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극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극권은 근접전을 특기로 하는 중국 무술로, 18세기 회족 무술가 우종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모든 방향으로의 확장' 또는 '우주'를 의미하는 '팔극'이라는 명칭처럼, 팔꿈치, 무릎, 어깨 등 신체의 모든 부위를 활용한 공격을 특징으로 한다. 팔극권은 소팔극, 대팔극, 육합창 등의 투로와 진각, 념보, 창보 등의 보법을 통해 힘을 기르고, 발경을 통해 폭발적인 힘을 낸다. 이서문의 제자들이 중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계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만화,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버추어 파이터의 유키 아키라, 페이트 시리즈의 코토미네 키레이 등 다양한 캐릭터가 팔극권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 무술에 관한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무술에 관한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팔극권
개요
전형적인 팔극권 자세 - 마보 자세의 우연지 달인
전형적인 팔극권 자세 - 마보 자세의 우연지 달인
다른 이름팔극권 (八極拳)
호위 스타일
집중 분야타격
국가중화권
창시자알 수 없음
유명한 수련자이서문
류윈차오
애덤 Hsu
수위창
마쓰다 류치
리젠우
우롄즈
우웨
올림픽아니오

2. 어원

가장 흔한 어원설에 따르면, 팔극권()은 원래 '바즈취안'(耙子拳, 쟁기 권법)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주먹을 느슨하게 약간 벌린 채로 쟁기처럼 아래로 내려치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이름은 다소 조잡하다고 여겨져 팔극권으로 변경되었다. '바지(八極)'라는 용어는 주역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든 방향으로의 확장"을 의미한다. 이 경우, "모든 것을 포함하는" 또는 "우주"를 의미한다.[11][3]

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팔극권(八極拳)이 원래 '바즈취안'(八字拳)으로 알려졌다고 믿는데, 여기서 '바즈(八字)'는 "갈퀴"를 의미한다고 했다. 이 무술은 사용되는 대부분의 주먹 모양 때문에 이 이름을 얻었다. 나중에 '바즈(八字)'라는 용어는 '바지(八極)'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모든 방향으로 멀리 뻗어나간다"는 의미이다. 이는 위대한 것을 성취하는 능력을 시사하기 때문에, 이 무술에 대한 더 적절하고 주목할 만한 설명으로 여겨졌다.[11]

그러나 이 어원설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4]

3. 역사

팔극권은 그 기원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18세기에 우종에 의해 체계화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우종은 '라'라는 떠돌이 도사에게 무술을 배웠다는 설과, 허난성 사찰의 승려에게 배웠다는 설이 있다. 그는 소림사 방장과의 교류를 통해 '신창오종'이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건륭제 시기 순친왕과의 대련에서 그의 창술 실력을 인정받아 다시 한번 '신창오종' 칭호를 받게 된다.[6] 우종은 60세쯤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면서 '팔극권'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 이러한 이유로 현대 중국에서는 우종을 팔극권의 창시자로 여기고 있다.

우종은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면서 팔극권이란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제자들을 통해 널리 전파하기 시작하였다.

팔극권은 처음에는 멍춘의 회족을 중심으로 전해졌지만, 한족이 많이 사는 지역인 루오퇀에도 전해졌고, 결국 멍춘의 회족 계통과 루오퇀의 한족 계통으로 나뉘어 전해지게 되었다. 팔극권이 중국 전역으로 보급되는 계기가 된 것은, 난징 중앙국술관이 "소림문"과 "무당문"의 두 교습 과목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과로서, '''단체 훈련용 팔극권 교재'''를 제정하면서부터이다. 난징 중앙국술관의 지부가 확대되면서 팔극권의 인지도가 올라가고 보급되었다. 단체 훈련용 팔극권은 집단이 일제히 연습하기 쉽도록 팔극권의 타오루를 개편한 것으로, 팔극 소가를 배우기 전 단계에서 배우는 '''샤오샤오 팔극'''('''팔극 가''')과 팔극권을 바탕으로 새롭게 만들어졌다. 팔극권과 혼동되기 쉽지만, 기법 내용은 팔극권보다 훨씬 간소하며, 대련으로 바로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져 있다. 후에 이 타오루는 군대에서도 채택되어, '''군대용 팔극권'''이라고도 불렸다.

일본에서의 팔극권 보급은 무술사 연구가이자 수필가로 유명한 마쓰다 다카토모의 공적이 크다. 마쓰다는 그의 저서를 통해 처음으로 일반 대중에게 팔극권을 소개하고, 무술 애호가들의 흥미를 자극했다.

3. 1. 우종 이전의 역사

팔극권의 기원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중화민국 시대 이전의 기록은 매우 드물며, 1920~1930년대에 들어서야 명확한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역사 기록상 최초로 확인된 팔극권 수련자는 창저우 멍춘 후이 자치현 출신의 회족 우종(1712~1802)이다.[5][11]

우종이 어떻게 팔극권을 익혔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 라이 도사와 벽 도사 설: 창현 연감,[6] 우씨 가문의 팔극권 수련서,[7] 포베이 필사본 등에 따르면, 라이(癞|lài|the leper중국어)라는 떠돌이 도교 승려와 그의 제자 피(癖|pǐ|the enthusiast중국어)가 멍춘에 머물며 우종에게 팔극권과 대형 창술을 가르쳤다고 한다. 다만, 멍춘 우씨 가문은 이 이야기가 전설에 가깝다고 인정한다.[8][9][10]
  • 장위에산 설: 허난성 위에산 사원 출신의 장위에산이라는 승려가 속세로 돌아와 여행하던 중 우종에게 대형 창술을 가르쳤다는 설이다.[9][11][12]
  • 소림사 기원설: 장위에산과 관계없이 허난성 소림사에서 팔극권이 유래했다는 추측도 있다.[13]


이러한 설들 외에도, 치지광 장군(1528~1588)의 군사 조약 기효신서에 팔극권에 대한 언급이 있어, 팔극권이 16세기 이전에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4][11][1][15]

어떤 설이 உண்மைய든, 여러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우종이 여러 지역을 여행하고, 말년에 이르러서야 팔극권을 가르치는 데 헌신했다는 점이다. 라이와 피의 전설은 우종이 평생 동안 여러 지역의 무술을 연구하고 습득하여 팔극권의 형태로 집대성한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3. 2. 우종 시대

팔극권은 원래 이름 없이 전해 내려오다가, 우종(吴钟|우종중국어)이라는 뛰어난 무술가에 의해 체계화되고 발전되었다. 우종은 '라'라는 신비로운 인물에게 무술을 배웠고, 이후 '벽'이라는 인물에게서 대창(긴 창) 기술을 전수받았다.[6] 우종은 소림사 방장과의 교류를 통해 '신창오종'이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건륭제 시기 순친왕과의 대련에서 그의 창술 실력을 인정받아 다시 한번 '신창오종' 칭호를 받게 된다.[6]

우종은 60세쯤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면서 '팔극권'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 이러한 이유로 현대 중국에서는 우종을 팔극권의 창시자로 여기고 있다. 우종은 회족 출신으로, 그의 무술은 멍춘 후이 자치현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5][11]

3. 3. 이서문 시대

청나라 시대에 팔극권을 발전시킨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이서문(1860–1934)은 허베이성 창저우 출신으로, "창의 신 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8] 그는 베이징 오페라의 ''우선''(무술 남성 캐릭터) 훈련을 받았으며, 뛰어난 격투가이기도 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말은 "나는 사람을 두 번 때리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른다."이다.[20]

이서문의 제자로는 중국 마지막 황제 푸이의 경호원인 훠뎬거, 마오쩌둥의 경호원인 리천우, 국민당 비밀 요원이자 장제스 경호원 강사였던 류윈차오 등이 있다.[21] 이서문의 문하생들은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들의 경호를 맡았기 때문에 팔극권은 "경호 무술"이라는 명성을 얻었다.[22][23] 마펑투와 마잉투 형제는 팔극권을 중앙 국술관에 도입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만들었다.[24]

마지막 황제 푸이의 시종 무관이었던 훠뎬거(이서문의 개문제자)는 팔극권의 고수였으며, 그의 손자인 훠원쉐는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무술 교관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류윈차오(이서문의 관문제자)는 중화민국 총통 장징궈의 시위대 교관을 맡았다. 이처럼 이서문의 팔극권은 실용성이 높다는 것이 팔극권 학습자 및 연구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3. 4. 현대의 팔극권

청나라 시대에 무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여겨지는 이서문(1860–1934)은 허베이성 창저우 출신으로, "창의 신 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8][19] 그는 베이징 오페라의 ''우선''(무술 남성 캐릭터) 훈련을 받았으며, 뛰어난 격투가이기도 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말은 "나는 사람을 두 번 때리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른다."이다.[20] 이서문의 제자로는 중국 마지막 황제 푸이의 경호원인 훠뎬거(霍殿閣|훠뎬거중국어), 마오쩌둥의 경호원인 리천우, 국민당 비밀 요원이자 장제스 경호원 강사였던 류윈차오(劉雲樵|류윈차오중국어) 등이 있다.[21] 이후 ''팔극권''은 "경호 무술"이라는 명성을 얻었다.[22][23] 마펑투(馬鳳圖|마펑투중국어)와 마잉투(馬英圖|마잉투중국어)는 ''팔극권''을 중앙국술관(난징 국술관)에 도입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만들었다.[24]

''팔극권''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된 원동력은 중앙국술관에서 "소림문"과 "무당문"의 두 훈련 과정에 공통적으로 정규 과목으로 채택된 것이었다. 이는 "단체 훈련용 팔극권 교재"의 제작으로 시작되었다. 중앙국술관의 지부가 확장되면서, ''팔극권''은 더욱 대중화되었다.

4. 주요 분파 및 계보

팔극권은 원래 이름 없이 전해지다가, '라'라는 선인에게 무술을 배운 오종(吳钟)이 창술의 달인으로 이름을 알리면서 시작되었다. 오종은 '벽'이라는 인물에게서 대창을 전수받았고, 소림사 방장과의 교류를 통해 '신창오종'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이 명성은 연경(현재의 북경)의 건륭제 시기, 강희제의 14황자인 순근군왕 윤제에게까지 알려져 다시 한번 '신창오종' 칭호를 받게 된다.

1775년, 오종은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며 '팔극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중국에서는 오종을 팔극권의 창시자로 여긴다.

팔극권은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했는데, 주요 분파로는 한(韓)가, 곽(霍)가, 기(紀)가, 이(李)가, 마(馬)가, 강(槍)가, 오(吳)가, 무탄(武壇)가, 음양 팔극권 등이 있다. 각 분파는 공통된 수련 방식을 바탕으로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발전했다. 어떤 계보는 중국 내에서만 전해지기도 하고, 어떤 계보는 서양으로 전파되기도 했다.

4. 1. 멍춘 팔극권

멍춘은 팔극권의 발상지, 적어도 현대적인 형태의 발상지로 여겨진다.[1] 팔극권은 여전히 그곳에서 널리 수련되고 있다.

4. 2. 난징 팔극권

난징의 ''팔극권''은 장징싱, 한후이칭, 마잉투의 제자들에 의해 국술관에 소개되었다. 한후이칭은 중국 남부에서 팔극권 보급에 큰 영향을 미쳐, "북쪽에는 리[수문]가 있고 남쪽에는 한[화신]이 있다"는 의미의 "북리남한(北李南韓)"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27]

4. 3. 우수봉 계열

우수봉吳秀峰|우슈펑중국어[28](1908–1976)은 많은 현대 팔극권 계보의 "할아버지"로 여겨진다.

5. 특징

팔극권은 근접전을 특기로 하는 무술이다. 중국에서는 "육지의 배"라고 표현할 정도로 세밀한 보법과 손 기술로 적의 방어를 뚫고 강력한 일격을 가한다. 찌르기나 손바닥 공격 외에 주격(팔꿈치 공격), 몸싸움 기술(靠擊, 어깨나 등으로 치는 기술) 등 근접전에 특화된 기법을 중시한다.

진각(발구르기)을 동반한 중심 이동과 자세 변화는 팔극권 공격력의 핵심이다. 팔극권은 원거리 전투에 불리하여 벽괘권, 당랑권 등 다른 무술을 함께 배우기도 한다.

팔극권 수련자는 '마보', '선보' 등 기본 자세와 '팔극소저'(소팔극)라는 투로(형)로 기초를 다진다. 숙련 후에는 '팔극권'(대팔극), '육대개권', '팔대초식' 등의 투로로 실전 기법을 익힌다. 유파에 따라 금강팔식, 사랑관, 팔극연환, 팔극쌍궤, 팔진권 등을 수련한다.

팔극권은 화려함보다 실용성을 추구한다. 간결한 동작은 적을 막고 공격하는 데 집중하며, 겉모습보다는 실제 효과를 중시한다.[30]

5. 1. 전술 및 전략

팔극권은 상대방의 팔을 강제로 열어젖히는 '강개문'(強開門)과 신체의 상, 중, 하단을 공격하는 '삼반연격'(三盤連擊)을 주요 전술로 사용한다. 強開門|강개문중국어, 三盤連擊|삼반연격중국어 팔꿈치, 무릎, 어깨, 엉덩이 공격에 집중하여 근접전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공격을 막거나 상대방에게 접근할 때 흉부, 다리, 목 등 취약한 주요 지점을 노린다.

톈진의 저우징쉬안, 전형적인 ''팔극권'' 자세. 옆으로 튀어나온 팔꿈치는 타격에 자주 사용된다.


"여섯 가지 열기 방법"이라는 의미의 '육대개'(六大開)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포함한다:[40] 六大開|육대개중국어

  • (頂): 주먹, 팔꿈치, 어깨로 앞으로 밀어낸다. 頂|딩중국어
  • 바오(抱): 팔을 모아 껴안는 듯한 동작으로, 보통 '피'(劈, 쪼개기)가 뒤따른다. 抱|바오중국어 [41]
  • (提): 무릎으로 상대 허벅지를 치거나, 발로 정강이를 차는 기술이다. 提|티중국어
  • (單): 단일 동작을 사용한다. 單|단중국어
  • (胯): 엉덩이를 사용한다. 胯|콰중국어
  • (纏): 손목, 팔꿈치, 어깨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얽히는 기술이다. 纏|찬중국어


팔극권은 적과 극히 가까운 거리에서 싸우는 것을 특기로 하며, 중국에서는 "육지의 배"로 불릴 만큼 세밀한 보법과 손 기술로 적의 가드를 열고 강력한 일격을 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찌르기나 손바닥 공격 외에도 팔꿈치를 사용한 공격(주법)이나 어깨, 등 부위로 적을 치는 몸싸움 전법도 중시한다. 독특한 발구르기 동작인 진각을 동반한 중심 이동과 자세 변화를 주요 공격력의 원천으로 삼는다.

다른 무술에 비해 먼 거리 전투에 불리하므로, 벽괘권이나 당랑권 등을 함께 배워 근접 단타 이외의 기술을 보완하기도 한다.

5. 2. 보법 및 신법

팔극권의 보법은 '''진각(震脚)''', '''념보(粘步)''', '''창보(闖步)'''의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이러한 타격 기술들은 전통 중국 의학과 관련이 있는데, 전통 중국 의학에서는 신체의 모든 부분이 신체적이거나 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팔극권은 적과 극히 가까운 거리에서 싸우는 것을 특기로 하며, 중국에서 "육지의 배"로 형용되는 팔극권의 풍격은 세밀한 보법과 손 기술로 적의 가드를 열고 강력한 일격을 가한다.

찌르기나 손바닥 공격 외에도 주격(팔꿈치를 사용한 공격)이나 靠擊(어깨나 등 부위로 적을 쳐서 공격하는 기술) 등 근접 몸싸움 전법적인 기법도 중시된다. 독특한 진각(발을 쿵 하고 내딛는 동작)을 수반하는 중심 이동이나 자세의 급격한 전개 동작은 주요 공격력(경력)의 원천으로 한다.

5. 3. 품세 (투로)

팔극권의 형(型)은 무기술과 맨손 기술로 나뉜다. 팔극권에는 20가지의 권법 형(型)이 있는데, 12가지의 팔극 소가(小架)권, 팔극 흑호권(黑虎拳), 팔극 단채(单寨), 팔극 단타/대타(对打), 팔극 나한공(罗汉功), 팔극 사랑관(四郎宽) 등이 있다. 무기술 형(型)은 8가지가 있으며, 육합창, 순양검, 삼인도(검), 행자봉(行者棒)(장봉), 박도, 춘추대도(말을 탄 장군이 사용하던 길고 양손으로 사용하는 중검) 등이 있다.[34]

대부분의 유파는 더 작은 커리큘럼에 집중한다. 거의 모든 유파의 표준은 소팔극(小八極)과 대팔극(大八極)이며, 도와 창의 두 가지 무기술 형(型), 팔극 대결(对决) 또는 팔극 대타(对打)라고 불리는 2인 훈련 루틴, 소림(少林)의 금강팔식(金刚八式)에서 파생된 "팔식(八式)"이라고 불리는 8가지의 짧은 공격 기술이 있다.[34]

팔극권을 배우는 사람은 '마보'나 '선보' 등 기본공(기초 훈련법)과 '팔극소저'(소팔극이라고도 불림)라는 투로(형)로 기초적인 실력을 양성하고, 숙련된 후에는 '팔극권'(대팔극이라고도 불림), '육대개권' 및 '팔대초식' 등의 투로(형)로 실전 기법을 배우고 훈련한다. 그 외에 유파에 따라 금강팔식, 사랑관, 팔극연환, 팔극쌍궤, 팔진권 등의 투로가 있다.[34]

5. 4. 발경 및 표현

팔극권의 핵심은 진(勁), 즉 힘을 내는 방식, 특히 발경(폭발적인 힘)에 있다. 이 스타일은 여섯 가지 유형의 진, 여덟 가지 다른 타격 방식, 그리고 여러 가지 힘 사용 원리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팔극권 기술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한 번의 공격으로 밀어치는 방식을 활용한다. 허리에서 팔다리로 전달되는 순간적인 가속을 통해 대부분의 피해가 발생하며, 이는 진자오(震脚)라고 알려진 돌진 보법에 의해 더욱 증폭된다.

진의 메커니즘은 수년간의 수련을 통해 개발되며, 팔극권은 고된 하체 훈련과 마보를 강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팔극권의 마보는 전형적인 장권 스타일보다 높다. 다른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활보", "독립보", "허보"(虛步|xūbù중국어), "포보"(仆步|pūbù중국어) 등도 있다. 여덟 가지 다른 손 모양과 다양한 유형의 호흡법, 그리고 진자오(震脚)가 존재한다.

팔극권은 적과 극히 가까운 거리에서 싸우는 것을 특기로 하며, 그 특징은 중국에서 "육지의 배"로 형용된다. 세밀한 보법과 손 기술로 적의 방어를 뚫고 강력한 일격을 가한다. 찌르기나 손바닥 공격 외에 주격(팔꿈치를 사용한 공격)이나 靠擊(어깨나 등 부위로 적을 쳐서 공격하는 기술) 등 근접 몸싸움 전법적인 기법도 중시된다. 독특한 진각(발을 쿵 하고 내딛는 동작)을 수반하는 중심 이동이나 자세의 급격한 전개 동작을 주요 공격력(경력)의 원천으로 한다.

다른 문파에 비해 비교적 먼 거리에서의 전투에 불리하기 때문에, 근접 단타 이외의 기법을 보완할 목적으로 벽괘권이나 당랑권 등과 함께 배우는 계통도 존재한다.

팔극권은 화려한 기술(겉보기만의 기술)이 전혀 없고, 질실순박하고 호쾌하며, 간결하다. 각 동작의 목적은 적을 막고 공격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다. 미관을 추구하지 않고, 오직 실용 효과만을 추구하는 무술이다.[30]

6. 영향

팔극권의 여러 형태는 소림 무술의 한 종류인 나한권을 기반으로 하거나 이를 혼합한 것이다. '팔세'(八勢, bashi)라는 용어는 '팔극권'(八極拳, baji)을 가리키기도 하며, 형의권에서도 사용된다.

7. 관련 인물


  • 오종: 팔극권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라'라는 스승에게 무술을 배운 후,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면서 팔극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림사 방장과의 교류, 건륭제 시기 순근군왕 윤제와의 시합을 통해 '신창오종'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
  • 오회청[1]
  • 이서문[1]
  • 오수봉[1]
  • 곽전각[1]
  • 오련지[1]
  • 이준의[1]
  • 류윈차오[1]
  • 리수원[1]
  • 쉬지[1]
  • 수유창[1]
  • 리젠우[1]
  • 우롄즈[1]
  • 우웨 (배우)[1]
  • 류이치 마쓰다: "중국 무술의 역사적 개요"의 일본 작가이자 만화 ''켄지''의 작가이다. 팔극권 등 다양한 중국 무술을 일본에 소개하고 알린 것으로 유명하다.[1]

8. 대중 문화 속의 팔극권

팔극권은 다양한 무술 매체에서 주요 소재로 등장하며, 여러 영화비디오 게임에 등장한다.


  • 중국 영화 《일대종사]》 (2013)에서 양일선(배우

    8. 1. 일본

    일본에서는 팔극권을 일본어 음독인 ''하키오쿠켄(八極拳)''으로 부른다. 마쓰다 류이치가 쓰고
    후지와라 요시히데가 그림을 그린 만화 켄지 (만화)는 ''팔극권''을 수련하는 10대 소년의 이야기로, 작가 류이치 마쓰다 자신의 중국 무술 여정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46]

    1993년, 만화 켄지에 관심을 갖게 된 세가의 유 스즈키는 3D 컴퓨터 그래픽스 격투 게임인 버추어 파이터를 제작했다. 이 게임은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등장인물 중 ''팔극권'' 수련자인 유키 아키라가 있어 ''팔극권''이 일본 대중문화에 확고히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팔극권''은 유 스즈키의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의 "자매" 게임인 쉔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팔극권''은 에어 마스터, 간츠, 최강의 제자 켄이치, 북두의 권 외전, 언데드 언럭, 러브히나, 네기마!, 베르제브브 및 가로덴 [47]을 포함한 많은 만화/애니메이션 시리즈에 등장한다.

    다음은 일본 비디오 게임에서 팔극권이 등장하는 예시이다.

    게임사용 캐릭터
    세가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유키 아키라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철권주로 레오 클리젠, 부수적으로 미셸 창과 줄리아 창
    캡콤스트리트 파이터윤과 양 쌍둥이, 그리고 카린 카즈키
    캡콤의 Rival Schools카자마 아키라, 스트리트 파이터 V에 DLC 캐릭터로 게스트 출연
    테크모데드 오어 얼라이브 시리즈코코로
    SNK용호의 권텅푸루
    SNK의 더 킹 오브 파이터즈친 겐사이
    데이터 이스트파이터즈 히스토리리 딘도우
    스퀘어토발 2우타니 차코
    타입문의 멜티 블러드페이트/스테이 나이트 프랜차이즈전작에서는 아리마 미야코, 후작에서는 코토미네 키레이, 토오사카 린, 리 슈웬
    아크 시스템 웍스길티 기어잼 쿠라도베리
    세가저지 아이즈: 사신의 유언로스트 저지먼트: 사라지지 않는 진실야가미 타카유키가 호랑이 싸움 스타일의 일부 기술에 사용



    일본에서는 팔극권이 중국 무술 중에서도 만화나 비디오 게임 등에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유파이다. 그 효시로, 만화 『남組』(1974년~1979년 연재)가 있다. 극중 주인공이자 진가 태극권 사용자인 유전지로가 팔극권에 전혀 당해내지 못하고, 그 후 팔극권을 익혀 숙적을 쓰러뜨리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어 만화 『권아』(1988년~1992년 연재)에서는 주인공이 젊은 팔극권 수행자라는 설정이며, 구체적인 팔극권 연습 모습부터 실전까지 전문적인 해설을 곁들여 상세하게 묘사되어 팔극권의 특징이 일반에 알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두 만화 작품에서는 마쓰다 타카토의 영향이 크다. 『남組』에서는 협력, 『권아』에서는 원작자로서 관여하고 있다.

    이처럼 만화 작품에서 팔극권이 다루어진 영향으로, 게임 개발자들이 팔극권을 격투 게임에 채용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그 중 세가의 버추어 파이터의 주인공 유키 아키라가 팔극권을 사용하는 캐릭터로 인지도가 높다.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의 에어가이츠에서는 실존했던 무술가 이서문이 등장하는 등, 팔극권의 게임 업계에서의 인기를 엿볼 수 있다.

    기동전사 건담 SEED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에 등장하는 M1 아스트레이는 극중에서 팔극권 동작을 보여준다. 이것은 아스트레이의 주인공 중 한 명인 로우 귤이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에 팔극권 동작을 가르친 것에 기인한다.

    Fate 시리즈에 등장하는 코토미네 키레이는 작중에서 팔극권을 기반으로 한 독자적인 살인권을 사용하여 전투를 벌인다.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에서의 노출 증가에 따라 일본 국내의 팔극권 연습자는 증가했다. 팔극권을 배운 일본인 또는 일본 거주 중국인이 지도를 하는 연습회나 도장 수도 늘어, 텔레비전이나 잡지의 취재도 소수나마 보이게 되었다.

9. 참고 문헌


  • 서림문화사에서 출판한 '내공 팔극권 교범'이라는 책이 있었으나 현재는 판매하지 않는다.
  • 루 셩리 저, 장 윤 역, The fighting techniques of Tai Chi, Hsing-I, and Ba Gua: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ternal martial arts영어, 블루 스네이크 북스, 2006, ISBN 9781583941454
  • 크리스 크루델리 저, The Way of the Warrior영어, 돌링 킨더슬리, 2008, ISBN 978-14-0533-750-2
  • 류 윈치 저, 오야나기 마사루 역, 八極拳일본어, 신세이 출판, 1992, ISBN 4405080593
  • 마쓰다 류이치, 노가미 코타츠 저, 中国伝統開門八極拳 実戦武術の精粋 通備門の全容일본어, 후쿠쇼도, 1986, ISBN 4405080593

참조

[1]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Baji Quan http://www.wufamilyb[...] 2021-07-12
[2] 서적 Journal of Chinese Martial Studies Chinese Martial Studies
[3] 문서 Liu and Oyanagi (1992) p.15
[4] 서적 Discussions sur la Culture du Bajiquan 中国文联出版社
[5] 문서 Liu Yunqi (1992), p.18
[6] 서적 Annales du comté de Cang 沧县志书局
[7] 서적 Manuel des Secrets du Bajiquan de la Famille Wu Manuel lithographié
[8] 간행물 Investigations sur le Baji Quan de la minorité Hui
[9] 문서 Matsuda and Nogami (1986) p.38
[10] 웹사이트 Bajiquan Jianjie 八极拳简介 http://www.gxu.edu.c[...] 2009-12-07
[11] 문서 Lu Shengli (2006), p.110
[12] 문서 About "About the Baji Quan of YueShan" 2000-12
[13] 서적 Baji Quan de Shaolin Beijing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Press
[14] 문서 Liu and Oyanagi (1992) p.14-15
[15] 서적 Bajiquan: The Essence of Traditional Chinese Fist Fuchangdo
[16] 서적 Wu Family's Gate-Opening Eight Extremities Fist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7
[17] 간행물 Seeking old school KungFu in China's villages 2011-11/12
[18] 웹사이트 Wu Tang and the Three Levels of a Martial Artist https://sports.vice.[...] 2016-03-02
[19] 서적 The Whirling Circles of Ba Gua Zhang: The Art and Legends of the Eight Trigram Palm Blue Snake Books
[20] 웹사이트 BaJiQuan http://www.bajimen.c[...] 2021-07-12
[21] 웹사이트 Wu Tang and the Three Levels of Martial Artist https://sports.vice.[...] Vice Sports 2016-02-04
[22] 서적 SanshouXingYiQuan: & Commentaries on Modern Martial Arts Randell Stroud
[23] 문서 Crudelli 2008, p.68
[24] 문서 Ba Zi Jie Xi: a talk on rake fist 耙子解析
[25] 웹사이트 Piguazhang http://www.bajimen.c[...] 2015-11-14
[26] 문서 Pachi Tanglang Chuan: Eight Ultimate Praying Mantis
[27] 웹사이트 2 Heroes of the Central Guoshu Institute https://wulinmingshi[...] 2009-09-19
[28] 웹사이트 Celebrity http://www.wsbjq.com[...] 2021-07-12
[29] Youtube Grandmaster Shen jiarui - Bajiquan Black Tiger form https://www.youtube.[...] 2007-01-19
[30] 웹사이트 Shang Wu Zhai http://swz.weebly.co[...] 2021-07-12
[31] 웹사이트 Cook Ding's Kitchen: Master Zhou: The Man, The Artist, The Teacher http://cookdingskitc[...] 2012-12-30
[32] 웹사이트 Shang Wu Zhai שאנג וו ג'אי - ביס לאמנויות לחימה http://internalarts.[...] Zhang Wu Zhai Israel 2021-07-12
[33] Youtube The Great Zhao Fujiang https://www.youtube.[...] 2015-11-14
[34] 문서 Named after the [[Wutan Center for the Promotion of Chinese Wushu]] (武壇國術推廣中心), not to be confused with the ''Wudang'' (武當) of the [[Wudang Mountains]].
[35] 웹사이트 Li Shu Wen http://goldeneaglema[...] 2015-11-14
[36] 웹사이트 bajimen.com https://web.archive.[...] 2015-11-14
[37] 웹사이트 AHKFS Home Page https://web.archive.[...] 2006-12-13
[38] 웹사이트 Tony Yang's Wu Tang Center For Martial Arts http://www.wutangcen[...] 2015-11-14
[39] 서적 Pachi Tanglang Chuan: Eight Ultimate Praying Mantis
[40] 서적 The Treasure Book of Chinese Martial Arts Authorhouse
[41] 웹사이트 Xingyi https://web.archive.[...] Perry Lo and the Shou-Yu Liang Wushu Taiji Qigong Institute 2009-01-07
[42] 서적 Pachi Tanglang Chuan: Eight Ultimate Praying Mantis
[43] 서적 Zhōngguó wǔshù shǐlüè 中國武術史略 Danqing tushu
[44] 웹사이트 L'histoire du karaté 19 : Le regard dans le combat du kisémé http://www.tokitsu.c[...] Tokitsu-Ryu 2007-05-27
[45] 서적 Chines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s: A Historical Survey North Atlantic Books
[46] 웹사이트 L'histoire du karaté 19 : Le regard dans le combat du kisémé https://web.archive.[...] Tokitsu-Ryu 2007-05-27
[47] 웹사이트 Garouden: The Way of the Lone Wolf, Season 1, Episode 5 Transcript https://tvshowtran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