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군총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총대는 1945년 4월 25일, 일본 제국 해군 군령부의 지휘 하에 연합함대, 진수부 등을 통합 지휘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 레이테 만 해전 이후 연합함대의 약화와 야마토의 침몰로 인한 해상 전력의 재편 필요성에 따라, 지휘 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대 사령장관은 도요다 소에무 대장이, 참모장은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이 맡았으며, 5월 29일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으로 사령장관이 교체되었다. 해군총대는 1945년 10월 10일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부대 - 진수부 (일본 제국 해군)
    진수부는 1876년 일본 제국 해군이 연안 방위를 위해 설치한 해군 기지이며, 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폐지된 후 해상자위대가 그 역할을 계승했다.
  • 일본 본토 전역 - 나가노현
    나가노현은 일본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199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고 높은 취업률을 보이며, 일본 알프스 등 산악 지형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가진 현이다.
  • 일본 본토 전역 - 이오지마 전투
    이오지마 전투는 1945년 2월과 3월 이오지마 섬에서 미국과 일본 간에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선 전투로, 미군이 승리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전략적 중요성을 가진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는 일본의 비군사화와 민주화를 목표로 일본 점령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1945년 포츠담 선언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를 최고사령관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진행했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는 1945년 임화, 김남천 등 KAPF 소장파가 결성한 문학 단체로, 좌우 통합을 표방했으나 좌익 강경파의 반발과 KAPF 분리 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어 해방 직후 문학 운동 방향 논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해군총대
해군총대 정보
이름해군총대
활동 기간1945년 4월 25일 ~ 10월 10일
종류고위작전사령부
참전
전투일본 전역
지휘관

2. 역사

1945년 4월, 레이테 만 해전 이후 약화된 연합함대를 대신하여 일본 해군 전체를 총괄 지휘하기 위해 해군총대가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장관은 도요다 소에무 대장이, 참모장은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이 맡았으며, 이들은 5월 1일까지 연합함대 직책을 겸임하였다. 해군총사령관에게는 특별공격대, 호위 함정의 최고 지휘관으로서의 역할도 요구되었다.

1945년 5월 29일,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이 사령장관에 취임하면서 남동방면함대남서방면함대대본영 직할로 변경되었다. 이는 지휘 계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으나, 선임자가 후임자의 지휘하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일본 해군의 관례에 따른 것이었다.[1] 해군총대는 1945년 10월 10일에 폐지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44년 10월 레이테 만 해전에서 일본 해군이 대패하면서 연합함대는 사실상 괴멸되었다. 1945년 4월, 전함 야마토를 포함한 제2함대가 오키나와 돌입 작전(해상 특공)에 투입되면서 연합함대는 붕괴되었다.[1] 일본 본토 주변 해역에서 해상 호위 전력의 통합 운용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1945년 1월 해상호위총사령부, 진수부 등이 연합함대 사령장관 지휘 하에 놓였다.[1] 1945년 4월 25일, 지휘 계통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해군총대사령부가 설치되었다.[1]

2. 2. 해군총사령관 및 참모장

일본 제국 해군 군령부는 1945년 4월 천호 작전에서 전함 야마토가 침몰한 이후 결호 작전에 따라 연합함대를 포함한 모든 함대, 진수부, 경비부, 해상호위총사령부, 특별공격대까지 총괄 지휘하는 해군총대를 1945년 4월 25일에 창설하였다.[9][14]

도요다 소에무 대장과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이 각각 첫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취임하였다. 두 장군은 연합함대 후임이 취임한 5월 1일까지 해군총대에서 각 직위를 겸임하였고, 도요다 소에무 대장은 5월 29일에 오자와 지사부로에게 사령장관 직함을 이임하였다. 선임자가 후임자의 지휘 계통에 들어가지 않는 관습에 따라 이리후네 나오사부로 중장과 오코우치 덴시치 중장이 지휘하는 남동방면함대남서방면함대는 해군총대에서 대본영으로 지휘 권한이 이관되었다.[10]

해군총대 사령장관 (海軍総司令長官|해군총사령장관일본어)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겸임
대장도요다 소에무1945년 4월 25일[9]1945년 5월 29일[10]연합함대 사령장관 (1945년 5월 1일까지[11])
중장오자와 지사부로1945년 5월 29일[10]1945년 10월 10일[12]



해군총대 참모장 (海軍総隊参謀長|해군총대참모장일본어)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겸임
중장구사카 류노스케1945년 4월 25일[14]1945년 6월 25일[13]연합함대 참모장 (1945년 5월 1일까지[14])
소장아노 시카조1945년 6월 25일[13]1945년 9월 25일[15]


3. 구조

일본 제국 해군 군령부는 1945년 4월 천호 작전에서 전함 야마토가 침몰한 이후 결호 작전에 따라 연합함대를 포함한 모든 함대, 진수부, 경비부, 해상호위총사령부, 특별공격대까지 총괄 지휘하는 해군총대를 창설하였다.[1]

해군총대는 연합함대, 각 방면 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진수부, 경비부 등을 통합하여 지휘하였다.

3. 1. 소속 부대

1945년 6월 1일 당시, 해군총대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3. 1. 1. 연합함대

제1 항공전대, 제3 항공전대, 제5, 10, 12 항공전대, 제4 함대, 제6 함대, 제7 함대 부속으로 다음과 같은 함선들이 있었다.

  • 전함: 무사시, 야마토, 후소, 야마시로
  • 항공모함: 즈이카쿠, 다이호, 가쓰라기, 신노, 카이요
  • 경순양함: 기타카미, 야하기
  • 제22전대: 제1~4 감시정대, 키쿠마루
  • 제31전대: 하츠즈키
  • 제17구축대: 하마카제, 유키카제
  • 제21구축대: 하츠시모
  • 제41구축대: 후유즈키, 료즈키, 요이즈키, 나츠즈키
  • 제43구축대: 타케, 마키, 키리, 카야, 츠타, 시이
  • 제52구축대: 스기, 모미, 카시, 히노키, 카에데, 하기, 나시, 니레
  • 제11 수뢰전대: 사카와
  • 제53구축대: 사쿠라, 나라, 츠바키, 야나기, 타치바나, 케야키
  • 구축함: 카키, 스미레, 에노키, 쿠스노키, 오다케, 하츠자쿠라, 카바
  • 제101항공전대
  • 제1001해군항공대
  • 제1021해군항공대
  • 제1022해군항공대
  • 제1081해군항공대
  • 제10특공전대: 파109
  • 제1구축대: 카미카제, 시오카제, 아사카오
  • 구축함: 시오, 유우카제, 나미카제
  • 표적함: 야카제, 셋츠, 하쇼, 오하마
  • 제9, 11, 15 수송함, 제28, 30호 구축정
  • 제1연합통신대

3. 1. 2. 지나방면함대


  • 제2파견 함대 예하 부대
  • 하이난 경비부 부대
  • 중지나 해군 항공대
  • 상하이 해군 특별 육전대
  • 상하이 방면 특별 근거지대
  • 양쯔강 방면 특별 근거지대
  • 칭다오 방면 특별 근거지대
  • 부속: 제108, 144호 수송함, 제324, 3213 설영대

3. 1. 3. 해상호위총사령부


  • 제901해군항공대
  • 제1호위함대

3. 1. 4. 진수부 및 경비부


  • 요코스카 진수부(橫須賀鎮守府) 부대: 나가토(長門), 사와카제(澤風), 아마쿠사(天草), 시사카, 제6, 37, 74호 해방함, 제51, 52호 구축정, 제2 어뢰정대
  • 요코스카 방비 전대: 제1, 27, 29, 33호 기뢰정, 제42, 47, 48호 구축정
  • 아버지 섬 방면 특별 근거지대
  • 제1 특공 전대
  • 제4 특공 전대: 고마바시(駒橋), 제4, 45, 50호 해방함, 제14, 44호 구축정, 제26 기뢰대, 제112 구축대
  • 제20 연합 항공대

  • 구레 진수부(呉鎮守府) 부대: 하루나(榛名), 이세(伊勢), 휴가(日向), 아마기(天城), 류호(龍鳳), 쇼호(鳳翔), 제48, 77, 126호 해방함, 제102호 초계정, 오세이마루
  • 구레 잠수 전대: 나치마루
  • 제33 잠수대: 이121(伊121), 이122(伊122), 이155(伊155), 로62(呂62), 로63(呂63), 로64(呂64), 로67(呂67), 파106(波106), 파107(波107), 파108(波108), 파201(波201), 파202(波202)
  • 구레 연습 전대: 야쿠모(八雲), 이와테(磐手), 이즈모(出雲), 토네(利根), 오요도(大淀)
  • 제2 특공 전대
  • 제21 연합 항공대

  • 사세보 진수부(佐世保鎮守府) 부대: 준요(隼鷹), 제44, 118, 215, 219호 해방함, 제27 어뢰정대
  • 제951 해군 항공대
  • 오키나와 방면 근거지대
  • 제3 특공 전대
  • 제5 특공 전대: 제49, 58호 구축정
  • 제22 연합 항공대

  • 마이즈루 진수부(舞鶴鎮守府) 부대: 제35 기뢰대
  • 제51 전대(第五十一戦隊): 로68(呂68), 로500(呂500), 보타카, 이토, 이오, 하타, 다카네, 제75, 79, 87, 124, 156, 158, 200, 225호 해방함
  • 제105 전대: 히비키(響), 제12, 40, 65, 112, 150, 205호 해방함
  • 제23 연합 항공대

  • 오미나토 경비부(大湊警備府): 제47, 49, 196, 221호 해방함, 제28 기뢰대, 제52 기뢰대, 제15호 구축정, 다이하마, 이시자키, 제2 신코마루, 제52 포정대
  • 제104 전대: 후쿠에, 쿠나시리, 하치조, 카사토, 소슈(占守), 에토로후(択捉)
  • 제903 해군 항공대

  • 진해 경비부(鎮海警備府): 제48, 49 기뢰정
  • 라진 방면 특별 근거지대
  • 뤼순 방면 특별 근거지대

  • 가오슝 경비부(高雄警備府)
  • 가오슝 방면 근거지대
  • 마궁 특별 근거지대
  • 대만 해군 항공대

  • 오사카 경비부(大阪警備府)
  • 제6 특공 전대: 제30, 190호 해방함, 제104호 초계정
  • 제24 연합 항공대

4. 평가 및 영향

해군총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붕괴 직전에 시도한 마지막 조직 개편이었다. 천호 작전에서 전함 야마토가 침몰한 이후, 결호 작전에 따라 연합함대를 포함한 모든 함대, 진수부, 경비부, 해상호위총사령부, 특별공격대까지 총괄 지휘하기 위해 1945년 4월 25일에 창설되었다.[1]

패전이 임박한 상황에서 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목표로 했지만, 이미 전세는 기울어져 있었다. 해군총대 창설은 일본 군부의 현실 인식 부족과 비효율적인 의사 결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요다 소에무 대장과 참모장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이 각각 초대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취임하였다. 두 장군은 연합함대 후임이 취임한 5월 1일까지 해군총대에서 각 직위를 겸임하였고, 도요다 소에무 대장은 5월 29일에 오자와 지사부로에게 사령장관 직함을 이임하였다. 선임자가 후임자의 지휘계통에 들어가지 않는 관습에 따라 이리후네 나오사부로 중장과 오코우치 덴시치 중장이 지휘하는 남동방면함대남서방면함대대본영으로 지휘권한이 이관되었다.[2]

한국의 입장에서 해군총대는 일본의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한 도구였으며, 종전과 함께 10월 10일에 해체되어 다행스러운 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戦史叢書93 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7〉―戦争最終期― 朝雲新聞社 1976
[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5月10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795号
[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5月14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799号
[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6月12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25号
[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11月2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971号
[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5月19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04号
[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7月6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48号
[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10月6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943号
[9] 웹인용 昭和20年5月10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795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5-10
[10] 웹인용 昭和20年6月12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25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6-12
[11] 웹인용 昭和20年5月14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799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5-14
[12] 웹인용 昭和20年11月2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971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11-02
[13] 웹인용 昭和20年7月6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48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7-06
[14] 웹인용 昭和20年5月19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804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5-19
[15] 웹인용 昭和20年10月6日付 海軍辞令公報 甲第1943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