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진시내버스는 2004년 신북운수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산정운수 주식회사를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경기도 포천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선진고속 시내사업부 분사 이후, 경기버스(선진상운)의 노선을 인수하고 서울 지점 설치, 노선 매각 및 신설, 개편을 거치며 성장했다. 현재 포천, 의정부, 서울을 잇는 다양한 시내 및 광역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대진대학교, 강남역, 청량리역 등을 연결하는 직행좌석버스와 2층 버스를 운행한다. 2024년 1월 1일부터 138-5번 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정평운수
정평운수는 2004년 설립되어 서울 강서구와 송파구에 본사를 두고 4433번, 6642번 등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며, 친환경 차량 도입으로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포천시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포천시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선진시내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선진시내버스 주식회사 |
원어 명칭 | Sunjin City Bus |
이전 회사 명칭 | 산정운수 (2004년 9월 17일 ~ 2005년 5월 30일) |
창립일 | 2004년 9월 17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화동로 2411 (도평리) |
사업 | 시내버스 운송업 |
웹사이트 |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
경영진 | |
대표이사 | 강대견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200,000,000원 |
매출액 | 17,552,166,702원 |
영업이익 | -6,197,466,091원 |
순이익 | -224,664,032원 |
자산총액 | 6,363,191,899원 |
주주 구성 | |
주주 명단 | 신재호 (40.00%), 김경자 (20.00%), 강대견 (15.00%), 박원범 (10.00%), 배성열 (10.00%), 이희범 (5.00%) |
기타 정보 | |
계열사 |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
종업원 수 | 292명 |
2. 연혁
선진시내버스는 2004년 9월 17일 신북운수로 설립되어, 2005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선진고속의 시내버스 사업부였으나, 분사 후 독립적인 회사로 성장하였다.
회사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내용 |
---|---|
2004년 | |
2005년 | 5월 30일: 선진고속 시내사업부가 분사하여 현 명칭인 선진시내버스 주식회사로 변경. |
2006년 | 선진상운의 7번 (도평리->광릉내) 노선 인수. |
2008년 | 2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35-4에 서울지점 설치. |
2009년 | 12월 1일: 11번 노선을 KD운송그룹에 매각. |
2010년 | 3월 2일: 좌석버스 138-3번 (대진대~창동역) 노선 신설. |
2011년 | 11월 27일: 좌석버스 138-3번 노선 경동시장으로 연장. |
2012년 |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 |
2016년 | |
2017년 | |
2018년 | 3월 1일 ~ 6월 30일: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3100번, 72-3번 노선 홈플러스~천보중학교 방향 우회 운행. |
2019년 | |
2020년 | |
2023년 | 3월 30일: 시내버스 200번 신설 (전세버스 운영). |
2024년 | 1월 1일: 138-5번 버스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
2. 1. 회사 설립 및 초기 성장 (2004년 ~ 2009년)
- 2004년 9월 17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신북운수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1]
- 2004년 9월 21일: 회사명을 산정운수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1]
- 2005년 5월 30일: 선진고속 시내사업부가 분사하여 현 명칭인 '''선진시내버스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2]
- 2006년: 선진상운의 7번 (도평리→광릉내) 노선을 인수하였다.
- 2008년 2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35-4에 서울지점을 설치하였다.
- 2009년 12월 1일: 11번 노선을 KD운송그룹에 매각하였다.
2. 2. 노선 확장 및 서비스 개선 (2010년 ~ 2015년)
2010년 3월 2일, 좌석버스 138-3번(대진대~창동역) 노선을 신설하였다.[1] 2011년 11월 27일에는 이 노선이 경동시장까지 연장되었다.[1] 2012년 4월 23일에는 광역버스 3800번이 신설되고, 138-3번은 광역버스 320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같은 해 6월 19일에는 시내버스 70번(아프리카문화원~노원역) 노선이 개통되었다.[1]2012년 11월, 시내버스 70번 노선은 아프리카문화원~이동교5리 구간으로 단축되었다가, 2013년 3월에 직동리~이동교5리 구간이 다시 연장되었다.[1] 2013년 2월 18일에는 3100번 노선을 분할하여 포천시내까지 진입하는 3100-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1] 같은 해 3월 10일, 광역버스 3800번이 폐선되고 좌석버스 138-7번으로 대체되었다.[1] 12월 28일에는 70번과 3200번 노선을 개편하여 3200번을 직동리↔왕십리, 3201번을 대진대↔청량리 노선으로 변경하였다.[1]
2014년 1월 23일, 3200번과 3201번 노선의 번호를 서로 맞바꾸었다.[1] 같은 해 2월 17일, 좌석버스 138-9번 노선이 폐선되어 138-6번 노선에 통합되었다.[1] 8월 20일에는 광역버스 3201번이 3500번으로 변경되어 양주시, 녹양역, 경민대학을 경유하게 되었다.[1] 9월 22일에는 광역버스 3600번 노선이 신설되었다.[1] 12월 8일, 3600번 노선이 민락2지구까지 연장되고 드림벨리아파트 미경유로 변경되었다.[1] 12월 30일에는 3500번 노선의 경민대학 경유 구간이 의정부터미널 경유로 변경되었다.[1]
2015년 2월 10일, 광역버스 3500번 노선이 양주시 경유에서 송우리 경유로 변경되었다.[1] 3월 2일에는 시내버스 88번 노선을 포천교통으로 이관하였다.[1] 8월 1일에는 시내버스 72-3번 노선을 포천교통에서 양도받고, 좌석버스 138-6번 노선을 포천교통으로 이관하였다.[1] 9월 1일에는 광역버스 3200번 노선의 태릉·공릉~석계역 구간이 하계역~동부간선도로 경유로 변경되었다.[1] 10월 1일, 3500번 노선의 장한평역~왕십리역 구간이 군자교~건대입구역 경유로 변경되었다.[1] 10월 29일에는 3600번 노선의 의정부 홈플러스 경유 구간이 의정부성모병원~금오초교 경유로 변경되었다.[1] 11월 13일에는 좌석버스 138-8번 노선이 폐선되어 138-5번 노선에 통합되었다.[1]
2. 3. 노선 조정 및 변화 (2016년 ~ 현재)
- 2016년 3월 14일: 광역버스 3100-1번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
- 2016년 12월 20일: 시내버스 11번 (반월아트홀~일동터미널) 구간을 신설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 2017년 8월 1일: 광역버스 3600번이 민락2지구에서 축석령휴게소 종점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
- 2017년 11월 1일: 시내버스 5번, 5-1번, 5-2번 노선이 폐지되었다.
-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3100번, 72-3번 노선이 홈플러스~천보중학교 방향으로 우회 운행했다.
- 2019년 1월 28일: 광역버스 3600번이 호국로를 무정차하고, 의정부성모병원~꽃동네(금오로) 구간은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 2019년 2월 1일: 광역버스 3500번과 3600번에 장암주공2단지 정류장이 추가되었다.
- 2019년 7월 15일: 광역버스 3600번 산들마을2단지와 시외버스정류장 사이에 의정부 경전철 '효자역'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하기 시작했다.
- 2019년 9월 2일: 좌석버스 138-7번이 폐선되고, 포천~도평리 구간을 시내버스 12번으로 대체하여 신설 운행을 시작했다.
- 2020년 4월 1일: 광역버스 3600번 기점이 이동교3리 포천공구단지에서 설운3통.여단앞으로 연장되었다.
- 2020년 8월 1일: 광역버스 3600번 강남역 막차 시간이 01:35로 변경되었다.
- 2023년 3월 30일: 시내버스 200번이 신설되어 전세버스로 운영을 시작했다.
- 2024년 1월 1일: 138-5번 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하기 시작했다.[1]
3. 운행 노선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7한국어 | 일동 | 유동리, 화현리, 명덕리, 소학리, 내촌 | 광릉내 | 선진상운에서 받은 노선 |
7-1한국어 | 도평리차고지 | 일동, 화현리, 봉수리, 소학리, 베어스타운, 내촌 | 광릉내 | 마명리 경유 |
7-2한국어 | 도평리차고지 | 일동, 화현리, 봉수리, 소학리, 베어스타운, 내촌 | 광릉내 | 마명리 경유 |
8한국어 | 선단동 | 대진대학교, 포천시보건소, 가채리 | 수영장(만세교) | |
9한국어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시장, 정교리, 금현리, 너베기 | 가산면행정복지센터 | |
9-1한국어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 정교리, 금현리 | ||
9-2한국어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대경중학교, 정교리, 금현리, 너베기 | ||
10한국어 | 산정호수 | 운천 | 한탄강하늘다리주차장 | |
10-1한국어 | 산정호수 | 평강식물원, 운천, 영북면사무소 | 10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 |
10-2한국어 | 선단동 | 포천시청, 가채2리, 금주5리, 양문, 성동5리, 영북면 행정복지센터, 운천 | 산정호수 | 10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
11한국어 | 용정산단 | 포천시청, 가채2리, 만세교, 금주리, 일동터미널 | 운담리 (일동용암천) | 2016년 12월 20일 신설, 저상버스 운행 |
11-1한국어 | 용정산단 | 포천시청, 가채2리, 만세교, 금주리, 명덕리, 화현리, 일동터미널 | 운담리(일동용암천) | 11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
12한국어 | 도평리차고지 | 이동, 연곡리, 화대리, 일동, 길명리, 민세교, 포천시청, 포천아이파크 | 용정산단 | 2019년 9월 2일 신설 |
33한국어 |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내촌, 진목리, 가산, 송우리터미널,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이동교3리 무봉리,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의정부버스터미널 경유 |
66한국어 | 의정부약국 | 직두삼거리, 유교2리, 송우리 | 초가팔2리 마을회관 | |
66-1한국어 | 일동터미널 | 화현리, 명덕리, 만세교 | 포천고등학교 | |
72-3한국어 | 포천시 포천종합사회복지관 | 포천시보건소, 포천시청, 포천중학교, 자작2통 군단앞, 대진대학교, 주공3단지, 소흘읍사무소, 이동교2리 부인터,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홈플러스 금오점, 드림밸리아파트, 의정부버스터미널 | 방학동 | 포천교통에서 받은 노선, 저상버스 운행, 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 회룡역, 망월사역, 도봉산역 경유 |
200한국어 | 선단3통 | 대진대학교, 선단4통·장승거리, 선단초등학교, 설운1통, 동교3통마을회관, 해룡마을 | 선단동체육센터 | 2023년 3월 30일 신설, 전세버스 운행 |
201한국어 | 덕둔2리·목장 | 농협하나로마트, 갈월2리·새마을, 하심곡·우신아파트 | 신북면행정복지센터·포천아트밸리 | 전세버스 운행 |
138-5 | 도평리차고지 | 노곡리, 一|일중국어동, 길명리, 만세교, 포천시청, 대진대학교, 송우리터미널, 소흘읍사무소, 移|이중국어동교3리 무란마을, 移|이중국어동교5리·축석검문소,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의정부버스터미널 경유,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1] |
3100 | 대진대학교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송우5리(하),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효자역, 경기도청북부청사, 드림밸리아파트·새말역, 의정부버스터미널, 수락산역, 마들역, 도봉면허시험장,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석계역(양재역 방향만 경유), 동부간선도로, 성수대교·올림픽대로 (양재 방향) / 한남대교·강변북로 (대진대 방향), 신사역, 신논현역, 논현역, 강남역, 우성아파트, 뱅뱅사거리 | 양재역 | 2008년 4월 개통, 2008년 9월 1일 대진대학교 연장 및 직행좌석 변경, 노원역 미경유, 2층 버스 운행 |
3200 | 반월아트홀·여성회관 | 유한아파트, 대진대학교,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송우5리(하),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버스터미널, 수락산역, 도봉면허시험장, 마들역, 하계역, 동부간선도로, 시조사삼거리, 청량리역 | 제기동역 | 현대코아, 구 138-3번, 2012년 12월 10일 왕십리역까지 연장, 노원역 미경유[2] |
3500 | 대진대학교 | 차의과대학교, 주공3단지,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송우5리(하), 이동교4리·대방아파트,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버스터미널, 장암주공2단지, 수락산역, 마들역, 도봉면허시험장,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석계역(건대입구역 방향만 경유), 동부간선도로, 능동사거리, 어린이대공원역 | 건대입구역 | 2014년 8월 20일 신설, 구 70번 -> 3201번, 노원역 미경유 |
3600 | 설운3통·여단앞 | 송우6리 시장, 소흘읍사무소, 이동교2리·포천공구단지,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상) / 축석고개(하), 민락2지구, 효자역,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장암주공2단지, 수락산역, 마들역, 도봉면허시험장,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석계역(강남역 방향만 경유), 동부간선도로, 성수대교 (강남역 방향) / 한남대교·강변북로 (의정부 방향) → 신구중학교 → 차병원·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출구 → 지하철 2호선·강남역 → 논현역 → 신사역 | 2014년 9월 22일 신설, 노원역 미경유, 2019년 1월 28일부터 의정부성모병원~꽃동네(금오로) 구간 미경유 |
3. 1. 도시형버스
7한국어번: 일동 ↔ 유동리 ↔ 화현리 ↔ 명덕리 ↔ 소학리 ↔ 내촌 ↔ 광릉내 (이 노선은 선진상운에서 받은 노선이다.)7-1한국어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화현리 ↔ 봉수리 ↔ 소학리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마명리
7-2한국어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화현리 ↔ 봉수리 ↔ 소학리 ↔ 베어스타운 ↔ 내촌 ↔ 마명리 ↔ 광릉내
8한국어번 : 선단동 ↔ 대진대학교 ↔ 포천시보건소 ↔ 가채리 ↔ 수영장(만세교)
9한국어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시장 ↔ 정교리 ↔ 금현리 ↔ 너베기 ↔ 가산면행정복지센터
9-1한국어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 ↔ 정교리 ↔ 금현리
9-2한국어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대경중학교 ↔ 정교리 ↔ 금현리 ↔ 너베기
10한국어번 : 산정호수 ↔ 운천 ↔ 한탄강하늘다리주차장
10-1한국어번 : 산정호수 ↔ 평강식물원 ↔ 운천 ↔ 영북면사무소(10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10-2한국어번 : 선단동 ↔ 포천시청 ↔ 가채2리 ↔ 금주5리 ↔ 양문 ↔ 성동5리 ↔ 영북면 행정복지센터 ↔ 운천 ↔ 산정호수(10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11한국어번: 용정산단 ↔ 포천시청 ↔ 가채2리 ↔ 만세교 ↔ 금주리 ↔ 일동터미널 ↔ 운담리 (일동용암천) (2016년 12월 20일 신설. 저상버스 운행)
11-1한국어번 : 용정산단 ↔ 포천시청 ↔ 가채2리 ↔ 만세교 ↔ 금주리 ↔ 명덕리 ↔ 화현리 ↔ 일동터미널 ↔ 운담리(일동용암천)(11한국어번 차량으로 운행)
12한국어번: 도평리차고지 ↔ 이동 ↔ 연곡리 ↔ 화대리 ↔ 일동 ↔ 길명리 ↔ 민세교 ↔ 포천시청 ↔ 포천아이파크 ↔ 용정산단 (2019년 9월 2일 신설)
33한국어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진목리 ↔ 가산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3리 무봉리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66한국어번: 의정부약국 ↔ 직두삼거리 ↔ 유교2리 ↔ 송우리 ↔ 초가팔2리 마을회관
66-1한국어번 : 일동터미널 ↔ 화현리 ↔ 명덕리 ↔ 만세교 ↔ 포천고등학교
72-3한국어번: 포천시 포천종합사회복지관 ↔ 포천시보건소 ↔ 포천시청 ↔ 포천중학교 ↔ 자작2통 군단앞 ↔ 대진대학교 ↔ 주공3단지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홈플러스 금오점 ↔ 드림밸리아파트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방학동 (이 노선은 포천교통에서 받은 노선이다.) (저상버스 운행)
200한국어번: 선단3통 ↔ 대진대학교 ↔ 선단4통.장승거리 ↔ 선단초등학교 ↔ 설운1통 ↔ 동교3통마을회관 ↔ 해룡마을 ↔ 선단동체육센터 (2023년 3월 30일 신설, 전세버스 운행)
201한국어번: 덕둔2리.목장 ↔ 농협하나로마트 ↔ 갈월2리.새마을 ↔ 하심곡.우신아파트 ↔ 신북면행정복지센터.포천아트밸리 (전세버스 운행)
3. 2. 일반좌석버스
- 一|일중국어반좌석버스
- 138-5번: 도평리차고지 ↔ 노곡리 ↔ 一|일중국어동 ↔ 길명리 ↔ 만세교 ↔ 포천시청 ↔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소흘읍사무소 ↔ 移|이중국어동교3리 무란마을 ↔ 移|이중국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2024년 1월 1日|일중국어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1]
3. 3. 직행좌석버스
- 3100번: 대진대학교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효자역 ↔ 경기도청북부청사 ↔ 드림밸리아파트, 새말역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양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올림픽대로 (양재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대진대 방향) ↔ 신사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강남역 ↔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2008년 4월 개통 초기에 의정부-강남 간 시외버스로 운행, 2008년 9월 1일 현재의 대진대학교 연장 및 직행좌석으로 변경, 노원역 미경유, 2층 버스 운행중)
- 3200번: 반월아트홀,여성회관 ↔ 유한아파트 ↔ 대진대학교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마들역 ↔ 하계역 ↔ 동부간선도로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현대코아 (구 138-3번 / 2012년 12월 10일 왕십리역까지 연장, 노원역 미경유)[2]
- 3500번: 대진대학교 ↔ 차의과대학교 ↔ 주공3단지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주공2단지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건대입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능동사거리 ↔ 어린이대공원역 ↔ 건대입구역 (2014년 8월 20일 신설, 구 70번 -> 3201번, 노원역 미경유)
- 3600번: 설운3통.여단앞 ↔ 송우6리 시장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상) / 축석고개(하) ↔ 민락2지구 ↔ 효자역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장암주공2단지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강남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강남역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의정부 방향) → 신구중학교 → 차병원,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출구 →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논현역 → 신사역 (2014년 9월 22일 신설, 노원역 미경유, 2019년 1월 28일부터 의정부성모병원~꽃동네(금오로) 구간 미경유)
4. 이전 운행 노선
- 5번: 냉정리 ↔ 초과2리 ↔ 자일2리 ↔ 운천 ↔ 산정리 ↔ 산정호수
- 5-1번: 관인터미널 ↔ 야미리 ↔ 만세교 ↔ 가채2리 ↔ 포천시청
- 5-2번: 냉정리 ↔ 초과리 ↔ 자일2리 ↔ 양문 ↔ 포천시청 ↔ 선단동
- 11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광나루역 ↔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 1001번) (2009-12-01 선진상운(경기버스)과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된 후 2010-07-10 직행좌석버스으로 전환후 운행)[2]
- 11-2번: 반월아트홀 ↔ 포천시청 ↔ 가채2리 ↔ 경복대학(11번으로 통합)
- 15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진목리 ↔ 가산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33번에 통합)
- 20번: 대경중학교 ↔ 송우리 ↔ 이가팔리 ↔ 고모리 ↔ 금현리 ↔ 가산면사무소 ↔ 마산리 ↔ 너배기 (2014년 12월경 폐선, 9-1번이 대체)
- 20-1번: 대경중학교 ↔ 가산면 행정복지센터 (20번에서 분리후 2014년 12월경 최종폐선)
- 33-1번: 일동 ↔ 서파 ↔ 내촌 ↔ 방축리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33번에서 분리 후 최종폐선)
- 66-2번: 일동터미널 ↔ 화현리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포천시청 ↔ 선단동 ↔ 송우리홈플러스
- 70번: 봉선사입구 ↔ 국립수목원 ↔ 직동리 ↔ 무림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상계주공7단지, 광림교회 ↔ 노원역 9번출구 (도시형버스, 2012-06-19 ~ 2013-12-28, 광역버스 3201번이 형간전환 후, 왕십리역으로 연장)
- 71번 :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어룡2통 ↔ 대진대 ↔ 선단동 ↔ 너베기 ↔ 감암리
- 71-1번: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어룡2통 ↔ 대진대 ↔ 하송우리 ↔ 너베기 ↔ 감암리 ↔ 방축리 ↔ 하송우리 ↔ 송우리시장 ↔ 송우리홈플러스
- 88번: 포미재아파트 ↔ 포천고등학교 ↔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2015년 3월 2일부터 포천교통으로 양도)
- 88-1번: 차의과학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88번 분리후 최종폐선)
- 138-3번: 대진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대림아파트, 상계주공7단지 ↔ 노원구청 ↔ 창동역 1번출구 (노원역 미경유, 2011.12.17 경동시장으로 노선연장후, 2012-04-23 광역버스 3200번으로 형간전환)[2]
- 138-6번: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138-9번과 통합. 2015년 8월 1일부로 포천교통으로 양도후 2019년 7월 11일부터 직행좌석버스 1386번으로 전환후 운행)[2]
- 138-7번: 도평리차고지 ↔ 수입리 ↔ 일동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구 660-1번. 2019년 9월 2일부터 폐선후 포천 ~ 도평리구간은 12번 대체운행)[2]
- 138-8번: 도평리차고지 ↔ 노곡리 ↔ 일동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포천시보건소 경유) (138-5번 분리후 다시 138-5번에 통합)
- 138-9번: 산정호수 ↔ 양문공단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2014년 2월 17일부터 폐선후 138-6번 통합)
- 660번: 포천고등학교 ↔ 만세교 ↔ 일동 ↔ 사이판 ↔ 도평리 (138-7번에 통합)
- 660-1번: 포천고등학교 ↔ 만세교 ↔ 일동 ↔ 이동 ↔ 도평리 (660번 분리후 최종으로 138-7번에 통합)
- 1001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광나루역 ↔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도시형버스 11번으로 전환. 이후 경기버스에 양도)[2]
- 3100-1번: 차의과학대학교 ↔ 대진대학교 ↔ 송우리 ↔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도청 북부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양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올림픽대로 (양재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대진대 방향) ↔ 신사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강남역 ↔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2016-03-14일 신설노선, 출퇴근 시간대만 운행, 노원역 미경유)
- 3201번: 직동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동부간선도로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경동시장 ↔ 용두역(동대문구청) ↔ 성동구청 ↔ 왕십리역 (시내버스 70번 형간전환, 2013-12-29 ~ 2014-08-19.[2] 현 3500번, 노원역 미경유)
- 3800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만세교 ↔ 신북면 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대진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2012-04-23 ~ 2013-03-10, 138-7번이 대체)
5. 보유 차량
제조사 | 차명 | 비고 |
---|---|---|
자일대우버스 | NEW BS090 | 여산교통, 명진교통 출신 차량 |
현대자동차 | E-카운티 | |
뉴 카운티 | ||
카운티 뉴 브리즈 | ||
그린시티 | ||
뉴 슈퍼에어로시티 | ||
저상 뉴 슈퍼에어로시티 | ||
블루시티 | ||
유니시티 |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
스카이웰 | 리오네 | |
MAN |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 3100번 노선에 운행 중 |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2013년 12월 29일 3201번이 개통할 때 3200번이 직동리-왕십리역 노선을, 3201번이 대진대-청량리 노선을 담당했으나 2014년 1월 23일 노선번호를 맞바꾸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