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남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경남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함경남도를 다룬다. 1925년 141만 명이었던 인구는 1944년 201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조선인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3부 14군으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었으며, 함흥, 원산, 흥남에 부가 있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중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도로, 항만이 건설되었다. 함흥, 원산, 안변에 신사가 건립되었고, 함흥의학전문학교 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조선방송협회 함흥방송국과 원산방송국이 라디오 방송을 송출했으며, 조선시사신보, 원산매일신문 등 일본어 신문이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역사 - 장진호 전투
장진호 전투는 1950년 한국 전쟁 중 중공군 개입 이후 유엔군과 중공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혹독한 기상 조건 속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유엔군의 흥남 철수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함경남도의 역사 - 동예
동예는 오늘날 원산에서 강릉에 이르는 동해안 중부 지역에 위치했던 부여족 계통의 군장국가로, 옥저와 함께 한사군에 속했으며, 매년 음력 10월에 무천이라는 축제를 열었고,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 강원도의 역사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강원도의 역사 - 강원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강원도는 일제의 식민 통치하에 자원 수탈과 강제 노역, 징병에 시달렸으며, 전시 동원 체제 강화와 민족 문화 말살 정책으로 고통받고 해방 후 분단으로 아픔을 겪었다.
함경남도 (일제강점기) | |
---|---|
개요 | |
![]() | |
일본어 명칭 | 咸鏡南道 (かんきょうなんどう, 간쿄난도) |
한국어 명칭 | 함경남도 |
로마자 표기 | Hamgyeongnam-do |
관할 국가 | 일본 제국 (1910년~1945년) |
행정 구역 정보 | |
도청 소재지 | 함흥부 |
하위 행정 구역 | 함흥부 영흥군 고원군 정평군 함주군 홍원군 북청군 이원군 문천군 안변군 덕원군 원산부 |
면적 | 알려지지 않음 |
인구 | 알려지지 않음 |
역사 | |
설치 | 1910년 |
폐지 | 1945년 |
비고 | 1945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할 하에 들어감. |
2. 역사
함경남도는 조선의 동북부에 위치하며, 함경도 지방의 서남쪽에 해당한다. 동북쪽으로는 함경북도, 남쪽으로는 강원도, 서남쪽으로는 황해도, 서쪽으로는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에 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압록강 상류부를 경계로 만주와 인접해 있으며, 최북단에는 백두산을 품고 있다. 도의 북부에는 개마고원이 펼쳐져 있다.
2. 1. 일제강점기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었으며, 함경남도청이 함흥에 설치되었다. 일제는 함경남도의 지하자원과 수력 자원을 개발하고, 흥남, 원산 등을 중심으로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였다. 1930년대 이후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한 전력 자원 개발과 연해 지역의 공업화가 진행되었다. 민족 차별과 수탈 속에서도 3.1 운동 등 항일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3. 인구
1944년 (쇼와 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는 2,015,352명이었다. 민족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
조선인 | 1,939,093명 |
일본인 | 69,110명 |
기타 | 7,149명 |
1936년 현주 호구 조사에 따르면 총인구는 1,602,178명이었다. 민족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
조선인 | 1,544,883명 |
일본인 | 51,052명 |
기타 | 6,243명 |
4. 행정 구역
1945년 광복 당시 함경남도는 3부 14군으로 구성되었다.
부 (府) |
---|
군 (郡) | 1940년 당시 면 | 비고 |
---|---|---|
함주군 | 주북면(州北面), 기곡면(岐谷面), 하기천면(下岐川面), 상기천면(上岐川面), 하조양면(下朝陽面), 상조양면(上朝陽面), 천서면(川西面), 천원면(川原面), 주서면(州西面), 주지면(朱地面), 연포면(連浦面), 삼평면(三平面), 운남면(雲南面), 서호면(西湖面), 서퇴조면(西退潮面), 동천면(東川面), 덕산면(德山面) | |
정평군 | 정평면(定平面), 광덕면(廣德面), 장원면(長原面), 춘류면(春柳面), 문산면(文山面), 귀림면(歸林面), 선덕면(宣德面), 주이면(朱伊面), 고산면(高山面) | |
영흥군 | 영흥읍(永興邑), 복흥면(福興面), 순녕면(順寧面), 억기면(憶岐面), 진평면(鎭坪面), 호도면(虎島面), 고령면(古寧面), 인흥면(仁興面), 덕흥면(德興面), 장흥면(長興面), 선흥면(宣興面), 요덕면(耀德面), 횡천면(橫川面) | |
고원군 | 고원읍(高原邑), 상산면(上山面), 군내면(郡內面), 수동면(水洞面), 산곡면(山谷面), 운곡면(雲谷面) | |
문천군 | 천내읍(川內邑), 문천면(文川面), 명구면(明龜面), 운림면(雲林面), 덕원면(德源面), 북성면(北城面), 적전면(赤田面), 현면(縣面), 풍상면(豊上面), 풍하면(豊下面) | |
안변군 | 안변면(安邊面), 안도면(安道面), 배화면(培花面), 서곡면(瑞谷面), 문산면(文山面), 신고산면(新高山面), 신모면(新茅面), 석왕사면(釋王寺面) | |
홍원군 | 홍원읍(洪原邑), 경운면(景雲面), 용원면(龍源面), 용포면(龍浦面), 보현면(普賢面), 운학면(雲鶴面), 보청면(甫靑面) | |
북청군 | 북청읍(北靑邑), 신포읍(新浦邑), 신창읍(新昌邑), 신북청면(新北靑面), 거산면(居山面), 속후면(俗厚面), 양화면(陽化面), 후창면(厚昌面), 가회면(佳會面), 상거서면(上車書面), 하거서면(下車書面), 덕성면(德城面), 성대면(星岱面), 이곡면(泥谷面) | |
이원군 | 차호읍(遮湖邑), 이원면(利原面), 동면(東面), 남송면(南松面) | |
단천군 | 단천읍(端川邑), 복귀면(福貴面), 하다면(何多面), 신만면(新滿面), 수하면(水下面), 이중면(利中面), 광천면(廣泉面), 남두일면(南斗日面), 북두일면(北斗日面) | |
신흥군 | 신흥면(新興面), 가평면(加平面), 원평면(元平面), 서고천면(西古川面), 영고면(永高面), 상원천면(上元川面), 하원천면(下元川面), 동상면(東上面) | |
장진군 | 장진면(長津面), 동문면(東門面), 상남면(上南面), 중남면(中南面), 서한면(西閑面), 북면(北面), 동하면(東下面) | |
풍산군 | 풍산면(豊山面), 웅이면(熊耳面), 안수면(安水面), 안산면(安山面), 천남면(天南面) | |
삼수군 | 삼수면(三水面), 금수면(襟水面), 호인면(好仁面), 신파면(新坡面), 자서면(自西面), 삼서면(三西面), 관흥면(館興面) | |
갑산군 | 갑산면(甲山面), 산남면(山南面), 진동면(鎭東面), 회린면(會麟面), 동인면(同仁面) | |
혜산군 | 혜산읍(惠山邑), 별동면(別東面), 운흥면(雲興面), 보천면(普天面), 대진면(大鎭面), 봉두면(鳳頭面) |
4. 1. 부 (府)
4. 2. 군 (郡)
군명 | 1940년 당시 면 | 비고 |
---|---|---|
함주군 | 주북면(州北面), 기곡면(岐谷面), 하기천면(下岐川面), 상기천면(上岐川面), 하조양면(下朝陽面), 상조양면(上朝陽面), 천서면(川西面), 천원면(川原面), 주서면(州西面), 주지면(朱地面), 연포면(連浦面), 삼평면(三平面), 운남면(雲南面), 서호면(西湖面), 서퇴조면(西退潮面), 동천면(東川面), 덕산면(德山面) | |
정평군 | 정평면(定平面), 광덕면(廣德面), 장원면(長原面), 춘류면(春柳面), 문산면(文山面), 귀림면(歸林面), 선덕면(宣德面), 주이면(朱伊面), 고산면(高山面) | |
영흥군 | 영흥읍(永興邑), 복흥면(福興面), 순녕면(順寧面), 억기면(憶岐面), 진평면(鎭坪面), 호도면(虎島面), 고령면(古寧面), 인흥면(仁興面), 덕흥면(德興面), 장흥면(長興面), 선흥면(宣興面), 요덕면(耀德面), 횡천면(橫川面) | |
고원군 | 고원읍(高原邑), 상산면(上山面), 군내면(郡內面), 수동면(水洞面), 산곡면(山谷面), 운곡면(雲谷面) | |
문천군 | 천내읍(川內邑), 문천면(文川面), 명구면(明龜面), 운림면(雲林面), 덕원면(德源面), 북성면(北城面), 적전면(赤田面), 현면(縣面), 풍상면(豊上面), 풍하면(豊下面) | |
안변군 | 안변면(安邊面), 안도면(安道面), 배화면(培花面), 서곡면(瑞谷面), 문산면(文山面), 신고산면(新高山面), 신모면(新茅面), 석왕사면(釋王寺面) | |
홍원군 | 홍원읍(洪原邑), 경운면(景雲面), 용원면(龍源面), 용포면(龍浦面), 보현면(普賢面), 운학면(雲鶴面), 보청면(甫靑面) | |
북청군 | 북청읍(北靑邑), 신포읍(新浦邑), 신창읍(新昌邑), 신북청면(新北靑面), 거산면(居山面), 속후면(俗厚面), 양화면(陽化面), 후창면(厚昌面), 가회면(佳會面), 상거서면(上車書面), 하거서면(下車書面), 덕성면(德城面), 성대면(星岱面), 이곡면(泥谷面) | |
이원군 | 차호읍(遮湖邑), 이원면(利原面), 동면(東面), 남송면(南松面) | |
단천군 | 단천읍(端川邑), 복귀면(福貴面), 하다면(何多面), 신만면(新滿面), 수하면(水下面), 이중면(利中面), 광천면(廣泉面), 남두일면(南斗日面), 북두일면(北斗日面) | |
신흥군 | 신흥면(新興面), 가평면(加平面), 원평면(元平面), 서고천면(西古川面), 영고면(永高面), 상원천면(上元川面), 하원천면(下元川面), 동상면(東上面) | |
장진군 | 장진면(長津面), 동문면(東門面), 상남면(上南面), 중남면(中南面), 서한면(西閑面), 북면(北面), 동하면(東下面) | |
풍산군 | 풍산면(豊山面), 웅이면(熊耳面), 안수면(安水面), 안산면(安山面), 천남면(天南面) | |
삼수군 | 삼수면(三水面), 금수면(襟水面), 호인면(好仁面), 신파면(新坡面), 자서면(自西面), 삼서면(三西面), 관흥면(館興面) | |
갑산군 | 갑산면(甲山面), 산남면(山南面), 진동면(鎭東面), 회린면(會麟面), 동인면(同仁面) | |
혜산군 | 혜산읍(惠山邑), 별동면(別東面), 운흥면(雲興面), 보천면(普天面), 대진면(大鎭面), 봉두면(鳳頭面) |
5. 역대 도지사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도지사는 조선총독부가 임명하였으며, 초기에는 조선인 도지사도 임명되었으나, 점차 내지인(일본인)으로 대체되었다. 1919년 8월 이전에는 '함경남도 장관'으로 불렸다.
호적 | 이름 | 한자 표기 | 재임 기간 | 비고 |
---|---|---|---|---|
조선인 | 신응희 | 申應熙 | 1910년 10월 1일 ~ 1918년 9월 23일 | 함경남도 장관 |
조선인 | 이규완 | 李圭完 | 1918년 9월 23일 ~ 1924년 12월 1일 | 장관, 1919년 8월부터 함경남도지사 |
조선인 | 김관현 | 金寛鉉 | 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 |
내지인 | 나카노 다사부로 | 中野 太三郎|나카노 다사부로일본어 | 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21일 | |
내지인 | 마노 세이이치 | 馬野 精一|마노 세이이치일본어 | 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 | |
내지인 | 마쓰이 후사지로 | 松井 房治郎|마쓰이 후사지로일본어 | 1929년 12월 11일 ~ 1930년 11월 12일 | |
내지인 | 세키미즈 다케시 | 関水 武|세키미즈 다케시일본어 | 1930년 11월 12일 ~ 1933년 8월 4일 | |
내지인 | 하기와라 히코조 | 萩原 彦三|하기와라 히코조일본어 | 1933년 8월 4일 ~ 1935년 2월 4일 | |
내지인 | 유노무라 다쓰지로 | 湯村 辰二郎|유노무라 다쓰지로일본어 | 1935년 2월 4일 ~ 1936년 10월 16일 | |
내지인 | 사사가와 교자부로 | 笹川 恭三郎|사사가와 교자부로일본어 | 1936년 10월 16일 ~ 1940년 9월 2일 | |
내지인 | 신가이 하지메 | 新貝 肇|신가이 하지메일본어 | 1940년 9월 2일 ~ 1941년 5월 31일 | |
내지인 | 단게 이쿠타로 | 丹下 郁太郎|단게 이쿠타로일본어 | 1941년 5월 31일 ~ 1942년 4월 7일 | |
내지인 | 세토 미치카즈 | 瀬戸 道一|세토 미치카즈일본어 | 1942년 4월 7일 ~ 1943년 12월 1일 | |
내지인 | 야규 시게오 | 柳生 繁雄|야규 시게오일본어 | 1943년 12월 1일 ~ 1945년 2월 14일 | |
내지인 | 기시 유이치 | 岸 勇一|기시 유이치일본어 | 1945년 2월 14일 ~ 1945년 8월 15일 | 광복 |
6. 사법
1941년 당시 함흥지방법원과 그 아래에 함흥지방법원 원산지청, 함흥지방법원 북청지청, 함흥지방법원 혜산지청이 설치되어 있었다.
7. 경찰
1927년 당시 함경남도 경찰부 아래에는 16개의 경찰서가 있었다.
함경남도 경찰부 소속 경찰서 |
---|
함흥경찰서 |
원산경찰서 |
정평경찰서 |
영흥경찰서 |
고원경찰서 |
문천경찰서 |
안변경찰서 |
홍원경찰서 |
북청경찰서 |
리원경찰서 |
단천경찰서 |
신흥경찰서 |
풍산경찰서 |
삼수경찰서 |
갑산경찰서 |
혜산경찰서 |
1915년 당시에는 헌병 경찰 제도로, 함흥 헌병대와 그 아래 분대가 운영되었다.
함흥 헌병대 소속 분대 |
---|
함흥 헌병 분대 |
고원 헌병 분대 |
원산 헌병 분대 |
북청 헌병 분대 |
단천 헌병 분대 |
갑산 헌병 분대 |
혜산진 헌병 분대 |
장진 헌병 분대 |
8. 경제
일제강점기 함경남도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중화학 공업이 육성되었으며,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한 전력 자원 개발과 연해 지역의 공업화가 진행되었다. 광업, 제조업, 운수업 등이 발달하였다.
1940년 당시 함경남도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엔 이상의 기업은 조선질소비료, 일본 마그네슘 금속, 함경남도 무진 등 16개였다.
주요 광산으로는 장흥광산(흑연), 함흥탄광, 문천탄광, 리원철산 등이 있었다.
함경선, 평원선 등 주요 철도 노선과 경성원산선 등 도로망이 건설되어 물자 수송과 인적 교류를 촉진하였다.
원산항은 주요 항구로 개발되었으며, 그 외에도 서호진항, 신포항, 신창항, 차호항, 여해진항, 전진항, 퇴조항 등이 개발되었다.
8. 1. 산업
일제강점기 함경남도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중화학 공업이 육성되었다. 조선질소비료를 비롯한 일본 마그네슘 금속 등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었다.1930년대 이후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한 전력 자원 개발과 연해 지역의 공업화가 진행되었다. 광업, 제조업, 운수업 등이 발달하였다.
1940년 당시 함경남도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엔 이상의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 |
---|
일본 마그네슘 금속 |
선만 광업 |
신광 광산 |
조선질소비료 |
조선질소화약 |
북선제강소 |
동해양조 |
북선주조 |
함흥고무 |
신흥철도 |
북선교통 |
함남창고 |
북선미유(北鮮米油) |
함남합동목재(咸南合同木材) |
함경남도 무진 |
원산 토지 건물 |
광산명 |
---|
장흥광산(흑연) |
함흥탄광 |
문천탄광 |
리원철산 |
8. 2. 철도
함경선, 평원선, 경원선, 동해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이 건설되어 물자 수송과 인적 교류를 촉진하였다. 신흥철도 등 사설 철도도 건설되었다.8. 3. 도로
1927년 당시 함경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가 개설되어 있었다.도로명 |
---|
경성원산선 |
평양원산선 |
원산회령선 |
신안주-함흥선 |
의주-혜산진선 |
함흥-황수원선 |
함흥-자성선 |
함흥-서호진선 |
장진-만포진선 |
장진-혜산진선 |
원산-양양선 |
원산-초산선 |
혜산진-무산선 |
북청-갑산선 |
북청-신포선 |
영흥-류도선 |
성진-혜산진선 |
8. 4. 항만
원산항은 주요 항구로 개발되었으며, 그 외에도 서호진항, 신포항, 신창항, 차호항, 여해진항, 전진항, 퇴조항 등이 개발되었다.
9. 종교
함경남도에는 함흥 신사, 원산 신사, 안변 신사 등 일본 신사가 건립되었다.
10. 교육
함흥의학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11. 언론
조선방송협회 함흥방송국(호출 부호: JBDK), 조선방송협회 원산방송국(호출 부호: JBJK) 등 라디오 방송국이 개국하였다. 조선시사신보, 원산매일신문 등 일본어 신문이 발행되었다.
12. 주요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