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수부장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수부장군은 일본의 고대 군사 관직으로, 무쓰국과 데와국의 방위를 담당했다. 나라 시대에는 오노노 아즈마비토가 초대 진슈쇼군으로 임명되었으며, 다가 성에 진수부가 설치되었다. 이후 이사와 성으로 이전하면서 무쓰 국부와 분리되어 행정 관료화되었다. 전9년의 역, 후3년의 역 이후에는 데와국까지 군사 지휘권을 행사하기도 했다. 특히 세이와 겐지 가문에서 대대로 진슈부장군을 역임하며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으나, 가마쿠라 막부 개창 이후 유명무실해졌다. 겐무 신정 시기에 잠시 부활하기도 했으며, 남북조 시대를 마지막으로 임명이 끊겼다. 에도 시대에는 닛타 요시시게에게 추증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장군 - 위문부
    위문부는 유게오히의 전통을 계승하여 궁성의 성문 경비를 담당했던 관청으로, 덴표호지 2년 사문위로 개칭되었다가 다이토 3년에 좌우 위사부에 합병되어 좌우 위사부로 일원화되었으며, 가마쿠라 시대 이후 무가에서 관직을 선호했다.
  • 일본의 장군 - 근위대장
    근위대장은 나라, 헤이안 시대 근위부의 장관으로, 좌우 근위부 재편 후 대신이나 대납언이 겸직하는 공경의 관직이 되었으며, 무가 정권 시대에도 임명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특정 가문이 독점하는 경향을 보인 명예로운 지위였다.
  • 데와국 - 기사카타 지진
    1804년 데와국 기사카타(현재의 아키타현 니카호시)에서 발생한 기사카타 지진은 유리군, 아쿠미군, 타가와군을 중심으로 큰 피해를 야기했으며, 특히 기사카타 지역은 지반 균열과 액상화 현상이 심했고 지진 해일과 지각 융기로 해안 지형에 변화를 가져왔다.
  • 데와국 - 구보타성
    구보타성은 1602년 사타케 요시노부가 축성하여 구보타 번의 번청으로 사용된 성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폐성되었으나 현재는 센슈 공원으로 조성되어 망루와 정문이 복원되어 있으며 사타케 역사자료관 등의 시설이 남아 있고 일본 100명성 중 하나이다.
  • 에조 - 미시하세
    미시하세 또는 아시하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숙신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숙신의 위치와 정체성은 논쟁 중이며, 다양한 지역과 민족과의 관련성이 추정되지만 일본 중심적인 기록이므로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에조 - 아베노 히라후
    아베노 히라후는 7세기 일본의 인물로, 에조 정벌과 백제 부흥 원정에 참여했으나 기록의 신빙성에 논란이 있으며, 그의 가계와 업적에 대한 해석은 일본과 한국의 관점에서 상반된다.
진수부장군
진수부 장군
유형관직
설치 시기나라 시대
폐지 시기가마쿠라 막부 말기
역할진수부의 장관
겸임무쓰노카미
데와노카미
상세 정보
임명 대상무쓰 국, 데와 국의 군정을 맡을 수 있는 자
정원1명 (때로는 여러 명)
위계종4위 상당
역사
기원7세기 후반 다자이후에 설치된 진수부
초기 역할북방 에미시에 대한 군사적 통제
나라 시대721년: 오노노 오즈를 임명
774년: 이시카와노 다테마로를 임명하여 에미시 정벌 개시
헤이안 시대797년: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를 임명
801년: 다무라마로가 에미시 정벌 성공
이후: 군사적 역할 축소, 명예직화
가마쿠라 시대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부활
호조 씨가 독점
오슈 합전 이후 유명무실화
같이 보기
관련 항목진수부
무쓰노카미
데와노카미
에미시

2. 연혁

나라 시대의 오노노 아즈마비토가 초대 진슈쇼군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사령부는 처음 '진쇼'(鎮所)로 불리다 나중에 '진슈후'로 불렸다. 진키 원년(724년)에 다가성(多賀城)에 성곽이 축조된 후에는 그곳에 설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진슈쇼군은 무쓰, 데와 양국에 주둔하는 병사[16]를 지휘하고 평시에 단 한 명의 장군으로서 양국의 북방에 있던 에미시와 대치하여 양국의 방위를 통괄했다.[17] 무쓰노카미나 무쓰 안찰사가 진슈쇼군을 겸임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다.

세이이타이쇼군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엔랴쿠 21년(802년)에 이사와 성을, 22년(803년)에 시바 성을 쌓았다. 축성과 함께(혹은 몇 년 뒤) 진주후는 이사와로 이전한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하게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20] 이사와로 옮기기 전의 진수부장군은 무쓰노카미나 무쓰 아제치가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 정군 양권을 아울러 북방을 다스리는 직책이었으나, 이전 후에는 전임이 되어 무쓰노카미보다 지위가 약간 낮아졌다.

전9년의 역, 후3년의 역의 발생으로 아키타 성의 기능도 진수부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현지 지휘관으로서 데와 국까지 미치는 군사 지휘권을 부여받아 부활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21]

진수부장군은 무사 가문에게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고, 많은 무사가 이 자리에 임명되었다. 특히 세이와 겐지미나모토노 쓰네모토 이후 대대로 그 후손들에게 진수부장군 직책이 맡겨졌다.[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마쿠라 막부를 연 이후에는 세이이타이쇼군(정이대장군)이 상설직이 되었기 때문에 진수부장군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1] 그러나 겐무 신정 하에서는 일시 부활하여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 기타바타케 아키노부 등이 임명되었다.[1] 남북조 시대를 끝으로 진수부장군은 더 이상 임명되지 않았다.[1]

2. 1. 다가 성 시대

진슈쇼군[14]의 기원은 명확하게 기록된 사료는 없으나, 알려진 바로는 나라 시대의 오노노 아즈마비토(大野東人)가 가장 오래되었으며, 그가 초대 진슈쇼군이었다고 한다. 사령부는 처음 '진쇼'(鎮所)로 불리다 나중에 '진슈후'로 불렸다. 진키 원년(724년)에 다가성(多賀城)에 성책이 축조된 후에는 그곳에 설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가에는 또한 무쓰 국부가 놓여 있었다.

진슈쇼군은 무쓰, 데와 양국에 주둔하는 병사[16]를 지휘하고 평시에 단 한 명의 장군으로서 양국의 북방에 있던 에미시와 대치하여 양국의 방위를 통괄했다.[17] 무쓰노카미나 무쓰 안찰사가 진슈쇼군을 겸임하여, 정치권과 군사권 모두를 갖는 경우도 자주 있었다.

2. 2. 이사와 성 시대

세이이타이쇼군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엔랴쿠 21년(802년)에 이사와 성을, 22년(803년)에 시바 성을 쌓았다. 축성과 함께(혹은 몇 년 뒤) 진주후는 이사와로 이전한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하게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20] 이사와보다 앞서 시바에 설치되었던 시기도 있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후의 진수부장군은 무쓰 국부와는 떨어져서 이사와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이사와로 옮기기 전의 진수부장군은 무쓰노카미나 무쓰 아제치가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 정군 양권을 아울러 북방을 다스리는 직책이었으나, 이전 후에는 전임이 되어 무쓰노카미보다 지위가 약간 낮아졌다. 행정관화된 장군의 직권이 국사의 직권과 중복되는 부분도 있어 장군과 국사의 격렬한 대립이 종종 일어났다. 이 때문에 진수부장군은 조기에 뛰어난 무사에게 주어지는 명예직으로 변모하여 진수부에 있는 일도 적어졌고, 무쓰진수부는 무쓰국부보다 먼저 일단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전9년의 역, 후3년의 역의 발생으로 아키타 성의 기능도 진수부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현지 지휘관으로서 데와 국까지 미치는 군사 지휘권을 부여받아 부활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21] 한편 진수부장군 자체가 아니라 기요하라 씨가 진수부, 아키타 성 양쪽의 재청관인들을 장악하고 있었고, 그 위에 무쓰노카미가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22]

2. 3. 이후

진수부장군은 무사 가문에게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고, 많은 무사가 이 자리에 임명되었다. 특히 세이와 겐지미나모토노 쓰네모토 이후 대대로 그 후손들에게 진수부장군 직책이 맡겨졌다.[1] 쓰네모토의 적남 미쓰나카, 미쓰나카의 아들 요리미츠, 요리노부를 비롯해 특히 요리노부의 가계인 가와치 겐지에서 요리노부 이후, 요리요시와 요시이에 부자가 진수부장군으로 임명되었다.[1] 쓰네모토 이래 요시이에까지 5대에 걸친 진수부장군 임관은 요시이에나 그 조상들의 무명(武名)과 어우러져 일본에서 무가의 도료로써 가와치 겐지의 이름을 높이게 되었다.[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마쿠라 막부를 연 이후에는 세이이타이쇼군(정이대장군)이 상설직이 되었기 때문에 진수부장군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1] 그러나 겐무 신정 하에서는 일시 부활하여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 기타바타케 아키노부 등이 임명되었다.[1] 다만, 이 인사는 관위상당제를 무시한 것이었기 때문에, 아키이에 자신의 주청에 의해, 3위 이상의 공경이 이 직에 임관할 때에는 '''진수부다이쇼군'''(진수부대장군)이라고 호칭해, 세이이타이쇼군과 동격으로 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 남북조 시대를 끝으로 진수부장군은 더 이상 임명되지 않았지만,[1] 에도 시대에 들어서 도쿠가와 쇼군가의 선조로 여겨진 닛타 요시시게에게 진수부장군이 추증되었다.[1]

3. 역대 진수부 쇼군 목록

진수부장군(진수부 쇼군)을 역임한 인물 목록이다. 사료상 명확한 인물을 임관 순으로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지만, 《아즈마카가미》에 따르면 70여 명에 이르기 때문에 누락이나 미비가 있을 수 있다. 계도(系図)류에만 보이는 인물에 대해서도 추정에 의해 일부 보충(표)했다. 사료성의 문제 등으로 의문이 있는 인물은 참고로 말미에 게재했다.

이름보임(불확실한 경우 첫 등장)겸직 ・ 위계전거 ・ 비고
오노노 아즈마히토- 덴표(天平) 원년 9월(729년 10월) 보인다. -안찰사 겸임, 종4위하
오토모노 고마로덴표쇼호(天平勝宝) 9년 6월 16일(757년 7월 6일) 임명좌대변 겸임, 정4위하같은 해 7월 4일(7월 24일) 죄를 지어 죽었다.
후지와라노 에미노 아사카리- 덴표호지(天平宝字) 4년 1월(760년 1월) 보인다. -무쓰 안찰사 겸임, 정5위하
다나카노 오타마로덴표호지 8년 9월 29일(764년 10월 28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4위하
이시카와나타리진고케이운(神護景雲) 2년 9월 4일(768년 10월 18일) 임명야마토노카미 겸임, 정5위상
사카노우에노 카리타마로진고케이운 4년 9월 16일(770년 10월 9일) 임명정4위하
사에키노 미노호키 2년 윤3월 1일(771년 4월 20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4위하
오토모노 스루가마로호키 4년 7월 21일(773년 8월 13일) 임명무쓰 안찰사 ・ 무쓰노카미 겸임, 정4위하호키 7년 7월 7일(776년 7월 26일) 졸하였다.
기노 히로즈미- 호키 8년 12월(778년 1월) 보인다. -정5위하 훈5등종4위하 훈4등
오토모노 야카모치덴오(天応) 2년 6월 17일(782년 7월 31일) 임명무쓰 안찰사 ・ 춘궁대부 겸임, 종3위
백제왕 준철- 엔랴쿠(延暦) 6년 윤5월 5일(787년 6월 24일) 해임정5위상휴가 권개로 좌천되었다.
다지히노 우미엔랴쿠 7년 2월 28일(788년 4월 8일) 임명무쓰 안찰사 ・ 무쓰노카미 겸임, 정5위하
백제왕 준철엔랴쿠 10년 9월 22일(791년 10월 23일) 임명시모쓰케노카미 겸임, 정5위상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엔랴쿠 15년 10월 27일(796년 11월 30일) 임명고노에쇼쇼 겸임, 종4위하
백제왕 교슌- 다이도 3년 6월(808년 7월) 보인다. -무쓰개 겸임, 종5위하
사에키노 미미마로다이토 4년 1월 16일(809년 2월 4일) 임명종5위하
모노노베노 사소아시쓰구고닌(弘仁) 3년 2월 10일(812년 3월 26일) 임명외종5위상
사카노우에노 조야고닌 10년 1월(819년 2월) 임명종5위하문덕실록》 졸전(卒伝)
모노노베노 사소 쿠마이조와 원년 5월 19일(834년 6월 29일) 임명전주전윤, 외종5위하
사소 스에요리- 조와 4년 4월(837년 5월) 보인다. -외종5위하?
미하루노 하마누시조와 7년 1월 30일(840년 3월 7일) 임명종5위하
사카노우에노 무네무네조와 13년 2월 11일(846년 3월 11일) 임명무쓰개 겸임, 종5위하
반노 미무네가쇼 4년 1월 11일(851년 [2월 15일]]) 임명종5위하닌주(仁寿) 4년 8월 16일(854년 9월 11일) 졸하였다.
후미야노 미치요닌주(仁寿) 4년 8월 17일(854년 9월 12일) 임명전 우근위장감, 종5위하
오노노 하루에다사이코 3년 2월 8일(856년 3월 17일) 임명종5위하
사카노우에노 아토미치덴난(天安) 3년 1월 16일(859년 2월 22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5위하이름은 타카미치라고도 한다.
오노노 하루에다조간 2년 2월 14일(860년 3월 10일) 임명종5위하
후미야노 칸라조간 7년 1월 27일(865년 2월 26일) 임명전 무쓰개, 종5위하
미하루노 센노조간 10년 1월 16일(868년 2월 13일) 임명종5위하
아베노 히타카조간 말년( - 876년) 임명종5위하오노노 하루카제의 전임자
오노노 하루카제간교(元慶) 2년 6월 8일(878년 7월 11일) 임명종5위하일설에는 같은 해 5월 4일(6월 8일) 임명되었다고 한다.
아베노 미츠토라간교 8년 3월 9일(884년 4월 8일) 임명원래 사바노스케, 종5위상
미하루노 타네자네닌나(仁和) 2년 1월 16일(886년 2월 23일) 임명종5위하
후지와라노 토키나가《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시게나가- 엔기(延喜)10년 5월(910년 6월) 보인다. -《서궁기》 권8
후지와라노 토시히토엔기 15년(915년)? 임명되었다종4위하?《손피빈먀쿠》. 이름은 도시히라(利平)라고도 한다.
타이라노 쿠니카《손피빈먀쿠》
타이라노 요시마사엔초(延長) 연간(923년 - 930년)? 임명되었다종5위하부상략기》. 이름은 요시모치(良持)라고도 한다.
후지와라노 아리나리《손피빈먀쿠》. 호 ・ 주 쇼군(中将軍)
타이라노 요시후미덴교(天慶) 2년(939년)? 임명되었다종5위상?《지바 대계도》
후지와라노 히데사토덴교 3년 4월 25일(940년 6월 3일)? 임명되었다종4위하?《유우키 계도》
반노 아리토키?무쓰노카미 겸임관지집
타이라노 사다모리- 덴교 10년 2월(947년 3월) 보인다. -일본기략》. 호 ・ 헤이 쇼군(平将軍)
미나모토노 나카스덴토쿠(天徳) 3년 9월(959년 10월) 경에 임명되었다.4위《세이신공집》
미나모토노 노리타카- 고호 2년 4월(965년 5월) 보인다. -종5위하《조야군재》 권22. 호 ・ 고마쓰 쇼군(小松将軍)
후지와라노 후미히사《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치토키안나 3년 1월 15일(970년 2월 23일) ?임명《유우키 계도》. 이름은 지쓰네(知常)라고도 한다.
후지와라노 스에후미덴엔(天延) 2년 1월 29일(974년 2월 23일) 임명전 우마노스케《공경보임》 간나 3년조
후지와라노 치카타덴겐(天元) 2년 1월 29일(979년 2월 28일) ?임명《유우키 계도》. 이름은 지카타(知方)라고도 한다.
후지와라노 후미오사에이엔(永延) 2년 10월 3일(988년 11월 14일) 임명종5위하소우기》. 이름은 文條 ・ 文修라고도 한다.
미나모토노 미쓰마사《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카네미츠조토쿠 4년 1월 15일(998년 2월 14일)? 임명되었다《오야마 계도》
타이라노 코레모치《손피빈먀쿠》. 호 ・ 요고 쇼군(余五将軍)
타이라노 코레요시- 조와 3년 2월(1014년 3월) 보인다. -《소우기》. 일설에는 고레시게와 동일인물이라고도 한다.
타이라노 코레요시조와 4년(1015년) 중임《미도 간파쿠기》
타이라노 나가모리간닌(寛仁) 2년 1월 23일(1018년 2월 11일)? 임명되었다종5위하《안자이 씨 계도》. 호・ 헤구리 쇼군(平群将軍)
후지와라노 요리유키지안 2년 1월 29일(1022년 3월 4일)? 임명되었다《유우키 계도》
미나모토노 요리노부지안 3년 8월(1023년 8월)? 임명되었다《계도찬요》
미나모토노 요리요시덴기(天喜) 원년 (1053년) 임명무쓰노카미 겸임《본조속문취》 권6
키요하라노 타케노리고헤이 6년 2월 27일(1063년 3월 29일) 임명종5위상부상략기》. 호 ・ 세이 쇼군(清将軍)
키요하라노 사다히라엔큐(延久) 연간(1069년 - 1073년)? 임명되었다종5위하《미도 셋쇼 별기 이문서》. 이름은 사네히라라고도 한다.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에이호(永保) 3년(1083년) 임명무쓰노카미 겸임《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사네무네고와 원년 12월 14일(1100년 1월 26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본조세기
후지와라노 모토요리조지 원년 5월 2일(1104년 5월 27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중우기》
다치바나노 코레나에이큐(永久)원년 7월 29일(1113년 9월 10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4위상전력
후지와라노 모로츠나호엔(保延) 연간(1135년 - 1140년)? 임명되었다무쓰노카미 겸임《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모토나리고지 2년 6월 29일(1143년 8월 11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5위상《본조세기》
후지와라노 마사타카保元2년 9월 19일(1157년 10월 23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종5위상《효한키》
후지와라노 나가미츠- 조칸(長寛) 원년 4월(1163년 5월) 보인다. -무쓰노카미・문장박사 겸임, 종4위상《장각감문》. 이름은 나가미쓰(永光)라고도
후지와라노 히데히라가오 2년 5월 25일(1170년 7월 10일) 임명《효한키》
후지와라노 노스에안겐(安元) 2년 3월 30일(1176년 5월 10일) 임명무쓰노카미 겸임, 정5위하《교쿠요》
아시카가 다카우지겐코 3년 6월 5일(1333년 7월 17일) 임명전 좌병위독, 종4위하《공경보임》
기타바타케 아키이에겐무(建武) 2년 11월 12일(1335년 12월 26일) 임명우중장 ・ 무쓰 권수 겸임, 종2위《공경보임》. 훗날 진수부대장군
기타바타케 아키노부엔겐(延元) 3년 윤7월(1338년 9월) 임명좌중장 ・ 무쓰개 겸임, 종3위신황정통기》. 남조에 의해 보임되었다.
아시카가 타다후유?간노(観応) 원년 10월 25일(1350년 11월 25일) 임명좌병위독 겸임[25]참고태평기》. 양아버지이자 삼촌인 다다요시라고 기록된 것도 있으나 오기이다.
닛타 요시시게게이초(慶長) 16년 3월 22일(1611년 5월 4일) 추증(종5위하)《효량숙녜기》. 스스로 닛타 씨의 후손을 자처했던 도쿠가와 가에 의한 조상 현창 사업에 따른 것이다.
〔참고〕 재임 기간 불명 또는 재임 여부에 의문이 있는 인물
타이라노 요시카네《계도찬요》
타이라노 요시요시《손피빈먀쿠》. 이름은 요시손이라고도 함
후지와라노 아리요리《계도찬요》
미나모토노 쓰네모토《손피빈먀쿠》
타이라노 시게모리《히타치 다이죠 계도》
미나모토노 센《손피빈먀쿠》
미나모토노 조《손피빈먀쿠》
후지와라노 치바루《손피빈먀쿠》. 이름은 지토키(千時)라고도 한다.
미나모토노 미쓰나카《손피빈먀쿠》
미나모토노 요리미쓰《계도찬요》
타이라노 타다미치《계도찬요》


참조

[1] 문서 Adolphson, 2007:341
[2] 서적 Kenkyusha's New Japanese-English Dictionary Tokyo 1991
[3] 간행물 Basic Terms of Shinto Kokugakuin University, Institute for Japanese Culture and Classics, Tokyo 1985
[4] 문서
[5] 문서 속일본기
[6] 문서
[7] 문서
[8] 문서 『続日本紀』延暦7年12月7日条 불명
[9] 문서 『日本紀略』延暦13年1月1日条 불명
[10] 문서 遠藤巌 1976年
[11] 문서 菅野文夫 1992年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속일본기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쇼쿠니혼키』 엔랴쿠(延暦) 7년 음력 12월 7일조 불명
[19] 문서 『일본기략』(日本紀略) 엔랴쿠 13년 음력 1월 1일조 불명
[20] 문서
[21] 문서 遠藤巌 1976年
[22] 문서 菅野文夫 1992年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