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언-매콜리 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언-매콜리 환은 가환대수학의 개념으로, 뇌터 환의 일종이다. 유한 생성 가군 M에 대해 깊이와 차원의 관계가 depth(M) = dim(M)을 만족할 때 M을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하며, R-가군으로서 R 자체가 코언-매콜리 가군이면 R을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정의한다. 코언-매콜리 환은 정칙환, 고렌스타인 환 등을 포함하며, 기하학적으로는 매끄러운 다양체를 일반화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코언-매콜리 환은 교차 이론, 쌍대성 이론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연산에 대해 닫혀 있고, 히로나카 기적적 평탄성, 순수성 정리 등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언-매콜리 환 |
---|
2. 정의
- 이 국소환일 경우, 유한 생성 -가군 에 대하여, 항상 깊이와 차원 사이에 관계가 성립하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아우슬랜더-부흐스바움 공식을 참조한다. 이면 을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25] 인 코언-매콜리 가군 은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이 -가군으로서 코언-매콜리 가군이면 을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 이 일반적인 가환 뇌터 환일 경우, -가군 은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국소화 이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또한,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을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이 -가군으로서 코언-매콜리 가군이면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2. 1. 코언-매콜리 가군과 코언-매콜리 국소환
뇌터 국소 가환환 위의 유한 생성 가군 에 대하여, 항상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는 깊이이며, 은 크룰 차원이다. 만약 이 부등식이 등식으로 성립하면, 즉 이면 을 '''코언-매콜리 가군'''(Cohen–Macaulay module영어)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며, 특정 종류의 모듈의 깊이와 차원 사이의 관계는 아우슬랜더-부흐스바움 공식을 참조한다.
임의의 뇌터 국소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뇌터 국소 가환환을 '''코언-매콜리 국소환'''(Cohen–Macaulay local ring영어)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깊이이며, 는 아이디얼의 높이이며, 은 크룰 차원이다. 은 자신 위의 가군이므로, 이 -가군으로서 코언-매콜리 가군이면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인 코언-매콜리 가군 ''M''은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이다.
위의 정의는 뇌터 국소환에 대한 것이지만, 더 일반적인 뇌터 환에 대해서도 정의를 확장할 수 있다. 이 가환 뇌터 환이면, ''R''-가군 ''M''은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코언-매콜리 가군일 경우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각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가군이 되도록 요구하여,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을 정의한다. 국소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R''은 코언-매콜리 가군(자신 위의 -가군)이면 ''코언-매콜리 환''이다.
2. 2. 코언-매콜리 환과 코언-매콜리 스킴
뇌터 가환환 이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한 국소화 이 코언-매콜리 국소환일 때, 또는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한 국소화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일 때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29] 이 조건은 임의의 아이디얼 및 의 연관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의 여차원(높이)과 의 여차원이 같은() 매우 강한 조건이다. 이는 닫힌 부분 스킴의 기약 성분들의 차원이 모두 같음을 의미한다.마찬가지로, 국소 뇌터 스킴 의 임의의 점 에 대한 구조층의 줄기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일 때, 를 '''코언-매콜리 스킴'''이라고 한다.
가환 네, 되요! 국소환 ''R''에 대해, 유한(즉, 유한 생성) ''R''-모듈 은 일 경우 ''코언-매콜리 모듈''이다. 은 자신 위의 모듈이므로, 이 -모듈로서 코언-매콜리 모듈이면 ''코언-매콜리 환''이다. ''극대'' 코언-매콜리 모듈은 인 코언-매콜리 모듈 ''M''이다.
일반적인 네, 되요! 환의 경우, ''R''-모듈 ''M''은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코언-매콜리 모듈일 경우 '''코언-매콜리 모듈'''이라고 한다. 각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극대 코언-매콜리 모듈이 되도록 요구하여 ''극대'' 코언-매콜리 모듈을 정의한다. ''R''은 코언-매콜리 모듈(자신 위의 -모듈)이면 ''코언-매콜리 환''이다. 국소 뇌터 스킴 가 코언-매콜리라는 것은 각 점 에서 국소환 가 코언-매콜리일 때를 말한다.
;국소환의 경우
이 더욱이 국소환이라고 하자. 유한 생성 -가군 이 depth''M''}}을 만족할 때[25], 는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또한 dim''R''}}이 성립할 때, 는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또한 정칙 가군 이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은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우
- 가군 은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국소화 이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는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또한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해 이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는 '''극대 코언-매콜리 가군'''이라고 한다. 또한 정칙 가군 이 코언-매콜리 가군일 때, 은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3. 성질
뇌터 국소환은 완비화가 코언-매콜리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15] 만약 ''R''이 코언-매콜리 환이면, 다항식환 ''R''[''x'']와 멱급수 환 ''R''''x''도 코언-매콜리 환이다.[16][17] 뇌터 국소환 ''R''의 극대 아이디얼에 속하는 영인자가 아닌 ''u''에 대해, ''R''은 ''R''/(''u'')가 코언-매콜리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18] 코언-매콜리 환을 아이디얼로 나눈 몫은 전체 사슬 조건을 만족한다.[19] 만약 ''R''이 코언-매콜리 환의 몫이면, 집합 { ''p'' ∈ Spec ''R'' | ''R''''p''가 코언-매콜리 환 }은 Spec ''R''의 열린 부분 집합이다.[20]
(''R'', ''m'', ''k'')를 임베딩 코차원 ''c''인 뇌터 국소환이라고 하자. 여기서 ''c'' = dim''k''(''m''/''m''2) − dim(''R'')이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정규 스킴에서 코차원 ''c''인 부분 스킴의 국소환에 대해 성립한다. ''c''=1인 경우, ''R''은 초곡면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 또한 코차원 2인 코언-매콜리 환에 대한 구조 정리가 있는데, 이는 힐베르트-벌치 정리이다. 즉, 이들은 모두 어떤 ''r''에 대한 (''r''+1) × ''r'' 행렬의 ''r'' × ''r'' 소행렬식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식 환이다.
뇌터 국소환 (''R'', ''m'')에 대해, 다음은 동치이다:[21]
- ''R''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 모든 매개변수 아이디얼 ''Q'' (매개변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대해, : := ''Q''의 힐베르트-사무엘 중복도.
- 어떤 매개변수 아이디얼 ''Q''에 대해, .
:(이 특성을 일반화한 환에 대해서는 일반화된 코언-매콜리 환 및 벅스바움 환을 참조하십시오.)
코언-매콜리 조건의 한 가지 의미는 코히어런트 쌍대성 이론에서 볼 수 있다. 다양체 또는 스킴 ''X''가 코언-매콜리라는 것은, ''사전적''으로 ''X'' 위의 코히어런트 묶음의 유도 범주에 속하는 "쌍대 복합체"가 단일 묶음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강력한 성질인 고렌스타인은 이 묶음이 선형 묶음임을 의미한다. 특히, 모든 정칙 국소환 스킴은 고렌스타인이다. 따라서 세르 쌍대성 또는 그로텐디크 국소 쌍대성과 같은 쌍대성 정리의 진술은 고렌스타인 또는 코언-매콜리 스킴에 대해 정칙 스킴 또는 매끄러운 다양체에서 일어나는 일의 단순성을 어느 정도 유지한다.
국소환이 코언-매콜리인 것과 그 완비화가 코언-매콜리인 것은 동치이다. 환 ''R''이 코언-매콜리인 것과 다항식환 ''R''[''x'']가 코언-매콜리인 것은 동치이다. 코언-매콜리 환의 몫환은 이다.
3. 1. 함의 관계
정칙환 ⊊ 완비교차환(complete intersection ring) ⊊ 고런스틴 환 ⊊ 코언-매콜리 환의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특히, 모든 정칙 스킴은 코언-매콜리 스킴이다.코언-매콜리 환이 되기 위한 충분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정칙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특히, 모든 체나, 함수체 등은 정칙 국소환이므로 코언-매콜리 환이다.
- 모든 아르틴 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 모든 크룰 차원이 1인 뇌터 축소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 모든 고런스틴 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 뇌터 국소환은 완비화가 코언-매콜리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15]
- ''R''이 코언-매콜리 환이면, 다항식 환 ''R''[''x'']와 멱급수 환 ''R''
''x'' 도 코언-매콜리 환이다.[16][17] - 뇌터 국소환 ''R''의 극대 아이디얼에 속하는 영인자가 아닌 ''u''에 대해, ''R''은 ''R''/(''u'')가 코언-매콜리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18]
- 코언-매콜리 환을 아이디얼로 나눈 몫은 전체 사슬 조건을 만족한다.[19]
- ''R''이 코언-매콜리 환의 몫이면, 집합 { ''p'' ∈ Spec ''R'' | ''R''''p''가 코언-매콜리 환 }은 Spec ''R''의 열린 부분 집합이다.[20]
- (''R'', ''m'', ''k'')를 임베딩 코차원 ''c''인 뇌터 국소환이라고 하자. 여기서 ''c'' = dim''k''(''m''/''m''2) − dim(''R'')이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정규 스킴에서 코차원 ''c''인 부분 스킴의 국소환에 대해 성립한다. ''c''=1인 경우, ''R''은 초곡면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 코차원 2인 코언-매콜리 환에 대한 구조 정리가 있는데, 이는 힐베르트-벌치 정리이다. 즉, 이들은 모두 어떤 ''r''에 대한 (''r''+1) × ''r'' 행렬의 ''r'' × ''r'' 소행렬식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식 환이다.
- 뇌터 국소환 (''R'', ''m'')에 대해, ''R''이 코언-매콜리 환인 것은 모든 매개변수 아이디얼 ''Q'' (매개변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대해, := ''Q''의 힐베르트-사무엘 중복도가 성립하는것과 동치이다.[21] (어떤 매개변수 아이디얼 ''Q''에 대해, 가 성립하여도 동치이다. 이 특성을 일반화한 환에 대해서는 일반화된 코언-매콜리 환 및 벅스바움 환을 참조).
코언-매콜리 조건은 코히어런트 쌍대성 이론에서 ''사전적''으로 유도 범주에 있는 ''쌍대화 대상''이 단 하나의 가군 (연접층)으로 표현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고렌스타인 조건은 사영적인 이 가군 (가역층)으로 표현되는 경우이다. 비특이성 (정칙성)은 더 강한 조건으로, 기하학적 대상의 어떤 점에서의 매끄러움의 개념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하학적인 의미에서, 고렌스타인과 코언-매콜리 개념은 매끄러운 점보다 넓은 범위의 점, 매끄럽지는 않지만 여러 의미에서 매끄러운 점처럼 행동하는 점을 포착한다.
3. 2. 연산에 대한 닫힘
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가 코언-매콜리 환인 것과 다항식환 가 코언-매콜리 환인 것은 서로 동치이다.[29]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가 코언-매콜리 국소환인 것과 에 대응하는 완비 국소환이 코언-매콜리 국소환인 것은 서로 동치이다.[29][30]만약 ''R''이 코언-매콜리 환이면, 다항식 환 ''R''[''x'']와 멱급수 환 ''R''
(R, m, k)를 임베딩 코차원 c인 뇌터 국소환이라고 하자. 여기서 c = dimk(m/m2) − dim(R)이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정규 스킴에서 코차원 c인 부분 스킴의 국소환에 대해 성립한다. c=1인 경우, R은 초곡면 환일 때 그리고 그 때만 코언-매콜리 환이다. 또한 코차원 2인 코언-매콜리 환에 대한 구조 정리가 있는데, 이는 힐베르트-벌치 정리이다. 즉, 이들은 모두 어떤 r에 대한 (r+1) × r 행렬의 r × r 소행렬식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식 환이다.
뇌터 국소환 (''R'', ''m'')에 대해, ''R''이 코언-매콜리 환인 것은 모든 매개변수 아이디얼 ''Q'' (매개변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대해,
:= ''Q''의 힐베르트-사무엘 중복도가 성립하는것과 동치이다. 또한,어떤 매개변수 아이디얼 ''Q''에 대해, 가 성립하는 경우에도 동치이다.
국소환이 코언-매콜리인 것과 그 완비화가 코언-매콜리인 것은 동치이다. 환 ''R''이 코언-매콜리인 것과 다항식환 ''R''[''x'']가 코언-매콜리인 것은 동치이다. 코언-매콜리 환의 몫환은 universally catenary ring이다.
3. 3. 히로나카 기적적 평탄성
정칙 국소환 와 국소 가환환 가 주어졌고, 단사 환 준동형 가 존재하며, 가 -유한 생성 가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12][13]이 사실을 '''히로나카 기적적 평탄성'''(Hironaka’s miracle flatness영어)이라고 하며, '''기적적인 평탄성''' 또는 '''히로나카의 기준'''이라고도 불린다.[12]
이러한 부분환은 뇌터 정규화 보조정리에 의해 체 위의 유한 생성 대수의 소 아이디얼에서의 임의의 국소화 ''R''에 대해 존재한다. 또한, ''R''이 완비이고 체를 포함하거나, ''R''이 완비 정역인 경우에도 존재한다.[12]
기하학적으로, ''X''를 체 ''K'' 위의 유형 사상의 연결 공간인 아핀 스킴(예를 들어, 아핀 대수다양체)이라고 하고, ''n''을 ''X''의 차원이라고 하자. 뇌터 정규화를 통해, ''X''에서 체 ''K'' 위의 아핀 공간 ''A''''n''으로의 유한 사상 ''f''가 존재한다. 그러면 ''X''는 ''f''의 모든 올(fiber)이 같은 차수를 가질 필요충분조건으로 코언-매콜리이다.[14] 이 속성이 ''f''의 선택에 무관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등급 환에 대한 기적적인 평탄성의 버전도 있다. ''R''을 체 ''K'' 위의 유한 생성 가환 등급 대수라고 하자.
:
항상 ''R''이 ''A''-가군으로 유한 생성되도록 하는 등급 다항식 부분환 ''A'' ⊂ ''R''(다양한 차수의 생성자 포함)가 있다. 그러면 ''R''은 ''R''이 등급 ''A''-가군으로서 자유 가군일 필요충분조건으로 코언-매콜리이다. 이 자유성은 다항식 부분환 ''A''의 선택에 무관하다.
3. 4. 순수성 정리 (Unmixedness Theorem)
Noether 환 ''A''의 아이디얼 ''I''는, ''A''/''I''의 임의의 연관 소인자 ''P''에 대해 ht(''I'') = ht(''P'')일 때 '''순수''' (unmixed)라고 불린다.[22] 환 ''A''에 대해 '''순수성 정리''' (unmixedness theorem)가 성립한다는 것은, 아이디얼 ''I''로 ht(''I'')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것이 모두 순수함을 의미한다.[22] 노터 환이 코언-매콜리 환인 것과 순수성 정리가 성립하는 것은 동치이다.[22]Noether 환 ''A''의 아이디얼 ''I''는 높이가 ''I''의 높이와 ''A''/''I''의 모든 연관 소 아이디얼 ''P''의 높이가 같을 경우, '''unmixed''' in height라고 불린다.[22] 이는 ''A''/''I''가 등차원이라는 것보다 더 강력한 조건이다.
'''unmixedness 정리'''는 환 ''A''의 높이와 같은 수의 원소에 의해 생성된 모든 아이디얼 ''I''가 unmixed일 경우, 환 ''A''에 대해 성립한다고 말한다.[22]
unmixed 정리는 특히 영 아이디얼(영 원소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적용되며, 이를 통해 코언-매콜리 환이 등차원 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22] 실제로 임베디드 성분이 없고, 각 성분은 동일한 코드 차원을 갖는다는 강한 의미에서 그렇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이 사실을 '''히로나카 기적적 평탄성'''(Hironaka’s miracle flatness영어)이라고 한다.
4. 예
다음과 같은 노에터 환(Noetherian rings)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 모든 정칙 국소환. 이는 정수 , 또는 체 ''K''에 대한 다항식 환 또는 멱급수환 과 같은 다양한 코언-매콜리 환의 예시를 낳는다. 기하학적으로, 모든 정칙 스킴, 예를 들어 체 위의 매끄러운 다양체는 코언-매콜리이다.
- 모든 0차원 환(또는 동등하게, 모든 아르틴 환).
- 모든 1차원 기약환, 예를 들어 모든 1차원 정역.
- 모든 2차원 정규환.
- 모든 고렌스타인 환. 특히, 모든 완전 교차환.
- 환의 불변환 (''R''이 표수가 0인 체 위의 코언-매콜리 대수이고 ''G''가 유한군(또는 일반적으로 리 대수적 군의 항등 성분이 환원군)인 경우). 이것은 호흐스터-로버츠 정리이다.
- 모든 행렬식 환. 즉, ''R''이 정칙 국소환 ''S''를 ''S''의 원소로 이루어진 ''p'' × ''q'' 행렬의 어떤 ''r'' × ''r'' 소행렬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 ''I''로 나눈 몫이라고 하자. ''I''의 코차원(또는 높이)이 "예상된" 코차원 (''p''−''r''+1)(''q''−''r''+1)과 같으면 ''R''을 '''행렬식 환'''이라고 한다. 이 경우, ''R''은 코언-매콜리이다.[2] 유사하게, 행렬식 다양체의 좌표 환은 코언-매콜리이다.
몇 가지 더 예시:
1. 환 ''K''[''x'']/(''x''²)는 차원이 0이므로 코언-매콜리이지만, 기약적이지 않으므로 정칙적이지 않다.
2. 다항식 환 ''K''[''t'']의 부분환 ''K''[''t''2, ''t''3], 또는 ''t''=0에서의 국소화 또는 완비화는 고렌스타인이면서 1차원 정역이며, 따라서 코언-매콜리이지만 정칙적이지 않다. 이 환은 또한 ''K'' 위의 첨점 3차 곡선 ''y''2 = ''x''3의 좌표 환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다항식 환 ''K''[''t'']의 부분환 ''K''[''t''3, ''t''4, ''t''5], 또는 ''t''=0에서의 국소화 또는 완비화는 코언-매콜리이지만 고렌스타인이 아닌 1차원 정역이다.
표수가 0인 체 위의 유리 특이점은 코언-매콜리이다. 모든 체 위의 토릭 다양체는 코언-매콜리이다.[3] 최소 모형 프로그램은 klt (Kawamata log terminal) 특이점을 가진 다양체를 사용한다. 표수 0에서 이들은 유리 특이점이며, 따라서 코언-매콜리이다.[4] 양의 표수에서 유리 특이점의 성공적인 유사물은 '''F-유리 특이점'''의 개념이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특이점은 코언-매콜리이다.[5]
''X''가 체 위의 차원 ''n'' ≥ 1인 사영 다양체이고, ''L''이 ''X'' 위의 충분 선다발이라고 하자. 그러면 ''L''의 단면 환
:
은 1 ≤ ''i'' ≤ ''n''−1 및 모든 정수 ''j''에 대해 코호몰로지 그룹 ''H''''i''(''X'', ''L''''j'')가 0일 경우에만 코언-매콜리이다.[6] 예를 들어, 아벨 다양체 ''X''의 아핀 콘 Spec ''R''은 ''X''의 차원이 1일 때는 코언-매콜리이지만, ''X''의 차원이 2 이상일 때는 그렇지 않다(왜냐하면 ''H''1(''X'', ''O'')가 0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반화된 코언-매콜리 환도 참조하십시오.
간단한 예로, 포물선과 접하는 선의 교차점을 취하면, 교차점에서의 국소환은 다음과 동형입니다.
:
이는 길이 2인 코언-매콜리 환이므로, 예상대로 교차 다중도는 2입니다.
4. 1. 코언-매콜리 환의 예
모든 정칙 국소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다. 정수 , 체 ''K''에 대한 다항식 환 , 멱급수환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기하학적으로, 체 위의 매끄러운 다양체와 같은 모든 정칙 스킴은 코언-매콜리이다. 모든 0차원 환(또는 모든 아르틴 환), 모든 1차원 기약환(예: 모든 1차원 정역), 모든 2차원 정규환 역시 코언-매콜리 환이다.모든 고렌스타인 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며, 특히 모든 완전 교차환이 이에 해당한다. ''R''이 표수가 0인 체 위의 코언-매콜리 대수이고 ''G''가 유한군(또는 리 대수적 군의 항등 성분이 환원군)일 때, 환의 불변환 는 코언-매콜리 환이다. (이 정리는 호흐스터-로버츠 정리이다.)
정칙 국소환 ''S''와 ''S''의 원소로 이루어진 ''p'' × ''q'' 행렬의 ''r'' × ''r'' 소행렬식으로 생성된 아이디얼 ''I''에 대해, ''I''의 코차원(또는 높이)이 (''p''−''r''+1)(''q''−''r''+1)과 같으면, 몫환 ''R'' = ''S''/''I''은 코언-매콜리 환인 '''행렬식 환'''이다.[2] 행렬식 다양체의 좌표 환은 코언-매콜리이다.[2]
환 ''K''[''x'']/(''x''²)는 차원이 0이므로 코언-매콜리이지만, 기약적이지 않으므로 정칙적이지 않다. 다항식 환 ''K''[''t'']의 부분환 ''K''[''t''2, ''t''3] (또는 ''t''=0에서의 국소화 또는 완비화)는 고렌스타인이면서 1차원 정역이며, 따라서 코언-매콜리이지만 정칙적이지 않다. 이 환은 ''K'' 위의 첨점 3차 곡선 ''y''2 = ''x''3의 좌표 환으로도 볼 수 있다. 다항식 환 ''K''[''t'']의 부분환 ''K''[''t''3, ''t''4, ''t''5] (또는 ''t''=0에서의 국소화 또는 완비화)는 코언-매콜리이지만 고렌스타인이 아닌 1차원 정역이다.
표수가 0인 체 위의 유리 특이점은 코언-매콜리이다. 모든 체 위의 토릭 다양체는 코언-매콜리이다.[3] 최소 모형 프로그램은 klt (Kawamata log terminal) 특이점을 가진 다양체를 사용하는데, 표수 0에서 이들은 유리 특이점이므로 코언-매콜리이다.[4] 양의 표수에서 유리 특이점과 유사한 '''F-유리 특이점''' 역시 코언-매콜리이다.[5]
''X''가 체 위의 차원 ''n'' ≥ 1인 사영 다양체이고, ''L''이 ''X'' 위의 충분 선다발일 때, ''L''의 단면 환
:
은 1 ≤ ''i'' ≤ ''n''−1 및 모든 정수 ''j''에 대해 코호몰로지 그룹 ''H''''i''(''X'', ''L''''j'')가 0일 경우에만 코언-매콜리이다.[6] 아벨 다양체 ''X''의 아핀 콘 Spec ''R''은 ''X''의 차원이 1일 때는 코언-매콜리이지만, ''X''의 차원이 2 이상일 때는 그렇지 않다.[6]
4. 2. 고런스틴 환이 아닌 코언-매콜리 환
체 에 대하여, 다항식환 의 부분환 를 생각하자. 이는 코언-매콜리 환이지만 고런스틴 환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극대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는 고런스틴 국소환이 아닌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다.4. 3. 코언-매콜리 환이 아닌 환
체 에 대하여 가환환:
를 생각하자.[33] 기하학적으로, 이므로, 이는 ‘두꺼운’ 원점 을 갖는 직선 이다. 원점에서 0차원과 1차원의 공존으로 인해 이는 코언-매콜리 환이 될 수 없다. (반면, ‘두꺼운 점’만이 존재하는 경우인 는 코언-매콜리 환이다.[33])
구체적으로, 원점에 해당하는 극대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 가환환 을 취하자. 이 경우, 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이므로, 의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되는 모든 원소는 영인자이며, 특히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되는 모든 정칙렬의 길이는 0이다. 따라서 의, 에서의 깊이는 0이다. 그러나
:
이므로 의 크룰 차원(의 높이)은 1이다.
따라서 은 코언-매콜리 국소환이 아니며, 는 코언-매콜리 환이 아니다.
체 에 대하여,
:
를 생각하자. 기하학적으로, 이는 4차원 아핀 공간 속의, 평면과 평면의 합집합이다. 이 환은 어디서나 같은 차원(즉, 2차원)을 갖는다 (즉, 극대 아이디얼의 국소 가환환의 크룰 차원이 항상 2이다). 그러나 이는 (원점에서) 코언-매콜리 환이 아니다.[29]
판별 기준을 사용하면, 내장된 점이 있는 곡선을 구성하여 코언-매콜리 곡선이 아닌 쉬운 예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킴
:
은 소 아이디얼 로 분해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원점에 내장된 점이 있는 축으로, 이는 "뚱뚱한 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매끄러운 사영 평면 곡선 가 주어졌을 때,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내장된 점이 있는 곡선을 구성할 수 있다. 점 의 아이디얼 를 찾아 곡선 의 아이디얼 와 곱한다. 그러면
:
는 에서 내장된 점이 있는 곡선이다.
만약 ''K''가 체라면, 링 ''R'' = ''K''[''x'',''y'']/(''x''2,''xy'') (내포된 점이 있는 선의 좌표 링)은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이는 예를 들어 기적적 평탄성에 의해 증명된다. ''R''은 다항식 링 ''A'' = ''K''[''y''] 위에서 유한하며, 아핀 선 Spec ''A''의 점 중 ''y'' ≠ 0인 점에서는 차수 1을 가지지만, ''y'' = 0인 점에서는 차수 2를 가진다 (왜냐하면 ''K''-벡터 공간 ''K''[''x'']/(''x''2)의 차원은 2이기 때문이다).
만약 ''K''가 체라면, 링 ''K''[''x'',''y'',''z'']/(''xy'',''xz'') (선과 평면의 합집합의 좌표 링)은 환원적이지만 동일 차원이 아니므로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비영인자 ''x''−''z''로 몫을 취하면 위에서 언급된 예제가 된다.
만약 ''K''가 체라면, 링 ''R'' = ''K''[''w'',''x'',''y'',''z'']/(''wy'',''wz'',''xy'',''xz'') (점에서 만나는 두 평면의 합집합의 좌표 링)은 환원적이고 동일 차원이지만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하츠숀의 '''연결성 정리'''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R''이 2차원 이상인 코언-매콜리 국소 링이라면, Spec ''R''에서 닫힌 점을 뺀 것은 연결되어 있다.[23]
두 코언-매콜리 링의 세그레 곱은 코언-매콜리일 필요는 없다.[24]
''K''가 체일 경우, 형식적 멱급수환의 상 (국소환의, 매몰된 이중점을 갖는 직선의 이중점에 있어서의 완비화)는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왜냐하면 깊이 0이지만 차원 1이기 때문이다.
''K''가 체일 경우, 환 (국소환의, 평면과 직선의 공통 부분에서의 완비화)는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로 나누면 바로 앞의 예제를 얻을 수 있다.
''K''가 체일 경우, 환 (국소환의, 한 점에서 교차하는 두 평면의 공통 부분에서의 완비화)는 코언-매콜리가 아니다. 로 나누면 바로 앞의 예제를 얻을 수 있다.
5. 코언-매콜리 곡선
코언-매콜리 곡선은 코언-매콜리 스킴의 특수한 경우이지만, 매끄러운 궤적 의 경계가 코언-매콜리 곡선인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을 압축하는 데 유용하다.[7] 곡선이 코언-매콜리 곡선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기준이 있다. 차원이 인 스킴은 내장된 소수가 없는 경우에만 코언-매콜리 스킴이다.[8] 코언-매콜리 곡선에 존재하는 특이점은 평면 곡선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완전히 분류될 수 있다.[9]
6. 교차 이론과의 관계
코언-매콜리 스킴은 교차 이론과 특별한 관계를 가진다.[10] ''X''가 매끄러운 다양체이고, ''V'', ''W''가 순수한 차원의 닫힌 부분 스킴이라고 하자. ''Z''를 스킴 이론적 교차 의 고유 성분, 즉, 예상된 차원의 기약 성분이라고 하자. 만약 의 ''Z''의 일반점에서의 국소환 ''A''가 코언-매콜리이면, ''Z''를 따라 ''V''와 ''W''의 교차 중복도는 ''A''의 길이로 주어진다.[11]
:.
일반적으로, 그 중복도는 본질적으로 코언-매콜리 환을 특징짓는 길이로 주어지며, #성질을 참조하면 된다. 중복도 1 조건은 대략적으로 중복도 1의 국소환으로서 정규 국소환을 특징짓는다.
7. 역사
프랜시스 소어비 매콜리(Francis Sowerby Macaulay영어)는 1916년에 다항식환이 (현대적인 용어로) 코언-매콜리 환임을 증명하였고,[31] 어빈 솔 코언은 1946년에 형식적 멱급수환도 마찬가지 성질을 가짐을 보였다.[32] 이후 매콜리와 코언의 이름을 따서 이름붙여졌다.
멜빈 혹스터(Melvin Hochster영어)는 코언-매콜리 환의 개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인용문2|
삶을 살기에 진짜로 좋은 곳은 뇌터 환 중에 모든 국소환 속의 매개계가 -정칙렬인 것이다. 이러한 환은 '''코언-매콜리 환'''이라고 한다 (줄여서 CM환).
Life is really worth living in a Noetherian ring when all the local rings have the property that every s.o.p. [system of parameters] is an -sequence. Such a ring is called ''Cohen-Macaulay'' (C-M for short).영어
|[33]
}}
참조
[1]
문서
Bruns & Herzog, from def. 2.1.1
[2]
문서
Eisenbud (1995), Theorem 18.18.
[3]
문서
Fulton (1993), p. 89.
[4]
문서
Kollár & Mori (1998), Theorems 5.20 and 5.22.
[5]
문서
Schwede & Tucker (2012), Appendix C.1.
[6]
문서
Kollár (2013), (3.4).
[7]
웹사이트
Compactifying Locally Cohen–Macaulay Projective Curves
http://www.diva-port[...]
[8]
웹사이트
Lemma 31.4.4 (0BXG)—The Stacks project
https://stacks.math.[...]
2020-03-05
[9]
간행물
Curve singularities of finite Cohen–Macaulay type
https://projecteucli[...]
1991-12
[10]
문서
smoothness here is somehow extraneous and is used in part to make sense of a proper component.
[11]
문서
Fulton
1998
[12]
문서
Bruns & Herzog, Theorem A.22.
[13]
문서
Eisenbud (1995), Corollary 18.17.
[14]
문서
Eisenbud (1995), Exercise 18.17.
[15]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5.
[16]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7.
[17]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23.5.; NB: although the reference is somehow vague on whether a ring there is assumed to be local or not, the proof there does not need the ring to be local.
[18]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3.(ii).
[19]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9.
[20]
문서
Matsumura (1989), Exercise 24.2.
[21]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11.
[22]
문서
Matsumura (1989), Theorem 17.6.
[23]
문서
Eisenbud (1995), Theorem 18.12.
[24]
간행물
On unmixedness theorem
[25]
문서
一般には {{math|dim''M'' ≥ depth''M''}} が成り立つ
[26]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Helsinki, Finland, vol. 1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14-08-09
[27]
저널
Hyman Bass and ubiquity: Gorenstein rings
https://archive.org/[...]
2002-09-16
[28]
저널
Hyman Bass and ubiquity: Gorenstein rings
https://archive.org/[...]
2002-09-16
[29]
서적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Springer-Verlag
1995
[30]
서적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06
[31]
서적
The algebraic theory of modular systems
http://projecteucli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6
[32]
저널
On the structure and ideal theory of complete local rings
[33]
저널
Some applications of the Frobenius in characteristic 0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