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중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중력은 뇌의 세 가지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조절되며, 주의력 연구는 스트룹 과제, 플랭커 과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두엽 발달과 함께 주의 통제 능력이 증가하지만, 노화는 작업 기억과 주의 통제력 저하와 관련이 있다. 주의력 조절의 어려움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 불안 장애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 있으며,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집중력 저하가 나타나기도 한다. 주의 통제는 수행 능력, 마음챙김, 학습, 청각적 주의 등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응용되며, 환경 음악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편, 인간의 집중력이 금붕어보다 짧다는 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결과는 근거 없는 낭설로 밝혀졌다.

2. 주의력 연구 개요

뇌에서 주의는 세 가지 네트워크 시스템, 즉 경계 상태(인식을 유지하는 기능), 지향(감각 정보 선택), 그리고 집행 통제(정보 간 충돌 해결)를 통해 조절된다.[2] 이 세 네트워크는 주의력에 이상이 있거나 없는 성인, 어린이, 심지어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실험 설계를 통해 연구되어 왔다.[4]

대표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스트룹 과제[5]와 플랭커 과제가 있으며, 특히 집행 통제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같은 뇌 영상 기술이 활용된다. 어떤 연구는 주의력의 특정 측면(예: 집행 통제)에 집중하는 반면, 다른 연구들은 경계, 지향, 집행 통제 네트워크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4]

최근에는 판(Fan)과 포스너(Posner)가 개발한 주의 네트워크 검사(ANT)가 이 세 네트워크 각각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서로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ANT는 비교적 간단한 행동 과제로 구성되어 있어 어린이,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 심지어 동물에게도 적용하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 이 검사에서 참가자는 컴퓨터 화면 중앙에 나타나는 목표 자극에 최대한 빠르게 반응해야 하며, 때때로 목표 자극 전에 주어지는 단서를 통해 주의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평가한다.[7]

3. 발달

주의력 조절 능력은 연령에 따라 발달하며, 영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변화를 겪는다.

3. 1. 영아기

초기 전두엽 발달 연구에서는 생후 1년 동안 전두엽이 기능적으로 활발하지 않다고 보았다.[8] 이러한 관점에서 초기 연구들은 생후 1년 미만의 영아가 주의력을 나누는 데 있어 완전히 수동적이며,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고 무엇을 무시할지 스스로 선택할 능력이 없다고 보았다.[9] 예를 들어, 영아가 특히 두드러진 대상에 시선이 고정되어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지 못하는 '끈적한 고정(sticky fixation)' 현상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예시로 제시되었다.[10] 하지만 이후의 다른 연구들은 아주 어린 영아라도, 비록 매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주의력 배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했다.[11][12]

3. 2. 아동기

전두엽이 성숙해짐에 따라,[13] 아이들의 주의 통제 능력이 증가하지만,[1] 성인에 비해서는 아직 미숙한 단계에 머무른다.[14] 일부 어린이들은 주의 통제 능력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뇌의 전두엽 영역 발달이 상대적으로 더딘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15] 때로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로 진단받기도 한다.

3. 3. 노년기

노화인지에 대한 연구 중 일부는 작업 기억 과정과 주의 통제력 저하에 초점을 맞춘다. 한 연구에서는 스트룹 과제 수행 중 젊은 참가자(21~27세)와 노인 참가자(60~75세)의 주의 통제 관련 신경 활동을 비교하기 위해 fMRI 측정을 사용했다. 이 연구 결과, 노인 그룹의 주의 통제와 관련된 영역에서 반응이 감소하는 증거가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주의 통제력을 활용하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17]

노화와 관련된 주의 통제력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뇌 무게의 변화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후 뇌는 급격한 무게 감소를 경험한다. 이러한 뇌 무게 감소는 대뇌 백질과 회백질의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18] 백질은 뇌에서 회백질 영역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하는 영역이며,[19] 중추신경계의 회백질 조직은 개인이 세상과 상호 작용하고 고도로 숙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연구에 따르면 규칙적인 신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은 노년기에 회백질의 피질 부피를 증가시켜 노화 관련 위축을 예방하고 주의 통제력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0] 그러나 대부분 개인의 뇌는 80세 이후 병리학적 변화를 겪거나 심장 질환이 발생하면서 신경 세포 손실이 발생하고 뇌 부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18]

4. 비정상적 발달

전두엽이 성숙함에 따라[13] 아이들의 주의 통제 능력은 점진적으로 향상되지만,[1] 여전히 성인에 비해서는 부족한 수준이다.[14] 일부 아동은 이러한 주의 통제 능력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뇌의 전두엽 영역 발달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5] 이러한 경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기도 한다.

주의력 조절의 어려움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 불안장애 등 다양한 신경발달 및 정신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74][75][22][76][23] 조산아,[77][24] 특정 유전 질환(예: 다운증후군, 윌리엄증후군)을 가진 영아,[78][25]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환경의 아동에게서도 보고된다.[79][26]

이러한 주의력 조절 문제는 작업 기억과 같은 집행 기능 과제 수행 능력 저하와도 관련이 있다.[71][1] 그러나 왜 다양한 장애군에서 공통적으로 집행 기능의 손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4. 1. 정신 질환과의 관련성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은 여러 정신 질환 및 발달 상태와 관련이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핵심 증상일 뿐 아니라,[74] 자폐증[75]불안장애에서도 나타난다.[76] 또한 조산으로 태어난 아동,[77] 다운증후군이나 윌리엄증후군 같은 유전 질환을 가진 영아,[78]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의 아동에게서도 발달 초기에 주의 조절 능력 저하가 보고된 바 있다.[79] 이러한 주의력 조절 능력의 문제는 작업 기억과 같은 집행 기능 수행 능력 저하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

연구에 따르면 주의력 조절 능력이 낮은 사람은 특정 정신 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낮은 주의력 조절 능력은 다음과 같은 질환 및 상태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질환/상태관련 내용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주의력 조절 능력 저하가 더 흔하며,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등 연령에 맞지 않는 증상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80][27]
조현병주의력 조절 능력 저하가 관찰된다.[81][28] (소스[28]에서는 정신분열증으로 언급되기도 하나, 현재는 조현병이 표준 용어이다.)
알츠하이머병주의력 조절 능력 저하가 관찰된다.[82][29]
사회적 불안, 특성 불안, 우울주의력 조절 능력 저하가 관찰된다.[83][30] (우울증 포함)
뇌졸중 후유증뇌졸중 이후 주의력 저하 및 조절 능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81][28]



반대로, 불안과 우울 수준이 낮은 사람은 반응 속도가 빠르고 전반적인 집행 기능도 더 우수한 경향을 보인다.[84][31] 주의력 조절 능력이 약하면 위협적인 정보로부터 주의를 돌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감정 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쳐 정신 질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85][32] 이러한 주의력 조절 능력은 주의력조절척도(Attentional Control Scale, ACS)나[83][30] 인지주의력증후군-1(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1, CAS1)과[85][32] 같은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기도 한다.[83][30] 연구자들은 다양한 정신 질환에서 주의력 조절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81][28]

주의력 문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불안장애의 특징이기도 하다. 한 연구 검토에 따르면, PTSD 환자의 상당수(약 61.2%)가 심각한 주의력 조절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33] PTSD 환자는 주의편향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긍정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정보에 우선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을 말한다.[86][34] 주의 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이러한 주의 편향은 낮아지는 역관계가 관찰되었으며,[86] 이는 주의 조절 능력이 PTSD 환자의 불안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86] 또한 PTSD 환자는 특정 과제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생각이 현재의 집중을 방해하는 침투적 사고를 경험하기 쉽다.[35] 이러한 주의력 문제는 기억이나 학습과 같은 다른 인지 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33] 최근에는 주의력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요가명상 등이 PTSD 환자의 주의력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6]

결론적으로 집중력 저하는 우울증, 조울증, 조현병, 불안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예후에 중요하므로, 평소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5. 실생활에서의 응용

집중력은 학업, 직업, 스포츠 등 일상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성공적인 활동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된다. 높은 수준의 집중력은 복잡한 과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반대로 집중력이 부족하면 업무나 학습 효율이 떨어지고 실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충분한 영양 섭취, 특정 훈련(예: 백 칸 계산) 수행, 규칙적인 운동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미국 등지에서 집중력 증진을 위해 비디오 게임을 활용한 치료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기도 한다.[61]

개인의 주의 통제 능력은 학습 효율성이나 주변 소음 속에서 특정 소리에 집중하는 능력(칵테일 파티 효과) 등과 관련이 깊다. 또한 불안과 같은 심리적 상태는 주의 통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수행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마음챙김과 같은 훈련이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 주의 통제 능력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5. 1. 수행 능력

주의 통제 이론(Attention control theoryeng)은 불안인지 수행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 이론은 불안이 주의 통제에 미치는 영향이, 불안과 작업 수행 능력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라는 점을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불안은 처리 효율성을 저해함으로써 특정 과제에 대한 주의 통제를 방해하거나 억제한다.[87][37]

주의 통제 이론에는 세 가지 주요 기능이 있다.[87][88][37][38]

  • 억제 기능(inhibition): 과제와 관련 없는 자극과 반응이 수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막는다.
  • 전환 기능(shifting): 과제와 가장 관련 있는 자극에 주의를 할당하는 데 사용된다.
  • 갱신 기능(updating): 작업 기억 속 정보를 갱신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이 이론과 관련된 세 가지 주요 가설이 있다.[89][39]

  • 불안은 중앙(중추) 집행 기능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 불안은 억제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손상시킨다.
  • 불안은 전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손상시킨다.


주의 통제와 수행에 관한 연구에서는 주의 포착 방식을 두 가지 모드로 나누어 접근한다: 자발적 모드와 반사적 모드.[90][56]

  • 자발적 모드: 상위 인지 과정을 따라 주의가 이동하는 상향식(top-down) 접근법이다.
  • 반사적 모드: 자극 자체의 주의를 끄는 속성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주의가 이동하는 하향식(bottom-up) 접근법이다.

이러한 모드는 주의 통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뇌에서 주의의 원천은 세 가지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경계 상태(인식 유지), 방향 전환(감각 입력 정보 처리), 그리고 집행 통제(갈등 해결).[2] 이 네트워크들은 주의력 이상 유무에 관계없이 성인, 어린이,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 설계를 통해 연구되었다.[4] 연구에는 스트룹 과제[5]나 플랭커 과제 등이 사용되며, 사건 관련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같은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집행 통제 등을 연구한다.[4] 최근에는 Fan과 Posner가 설계한 주의 네트워크 검사(ANT)가 세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그 관계를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ANT는 참가자가 컴퓨터 화면의 단서에 신속하게 반응하도록 요구하는 간단한 행동 과제로,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 가능하다.[6][7]

집중력은 학업, 직업,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충분한 영양 섭취와 더불어, 백 칸 계산과 같은 훈련이나 규칙적인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는 집중력 증진을 위해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치료법도 활용된다.[61]

5. 2. 마음챙김

단 4일간의 마음챙김 명상 훈련만으로도 시공간 처리 능력, 작업 기억, 집행 기능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91][92][40][41] 그러나 마음챙김이 실제로 주의 통제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 한 연구에서는 8주간의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완화(MBSR) 과정 전후에 참가자들의 지속적 주의력, 억제, 전환, 물체 탐지 능력을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했지만, 두 그룹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MBSR 과정이 주의 통제 능력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3][43]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을 활용한 마음챙김 훈련이 건강한 사람들의 주의 통제 능력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94][42] 마음챙김은 주의 통제 외에도 비지향적 주의나 정서적 안정과 같은 다른 정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93][43]

5. 3. 학습

신경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인지 발달을 단순히 유전적으로 예정된 시간표에 따라 개별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마음의 모듈성 접근법)으로 보지 않고, 인지 시스템들이 발달 과정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며 특정 능력이 다른 영역의 능력 습득에 영향을 준다고 본다.[95][44] 이러한 관점에서 주의 통제는 다른 영역의 기술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범영역적 과정으로 여겨져 특히 중요하게 다루어진다.[96][45]

주의를 조절하고 필요한 곳으로 향하게 하는 능력은 단순히 환경적 자극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습에 핵심적인 정보가 풍부한 영역으로 주의를 적극적으로 이끌 수 있게 한다.[96][45] 즉, 주의 조절 능력은 학습에 필요한 정보에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불필요한 방해 요소를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여러 연구에서 영유아기의 주의 통제 능력과 이후 언어 습득 능력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97][98][46][47]

또한, 주의 통제 메커니즘은 작업 기억 용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목표 설정, 행동 조절, 외부 방해 요소 관리 등 주의 통제 능력은 효과적인 정보 처리 및 기억 능력에 기여하며, 이는 곧 효과적인 학습의 기반이 된다.[99][100][48][49]

집중력은 학업, 직업,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집중력의 차이가 성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가 되기도 한다.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 훈련 (예: 백 칸 계산), 규칙적인 운동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는 집중력 증진을 위해 비디오 게임을 활용한 치료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61]

5. 4. 청각적 주의

칵테일 파티 효과는 주변의 다른 대화나 소음 속에서도 자신이 관심을 기울이는 대화에 집중하거나, 또는 특별히 집중하지 않아도 자신의 이름처럼 중요한 정보는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효과와 주의력 통제 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먼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주의력 통제 능력을 측정하는 선별 검사를 실시했다. 이 검사는 참가자들이 수학 문제를 푸는 동안 단어를 추적하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참가자들은 주의력 통제 능력이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후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로 동시에 읽히는 두 개의 단어 목록을 들려주었다. 참가자들은 여성의 목소리에만 집중하고 남성의 목소리는 무시하도록 지시받았다. 실험 설계에 따라, 참가자들의 이름은 그들이 무시하도록 지시받은 남성의 목소리로 읽혔다.

연구 결과, 주의력 통제 능력이 낮은 그룹의 참가자들이 높은 그룹의 참가자들에 비해 자신의 이름을 들을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의력 통제 능력이 낮은 사람들이 주변 환경의 관련 없는 정보를 억제하는 데 더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시사한다.[60]

6. 환경 음악

많은 연구에 따르면, 공부하면서 환경 음악을 듣는 학생들은 불안이 적고, 집중력이 높으며, 시험 점수가 높다는 결과가 있다.[62] 환경 음악에는 자연음,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전자음 등 듣기 좋은 기악이 포함된다.[62]

연구자들은 그 효과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환경 음악은 갑작스러운 중단이나 템포 변화 없이 안정적인 리듬을 제공하여 차분한 환경을 조성한다.[62] 둘째, 이러한 환경은 사고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잡념을 차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62] 셋째, 환경 음악은 분석적 사고와 창의성에 관여하는 영역을 활성화하고, 정보를 흡수하고 유지하는 뇌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62] 따라서 복잡한 과제에 직면했을 때 환경 음악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62]

7. 비판적 검토

인간의 집중력이 금붕어의 집중력보다 짧다는 주장이 마이크로소프트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로[63][64][65][66][67][68] 널리 퍼져 있지만, 이는 근거 없는 낭설이다[69][70]. 해당 발표 내용에 따르면, 인간의 집중력은 2000년 12초에서 2013년 8초로 짧아졌으며, 이는 금붕어의 집중력 9초보다 짧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 자체 연구가 아닌 다른 웹사이트 정보를 인용한 것이었다. 더욱이 실제 인간의 집중력은 9초보다 훨씬 길며, 금붕어의 집중력 측정 방식도 불분명하다는 비판과 함께 원 정보의 과학적 신뢰성은 부정되었다.

2024년 12월 현재, 해당 마이크로소프트 발표 자료는 웹에서 삭제되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연구'라는 이름이 갖는 파급력으로 인해 팩트 체크 없이 무비판적으로 인용되며 도시 전설처럼 퍼져나갔다.

참조

[1] 논문 Using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to Study Behavioral and Attentional Control
[2] 논문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3] 논문 Interactions between attention and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What can be learnt from individu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4] 논문 Testing the Efficiency and Interdependence of Attenional Networks
[5] 논문 Disgust, Morality, and Attention http://www.psycholog[...] 2012-09-11
[6] 논문 Testing the efficiency and independence of attentional networks 2002
[7] 논문 The Attention Network Test: A Characteristic Pattern of Deficits in Children with ADHD
[8] 논문 Changes in brain functioning from infancy to early childhood: Evidence from EEG power and coherence during working memory tasks
[9] 논문 The development of visual attention in infancy
[10] 논문 Disengaging visual attention in the infant and adult
[11] 논문 The inhibition of automatic saccades in early infancy
[12] 논문 The emergence and basis of endogenous attentio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13] 논문 Dynamic mapping of human cortical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through early adulthood
[14] 논문 Development of cognitive control and executive functions from 4 to 13 years: Evidence from manipulations of memory, inhibition, and task switching
[15] 논문 Longitudinal Mapping of Cortical Thickness and Clinical Outc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6] 논문 Attentional control in the aging brain: Insights from an fMRI study of the stroop task 2002
[17] 논문 Executive function: The search for an integrated account 2009
[18] 논문 Age-related physiologic change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of elderly patients https://www.scienced[...] 2010-09-01
[19] 논문 Mikkelsen Library {{!}} Augustana University https://www.proquest[...] 2023-10-18
[20] 논문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gray matter volume 2014-09-01
[21] 논문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ttps://biblio.ugent[...]
[22] 논문 Visual orienting in the early broader autism phenotype: disengagement and facilitation
[23] 논문 Developing mechanisms of temperamental effortful control
[24] 논문 Attention development i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orn preterm: A review
[25] 논문 Tracing syndrome-specific trajectories of attention across the lifespan
[26] 논문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and Gains in Academic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27] 서적 Abnormal Child Psychology Wadsworth
[28] 뉴스 New Study Identifies Brain Centers For Attention Control https://www.scienced[...] 2000-02-24
[29] 논문 Attentional Control in Normal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2011-05
[30] 논문 A Comparison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for Interpret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Effects on Anxiety, Depression, Attentional Control, and Interpretive Bias 2012-09-10
[31] 논문 Deficits in Attentional Control: Cholinergic Mechanisms and Circuitry-Based Treatment Approaches 2011-12
[32] 논문 Attentional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ation of the 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 and Symptoms of Psychopathology 2012-08
[33] 논문 Attention deficits as a key player in the symptomat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review https://onlinelibrar[...] 2023-02-20
[34] 논문 Attentional bias and attentional control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https://www.scienced[...] 2014-03-01
[35] 논문 Attentional process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associated changes in neural functioning https://www.scienced[...] 2016-10-01
[36] 논문 Yoga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3-22
[37] 논문 Anxiety and cognitive performance: Attentional control theory 2007
[38] 논문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2000
[39] 논문 New perspectives in attentional control theory 2011
[40]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neurob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mindfulness meditations 2009-11-27
[41] 논문 Mindfulness meditation improves cognition: Evidence of brief mental training 2010-06-01
[42] 논문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App on Subjective Well-Being: A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Experience Sampling Study 2019
[43] 논문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attentional control 2007
[44] 논문 Neuroconstructivism http://doi.wiley.com[...] 2007
[45] 논문 Attention trajectories, mechanisms and outcomes: at the interface between developing cognition and environment
[46] 논문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and its relations to language in infancy and toddlerhood
[47] 논문 A Cognitive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Early Language
[48] 논문 Conducting the train of thought: Working memory capacity, goal neglect, and mind wandering in an executive-control task 2009
[49] 서적 Cognitive psychology: Applying the science of the mind Pearson Education Inc. 2011
[50] 논문 Neuronal synchronization along the dorsal visual pathway reflects the focus of spatial attention 2008-03
[51] 논문 High-frequency, long-range coupling between prefrontal and visual cortex during attention 2009-03
[52] 논문 Neural mechanisms of object-based attention 2014-03
[53] 서적 The Neuroscience of Atten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54] 논문 Visual attention: Control, representation, and time course 1997
[55] 논문 Attentional modulation of visual processing 2004
[56] 논문 Attention and performance 2001
[57] 논문 The structure of attentional control: Contingent attentional capture by apparent motion, abrupt onset, and color https://zenodo.org/r[...] 1994
[58] 서적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59] 논문 Perceptual and Cognitive Load interact to Control the Spatial Focus of Attention 2011-07-18
[60] 논문 The cocktail party phenomenon revisited: The importance of WM capacity 2001
[61] 웹사이트 テレビゲームで集中力増進・米で始まった「逆バリ」療法 https://japan.cnet.c[...]
[62] 웹사이트 Music to your health https://www.health.h[...] 2021-02-01
[63] 웹사이트 人間の集中力は8秒しかもたない?言いたいことは「3秒」で伝える意識を持つ3つの理由を現役コンサルタントが解説 https://www.fnn.jp/a[...] FNN 2023-12-09
[64] 웹사이트 集中力が「金魚レベル」になるスマホ漬けの脅威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2-05-12
[65] 웹사이트 スマホが壊す私たちの脳 集中力は「金魚以下」、認知症リスクも?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24-12-04
[66] 웹사이트 【9割の人が知らない!第一人者のコピーライティング技術100】集中力「8秒」時代のスマホユーザーに刺さる編集技術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社 2023-10-01
[67] 웹사이트 集中力の持続「たった8秒」 スクリーン中毒の実態 https://www.nikkei.c[...] 2017-04-13
[68] 웹사이트 You Now Have a Shorter Attention Span Than a Goldfish https://time.com/385[...] Time 2015-05-14
[69] 웹사이트 Myth and Mystery of Shrinking Attention Span https://www.ijtrd.co[...] 2018-06
[70] 웹사이트 The Attention Span of a Goldfish https://www.bbc.co.u[...] BBC 2017-03-10
[71] 논문 Using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to Study Behavioral and Attentional Control
[72] 논문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73] 논문 Interactions between attention and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What can be learnt from individu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74] 논문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ttps://biblio.ugent[...]
[75] 논문 Visual orienting in the early broader autism phenotype: disengagement and facilitation
[76] 논문 Developing mechanisms of temperamental effortful control
[77] 논문 Attention development i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orn preterm: A review
[78] 논문 Tracing syndrome-specific trajectories of attention across the lifespan
[79] 논문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and Gains in Academic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80] 서적 Abnormal Child Psychology Wadsworth 2013
[81] 논문 New Study Identifies Brain Centers For Attention Control https://www.scienced[...] 2000-02-24
[82] 논문 Attentional Control in Normal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2011-05
[83] 논문 A Comparison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for Interpret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Effects on Anxiety, Depression, Attentional Control, and Interpretive Bias 2012-09-10
[84] 논문 Deficits in Attentional Control: Cholinergic Mechanisms and Circuitry-Based Treatment Approaches 2011-12
[85] 논문 Attentional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ation of the 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 and Symptoms of Psychopathology 2012-08
[86] 논문 Attentional bias and attentional control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14
[87] 논문 Anxiety and cognitive performance: Attentional control theory 2007
[88] 논문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2000
[89] 논문 New perspectives in attentional control theory 2011
[90] 논문 Attention and performance 2001
[91]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neurob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mindfulness meditations 2009-11-27
[92] 논문 Mindfulness meditation improves cognition: Evidence of brief mental training 2010-06-01
[93] 논문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attentional control 2007
[94] 논문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App on Subjective Well-Being: A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Experience Sampling Study 2019
[95] 논문 Neuroconstructivism http://doi.wiley.com[...] 2007
[96] 논문 Attention trajectories, mechanisms and outcomes: at the interface between developing cognition and environment
[97] 논문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and its relations to language in infancy and toddlerhood
[98] 논문 A Cognitive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Early Language
[99] 논문 Conducting the train of thought: Working memory capacity, goal neglect, and mind wandering in an executive-control task 2009
[100] 서적 Cognitive psychology: Applying the science of the mind Pearson Education Inc.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