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 마리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라 마리아나는 13세기 초 리보니아 십자군 전쟁 이후 독일과 덴마크가 점령한 지역에 형성된 중세 봉건 영주국이다. 교황 특사 모데나의 윌리엄에 의해 6개의 봉건적 공국으로 나뉘었으며,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 튜턴 기사단의 리보니아 기사단, 그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가 통치했다. 1419년 리보니아 의회가 소집되어 리보니아 연방이 결성되었으나, 1558년~1582년 리보니아 전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북부는 스웨덴으로, 남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으로 편입되었으며, 사레마 섬은 덴마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방십자군 - 제2차 스웨덴 십자군
13세기 중반 스웨덴이 비르예르 야를의 주도하에 핀란드, 특히 타바스티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던 군사 원정인 제2차 스웨덴 십자군은 《에리크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으나, 시기와 성격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이후 핀란드는 스웨덴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 북방십자군 - 제3차 스웨덴 십자군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은 13세기 말 스웨덴이 핀란드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토르켈 크누트손의 지휘하에 진행되었고 비보리 성 건설과 서카렐리아 지역에 대한 스웨덴의 지배를 확립했으나, 노브고로드 공화국과의 갈등을 심화시켜 이후 수십 년간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 발트 3국의 역사 -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한 발트 3국과 벨라루스 지역에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1941년 설립되어 독일화 계획, 강제 노동, 홀로코스트 등 나치의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1944년 해체되었다. - 발트 3국의 역사 - 발트의 길
발트의 길은 1989년 8월 23일 발트 3국의 독립을 요구하며 약 2백만 명이 참여하여 세 나라 수도를 인간 띠로 연결한 평화 시위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으로 인한 소련의 불법적인 점령을 규탄하고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린 사건이며, 관련 기록물은 유네스코 세계 기억 유산에 등재되었다. - 십자군 국가 - 트리폴리 백국
트리폴리 백국은 1102년 레몽 4세가 트리폴리를 포위 공격하며 시작되어 1109년 수도로 삼았으며, 맘루크 왕조에 의해 1289년 멸망했다. - 십자군 국가 - 에데사 백국
에데사 백국은 1098년부터 1149년까지 존속한 십자군 국가로, 보두앵 1세가 건국하였으며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위치해 다른 국가들과 떨어져 잦은 공격과 내분으로 1144년 함락되어 제2차 십자군의 계기가 되었다.
테라 마리아나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일반적인 긴 이름 | 테라 마리아나 |
일반적인 이름 | 올드 리보니아 |
시대 | 중세 |
지위 | 신성 로마 제국의 공국 (1207년–1215년) 교황청의 봉신국 (1215년–1561년) |
수도 | 리가 (사실상) 발카 (1435년부터) |
공용어 | 라틴어 저지 독일어 리보니아어 에스토니아어 라트비아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정부 형태 | 신정 선출 군주국 |
입법부 | 란트탁 |
오늘날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
통화 | 아르티크 데나리어스 실링 탈러 |
역사 | |
시작 | 1207년 |
종료 | 1561년 |
사건1 | 성 게오르기오 밤의 봉기 |
날짜 사건1 | 1343–1344년 |
사건2 | 란트탁 형성 |
날짜 사건2 | 1419년 |
사건3 | 연맹 협정 |
날짜 사건3 | 1435년 12월 4일 |
사건 종료 | 빌뉴스 조약 |
지도 | |
뒤를 이은 국가 | |
국가1 | 덴마크령 에스토니아 |
국기1 | Flag of Denmark (state).svg |
국가2 | 스웨덴령 에스토니아 |
국기2 | Naval Ensign of Sweden.svg |
국가3 | 쿠를란트-젬갈레 공국 |
국기3 | Flag of Courland (state).svg |
국가4 | 리보니아 공국 |
국기4 | POL Inflanty IRP COA.svg |
2. 역사
1193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가 북유럽의 이교도를 상대로 십자군 전쟁을 선포하면서 발트해 동쪽 해안 지역의 기독교화가 시작되었다.[11] 이 십자군은 프랑크족과 샤를마뉴의 십자군과 자주 비교되지만, 1197년 또는 1198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선포되었으며, 최초의 기록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편지에 나타난다.[12]
13세기 초, 고틀란드와 북부 신성 로마 제국 출신의 독일 십자군은 다우가바 강과 가우야 강을 따라 리보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의 땅을 정복했다. 1201년 오늘날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 요새가 건설되었고, 1202년에는 검의 형제 기사단이 결성되었다. 1218년 교황 호노리오 3세는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에게 에스토니아에서 정복할 수 있는 만큼의 영토를 합병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했다. 또한 에스토니아 남부에서 십자군을 이끌던 리가의 알베르트는 독일 왕 슈바벤의 필리프에게 북쪽에서 에스토니아를 공격할 수 있는 허가를 요청했다.[13] 마지막으로 정복되고 기독교화된 이들은 외젤리안인, 쿠론인, 세미갈리아인이었다.
이 십자군 전쟁은 교황이 성지 순례를 가려는 사람들에게 대신 리보니아에서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도록 허락했고, 참여자들은 십자군 전쟁에 법적으로 묶여 있음을 나타내는 십자가 문장을 착용해야 했다는 점에서 다른 십자군 전쟁과 달랐다.[12]
1207년 2월 2일 신성 로마 제국의 공국으로 창설되었지만, 121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교황령의 직할지로 선언되면서 그 지위를 잃었다.[30] 1228년 교황 사절 모데나의 빌헬름은 중세 리보니아를 독일인들이 이끄는 교회와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 간의 타협으로 분할했다. 이는 독일 기사단이 핀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에스토니아인과 리보니아인, 발트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라트갈리아인, 셀로니아인, 세미갈리아인, 쿠론인 등 여러 원주민 부족의 영토를 정복하고 굴복시킨 후의 결과였다.
모데나의 빌헬름은 테라 마리아나를 6개의 봉건적인 공국으로 나누었다.
중세 리보니아는 검의 형제 기사단, 1237년부터는 튜턴 기사단의 반자율 지부인 리보니아 기사단과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간헐적으로 통치되었다. 14세기 중반, 에스토니아 공국을 덴마크의 크리스토퍼 2세로부터 매입한 후, 리보니아 기사단은 구 리보니아의 약 67000km2를, 교회는 약 41000km2를 통제했다. 기사단 영토는 포크트가 다스리는 약 40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테라 마리아나와 리가 시의 명목상 수장은 교회 계층의 정점인 리가 대주교였다.[15]
1240년 발데마르 2세는 에스토니아 공국에서 레발 주교령을 설립하면서(교회법에 반하여) 레발 주교 임명 권한을 자신과 덴마크의 후계 왕에게 부여했다. 레발 주교령의 주교를 단순히 지명하는 결정은 당시 가톨릭 교회 전체에서 유일무이한 일이었으며, 주교와 교황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대 동안, 레발에서는 주교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교령과 주교 지명에 대한 왕의 권리는 1346년 튜턴 기사단에 영토가 매각될 때 조약에 포함되었다.[16]
중세 리보니아는 교회, 기사단, 봉토를 다스린 독일계 세속 귀족, 그리고 한자 동맹 도시 리가 시민들 간의 지배권 쟁탈전이 끊이지 않았다. 1296년~1330년, 1313년~1330년, 1343년~1345년에는 두 차례의 주요 내전이 벌어졌고, 1343년~1345년에는 에스토니아 반란으로 덴마크령 에스토니아 공국이 독일 기사단령에 병합되었다.[17]
1435년 9월 1일 파바이스카스의 전투(Swienta의 전투)에서 리보니아 기사단이 패배하면서 리보니아 주변 지역의 결속을 가져왔다. 1418년 교황 마르티노 5세는 요하네스 암분디이를 리가 대주교로 임명했고[18], 그는 리보니아 연방의 조직자로 알려졌다.[19][20]
내부 분쟁을 해결하고자 1419년[21][22] 암분디이 대주교의 주도로 리보니아 의회, 즉 "란트타크"가 소집되었다. 발크 시가 의회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며, 의회는 리보니아 기사단, 리보니아 주교, 봉신, 도시 대표들로 구성되었다.[21]
1435년 12월 4일, 발크에서 리가 대주교, 쿠를란트, 도르파트, 외젤-비크, 레발 주교, 리보니아 기사단과 봉신 대표, 그리고 리가, 레발, 도르파트 시의회 대표들이 리보니아 연방 협정(''eiine fruntliche eyntracht'')을 체결했다.[23]
리보니아 연방은 1558년~1582년 리보니아 전쟁 기간 동안 멸망했다. 1561년 리보니아 전쟁 중에 테라 마리아나는 해체되었다. 북부는 스웨덴 왕국으로 넘어가 에스토니아 공국이 되었고, 남부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즉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부인 Duchy of Livonia|리보니아 공국영어(1621년에는 Inflanty Voivodeship|인플란티 공국영어)이 되었다. 사레마 섬은 덴마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2. 1. 리보니아 십자군
발트해 동쪽 해안 지역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기독교화된 유럽의 마지막 지역이었다.[11] 1193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는 북유럽의 이교도를 상대로 십자군 전쟁을 선포했다. 이 십자군 전쟁은 프랑크족과 샤를마뉴의 십자군 전쟁과 자주 비교된다.[12] 그러나 이 십자군 전쟁은 1197년 또는 1198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선포되었으며, 이 십자군 전쟁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편지에 나타난다.[12]13세기 초, 고틀란드와 북부 신성 로마 제국 출신의 독일 십자군은 다우가바 강과 가우야 강을 따라 리보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의 땅을 정복했다. 오늘날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 요새는 1201년에 건설되었고, 1202년에는 검의 형제 기사단이 결성되었다. 1218년 교황 호노리오 3세는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에게 에스토니아에서 정복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영토를 합병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했다. 또한, 에스토니아 남부에서 십자군을 이끌던 리가의 알베르트는 독일 왕 슈바벤의 필리프를 방문하여 북쪽에서 에스토니아를 공격할 수 있는 허가를 요청했다.[13] 마지막으로 정복되고 기독교화된 이들은 외젤리안인, 쿠론인, 세미갈리아인이었다.
이 십자군 전쟁은 다른 많은 십자군 전쟁과 달랐는데, 교황이 성지 순례를 가려는 사람들에게 대신 리보니아에서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도록 허락했기 때문이다. 이 십자군 전쟁의 참여자들은 또한 십자군 전쟁에 법적으로 묶여 있음을 나타내는 십자가 문장을 착용해야 했다.[12]
십자군 전쟁의 성공 이후, 독일과 덴마크가 점령한 영토는 모데나의 윌리엄에 의해 봉건 영주국으로 분할되었다.[14] 1227년, 리보니아 검 형제 기사단은 에스토니아에 있던 모든 덴마크 영토를 정복했다. 1236년에 샤울레이 전투에서 패배한 후, 1237년에 검의 형제 기사단의 잔당은 독일 기사단에 흡수되어 리보니아 기사단이 되었다. 1238년 6월 7일 덴마크 왕발데마르 2세와 맺은 조약에 의해 독일 기사단은 덴마크령 에스토니아를 반환했다. 1346년에 덴마크령 에스토니아는 독일 기사단에 매각되어 다시 독일 기사단령의 일부가 되었다. 1410년 그룬발트 전투에서 패배 이후, 독일 기사단과 독일 기사단령은 쇠퇴했지만, 리보니아 기사단은 독립적인 존재를 유지할 수 있었다.
2. 2. 테라 마리아나 성립
1207년 2월 2일에 신성 로마 제국의 공국으로 창설되었지만, 121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교황령의 직할지로 선언되면서 그 지위를 잃었다.[30] 1228년 교황 사절 모데나의 빌헬름은 중세 리보니아를 독일인들이 이끄는 교회와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 간의 타협으로 분할했는데, 이는 독일 기사단이 여러 원주민 부족의 영토를 정복하고 굴복시킨 후의 결과였다. 이 부족들은 핀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에스토니아인과 리보니아인, 그리고 발트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라트갈리아인, 셀로니아인, 세미갈리아인, 쿠론인이었다.교황 특사인 모데나의 빌헬름에 의해 테라 마리아나는 6개의 봉건적인 공국으로 나뉘었다.
1227년 리보니아 검 형제 기사단은 에스토니아에 있던 모든 덴마크 영토를 정복했다. 1236년 샤울레이에서 제마이티아 공국과 벌인 샤울레이 전투에서 패배한 후, 1237년 검 형제 기사단의 잔당은 독일 기사단에 흡수되어 리보니아 기사단이 되었다. 1238년 6월 7일 Stensby-aftalen|스텐스뷔 조약da에 의해 독일 기사단은 덴마크 왕 발데마르 2세에게 덴마크령 에스토니아를 반환했다.
1346년 덴마크령 에스토니아가 독일 기사단에 매각되어 다시 독일 기사단령의 일부가 되었다.
1410년 그룬발트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독일 기사단과 독일 기사단령은 쇠퇴했지만, 리보니아 기사단은 독립적인 존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중세 리보니아는 처음에는 검의 형제 기사단이, 1237년부터는 튜턴 기사단의 반자율 지부인 리보니아 기사단과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간헐적으로 통치되었다. 14세기 중반, 에스토니아 공국을 덴마크의 크리스토퍼 2세로부터 매입한 후, 리보니아 기사단은 구 리보니아의 약 67,000 평방 킬로미터를, 교회는 약 41000km2를 통제했다. 기사단 영토는 포크트가 다스리는 약 40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교회 국가 | 면적 |
---|---|
리가 대주교령 | 18000km2 |
쿠를란트 주교령 | 4500km2 |
도르파트 주교령 | |
외젤-비크 주교령 |
테라 마리아나와 리가 시의 명목상 수장은 교회 계층의 정점인 리가 대주교였다.[15]
1240년 발데마르 2세는 에스토니아 공국에서 레발 주교령을 설립하면서(교회법에 반하여) 레발 주교 임명 권한을 자신과 덴마크의 후계 왕에게 부여했다. 레발 주교령의 주교를 단순히 지명하는 결정은 당시 가톨릭 교회 전체에서 유일무이한 일이었으며, 주교와 교황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대 동안, 레발에서는 주교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교령과 주교 지명에 대한 왕의 권리는 1346년 튜턴 기사단에 영토가 매각될 때 조약에 포함되었다.[16]
2. 3. 리보니아 내전
중세 리보니아는 교회, 기사단, 봉토를 다스린 독일계 세속 귀족, 그리고 한자 동맹 도시 리가 시민들 간의 지배권 쟁탈전이 끊이지 않았다. 1296~1330년, 1313~1330년, 1343~1345년에는 두 차례의 주요 내전이 벌어졌고, 1343~1345년에는 에스토니아 반란으로 덴마크령 에스토니아 공국이 독일 기사단령에 병합되었다.[17]리보니아 기사단의 가장 중요한 동맹은 덴마크령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독일 귀족이었다.[17] 14세기 초, 덴마크는 더 이상 강력한 국가가 아니었고, 현지 독일 귀족들이 사실상 이 지역의 지배자가 되었다. 1343년 하리우의 에스토니아인들이 반란(성 게오르기우스 밤 봉기)을 일으킨 후, 튜턴 기사단이 해당 지역을 점령했다. 덴마크 통치 체제의 전복은 기사단이 에스토니아 반란을 진압한 지 이틀 만에 이루어졌다. 친독일적 가신들과의 협력으로 덴마크 부왕이 투옥되었다. 레발과 베젠베르크의 성은 1343년 5월 16일 독일 귀족 측에 의해 기사단에 넘겨졌고, 나르바의 성은 1345년에 넘겨졌다. 1346년, 에스토니아 영토(하리아와 비로니아)는 덴마크 왕에 의해 19000쾰른 마르크에 튜턴 기사단에 매각되었다. 덴마크에서 튜턴 기사단으로의 주권 이전은 1346년 11월 1일에 이루어졌다.
테라 마리아나의 존재 기간 동안 지배권을 놓고 교회, 기사단, 세속적인 독일 귀족, 리가와 탈린의 한자 동맹 도시 시민들 사이에서 끊임없는 전투가 벌어졌다. 1435년 9월 1일의 파바이스카스의 전투(Swienta의 전투)에서 리보니아 기사단의 패배는 리보니아 주변 지역의 결속을 가져왔다.
2. 4. 리보니아 연맹
1410년 그룬발트 전투에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가 튜튼 기사단을 격파하면서 튜튼 기사단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리보니아 기사단은 이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비타우타스 대공과 휴전을 맺어 사상자 없이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했다.[19]1418년 교황 마르티노 5세는 요하네스 암분디이를 리가 대주교로 임명했다.[18] 그는 리보니아 연방의 조직자로 알려졌다.[19][20]
중세 리보니아 시대에는 기사단, 주교, 그리고 한자 동맹 도시들 간의 갈등이 빈번했다. 이러한 내부 분쟁을 해결하고자 1419년[21][22] 암분디이 대주교의 주도로 리보니아 의회, 즉 "란트타크"가 소집되었다. 발크 시가 의회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며, 의회는 리보니아 기사단, 리보니아 주교, 봉신, 도시 대표들로 구성되었다.[21]
1435년 9월 1일, 리보니아 기사단은 비우코미에르즈 전투에서 패배하여 단장과 여러 고위 기사들이 사망했고, 이는 기사단이 리보니아 인접 국가들과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었다. 1435년 12월 4일, 발크에서 리가 대주교, 쿠를란트, 도르파트, 외젤-비크, 레발 주교, 리보니아 기사단과 봉신 대표, 그리고 리가, 레발, 도르파트 시의회 대표들이 리보니아 연방 협정(''eiine fruntliche eyntracht'')을 체결했다.[23]
리보니아 연방은 1558년~1582년 리보니아 전쟁 기간 동안 멸망했다.
2. 5. 리보니아 전쟁과 해체
1561년 리보니아 전쟁 중에 테라 마리아나는 해체되었다. 북부는 스웨덴 왕국으로 넘어가 에스토니아 공국이 되었다. 남부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즉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부인 Duchy of Livonia|리보니아 공국영어(1621년에는 Inflanty Voivodeship|인플란티 공국영어)이 되었다. 사레마 섬은 덴마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3. 명칭
헨리 리보니아에 따르면, 리가의 알베르트 주교는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자신의 교구가 십자군 활동의 중요한 장소이며, 성모 마리아(마리아)와 관련이 있음을 강조했다.[28]
그는 "성부여, 당신은 아들의 땅인 예루살렘 성지[...]를 열정적으로 숭배하시듯이, 어머니의 땅인 리보니아[...]도 버리지 마셔야 합니다."라고 말했다.[28]
4. 대중문화
"테라 마리아나"는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IV의 업적으로, 전략 비디오 게임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IV에 등장한다.[29] [30]
참조
[1]
encyclopedia
Terra Mariana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
[2]
서적
Estonia and the Estonians: Second Edition, Updated
Hoover Pres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
[4]
문서
"(Oolt-Livland, Jemā-Līvõmō, Vana-Liivimaa, Livonija)"
[5]
서적
Latvian-Russian Relations: Documents
https://books.google[...]
The Latvian legation
[6]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bert Appleton Company
[7]
서적
The Church in Latvia
https://archive.org/[...]
Drauga vēsts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candinavia: Prehistory to 15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Order of the Cross of Terra Mariana
http://www.president[...]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Estonia, Estonian State Decorations
2011-01-22
[10]
웹사이트
Māras zeme {{!}} Tēzaurs
https://tezaurs.lv/m[...]
2024-03-07
[1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the Baltic stat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2]
문서
Thirteenth-Century Livonian Crusade: Henricus De Lettis and the First Legatine Mission of Bishop William of Modena
Franz Steiner Verlag
[13]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https://archive.org/[...]
Penguin
[14]
웹사이트
An Historical Overview of the Crusade to Livonia
https://www.the-orb.[...]
[15]
서적
The Latvians: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16]
서적
Danish Medieval History & Saxo Grammaticus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17]
서적
Livonian Crus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8]
서적
Das Stift Neumünster in Würzburg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
서적
Latvia as an Independent State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1]
서적
The Latvians: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3]
서적
Vana-Liivimaa maapäev
https://books.google[...]
Argo
[24]
서적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5]
서적
Recollections of a tour in the north of Europe in 1836–1837
https://archive.org/[...]
[26]
서적
Trade, diplomacy and cultural exchang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North Sea area and the Baltic, c. 1350–1750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2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Clash of Cultures on the Medieval Baltic Frontier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7-07-12
[29]
웹사이트
Steam Community :: Europa Universalis IV :: Achievements
https://steamcommuni[...]
2021-08-13
[30]
웹인용
Steam Community :: Europa Universalis IV :: Achievements
https://steamcommuni[...]
2021-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