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한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의 한자어는 한자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중국에서 유입되었으며, 삼국 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한자식 이름 사용과 공식 직함의 한자어 변경이 이루어졌고,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식 한자어가 유입되었다. 현재 한국어 어휘에서 한자어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격식 있는 문어체와 추상적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한자어는 중국 기원, 한국 기원, 일본 기원으로 나뉘며, 표기는 한글 또는 한자를 사용한다. 한국어의 고유어 중에는 한자어에서 유래된 단어도 존재하며, 음운 대응 규칙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어의 한자어 | |
---|---|
개요 | |
정의 | 한국어 어휘 중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 |
표기 | hangul: 한자어 hanja: 漢字語 rr: Hanja-eo mr: Hancha-ŏ |
특징 | |
비중 | 한국어 어휘의 상당 부분을 차지 (언어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높게는 70%까지 추정) |
형성 | 주로 중국어에서 유래, 일본을 거쳐 유입된 경우도 존재 |
활용 | 학술, 전문 용어, 추상적인 개념 표현에 주로 사용 |
예시 | 예시1: 사회 (社會), 경제 (經濟), 문화 (文化) 예시2: 대통령 (大統領), 국회 (國會), 정부 (政府) |
역사 | |
유입 시기 | 고대부터 꾸준히 유입 |
영향 | 한국어 어휘 체계 및 문법에 큰 영향 |
일제강점기 | 일본어식 한자어 유입, 왜곡 논란 존재 |
참고 | |
관련 용어 | 고유어: 한국어에서 원래부터 사용되던 말 외래어: 외국어에서 들어와 한국어처럼 쓰이는 말 |
참고 문헌 | Hangul Hakhoe (1992). 우리말 큰 사전. Seoul. Kim, Jin-su (2009-09-11). 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한 거라네. The Hankyoreh. 허철 (June 2010). Examination how many using compound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by using analysis of Modern Korean words 1, 2. Journal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 Choo, Miho; O'Grady, William (1996). Handbook of Korean Vocabulary: An Approach to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
2. 역사
한국에서 한자와 한문 사용은 최소 기원전 19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 시대에 한자어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신라 시대에 더욱 인기를 얻었다. 이 시기에 남성 귀족들은 이름을 한자식 이름으로 바꾸었고, 정부는 모든 공식 직함과 지명을 한자어로 변경했다.[4]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한자어는 인기를 유지했다.[4] 1945년 이전 일제강점기에 한국에 도입된 일본식 한자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한자어가 도입되었다.[6]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한자어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한자의 의미를 사용하여 중국에는 없는 새로운 한국어 단어를 생성하고 있다. 반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많은 한자어를 고유 한국어 용어로 대체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5]
2. 1. 한자 전래와 초기 한자어
한반도는 한자 문화권에 속하며 예로부터 한자를 중국에서 받아들여 왔다. 한나라 4군이 설치된 기원전 2세기경에는 이미 한자 문화가 한반도에 전해졌다고 추정된다.한국에서 한자와 한문 사용은 최소 기원전 19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 시대에 한자어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신라 시대에 더욱 인기를 얻었다. 이 시기에 남성 귀족들은 이름을 한자식 이름으로 바꾸었다. 또한 정부는 모든 공식 직함과 지명을 한자어로 변경했다.[4]
2. 2. 고려 및 조선 시대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한자어는 계속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4] 이 시기에는 중세 한국어에서 현대 한국어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한자어나 의미가 나타나기도 했다. 예를 들어, '常談(상담)'은 '일상 회화'를, '禮數(예수)'는 '절'을 의미했다.2. 3.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제 한자어가 대거 유입되었다. 이 시기에는 서구 문물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일본식 한자어가 한국어에 흡수되었으며, 법률 용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본식 한자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6] 1945년 이전에 일본식 한자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한자어가 한국에 도입되었다.[6]2. 4. 현대
광복 이후에도 대한민국에서는 한자어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한자의 의미를 사용하여 중국에는 없는 새로운 한국어 단어를 생성하고 있다. 반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책은 많은 한자어를 고유 한국어 용어로 대체할 것을 요구해 왔다.[5]3. 사용
한국어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그리고 이들의 혼종어로 구성된다. 이 중 한자어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한글학회 편찬 《큰사전》에 따르면 전체 어휘의 52.1%를 차지한다.[28][29][22] 한자어는 주로 격식 있는 문맥이나 문어체에서 사용되며,[6] 추상적이거나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7] 모든 한국 성씨와 대부분의 한국 이름은 한자어이다.[4] 한국의 수사는 한자어와 고유어 모두 사용되지만,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7]
한자어는 일본어의 한자어와 공통되는 어휘가 많지만, 이들 어휘의 ‘딱딱함’ 정도는 꼭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철야(徹夜)’는 한국어에서 ‘철야 작업’과 같이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데 반해 일본어 徹夜|테츠야일본어는 ‘밤을 새우다’의 뜻으로 흔하게 쓰인다. 반대로 한국어 ‘답변(答辯)’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란 뜻으로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지만, 일본어에서는 ‘국회 답변’과 같이 공식적인 질의응답에 관해 쓰는 어휘이다.
요즈음 대한민국에서는 기존 한자어에서 단어의 뜻이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음료수(飮料水)’는 원래 ‘식수’의 뜻이지만 ‘청량 음료수’의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커피, 주스 등을 포함해 ‘마실 것’이란 넓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또 ‘수족관(水族館)’은 물에 사는 생물을 전시하는 시설 외에 어패류를 수조에 넣어 파는 상점을 가리키기도 한다.
4. 표기
한자 또는 한글로 한자어를 표기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공문서에서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31] 2005년 제정된 국어기본법에서도 공문서는 한글로 작성하되,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한자나 외국 문자를 쓸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3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정부 수립 초기부터 한자를 전면 폐지하여 한자어라도 일반적으로 한글로만 표기한다.[31]
과거 한국에서는 한자와 한글을 혼용하는 표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한글만 사용하는 표기가 주류를 이룬다. 이 때문에, 전혀 다른 의미의 한자어가 같은 표기가 되거나, 한자어가 고유어 또는 외래어와 같은 표기가 되는 동음이의어가 존재한다.[23]
예시는 아래와 같다.
한자어 | 고유어 또는 외래어 |
---|---|
구축: 「構築」(구축) 또는 「駆逐」(구축) | |
기술: 「技術」(기술) 또는 「記述」(기술) | |
경계: 「警戒」(경계) 또는 「境界」(경계) | |
사고: 「思考」(사고) 또는 「事故」(사고) | |
비상: 「非常」(비상) 또는 「飛翔」(비상) | |
가장: 「仮装」(가장) 또는 「家長」(가장) | 가장(가장) |
가로: 「街路」(가로) | 가로(가로) |
부채: 「負債」(부채) | 부채(부채) |
유로: 「流路」(유로) | 유로(유로) |
일반적으로 한자의 한글 표기는 하나이지만(다음절·속음의 경우 제외), 불(不) 뒤에 오는 한자의 첫 자음이 /ㄷ, ㅈ/인 경우, 고유어와 마찬가지로 /ㄹ/이 탈락하여 부당(不当), 부정(不正) 등과 같이 부(不)가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24] 또한, 일부 한자어에는 숫자(數字), 횟수(回數) 등과 같이 고유어와 마찬가지로 사이시옷(ㅅ)을 삽입할 수 있다.[25]
5. 한자어의 종류
한자어는 그 유래에 따라 중국 기원, 한국 기원, 일본 기원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낱낱 어휘의 기원에 관해서는 분명치 못할 경우도 적지 않다.
- 중국 기원 한자어: 중국어에서 직접 차용된 한자어로, 중국 고전, 중국 문학, 구어체 중국어 등에서 유래한다.
- 한국 기원 한자어: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로, 중국, 일본 등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일본 기원 한자어: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에서 한자어 형태로 한국어에 들어왔다. 주로 유럽어 번역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5. 1. 중국 기원 한자어
중국어에서 직접 차용된 한자어는 주로 중국 고전, 중국 문학, 그리고 구어체 중국어에서 유래한다.[5]단어 | 한국어 (RR) | 한자 | 한자 의미 |
---|---|---|---|
부모 | 부모 (bumo) | 父母 | "아버지 어머니" |
학생 | 학생 (haksaeng) | 學生 | "배우는 학생" |
태양 | 태양 (taeyang) | 太陽 | "큰 빛" |
질문 | 질문 (jilmun) | 質問 | "묻는 배경" |
5. 1. 1. 고전 중국어 기원
중국어에서 유래한 어휘는 대부분이 중국 고전, 중국 문학 등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한다.[5] 중국어에서 유래한 어휘는 한자어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대의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휘가 많다.- 천하(天下)
- 결혼(結婚)
- 유쾌(愉快)
- 학문(學問)
- 사면초가(四面楚歌)
- 어부지리(漁夫之利)
고사성어 중에는 중간에 한국어 고유어 요소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 백문이 불여일견(百聞이 不如一見)
어떤 것은 단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순서가 다르다.
- 현모양처(賢母良妻) - 중국어는 '현처양모(賢妻良母)', 일본어는 '양처현모(良妻賢母)'이다.
한자 한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 중에는 한자어라는 의식이 희박하고, 마치 고유어와 같은 감각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 산(山) (← 뫼)
- 강(江) (← 가람)
- 책(冊)
단어 | 한국어 (RR) | 한자 | 한자 의미 | 참고 |
---|---|---|---|---|
부모 | 부모 (bumo) | 父母 | 아버지 어머니 | [9] |
학생 | 학생 (haksaeng) | 學生 | 배우는 학생 | [10] |
태양 | 태양 (taeyang) | 太陽 | 큰 빛 | [11] |
질문 | 질문 (jilmun) | 質問 | 묻는 배경 | [12] |
5. 1. 2. 고전 중국어를 경유한 외래 기원
한자어 형태로 유입되었으나, 그 기원은 고전 중국어에 차용된 외래어인 경우가 있다.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불경의 한역(漢譯)을 통해 유입된 산스크리트어 계열의 단어들이다. 그 밖에 북방 민족 계열, 서역 계열 등이 있다. 들어온 지 오래되어 외래어라는 의식이 없는 경우가 많다.[1]5. 1. 3. 뜻이 변화된 어휘
중국어에 존재하는 어휘라도 한국어에서 뜻이 달라진 경우가 있다. 이러한 어휘들은 중국어와 일본어와는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한국어 | 중국어 | 일본어 |
---|---|---|
거래(去來) | ‘왔다 갔다 함’ | |
공부(工夫) | ‘시간’ | ‘궁리’ |
미혹(迷惑) | ‘미혹’ | ‘민폐’ |
방심(放心) | ‘안심’ | ‘정신 나감’ |
복도(複道) | ‘상하 이중으로 된 길’ | |
사탕(砂糖) | ‘설탕’ | |
시비(是非) | ‘시비’ | ‘반드시’ |
의논(議論) | ‘논의’ | |
인사(人事) | ‘세상 일’, ‘(조직의) 인사’ | |
학원(學院) | ‘단과 대학’ | ‘학교’ |
'방심(放心)'은 중국어에서 '안심하다'라는 긍정적인 뜻으로 사용된다. '사탕(砂糖)'은 중세 한국어에서 설탕을 뜻했다. '시비(是非)'는 일본어에서 부사 '반드시'를 나타내는데 이는 '좋은 일(是)이 나쁜 일(非)로 바뀌더라도', 즉 '어떻게 해서라도'란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사(人事)'를 사람과 사람이 만날 때 나누는 말이나 예절의 뜻으로 중국어와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일은 없다. 한국어에서 '사람(人)이 해야 할 일(事)'이란 뜻을 나타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5. 1. 4. 현대 중국어 기원
현대 중국어에서 유래한 한자어는 적다. 다만, 북한에서 사용되는 조선어 중에는 현대 중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어휘가 몇몇 보인다.[1]- 일변도(一邊倒)
- 원주필(圓珠筆) ‘볼펜’ (북한 어휘)[1]
현대 중국어에서 유래한 어휘는 중국어 발음 그대로 도입되어 외래어로서 정착된 경우가 많다.[1]
- 짜장면 (자장면의 원어)
- 노틀 (로테르의 원어)
5. 2. 한국 기원 한자어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한국어의 고유한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다.- 한국 자체 조어: 두 개 이상의 한자를 결합하여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를 만들었다.
- 한국제 한자를 포함한 어휘: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국자)를 포함하는 어휘도 있다. '전답(田畓)', '대지(垈地)', '시댁(媤宅)' 등에서 畓(논), 垈(터), 媤(남편 집안) 자가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이다.[33][27]
아래는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의 목록이다.
단어 | 뜻 | 로마자 표기 | 한자 |
---|---|---|---|
낭설 | 거짓; 헛소문; 유언비어 | nangseol | 浪說 |
궁합 | 부부의 조화; 궁합이 잘 맞음 | gunghap | 宮合 |
감기 | 감기 | gamgi | 感氣 |
고단수 | 속이는 사람; 사기꾼 | godansu | 高段數 |
고생 | 고통; 고난; 괴로움 | gosaeng | 苦生 |
공책 | 공책; 노트 | gongchaek | 空冊 |
굉장 | 굉장함 | goengjang | 宏壯 |
관형사 | 관형사 | gwanhyeongsa | 冠形詞 |
구색 | 상품의 종류 | gusaek | 具色 |
농담 | 농담 | nongdam | 弄談 |
단합 | 단결; 연합; 결합 | danhap | 團合 |
답장 | 회신; 응답; 대답 | dapjang | 答狀 |
다행 | 행운; 운이 좋음 | dahaeng | 多幸 |
대구 | 대구 | daegu | 大口 |
덕분 | 덕분 | deokbun | 德分 |
도령 | 총각; 젊은이 | doryeong | 道令 |
독감 | 독감 | dokgam | 毒感 |
동갑 | 동갑 | donggap | 同甲 |
동질감 | 동질감 | dongjilgam | 同質感 |
맥주 | 맥주 | maekju | 麥酒 |
명태 | 명태 | myeongtae | 明太 |
명절 | 명절 | myeongjeol | 名節 |
목수 | 목수 | moksu | 木手 |
몰사 | 몰사 | molsa | 沒死 |
몰살 | 학살; 도살; 전멸 | molsal | 沒殺 |
문병 | 병문안 | munbyeong | 問病 |
문초 | 문초 | muncho | 問招 |
미안 | 미안함; 죄송함 | mian | 未安 |
방금 | 방금 | banggeum | 方今 |
방석 | 방석 | bangseok | 方席 |
복권 | 복권 | bokgwon | 福券 |
복덕방 | 복덕방 | bokdeokbang | 福德房 |
비수기 | 비수기 | bisugi | 非需期 |
빙상장 | 빙상장 | bingsangjang | 氷上場 |
구독 | 구독 | gudog | 購讀 |
산소 | 묘지; 무덤 | sanso | 山所 |
생선 | 생선 | saengseon | 生鮮 |
석수 | 석수 | seoksu | 石手 |
성수기 | 성수기 | seongsugi | 盛需期 |
성함 | 성함 | seongham | 姓銜 |
수고 | 수고 | sugo | 受苦 |
성희롱 | 성희롱 | seonghuirong | 性戲弄 |
소임 | 소임 | soim | 所任 |
소중 | 소중함 | sojung | 所重 |
소풍 | 소풍 | sopung | 逍風 |
시작 | 시작 | sijak | 始作 |
신신당부 | 간곡한 부탁 | sinsindangbu | 申申當付 |
아역 | 아역 배우 | ayeok | 兒役 |
압류 | 압류 | amnyu (apryu) | 押留 |
앙숙 | 악감정 | angsuk | 怏宿 |
야단 | 소란; 소동; 혼란 | yadan | 惹端 |
야박 | 냉혹함; 무자비함 | yabak | 野薄 |
역시 | 역시; 또한 | yeoksi | 亦是 |
연두 | 연두색 | yeondu | 軟豆 |
원어민 | 원어민 | woneomin | 原語民 |
월경지 | 월경지 | wolgyeongji | 越境地 |
위시 | ~을 시작으로 | wisi | 爲始 |
의지 | 의지하다; 의존하다; 믿다 | uiji | 依支 |
이사 | 이사하다; 이전하다 | isa | 移徙 |
자기편 | 자기편 | jagipyeon | 自己便 |
작정 | 작정; 결정; 계획 | jakjeong | 作定 |
정담 | 정담 | jeongdam | 情談 |
정체성 | 정체성 | jeongcheseong | 正體性 |
제과점 | 제과점 | jegwajeom | 製菓店 |
주전자 | 주전자 | jujeonja | 酒煎子 |
죄송 | 죄송함 | joesong | 罪悚 |
지갑 | 지갑 | jigap | 紙匣 |
책방 | 책방 | chaekbang | 冊房 |
창문 | 창문 | changmun | 窓門 |
천장 | 천장 | cheonjang | 天障 |
청첩장 | 청첩장 | cheongcheopjang | 請牒狀 |
초등학교 | 초등학교 | chodeung-hakgyo | 初等學校 |
초등학생 | 초등학생 | chodeung-haksaeng | 初等學生 |
춘곤증 | 춘곤증 | chungonjeung | 春困症 |
차단 | 차단 | chadang | 遮斷 |
통섭 | 통섭 | tongseop | 統攝 |
행차 | 행차; 방문 | haengcha | 行次 |
허풍 | 허풍떨다; 과장하다 | heopung | 虛風 |
현찰 | 현금 | hyeonchal | 現札 |
형편 | 형편; 상황 | hyeongpyeon | 形便 |
환장 | 정신 나가다; 미치다 | hwanjang | 換腸 |
환절기 | 환절기 | hwanjeolgi | 換節期 |
현충일 | 현충일 | hyeonchungil | 顯忠日 |
기기 | 기기 | gigi | 機器/器機 |
이 외에도 '오비이락(烏飛梨落)', '삼수갑산(三水甲山)'과 같이 한국 속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사자성어도 있다.
하위 섹션에 이미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교도소(矯導所)', '대중교통(大衆交通)', '명함(名銜)', '무궁화(無窮花)', '선물(膳物)', '수표(手票)', '편의점(便宜店)', '양말(洋襪)', '외계인(外界人)', '이앙기(移秧機)', '장갑(掌甲)', '전세(專貰)', '절차(節次)', '주유소(注油所)', '차례(次例)', '출시(出市)', '태엽(胎葉)', '편지(便紙)' 등의 예시는 생략한다.
5. 2. 1. 한국 자체 조어
두 개 이상의 한자를 이용해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들거나 한국에서만 쓰는 어휘가 있다. 이러한 어휘들은 중국어와 일본어에 동일한 형태의 어휘가 없다.
:'1' 표시된 일본어는 그것이 한자어가 아니라 고유어임을 나타낸다.
‘방(房)’을 ‘가게’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뿐이다. ‘말(襪)’은 ‘버선’의 뜻이며 ‘양말’은 ‘서양의 버선’이 원래 뜻이다. ‘차례(次例)’는 원래 ‘차뎨(次第)’였는데 第의 발음이 ‘뎨’에서 ‘례’로 변화되면서 한자 표기도 발음에 맞춰 ‘例’로 바뀌었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중에는 ‘적반하장(賊反荷杖)’, ‘오비이락(烏飛梨落)’, ‘삼수갑산(三水甲山)’과 같은 네 글자 성구(사자성어)의 형태를 띤 것도 있다. 오비이락과 같은 것은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라는 속담을 한자성어 형태로 옮긴 것이다.[32]
다음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단어들로,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정의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한자 | 비고 |
---|---|---|---|---|
거짓; 헛소문; 유언비어 | 낭설 | nangseol | 浪說 | |
부부의 조화; 궁합이 잘 맞음 | 궁합 | gunghap | 宮合 | |
감기 | 감기 | gamgi | 感氣 | |
속이는 사람; 사기꾼 | 고단수 | godansu | 高段數 | |
고통; 고난; 괴로움 | 고생 | gosaeng | 苦生 | |
공책; 노트 | 공책 | gongchaek | 空冊 | |
굉장함 | 굉장 | goengjang | 宏壯 | |
관형사 | 관형사 | gwanhyeongsa | 冠形詞 | |
교도소 | 교도소 | gyodoso | 矯導所 | |
상품의 종류 | 구색 | gusaek | 具色 | |
농담 | 농담 | nongdam | 弄談 | |
단결; 연합; 결합 | 단합 | danhap | 團合 | |
회신; 응답; 대답 | 답장 | dapjang | 答狀 | |
행운; 운이 좋음 | 다행 | dahaeng | 多幸 | |
대구 | 대구 | daegu | 大口 | |
대중교통 | 대중교통 | daejung-gyotong | 大衆交通 | |
대지; 토지 | 대지 | daeji | 垈地 | |
덕분 | 덕분 | deokbun | 德分 | |
하청 | 도급 | dogeup | 都給 | |
총각; 젊은이 | 도령 | doryeong | 道令 | |
독감 | 독감 | dokgam | 毒感 | |
동갑 | 동갑 | donggap | 同甲 | |
동질감 | 동질감 | dongjilgam | 同質感 | |
맥주 | 맥주 | maekju | 麥酒 | |
명태 | 명태 | myeongtae | 明太 | |
명절 | 명절 | myeongjeol | 名節 | |
명함 | 명함 | myeongham | 名銜 | |
목수 | 목수 | moksu | 木手 | |
몰사 | 몰사 | molsa | 沒死 | |
학살; 도살; 전멸 | 몰살 | molsal | 沒殺 | |
무궁화 | 무궁화 | mugunghwa | 無窮花 | |
병문안 | 문병 | munbyeong | 問病 | |
문초 | 문초 | muncho | 問招 | |
미안함; 죄송함 | 미안 | mian | 未安 | |
민폐 | 민폐 | minpye | 民弊 | |
방금 | 방금 | banggeum | 方今 | |
방석 | 방석 | bangseok | 方席 | |
복권 | 복권 | bokgwon | 福券 | |
복덕방 | 복덕방 | bokdeokbang | 福德房 | |
비수기 | 비수기 | bisugi | 非需期 | |
빙상장 | 빙상장 | bingsangjang | 氷上場 | |
구독 | 구독 | gudog | 購讀 | |
묘지; 무덤 | 산소 | sanso | 山所 | |
생선 | 생선 | saengseon | 生鮮 | |
석수 | 석수 | seoksu | 石手 | |
선물 | 선물 | seonmul | 膳物 | |
성수기 | 성수기 | seongsugi | 盛需期 | |
성함 | 성함 | seongham | 姓銜 | |
수고 | 수고 | sugo | 受苦 | |
성희롱 | 성희롱 | seonghuirong | 性戲弄 | |
소임 | 소임 | soim | 所任 | |
소중함 | 소중 | sojung | 所重 | |
소풍 | 소풍 | sopung | 逍風 | |
수표 | 수표 | supyo | 手票 | |
시작 | 시작 | sijak | 始作 | |
간곡한 부탁 | 신신당부 | sinsindangbu | 申申當付 | |
아역 배우 | 아역 | ayeok | 兒役 | |
압류 | 압류 | amnyu (apryu) | 押留 | |
악감정 | 앙숙 | angsuk | 怏宿 | |
소란; 소동; 혼란 | 야단 | yadan | 惹端 | |
양말 | 양말 | yangmal | 洋襪 | |
냉혹함; 무자비함 | 야박 | yabak | 野薄 | |
역시; 또한 | 역시 | yeoksi | 亦是 | |
연두색 | 연두 | yeondu | 軟豆 | |
외계인 | 외계인 | oegyein | 外界人 | |
원어민 | 원어민 | woneomin | 原語民 | |
월경지 | 월경지 | wolgyeongji | 越境地 | |
~을 시작으로 | 위시 | wisi | 爲始 | |
의지하다; 의존하다; 믿다 | 의지 | uiji | 依支 | |
이사하다; 이전하다 | 이사 | isa | 移徙 | |
이앙기 | 이앙기 | ianggi | 移秧機 | |
자기편 | 자기편 | jagipyeon | 自己便 | |
작정; 결정; 계획 | 작정 | jakjeong | 作定 | |
장갑 | 장갑 | janggap | 掌匣 / 掌甲 | |
전세 | 전세 | jeonse | 專貰 | |
절차; 과정; 단계 | 절차 | jeolcha | 節次 | |
정담 | 정담 | jeongdam | 情談 | |
정체성 | 정체성 | jeongcheseong | 正體性 | |
제과점 | 제과점 | jegwajeom | 製菓店 | |
주유소 | 주유소 | juyuso | 注油所 | |
주전자 | 주전자 | jujeonja | 酒煎子 | |
죄송함 | 죄송 | joesong | 罪悚 | |
지갑 | 지갑 | jigap | 紙匣 | |
차례; 목차 | 차례 | charye | 次例 | |
책방 | 책방 | chaekbang | 冊房 | |
창문 | 창문 | changmun | 窓門 | |
천장 | 천장 | cheonjang | 天障 | |
청첩장 | 청첩장 | cheongcheopjang | 請牒狀 | |
초등학교 | 초등학교 | chodeung-hakgyo | 初等學校 | |
초등학생 | 초등학생 | chodeung-haksaeng | 初等學生 | |
춘곤증 | 춘곤증 | chungonjeung | 春困症 | |
출시 | 출시 | chulsi | 出市 | |
계단 | 층계 | cheunggye | 層階 | |
친구 | 친구 | chingu | 親舊 | |
출시 | 출시 | chulsi | 出市 | 비디오 게임 관련 |
차단 | 차단 | chadang | 遮斷 | |
태엽 | 태엽 | taeyeop | 胎葉 | |
통섭 | 통섭 | tongseop | 統攝 | |
편의점 | 편의점 | pyeoneuijeom | 便宜店 | |
편지 | 편지 | pyeonji | 便紙 | |
행차; 방문 | 행차 | haengcha | 行次 | |
허풍떨다; 과장하다 | 허풍 | heopung | 虛風 | |
현금 | 현찰 | hyeonchal | 現札 | |
형편; 상황 | 형편 | hyeongpyeon | 形便 | |
정신 나가다; 미치다 | 환장 | hwanjang | 換腸 | |
환절기 | 환절기 | hwanjeolgi | 換節期 | |
현충일 | 현충일 | hyeonchungil | 顯忠日 | |
기기 | 기기 | gigi | 機器/器機 | 중국에서는 기계라는 의미로 사용됨 |
5. 2. 2. 한국제 한자를 포함한 어휘
전답(田畓), 대지(垈地), 시댁(媤宅)과 같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국자)를 포함하는 어휘도 있다.[33]‘畓’은 ‘논’, ‘垈’는 ‘터’, ‘媤’는 ‘남편 집안’을 뜻하는 한국제 한자이다.[27]
다음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단어들로,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정의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한자 |
---|---|---|---|
거짓; 헛소문; 유언비어 | 낭설 | nangseol | 浪說 |
부부의 조화; 궁합이 잘 맞음 | 궁합 | gunghap | 宮合 |
감기 | 감기 | gamgi | 感氣 |
속이는 사람; 사기꾼 | 고단수 | godansu | 高段數 |
고통; 고난; 괴로움 | 고생 | gosaeng | 苦生 |
공책; 노트 | 공책 | gongchaek | 空冊 |
굉장함 | 굉장 | goengjang | 宏壯 |
관형사 | 관형사 | gwanhyeongsa | 冠形詞 |
교도소 | 교도소 | gyodoso | 矯導所 |
상품의 종류 | 구색 | gusaek | 具色 |
농담 | 농담 | nongdam | 弄談 |
단결; 연합; 결합 | 단합 | danhap | 團合 |
회신; 응답; 대답 | 답장 | dapjang | 答狀 |
행운; 운이 좋음 | 다행 | dahaeng | 多幸 |
대구 | 대구 | daegu | 大口 |
대중교통 | 대중교통 | daejung-gyotong | 大衆交通 |
대지; 토지 | 대지 | daeji | 垈地 |
덕분 | 덕분 | deokbun | 德分 |
하청 | 도급 | dogeup | 都給 |
총각; 젊은이 | 도령 | doryeong | 道令 |
독감 | 독감 | dokgam | 毒感 |
동갑 | 동갑 | donggap | 同甲 |
동질감 | 동질감 | dongjilgam | 同質感 |
맥주 | 맥주 | maekju | 麥酒 |
명태 | 명태 | myeongtae | 明太 |
명절 | 명절 | myeongjeol | 名節 |
명함 | 명함 | myeongham | 名銜 |
목수 | 목수 | moksu | 木手 |
학살; 도살; 전멸 | 몰살 | molsal | 沒殺 |
무궁화 | 무궁화 | mugunghwa | 無窮花 |
병문안 | 문병 | munbyeong | 問病 |
문초 | 문초 | muncho | 問招 |
미안함; 죄송함 | 미안 | mian | 未安 |
민폐 | 민폐 | minpye | 民弊 |
방금 | 방금 | banggeum | 方今 |
방석 | 방석 | bangseok | 方席 |
복권 | 복권 | bokgwon | 福券 |
복덕방 | 복덕방 | bokdeokbang | 福德房 |
비수기 | 비수기 | bisugi | 非需期 |
빙상장 | 빙상장 | bingsangjang | 氷上場 |
구독 | 구독 | gudog | 購讀 |
묘지; 무덤 | 산소 | sanso | 山所 |
생선 | 생선 | saengseon | 生鮮 |
석수 | 석수 | seoksu | 石手 |
선물 | 선물 | seonmul | 膳物 |
성수기 | 성수기 | seongsugi | 盛需期 |
성함 | 성함 | seongham | 姓銜 |
수고 | 수고 | sugo | 受苦 |
성희롱 | 성희롱 | seonghuirong | 性戲弄 |
소임 | 소임 | soim | 所任 |
소중함 | 소중 | sojung | 所重 |
소풍 | 소풍 | sopung | 逍風 |
수표 | 수표 | supyo | 手票 |
시작 | 시작 | sijak | 始作 |
간곡한 부탁 | 신신당부 | sinsindangbu | 申申當付 |
아역 배우 | 아역 | ayeok | 兒役 |
압류 | 압류 | amnyu (apryu) | 押留 |
악감정 | 앙숙 | angsuk | 怏宿 |
소란; 소동; 혼란 | 야단 | yadan | 惹端 |
양말 | 양말 | yangmal | 洋襪 |
냉혹함; 무자비함 | 야박 | yabak | 野薄 |
역시; 또한 | 역시 | yeoksi | 亦是 |
연두색 | 연두 | yeondu | 軟豆 |
외계인 | 외계인 | oegyein | 外界人 |
원어민 | 원어민 | woneomin | 原語民 |
월경지 | 월경지 | wolgyeongji | 越境地 |
~을 시작으로 | 위시 | wisi | 爲始 |
의지하다; 의존하다; 믿다 | 의지 | uiji | 依支 |
이사하다; 이전하다 | 이사 | isa | 移徙 |
이앙기 | 이앙기 | ianggi | 移秧機 |
자기편 | 자기편 | jagipyeon | 自己便 |
작정; 결정; 계획 | 작정 | jakjeong | 作定 |
장갑 | 장갑 | janggap | 掌匣 / 掌甲 |
전세 | 전세 | jeonse | 專貰 |
절차; 과정; 단계 | 절차 | jeolcha | 節次 |
정담 | 정담 | jeongdam | 情談 |
정체성 | 정체성 | jeongcheseong | 正體性 |
제과점 | 제과점 | jegwajeom | 製菓店 |
주유소 | 주유소 | juyuso | 注油所 |
주전자 | 주전자 | jujeonja | 酒煎子 |
죄송함 | 죄송 | joesong | 罪悚 |
지갑 | 지갑 | jigap | 紙匣 |
차례; 목차 | 차례 | charye | 次例 |
책방 | 책방 | chaekbang | 冊房 |
창문 | 창문 | changmun | 窓門 |
천장 | 천장 | cheonjang | 天障 |
청첩장 | 청첩장 | cheongcheopjang | 請牒狀 |
초등학교 | 초등학교 | chodeung-hakgyo | 初等學校 |
초등학생 | 초등학생 | chodeung-haksaeng | 初等學生 |
춘곤증 | 춘곤증 | chungonjeung | 春困症 |
출시 | 출시 | chulsi | 出市 |
계단 | 층계 | cheunggye | 層階 |
친구 | 친구 | chingu | 親舊 |
출시 | 출시 | chulsi | 出市 |
차단 | 차단 | chadang | 遮斷 |
태엽 | 태엽 | taeyeop | 胎葉 |
통섭 | 통섭 | tongseop | 統攝 |
편의점 | 편의점 | pyeoneuijeom | 便宜店 |
편지 | 편지 | pyeonji | 便紙 |
행차; 방문 | 행차 | haengcha | 行次 |
허풍떨다; 과장하다 | 허풍 | heopung | 虛風 |
현금 | 현찰 | hyeonchal | 現札 |
형편; 상황 | 형편 | hyeongpyeon | 形便 |
정신 나가다; 미치다 | 환장 | hwanjang | 換腸 |
환절기 | 환절기 | hwanjeolgi | 換節期 |
현충일 | 현충일 | hyeonchungil | 顯忠日 |
기기 | 기기 | gigi | 機器/器機 |
5. 3. 일본 기원 한자어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에서 많은 어휘가 한자어 형태로 한국어에 들어왔다. 이들은 대부분 유럽어 번역 과정에서 만들어졌다.[5]5. 3. 1. 일본제 한자어
일본제 한자어는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어에 대거 유입되었다. 이들은 주로 근대 서구 개념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어휘들이다.[5]근대 서구 개념 등의 번역 어휘로서의 일본제 한자어는 추상 개념부터 구체적 물체 등을 가리키는 어휘까지 광범위하며 그 수도 많다. 한자어로 된 법률 용어들 중 매우 많은 부분이 일본제 한자어이다. 예를 들어 개인(個人), 영토(領土), 의무(義務) 등이 있다. 또한 연필(鉛筆), 전화(電話), 박물관(博物館) 등도 일본제 한자어이다.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일본제 한자어가 한국어에 들어온 예는 드물지만, 이러한 어휘도 일제 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 십팔번(十八番): 원래는 가부키 용어이며, 주하치반(じゅうはちばん일본어) 또는 오하코(おはこ일본어)라고 읽는다.
- 출장(出張): 원래 '일 때문에 나가다'라는 뜻의 고유 동사인 出張る일본어가 한자어처럼 변한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 뜻이 다른 어휘도 있다. 예를 들어 ‘팔방 미인(八方美人)’은 한국어와 달리 일본어에서는 누구에게나 좋게 보이려고 하는 사람을 비꼬아서 이를 때 쓰는 부정적인 말이다.
다음은 일본에서 만들어져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지만, 중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한자어의 예시이다.
단어 | 한글 (RR) | 한자 | 한자 뜻[4] | 참고 |
---|---|---|---|---|
비행기 | 비행기 (bihaenggi) | 飛行機 | "날다 + 가다 + 기계" | [13] |
영화 | 영화 (yeonghwa) | 映畵 | "비추다 + 그림" | [14] |
기호품 | 기호품 (gihopum) | 嗜好品 | "기호 + 품목" | [15] |
배우 | 배우 (baeu) | 俳優 | "보이다 + 사람" | [16] |
방송 | 방송 (bangsong) | 放送 | "내보내다 + 보내다" | [17] |
여권 | 여권 (yeogwon) | 旅券 | "여행 + 증명서" | [18] |
역 | 역 (yeok) | 驛 | "역" | [19] |
사진 | 사진 (sajin) | 寫眞 | "쓰다 + 진짜" | [20] |
이러한 일본제 한자어의 일부는 중국으로 역수입되어 중국어와도 공통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어에서 별도로 어휘를 만든 경우에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공통으로 사용되지만 중국어와는 공통되지 않는다.
일본어·한국어 | 중국어 |
---|---|
비행기(飛行機) | 飛機 fēijī |
기차(汽車) | 火車 huǒchē |
야구(野球) | 棒球 bàngqiú |
회사(会社) | 公司 gōngsī |
사진(写真) | 照片 zhàopiàn |
일본에서 동음 한자 표기 변경 규정에 따라, 일부 일본제 한자어의 표기가 변경되었지만, 한국어에서는 구 표기의 한자 읽기가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 | 일본어 |
---|---|
홍보(弘報) | 広報 |
자극(刺戟) | 刺激 |
수첩(手帖) | 手帳 |
첨단(尖端) | 先端 |
위자료(慰藉料) | 慰謝料 |
파훼(破毀) | 破棄 |
세척(洗滌) | 洗浄 |
5. 3. 2. 일본어의 훈독 어휘
일본어에서 훈독되는 어휘는 일본 고유어를 한자로 표기한 단어들이다. 이러한 어휘가 한국어에 들어왔을 때, 한국어에는 고유어를 한자 표기하는 ‘훈독’이 없었기 때문에 표기된 한자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발음했다. 이처럼 한자로 표기된 많은 일본 고유어들이 한자어로서 한국어에 정착되었다.[5]한자어 | 일본어 | 순화어 |
---|---|---|
건물(建物) | 建物|다테모노일본어 | 없음 |
매상(賣上) | 売上|우리아게일본어 | 판매액(販賣額) |
선착장(船着場) | 船着場|후나쓰키바일본어 | 나루, 나루터 |
부도(不渡) | 不渡|후와타리일본어 | 없음 |
대합실(待合室) | 待合室|마치아이시쓰일본어 | 기다리는 곳, 맞이방 |
수속(手續) | 手続|데쓰즈키일본어 | 절차(節次) |
신병(身柄) | 身柄|미가라일본어 | 없음 |
추월(追越) | 追越|오이코시일본어 | 앞지르기 |
일본어에서 원래 동사였던 단어는 한자어로 도입하면서 ‘-하다’를 붙여 동사화했다.
한자어 | 일본어 |
---|---|
대출(貸出)하다 | 貸出|가시다스일본어 |
상회(上廻)하다 | 上廻|우와마와루일본어 |
조립(組立)하다 | 組立|구미타테루일본어 |
취급(取扱)하다 | 取扱|도리아쓰카우일본어 |
할인(割引)하다 | 割引|와리비쿠일본어 |
5. 3. 3. 일본식 한자어의 영향으로 의미가 변화한 것
종래 한자어 중 일본식 한자어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뜻 대신 일본식 한자어 의미가 주된 의미로 변화한 어휘들이 존재한다. 종래의 의미는 의고(擬古)적인 용법으로 제한되었다.- 생산(生産): 본래 아이를 낳다라는 뜻이었으나, 물건이나 제품을 만들어 내다라는 의미로 바뀌었다.
- 방송(放送): 죄인을 놓아주다라는 뜻이었으나, broadcasting|브로드캐스팅영어의 의미로 쓰인다.
- 자연(自然): 스스로 그러하다라는 뜻이나, nature|네이처영어의 번역어로 쓰인다.
- 발명(發明): 죄인이 스스로의 사정을 밝히다 변명하다라는 뜻이었으나, 없던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내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 입구(入口), 출구(出口): 원래는 말을 입에서 내다, 넣다라는 뜻이었으나, 들어오는 곳, 나가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중국어에서는 현재 두 의미로 모두 쓰인다.
6. 한자어에서 비롯된 고유어
고유어로 인식되는 낱말 가운데는 본래 어형에서 벗어나 어원의식을 잃고 한자어가 고유어화된 것들이 있다. 뜻도 상당히 변한 경우가 많다.
- 가난 < 간난(艱難)
- 감자 < 감저(甘藷)
- 고추 < 고초(苦椒)
- 과녁 < 관혁(貫革)
- 금세 < 금시(今時)에
- 김치 < 침채(沈菜)
- 나중 < 내종(乃終)
- 나인 < 내인(內人)
- 대충 < 대총(大總)
- 동냥 < 동령(動鈴)
- 마고자 < 마괘자(馬褂子)
- 무늬 < 문(紋)의
- 보배 < 보패(寶貝)
- 불가사리 < 불가살(不可殺)+이
- 사냥 < 산행(山行)
- 상어 < 사어(鯊魚)
- 선반 < 현반(懸盤)
- 성냥 < 석류황(石硫黃)
- 술래 < 순라(巡邏)
- 시시하다 < 세세(細細)하다
- 썰매 < 설마(雪馬)
- 양치 < 양지(楊支)
- 요 < 욕(褥)
- 재주 < 재조(才操)
- 재촉 < 최촉(催促)
- 짐승 < 중생(衆生)
- 지렁이 < 지룡(地龍)+이
- 차 < 다(茶)
- 천둥 < 천동(天動)
- 철쭉 < 척촉(躑躅)
- 초 < 촉(燭)
7. 고유어의 취음
고유어 가운데 발음이 한자어와 비슷해 한자어로 착각하는 것들이 있으며, 습관적으로 한자 표기가 달려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붙은 한자 표기를 취음이라고 한다. 단순히 의미와 관계없이 음만 따서 지은 경우는 알기 쉬우나, 낱말에 임의적 풀이를 한자에 붙인 단어는 식별이 어려울 수도 있다. 보통 국어사전은 취음임을 표시하지 않으나, 일부 국어사전에는 취음으로 착각되기 쉬운 단어에 취음이란 표시를 하고 한자를 같이 달아 놓기도 한다.
고유어 | 한자 표기(취음) |
---|---|
구경 | 求景 |
무당 | 巫堂 |
방석 | 方席 |
생각 | 生覺 |
서랍 | 舌盒(설합) |
양치 | 養齒 |
어음 | 於音 |
장가 | 丈家 |
장난 | 作亂(작란) |
(새)참 | 站 |
타령 | 打令 |
겨냥 | 見樣 |
8. 음운 대응
중세 중국어와 한국 한자음 사이에는 규칙적인 음운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중고 한어 | 한국어 | ||||||||||||||
---|---|---|---|---|---|---|---|---|---|---|---|---|---|---|---|
순음 | {{lang|zh-Hant|幫|방|} | } p
중세 중국어 | 한자음 |
---|---|
-m | m |
-n | n |
-ng | ŋ |
-p | p |
-t | l |
-k | k |
참조
[1]
뉴스
http://www.hani.co.k[...]
2009-09-11
[1]
서적
Hangul Hakhoe
[2]
논문
Examination how many using compound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by using analysis of Modern Korean words 1, 2
http://www.kci.go.kr[...]
2010-06
[3]
서적
Handbook of Korean Vocabulary: An Approach to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서적
Korean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서적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Using Korean: A Guide to Contemporary Us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Modern Korean Grammar: A Practical Guid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
서적
Handbook of Korean Vocabulary: An Approach to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父母
http://hanja.naver.c[...]
2018-02-19
[10]
웹사이트
學生
http://hanja.naver.c[...]
2018-02-19
[11]
웹사이트
太陽
http://hanja.naver.c[...]
2018-02-19
[12]
웹사이트
質問
http://hanja.naver.c[...]
2018-02-19
[13]
웹사이트
飛行機
http://hanja.naver.c[...]
2018-02-19
[14]
웹사이트
映畫
http://hanja.naver.c[...]
2018-02-19
[15]
웹사이트
嗜好品
https://hanja.dict.n[...]
2024-07-27
[16]
웹사이트
俳優
https://hanja.dict.n[...]
2024-07-25
[17]
웹사이트
放送
https://hanja.dict.n[...]
2024-07-27
[18]
웹사이트
旅券
https://hanja.dict.n[...]
2024-08-30
[19]
웹사이트
驛
https://hanja.dict.n[...]
2024-11-27
[20]
웹사이트
寫眞
https://hanja.dict.n[...]
2024-11-27
[21]
문서
ローマ字は[[福井玲]]式の[[翻字]]。[[中期朝鮮語]]および[[朝鮮語のローマ字表記法]]を参照。
[22]
문서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24:288)による。
[23]
웹사이트
동음어(同音語)
http://encykorea.aks[...]
2022-12-16
[24]
웹사이트
똑똑 우리말 ㄹ탈락/오명숙 어문부장
https://www.seoul.co[...]
2021-11-10
[25]
웹사이트
사이시옷
http://encykorea.aks[...]
2022-08-24
[26]
문서
[[李氏朝鮮]]時代の文人である洪万宗(1643~1725)の著した文学評論集・ことわざ集である『旬五志』に現れる。
[27]
문서
「{{lang|ko|媤}}」は『[[集韻]] 』・『[[康熙字典]]』にも現れるが意味が異なるので(「{{lang|ko|媤}}は女の字、或は司に从ふ」)、朝鮮半島で別途に作られた字と見られる。
[28]
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4:288)에 의거함.
[29]
문서
박 붕배, 〈국어 사전을 다시 다듬자
[30]
문서
김슬옹, 〈이희승 국어사전 문제 많다〉, 월간 말, 1994년 10월호. 이 글에 의하면 많은 한자어들이 한국어에 없는 일본식 조어가 많다고 한다.
[31]
문서
한국어에 비유해서 말하자면 "아침에 밥을 안 먹고 집을 떠났다."를 ‘朝에 飯을 안 食고 家을 發았다.’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32]
문서
[[조선]] 시대의 문인 [[홍만종]](1643~1725)이 지은 문학 평론, 속담집 《순오지(旬五志)》에 나온다.
[33]
문서
‘媤’는 《집운(集韻)》, 《[[강희자전]](康熙字典)》에도 나타나는 한자이긴 하지만 뜻이 다르기 때문에(媤女字或从司〔‘媤’는 여자의 자(字)이며 思 대신 司를 쓰기도 한다.〕 한국에서 따로 만든 글자로 추정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