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후드 (5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MS 후드 (51)는 1920년 취역한 영국 해군의 순양전함으로, 빠른 속도와 강력한 무장을 갖춘 고속 전함으로 평가받았다. 1916년 유틀란트 해전의 교훈을 반영하여 방어력을 강화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5월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의 포격으로 침몰했다. 1,419명의 승무원 중 3명만이 생존했으며, 침몰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전함 - HMS 워스파이트 (03)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전함 -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 (53)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 (53)은 킹 조지 5세급 전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군에서 운용되었으며 비스마르크 추격전과 대서양 헌장 회담에 참여한 후 동양함대에 파견되어 말레이 해전에서 일본 해군 항공대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HMS 후드 (51)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명 | 후드 |
별칭 | '마이티 후드 (The Mighty Hood)' |
모토 | 'Ventis Secundis (라틴어: 순풍을 타고)' |
슬로건 (영어) | 'With Favourable Winds' |
슬로건 (한국어 번역) | 순풍을 받으며 |
약칭 | HMS 후드 |
함 뱃지 | 닻을 든 콘월 까마귀가 1859년을 향하고 있음 |
함 경력 | |
국가 | 영국 |
발주 | 1916년 4월 7일 |
건조 | 존 브라운 & 컴퍼니 |
조선소 | 460 |
기공 | 1916년 9월 1일 |
진수 | 1918년 8월 22일 |
취역 | 1920년 5월 15일 |
명명 유래 | 사무엘 후드 제독 |
복무 기간 | 1920년–1941년 |
식별 번호 | 페넌트 번호: 51 |
운명 | 덴마크 해협 해전 중 비스마르크에 의해 침몰, 1941년 5월 24일 |
원래 비용 | '£6,025,000' |
제원 | |
배수량 | ' (만재)' |
길이 | '' |
폭 | '' |
흘수 | '' |
동력 | 24 × 야로 보일러 '' |
추진 | 4축; 4 기어드 증기 터빈 |
속도 | '' |
항속 거리 | ' at (1931)' |
승조원 | 1,433 (1919) |
센서 | |
함재 센서 | (정보 없음) |
무장 | |
무장 (건조 당시) | 4 × 2연장 포 12 × 단장 포 4 × 단장 대공포 6 × 어뢰 발사관 |
무장 (1941년 침몰 당시) | 4 × 2연장 15인치 포 7 × 2연장 4인치 대공포 3 × 8연장 2파운더 (40 mm) 대공포 4 × 4연장 기관총 5 × 20연장 "Unrotated Projectile" 마운트 4 × 21인치 어뢰 발사관 |
장갑 | |
장갑 (벨트) | '' |
장갑 (갑판) | '' |
장갑 (포탑) | '' |
장갑 (바베트) | '' |
참고 | |
기타 정보 | (정보 없음) |
레이다 | |
레이다 (취역 시) | 없음 |
레이다 (1941년) | 284형 1기 (사격 지휘: 최소 유효 범위 16.6km) 279M형 1기 (대공: 최소 유효 범위 18.5km) |
2. 설계 및 건조
1915년부터 후드의 건조 계획이 시작되었다. 1916년 유틀란트 해전의 전훈을 반영하여 방어 장갑을 강화하고 배수량이 증가했다. 이 개량으로 순양전함으로서 상당한 방어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상부 장갑이 취약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보완하지 못했다.[2]
측면 장갑은 13인치 경사 장갑으로 15인치 주포를 막을 수 있었으며, 이는 미국 사우스다코타급 전함과 아이오와급 전함에 반영되었다.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독일의 급에 대응하여 설계되었고, 유틀란트 해전 이후 강화된 장갑을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 4척이 기공되었으나, ''후드''만 완성되었다.[2]
어드미럴급은 이전의 급보다 훨씬 컸다. ''후드''는 만재 배수량 로, 이전 함선보다 더 컸다. 추가된 장갑은 흘수를 증가시켜 "해군의 가장 큰 잠수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4][5]
''후드''는 4기의 브라운-커티스 기어식 증기 터빈과 24기의 야로우 보일러로 구동되었다. 1920년 해상 시운전에서 151280shp의 터빈 출력으로 의 속도에 도달했다.[8]
''후드'' 건조는 1916년 9월 1일 스코틀랜드 클라이드뱅크 존 브라운 조선소에서 시작되었다.[35]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전함 3척이 손실된 후, 설계에 5,000톤의 추가 장갑과 버팀대가 추가되었다.[36] 그러나 갑판 방호는 3개 갑판에 걸쳐 배치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말기 효과적인 시간 지연 포탄 개발로 덜 효과적이게 되었다.[37]
1918년 8월 22일, 새뮤얼 후드 제독의 증손자인 호레이스 후드 해군 소장의 미망인이 진수했다.[39] 1920년 5월 15일 취역했으며, 건조 비용은 6025000GBP였다.[40]
''후드''는 취역 당시 가장 큰 군함이었고, 이후 20년 동안 그 지위를 유지했다.[41] 크기와 강력한 무장으로 "마이티 후드"라는 별명을 얻었다.[42] 함명은 후드 자작에서 따왔으며, 호레이스 후드 소장 미망인이 진수를 거행했다.[39] 후드 소장은 유틀란트 해전에서 제3순양전함전대 사령관으로, 순양전함 인빈시블과 운명을 같이 했다.[119]
''후드''는 유틀란트 해전 교훈을 바탕으로 건조 중 재설계되어, 실질적으로 "고속 전함"으로 칭해도 무방했다.[120]
2. 1. 초기 계획
1915년 독일 제국 해군(Kaiserliche Marinede)이 마켄젠급 순양전함 건조를 시작하자, 영국 해군은 이에 대항하는 신형 순양전함 건조를 계획했다.[122] 이 신형함은 15인치(38.1cm) 주포를 탑재할 예정이었다.[122] 초기 설계는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의 개량형이었으나, 순양전함 부족을 메우기 위해 재설계되었다.[123] 1916년 3월, 기준 배수량 36,360톤, 속력 32노트로 결정되었다. 이전 함급보다 방어력이 강화되었지만, 수평 장갑은 76mm에 불과했다. 함명은 해군 제독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될 예정이었고, 이 때문에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으로 불렸다. 서 유스타스 테니슨=다인코트 조선국장이 설계를 담당했다.[124]
1916년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해군 순양전함 3척이 폭침되면서, 영국 순양전함 설계 개념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25] 이에 따라 건조 중이던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방어력 강화를 위한 설계 변경을 거쳤다. 1916년 9월부터 설계 변경이 이루어져 같은 해 12월에 완료되었다. 이로 인해 "후드"의 건조는 약 5개월 지연되었다. 개량된 설계로 배수량은 약 5,000톤 증가하여 기준 배수량은 42,670톤이 되었다. 현측 장갑은 305mm, 수평 장갑은 127mm로 강화되었지만, 방어 구조가 낡아 실제로는 수선 부근의 좁은 범위만 방어할 수 있었다. 특히 수평 방어의 취약점은 "후드"의 아킬레스 건으로 작용했다.[2]
2. 2. 유틀란트 해전의 교훈 반영
1916년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순양전함들은 독일 순양전함에 비해 방어력이 약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특히, 원거리 포격전에서 상부 갑판에 떨어지는 포탄에 대한 방어력이 부족하여, 순양전함 3척(Invincible영어, Indefatigable영어, Queen Mary영어)이 폭침되는 결과를 낳았다.[124]이에 따라 건조 중이던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후드"는 방어력을 강화하는 설계 변경을 거쳤다. 현측 장갑은 당시 영국 전함과 같은 수준인 305mm로 강화되었고, 수평 장갑 또한 127mm로 증강되었다.[124] 측면 장갑은 13인치 경사 장갑으로 15인치 주포를 막을 수 있을 정도였다. 이 경사 장갑은 이후 미국 사우스다코타급 전함과 아이오와급 전함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개량으로 인해 "후드"의 기준 배수량은 42,670톤으로 증가했다.[124]
그러나 "후드"의 방어 구조는 여전히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멀티 레이어 설계로 인해 상부 장갑이 취약했고, 수평 방어 역시 좁은 범위만 보호하여 약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약점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보완되지 못했고, 결국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비스마르크의 포탄에 맞아 격침되는 비극으로 이어졌다.[124]
2. 3. 건조 과정
1916년 9월 1일, 존 브라운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130] 1915년부터 건조 계획이 시작되었으나, 1916년 유틀란트 해전의 결과로 설계가 변경되면서 건조가 약 5개월 지연되었다.[125] 설계는 서 유스타스 테니슨=다인코트 조선국장이 담당했다.[124]1918년 8월 22일에 진수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20년 3월 5일에 취역했다.[130] 건조 비용은 6,025,000파운드였다.
3. 기술적 특징
후드는 1920년 3월 5일에 진수되었으며,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인해 1936년 비스마르크급 전함이 등장하기 전까지 배수량으로 후드를 넘는 전함은 없었다. 후드는 취역부터 격침될 때까지 대규모 근대화 개장을 거의 받지 않아 1931년까지 비행기 사출기, 장갑 증강, 함포 추가 정도의 개장만 이루어져 노후화가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속력은 29.5노트로 저하되었다.
1940년 후드는 대공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부포를 대공포로 대체했다. 이후 1940년 7월 3일 '비행기 사출기 작전'에 참가하여 프랑스 해군 전함 4척을 격침시키거나 중파시켰다. 이후 영국으로 귀환하여 기관 오버히트, 대공 및 사격 레이더 증설을 받았다. 1941년 5월 24일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비스마르크의 포탄이 후드의 취약한 갑판을 뚫고 탄약고에 명중, 폭파하여 3분 만에 침몰하였다.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마켄젠급 순양전함에 대응하여 설계되었으며, 유틀란트 해전 이후 더 강력한 장갑을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 ''후드''는 어드미럴급 중 유일하게 완성된 함선이다.
어드미럴급은 이전의 ''Renown''급보다 훨씬 컸다. ''후드''는 전체 길이 약 262.13m, 최대 선폭 약 31.70m, 만재 배수량에서 흘수 약 9.75m였다. 만재 배수량은 약 47429073.96kg로 이전 함선보다 약 13208611.00kg 이상 더 많았다. 메타센터 높이는 만재 시 약 1.28m로, 롤링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포탑 플랫폼을 제공했다.[3]
건조 중 추가된 장갑으로 인해 흘수가 증가하고 여유 흘수가 감소하여 물에 젖기 쉬웠다. 이 때문에 "해군의 가장 큰 잠수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5] 함선의 정원은 1919년 기함으로서 1,433명, 1934년에는 81명의 장교와 1,244명의 수병이었다.[7]
4기의 브라운-커티스 기어식 증기 터빈으로 구동되었으며, 24기의 야로우 보일러에서 제공되는 증기를 사용했다. 터빈은 144000shp를 생산하여 31kn의 속도로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1920년 해상 시운전에서 151280shp의 출력을 보여 32.07kn의 속도에 도달했다.[8] 14kn으로 항해 시 7500nmi의 예상 항속 거리를 가졌다.[3]
영국 해군은 HMS 후드를 순양전함으로 지정했지만, 일부 현대 작가들은 후드를 고속 전함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서류상 후드는 동일한 무장과 방어력을 유지하면서 훨씬 더 빨랐다.[38][30] 1918년경, 미국 지휘관들은 후드를 "고속 전함"이라고 묘사하며 미 해군이 자체적으로 고속 전함을 개발할 것을 옹호했다.[31] 그러나 미국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기존 설계를 취소했다.[32] 후드의 영향은 이후의 렉싱턴급 설계에 나타났다.[33] 당시 영국 해군 문서들은 방어 장갑의 양에 관계없이 최대 속도가 24kn을 초과하는 모든 전함을 순양전함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34]
후드의 방어 수준은 유틀란트 해전 시대에는 적절했지만, 1920년 완성 직후 등장한 새로운 세대의 구경 주력함에 대해서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영국 해군은 선박의 방어 결함이 개량된 설계에서도 남아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후드는 순양전함 임무를 수행하도록 의도되었다. 후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고속 전함에 비해 장갑과 방어 배치가 뒤떨어졌지만, 비스마르크의 속도에 필적할 수 있는 "대형 함포" 장착 선박은 거의 없었다.[3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취역한 대형 함선으로, 기준 배수량 약 4만 2,000톤, 속력 31노트, 38.1cm 연장 포탑 4기를 장비한 강력한 군함이었다. 역사 연구자 오스카 파크스는 본함의 아름다움을 "군함 미의 극치"라고 평가했다. 영국 국민들에게 "마이티(강대한, 위대한, 세계 최강의)·후드"라고 불리며 친근하게 여겨졌지만, 기본 성능의 우수함 때문에 대규모 근대화 개장이 계속 미뤄진 것이 손실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함명은 후드 자작새뮤얼 후드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그 후손인 호레이스 후드 소장의 미망인이 진수를 거행했다. 후드 소장은 유틀란트 해전에서 제3순양전함전대 사령관이었지만, 탑승함 인빈시블의 폭침으로 함과 운명을 같이 했다.
후드는 1921년 제인 해군 연감에서는 순양전함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시 순양함의 속력과 전함의 화력과 방어력을 겸비하여 실질적으로 "고속 전함"이라고 칭해도 무방했다.[120] 영국 해군은 유틀란트 해전의 교훈을 바탕으로 건조 중 재설계했기 때문이다. 완성된 "후드"는 순양전함의 속력과 전함의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로 인해 영국 해군은 후드를 고속 전함이라고 호칭했다. 다만 함종은 "순양전함"이었다.
영국 해군은 존 아버스노트 피셔가 제창한 "속력이 곧 방어력"이라는 개념으로 순양전함을 설계, 건조했다. 중무장, 고속력, 경방어라는 "피셔 디자인"이었다. 1915년 독일 제국 해군이 마켄젠급 순양전함 건조를 시작했고, 15인치 포 탑재 순양전함을 계획 중이라는 정보에 따라, 이에 대항하는 신형 순양전함이 요구되었다. 영국 해군 순양전함 중 수 척이 노후화되어 최신 순양전함과 행동을 함께 할 수 없다는 사정도 있었다.
영국 해군은 대항책으로 1915년도 계획에서 15인치(38.1 cm) 포를 탑재하는 순양전함 4척의 급조를 시작한다. 당초, 어드미럴급(후드급)은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의 개량형이었지만, 순양전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재설계되었다. 1916년 3월 설계에서는 기준 배수량 36,360톤, 속력 32노트로 정해졌다. 수선부 장갑은 203 mm 장갑을 경사시켜 장착했지만, 수평 장갑은 76 mm밖에 없었다. 함명에는 네임십 후드를 필두로, 동급함 모두에 해군 제독의 이름이 붙을 예정이었다. 서 유스타스 테니슨=다인코트 조선국장이 주무 담당자로서 설계를 수행했다.
그러나 1916년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해군 순양전함 3척이 폭침되고, 최신예 라이온도 주포탑을 관통당해 대파되었다. 독일 제국 해군 순양전함의 끈기와 대조적인 결과였다. 피셔 경의 아웃 레인지 전법은 실전에서 쓸모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열강 각국은 장갑 순양함이 시대에 뒤떨어졌고, 영국 순양전함의 컨셉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자각했다. 동시에, 종래의 전함도 속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신세대 주력함은 순양함에 필적하는 속력과 전함 수준의 화력과 방어력을 요구하는 '''고속 전함'''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전훈에 기초하여, 열강 각국은 건조 중인 전함이나 순양전함의 설계를 변경한다.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요구 성능인 고속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어력을 강화하는 설계 변경이 1916년 9월부터 이루어졌다. "후드"의 건조는 약 5개월 지연되었다. 개설계로 배수량이 약 5,000톤 증가하여 기준 배수량은 42,670톤이 되었고, "후드"는 획기적인 방어력을 얻었다. 현측 장갑 두께는 305 mm, 수평 장갑도 127 mm로 증강되었다. 다만, 방어 양식의 낡음 때문에 실제로는 수선부 부근의 좁은 범위밖에 방어하지 못했고, 선체의 대부분은 얇은 장갑판으로 덮여 있을 뿐이었다. 특히 수평 방어의 약점은 "후드"의 아킬레스 건이었고,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후드 침몰의 한 원인이 되었다.
취역 후 1931년 소규모 개장이 이루어졌다. 수상기 운용을 위해 함미 측에 캐터펄트가 설치되었으며, 페어리 III형 수상기 운용을 위한 크레인이 설치되었다. 근접 화기로 4cm 폼폼포 8연장 포가가 좌우 각각 1기씩 총 2기 탑재되었다. 1932년에 캐터펄트와 함미 크레인이 철거되었으며, 근접 화기로 비커스 12.7mm(62구경) 기관총 4연장 포가 2기가 탑재되었다. 1937년에 선체 내 53.3cm 어뢰 발사관 2문을 철거하고, 10.2cm 고사포 단장 포가 2기, 4cm 8연장 폼폼포 1기, 12.7mm 4연장 기총 2기를 추가했다.
1940년에 부포 14cm 속사포가 철거되고, 10.2cm 고사포 연장 포가 5기로 교체되었다. 근접 대공 화기로 17.8cm 20연장 로켓포 5기가 추가되었다. 1941년 3월에 284형 레이더가 탑재되어, 전부 마스트에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후드는 영국 순양전함 중 최초로 "적 전함의 포격에 견딜 가능성이 있는 방어"를, 제한적이지만 갖춘 최초이자 마지막 순양전함이었다. 그러나 유틀란트 해전에서는 아웃레인지 전법이 통하지 않았고, 전함과 순양전함이 뒤섞여 싸우게 되었다. 열강 각국은 "기존의 순양전함은 전함 수준의 방어력이 필요하며, 전함은 순양전함 수준의 속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영국 해군은 후드부터 장갑 두께를 증강하여 방어력을 기존 전함 수준으로 할 방침이 되었다. 다만, 구조를 대규모로 변경하기에는 건조가 너무 진행되었고, 그 대신 장갑을 5000ton 가까이 증강했다. 그 결과, 배수량에 비해 방어 중량은 32.7%에 달했으며, 킹 조지 5세급의 33.2%에 다음가는 수치였다.
후드의 현측 방어는 높이가 낮은 장갑판을 가로 방향으로 넓게 붙이는 기존의 전체 방어 방식이었다. 원안에서는 후드의 장갑은 순양전함 타이거를 기반으로 현측 약 20.32cm, 수평 약 7.62cm였지만, 타이거와는 달리, 현측 장갑의 장착 방식은 각국의 전함에 앞서 경사 장갑(Inclined Armour)이 채용되었다. 이는 현측부를 안쪽으로 12도 기울임으로써, 장갑에 대한 적탄의 사격각이 증가할수록 명중탄이 사격하여 관통력이 감소하는 방어 배치로, 카탈로그 데이터 이상의 방어력을 발휘했다. 구체적으로는 사격각에 경사분이 더해지기 때문에, 사격각이 20°일 때 후드의 경우 실제 사격각은 32°가 되어, 갑판을 관통하는 데 필요한 사격 속도는 더욱 커지므로, 갑판의 두께로 대략 100mm 정도 증가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경사 장갑을 채용하여, 갑판에 필요한 중량을 경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후드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시대의 전체 방어 방식을 취하는 전함 이상의 방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방식은 이후 넬슨급 전함에도 채용되었다.
후드는 동시대 전함과 마찬가지로 이중 방어 방식을 채택하여, 제1 장갑으로 포탄의 신관을 발동시켜 폭발시키거나 비모를 파쇄하여 관통력을 감소시키고, 제2 장갑으로 관통한 파편이나 포탄의 침입을 막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후드의 수직 방어는 바이탈 파트의 제1 장갑이 수선부 약 30.48cm, 중갑판 측면 약 17.78cm, 상갑판 측면 약 12.70cm로 구성되었으며, 제2 장갑에는 약 5.08cm의 강판이 사용되었다. 또한, 비바이탈 파트의 함전부 일부에 약 12.70cm에서 약 15.24cm, 함후부에도 약 15.24cm의 강판이 장착되었다. 이 장갑 배치를 보면 수선부 갑판의 두께가 오라이온급 전함과 같이 약 30.48cm이므로 후드의 수직 방어는 다른 영국 전함과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측 갑판을 12° 기울여 장착함으로써 후드의 수직 방어는 오라이온급이나 동시기에 기공된 리벤지급 전함을 능가하는 수준이 되었으며, 자함의 포에 대해서는 20,000m~15,000m가 안전 전투 거리였다.
경(輕) 방어라고 평가받는 후드의 장갑 배치는,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는 함선으로서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 방어는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고, 약 40.64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를 갖춘 넬슨급 전함이나 사우스다코타급 전함과 비교했을 때, 뒤떨어지는 수준이었다. 다만,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는 함선 중에서는 경사 장갑이 채택되었고, 약 38.10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로는 부족했지만, 충분한 약 35.56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를 갖춘 함선이었다. 또한, 포문식으로 장착된 14cm 속사포의 측면에는 장갑판이 장착되지 않았지만, 14cm 속사포의 탄약고 자체는 수선 아래의 제2 포탑 탄약고 후부와 제3 포탑 탄약고 전부에 배치되었다.
약 30.48cm 장갑 아래의 수선하 장갑은 76mm까지 얇아졌으며, 그 아래에서 함저부까지는 38mm까지 얇아졌다. 어뢰 방어로서 수선부 장갑 아래에는 벌지가 설치되었으며, 그 구조는 액체층과 공기층에 38mm 장갑을 끼운 안쪽이 연료 탱크의 삼중 구조로 되어 있었고, 그 안쪽의 수밀 격벽에는 18mm 장갑이 부착되었다. 이중 바닥의 내부에는 물 또는 연료가 채워져 있었다.
한편, HMS 후드(51)의 갑판 방어는 원안보다 약간 강화되었다. 탄약고 상부: 최상 갑판 약 5.08cm, 상 갑판 약 2.54cm, 중 갑판 약 5.08cm, 기관부 상부: 최상 갑판 1 1/2인치, 상 갑판 약 2.54cm, 중 갑판 약 5.08cm로 HMS 후드(51) 준공 당시 영국 전함 중에서는 퀸 엘리자베스급을 능가하고, 리벤지급에 이어 두 번째로 우수한 수평 방어력을 갖춘 함선이 되었다. 또한, 중 갑판 양단을 경사지게 하여 약 5.08cm에서 약 3.81cm의 장갑을 설치, 수직 방어의 일부를 구성했다. 이 HMS 후드(51)의 수평 방어는 자함의 포탄에 대해서는 대략 25,000m 혹은 20,000m 이하의 경우, 바이탈 파트(vital part) 부위에 대한 포탄 관통을 방어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3중 갑판 방어 때문에, 접촉 신관의 적탄에 대해서는 그 에너지가 최상 갑판에서 기폭 소산되어 그 아래층은 손상되지 않았으며, 전함·순양함에 사용되는 대지연탄 바닥 신관이 사용된 철갑탄에 대해서는 그 위력을 감쇄하도록 설계되었다. 기관 구역의 굴뚝 기부에는 13mm 장갑이 부착되었다. 함교 기부는 38mm, 부포 케이스메이트 배치 위치는 127mm였다. 이는 재설계 등 대폭적인 개정을 하는 것보다 기존 장갑을 두껍게 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었다.
주포탑의 장갑은 전면 방패가 381mm, 측면 방패가 305mm에서 279mm로 경사지면서 감소하고, 후면 방패는 279mm, 천개는 127mm로 강력한 방어력을 갖추었다. 다만, 주포탑을 지지하는 기부(바벳)의 방어는 갑판 상부는 305mm로 전함 수준이었지만, 상 갑판부터 하부는 외측이 254mm, 내측은 152mm, 더 나아가 주 갑판은 127mm로 급격히 얇아지는, 초기 영국 순양전함과 다름없는 취약한 방어력을 보였다. 전후 탄약고를 보호하는 전후 격벽(bulk heads)의 두께는 102mm에서 128mm이다. 사령탑의 방어는 전면 방패가 254mm이며 측면 방패와 후면이 228mm, 거기에서 아래는 178mm에서 152mm까지 경사지면서 감소했다.
어뢰 방어 벌지는 영국의 순양전함 중 처음으로 적용되었으며, 후드의 방어력을 향상시켰다. 230mm의 벌지가 A~Y 바벳까지 뻗어 있었다. 벌지 내부는 2층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안쪽은 중유 탱크를 겸하고, 바깥쪽에는 길이 2.4m, 직경 250mm의 수밀 강관이 채워져 있었다. 수밀 강관은 5열로 배열되어, 어뢰 폭발의 충격을 흡수했다.
3. 1. 주포
HMS Hood영어는 15인치(38.1cm) Mk I 연장포 4기를 장착했으며, 포탑은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A', 'B', 'X', 'Y'로 지정되었다.[9] 각 포마다 120발의 포탄을 탑재했다.[3] 주포는 두 개의 사격 통제 장치에 의해 제어되었다. 하나는 함교 위에 장착되어 장갑 후드로 보호되었으며, 약 9.14m 거리 측정기가 장착되었다. 다른 하나는 삼각 전방 돛대 위에 있는 스포팅 탑에 장착되었으며 약 4.57m 거리 측정기가 장착되었다. 각 포탑에도 약 9.14m 거리 측정기가 장착되었다.[14]3. 2. 부포 및 대공포
후드는 버켄헤드급 경순양함을 위해 개발된 Mark I 1915년형 14cm(50구경) 속사포를 부포로 채택했다. 이 포는 37.2kg의 포탄을 최대 앙각 30도로 16,250m까지 발사할 수 있었으며, 분당 12발의 빠른 발사 속도를 가졌다. 14cm 속사포는 단장 포가로 현측 케이스메이트에 12기가 장착되었다.[133] 그러나 14cm 포탄은 15.2cm 포탄보다 가벼워 위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후드에만 채용되었다.
1940년에는 부포인 14cm 속사포가 철거되고, 대신 10.2cm 고사포가 연장 포가 5기로 교체되었다.
대공 화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대공포와 기관총, 로켓포가 추가되었다.
- 1931년: 비커스 4cm(39구경) 폼폼포 8연장 포가 2기 추가
- 1932년: 비커스 12.7mm(62구경) 기관총 4연장 포가 2기 추가
- 1937년: 10.2cm 고사포 단장 포가 2기, 4cm 8연장 폼폼포 1기, 12.7mm 4연장 기총 2기 추가
- 1940년: 17.8cm 20연장 로켓포 5기 추가
개장에 따른 무장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개장 연도 | 부포 | 비포 | 대공 화기 | 기관포 | 기총 | 뇌장 | 기타 |
---|---|---|---|---|---|---|---|
취역 시 | 14cm 속사포 12기 | 4.7cm 속사포 4기 | 10.2cm(45구경) 단장 고각포 4기 | 53.3cm 단장 어뢰 발사관 6문 | |||
1931년 | 4cm 8연장 퐁퐁포 2기 | 수상기 1기, 캐터펄트 설치 | |||||
1932년 | 12.7mm 4연장 기총 2기 | 항공 병장 철거 | |||||
1937년 | 10.2cm(45구경) 단장 고각포 6기 | 4cm 8연장 퐁퐁포 3기 | 12.7mm 4연장 기총 4기 | 53.3cm 단장 어뢰 발사관 4문 | |||
1938년 | 14cm 속사포 10기 | 10.2cm(45구경) 단장 고각포 6기 10.2cm(40구경) 단장 고각포 2기 | |||||
1939년 6월 | 10.2cm(45구경) 단장 고각포 6기 10.2cm(45구경) 연장 고각포 4기 | ||||||
1939년 8월 | 14cm 속사포 12기 | 10.2cm(45구경) 연장 고각포 4기 | |||||
1940년 5월 | 철거 | 10.2cm(45구경) 연장 고각포 7기 17.8cm 20연장 로켓포 5기 | 1941년에 279형 레이더와 284형 레이더 설치 |
3. 3. 기관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4기의 브라운-커티스 기어식 증기 터빈으로 구동되었으며, 각 터빈은 24기의 야로우 보일러에서 제공되는 증기를 사용하여 1개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했다. 이 순양전함의 터빈은 144000shp를 생산하도록 설계되어 31kn의 속도로 항해할 수 있었다. 1920년 해상 시운전 동안 ''후드''는 151280shp의 터빈 출력을 보여 32.07kn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었다.[8]기관 배치는 함수 쪽에 보일러실, 함미 쪽에 터빈을 수납하는 기계실을 배치하는 영국 순양전함 전통의 전(前) 보일러 전(前) 기계 배치였다. 보일러실은 횡격벽으로 구분된 4실 구성으로 1실당 보일러 6기를 탑재했다. 기계실은 횡격벽으로 구분된 3실 구성으로 제1기계실에는 외축용 터빈 2기, 제2기계실은 좌현 측 내축 1기, 제3기계실에 우현 측 내축 1기를 배치했다.[134] 4축 모두 스크루 프로펠러는 4엽이었다.[135]
연료는 중유 4,000톤을 탑재하여, 항속 거리는 10노트에서 4,000해리로 계산되었다. 1931년 개장 시 연료 탱크를 확충하여 4,615톤을 탑재, 14노트에서 8,900해리를 항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만재 배수량은 48,000톤이 되었다.[136]
3. 4. 방어
1915년에 시작된 후드의 건조 계획은 1916년 유틀란트 해전의 결과로 방어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따라 수정되었다. 이로 인해 경사 장갑이 채택되어 방어력이 강화되었고, 수선부 장갑은 최대 약 30.48cm였다. 이 경사 장갑 아이디어는 훗날 미국 전함 사우스다코다급과 아이오와급 전함에 반영되었다.[21]어드미럴급의 장갑 계획은 원래 타이거급 순양전함을 기반으로 약 20.32cm의 수선 벨트를 갖추고 있었다. 타이거와 달리 장갑은 수선에서 12°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평탄 궤도 포탄에 대한 상대적인 두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 변경으로 인해 함선은 급강하(고각) 포탄에 더 취약해졌다.[21]
장갑 벨트는 면경화 크루프 피복강(KC)으로 구성되었으며, 3개의 스트레이크로 배치되었다. 주요 수선 벨트는 'A'와 'Y' 바벳 사이에서 약 30.48cm 두께였고, 함선 양쪽 끝으로 갈수록 약 12.70cm에서 약 15.24cm으로 얇아졌다. 중간 장갑 벨트는 최대 약 17.78cm 두께였으며, 'A' 바벳 앞에서는 약 12.70cm으로 얇아졌다. 상부 벨트는 중앙부에서 약 12.70cm 두께였고 'A' 바벳까지 연장되었으며, 짧은 약 10.16cm 연장이 선미에 있었다.[23]
포탑과 바벳은 포탑 상부를 제외하고 약 27.94cm에서 약 38.10cm의 KC 장갑으로 보호되었고, 포탑 상부는 약 12.70cm 두께였다. 갑판은 고장력강으로 만들어졌다. 포캐슬 갑판의 두께는 약 4.45cm에서 약 5.08cm였고, 상부 갑판은 탄약고 위에서 약 5.08cm 두께였고 다른 곳에서는 약 1.91cm 두께였다. 주 갑판은 탄약고 위에서 약 7.62cm 두께였고 다른 곳에서는 약 2.54cm 두께였으며, 주 벨트의 하단과 만나는 약 5.08cm 두께의 경사는 예외였다. 하부 갑판은 추진축 위에서 3인치, 탄약고 위에서 2인치, 다른 곳에서는 약 2.54cm 두께였다.[24]
유틀란트 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1916년 말, 설계에 약 약 5080235.00kg의 장갑이 추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흘수 증가와 속도 감소가 약간 발생했다. 건설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전체 함선을 재설계하는 대신 기존 장갑을 두껍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1] 완성된 상태에서 후드는 급강하 포탄과 폭탄에 여전히 취약했다.[24]
어뢰에 대한 방어를 위해 약 2.29m 깊이의 어뢰 벌지가 설치되었으며, 이는 선수와 선미 바벳 사이의 함선 전체 길이에 걸쳐 있었다. 벌지는 비어있는 외부 구획과 폭발의 힘을 흡수하고 분산시키기 위한 5열의 방수 "파쇄 튜브"로 채워진 내부 구획으로 나뉘었다. 벌지는 약 3.81cm 두께의 어뢰 격벽으로 뒷받침되었다.[27]
영국 해군은 존 아버스노트 피셔가 제창한 "속력이 곧 방어력"이라는 개념으로 순양전함을 설계, 건조했다. 중무장, 고속력, 경방어라는, 이른바 "피셔 디자인"이었다. 그러나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 해군 순양전함 3척이 폭침되고, 최신예 라이온도 주포탑을 관통당해 대파되었다.
이 전훈에 기초하여,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은 요구 성능인 고속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어력을 강화하는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후드"는 영국 순양전함으로서는 획기적인 방어력을 얻었다. 현측 장갑 두께는 당시 영국 전함과 동등한 305mm, 수평 장갑도 127mm로 증강되었다. 다만, 수평 방어의 약점은 "후드"의 아킬레스건이었고, 이는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후드 침몰의 한 원인이 되었다.
후드는 영국 순양전함으로, 최초로 "적 전함의 포격에 견딜 가능성이 있는 방어"를,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갖춘 최초이자 마지막 순양전함이었다. 그러나 유틀란트 해전에서는 아웃레인지 전법이 통하지 않았고, 전함과 순양전함이 뒤섞여 싸우게 되었다. 열강 각국은 "기존의 순양전함은 전함 수준의 방어력이 필요하며, 전함은 순양전함 수준의 속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영국 해군은 후드부터 장갑 두께를 증강하여 방어력을 기존 전함 수준으로 할 방침이 되었다. 다만, 구조를 대규모로 변경하기에는 건조가 너무 진행되었고, 그 대신 장갑을 5000ton 가까이 증강했다. 그 결과, 배수량에 비해 방어 중량은 32.7%에 달했으며, 킹 조지 5세급의 33.2%에 다음가는 수치였다.
후드의 현측 방어는 높이가 낮은 장갑판을 가로 방향으로 넓게 붙이는 기존의 전체 방어 방식이었다. 원안에서는 후드의 장갑은 순양전함 타이거를 기반으로 현측 약 20.32cm, 수평 약 7.62cm였지만, 타이거와는 달리, 현측 장갑의 장착 방식은 각국의 전함에 앞서 경사 장갑(Inclined Armour)이 채용되었다. 이는 현측부를 안쪽으로 12도 기울임으로써, 장갑에 대한 적탄의 사격각이 증가할수록 명중탄이 사격하여 관통력이 감소하는 방어 배치로, 카탈로그 데이터 이상의 방어력을 발휘했다. 구체적으로는 사격각에 경사분이 더해지기 때문에, 사격각이 20°일 때 후드의 경우 실제 사격각은 32°가 되어, 갑판을 관통하는 데 필요한 사격 속도는 더욱 커지므로, 갑판의 두께로 대략 100mm 정도 증가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경사 장갑을 채용하여, 갑판에 필요한 중량을 경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후드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시대의 전체 방어 방식을 취하는 전함 이상의 방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방식은 이후 넬슨급 전함에도 채용되었다.
후드는 동시대 전함과 마찬가지로 이중 방어 방식을 채택하여, 제1 장갑으로 포탄의 신관을 발동시켜 폭발시키거나 비모를 파쇄하여 관통력을 감소시키고, 제2 장갑으로 관통한 파편이나 포탄의 침입을 막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후드의 수직 방어는 바이탈 파트의 제1 장갑이 수선부 약 30.48cm, 중갑판 측면 약 17.78cm, 상갑판 측면 약 12.70cm로 구성되었으며, 제2 장갑에는 약 5.08cm의 강판이 사용되었다. 또한, 비바이탈 파트의 함전부 일부에 약 12.70cm에서 약 15.24cm, 함후부에도 약 15.24cm의 강판이 장착되었다. 이 장갑 배치를 보면 수선부 갑판의 두께가 오라이온급 전함과 같이 약 30.48cm이므로 후드의 수직 방어는 다른 영국 전함과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측 갑판을 12° 기울여 장착함으로써 후드의 수직 방어는 오라이온급이나 동시기에 기공된 리벤지급 전함을 능가하는 수준이 되었으며, 자함의 포에 대해서는 20,000m~15,000m가 안전 전투 거리였다.
경(輕) 방어라고 평가받는 후드의 장갑 배치는,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는 함선으로서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 방어는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고, 약 40.64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를 갖춘 넬슨급 전함이나 사우스다코타급 전함과 비교했을 때, 뒤떨어지는 수준이었다. 다만, 전체 방어 방식을 채택하는 함선 중에서는 경사 장갑이 채택되었고, 약 38.10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로는 부족했지만, 충분한 약 35.56cm 포탄에 대응하는 방어를 갖춘 함선이었다. 또한, 포문식으로 장착된 14cm 속사포의 측면에는 장갑판이 장착되지 않았지만, 14cm 속사포의 탄약고 자체는 수선 아래의 제2 포탑 탄약고 후부와 제3 포탑 탄약고 전부에 배치되었다.
약 30.48cm 장갑 아래의 수선하 장갑은 76mm까지 얇아졌으며, 그 아래에서 함저부까지는 38mm까지 얇아졌다. 어뢰 방어로서 수선부 장갑 아래에는 벌지가 설치되었으며, 그 구조는 액체층과 공기층에 38mm 장갑을 끼운 안쪽이 연료 탱크의 삼중 구조로 되어 있었고, 그 안쪽의 수밀 격벽에는 18mm 장갑이 부착되었다. 이중 바닥의 내부에는 물 또는 연료가 채워져 있었다.
한편, HMS 후드(51)의 갑판 방어는 원안보다 약간 강화되었다. 탄약고 상부: 최상 갑판 약 5.08cm, 상 갑판 약 2.54cm, 중 갑판 약 5.08cm, 기관부 상부: 최상 갑판 1 1/2인치, 상 갑판 약 2.54cm, 중 갑판 약 5.08cm로 HMS 후드(51) 준공 당시 영국 전함 중에서는 퀸 엘리자베스급을 능가하고, 리벤지급에 이어 두 번째로 우수한 수평 방어력을 갖춘 함선이 되었다. 또한, 중 갑판 양단을 경사지게 하여 약 5.08cm에서 약 3.81cm의 장갑을 설치, 수직 방어의 일부를 구성했다. 이 HMS 후드(51)의 수평 방어는 자함의 포탄에 대해서는 대략 25,000m 혹은 20,000m 이하의 경우, 바이탈 파트(vital part) 부위에 대한 포탄 관통을 방어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3중 갑판 방어 때문에, 접촉 신관의 적탄에 대해서는 그 에너지가 최상 갑판에서 기폭 소산되어 그 아래층은 손상되지 않았으며, 전함·순양함에 사용되는 대지연탄 바닥 신관이 사용된 철갑탄에 대해서는 그 위력을 감쇄하도록 설계되었다. 기관 구역의 굴뚝 기부에는 13mm 장갑이 부착되었다. 함교 기부는 38mm, 부포 케이스메이트 배치 위치는 127mm였다. 이는 재설계 등 대폭적인 개정을 하는 것보다 기존 장갑을 두껍게 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었다.
주포탑의 장갑은 전면 방패가 381mm, 측면 방패가 305mm에서 279mm로 경사지면서 감소하고, 후면 방패는 279mm, 천개는 127mm로 강력한 방어력을 갖추었다. 다만, 주포탑을 지지하는 기부(바벳)의 방어는 갑판 상부는 305mm로 전함 수준이었지만, 상 갑판부터 하부는 외측이 254mm, 내측은 152mm, 더 나아가 주 갑판은 127mm로 급격히 얇아지는, 초기 영국 순양전함과 다름없는 취약한 방어력을 보였다. 전후 탄약고를 보호하는 전후 격벽(bulk heads)의 두께는 102mm에서 128mm이다. 사령탑의 방어는 전면 방패가 254mm이며 측면 방패와 후면이 228mm, 거기에서 아래는 178mm에서 152mm까지 경사지면서 감소했다.
어뢰 방어 벌지는 영국의 순양전함 중 처음으로 적용되었으며, 후드의 방어력을 향상시켰다. 230mm의 벌지가 A~Y 바벳까지 뻗어 있었다. 벌지 내부는 2층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안쪽은 중유 탱크를 겸하고, 바깥쪽에는 길이 2.4m, 직경 250mm의 수밀 강관이 채워져 있었다. 수밀 강관은 5열로 배열되어, 어뢰 폭발의 충격을 흡수했다.
4. 운용 ইতিহাস
1920년 3월 5일에 진수된 HMS 후드는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체결 및 발효로 인해 1936년 비스마르크급 전함이 등장하기 전까지 배수량으로 후드를 능가하는 전함은 없었다. 후드는 취역부터 격침될 때까지 대규모 근대화 개장을 거의 받지 않아, 1931년까지 받은 개장은 비행기 사출기, 장갑 증강, 약간의 함포 추가 정도였으며, 그 외의 보완은 이루어지지 않아 노후화가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속력은 29.5노트로 저하되었다.[47]
1940년 후드는 항구에 입항해 부포를 대공포로 교체하여 대공 능력을 강화했다. 이후 'H부대(Task Force H)' 기함으로 1940년 7월 3일 '비행기 사출기 작전'에 참가해 북아프리카 프랑스 식민지에 정박한 프랑스 해군 전함 브르타뉴 등 4척을 격침시키고, 됭케르크와 프로방스를 중파시켰다. 이 작전 이후 영국으로 귀환해 기관의 오버히트와 대공 레이다, 사격 레이다 증설을 받았다.[57]
1941년 5월 21일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함께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 추격을 명령받았다. 5월 24일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 사이의 해협(덴마크 해협)에서 독일 해군의 전함 비스마르크와 중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을 발견해 전투를 개시했다. 전투 시작 6분 후, 비스마르크의 5번째 포탄이 후드의 가장 취약한 갑판을 뚫고 탄약고에 명중, 폭발하여 선체를 두 동강 내 3분 만에 침몰하였다. 승무원 1419명 중 단 3명만이 생존하였다.[63][66]
후드는 대영 제국의 상징으로서 세계 각지를 순방하며 그 위용을 과시했다.[43][44] 취역 직후 대서양 함대 전함 기동전대의 기함이 되었으며, 로저 키스 제독의 지휘 아래 스칸디나비아 해역을 순항했다. 이후 지중해를 방문하여 지중해 함대와 훈련을 진행했고, 브라질과 서인도 제도로 순항했다.[43] 존 임 턴 대령 지휘 아래에서는 전함 리펄스, 제1 경순양함 기동전대 소속 다나에급 경순양함들과 함께 세계 일주 항해에 나섰다. 이 순항은 자치령들에게 영국의 해상력을 과시하고 지원을 요청하기 위한 목적이었다.[44] 1929년부터 1931년까지 대대적인 개장을 받았고, 이후 전함 기동전대의 기함 역할을 재개했다. 1935년에는 전함 리나운과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48]
4. 1. 전간기 활동
1920년 5월 15일 취역 직후, ''후드''는 대서양 함대 전함 기동전대의 기함이 되었으며, 로저 키스 제독이 지휘했다. 그 해 스칸디나비아 해역을 순항한 후 제프리 맥워스 대령이 지휘를 맡았다. ''후드''는 1921년과 1922년에 기함의 위용을 과시하고 지중해 함대와 훈련하기 위해 지중해를 방문했으며, 그 후 전함 기동전대와 함께 브라질과 서인도 제도로 순항했다.[43]존 임 턴 대령의 지휘 아래, ''후드''는 전함 리펄스와 제1 경순양함 기동전대의 다나에급 경순양함들과 함께 1923년 11월 파나마 운하를 경유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세계 일주 항해를 시작했다. 이 순항의 목적은 자치령들에게 영국의 해상력에 대한 의존성을 상기시키고 돈, 함선, 시설로 이를 지원하도록 장려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10개월 후인 1924년 9월에 남아프리카 연방,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뉴펀들랜드 및 기타 식민지 및 속령, 그리고 미국을 방문하고 귀국했다.[44]


1924년 4월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동안, 기동전대는 전함 오스트레일리아를 공해로 호위했으며, 그곳에서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을 준수하여 자침시켰다.[45] 전함 기동전대는 1925년 1월 바스코 다 가마 기념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리스본을 방문한 후 지중해로 이동하여 훈련을 실시했다. ''후드''는 이후 10년 동안 매년 겨울 지중해 훈련 방문을 반복했다.
''후드''는 1929년 5월 1일부터 1931년 3월 10일까지 대대적인 개장을 받았고, 이후 전함 기동전대의 기함 역할을 재개했다. 그 해 후반, 그녀의 승무원은 수병들의 임금 삭감에 대한 인버고든 반란에 참여했다. 이것은 평화롭게 끝났고 ''후드''는 이후 모항으로 돌아갔다.
지중해 순항을 위해 지브롤터로 향하던 중, ''후드''는 1935년 1월 23일 좌현 갑판에서 전함 리나운에 의해 충돌했다. ''후드''의 피해는 왼쪽 외부 프로펠러와 약 45.72cm의 움푹 들어간 곳으로 제한되었지만, 일부 선체 판이 충돌로 인해 떨어져 나갔다. 임시 수리가 지브롤터에서 이루어진 후, 배는 1935년 2월부터 5월 사이에 영구 수리를 위해 포츠머스로 항해했다.

배는 이듬해 8월 조지 5세 국왕의 실버 주빌리 함대 열병식에 스핏헤드에서 참가했다. 그녀는 그 직후 지중해 함대에 배속되어 10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발발 시 지브롤터에 주둔했다. 그녀는 스페인 내전이 시작된 직후인 10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지중해 함대로 이동했다.[49] 1937년 4월 23일, 배는 항구를 봉쇄하려던 국민주의자 순양함 알미란테 세르베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세 척의 영국 상선을 빌바오 항구로 호위했다.[50]
4.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39년 5월, 어바인 글레니 함장의 지휘 아래 ''후드''는 본국 함대의 순양전함 전대에 배속되었다. 그해 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주로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 인근을 순찰하며 호송 선단을 보호하고 대서양으로 돌파하려는 독일 상선 약탈자와 봉쇄 돌파선을 요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56] 1940년 초, ''후드''의 기계는 심각한 상태가 되어 최고 속도가 26.5kn로 제한되었고, 4월 4일부터 6월 12일 사이에 재정비를 받았다.[56]1940년 7월, 후드는 H 부대의 기함으로서 메르스엘케비르에서 프랑스 함대 격침 작전에 참여했다.[57] 프랑스의 항복 8일 후, 영국 해군은 오랑에 정박해 있던 프랑스 함대에 함선을 영국 또는 중립 항구에 억류하여 추축국의 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 조건이 거부되자 영국 해군은 프랑스 함대에 포격을 가했다. 후드의 포격 결과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됭케르크에 피해를 입혔다.[57] 스트라스부르는 항구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후드와 몇 척의 경순양함이 추격했지만 두 시간 후에 포기했다.[57]
''후드''는 스카파플로로 귀환한 후 8월 10일, ''리나운''에게 제1기동부대의 기함 자리를 넘겨주었다. 9월 13일, 독일의 침공 함대를 요격하기에 더 유리한 위치에 배치되기 위해 로사이드로 보내졌다. 침공의 위협이 줄어들자 호송선단 호위 및 독일 통상 파괴자에 대한 순찰 임무를 재개했다.[58]
1941년 1월, 이 함선은 3월까지 이어진 개장을 시작했다. 개장 후에도 상태는 여전히 좋지 않았지만, 독일 주력함의 위협이 워낙 커서 급 전함이 더 많이 실전 배치되기 전까지는 대규모 개수를 위해 도크에 들어갈 수 없었다. 랄프 커 대령이 개장 기간 동안 지휘권을 인수했고, ''후드''는 3월 중순 개장이 완료되자마자 독일 전함 및 를 요격하기 위해 출항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실패한 후, 브레스트에서 독일 함선의 탈출 시도를 막기 위해 비스케이 만을 순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4월 19일, 영국 해군성은 가 독일에서 출항했다는 잘못된 보고를 받자, ''후드''는 노르웨이 해로 출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 후, 북대서양을 순찰하다가 5월 6일 스카파플로에 입항했다.[59]
4. 3. 덴마크 해협 해전과 침몰
1941년 5월 21일,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함께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를 추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후드는[60] 5월 24일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 사이의 덴마크 해협에서 독일 해군의 전함 비스마르크와 프린츠 오이겐을 발견하여 전투를 개시했다. 전투 시작 6분 후, 비스마르크의 5번째 포탄이 후드의 가장 취약한 갑판을 뚫고 내려가 탄약고에 명중, 폭발하며 선체를 두 동강 내 3분 만에 침몰하였다.[63] 승무원 1419명 중 단 3명만이 생존하였다.[66]

영국 함대는 오전 5시 37분에 독일 함대를 발견했지만,[61] 독일군은 이미 영국 함대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프린츠 오이겐의 수중 음파 탐지기가 남동쪽에서 고속 프로펠러 소리를 감지했기 때문이다. 영국군은 05시 52분에 사격을 시작했고, ''후드''는 독일 함대의 선두인 ''프린츠 오이겐''과 교전했으며, 독일군은 05시 55분에 반격을 시작했다. ''프린츠 오이겐''은 포탄이 ''후드''의 보트 갑판, 굴뚝 사이를 명중시켜 대공포 및 로켓용 탄약에 큰 화재를 일으키면서 첫 번째 명중을 기록했을 것이다.[62]
06:00 직전, ''후드''가 후방 포탑을 드러내기 위해 좌현으로 20° 선회하는 동안, ''비스마르크''의 다섯 번째 일제 사격에서 1발 이상의 포탄이 보트 갑판을 명중시켰다.[63] 이 일제 사격의 포탄은 정찰탑을 명중한 것으로 보이며, 보트 갑판에는 신체 일부와 잔해들이 쏟아졌다.[64] 거대한 화염이 주 마스트 부근에서 ''후드''에서 분출되었고,[65] 이어서 선미 부분을 파괴하는 엄청난 탄약고 폭발이 일어났다. 이 폭발로 ''후드''의 허리가 부러졌고, 불과 3분 만에 침몰하였다.[63]
구축함 일렉트라는 침몰 약 2시간 후, 테드 브리그스, 로버트 틸번, 윌리엄 존 던다스 3명을 구조하였다.[66] 일렉트라는 상당한 잔해를 발견했지만 시신은 발견하지 못했다.[67]
''프린스 오브 웨일스''함은 ''후드''함 격침 이후 독일군의 피격으로 인한 피해와 함포 및 포탑의 기계적 고장으로 교전을 중단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번이나 ''비스마르크''함을 명중시켰다. 이 중 한 발은 함선의 연료 공급의 상당 부분을 오염시켰고, 그 결과 수리를 위해 점령 프랑스로 향하게 했다. ''비스마르크''함은 일시적으로 탐지를 피할 수 있었지만, 나중에 발견되어 5월 27일에 격침되었다.[68]
5. 침몰 원인 분석
- - --
HMS 후드의 침몰 원인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1941년 5월 24일 덴마크 해협 해전에서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의 포격으로 침몰한 후, 영국 해군은 두 차례의 공식 조사 위원회를 소집하여 침몰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첫 번째 조사 위원회는 제프리 블레이크 중장 주재 하에 침몰 후 2주도 채 안 된 6월 2일에 보고서를 제출했다. 위원회는 비스마르크의 15인치 포탄이 후드의 방어막을 관통하여 후미 탄약고를 폭발시켰다고 결론지었다.[70]
그러나 해군 참모 차장 톰 필립스 소장 등은 증언 기록이 정확하게 보관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사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해군 건설국장 스탠리 V. 굿올은 후드가 자체 어뢰 폭발로 파괴되었다는 다른 이론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해럴드 워커 소장 지휘 하에 두 번째 조사 위원회가 소집되어 1941년 9월에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조사는 176명의 목격자 증언을 수집하는 등 더 철저하게 진행되었다.[71] 위원회는 비스마르크의 15인치 포탄이 후드의 4인치 또는 15인치 탄약고에 명중하거나 근접하여 폭발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함선 후미가 파괴되었다고 보았다.[72] 4인치 탄약고가 먼저 폭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두 조사 위원회 모두 홀랜드 중장의 책임을 면책했다.[73]
5. 1. 주요 가설
다음은 HMS 후드 (51)의 침몰 원인에 대한 주요 가설들이다.- 비스마르크의 포탄에 의한 직접적인 탄약고 명중: 비스마르크의 15인치 포탄이 탄약고를 직접 관통하여 대규모 폭발을 일으켰다는 가설이다. 당시에는 이 가설이 유력하게 여겨졌으나, 주 돛대 근처에서 폭발이 시작되었다는 목격 증언[77]으로 인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 수면 아래를 통과한 포탄에 의한 탄약고 명중: 비스마르크의 포탄이 수면 아래를 통과하여 장갑대 아래를 관통, 탄약고에 명중했다는 가설이다. 프린스 오브 웨일스함이 이와 유사한 피해를 입었으나[78], 조사 위원회는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 자체 어뢰 폭발: 스탠리 V. 굿올은 후드 자체의 어뢰가 폭발하여 선체 측면에 큰 구멍이 생겼고, 고속으로 인해 유입된 물의 압력으로 선체 후미가 파괴되었다고 추측했다.[79]
- 갑판 화재로 인한 탄약고 폭발: 갑판에서 발생한 화재가 탄약고로 번져 폭발을 일으켰다는 가설이다. 4인치 포탄 탄약 공급로의 문이 닫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80], 포탄 명중으로 인해 문이나 탄약고에 구멍이 생겨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탄약고 외부에 저장된 4인치 포탄 폭발: 해군 역사가 앤토니 프레스턴은 탄약고 외부에 보관된 4인치 포탄이 폭발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81]
- 자체 15인치 주포 포신 내 폭발: 후드의 15인치 주포 포신 내에서 폭발이 일어나 포탑 내부 폭발로 이어졌을 가능성이다.[82]
최근 해저 잔해 조사 결과, 후방 탄약고가 폭발했음이 확인되었다.[85]
5. 2. 현대의 연구
침몰 후 조사위원회의 결론은 "비스마르크의 15인치 포탄이 후드의 고각포용 4인치 포 또는 주포용 15인치 포의 탄약고에 명중하여 유폭했기 때문에 선체 후부가 파괴되었다"는 것이었다. 4인치 포의 탄약고가 먼저 폭발하고 15인치 포의 탄약고가 뒤따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72]
이에 대해,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추측들이 제기되고 있다.
- 고각포 탄약고에 포탄 직격: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우선 주 돛대 부근에서 폭연이 일어났는데, 이는 4인치 포 탄약고의 폭연이 기관용 환기구를 통해 솟아올랐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이 폭연이 15인치 포 탄약고와의 격벽을 파괴하여 치명적인 유폭을 일으켰다는 것이 조사위원회의 결론이다.[77]
- 수중탄에 의한 탄약고 직격: 비스마르크와의 교전 중 프린스 오브 웨일스는 15인치 포 수중탄에 맞아 손상되었다. 조사위원회에서는 수중탄의 경우 신관이 작동하면 선체에 직격하기 전에 포탄이 작렬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78]
- 탑재 어뢰 유폭에 의한 침몰: 스탠리 굿올 경(해군조선부장)은 화재 연소 또는 포탄 직격으로 탑재 어뢰가 유폭하여 선체 측면에 큰 구멍이 생겼고, 그곳으로 30노트의 빠른 속도로 물이 유입되어 선체 후부가 찢어진 것이 아니냐고 추측했다.[79]
- 갑판 위 화재 연소에 의한 탄약고 유폭: 조사위원회에 따르면 4인치 포 탄약 공급로는 교전 중 닫혀 있었지만, 포탄 명중으로 탄약고에 구멍이 생겨 연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환기 장치나 15인치 포탑 바닥을 통한 연소 가능성도 제기되었다.[80]
- 탄약고 외부에 쌓인 4인치 포탄 유폭: 1979년 해군 사학자 앤서니 프레스턴은 4인치 포탄이 후부 탄약고 주위에 쌓여 있었고, 포탄 명중이나 화재 연소로 유폭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81]
- 후드 15인치 포의 포신 내 폭발: 일부 증언은 후드 자신의 15인치 포신 내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포탑 폭발로 이어졌다고 증언했다. 전투 중 안전 절차가 소홀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82]
줄렌스는 프레스턴의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 이론들을 검증했다. 그는 침몰 원인이 4인치 포 탄약고 폭발일 가능성이 높지만, 폭발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비스마르크의 15인치 포탄이 수평 장갑을 관통하여 탄약고에 명중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교전 거리에서 15인치 포탄의 수직 명중 각도가 14도 이하로 수평 장갑 관통 가능성은 낮지만, 현측 장갑대를 관통했을 가능성은 있다고 보았다.[83]
최근 후드의 해저 잔해 조사 결과, 후부 탄약고가 폭발했음이 확인되었다. 후부 선체는 분리되지 않아 굿올 경의 추론은 부정되었다. 대폭발 이전 4인치 포 탄약고에서의 연기는 후드의 15인치 포 포신 내 폭발 가능성을 부정한다. 그 외의 추측들은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85]
2001년 7월, 해양 탐사 전문가 데이비드 메어언스가 이끄는 조사대가 수심 2800m 해저에서 후드의 잔해를 발견했다. 조사대는 후드의 마지막 좌표(북위 63도 20분 서경 31도 50분)를 중심으로 2,000제곱킬로미터 이상의 해역을 측면 주사 소나로 집중 탐사하여 광대한 해저 이미지를 구축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불과 39시간 만에 잔해 위치를 특정했다. 후드의 침몰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었지만, "운명적인 1발에 의해 침몰했다"는 사실 외에는 모든 사람을 납득시킬 수 없었다.
유틀란트 해전에서 세대는 다르지만 같은 순양전함인 타이거, 프린세스 로열, 라이온 등이 10발 가까이 피탄되었음에도 폭침하지 않고 전선에 복귀한 사례가 있었다.
원격 조작 무인 탐사기(ROV)를 사용한 상세 조사 결과, 함미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함미 탄약고가 폭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비스마르크가 발사한 38.1cm 포탄 1발이 관통, 폭발하여 침몰을 일으킨 폭발적인 화재가 후부 탄약고에서 우현 연료 탱크를 거쳐 전부 탄약고 쪽으로 번져나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012년 폴 앨런 등이 조사를 실시하여 후드의 종을 회수하려 했지만 기상 조건 등으로 실패했다. 타는 남아 좌현 20도로 고정된 채 발견되었는데, 이는 후드에 탑승한 호랜드 제독이 전투 요령에 따라 모든 주포를 독일 함대에 향하게 하려고 후드를 선회시켰음을 보여준다.
2015년 8월 7일 앨런은 다시 조사를 실시하여 종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174] 종은 1년 동안 수리될 예정이다.
6. 한국과의 관계
원문 소스에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AQ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2010-09-21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ADM 220/76: Reports of Performance in H.M.S. Hood, H.M.S. Illustrious, H.M.S. King George V and Smaller Vessels of RDF279
http://www.hmshood.o[...]
H.M.S. Hood Association
2021-05-31
[20]
웹사이트
Gunnery & Aerial Warning Radars
http://www.hmshood.o[...]
H.M.S. Hood Association
2021-05-31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Burt, p. 304
[37]
서적
Brown, pp. 170–171
[38]
웹사이트
Designing HMS ''Hood''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2008-11-30
[39]
서적
Taylor, pp. 15, 19
[40]
서적
Parkes, p. 644
[41]
서적
Burt, pp. 302, 313
[42]
서적
Taylor, p. 20
[43]
서적
Taylor, pp. 234–235
[44]
서적
Taylor, pp. 70, 236
[45]
서적
Bastock, p. 38
[46]
서적
Taylor, pp. 236–238
[47]
서적
Taylor, pp. 237–238
[48]
서적
Taylor, pp. 165–166, 167
[49]
서적
Burt, pp. 316–317
[50]
서적
Taylor, pp. 172–173, 238–240
[51]
서적
Raven and Roberts, p. 191
[52]
서적
Taylor, p. 240
[53]
서적
Raven and Roberts, pp. 195–197
[54]
서적
Raven and Roberts, p. 197
[55]
서적
Taylor, p. 39
[56]
서적
Taylor, pp. 192, 240–241
[57]
서적
Taylor, pp. 202–203
[58]
서적
Rohwer, pp. 40, 48
[59]
서적
Taylor, pp. 241–242
[60]
서적
Stephen, pp. 74–76
[61]
서적
Kennedy, pp. 78, 108
[62]
서적
Taylor, pp. 218–221
[63]
서적
Jurens, et al., p. 4
[64]
서적
Taylor, p. 221
[65]
인용
[66]
웹사이트
HMS ''Hood'' Association: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2013-06-06
[67]
서적
Taylor, p. 224
[68]
서적
Stephen, pp. 81–83, 97
[69]
서적
Taylor, p. 226
[70]
웹사이트
ADM 116/4351: Report on the Loss of HMS ''Hood''
http://www.hmshood.o[...]
HMS Hood Association
2007-03-16
[71]
문서
Jurens, p. 139
[72]
웹사이트
ADM 116/4351: Report on the Loss of HMS ''Hood''
http://www.hmshood.o[...]
HMS Hood Association
2007-03-16
[73]
문서
Chesneau, p. 173
[74]
웹사이트
HMS ''Hood'' Crew Information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75]
웹사이트
Memorials in Southsea – Portsmouth Naval Memorial
http://www.memorials[...]
InPortsmouth
[76]
웹사이트
Tombstone of H. and George Spinner
http://commons.wikim[...]
2009-09-17
[77]
문서
Jurens 1987, p. 139
[78]
문서
Jurens 1987, pp. 147–151
[79]
문서
Jurens 1987, p. 152
[80]
문서
Jurens 1987, pp. 152–153
[81]
문서
Preston 1979, p. 109
[82]
문서
Jurens 1987, p. 154
[83]
문서
Jurens 1987, pp. 122–161
[84]
웹사이트
The July 2001 Channel 4 Expedition to Locate and Film the Wrecks of ''Hood'' and ''Bismarck''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85]
문서
Jurens et al., p. 16
[86]
문서
Garzke et al., p. 268
[87]
문서
Mearns, p. 75
[88]
문서
Mearns, p. 76
[89]
문서
Mearns and White, pp. 206–207
[90]
문서
Chesneau, p. 179
[91]
문서
Mearns and White, p. 206
[92]
문서
Jurens, et al., p. 15
[93]
문서
Chesneau, p. 180
[94]
웹사이트
Statutory Instrument 2006 No. 2616 The Protection of Military Remains Act of 1986 (Designation of Vessels and Controlled Sites) Order 2006
http://www.opsi.gov.[...]
Queen's Printer of Acts of Parliament
[95]
웹사이트
Recovery of H.M.S. Hood's Bell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96]
웹사이트
H.M.S. Hood's Bell news release
http://www.hmshood.c[...]
Royal Navy
[97]
뉴스
Recovery of HMS ''Hood''#REDIRECT
https://www.bbc.co.u[...]
null
[98]
웹사이트
''Hood'' Bell Unveiling
https://www.nmrn.org[...]
National Museum of the Royal Navy
[99]
뉴스
HMS Hood's bell unveiled at Navy museum Portsmouth
https://www.bbc.co.u[...]
2016-05-24
[100]
웹사이트
Conserved HMS Hood bell rings out on 75th anniversary of largest ever Royal Navy loss
https://www.nmrn.org[...]
National Museum of the Royal Navy
[101]
웹사이트
Photos of the Wreck of H.M.S. Hood in 2001
http://hmshood.com/h[...]
2016-07-19
[102]
웹사이트
Relics of HMS Hood – Ledger Container Lid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103]
문서
"{{nowrap|{{coord|7.92770|S|14.40654|W|scale:2000_type:landmark|display=inline}}}} – corrected from Google Earth, which has a public domain picture of the emplaced weapons"
[104]
웹사이트
HMS ''Hood''#REDIRECT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2010-04-04
[105]
웹사이트
U-124
http://www.uboat.net[...]
uboat.net
[106]
웹사이트
And So Back To Conflict
http://www.heritage.[...]
Ascension Island Heritage Society
2002-02-09
[107]
웹사이트
Relics and Artefacts from ''Hood''
http://www.hmshood.c[...]
HMS Hood Association
2009-09-13
[108]
웹사이트
HMS Hood v HMS Renown propeller fragment
https://www.flickr.c[...]
2012-12-28
[109]
문서
"#英国大艦隊作戦大要、其の2 p.29"
[110]
간행물
大正6年 外国駐在員報告 巻7(防衛省防衛研究所)8年11月12日 英国高速戦艦フード」に就いて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1]
문서
条約本文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12]
간행물
Shin Sekai 1924.07.08、tnw_19240708(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p.3〔 ○世界最大の巨艦…フート 四萬七千余噸 乗組み千五百名だ〕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3]
웹사이트
世界一較べ
https://hojishinbun.[...]
Singapōru Nippō, 1936.11.14
2024-07-23
[114]
간행물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5.23、新世界朝日新聞/nws_19370523(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p.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5]
웹사이트
ビスマルク號戰闘圖 英が誇る世界最大戰艦フッド號撃沈より最後をとげるまで
https://hojishinbun.[...]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Brajiru Asahi, 1941.06.12
2023-05-28
[116]
웹사이트
(一面記事)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41.05.25
2024-07-23
[117]
웹사이트
●世界第一の戰艦
https://hojishinbun.[...]
Burajiru Jihō, 1920.01.16
2024-07-23
[118]
서적
世界の軍艦コレクション第22号
Eaglemoss Publications Ltd.
[119]
웹사이트
建艦競爭を語る……(四) 英獨の卒業試驗となつたジユトランド海戰
https://hojishinbun.[...]
Burajiru Jihō, 1933.11.15
2024-07-23
[120]
간행물
世界の艦船増刊第67集 p106
[121]
문서
"#英国大艦隊作戦大要、其の1(1) pp.7-8"
[122]
서적
イギリス戦艦史
海人社
[123]
문서
"#従軍報告(6) p.23"
[124]
웹사이트
"D'Eyncourt, Sir Eustace Henry William Tennyson-, first baronet"
Cite ODNB
2004-09-23
[125]
웹사이트
○米國海軍擴張計畫 米國の野心は海上覇權の優先 世界各國に優越せる製艦計畫 英米海權の將來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19.04.14
2024-07-23
[126]
문서
"#昭和天皇実録三巻192頁〔 ロサイス軍港御見学に御出発/フォース橋/ロサイス工廠駅御着 〕"
[127]
문서
"#昭和天皇実録三巻 194-195頁〔 駆逐艦ソーサリスに御乗艦/軍艦フッド 〕"
[128]
웹사이트
海軍軍備制限條約 外務省公表
https://hojishinbun.[...]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Shin Shina, 1922.02.26
2023-07-17
[129]
웹사이트
五万噸の超弩級二隻を 日本海軍が建造 世界最大の巨艦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37.01.20
2024-07-23
[130]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1]
서적
イギリス戦艦史
海人社
[132]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3]
문서
各国海軍大口径砲弾道比較性能比較
NavWeaps
[134]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5]
서적
イギリス戦艦史
海人社
[136]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7]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8]
서적
第2次大戦時のイギリス戦艦
海人社
[139]
서적
バート
[140]
서적
ロバーツ 1997
[141]
서적
「フッド」と「レキシントン」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1
[142]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Nippu Jiji, 1924.06.06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24-06-06
[143]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Nippu Jiji, 1924.06.12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24-06-12
[144]
간행물
Nichibei Shinbun_19240708、jan_19240708(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5]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Singapōru Nippõ, 1935.01.26
https://hojishinbun.[...]
Singapōru Nippõ
1935-01-26
[146]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5.09.18 Edition 02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5-09-18
[147]
간행물
Shin Sekai Asahi Shinbun 1935.10.02、nws_19351002(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8]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Jitsugyō no Hawai, 1935.10.01
https://hojishinbun.[...]
Jitsugyō no Hawai
1935-10-01
[149]
간행물
Shin Sekai Asahi Shinbun 1935.10.07、nws_19351007(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0]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Chōsen Shinbun, 1937.04.13
https://hojishinbun.[...]
Chōsen Shinbun
1937-04-13
[151]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Chōsen Shinbun, 1937.04.14
https://hojishinbun.[...]
Chōsen Shinbun
1937-04-14
[152]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Kashū Mainichi Shinbun, 1937.06.10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37-06-10
[153]
뉴스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7.12.22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7-12-22
[154]
문서
[155]
웹사이트
英國海軍砲撃損傷の仏國主力艦修繕成る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41.05.03
2024-07-23
[156]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Taihoku Nippō, 1940.07.12
https://hojishinbun.[...]
Taihoku Nippō
1940-07-12
[157]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Nippu Jiji, 1940.07.13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40-07-13
[158]
간행물
件名Shin Sekai Asahi Shinbun 1936.08.10、nws_19360810(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9]
뉴스
Hoji Shinbun Digital Collection、Nippu Jiji, 1941.05.26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41-05-26
[160]
웹사이트
英米日の舊艦は 獨伊佛の新艦に 到底對抗は出来ない
https://hojishinbun.[...]
Taihoku Nippō, 1935.02.09
2024-07-23
[161]
웹사이트
トピック解剖 四萬五千トン主力艦
https://hojishinbun.[...]
Nippaku Shinbun, 1939.05.10
2024-07-23
[162]
간행물
Shin Sekai Asahi Shinbun 1941.05.28、nws_19410528(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3]
간행물
Nichibei Shinbun_19410529、jan_19410529(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4]
간행물
Nichibei Shinbun_19410528、jan_19410528(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5]
서적
世界の艦船増刊第67集
[166]
문서
1987
[167]
문서
1987
[168]
문서
1987
[169]
문서
1987
[170]
문서
1979
[171]
문서
1987
[172]
문서
1987
[173]
웹사이트
Statutory Instrument 2006 No. 2616 The Protection of Military Remains Act 1986 (Designation of Vessels and Controlled Sites) Order 2006
http://www.hmshood.c[...]
Queen's Printer of Acts of Parliament
[174]
뉴스
巡洋戦艦フッド(HMS Hood)の船鐘の回収に成功
https://kyodonewsprw[...]
共同通信PRワイヤー
2015-08-10
[175]
간행물
Shin Sekai 1924.07.10、tnw_19240710(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6]
뉴스
フッド號の沈没で千四百名惨死 生存者僅か三名(ロンドン十六日特報)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41-09-17
[177]
웹사이트
田宮模型ホームページ
https://www.tamiy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