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옷은 시대와 신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삼국 시대에는 중국 복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당나라 복식이 유입되어 관복에 영향을 미쳤다. 조선 시대에는 관복, 혼례복, 상복, 제례복 등 다양한 의복이 존재했으며, 특히 관복은 계급과 직위에 따라 색상과 문양이 달랐다. 개화기 이후에는 서구 문물의 영향과 함께 한복에도 변화가 나타났으며, 현대에는 전통 소재를 유지하면서 디자인을 현대화한 개량한복이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의상 - 치마저고리
    치마저고리는 한국의 전통 여성 의복으로, 저고리와 치마로 구성되며, 조선시대에는 저고리 길이와 색깔이 신분을 나타냈고, 근대에는 개량 논쟁과 흰색 저고리, 검은색 통치마 유행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화했으며, 일부 재일 한국인 학교에서는 교복으로 채택되었으나 혐오 범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민속의상 - 파파하
    파파하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성들의 정체성 상징으로 여겨지는 카라쿨 양가죽으로 만든 원통형 모피 모자이며, 러시아 군복으로 채택된 후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착용된다.
  • 한국의 의상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한국의 의상 -
    갓은 조선시대 양반 남성이 쓰던 흑립을 포함하여 신분과 상황에 따라 형태와 색상이 다양했던 한국 전통 모자이며, 신라와 고구려 시대에 기원을 두고 20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의례 및 행사에서 주로 착용된다.
한국의 옷
한국 복식
인사동 마네킹에 입혀진 한국 전통 의상
인사동 마네킹에 입혀진 한국 전통 의상
개요
정의한국의 전통적인 의복
종류한복
관복
군복
흉배
가례복
상복
역사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 각국의 독자적인 복식 문화 발전
고려시대몽골의 영향으로 복식 변화
조선시대유교적 가치관에 따른 복식 규범 확립, 계급과 성별에 따른 복식 차별화
개화기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복식의 서구화 시작, 양복한복의 혼용
현대한복의 생활화 및 현대적 디자인 개발, 전통 복식의 보존 및 계승 노력
특징
색상오방색을 기본으로 다양한 색상 사용, 음양오행 사상 반영
소재삼베, 모시, 명주, 무명 등 다양한 천연 소재 사용
형태직선과 곡선의 조화, 평면 재단 방식, 여유로운 실루엣
장식자수, 금박, 보석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 신분과 지위를 나타냄
복식의 종류
평상복남자: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갓, 탕건, 패랭이 등
여자: 치마, 저고리, 속바지, 속치마, 버선, 꽃신 등
관복조복
제복
상복
융복
군복
예복남자: 단령, 사모, 각대
여자: 활옷, 원삼, 족두리, 화관
머리모양남자: 상투, 망건
여자: 댕기, 비녀, 가체
참고 문헌

2. 외래 문물의 영향

외래 문물의 영향은 주로 상류층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전통 한복과는 구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한복 디자인에 변화가 생겨났으며, 이러한 시도는 20세기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2] 각 시대별 구체적인 외래 문물의 영향과 그에 따른 한복의 변화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삼국 시대

고구려의 복식은 중국의 것과 유사했다는 기록이 중국의 한서위서 등에 남아있다.[3] 그러나 이는 소수의 벽화 그림으로만 확인될 뿐 명확하지 않으며, 중국 사서의 경우 주변 민족의 복식이 중국과 유사하다고 기록하는 경향이 있어 그 신빙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백제신라의 복식 역시 고구려와 유사성이 짙었다고 기록되어 있다.[4][5] 이는 삼국이 중국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복식에서도 서로 비슷한 모습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특히 백제는 복식과 관직 명칭 전반에 걸쳐 중국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고구려신라와는 다른 특징이었다.[6]

신라문무왕 4년에 중국의 복식을 도입했으며, 이는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왕실의 대례복이나 관모 등에 대한 고유한 형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7] 옷을 여미는 방식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삼국시대까지는 왼쪽 여밈과 오른쪽 여밈이 함께 사용되었으나,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당나라의 영향으로 오른쪽으로 여미는 방식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당나라식 복식이 전래되면서도 한복 고유의 특성이 함께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러한 당나라식 복식은 주로 왕과 귀족 사회에서 받아들여졌으며, 일반 백성들의 생활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8][9]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에는 다양한 외부 문물과 제도가 사회 전반으로 더욱 확산되면서, 당나라에서 유행하던 옷차림이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성들은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새로운 양식의 복식을 입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도입된 대표적인 복식 중 하나가 깃이 둥근 형태의 단령(團領)이다. 단령은 본래 1세기경 서아시아 유목민족에서 유래하여 당나라로 전해졌는데, 신라에는 진덕여왕 2년(648년) 김춘추를 통해 들어왔다. 단령은 이후 고려조선 시대에는 관복으로 정착되었고,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다.[10][11]

2. 2. 고려 시대

신라 문무왕 4년 중국의 복식을 들여온 것을 바탕으로, 고려 시대에는 왕실의 대례복과 관모 등에 대한 고유한 관념이 정립되었다.[7] 특히 신라 진덕여왕 2년(648년)에 도입된 단령(깃이 둥근 형태의 옷)은 고려 시대에 이르러 관복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으며,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다.[10][11]

2. 3. 조선 시대

신라 시대에 도입된 단령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이르러 관복으로 정착하였으며,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다.[10][11] 조선 시대의 복식 변화는 주로 상류층을 중심으로 외래 문물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통적인 한복과는 구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서구 문물의 영향이 한복 디자인에 일부 반영되기도 하였다.[2] 19세기 후반, 즉 조선 말기에는 일본 상인들을 통해 면직물이 수입되었고, 1895년 단발령 시행 이후 양복이 도입되면서 여성 한복의 치마 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2]

2. 4. 개화기 이후

몸에 달라붙게 하고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 현대 한국무용복


19세기 후반에 들어 일본 상인들을 통해 면직물이 수입되고 단발령 이후 양복 문화가 시작되면서 한복에도 변화가 생겨 치마 길이가 짧아졌다. 짧은 통치마와 더불어 개화기의 한복은 저고리가 조금 더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2]

1950년대 한국 전쟁 이후에는 한복과 양장이 어느 정도 융화를 이루기도 했으나, 1960년대에는 두루마기의 깃을 올려 외투처럼 만들고 소매를 짧게 디자인했으며, 고름 대신 단추를 다는 등 변화가 시도되었다.[2] 이후 1970년대 후반에는 재봉틀이 대량 생산되면서 개량한복을 대중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지만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12]

한복도 다른 옷처럼 유행을 타지만, 그 변화가 급격하거나 전통적인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대 패션계에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13] 각국의 민족 의상 특성을 반영하는 Ethnic Look|에스닉 룩eng이 등장하면서[14] 한복 역시 고유의 곡선을 살리면서도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15] 2000년대 후반부터는 면, 마, 모시 등 전통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디자인을 현대화하여 저고리는 볼레로 형태로, 마고자는 재킷 형태로 변형되기도 했다. 또한, 꽃봉오리처럼 퍼지는 한복 치마의 폭을 줄여[16] 활동하기 편하게 만들고 있다. 겨울 한복에는 스웨이드나 가죽 같은 새로운 소재가 사용되기도 하며, 주름이 지는 마직 소재나 폴라플리스를 혼용한 생활한복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17]

3. 쓰임에 따른 구분

한복은 입는 상황과 신분에 따라 형태, 문양, 색상 등이 달라진다. 특히 관혼상제와 같은 중요한 의례에서는 관복, 혼례복, 상복, 제례복 등 용도에 맞는 옷을 갖춰 입었다. 그러나 특정 의복이 반드시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인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관복의 일종[18]이었던 앵삼은 궁중무용 의상으로도 사용되었다.[19]

3. 1. 관복

관복은 궁정에서 신하들이 입던 직업복의 일종으로, 계급과 직위에 따라 색과 문양 등이 달랐다.[20] 조선 시대에는 관복 가슴 부분에 흉배를 달아 구분했는데, 무관은 호랑이, 문관은 학 문양을 사용했고, 당상관은 두 마리, 당하관은 한 마리만 그려 넣었다.[21]

관복은 신라 시대 이후부터 입기 시작하여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김춘추가 당나라에 방문했을 때 당 태종에게 당나라식 관복을 받아들일 것을 청했고,[22] 이후 신라 왕실에서 이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에는 원나라의 영향을 받았고,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 제도를 따르면서도 고유한 특성을 발전시켰다. 조선 태종 16년(1416년)에는 관복의 색과 형태를 정비했고, 세종 12년(1430년)에는 조복, 공복, 상복 제도를 정했으며, 단종 2년(1454년)에는 흉배 제도를 공표했다.[23] 조선 성종 때 편찬된 《국조오례의》와 영조 때의 《국조속오례의보》에는 관복의 종류, 색깔, 모양, 제작 방법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24]

관복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특히 조선 말 개화기에는 서양 문물의 영향으로 형태가 간소화되고 양복화가 진행되었다. 고종 21년(1884년) 갑신의제개혁 때는 관복과 사복 모두 두루마기를 입도록 했다.[25]

관복은 용도에 따라 조복(朝服, 국가 의례나 경축일 착용), 제복(祭服, 제사 시 착용), 공복(公服, 평상시 업무 볼 때 착용), 상복(常服, 공복과 유사), 융복(戎服) 또는 군복(軍服, 군사 활동 시 착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26] 곤룡포는 왕의 집무복이었고, 구군복은 무관들이 입던 군복의 일종이었다. 일반적으로 '관복'이라고 할 때는 좁은 의미로 평상시 업무를 볼 때 입던 공복이나 상복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이 옷들은 목 부분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어 단령(團領)이라고도 불린다.[27]

3. 1. 1. 곤룡포

곤룡포(袞龍袍)는 조선 시대의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옷이다. 일반 관복과 디자인이 비슷하지만 가슴에는 금색 실로 을 수놓았으며 사모와 같이 입었다. 곤룡포는 실제로 예를 갖추거나 의식용으로 사용되는 임금의 옷이었기에 세자 신분일 경우에는 색감과 재질에 차이를 두었다.[28] 세종실록에는 관련된 두 가지 기록이 전한다.

  • 명나라에서 세종의 왕위 승계를 인정하는 고명을 보내오자 태종이 맞이하였으며, 당시 세자 신분이던 세종은 붉은 옷에 옥띠를 둘렀다.
  • 정묘일 동짓날에 임금이 면류관과 곤룡포 차림으로 신하들을 이끌고 황제가 있는 곳을 향해 예를 갖췄다.[29]


곤룡포는 왕이 편전에서 신하들을 소집해 국정을 논의할 때 입었던 복장으로서, 국정을 처리하던 낮 시간에 입었기에 다른 의복 중에서도 입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30]

대한제국이 선포되기 이전에는 곤룡포의 천이 붉은 비단이었으나, 고종은 황제로서 금색 곤룡포를 착용했다.

3. 1. 2. 구군복

구군복


구군복(具軍服)은 군복의 다른 이름으로[31], 조선시대에 임금이나 무관에 해당하는 관직을 가진 벼슬아치, 또는 지방 수령이 입던 한복의 일종이다. 오늘날의 장교 정복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구군복은 등급에 따라 색상과 형태에 차이가 있었는데, 노란색 두루마기에 소매만 붉은색으로 하고 검은색 조끼를 걸친 것, 또는 파란색 두루마기에 소매만 붉은색으로 하고 검은색 조끼를 걸친 종류 등이 있었다. 보통 다른 군복 안에 덧대어 입었기 때문에 "군복의 속옷"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구군복은 조선시대 전기부터 후기까지 가장 대표적인 무신의 복식이었다.[32]

구한말에는 서양식 군복이 도입되면서 변화가 나타났다. 영국의 작가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 쓴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에는 당시 유럽식 군복을 입은 기병과 전통적인 구군복을 입은 군인들이 함께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3][34]

특히 임금이 입는 구군복은 다른 구군복에 비해 훨씬 화려하게 제작되었다. 조선 철종의 어진(초상화)에는 임금용 구군복을 입은 철종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3. 2. 혼례복

활옷


말 그대로 결혼식을 할 때 입는 한복을 뜻한다. 전통 혼례 시 신부는 다홍치마, 연두색 회장저고리에 원삼이나 활옷을 입고 큰머리를 얹고 용잠을 꽂으며 도투락 댕기를 늘이고 화관이나 족두리를 쓴다. 손을 감추기 위해 길게 덧댄 소매인 한삼을 착용하기도 했다. 신랑은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옥색 두루마기, 각대, 사모를 쓰고 포선을 손에 든다.[36]

신랑의 혼례복인 사모관대신라 시대 때 당나라에서 들여온 중국식 관복으로 한복은 아니다. 이와 달리 신부복은 전통 한복으로, 각 절차에 따라 옷의 형태가 달라지기도 했다. 신부의 혼례복에는 특별히 자수나 문양이 많이 포함되었는데, 궁중 혼례복과 양반 가문의 결혼식 때 신부의 활옷에는 다채로운 꽃무늬가 표현되는 한편 소매 끝자락에는 금박 자수가 놓였다. 대부분의 경우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이 그려져 있었다.[37]

3. 3. 상복

상복(喪服)은 가족의 상을 당한 사람이 입는 옷을 가리킨다. 서구 사회에서는 사람이 죽었을 때 검은색 의복을 입는 것이 보통이지만, 조선 때까지 한반도의 상복은 흰색과 거의 같은 의미를 지녔다. '소관'이라고도 부르는 상복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죽어서 염을 하지 않았거나 아직 장례 절차 준비가 안 되었을 경우에는 흰 천이나 비단을 덮어 주었다.[38] 상복을 유교식으로 채택한 시기는 고려 성종 4년이었으며, 이때 중국식 오복제도가 적용되어 부계식 상제가 세워졌다. 그러나 고려 시대에 이러한 제도는 상류층부터 실현하도록 권고되었을 뿐 강제되지 않아, 이후 조선 시대의 가부장제와는 차이가 있었다.[39]

3. 4. 제례복

제례복은 제례 시 입는 의복을 별도로 지칭하는 말이다. 대표적인 예가 종묘 제례인데 이 때에 입는 제례복은 별도의 디자인이 존재한다.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색 또한 빨간색과 남색 등이 공존하여 안정감을 주는 형태를 띤다.[40] 제례복은 상복과 혼동하기 쉬우나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옷으로서 그 종류가 몇 가지 존재한다. 보통 이 옷들을 "상복 최"(衰) 자를 사용하며 아버지의 제사를 위해 입는 옷을 참최(斬衰), 어머니를 위한 옷을 자최라고 부른다.[41]

3. 5. 서민복

서민들이 입던 옷으로, 귀족 계층과는 달리 그 복식의 틀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개화기에 이르기 전까지 서민복은 별다른 변화 없이 저고리바지·치마가 기본을 이룬 고유 복식의 명맥을 이어왔다.[42] 흔히 아이들의 한복으로 떠올리는 빨강 치마와 노란색 저고리 등도 혼인 전에 입었던 서민복에 해당한다.[43]

참조

[1] 웹인용 한국복식 https://terms.naver.[...] 2021-05-27
[2] 뉴스 線과 色의 우리옷, 한국의 美를 입다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06-01-23
[3] 서적 초상화란 무엇인가 학문사
[4] 서적 태권도 탐구논리 대한미디어
[5] 서적 이야기 한국고대사 청아출판사
[6] 서적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7] 서적 역사스페셜2 KBS역사스페셜
[8] 서적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9] 서적 신라의 역사 김영사
[10] 논문 단령의 구성에 관한 연구 https://www.knowledg[...] 국가지식포털 2011-08-08
[11] 학술대회 단령의 구성에 관한 연구 http://img.kisti.re.[...] 한국복식학회
[12] 뉴스 유행의 빛과 그림자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13] 뉴스 오리엔탈리즘 http://news.naver.co[...] 주간한국 2004-06-02
[14] 뉴스 장명자 한복연구가 - “전통 그대로의 모습” 으로 http://news.naver.co[...] 뉴시스 2006-10-13
[15] 뉴스 오리엔탈 섹시, 한복은 ‘여밈의 미학’ http://bntnews.hanky[...] BNT 뉴스 2009-08-01
[16] 뉴스 벤츠 탄 사모님도 개량 한복 찾는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6-25
[17] 뉴스 "활동 편한 생활한복 어때요" http://economy.hanko[...] 한국일보 2007-02-15
[18] 뉴스 학위복도 패션시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02-21
[19] 뉴스 정통 궁중무용 연극으로 재구성 ‘실험’ http://news.naver.co[...] 문화일보 2004-02-17
[20] 서적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21] 서적 조선의 문화공간 휴머니스트
[22] 서적 신라인 이야기 살림
[23] 서적 한국사 테마전 돋을새김
[24] 서적 조선시대생활사 역사비평사
[25] 서적 해월 최시형과 동학사상 예문서원
[26] 문서 조복은 임금에게 예를 갖추는 등 큰 의례가 있을 시 입은 옷으로 특별히 화려한 관복이여서 소재, 질감, 흉배, 장식 등이 특별했다. 상복(常服)은 가장 보편적인 관복으로 보통 매일 입는 옷으로 썼다.
[27] 뉴스 Veteran Korean Designer Enchants Smithsonian Museum http://english.chosu[...] 조선일보 영어판 2007-05-18
[28] 간행물 다시 살아나는 바람의 옷, 한복 http://koreana.kf.or[...] 한국교류재단 2011-08-25
[29] 서적 한권으로 읽는 세종대왕실록 웅진지식하우스
[30] 서적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궁중문화 돌베개
[31] 서적 우리옷만들기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32] 서적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33] 서적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34] 문서 구한말의 군복은 1895년 4월 9일 칙령에 따라 서구식으로 완전 개혁되었으며 저자의 묘사는 일련의 개혁이 있기 이전의 과도기를 보여준다.
[35] 서적 한겨레 말모이 하늘연못
[36] 백과사전 옷의 종류 http://donation.enc.[...]
[37] 서적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 2004
[38] 서적 선택받은 색 경향미디어 2002
[39] 뉴스 한 식구 8촌서 남 같은 4촌으로 http://news.naver.co[...] 주간동아 2008-09-24
[40] 서적 GOOD DESIGN 길벗 2004
[41] 뉴스 見齊衰者하시고 雖狎이나 必變하시며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9-05-21
[42] 서적 역사 속의 우리옷 변천사 전남대학교출판부
[43] 뉴스 " 조선시대 의상입은 마네킹 등장"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