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4개의 카프리치오 (파가니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4개의 카프리치오는 니콜로 파가니니가 작곡한 24개의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각 곡은 독특한 기교와 음악적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연주 기법을 탐구한다. 각 곡은 조성, 악장, 특징에 따라 구분되며, 24번 카프리치오는 주제와 변주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곡들은 바이올린 연주 기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다양한 편곡과 변주곡을 탄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헌정곡 - 교향곡 3번 (베토벤)
    베토벤 교향곡 3번 《영웅》은 1804년에 완성되었으며, 나폴레옹에게 헌정하려다 철회 후 로프코비츠 백작에게 헌정되었고, 1805년 초연 이후 고전주의를 넘어 낭만주의 시대를 연 혁신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영웅'이라는 부제는 이상적인 영웅을 상징한다.
  • 헌정곡 - 쿠프랭의 무덤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친구들을 기리기 위해 바로크 시대 춤곡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6악장 피아노 모음곡으로, 전쟁의 참상과 상실감을 표현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20세기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24개의 카프리치오 (파가니니)
작품 정보
장르바이올린 독주곡
작곡가니콜로 파가니니
작곡 시기1800년~1810년경
자필 악보
상세 정보
헌정 대상예술가들에게
작품 번호Op. 1
출판1820년 리코르디
관련 인물
페르디난트 다비트반주 추가 편곡
테오도르 하우만Theodor Haumann

2. 구성

니콜로 파가니니24개의 카프리치오는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24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독특한 기교와 음악적 특징을 탐구한다.

니콜로 파가니니


다음은 24개 카프리치오의 목록이다.

번호조성빠르기별칭
1E장조안단테"아르페지오" (The Arpeggio)
2B단조모데라토
3E단조소스테누토 - 프레스토 - 소스테누토
4C단조마에스토소
5A단조아지타토
6G단조렌토"트릴" (The Trill)
7A단조포사토
8내림 E장조마에스토소
9E장조알레그레토"사냥" (The Hunt)
10G단조비바체
11C장조안단테 - 프레스토 - 안단테
12내림 A장조알레그로
13내림나장조알레그로"악마의 웃음" (Devil's Laugher)
14내림 E장조모데라토
15E단조포사토
16G단조프레스토
17내림 E장조소스테누토 - 안단테
18C장조코렌테 - 알레그로
19내림 E장조렌토 - 알레그로 아사이
20D장조알레그레토
21A장조아모로소 - 프레스토
22F장조마르카토
23내림 E장조포사토
24A단조주제와 변주 (콰시 프레스토)"주제와 변주" (Theme and Variations)



이 곡들은 1800년부터 1810년경 사이에 제노바에서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10년 후인 1820년밀라노의 리카르디 출판사에서 "작품 1"(Op. 1)로 출판되었다. 작곡 동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피에트로 로카텔리나 피에르 로데와 같은 프랑스-이탈리아 바이올린 악파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파가니니가 즐겨 사용했던 하모닉스 기법은 이 카프리치오 모음곡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무곡이나 행진곡리듬, 바로크 음악이나 집시 음악의 영향, 베네치아 뱃노래(곤돌리에라)의 인용, 기타의 트레몰로 주법 모방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나타나 독특한 매력을 지닌다.

이 카프리치오들은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헝가리 출신의 프란츠 리스트는 파가니니의 연주 기교에서 영감을 받아 여러 카프리치오(제1, 5, 6, 9, 17, 24번)를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하여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을 작곡했다. 독일로베르트 슈만 역시 여러 곡(제2~6, 9~13, 16, 19번)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연습곡》,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했으며, 제24번을 제외한 23곡에 피아노 반주를 붙이기도 했다.

2. 1. 제1번 (E장조, Andante)

E장조, 안단테(Andante) 빠르기의 곡이다. "아르페지오"(The Arpeggio|아르페지오영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곡의 핵심적인 특징인 아르페지오 주법에서 비롯되었다.

이 곡은 느린 2/4 박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른손의 보잉(활 긋기) 기술과 현 이동을 통한 스피카토 연습에 중점을 둔다. 특히, 바이올린의 네 현 모두를 활용하는 아르페지오를 한 번의 활 움직임으로 오르내리며 연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왼손 운지법은 네 손가락을 각 현에 정확하게 대응시키는 능력이 필수적이며, 고음역대에서의 정확한 음정 포지션을 파악하는 훈련 또한 요구된다.

카프리치오 제1번에 나타난 독특한 스피카토 주법은 후대의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예로 펠릭스 멘델스존의 유명한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제1악장의 카덴차 부분에서 이 곡의 기교적인 특징이 인용되어 화려함을 더한다.

또한, 이 곡은 리스트가 피아노를 위해 편곡한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 기교 연습곡' 중 제4번의 원곡이기도 하다.

2. 2. 제2번 (B단조, Moderato)

B단조, 모데라토(Moderato) 빠르기의 8분의 6박자 곡이다. 이 곡은 현 이동 연습에 중점을 두는데, E선과 G선, D선처럼 서로 멀리 떨어진 음역의 현 사이를 부드럽게 오가야 하므로 세련된 활 테크닉이 요구된다. 이러한 주법은 바이올린 곡에서 자주 사용되며, 조반니 바티스타 비오티의 바이올린 협주곡 22번 제1악장에서도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 카프리치오는 로베르트 슈만이 편곡한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중 제5번(작품 10-5)의 원곡이기도 하다.

2. 3. 제3번 (E단조, Sostenuto - Presto - Sostenuto)

E단조의 곡으로, 소스테누토 - 프레스토 - 소스테누토의 빠르기 변화를 가진다. 박자는 소스테누토 부분에서 4분의 4박자, 프레스토 부분에서 8분의 3박자이다.

곡의 시작 부분(소스테누토)은 옥타브 중음과 더블 트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빠른 중간 부분(프레스토)에서는 E 장조로 조성이 바뀌며, 16분 음표로 이루어진 흐르는 듯한 선율이 연주된다.

이 곡은 슈만이 편곡한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작품 번호 10 중 제6번의 원곡이기도 하다.

2. 4. 제4번 (C단조, Maestoso)

다단조, Maestoso|마에스토소it(장엄하게), 2/4 박자이다. 3도 중음 연습에 중점을 둔 곡으로, 주제는 우아한 선율을 가지지만 때때로 32분 음표의 빠른 악구가 나타나 왼손의 유연한 포지션 이동이 요구된다. 로베르트 슈만의 《파가니니 카프리스에 따른 연주회용 연습곡》(Op. 10) 중 제4번의 원곡이다.

2. 5. 제5번 (A단조, Agitato)

A단조, Agitato|아지타토it, 4분의 4박자.

전주와 후주는 카덴차 풍의 아르페지오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부는 살타토(을 현 위에서 튀기듯이 연주하는 기법) 주법에 의한 무궁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슈만의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연습곡 작품 3》 중 제1번과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 연습곡》 중 제1번의 원곡이기도 하다. 다만 리스트의 곡은 파가니니 카프리치오 5번의 서주와 후주 부분만을 사용하였다.

2. 6. 제6번 (G단조, Lento)

G단조의 곡으로, 빠르기는 Lento|렌토ita이다. 별칭은 The Trill|더 트릴eng이다. 트레몰로를 배경으로 호흡이 긴 선율이 연주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곡은 슈만의 《파가니니 카프리스에 따른 연주회용 연습곡 작품 10》 중 제2번과 리스트의 《파가니니 대연습곡》 중 제1번(트레몰로)의 원곡이다.

2. 7. 제7번 (A단조, Posato)

A단조이며 빠르기말은 Posato|포사토it이다. 긴 슬러 음계아르페지오를 특징으로 하며, 슬러 스타카토 주법을 연습하기 위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2. 8. 제8번 (E♭장조, Maestoso)

제8번 카프리치오는 E♭장조이며, 빠르기말은 마에스토소(Maestoso)로 '장엄하게' 연주하라는 의미이다.

2. 9. 제9번 (E장조, Allegretto)

알레그레토, E장조, 4분의 2 박자. A-B-A-C-A 형태의 변칙적인 론도 형식을 따른다. 이 곡은 '''"사냥"'''(The Hunt영어)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우아한 장3도와 6도 중음 주법 연습곡이다. 악보에는 플루트와 호른이 서로 주고받는 소리를 모방하도록 지시되어 있는데, 이는 '사냥'이라는 별칭과 관련이 깊다. 일설에는 소녀와 노인이 대화하며 노래하는 모습을 묘사했다고도 전해진다.

이 곡은 슈만의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따른 연습곡 작품 3》 중 제2번과 리스트의 《파가니니 대연습곡》 중 제5번 《'''사냥'''(La caccia|라 카차it)》의 원곡이다. 리스트는 편곡 과정에서 이 곡에 '사냥'이라는 부제를 직접 붙였다.

2. 10. 제10번 (G단조, Vivace)

Vivace|비바체it 빠르기의 G단조 곡이다. 8분의 6박자이며, 세도막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빠른 16분 음표의 스타카토트릴 연습을 위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슈만의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작품 10 중 제3번은 이 곡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2. 11. 제11번 (C장조, Andante - Presto - Andante)

C장조의 곡으로, 안단테(Andante) - 프레스토(Presto) - 안단테(Andante)의 빠르기 변화를 가진다. 박자는 4분의 3박자에서 4분의 2박자로 변하며, 전체적으로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안단테)는 중음(여러 음을 동시에 연주하는 기법)을 많이 사용하여 여러 성부가 동시에 들리는 듯한 효과를 내며, 중간부(프레스토)는 톡톡 튀는 듯한 리듬이 특징이다. 슈만은 이 곡의 제1부를 바탕으로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따른 연습곡 작품 3》 중 제3번을 작곡했다.

2. 12. 제12번 (A♭장조, Allegro)

알레그로(Allegro) 빠르기의 4/4 박자 곡이다. 폭넓게 도약하는 음정들을 레가토로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슈만의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제1번 Op.10-1의 원곡이기도 하다.

2. 13. 제13번 (B♭장조, Allegro)

알레그로(Allegro), 내림나장조, 8분의 6박자의 곡이다. 다 카포를 사용한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3도 중음 하강 음형이 특징인 제1부와 16분 음표의 도약 음형으로 이루어진 중간부로 나뉜다. 특히 제1부의 독특한 울림 때문에 '''악마의 미소'''(La risata del diavolo|라 리사타 델 디아볼로ita)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슈만이 이 곡을 바탕으로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따른 연습곡 작품 3' 중 4번을 작곡했다.

2. 14. 제14번 (E♭장조, Moderato)

E♭장조, 모데라토 빠르기의 2/4 박자 곡이다. 중음과 3중음, 4중음 주법을 활용하여 마치 금관 악기의 팡파레를 연상시키는 군대 행진곡풍의 선율을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바이올린의 화음(코드) 표현 능력을 보여주며, 전체적으로 명쾌한 느낌을 준다. 스티브 제프리가 2023년에 편곡하기도 했다.

2. 15. 제15번 (E단조, Posato)

E단조 조성의 곡으로, 빠르기말은 포사토(Posato)이다. 8분의 6박자이며, 다 카포(da capo)를 사용하는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제7번의 축소판과 같은 느낌을 주며, 제1부는 뱃노래(Barcarolle)풍의 선율과 그 변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부는 넓은 음역의 음계로 구성된다.

2. 16. 제16번 (G단조, Presto)

빠르기는 프레스토(Presto)이며, 박자는 4분의 3박자이다. 16분 음표로 이루어진 무궁동(Perpetuum mobile) 형식의 곡으로, 레가토(legato) 운궁에서의 스몰찬도(smorzando, 점점 여리게 사라지듯이) 기법과 악센트 위치의 변화 등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오른손 연습에 중점을 둔 연습곡의 성격을 띤다. 이 곡은 슈만의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따른 연습곡 작품 3》 중 제6번의 원곡이기도 하다.

2. 17. 제17번 (E♭장조, Sostenuto - Andante)

E♭장조. 빠르기말은 소스테누토(Sostenuto) - 안단테(Andante)이며, 박자는 4분의 4박자이다. 서주부가 있는 다 카포(da capo) 형식을 사용한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화려한 꾸밈음으로 장식된 것이 특징이며, 리스트도 이 곡의 기교적인 측면을 의식했다고 알려져 있다. 파가니니 자신도 앙코르 곡으로 자주 연주했다고 전해진다. 곡의 시작 부분에 등장하는 E♭음은 바이올린의 G현과 D현에서 중음으로 연주된다. 고음부에서 제시되는 음계 주제와 이에 응답하는 G현, D현의 중음이 곡의 주요 소재로 활용된다.

특히 같은 음을 두 개의 다른 현으로 동시에 연주하는 기법은 바이올린비올라 연주자만이 구사할 수 있는 독특한 기술이다. 이는 피아노 연주자에게는 불가능한 기교를 선보이며, 파가니니의 거장다운 면모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2. 18. 제18번 (C장조, Corrente - Allegro)

다장조의 곡으로, 빠르기표는 코렌테 - 알레그로이다. 박자는 8분의 6박자에서 4분의 4박자로 변화하며, 다 카포를 사용하는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마치 호른 소리를 흉내 내는 것처럼 바이올린의 G선(가장 낮은 음을 내는 현)만을 사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간부는 스타카토 주법으로 연주되는 3도 간격의 중음(두 음을 동시에 연주)으로 이루어져 있다.

2. 19. 제19번 (E♭장조, Lento - Allegro Assai)

렌토 - 알레그로 아사이 빠르기의 4/4 박자 곡으로, 서주부가 있는 3부 형식이다. 옥타브 중음으로 이루어진 짧은 서주에 이어, 제1부는 폭넓은 음정의 도약 연습으로 구성된다. 중간부는 다단조의 빠른 패시지 부분이며, 이 부분에서는 G선만을 사용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슈만이 작곡한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연습곡 제5번 작품 3-5』의 원곡이다.

2. 20. 제20번 (D장조, Allegretto)

알레그레토(Allegretto) 빠르기의 8분의 6박자 곡으로, 다 카포(da capo)를 사용하는 3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D음의 지속음(드론, drone) 위로 긴 선율이 흐르며, 이는 마치 백파이프 소리를 모방하는 듯한 효과를 낸다. 중간부는 이와 대조적으로 트릴이 붙은 빠른 16분 음표 패시지로 이루어져 있다.

2. 21. 제21번 (A장조, Amoroso - Presto)

A장조, 아모로소(Amoroso) - 프레스토(Presto), 4/4 박자이다. A-A-B의 바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짧은 서주 후에 이어지는 A 부분은 6도 중음(이중 음정)으로 연주되는 감미롭고 표현력이 풍부한 아리아와 같은 선율이 특징이다. 반면 B 부분은 분위기가 급변하여 빠른 16분 음표의 음계적 패시지가 나타나며, 스타카토(띄어 긋기 주법) 기법이 요구된다.

2. 22. 제22번 (F장조, Marcato)

마르카토 지시가 있으며, 8분의 박자를 사용하고 다 카포를 사용하는 3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는 6도, 3도, 10도의 중음 연습에 중점을 둔다. 중간 부분은 라단조로 조성이 바뀌며, 16분 음표의 도약 음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20번 카프리치오의 두 번째 양상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2. 23. 제23번 (E♭장조, Posato)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23번 카프리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2. 24. 제24번 (A단조, Tema con Variazioni (Quasi Presto))

A단조, '''주제와 변주'''(Tema con Variazioni|테마 콘 바리아치오니it), '''거의 빠르게'''(Quasi Presto|콰시 프레스토it).

주제


2/4 박자. 이 곡은 24개의 카프리치오 중 마지막 곡이자 매우 유명한 작품이다. 전체 곡집을 마무리하기에 걸맞은 화려한 변주곡으로, 주제와 11개의 변주, 그리고 피날레로 구성되어 있다. 단 16마디의 주제가 바이올린의 모든 연주 기법을 동원하여 다채롭게 변주된다.

  • '''주제''': 개방현을 사용하여 울림이 매우 좋다.
  • '''변주''': 각 변주에서는 다양한 바이올린 기교가 펼쳐진다. 순서대로 아르페지오(제1변주), 옥타브 주법(제3변주), 극단적인 고음에서의 반음계를 활용한 변주(제4변주), 고음과 저음의 교차 연주(제5변주), 왼손 피치카토(제9변주) 등이 전개된다. 마지막 피날레는 A장조로 바뀌어 화려하게 곡을 마무리한다.


이 24번 카프리치오의 주제는 후대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어,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라는 제목으로 수많은 작품이 탄생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6번』, 요하네스 브람스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작품 43, 1934년 작),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1941년 작, 1979년 재편곡) 등이 있다. 이처럼 낭만파 시대부터 근대 및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이 주제를 바탕으로 새로운 곡을 만들거나 편곡했다.

3. 악보


  • 프랑코 굴리의 비평판 (Ed. Curci, 1982)[3]
  • 레나토 데 바르비에리의 비평판 (Urtext, 1990)[4]

4. 편곡

헝가리 출신의 음악가프란츠 리스트는 파가니니의 연주 기교가 가진 음악적 가능성에 영향을 받아, 피아노 독주용으로 제1, 5, 6, 9, 17, 24번을 편곡한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을 남겼다.

리스트와 동시대에 활동한 독일의 음악가 로베르트 슈만 역시 카프리치오를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하여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연습곡』(제2~6, 9~13, 16, 19번)과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을 작곡했다. 또한 슈만은 제24번을 제외한 23개의 카프리치오를 피아노 반주가 있는 작품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여러 작곡가들이 카프리치오를 기반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 알프레도 카셀라: 카프리치오 5번, 12번, 16번, 19번의 단편들을 토대로 《파가니니아나》 작품번호 65번의 1악장 '격렬한 알레그로'를 작곡했다 (1942).
  • 보리스 블라허: 카프리치오 24번을 토대로 《파가니니 변주곡》 작품번호 26번을 작곡했다 (1947).

5. 영향

헝가리 출신의 음악가프란츠 리스트는 파가니니의 연주 기교가 가진 음악적 가능성에 영향을 받아, 피아노 독주용으로 제1, 5, 6, 9, 17, 24번 카프리치오를 편곡하여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을 작곡했다.

리스트와 동시대에 활동한 독일의 음악가 로베르트 슈만 역시 파가니니의 작품에 주목하여, 제2~6, 9~13, 16, 19번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했다. 이는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연습곡 Studien nach Capricen von Paganini|슈투디엔 나흐 카프리첸 폰 파가니니deu 작품번호 3과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6 Konzertetüden nach Capricen von Paganini|젝스 콘체르테튀덴 나흐 카프리첸 폰 파가니니deu 작품번호 10으로 발표되었다. 또한 슈만은 제24번을 제외한 23개의 카프리치오를 피아노 반주가 있는 작품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Nicolò Paganini e il suo tempo: relazioni e comunicazioni Comune di Genova
[2] 웹사이트 Paganini: 24 Capricci per il Violino solo, "dedicati agli Artisti" Op. 1 – Robin Stowell http://chase.leeds.a[...] 2015-03-12
[3] 간행물 Paganini 24 Capricci, Rev. F.Gulli http://www.edizionic[...] Ed. Curci Milano 1982
[4] 간행물 Paganini 24 Caprices, Rev. R. De Barbieri http://www.henle.de/[...] G. Henle Verlag 1990
[5] 문서 78rpm's RCA Victor: matrix 16276/8 (Album M-672) Paganini Caprices Nos. 1 to 12 (6 sides) + matrix 17636/8 (Album M-738) Paganini Caprices Nos. 13 to 24 (5 sides)
[6] 뉴스 CD Symposium 1311, review by Jonathan Woolf on "Music Web International" http://www.musicweb-[...]
[7] 웹사이트 Ossy Renardy on "the Remington site" http://www.soundfoun[...]
[8] 웹사이트 Ossy Renardy on "Maestronet – forum", by Alan Sanders, 2003 http://www.maestrone[...]
[9] Youtube Ruggiero Ricci plays Paganini Caprice No. 24 https://www.youtube.[...]
[10] 웹사이트 LXT 2588 + LK 4025 – Paganini – 24 Caprices – Ruggiero Ricci http://www.classical[...] 2015-04-16
[11] 문서 This process records the original sound direct to master discs without using a magnetic tape. Thus the full dynamic range and the original sound are fully preserved.
[12] 웹사이트 Pavel Berman https://iclassical-a[...] 2019-08-28
[13] Youtube Yehudi Menuhin and George Enescu play Paganini Caprice No. 6 (arr. Enescu) https://www.youtube.[...]
[14] Youtube Zino Francescatti plays Paganini/Pilati "8 Caprices" https://www.youtube.[...]
[15] Youtube Zino Francescatti plays Paganini/Francescatti Caprice No. 17 https://www.youtube.[...]
[16] Youtube Caprice No. 13 with Orchestra, live recording by J. Heifetz https://www.youtube.[...]
[17] Youtube Caprice No. 24 with Orchestra, live recording by J. Heifetz https://www.youtube.[...]
[18] Youtube Sergey Krilov plays Edison Denisov "5 Paganini Caprices" https://www.youtube.[...]
[19] Youtube Benny Goodman – Paganini, Caprice 24 https://www.youtube.[...]
[20] 웹사이트 24 Caprices arranged for String Quartet http://www.wihanquar[...]
[21] 웹사이트 "Paganiniana, Variations for violin solo" https://www.scribd.c[...] Nathan Milstein 2016-03-06
[22] IMSLP
[23] IMSLP
[24] IMSLP
[25] IMSLP
[26] IMSL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