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천시의 시내버스는 포천시와 인근 지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선진시내버스, 포천교통, 포천상운 등의 운수업체가 시내버스, 공영버스, 타 시, 군 운수업체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며, 요금은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맞춤형버스가 운행되며, 남양주시, 양주시, 동두천시의 시내버스도 포천시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천시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포천시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포천시의 시내버스 | |
---|---|
포천시 시내버스 정보 |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포천시청 교통행정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포천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가평군 |
노선 수 | 62 |
인가 대수 | 215 |
요금 정보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관련 웹사이트 | |
포천시청 교통 정보 | 포천시청 교통정보 > 시내버스 |
경기도 버스 정보 시스템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업체
포천시에는 여러 운수업체가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시내버스, 공영버스, 다른 시·군 운수업체가 포천시에서 버스를 운행한다.[1]
2. 1. 시내버스
포천시 관내 시내버스 운수업체는 다음과 같다.[1]
2. 2. 공영버스
포천시한국어는 대중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공영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공영버스는 주로 가산농협과 영중농협에서 운영하고 있다.2. 3. 다른 시, 군 운수업체
포천시에는 포천시 관외 운수업체들도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포천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요금을 낼 수 있다. 아침 일찍 버스를 타는 사람들을 위해 조조할인 요금제도 있다.[1]
3. 요금 체계
2019년 9월 28일부터 시행된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은 아래 표와 같다.종류 나이 현금 (원) 카드 (원) 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어른 (만 19세 이상) 1,500 1,450 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 1,100 1,010 870 어린이 (만 6세 ~ 11세) 800 730 630 일반좌석 어른 (만 19세 이상) 2,500 2,450 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 1,900 1,820 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 1,700 1,640 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어른 (만 19세 이상) 2,900 2,800 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 2,000 1,960 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 2,000 1,960 1,680 경기순환 어른 (만 19세 이상) 3,100 3,050 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 2,200 2,140 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 2,200 2,140 1,820 광역급행(M버스) 어른 (만 18세 이상) 2,900 2,800 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 2,100 2,000 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 1,600 1,600 1,300
3. 1. 환승 할인
포천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따라서 다른 지역 시내버스나 지하철 등으로 환승할 때 할인이 적용된다. 단, 농협 공영버스는 별도의 요금 체계를 운영하므로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4. 포천시 차적의 운행 노선
포천시는 자체적인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이는 포천 시민들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포천시 차적의 버스는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맞춤형버스 등으로 구분된다.
4. 1. 도시형버스
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1 | 포천교통 | 선단동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설운1통, 주공3단지, 송우리, 고모리, 직동1리 새말, 하나울, 이곡리, 무림리 | 7회 | |
2 | 포천교통 | 동교동 ↔ 무봉리 | 주공3·2단지, 송우터미널, 상운아파트 | 7회 | |
2-1 | 주공3·2단지, 송우터미널, 이동교리 | 2회 | 아침 노선 동교동 행은 2번과 동일 | ||
3 | 포천교통 | 일동 ↔ 백운계곡 | 수입리, 노곡리, 이동, 도평리 | 4회 | |
3-1 | 일동 ↔ 도평리 | 운담리, 사직리, 이동 | 3회 | ||
6 | 포천상운 | 하성북리 ↔ 음현리 | 7회 | ||
6-1 | 하성북리 ↔ 신팔리 | 5회 | |||
7 | 선진시내버스 | 일동 ↔ 광릉내 |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 7회 | 사직리 경유 |
7-1 | 도평리 ↔ 광릉내 | 이동, 일동터미널,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광릉내→ 마명리 | 10회 | 도평리 행 마명리 경유 | |
7-2 | 이동, 일동터미널,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마명리→ 광릉내 | 10회 | 광릉내 행 마명리 경유 | ||
8 | 선진시내버스 | 포천중학교 ↔ 청소년회관 | 포천시보건소, 포천초교, 포천고후문, 대진대입구, 선단초등학교, 차의과대학, 동교동, 주공3단지, 송우리, 동남고교 | 7회 | |
9 | 선진시내버스 | 초가팔리 ↔ 가산면 행정복지센터 | 송우리, 정교리, 너배기 | 10회 | |
9-1 | 이동교리 ↔ 마산리 | 상운아파트, 소흘읍 행정복지센터, 영화마을, 포천세무서, 송우시장사거리, 갈월중학교, 이가팔2리·고모리입구, 정교리, 금현2리 | 5회 | ||
9-2 | 이동교리 ↔ 금현리 | 상운아파트, 소흘읍행정복지센터, 영화마을, 포천세무서, 송우시장사거리, 갈월중학교, 이가팔2리·고모리입구, 진미슈퍼, 고모1리마을회관입구, 한성골, 정교리, 금현2리, ent입구, 금현1리마을회관 | 2회 | ||
10 | 선진시내버스 | 산정호수 ↔ 운천 | 한화리조트 | 9회 | |
10-1 | 산정호수 ↔ 운천 | 평강식물원, 한화리조트 | 4회 | ||
10-2 | 설운3통 ↔ 산정호수 | 포천시청, 양문, 양문공단, 운천 | 1회 | ||
11 | 선진시내버스 | 반월아트홀 ↔ 일동용암천 | 용정산단, 포천시청, 보건소, 경복대, 장자산단, 만세교, 길명리, 일동 | 3회 | 저상버스 운행 |
11-1 | 용정산단, 포천시청, 보건소, 경복대, 장자산단, 만세교, 화현, 일동 | 1회 | |||
12 | 선진시내버스 | 도평리 ↔ 구읍리 | 이동면행정복지센터, 연곡리, 제일온천, 일동면행정복지센터, 일동터미널, 일동초등학교, 길명리, 만세교, 요꼴사거리, 신북면행정복지센터, (구)신북대교, 가채2리마을회관, 아트교사거리, 포천중학교, 한신아파트, 보건소, 포천초등학교, 유한아파트, 신읍11통·시청별관 | 10회 | |
30 | 포천상운 | 송우리 ↔ 이동교리 | 원일아파트·송우5리, 송우시장사거리, 우리병원, 갈월중학교, 이가팔2리, 마트사거리, 진미슈퍼, 고모리저수지입구, 마을회관입구, 오리랜드, 욕쟁이할머니집, 저수지, 직동리, 월드마트, 이곡2리·솔개마을, 만민촌, 이곡리·이곡초교, 아프리카문화원, 무림1리마을회관, 무림2리, 무림리, 무림리고개 | 7회 | |
31 | 포천시청 ↔ 고모리 | 군단앞, 대진대, 하송우리, 방축리, 가산3리, 금현2리, 정교리, 고모1리 | 100~120분 | ||
33 | 선진시내버스 | 소학리 ↔ 의정부역 | 베어스타운, 내촌, 진목리, 가산, 송우터미널, 축석고개,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 15~20분 | 저상버스 운행 |
53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삼율리 | 신북, 만세교, 양문, 성동리, 운천, 대회산리 | 5회 | 1회 포천고 경유 |
55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직두리 | 포천일고, 구읍, 직두삼거리 | 12회 | |
55-2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금주리 | 신북, 만세교 | 6회 | |
56 | 포천상운 | 송우리 ↔ 전곡터미널 | 송우터미널, 대진대입구, 포천시청, 포천보건소, 하심곡, 창수, 오가리, 백의리, 장탄2리56-1 | 통합 60분 13회 | |
56-1 | 2회 | ||||
56-7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오가리 창수 | 포천보건소, 하심곡, 가양리→ 영평리→ 오가리→ 주원리→ 창수→ 가양리 | 3회 | |
57 | 포천상운 | 포천고교 ↔ 신북온천 | 포천시청, 포천보건소, 깊이울, 하심곡, 허브랜드 | 8회 | |
57-1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동두천 송내동 | 포천보건소, 하심곡, 허브랜드, 금동리, 신북리조트, 초성리, 소요산역, 동두천역, 보산역, 동두천 구터미널, 생연지구·지행역 | 7회 | |
60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상추동 창수 | 포천보건소, 하심곡, 노루목 | 7회 | |
60-1 | 포천상운 | 포천고교 ↔ 관인 | 포천시청, 신북, 만세교, 양문, 양문공단, 영평리, 오가리, 중리 | 7회 | |
60-2 | 포천고교 ↔ 냉정리 | 포천시청, 신북, 만세교, 양문, 영평리, 오가리, 중리, 관인 | 3회 | ||
62 | 포천상운 | 대진대학교 ↔ 양주역 | 차의과대학, 동교동, 주공2단지, 송우터미널, 대방아파트, 어하터널, 고읍지구, 양주시청 | 15~20분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62-1 | 포천상운 | 대회산리 ↔ 양주역 | 영평3리, 하심곡, 포천시청, 자작2통, 동교동, 주공2단지, 송우터미널, 대방아파트, 어하터널, 고읍지구, 양주시청 | 60분 | 주말만 운행 |
63 | 포천상운 | 송우리 ↔ 산호아파트 | 포천세무서, 동교동, 차의과대학, 설운동(해룡마을), 선단초등학교, 대진대, 포천시청, 가채리 | 7회 | |
65 | 포천상운 | 포천고등학교 ↔ 어룡동(어룡2동마을회관) | 어룡1동, 어룡2동종점, 어룡2동마을회관, 어룡1동 | 평일에만 운행 | |
66 | 선진시내버스 | 포천시청 의정부약국 ↔ 송우리 청소년회관 | 포천일고, 구읍, 청성초교, 명산리, 좌의리, 유교리, 가산, 방축리, 송우터미널, 대경중학교 | 20~45분 | 2회 포천고 지원 운행 |
66-1 | 선진시내버스 | 일동중고교 ↔ 송우리 | 화현리, 운악산, 화현면 행정복지센터, 명덕리, 지현리, 만세교, 신북, 포천시청, 대진대, 선단초교 | 6회 | |
67 | 포천상운 | 송우리 ↔ 신평리 | 송우터미널, 대진대, 포천시청, 신북 | 7회 | |
68 | 포천상운 | 송우리 ↔ 포천시청 의정부약국 | 송우터미널, 방축리, 가산, 유교리, 좌의리, 명산리, 청성초교, 구읍, 포천일고 | 6회 | 1회 포천고 경유 |
72 | 포천교통 | 하성북리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포천시청, 대진대, 송우리터미널, 축석고개, 의정부성모병원, 경기도청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 | 12~20분 | 저상버스 운행 |
72-3 | 선진시내버스 | 하성북리 ↔ 방학동 | 포천시청, 대진대, 송우주공아파트, 축석고개, 의정부성모병원, 경기도청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 도봉산역, 방학역 | 20~30분 | 저상버스 운행 |
73 | 포천상운 | 포천고교 ↔ 아트밸리 | 포천시청, 기지리, 신북 | 6회 | |
73-1 | 포천고교 ↔ 군내면(순환) | 포천시청, 하성북리→ 상성북리→ 구읍 | 5회 | ||
73-2 | 포천고교 ↔ 기지리 | 포천시청, 가채리 | 1회 | ||
75 | 포천상운 | 포천시청 ↔ 송우리 | 대진대입구, 송우터미널 | | | |
77 | 포천교통 | 경복대학교 ↔ 포천고교 | 신평2리, 신북, 포천시청 | 16회 | |
88 | 포천교통 | 경복대학교 ↔ 홈플러스 | 신북, 보건소, 포천고후문, 대진대입구, 송우터미널 | 6회 | |
90 | 포천상운 | 화현면 행정복지센터 ↔ 일동면행정복지센터·농협 | 화현3리 ↔ 화현5리·승진A ↔ 유동리 ↔ 기산리 ↔ 일동초교·일동도서관 ↔ 일동터미널 ↔ 일동중고교 | | | |
90-1 | 포천상운 | 포천고등학교 ↔ 화현면(지현교) | 신읍11통시청별관 ↔ 포천시청앞 ↔ 신읍7통·기업은행앞 ↔ 포천농협·하나로마트 ↔ 골든아파트앞 ↔ 아트교사거리 ↔ 가채리야구장 ↔ 가채1리·오장동입구 ↔ 가채2리·승방동 ↔ 포천축협사업소 ↔ 가채2리마을회관 ↔ 가채2리·K마트앞 ↔ 농업기술센터·틀못이 ↔ 신복면행정복지센터·포천아트밸리 ↔ 윤중·신포천A ↔ 신평2리·요꼴사거리 ↔ 만세교2리·새터 | 2회 | |
91 | 포천상운 | 소요산역 ↔ 산정리(산정호수·상동주차장) | 하봉암동, 상봉암동, 마니커, 초성초등학교, 대전리, 궁평망향국수, 백의리, 오가리, 광산골, 구라이굴, 중3리, 비둘기낭 폭포, 한탄강지질공원센터, 대회산리, 문암삼거리, 영북농협, 문암삼거리, 운천5리, 산정호수 하동주차장, 산정리, 우물목 | 4회 | |
100 | 포천상운 | 선단동 ↔ 탄동리 | 선단1통, 대진대학교, 포천고등학교, 포천시청, 포천시보건소, 하심곡삼거리, 추동3리, 창수초등학교, 오가리, 광산골, 구라이굴, 중2리·늘거리, 신흥동 | 8회 | |
137 | 포천교통 | 경복대학교 ↔ 의정부역 | 신북면행정복지센터, 아트교사거리, 포천행복주택·용정산업단지입구, 자작2통 군단앞, 선단동체육센터, 태봉초교, 주공3단지,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이동교3리 무봉리,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 50~90분 | |
200 | 선진시내버스 | 선단동 ↔ 선단동체육센터 | 선단1통· 대진대학교, 선단4통·장승거리, 선단초등학교, 설운1통, 동교3통마을회관, 해룡마을 | 8회 | |
201 | 선진시내버스 | 신북면(덕둔2리목장) ↔ 신북면(신북면행정복지센터·포천아트밸리) | 농협하나로마트, 갈월2리·새마을, 하심곡·우신아파트 | 8회 |
4. 2. 일반좌석버스
포천시 일반좌석버스는 도시형버스보다 정차 횟수가 적고, 더 넓은 지역을 운행한다.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138 | 포천교통 | 경복대학교 ↔ 의정부역 | 신평2리, 신북, 포천시청, 대진대, 송우터미널, 축석고개,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 6~12분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138-5 | 선진시내버스 | 도평리 ↔ 의정부역 | 이동, 노곡리, 일동터미널, 지현리, 만세교, 신북, 포천시청, 대진대, 송우터미널, 축석고개,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 20분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