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에어 스타리그 2011은 진에어가 후원하고, 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 게이머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대회이다. 아마추어 리그인 마이 스타리그를 통해 선발된 선수들이 프로-암 통합 예선에 참가했으며, 24강 듀얼 토너먼트 체제를 부활시켜 16강 본선 프리미엄을 강화했다. 총 상금 1억 800만원 규모로, 허영무가 결승에서 정명훈을 꺾고 우승했다.

2. 대회 개요

Fly Better Fly영어라는 기업 슬로건으로 혁신과 젊음을 강조하는 진에어가 후원하였으며,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색다른 도전의 시작 진에어!'였다. 진에어 담당 신상욱 과장은 "열정과 패기가 가득한 젊은이들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인 스타리그를 후원하게 돼 기쁘다"며, "젊고 역동적인 E스포츠 팬들과 함께 어울리는 최고의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어떤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를 통해 젊은 층과 문화를 교류하고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해나가며 보다 적극적으로 진에어를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3. 대회 방식

이번 시즌에서는 프로게이머뿐만 아니라 아마추어 게이머도 참가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했다. EVER 스타리그 2008 이후 3년 만에 24강 듀얼토너먼트 체제를 부활시켰고, 16강 본선 진출자에게는 프리미엄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개편했다.

3. 1. 마이 스타리그 ~ 프로-암 통합 예선

마이 스타리그는 2011년 스타리그에서만 열렸던 아마추어 전용 리그로, 순수 아마추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산, 광주·제주, 대구, 대전·강원, 경인, 서울 등 전국 6개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각 지역에서 4명씩 선발하여 총 24명이 전국 파이널을 치렀으며, 여기서 가려진 12명은 용산에서 열리는 '스타리그 프로-암 예선' 참가 자격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프로게임단의 코칭스태프 및 주요 선수들이 스카우트로 참여해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하기도 하였다. 마이스타리그 전국 파이널을 통과한 12명은 프로 선수들과 함께 프로-암 통합예선을 치러 총 12명이 차기 스타리그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으나, 아마추어 12명은 예선전에서 전원 탈락하였다. 결국 2012년 스타리그부터는 마이 스타리그가 다시 폐지되었다.

3. 2. 본선

EVER 스타리그 2008 이후 3년 만에 24강 듀얼토너먼트 체제로 진행되었으며, 16강 본선 진출자에게는 프리미엄 혜택이 주어졌다.

4. 대회 일정


  • '''지역 예선'''

지역날짜참여팀장소
부산4월 10일KT 롤스터부산 경성대학교 정보관 별관
광주-제주4월 16일화승 OZ광주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5층 전산실
대구4월 24일hite 엔투스대구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공과대 1관
대전-강원5월 1일위메이드 폭스옥스포드 PC ZONE
경기-인천5월 8일STX SouL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서울5월 15일삼성전자 칸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 보조경기장

5.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다.

순위상금
우승4000만
준우승2000만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우승자와 준우승자를 제외하고, 시드자 2명부터 24강 진출자까지 상금이 차등 지급되었다.

6. 경기장


  • '''마이스타리그 전국 파이널''':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 '''예선''':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
  • '''스타리그 듀얼''':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 '''16강 본선''':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 '''결승전''': 서울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

7. 사용 맵

대회사용 맵
전국 파이널라만차, 신 피의능선, 글라디에이터 (맵 순서 현장 추첨)
오프라인 예선16강: 신 피의능선, 라만차, 글라디에이터
8강: 라만차, 글라디에이터, 신 피의능선
4강: 글라디에이터, 신 피의능선, 라만차
결승: 신 피의능선, 라만차, 글라디에이터
스타리그 듀얼1, 2경기: 신 피의능선
승자/패자전: 글라디에이터
최종진출전: 라만차
16강패스파인더, 라만차, 글라디에이터, 신 피의능선 (노동환 방식으로 맵 순서 배정)


  • 노동환 방식
  • * 1회차 - 1, 2, 3, 4
  • * 2회차 - 2, 3, 4, 1
  • * 3, 4회차 - 3, 4, 1, 2
  • * 5, 6회차 - 4, 1, 2, 3

8. 리그 BGM

다음은 진에어 스타리그 2011에서 사용된 리그 BGM 목록이다.

사용 위치곡명아티스트
마이스타리그 전국파이널 오프닝멘트Ready FuelsAnberlin
마이스타리그 전국파이널 선수소개 / 경기 시작 전Want toThe Almost
마이스타리그 전국파이널 경기 종료 후Cold War TransmissionsAnberlin
예선전 오프닝멘트Another Know It AllChevelle
예선전 조별경기현황Not AloneTerrible Things
예선전 경기 시작 전 / 종료 후Save MeDamageplan
스타리그 듀얼 오프닝멘트WithinArise
스타리그 듀얼 선수소개Generations For SaleArise
스타리그 듀얼 경기 종료 후...and The Truth Is LiesArise
조추첨식 오프닝멘트ArchitectsRise Against
조추첨식& 16강 타이틀곡C'monThe X-Ecutioners
TODAY'S MATCHUP, 오프닝멘트, NEXT MATCHUPLive To KillSilverstein
TODAY, 각조상황, 경기결과, NEXTGod Bless YouBlack Veil Brides
선수 소개곡The ArtistSilverstein
최근 10경기TonightGrinspoon
경기 시작 전Texas MickeySilverstein
경기 종료 후This TimeFact And Fiction
클로징 멘트On My OwnUnwritten Law
결승전 오프닝Bubblin' In The CutBoreta
결승전 선수입장Poison My EyesAnthrax
결승전 포토타임SeptemberDaughtry
결승전 엔딩Figured You OutNickelback


9. 스타리그 프로암 통합 예선

프로암 예선 진출자들은 종족별, 지역별로 분포되었다.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 김상욱 선수의 군입대 및 은퇴로 12명과 와일드카드 1명, 총 13명의 예선 통과자를 뽑았다.

;종족별 분포



;지역별 분포

지역분포
부산유영재 (1)
대전김지성, 김태영, 진웅 (3)
대구석태수 (1)
경인임수성, 이무현, 최은창 (3)
광주이동현, 최성원 (2)
서울최문석, 강태완 (2)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와일드카드
박준오전태양이승석김윤중조일장강정우고석현신노열박재영이신형신대근어윤수허영무


10. 스타리그 듀얼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11명의 선수들이 스타리그 듀얼 시드를 받았다. 김상욱은 군 입대로 시드권을 포기했다.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에서 2명씩, 총 12명의 선수가 16강에 진출했다.


11. 16강

16강은 조별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테란 5명, 저그 9명, 프로토스 2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16강 조추첨 결과에 따라 각 선수는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치렀고, 각 조에서는 총 여섯 경기가 진행되었다.

A조B조C조D조
정명훈3승 0패송병구0승 3패김윤환1승 2패김현우2승 1패
어윤수2승 1패이영한1승 2패허영무1승 2패이제동1승 2패
구성훈0승 3패이영호3승 0패전태양1승 2패신대근1승 2패
염보성1승 2패신동원2승 1패박준오3승 0패박재혁2승 1패



C조는 상위 3명의 승패가 동률을 이루어 재경기를 통해 8강 진출자를 가렸다.

C조 재경기
김윤환0승 1패
허영무2승 0패
전태양0승 1패


12. 8강 및 결승

8강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강 및 결승전 결과, 허영무 선수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선수
정명훈2허영무3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우승
허영무
(첫 번째 우승)


13. 대회 결과

허영무는 스타리그에서 우승했으며, 정명훈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4강에는 신동원, 어윤수가 진출했다.

14. 특이사항


  • 허영무는 역대 '가을의 전설' 우승자 중 가장 힘들게 우승한 선수로 기록되고 있다.
  • 마이스타리그 아마추어 진출자 12명은 예선에서 모두 패배하여 탈락하였다.
  • 이번 스타리그에서 역대 저그 최다 진출자 기록을 세웠다. (총 9명 진출)
  • EVER 스타리그 2008에 이어 스타리그 사상 두 번째로 16강 D조에 4명의 저그 선수(김현우, 이제동, 신대근, 박재혁)가 편성되었다.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이후 5년 만에 16강 타이틀곡 BGM으로 힙합 장르의 곡(The X-Ecutioners의 Come on)이 사용되었다.
  • 듀얼토너먼트가 스타리그 듀얼이란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16강 D조 3경기(박재혁 vs 이제동 in 라만차)에서 검은 화면이 송출되는 방송사고가 발생했다.
  • 송병구, 이영호, 신동원, 이영한이 한 조(B조)에 몰려 새로운 죽음의 조가 탄생했다. (이영한을 제외한 3명은 개인리그 우승 경험이 있으며, 이영한은 4강 진출 경험이 있어, 4명 모두 4강 진출 경험자이다.)
  • 저그 프로게이머 이영한이 오프닝 동영상에서 테란으로 잘못 기재되었다. (방송 시작 전 오프닝에는 수정되었으나 경기 시작 전 오프닝에서는 수정되지 않았으며, 8강 1회차부터 수정되었다.)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날짜 변경으로 8강 2주차부터 결승전 날짜가 변경되었다.
  • '택뱅리쌍' (김택용,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 모두 4강 진출에 실패했다. (김택용은 진출 실패, 송병구, 이제동은 16강 탈락, 이영호는 8강 탈락)
  • 정명훈이 최다 연승 기록을 수립했다. (11연승)
  • 정명훈은 2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 정명훈임요환, 송병구에 이어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준우승을 달성했다.
  • 삼성전자 칸에서 개인리그 두 번째 우승자를 배출했다. (송병구 - 허영무)
  • 허영무는 스타리그 첫 결승 진출 및 첫 우승을 달성했다. ( 송병구는 준우승자 징크스로 3패 탈락)
  • 허영무의 우승으로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이후 3년 만에 '가을의 전설'이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 송병구의 우승 이후 3년 만에 프로토스 종족이 우승했다.
  • 결승전 장소는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이었다.
  • 결승전 초대가수는 박완규, 에이프릴키스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