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공 목서흠 묘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정공 목서흠 묘역은 조선 후기의 문신 목서흠의 묘역으로,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어 있다. 목서흠은 인조반정, 정묘호란 등 굵직한 사건에서 활약했으며, 개성부 유수, 한성부 좌·우윤 등을 역임하며 백성을 위한 선정을 베풀었다. 묘역은 묘표, 신도비 등 다양한 석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신도비는 조경의 문장과 이정영, 조위명 등 당대 명사들의 글씨를 담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다. 묘역은 묘제와 석물 제작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묘역 보호를 위해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무덤 - 연산군묘
연산군묘는 폐위된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묘로, 왕릉의 격식을 갖추지 못한 형태로 서울 도봉구에 위치하며, 의정궁주 조씨묘, 휘순공주와 능양위 구운경의 묘 등과 함께 자리하고 있고, 조선왕릉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일반에 개방되어 있다. - 서울 도봉구의 무덤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은 조선 초 문신 이등과 의령옹주 부부의 묘역으로, 서울 도봉구에 있으며 조선 왕실 묘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뛰어난 석물 조각과 보존 상태로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사천 목씨 - 목요상
목요상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 국회의원, 주요 당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 사천 목씨 - 목진석
목진석은 1993년 프로 입단하여 1996년 바둑문화상 신예기사상을 수상하고, 2000년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했으며, 2015년 GS칼텍스배에서 우승한 대한민국 바둑 기사이다. - 조선의 무덤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은 1890년 존 헤론 선교사 사망 후 조성되어 한국 독립운동과 사회 발전에 기여한 외국인들이 안장된 곳으로, 한국전쟁을 거치며 훼손과 소유권 변경을 겪다가 현재는 한국교회100주년기념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조선의 무덤 - 화의군 이영 묘역
조선 세종의 아들 화의군 이영의 묘역은 단종 복위 운동 관련 인물인 그의 절의를 기리는 곳으로, 조선시대 묘제와 석물 조각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충정공 목서흠 묘역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묘역 정보 | |
![]() | |
이름 | 충정공 목서흠 묘역 |
한자 표기 | 忠貞公 睦叙欽 墓域 |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2번지 |
상세 정보 | |
종류 | 기념물 |
지정 번호 | 27 |
지정일 | 2009년 6월 25일 |
소유자 | 사천목씨 종친회 |
시대 | 조선시대 |
좌표 | 37°39′44″N 127°01′29″E |
2. 생애와 활동
목서흠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기도 한 목첨(睦詹)의 맏아들로, 자[2]는 순경(舜卿), 호[3]는 매계(梅溪)이다. 선조 때 이조참판(오늘날 행정자치부 차관에 해당)을 지냈다.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으며, 특히 인조에게 붕당 정치의 폐해를 지적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사후에는 충정(忠貞)이라는 시호를 받았다.[2]
2. 1. 관직 생활
목서흠은 1597년(선조 30) 음보로 제용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1603년 내시교관을 지낸 후 북부주부를 거쳐 1606년 양구현감에 재직하던 중 문묘 낙서 사건으로 파직되었다.[2] 1610년(광해군 2) 알성시에 병과 1등으로 급제한 후 10여 년간 관직을 자주 옮겼다. 1623년 인조반정 후에는 함경도선 유어사, 성균직강, 병조정랑, 사예 등에 임명되었다. 1624년 이괄의 난 때 인조를 공산까지 모시고 가 행재소에서 광주 목사에 제수되었다가 곧 남양부사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 가을, 왕을 모신 공로로 비단을 받았다. 이후 병조참의,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3]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는 인조를 남한산성까지 모시고 가 그 공로로 환도 이후 우승지가 되고, 가선대부로서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는 동시에 양양부사에 제수되었다. 이때 양양의 수재들을 별도로 교육시키고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했으며 관혼상제를 치를 수 없는 사람들에게 비용을 지원했다.
1628년(인조 6) 유학 임지후의 반역 고변사건에 연루되었으나 대간 이경석이 차자를 올려 심리하게 하자 그해 여름 개성부유수에 임명되었다. 이때 학교를 새로 짓고 학름(장학금의 일종)을 늘렸다. 또 선죽교에 정문을 세우고, 화담서원(서경덕 배향)을 수리하는 한편 충신, 효자, 열녀의 정려 중 무너진 것이 있으면 모두 고쳤다고 한다. 1642년(인조 20)에는 붕당의 해로움을 인조에게 상소해 붕당의 폐해를 잘 지적했다는 인조의 칭찬을 들었다.
1643년(인조 21)에는 경조(한성부를 지칭)의 좌윤과 우윤(오늘날 서울특별시 부시장에 해당)을 지냈고, 1646년에는 예조 참판을 지냈으며, 1649년(효종 1)에는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652년(효종 2) 세상을 떠났는데, 셋째 아들인 목겸선이 원종일등공신이 되자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의금부사 세자이사 지 경연춘추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추증되었고, 1689년(숙종 15)에 다시 다섯째 아들인 목내선이 좌의정에 오르게 되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675년(숙종 1)에는 충정이라는 시호(왕이나 재상, 저명한 유학자 등이 세상을 떠난 뒤에 그들의 공덕을 기려 나라에서 내려주는 이름)가 내려졌다.
2. 2.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목서흠은 선조 때 이조참판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기도 한 목첨(睦詹)의 맏아들이다.[2] 그는 1597년(선조 30) 음서로 제용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3]2. 3. 인조반정과 붕당 정치 비판
목서흠은 1623년 인조반정 이후 함경도 선유어사, 성균직강, 병조정랑, 사예 등에 임명되었다.[2] 1624년 이괄의 난 때 인조를 공산성까지 모시고 가 광주 목사, 남양부사로 임명되었고, 왕을 모신 공로로 비단을 하사받았다. 이후 병조참의,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2]1642년에는 인조에게 붕당의 해로움을 상소하여 붕당의 폐해를 잘 지적했다는 칭찬을 받았다.[3]
3. 묘역
사천 목씨(泗川 睦氏) 묘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도봉산 자락에 있으며, 그 가운데 중심이 되는 곳이 <충정공 목서흠 묘역(忠貞公 睦叙欽 墓域)>이다. 목서흠 묘역은 목진공 묘역 바로 위에 자리하며, 1634년 최초 조성된 후 1652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묘표(墓表)는 1689년에 건립되었다.[1]
묘는 목서흠과 정경부인 안동 권씨의 봉분이 하나로 되어 있지만 땅 밑은 2개로 나누어진 동분이실(同墳二室) 구조이다. 묘표,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동자석, 신도비 등의 석물이 있다.
묘표 앞면과 뒷면에는 묘의 주인공, 건립 연대, 건립 경위를 알 수 있는 글이 새겨져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1]
3. 1. 위치와 구조
사천 목씨(泗川 睦氏) 묘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2번지, 도봉산 시루봉 자락에 있다. 이 묘역은 사천 목씨 선영 중 중심이 되는 곳으로, 가까이에 사적 제362호 《연산군묘》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이 있다.방학동 사천목씨 묘역에는 북한 지역에 묘가 있는 1대 목효기(睦孝基)부터 6대 목손검(睦孫儉)까지는 단의 형태로 모셔져 있고, 7대 목진공(睦進恭) 묘역, 목진공의 6대손인 목서흠(睦叙欽) 묘역, 그 아들들인 목처선(睦處善)·목지선(睦知善)·목내선(睦來善) 묘역, 목처선의 아들인 목임기(睦林奇)와 목내선의 아들인 목임일(睦林一) 묘역, 목임기의 아들인 목천익(睦天翊)과 목임일의 아들인 목천현(睦天顯) 묘역 등 총 9개소의 묘역이 있다. 이 가운데 신도비와 함께 있는 <충정공 목서흠 묘역(忠貞公 睦叙欽 墓域)>이 가장 핵심이다.
목서흠 묘역은 목진공 묘역 바로 위 정남향(자좌오향(子坐午向))으로 1634년 최초 조성되었고, 1652년 목서흠이 세상을 떠난 후 본격적으로 정비되어 1689년(숙종 15) 목서흠의 묘표(墓表)가 건립되면서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묘는 목서흠과 정경부인 안동 권씨의 봉분이 하나로 되어 있지만 땅 밑은 2개로 나누어진 동분이실(同墳二室) 구조이다.
1689년(숙종 15)에 세워진 묘표는 몸돌(碑身) 윗부분은 둥그스름한 원수(圓首) 형태이고, 받침돌(碑座)은 직육면체이다. 묘표 앞면과 뒷면에는 묘의 주인공, 건립 연대, 건립 경위를 알 수 있는 글이 새겨져 있다.[1]
받침돌(碑座) 정면에는 연꽃 문양, 좌우에는 구름 문양이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복련(覆蓮 : 연꽃을 엎어놓은 모양) 12잎이 새겨져 있다. 묘표 앞에는 장방형 혼유석(魂遊石)이 있고, 그 앞에는 제물(祭物)을 올리는 상석(床石)이 있는데 최근 설치된 것이다. 상석 앞 향로석 2기 중 정중앙에 있는 것은 최근 것이고, 봉분 오른쪽의 향로석이 원래 것이다. 원래 향로석은 오래되어 문양이 분명하지 않지만, 다리 부분에 호랑이 발 모양(호족(虎足))이 새겨져 있다.
묘 좌우 망주석(望柱石)은 원수(圓首)․운두(雲頭)․연주(蓮珠)․염의(簾依)․8면의 주신(柱身 : 기둥부)․대석(臺石)으로 구성되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망주석 기둥 안쪽에는 세호(細虎)가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다.
망주석 앞쪽 좌우에는 동자석(童子石)이 있는데, 왼쪽 것은 미소 띤 얼굴이 잘 남아 있으나 오른쪽 것은 마모가 심하다.
목서흠의 신도비는 묘에서 동남쪽으로 약 120m 떨어진 묘역 입구에 있다. 옥개석(비 맨 꼭대기에 있어 비 몸돌을 보호하는 한옥 지붕 모양의 돌)․비 몸돌․비 받침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71년(현종 12)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목서흠과 예조에서 함께 근무한 조경(趙絅)이 짓고, 전액(篆額 : 전서체로 쓴 비의 제목)은 이정영(李正英)이, 비몸돌 글씨는 조위명(趙威明)이 썼다. 비문 내용은 비문을 쓰게 된 경위, 가계(家系), 역임한 관직과 주요 활동, 성품, 후손들의 번창, 덕망과 가계의 우수함을 노래한 시문 등이다.[1]
문인석과 장명등은 새로 설치되었다가 2009년 제거되었다.[1]
3. 2. 석물
목서흠 묘역에는 묘표, 망주석, 동자석, 신도비 등의 석물이 있다. 묘표와 신도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묘 좌우 망주석(望柱石)은 윗부분부터 원수(圓首)·운두(雲頭)·연주(蓮珠)·염의(簾依)·8면의 주신(柱身 : 기둥부)·대석(臺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1] 2기의 망주석 기둥 안쪽에는 세호(細虎)가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다.[1]
망주석 약간 앞쪽에는 동자석(童子石)이 좌우로 세워져 있는데, 왼쪽 동자석은 얇게 미소를 띤 얼굴이 잘 남아 있으나, 오른쪽 동자석은 얼굴 부분의 마모가 심해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다.[1]
원래 문인석과 장명등이 있었으나, 후손들이 새로 설치한 것으로 밝혀져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회의 권고(2009. 3. 12)에 따라 2009년 4월 8일 제거되었다.[1]
3. 2. 1. 묘표
묘표(墓表)는 1689년(숙종 15)에 세워졌는데, 비 뒷면 기록에 의하면 다섯째 아들인 목내선이 1689년 좌의정이 되어 아버지인 목서흠이 관례대로 영의정에 추증되자 같은 해 9월에 다시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1] 묘표의 몸돌(碑身) 윗부분은 둥그스름한 형태(圓首)를 띄고 있고, 받침돌(碑座)은 직육면체로 되어 있다.[1] 묘표 앞면과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어서 묘의 주인공과 건립 연대, 건립 경위를 알 수 있다.[1]받침돌(碑座)은 정면에 연꽃 문양을 새기고, 왼쪽과 오른쪽은 구름 문양을 새겨 넣었으며, 윗면에는 복련(覆蓮 : 연꽃을 엎어놓은 모양) 12잎을 새겨 넣었다.[1] 묘표 앞에는 장방형의 혼유석(魂遊石)이 놓여 있다.[1] 혼유석 앞에는 제물(祭物)이 올려지는 상석(床石)이 놓여 있는데 상석은 최근 설치한 것이다.[1] 상석 앞에는 향로석이 2기 위치하는데 정중앙에 있는 향로석은 최근 설치한 것이고, 봉분을 바라보아 오른쪽에 위치한 향로석이 원래의 향로석이다.[1] 원래의 향로석은 오래되어 문양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다리 부분에는 호족(虎足 : 호랑이 발 모양)이 새겨져 있다.[1]
3. 2. 2. 신도비
목서흠의 신도비는 묘역 입구에서 약 120m 떨어진 동남쪽에 있다. 옥개석(비 맨 꼭대기에 있어 비 몸돌을 보호하는 한옥 지붕 모양의 돌), 비 몸돌, 비 받침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652년 겨울, 목서흠의 다섯 아들들이 의뢰하여 목서흠과 예조에서 함께 근무했던 조경(趙絅)이 비문을 지었다. 비 제목의 전액(篆額 : 전서체로 쓴 비의 제목)은 전서(篆書)에 능한 이정영(李正英)이 썼고, 비문 본문은 조경의 조카이자 당대 명문장가이자 명필로 유명했던 조위명(趙威明)이 썼다.[1] 비문은 조경이 신도비문을 쓰게 된 경위, 가계, 역임한 관직과 주요 활동, 성품, 후손들의 번창, 그의 덕망과 가계를 칭송하는 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문 뒷면을 보면, 비문이 마련된 후 19년 동안 돌을 구하지 못해 세우지 못하다가, 목서흠의 손자 목임형(睦林馨)이 돌을 구하고 목내선이 비문을 새기는 일을 추진하여 1671년(현종 12)에야 건립되었다고 한다.[1]4. 문화재적 가치
충정공 목서흠 묘역은 조선 후기 묘제 및 석물 제작 양상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있다. 특히 신도비(神道碑)는 조경(趙絅), 이정영(李正英), 조위명(趙威明) 등 당대 명문장가와 명필들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자료로, 정사(正史)인 실록 등을 보완하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1]
4. 1. 역사적 가치
충정공 목서흠의 묘역은 한성부 좌우윤(오늘날 서울특별시 부시장에 해당)을 지냈으며, 백성을 위해 교화를 베풀고 청렴하고 강직했던 조선 후기 인물 목서흠의 묘역으로 서울과의 관련성이 크다. 묘역과 묘역 내 석물들은 조선 후기 묘제 및 석물 제작 양상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있다.[1] 특히 신도비(神道碑)는 조경(趙絅)의 문장과 이정영(李正英), 조위명(趙威明) 등 당대 명문장가와 명필들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자료로, 정사(正史)인 실록 등을 보완하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1] 따라서 목서흠의 묘역과 묘역 내 원형이 잘 유지되고 있는 석물들을 신도비와 함께 일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하여 보존하고자 한다.[1]한편 문화재 보호구역은 문화재 지정 가치가 있는 목서흠 묘역 보호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역, 즉 도봉구 방학동 산62번지의 32331m2 가운데 597.7m2를 지정하여 이 묘역 주변의 역사․문화 환경을 보존하고자 한다.[1]
4. 2. 학술적 가치
충정공 목서흠의 묘역은 한성부 좌윤(오늘날 서울특별시 부시장에 해당)을 지냈으며 백성을 위해 교화를 베풀고 청렴 강직했던 목서흠이라는 조선 후기 인물의 묘역으로 서울과의 관련성이 크다. 묘역과 묘역 내 석물들은 조선 후기 묘제 및 석물 제작 양상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크다. 특히 신도비(神道碑)는 조경의 문장과 이정영, 조위명 등 당대 명문장가와 명필들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자료로 정사(正史)인 실록 등을 보완하는 사료적 가치를 가진다.[1] 따라서 목서흠의 묘역과 묘역 내 원형이 잘 유지되고 있는 석물들을 신도비와 함께 일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하여 보존하고자 한다.[1]4. 3. 지정 사유
충정공 목서흠의 묘역은 한성부 좌우윤(오늘날 서울특별시 부시장에 해당)을 지낸 목서흠의 묘역으로, 조선 후기 인물인 그의 묘역은 서울과의 관련성이 크다.[1] 묘역과 묘역 내 석물들은 조선 후기 묘제 및 석물 제작 양상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높다.[1] 특히 신도비(神道碑)는 조경의 문장과 이정영, 조위명 등 당대 명문장가와 명필들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자료로, 정사(正史)인 실록 등을 보완하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1] 따라서 목서흠의 묘역과 묘역 내 원형이 잘 유지되고 있는 석물들을 신도비와 함께 일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하여 보존하고자 한다.[1]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 기념물 지정
http://event.seoul.g[...]
서울특별시장
2009-06-25
[2]
문서
字
[3]
문서
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