]
웹사이트
StGB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41]
웹사이트
StGB Section 23: Criminality of the Attempt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42]
웹사이트
Criminal Law Act, 1997
https://web.archive.[...]
Irish Statute Book
2013-06-12
[43]
간행물
CONSOLIDATION AND REFORM OF THE COURTS ACTS
http://www.lawreform[...]
Law Reform Commission
2013-06-12
[44]
웹사이트
Criminal Law Bill, 1996: Second Stage.
http://www.oireachta[...]
1997-02-26
[45]
법률
Constitution of Ireland, Article 15.13
[46]
보고서
Report
https://web.archive.[...]
Stationery Office
2013-08-08
[47]
법률
§ 3559. Sentencing classification of offenses
[48]
서적
Doing Justice ? The Choice of Punishments
1976
[49]
서적
Criminology
[50]
논문
An Economic Analysis of the Criminal Law as Preference-Shaping Policy
http://www.jstor.org[...]
1990-02
[51]
논문
Offense Seriousness Scaling: An Alternative to Scenario Methods
http://www.springerl[...]
[52]
서적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http://www.lonang.co[...]
Clarendon Press
1765
[53]
기타
Blackstone
[54]
법률
Serious Organised Crime and Police Act 2005
[55]
서적
A First Book of English Law
Sweet and Maxwell
1960
[56]
논문
Felony Law Reform in the Early Republic
The Pennsylvania Magazine of History and Biography
1989-04
[57]
서적
The New Jim Crow: Mass Incarceration in the Age of Colorblindness
The New Press
2010
[58]
웹사이트
Pardon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http://www.usdoj.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59]
웹사이트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u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60]
웹사이트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u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61]
웹사이트
Section 12: Felonies and Misdemeanours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62]
웹사이트
Section 23: Criminality of the Attempt
http://www.gesetze-i[...]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63]
웹사이트
http://www.legifranc[...]
[64]
뉴스
국제분쟁 가장 현실적인 답은 중재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5-18
[65]
웹사이트
§ 3559. Sentencing classification of offenses
http://www.law.corne[...]
2010-06-17
[66]
웹사이트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http://www.lawnb.com[...]
법률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