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문학상은 대한민국의 문학상으로, 1964년에 제정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초기에는 단일 부문으로 시작하여 1984년부터 부문별 시상 제도를 도입했다. 시, 소설, 희곡, 평론, 수필, 아동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매년 역대 수상자 및 수상 작품을 발표한다. 한국 문학계에 기여한 작품을 선정하여 문학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치적 성향에 따른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국문학상 | |
---|---|
한국문학상 | |
기본 정보 | |
종류 | 문학상 |
목적 | 한국 문학의 발전과 진흥에 기여 |
주최 | 한국문인협회 |
시상 분야 | 시 소설 희곡 평론 수필 아동문학 번역문학 |
시상 시기 | 매년 12월 |
상금 | 각 부문별 1,000만원 |
첫 시상 | 1956년 |
웹사이트 | 한국문인협회 한국문학상 페이지 |
2. 역사
2. 1. 제정 배경
2. 2. 초기 운영 방식 (1964년 ~ 1983년)
2. 3. 부문별 시상 도입 (1984년 ~ 현재)
3. 수상 부문
4. 역대 수상자 및 수상 작품
wikitable
연도 | 수상자 | 작품명 | 부문 |
---|---|---|---|
1964 | 마해송 | 떡배 | 시 |
1965 | 김종문 | 신시집 | 시 |
1966 | 박화성 | 증언 | 소설 |
1967 | 정태용 | 현대시인연구 | 문학평론 |
1968 | 신석정 | 산의 서곡 | 시 |
1969 | 이정환 | 수라도 | 소설 |
1970 | 하근찬 | 일본도 | 소설 |
1971 | 박경수 | 동토 | 소설 |
1972 | 이추림 | 이조떡살 | 시 |
1973 | 이원수 | 꽃바람 속에 | 시 |
1974 | 조경희 | 면역의 거리 | 수필 |
정완영 | 실일의 명 | 시조 | |
1975 | 한성기 | 구암리 | 시 |
1976 | 박현숙 | 가면무도회 | 희곡 |
1977 | 김시철 | 임금 | 시 |
1978 | 구경서 | 투계 | 시 |
1979 | 서기원 | 이조백자 마리아상 | 소설 |
1980 | 원형갑 | 포멀리즘과 현상학 사이 | 문학평론 |
1981 | 이석 | 화혼집 | 시 |
서정범 | 그 생명의 고향 | 수필 | |
1982 | 김용운 | 통나무집, 안개꽃 | 소설 |
1983 | 윤재근 | 만해시와 주제적 시론 | 문학평론 |
1984 | 김초혜 | 떠돌이 별 | 시 |
송명호 | 다섯계정의 노래 | 아동문학 | |
1985 | 오인문 | 하늘에 걸린 얼굴 | 소설 |
1986 | 박경종 | 팔지 않는 기차표 | 동화 |
정문호 | 넉넉한 밤을 위하여 | 시 | |
1987 | 홍윤기 | 내가 처음 너에게 던진 것은 | 시 |
최미나 | 이슬의 얼굴 | 소설 | |
1988 | 전옥주 | 그림자 연 | 희곡 |
윤병노 | 한국근대작가 작품연구 | 문학평론 | |
1989 | 이철호 | 사랑의 방 너머엔 슬픔의 아침이 | 수필 |
이동희 | 울고가는 저 기러기 | 소설 | |
이열주 | 달맞이 꽃 | 시 | |
1990 | 이은방 | 하늘 못 | 시조 |
염재만 | 말뚝에 절하고 | 소설 | |
진을주 | 그대의 분홍빛 슬픔은 | 시 | |
1991 | 최은하 | 꽃과 사랑의 그림자 | 시 |
조수비 | 미완의 바람 | 소설 | |
주동운 | S강의 조종 | 희곡 | |
1992 | 박정희 | 다시 만날 그날까지 | 시 |
박일동 | 달래 아리랑 | 희곡 | |
유혜자 | 절반은 그리움, 절반은 바람 | 수필 | |
1993 | 한순흥 | 소리없는 대화 | 시 |
송동균 | 밤에만 울던 뻐구기 왜 낮에도 우는가 | 시 | |
안장환 | 꽃샘 바람 | 소설 | |
1994 | 김후란 | 서울의 새벽 | 시 |
하유상 | 감투바람 | 희곡 | |
엄기원 | 숙제 없는 학교 | 아동문학 | |
1995 | 최승범 | 천지에서 | 시조 |
송원희 | 안중근 | 소설 | |
김규화 | 멀어지는 가을 | 시 | |
1996 | 양채영 | 한림으로 가는 길 | 시 |
유상덕 | 바라보는 사람을 위하여 | 시조 | |
전상국 | 사이코 | 소설 | |
윤재천 | 나뉘고 나뉘어도 하나인 우리를 위하여 | 수필 | |
강성희 | 희곡전집 | 희곡 | |
이상현 | 아이들은 시집속에서 꿈꾼다 | 아동문학 | |
1997 | 김창직 | 달과 영혼과의 간주곡 | 시 |
강계순 | 시선집 | 시 | |
김남환 | 이차돈의 강 | 시조 | |
1998 | 박명응 | 뒤돌아보기, 강 | 시 |
이규희 | 그 여자의 뜀박질은 끝나지 않았다 | 소설 | |
김병권 | 생각하는 눈 | 수필 | |
1999 | 오성찬 | 진혼아리랑 | 소설 |
정재익 | 팔공산 가는 구름 | 시조 | |
김신철 | 백두산 가는 길 | 아동문학 | |
2000 | 구인환 | 산밑 사람들 | 소설 |
홍승주 | 카인의 비극 | 희곡 | |
김영수 | 한국문학 그 웃음의 미학 | 문학평론 | |
2001 | 백시종 | 그 여름의 풍향계 | 소설 |
류보상 | 사기꾼 천국 | 희곡 | |
이병훈 | 변산 골짝에 이는 바람 | 시 | |
한분순 | 소녀 | 시조 | |
박연구 | 초상화 | 수필 | |
2003 | 김지연 | 산막의 영물 | 소설 |
김영무 | 퇴계선생 상소문 | 희곡 | |
이향아 | 꽃들은 진저리를 친다 | 시 | |
이우걸 | 맹인 | 시조 | |
김시헌 | 허무의 표정 | 수필 | |
이영호 | 멀리보는 새 | 아동문학 | |
2004 | 정공채 | 새로운 우수 | 시 |
손영목 | 유년의 환상 | 소설 | |
이재철 | 방정환론 | 아동문학 | |
2005 | 이성교 | 운두령을 넘으며 | 시집 |
조오현 | 절간 이야기 | 시조시집 | |
김웅 | 갯벌에 관한 명상 | 소설집 | |
2006 | 오태영 | 수레바퀴 | 희곡집 |
공덕룡 | 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남자 | 수필집 | |
2007 | 성기조 | 청하 성기조 시전집 | 시전집 |
김용철 | 깡초 | 소설 | |
정목일 | 마음 고요 | 수필집 | |
2008 | 김선영 | 작파하다 | 시집 |
민병도 | 내 안의 빈집 | 시조시집 | |
박종현 | 섬에 온 쌍둥이 별 | 동화집 | |
2009 | 김소엽 | 사막에서 길을 찾네 | 시집 |
유자효 | 전철을 타고 히말라야를 넘다 | 시조시집 | |
변해명 | 시간의 작은 방울 | 수필 | |
2010 | 왕수영 | 달과 별과 타향의 시 | 시집 |
김용재 | 나루터 마을 | 동화집 | |
2011 | 서영수 | 바람의 고향 | 시집 |
2012 | 김교한 | 잠들지 않는 강 | 시조집 |
2013 | 성춘복 | '길 밖에서' | 시집 |
2014 | 박순녀 | '이중섭을 찾아서' | 소설집 |
2015 | 김홍신 | '단 한 번의 사랑' | 장편소설 |
박진환 | '복수의 시ㆍ1~36' | 시집 | |
2016 | 이원규 | '마지막 무관생도들' | 장편소설 |
심상옥 | '합주' | 수필집 | |
2017 | 김주완 | '주역 서문을 읽다' | 시집 |
송하선 | '몽유록' | 시집 | |
원용우 | '아차산 연가' | 시조집 | |
김용만 | '잔아(殘兒)' | 장편소설 | |
2018 | 김남곤 | '선생님이 울어요' | 동시집 |
한춘섭 | '다시 유월에' | 시조집 | |
신상성 | '목불' | 소설집 | |
2019 | 조남익 | '한강의 벽' | 시집 |
박영교 | '우리가 산다는 것은' | 시조집 | |
정영자 | '문학과 문화의 접점' | 평론집 | |
김종상 | '꽃과 나무 이야기' | 동시집 | |
2020 | 구재기 | '모시올 사이로 바람이' | 시집 |
도광의 | '무학산을 보며' | 시집 | |
이광석 | '바람의 기억' | 시집 | |
강준희 | '촌놈' | 대하소설 | |
문삼석 | '물괴 눈에는' | 동시 | |
2021 | 나태주 | '너 하나만 보고 싶었다' | 시집 |
박찬선 | '물의 집' | 시집 | |
김정희 | '복사꽃 그늘 아래' | 시조집 | |
이상문 | '붉은 눈동자' | 장편소설 | |
조병무 |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 평론집 | |
지연희 | '별의 노래' | 수필 | |
2022 | 권용태 | '그리하여 너의 섬에 갈 수 있다면' | 시집 |
김명수 | '11월엔 바람소리도 시를 쓴다' | 시집 | |
김상렬 | '백두산 아리랑' | 소설집 | |
김완기 | '들꽃 백화점' | 동시집 | |
선용 | '바람의 손' | 동시집 | |
2023 | 소재호 | '노루귀' | 시 |
최원현 | '고자바리' | 수필집 | |
하청호 | '동시가 맛있다면 세프들이 화를 낼까' | 동시집 | |
2024 | 이광복 | '뿌리' | 소설 |
박동수 | '움직이는 것들의 소리를 그리워한다' | 수필집 | |
신현득 | '해님 고맙습니다' | 동시집 |
5. 평가 및 의의
5. 1. 긍정적 평가
5. 2. 비판적 시각
6. 한국 문학과 정치
6. 1. 더불어민주당의 문학 정책
6. 2. 국민의힘의 문학 정책
7. 결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