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₄는 여러 방법으로 정의되는 예외적인 리 군이다. 예외적 요르단 대수와 스핀 군 Spin(9)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8차원 초구를 사용한 구성도 알려져 있다. F₄는 세 개의 실수 형식을 가지며, 군론적 성질, 위상수학적 성질, 근계, 표현론, 대수기하학적 성질 등을 갖는다. F₄는 빌헬름 킬링과 엘리 카르탕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클로드 슈발레에 의해 유한체 위에서도 정의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군 - 직교군
직교군은 체 K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에서 비퇴화 이차 형식 Q를 보존하는 가역 선형 변환으로 이루어진 대수군이자 리 군이며, 특수직교군, 스핀 군, 핀 군과 관련되어 물리학, 기하학, 대수학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수군 - 보렐 부분군
보렐 부분군은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연결 대수군에서 자리스키 위상에서 닫힌집합이자 연결 공간인 가해군들의 극대 원소이거나 완비 대수다양체를 이루는 포물형 부분군들의 최소 원소로 정의되는 특정한 종류의 부분군이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F₄ | |
---|---|
개요 | |
![]() | |
종류 | 단순 리 군 |
복소 차원 | 52 |
랭크 | 4 |
킬링 폼 | 킬링 폼은 부호가 definite한 부호수를 가진다. |
![]() | |
근계 | 단순 리 대수 f4의 근계 |
Weyl 군 | 1152 원소를 가진다. |
기본 표현 | 26차원 52차원 |
관련 개념 | |
연관된 리 대수 | f₄ |
연관된 리 군 | F₄(ℂ) F₄(ℝ) 컴팩트 형태 F₄ |
2. 정의
F₄는 예외적 요르단 대수를 사용하거나 극대 부분군 Spin(9)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2. 1. 예외적 요르단 대수를 통한 정의
F₄의 실수 콤팩트 형식은 예외적 요르단 대수(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 )들의 대수의 자기동형사상군이다.[4][3] 예외적 요르단 대수는 27차원이고, F₄는 그 위에 작용하게 되므로 F₄의 27차원 표현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대각합 부분을 제외하면 26차원 표현을 얻는다. 이는 F₄의 가장 작은 자명하지 않은 복소 표현이다.구체적으로, 이 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이라고 하면, F₄는 다음을 보존시키는 SO(27)의 부분군이다.
:
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 M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x'', ''y'', ''z''는 실수 값을 가지며, ''X'', ''Y'', ''Z''는 팔원수 값을 가진다.
2. 2. Spin(9)를 통한 정의
F₄는 Spin(9)를 극대 부분군으로 갖는다. 이 경우, F₄의 딸림표현 '''52'''는:'''52''' → '''36''' ⊕ '''16'''
으로 분해된다. 여기서 '''36'''은 Spin(9)의 딸림표현이고, '''16'''은 Spin(9)의 스피너 표현이다.
따라서, F₄의 실수 콤팩트 리 대수 는 벡터 공간으로서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16차원 마요라나 스피너 벡터 공간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교환 관계를 가진다.
: ( 리 괄호)
: (의 스피너 작용)
여기서 는 9차원에서의 디랙 행렬들이다.
여기에 나머지 스피너 교환자
:
를 추가하면, 야코비 항등식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이 정의가 성립하려면, Spin(9)의 실수 형식에서 마요라나 스피너가 존재해야 한다. 9차원에서 마요라나 스피너가 존재할 수 있는 부호수는 (9,0), (8,1), (5,4) 세 가지이며, 이들은 각각 F₄의 세 실수 형식 F₄(-52)(콤팩트), F₄(-20), F₄(4)(분할)에 대응한다.
2. 3. 기타 정의
이 밖에도, 8차원 초구를 사용한 구성 또한 알려져 있다.[5]2. 4. 실수 형식
F₄는 세 가지 실수 형식(real form)을 갖는다.[6] 이들은 다음과 같다(중심이 없는 형태).
F₄는 48개의 근으로 구성된 근계를 가지며, 24개의 긴 근과 24개의 짧은 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4차원에서 서로 쌍대인 두 개의 정이십사포체(24-cell)를 이룬다.[1]
3. 성질
F₄의 근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₄는 4개의 단순근을 가지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해당하는 카르탕 행렬은 다음과 같다.
:
F₄의 바일 군은 크기가 인 가해군이며, 4차원 정이십사포체의 대칭군이다.
F₄의 딘킨 도표는 네 개의 꼭짓점을 가진 선형이며, 2번째와 3번째 사이의 변은 2겹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다.
F₄의 기약 표현 차원은 다음과 같다: 1, 26, 52, 273, 324, 1053 (두 개), 1274, 2652, 4096, 8424, 10829 등.[8] 이 중 52차원 표현은 딸림표현이고, 26차원 표현은 27차원 예외적 요르단 대수 작용에서 대각합을 제외한 것이다. 기본 표현은 26, 52, 273, 1274차원 표현이며, 딘킨 도표의 네 노드에 대응한다.
F₄의 바일 군은 원소 를 포함하므로 모든 표현은 스스로의 켤레와 동형이다. F₄는 사원수 표현이 없고, 모든 표현은 실수 표현이다.
콤팩트 형태의 F₄의 21차 이하 호모토피 군은 다음과 같다.[7]
차수 | 호모토피 군 |
---|---|
3 | |
8 | |
9 | |
11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1 |
여기서 는 차 순환군이다. 21차 이하에서 위에 언급되지 않은 호모토피 군은 자명군이다.
의 불변 다항식 차수는 2, 6, 8, 12이다. 즉, 그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 환은 3차 · 11차 · 15차 · 23차 생성원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이다.
3. 1. 군론적 성질
F₄ 콤팩트 형식의 주요 극대 부분군은 다음과 같다.[3]F₄는 E₆의 부분군이다.[3] 이는 E₆의 딘킨 도표를 ℤ/2 대칭을 따라 접어서 얻는다.
3. 2. 위상수학적 성질
콤팩트 형태의 F₄의 21차 이하 호모토피 군은 다음과 같다.[7]차수 | 호모토피 군 |
---|---|
3 | |
8 | |
9 | |
11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1 |
여기서 는 차 순환군이다. 위에 수록되지 않은 21 이하 차수의 호모토피 군은 자명군이다.
의 불변 다항식 차수는 2, 6, 8, 12이다. 즉, 그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 환은 3차 · 11차 · 15차 · 23차 생성원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이다.
3. 3. 근계 (Root System)
F₄의 근계는 48개의 근으로 구성되며, 24개의 긴 근과 24개의 짧은 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4차원에서 정이십사포체(24-cell)가 존재하며, F₄의 긴 근과 짧은 근은 각각 서로 쌍대인 두 개의 정이십사포체를 이룬다.[1]F₄의 근은 다음과 같다.
- (±1, ±1, 0, 0) 꼴의 긴 근 24개 (좌표축 치환)
- (±1, 0, 0, 0) 꼴의 짧은 근 8개 (좌표축 치환)
- (±½, ±½, ±½, ±½) 꼴의 짧은 근 16개
F₄는 4개의 단순근을 가지며, 단순근을 고르는 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른 카르탕 행렬은 다음과 같다.
:
F₄의 바일 군은 크기가 인 가해군이며, 4차원 정이십사포체의 대칭군이다.
F₄의 딘킨 도표는 네 개의 꼭짓점을 가진 선형이며, 2번째와 3번째 사이의 변은 2겹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다.
3. 4. 표현론 (Representation Theory)
F₄의 기약 표현의 차원은 1, 26, 52, 273, 324, 1053 (두 개), 1274, 2652, 4096, 8424, 10829 등이다.[8] 이 가운데 52차원 표현은 딸림표현이며, 26차원 표현은 27차원 예외적 요르단 대수 위의 작용에서 대각합을 제외한 것이다. 기본 표현은 26, 52, 273, 1274차원 표현들이며, 이는 딘킨 도표의 네 노드에 대응한다.F₄의 바일 군은 원소 를 포함하며, 따라서 모든 표현은 스스로의 켤레와 동형이다. F₄는 사원수 표현을 갖지 않으며, 모든 표현은 실수 표현이다.
52차원 표현은 리 대수의 수반 표현이고, 26차원 표현은 27차원 알베르트 대수에 대한 F₄의 작용에서 무자취 부분이다.
1053, 160056 등의 차원을 갖는 두 개의 비동형 기약 표현이 있다.
3. 5. 대수기하학적 성질
슈발레 기저를 사용하여 정수 계수의 리 대수 및 군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가환환 에 대하여 대수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특히, 유한체 에 대한 계수의 슈발레 군 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이는 모든 유한체에 대하여 유한 단순군을 이룬다. 이 가운데 가장 작은 것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F₄는 표수가 2인 체 위에서 추가 대칭을 갖는다. 체의 크기가 꼴인 경우, 이 대칭을 체의 프로베니우스 자기 동형으로 뒤틀어 대수군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군들은 발견자 이임학[12]의 이름을 따 '''이임학 군'''(Ree group영어)이라고 한다. 이 군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이들은 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유한 단순군을 이룬다. 일 경우 이는 단순군이 아니지만, 그 교환자 부분군 은 지표가 2인 단순 부분군을 이룬다. 이 단순군은 발견자 자크 티츠[13]의 이름을 따 '''티츠 군'''(Tits group영어)이라고 한다. 티츠 군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4. 역사
리 대수 는 빌헬름 킬링이 복소수 단순 리 대수를 분류하면서 두 번 독립적으로 발견하였다. 그러나 킬링은 이 두 리 대수가 서로 동형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9] 이후 엘리 카르탕이 1894년에 복소수 단순 리 군을 분류하면서 그 존재와 유일함을 엄밀히 증명하였다.[10]
이후 클로드 슈발레가 1955년에 F4를 비롯한 다른 모든 단순 리 군을 유한체 위에서 정의할 수 있음을 보였다.[11] 표수 3의 체 위의 뒤틀린 F4는 이임학이 1961년에 발견하였다.[12] 티츠 군은 자크 티츠가 1964년에 발견하였다.[13]
참조
[1]
arXiv
Minimal Faithful Permutation Degrees for Irreducible Coxeter Groups and Binary Polyhedral Groups
2014
[2]
서적
Lectures on exceptional Lie groups
http://press.uchicag[...]
시카고 대학교
2013-03-17
[3]
저널
Exceptional Lie groups
2009-02
[4]
저널
The octonions
http://math.ucr.edu/[...]
2002
[5]
저널
A geometric construction of the exceptional Lie algebras F4 and E8
2008-11
[6]
저널
Satake diagrams, Iwasawa decompositions, and representations of the exceptional Lie group ''F''4(−20)
1985
[7]
저널
The homotopy groups of Lie groups of low rank
1967
[8]
저널
Group theory for unified model building
http://citeseerx.ist[...]
1981-12
[9]
저널
Old and new on the exceptional group ''G''2
http://www.ams.org/n[...]
2008-09
[10]
저널
Sur la structure des groupes de transformations finis et continus
https://archive.org/[...]
Librairie Nony et Cie
1894
[11]
저널
Sur certains groupes simples
1955
[12]
저널
A family of simple groups associated with the simple Lie algebra of type (F4)
1961
[13]
저널
Algebraic and abstract simple groups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