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달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달손은 1415년 출생하여 1472년에 사망한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그는 고려의 개국공신 홍은열의 후손이며, 무예에 능하고 청렴한 성품을 지녔다. 단종 즉위 후 의주도수군첨절제사를 지냈으나 파직되었고, 이후 한명회의 천거로 수양대군의 측근이 되어 계유정난에 참여, 정난공신에 책록되었다. 세조 즉위 후 병조참판, 남양군에 봉해졌으며 좌의정을 역임했다. 사후 안무(安武)의 시호를 받았으며, 여러 드라마에서 그의 생애가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2년 사망 - 바티스타 스포르차
바티스타 스포르차는 페사로의 군주 알레산드로 스포르차의 딸로, 우르비노 공작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와 결혼하여 섭정으로 활동했으며, 인문주의 교육을 받고 1472년 산후병으로 사망했다. - 1472년 사망 - 미켈로초
미켈로초는 피렌체 출신의 초기 르네상스 건축가이자 조각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와 도나텔로의 제자였으며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메디치 궁전과 산 마르코 수도원 재건축 등 르네상스 건축 발전에 기여했다. - 정난공신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정난공신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15년 출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15년 출생 - 정의공주
태종과 소헌왕후의 둘째 딸이자 세종의 동생인 정의공주는 1428년 안맹담에게 시집갔으며, 세조 즉위 후 특별한 대우를 받았고, 사후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을 간행하고 정인지, 한확 등과 혼인으로 복잡한 인척 관계를 맺은 4남 2녀를 두었다.
홍달손 |
---|
2. 생애
홍달손은 1415년(태종 15) 홍은열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무예를 닦아 내금위에 뽑혔고, 내금위장으로 승진했다. 문종 때 의주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으나, 1452년(단종 즉위) 의주성 남문 개보수 공사 부진으로 파직당했다. 한성부에서 한명회를 만나 수양대군의 측근이 되었다.
1453년(단종 1년) 10월 계유정난 때 군사를 이끌고 김종서 부자, 황보인, 조극관, 이양, 민신 등을 제거하여 정난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功臣) 1등관에 책록되고, 병조참의에 임명되었다.
1455년(세조 1) 한명회, 권람, 신숙주 등과 단종을 압박하여 수양대군을 왕위에 추대하는데 기여, 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2등관에 책록되었다. 이후 병조판서, 오위도총부 도총관, 판중추원사 등을 거쳐 1459년(세조 5년) 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에 오르며 남양부원군으로 진봉되었다. 1467년(세조 13) 의정부좌의정에 올랐다.
홍달손은 청렴하고 검소했지만, 주색을 즐겨 10여 명의 첩을 거느렸다. 1472년(성종 3) 사망하여 안무(安武)라는 시호를 받았고, 경기도 양주군 시백면 낙양리(현 의정부시 낙양동 산 25번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홍달손은 1415년(태종 15) 증 영중추부사에 추증된 홍치(洪治)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개국공신 홍은열의 후손으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7대손이다. 홍규는 충숙왕의 왕비이자 충혜왕, 공민왕 형제의 생모인 명덕태후의 친정아버지였다. 5대조 홍이의 외조부이자 6대조 홍언박의 장인은 권준(權準)으로, 고려 말 유학자 권부의 아들이자 이제현의 처남이었다.홍달손은 홍길동과 친족 관계였다. 5대조 홍언박의 형인 홍주의 증손자 홍상직의 서자가 홍길동이다.
2. 1. 1. 가계
남은, 남재 형제와 이중 인척 관계를 맺었다. 남재의 동생 남은의 증손자 남수는 홍달손의 손녀사위이자 아들 홍흔의 사위가 된다.관계 | 이름 |
---|---|
5대조 | 홍언박 |
고조부 | 홍사우 |
증조부 | 홍이 |
조부 | 홍의로 |
조모 | 서원 염씨 |
아버지 | 홍치 |
누이 | 남양 홍씨 |
부인 | 광주 안씨 |
아들 | 홍변(洪?), 호군 역임 |
아들 | 홍흔(洪?) |
며느리 | 성주 이씨, 이계창의 딸 |
손자 | 홍신겸(洪信謙) |
사위 | 박추(朴樞, 주부 역임) |
2. 2. 군인 생활과 계유정난
일찍부터 지혜롭고 총명하였으며 말수가 적었다. 어려서부터 무예를 닦았으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내금위에 뽑혔다. 그 뒤 내금위에서 오래 근무하다가 내금위장으로 승진했으며, 여러 벼슬을 거쳐 문종 때 의주도수군첨절제사(義州道水軍僉節制使)가 되었다.1452년(단종 즉위) 의주도수군첨절제사 재직 중 의주성 남문 개보수 공사 부진의 책임을 지고 파직당했다. 한성부에서 불우한 나날을 보내던 중 한명회를 만나 친해졌고 그와 시사(時事)를 논하면서 의기가 투합하여 후일 한명회의 천거로 복직하게 된다. 그 뒤 한명회와 홍윤성, 신숙주의 천거로 수양대군의 측근이 되었다.
단종이 즉위하자 그는 한명회, 홍윤성 등과 기회를 엿보다가 거사를 결정, 수양대군, 권람·한명회, 양정 등 30여 인의 무인세력과 함께 기회를 엿보았다. 1453년 한명회의 천거를 받아 복직했고, 같은 해 무과에 급제하여 첨지중추원사가 되었다.
1453년(단종 1년) 10월 계유정난 때는 순장(巡將)으로서 휘하의 군사를 거느리고, 무사들을 이끌고 김종서 부자를 제거하고 수양대군이 왕명으로 중신들을 소집하자 홍윤성 등과 함께 영의정 황보인, 병조판서 조극관(趙克寬)·찬성(贊成) 이양(李穰) 등을 궐문에서 죽이고, 이조판서 민신 등을 제거하였다. 김종서, 황보인을 제거한 공로와 군사를 동원하여 외부의 유입을 막고 일의 성사에 기여한 공로로 수충위사협책정난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功臣) 1등관에 책록되고, 병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사치하지 않고 냉철하며 검소하였고, 청렴한 성품과 절륜한 무예실력으로 한명회와 함께 세조의 즉위 시 무장의 소임을 다하여 큰 공헌이 있었다.
2. 3. 세조 즉위 이후의 정치 활동
1455년(세조 1) 한명회, 권람, 신숙주 등과 모의하여 단종에게 압력을 가해 양위하게 하였다. 그 뒤 수양대군을 추대한 공으로 1455년(세조 1) 9월 세조 즉위 후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2등관에 책록되었다. 1456년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으며, 이후 병조판서,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지냈다. 1458년 판중추원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역임했다.1459년(세조 5년) 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輔國崇祿大夫領中樞府事)에 승진하면서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1464년 사옹원도제조(司饔院都提調)가 되었으나 어선(御膳)이 정결치 못하다는 이유로 문책되었으나 곧 용서받았다. 1467년(세조 13)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이어 의정부좌의정으로 승진하였다.
2. 4. 성품과 말년
홍달손은 무예에 능하고 성품은 청렴했지만, 주색(酒色)을 좋아하여 술을 잘 마시고 첩을 10여 명 이상 거느렸다. 1472년(성종 3)에 병으로 사망하였고, 안무(安武)라는 시호가 추서되었다. 사후 경기도 양주군 시백면 낙양리(현 의정부시 낙양동 산 25번지)에 안장되었으며, 부인의 묘소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다.3. 관련 작품
홍달손을 다룬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3. 1.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