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선거로, 국회의원과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만 참여하는 약식 선거로 진행되었다.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가 후보로 출마했으며, 스가 요시히데가 535표 중 377표를 얻어 압승했다. 스가는 7개 파벌 중 5개 파벌의 지지를 받았으며, 도도부현 투표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일본의 선거 -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는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치러진 선거로, 고이케 유리코 현 도지사의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코로나19 대응, 올림픽 개최, 고이케 도정 평가, IR 유치 등이 쟁점이 되었고, 22명의 후보 중 고이케 유리코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스가 요시히데 - 스가 내각
아베 신조 총리 사임 후 스가 요시히데가 총리로 지명되어 출범한 스가 내각은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디지털청 설립, 규제 개혁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코로나19 대응 미흡 등의 논란 속에 스가 총리 사임으로 총사직하였다. - 스가 요시히데 - 가나가와현 제2구
가나가와현 제2구는 요코하마시의 니시구, 미나미구, 고난구를 포함하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로, 1996년부터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가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10번 연속 당선되었으며, 요코하마시 핵심 지역을 포함하여 일본 정치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 이시바 시게루 - 제1차 이시바 내각
제1차 이시바 내각은 2024년 10월 1일에 발족하여 42일 만에 총사퇴했으며, 이시바 시게루를 포함한 20명의 국무대신 등으로 구성되었다. - 이시바 시게루 - 제2차 이시바 내각
2024년 11월 11일에 이시바 시게루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여 출범한 제2차 이시바 내각은 자유민주당, 공명당, 민간 출신 인사들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직책에 대한 임명 정보가 상세히 기록되어 내각의 구성과 특징을 보여준다.
202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2020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국가 | 일본 |
선거 유형 | 총재 선거 |
이전 선거 | 2018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18년 |
선거 날짜 | 2020년 9월 14일 |
차기 선거 | 2021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2021년 |
선거 제도 | 양원 의원 총회에 의한 총재 선거 |
공시일 | 2020년 9월 8일 |
총 유권자 수 | 중의원 의원 283표 참의원 의원 111표 도도부현 연합 141표 총합 535표 |
후보별 득표 결과 | |
![]() | |
후보 1 | 스가 요시히데 |
정당 색상 | F2BA42 |
국회의원 투표 | 288 |
지방 대표 투표 | 89 |
합계 | 377 |
![]() | |
후보 2 | 기시다 후미오 |
정당 색상 | CC0033 |
국회의원 투표 | 79 |
지방 대표 투표 | 10 |
합계 | 89 |
![]() | |
후보 3 | 이시바 시게루 |
정당 색상 | 0B75D9 |
국회의원 투표 | 26 |
지방 대표 투표 | 42 |
합계 | 68 |
선거 결과 지도 | |
![]() | |
총재직 변동 | |
직책 | 총재 |
선거 전 총재 | 아베 신조 |
선거 후 총재 | 스가 요시히데 |
2. 역사적 배경
202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아베 신조 당시 총리이자 자유민주당 총재가 궤양성 대장염 재발을 이유로 사임하면서 치러지게 되었다.[1] 신임 총재의 임기는 아베의 잔여 임기인 2021년 9월 말까지였다. 전임 총리의 임기를 보충하기 위한 임시 총재 선거는 2007년 및 2008년에 치러진 총재 선거 이후 처음이었다.[2]
당 집행부는 각 도도부현 연합에 대표 투표 결정 시 예비 선거 등을 통해 당원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요청하고, 재정 지원도 제공했다.[4][5] 그 결과, 44개 도도부현 연합이 당원 투표 방식의 예비 선거를 실시하기로 했다.[6] 홋카이도 연합은 전 당원 투표가 어렵다는 이유로 의향 조사를, 니가타현 연합은 당원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6] 스가 요시히데의 출신지인 아키타현 연합은 예비 선거 없이 3표 모두 스가에게 투표하기로 했다.[6][4]
2. 1.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
2020년 8월 28일, 현직 내각총리대신이자 자유민주당 총재인 아베 신조가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재발을 이유로 사임 의사를 표명하였다.[1]2. 2. 약식 선거 결정
2020년 9월 1일, 자유민주당 총무회는 총재 선거를 당원 투표 없이 국회의원 표(참의원, 중의원 양원 의장 제외) 394표와 도도부현 대표 표 141표를 합한 총 535표로 치르기로 결정했다.[3] 이는 총재가 임기 중 궐위된 경우 긴급 상황 시 적용되는 당규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간이 형식의 총재 선거는 후쿠다 야스오의 임기 중 사임으로 치러진 2008년 총재 선거 이후 12년 만이다.3. 선거 방식
2020년 총재 선거는 아베 신조 총재가 궤양성 대장염 재발을 이유로 사임하면서 치러지게 되었다.[1] 신임 총재의 임기는 아베의 잔여 임기인 2021년 9월 말까지였다. 이처럼 전임 총리의 임기를 보충하기 위한 임시 총재 선거는 2007년, 2008년 총재 선거 이후 처음이다.[2]
원래 자민당 당규에 따르면 총재 선거는 소속 국회의원과 당원 모두가 투표권을 가지지만, 총재가 임기 중 궐위된 경우에는 긴급하게 약식 선거를 치를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는 일반 당원 투표 없이 국회의원과 도도부현 대표만이 참여하는 약식 선거로 진행되었다.[53] 총재의 임기 도중 사임에 따른 약식 선거는 2008년 총재 선거 이후 12년 만이다.
당 집행부는 각 도도부현 연합에 대표 투표를 결정할 때 예비 선거 등을 실시하여 당원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요청하고, 필요한 재정 지원도 제공했다.[4][5] 그 결과, 44개 도도부현 연합이 당원 투표 방식의 예비 선거를 실시하기로 했다.[6] 홋카이도 연합은 전 당원 투표가 시간적으로 어렵다는 이유로 의향 조사를 모색했고, 니가타현 연합은 당원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6] 스가 요시히데의 출신지인 아키타현 연합은 예비 선거를 실시하지 않고 3표 모두를 스가에게 투표하기로 했다.[6][4]
3. 1. 표 산출 방식
자민당 당규에 따르면 총재 선거에는 소속 국회의원과 당원 전원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하지만, "총재가 임기 중 궐위된 경우에 긴급 사태로 인해 정식 규정에 따라 총재 선거를 치를 수 없는 경우에는 자민당 양원(중의원, 참의원) 의원총회에 소속된 모든 현직 국회의원 및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자의 투표로 새 총재를 선출할 수 있다"는 규정이 적용되었다.[53] 이에 따라 일반 당원은 참여하지 않고 국회의원과 대한민국의 시·도당에 해당하는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만이 참여하는 "약식 선거"가 확정됐다.[53]2020년 9월 1일, 자민당 총무회는 이번 선거를 당원 투표 없이 국회의원 표(참의원, 중의원 양원 의장 제외) 394표와 도도부현 대표 표 141표를 합한 총 535표로 치르기로 결정했다.[3]
- 중의원 의원 투표 : 총 283표 (1인 1표)
- 참의원 의원 투표 : 총 111표 (1인 1표)
-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 투표 : 총 141표 (각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 3명 (1인 1표) × 47개 도도부현)
3. 2. 선거 관리 위원회
직책 | 이름 |
---|---|
위원장 | 노다 다케시 |
위원장 대리 | 아이사와 이치로 |
위원 | 이마무라 마사히로, 이와야 다케시, 하세 히로시, 오쓰카 다카시, 다도코로 요시노리, 후지마루 사토시, 노무라 데쓰로, 이소자키 히데히코, 다카시나 에미코 |
4. 후보자
2020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는 이시바 시게루,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3명이 입후보했다.[1]
이시바와 스가는 일본해 측 출신이며, 아베 신조 총재 복귀 당시 각각 간사장과 그 대리를 맡았다.
당초 여론조사에서는 아베 총리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 온 이시바 전 간사장이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13][14] 아베 총리와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대신은 기시다 정무조사회장을 후계자로 밀고 있었으나,[15]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기시다의 지도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16][14][17]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은 스가 관방장관에게 총재 선거 출마를 권유했고,[18] 스가는 니카이 등의 지원을 받아 입후보를 결심했다. 이후 무파벌 및 여러 파벌에서 스가 지지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18] 아베 총리는 기시다에게 후계 지명을 명확히 하지 않았고,[14][17] 아소 부총리도 스가 지지로 전환하면서,[17] 스가가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17]
4. 1. 최종 입후보자
야기 테츠야 (이시바 파벌)야마시타 타카시 (이시바 파벌)
고토다 마사즈미 (이시바 파벌)
마이타치 쇼지 (이시바 파벌)
나카니시 사토시 (이시바 파벌)
무라카미 세이치로 (무파벌)
나카타니 겐 (타니가키G)
토카이 키미사부로 (무파벌)
타치바나 케이이치로 (무파벌)
이토 타츠야 (이시바 파벌)
사이토 켄 (이시바 파벌)
아카자와 료세이 (이시바 파벌)
히라 마사아키 (이시바 파벌)
후쿠야마 마모루 (이시바 파벌)
미하라 아사히코 (다케시타 파벌)
카미야마 사시 (이시바 파벌)
토가시 히로유키 (이시바 파벌)
후지와라 타카시 (호소다 파벌)
야마다 미키 (호소다 파벌)
야마모토 준조 (호소다 파벌)
사카모토 테츠시 (이시하라 파벌)
마키하라 히데키 (타니가키G·스가G)
요시카와 유미 (호소다 파벌·타니가키G)
고노 타로 (아소 파벌)
마키시마 카렌 (아소 파벌)
아리무라 하루코 (아소 파벌)
야마구치 야스아키 (다케시타 파벌)
니시메 츠네조 (다케시타 파벌)
스즈키 타카코 (다케시타 파벌)
츠게 요시후미 (무파벌)
이시이 히로로 (다케시타 파벌)
히라사와 카츠에이 (니카이 파벌)
요시카와 타카모리 (니카이 파벌)
츠루보 요스케 (니카이 파벌)
키무라 야요이 (무파벌)
아제모토 쇼고 (기시다 파벌)
오니시 히로유키 (기시다 파벌)
카네코 슌페이 (기시다 파벌)
카미카와 요코 (기시다 파벌)
고쿠미츠 후미노 (기시다 파벌)
츠지 키요토 (기시다 파벌)
니시다 쇼지 (기시다 파벌)
후카자와 요이치 (기시다 파벌)
호리우치 노리코 (기시다 파벌)
무라이 히데키 (기시다 파벌)
요시카와 타케시 (기시다 파벌)
아다치 토시유키 (기시다 파벌)
코야리 타카시 (기시다 파벌)
하야시 요시마사 (기시다 파벌)
후지키 신야 (기시다 파벌)
코자토 야스히로 (타니가키G)
카토 아유코 (타니가키G)
혼다 타로 (타니가키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