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디케이터 (DDG-7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S 디케이터 (DDG-73)는 1996년 기공되어 1998년 취역한 미국 해군의 알레이버크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이다. 1998년 초기 활동으로 음향 시험, 전투 시스템 평가, 훈련 등을 수행했으며, 2000년 첫 번째 서태평양 배치에서 한국 해군과 연합 훈련을 실시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중동 지역에 배치되어 대테러 작전에 참여했으며, 2010년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 안보 및 국제 협력 임무를 수행했다. 2018년에는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하던 중 중국 구축함과 근접 조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 USS 청훈
USS 청훈은 미국 해군의 구축함으로, 다양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성능 개선과 해상 안보 능력 강화를 통해 해군 장관 안전 우수 상과 전투 효율상을 수상하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했다.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 USS 콜 (DDG-67)
- 1996년 선박 - 짜끄리 나르벳 (항공모함)
HTMS 짜끄리 나르벳은 태국 왕국 해군의 외양 초계 헬리콥터 모함으로, 스페인 해군의 항공모함을 기반으로 건조되었으며, 재해 시 수색 구조 및 경제 수역 감시를 주요 임무로 하지만, 현재는 헬리콥터를 주로 운용하며 제한적인 자체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 1996년 선박 - USS 바탄 (LHD-5)
USS 바탄 (LHD-5)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바탄 반도 전투에서 이름을 따온 미국 해군의 상륙 강습함으로, 상륙 작전, 특수 작전,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 등을 수행하며, 2024년 홍해 위기에서 드론 격추 임무를 수행했다.
USS 디케이터 (DDG-73)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명 | 디케이터 |
기원 | 스티븐 디케이터 |
슬로건 | 평화 추구 |
소속 국가 | 미국 |
모항 | 진주만 해군 기지 |
![]() | |
함정 정보 | |
함 종류 | 알레이버크급 미사일 구축함 |
건조 | 바스 철공소 |
기공 | 1996년 1월 11일 |
진수 | 1996년 11월 8일 |
취역 | 1998년 8월 29일 |
상태 | 현역 |
식별 번호 | MMSI: 368897000 호출 부호: NDEC 선체 번호: DDG-73 |
제원 | |
배수량 | 만재: 9,648톤 |
길이 | 전체 길이: 155.3m (509.6 피트) |
폭 | 20m (66 피트) |
흘수 | 9.4m (31 피트) |
동력 | 100,000 마력 (75 MW) |
추진 | 4 ×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가스터빈 |
속도 | 30+ 노트 (56+ km/h; 35+ mph) |
항속 거리 | 4,488 해리 (8,312 km; 5,165 마일) at 20 노트 |
승조원 | 380명 |
무장 | |
센서 | AN/SPY-1D 위상 배열 레이다 |
전자전 장비 | SLQ-32(V)2 |
무장 |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 (VLS) |
함포 | Mk 45 5인치 (127mm)/54 구경장 함포 |
어뢰 | Mk 46 어뢰 또는 Mk 50 어뢰 또는 Mk 54 어뢰 |
항공 시설 | 헬리콥터 갑판 (램프 없음) |
2. 역사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디케이터''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으로, 1996년 기공되어 1998년 취역했으며 샌디에이고를 모항으로 삼았다. 취역 이후 미국 태평양 함대 소속으로 서태평양과 페르시아 만 등지에 여러 차례 배치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항행의 자유 작전에 참여하여 남중국해에서 중국 해군과 충돌 직전까지 가는 등 긴장을 겪기도 했다.[11][8][9]
2. 1. 건조 및 취역
''디케이터''는 1996년 1월 11일 메인 주 배스의 바스 철공소에서 기공되었으며, 1996년 11월 9일 당시 미국 합동참모의장이었던 존 샤리카슈빌리의 부인 조운 E. 샤리카슈빌리에 의해 명명 및 진수되었다.1998년 6월 19일, 마이크 놀먼 함장의 지휘 아래 메인 주 배스에서 취역했으며, 공식 취역식은 1998년 8월 29일 오리건 주 포틀랜드의 톰 맥콜 워터프론트 공원에서 거행되었다. 취역 후 서부 해안으로 이동하는 동안 푸에르토리코의 산후안, 멕시코의 푸에르토 바야르타를 방문했다.
''디케이터''는 1998년 9월 4일 새로운 모항인 샌디에이고에 도착했다. 그 해 남은 기간 동안 음향 시험과 전투 시스템 평가를 실시했으며, 이후 사우스웨스트 해양 조선소에서 3개월 동안의 쉐이크다운 후 정비(Post Shakedown Availability, PSA) 기간을 가졌다.
2. 2. 초기 활동 (1998년 ~ 2002년)
1998년 6월 19일 메인 주 배스에서 취역했으며, 공식 취역식은 같은 해 8월 29일 오리건 주 포틀랜드의 톰 맥콜 워터프론트 공원에서 거행되었다. 9월 4일 새로운 모항인 샌디에이고에 도착하여, 그해 남은 기간 동안 음향 시험과 전투 시스템 평가를 진행했다. 이후 사우스웨스트 해양 조선소에서 3개월간의 정비 기간을 거쳤다.1999년 4월에는 북서부 지역으로 짧은 순항을 하여 워싱턴 주의 디케이터 섬, 워싱턴, 캐나다 밴쿠버를 방문하고 5월 초 샌디에이고로 복귀했다. 같은 해 8월, 다시 워싱턴주를 방문한 후, 엔진룸 화재가 발생한 자동차 운반선 MV Gardenia Ace|가데니아 에이스und 호를 지원하기 위해 손상 통제팀을 파견했다.
최종 미사일 시험과 해상 훈련을 마친 뒤, 2000년 1월 7일 첫 서태평양 배치를 시작했다. 하와이 진주만에 들러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을 탑재한 후, 1월 말에는 황해로 이동하여 대한민국 해군과 연합 훈련인 '셰럼 2000'(Sharem 2000영어)을 실시했다. 1월 30일에는 대한민국 진해를 방문했으며, 이후 2주간 일본의 요코스카와 나가사키에 정박했다. 이어 타이완 해협을 통과하여 남쪽으로 항해, 홍콩을 3일간 방문한 뒤 필리핀 해군과 남중국해에서 연합 훈련을 수행했다. 3월 초 말레이시아와 괌을 방문하고, 적도를 횡단하여 4월에는 피지를, 이후 아메리카 사모아와 호주의 여러 항구를 방문한 뒤 6월 8일 모항 샌디에이고로 귀환했다.
2001년 2월에는 서해안에서 다양한 전투단 훈련 및 미사일 훈련을 실시했다. 같은 해 9월 11일 9.11 테러가 발생하자,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 해안에서 노블 이글 작전에 투입되어 본토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9월 23일 샌디에이고로 복귀하여 7주간의 준비 기간을 거친 후, 11월 12일 존 C. 스테니스 전투단과 함께 다시 배치되었다. 서쪽으로 항해하며 홍콩과 싱가포르에 기항한 뒤, 12월 11일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여 인도양으로 진입했다.
2001년 12월 17일부터 2002년 4월 16일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작전 엔듀어링 프리덤에 참가하여, 펠렐리우 상륙 준비 그룹(Amphibious Readiness Group)을 호위하며 해상 차단 작전(Maritime Interdiction Operations)을 지원했다. 이 기간 동안 함정의 보안팀은 세 척의 상선에 승선했으며, 특히 2002년 4월 10일에는 불응하는 상선 MV Francisco Dagohoy|프란시스코 다고호이und 호에 대한 강제 승선 작전을 수행했다. 또한 작전 중 바레인의 마나마를 세 차례 방문했다. 2002년 5월 2일 중동 지역을 떠나 귀항길에 올랐으며, 태국 푸껫, 인도네시아 발리 섬, 동티모르 딜리, 괌 아프라, 진주만 등을 거쳐 2002년 6월 8일 샌디에이고로 복귀했다. 그해 남은 기간은 샌디에이고 인근 해역에서 정비 및 훈련에 사용했다.
2. 3. 중동 지역 배치 및 대테러 작전 (2003년 ~ 2009년)
''디케이터''는 2003년 8월, 전체적으로 세 번째 배치이자 페르시아 만으로의 두 번째 배치를 위해 출항했다. 페르시아 만에 도착하기 전 진주만과 싱가포르에 기항했으며, 11월에는 세이셸을 4일간 방문했다. 2003년 12월 15일, ''디케이터''는 페르시아 만에서 약 약 12.19m 길이의 다우선을 나포하여 알 카에다의 밀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 2톤의 마약을 발견했다. 압수된 마약의 시가는 800만달러에서 1000만달러 사이로 추정되었다.[2]2006년 1월, ''디케이터''는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이 이끄는 항공모함 타격단의 일원으로 네 번째 배치(페르시아 만 배치로는 세 번째)를 위해 출항했다. 배치 기간 동안 아라비아 해와 페르시아 만에서 해양 안보 작전을 수행했으며, 아라비안 샤크(Arabian Shark)와 발리언트 실드(Valiant Shield)를 포함한 세 차례의 주요 대잠수함전 훈련에 참여했다. 또한, 프랑스가 주도하는 제473 기동 부대(Task Force 473)의 일원으로 프랑스 항공모함 샤를 드골과 함께 아라비아 해에서 작전을 수행하기도 했다.

2007년 2월 16일, ''디케이터''는 2006년 전투 효율상("E")을 수상했다.[3] 같은 해 6월, ''디케이터''는 이지스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시험의 일환으로 SM-3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는 미국 이지스 구축함으로는 최초의 SM-3 발사 시험이었다.[4]
2008년 5월, ''디케이터''는 전체적으로 다섯 번째 배치이자 페르시아 만으로는 네 번째 배치를 시작했다. 이 배치 기간 동안 제7함대 작전 구역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냈으며, 홍콩, 일본, 싱가포르에 기항한 후 제5함대 작전 구역으로 이동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디케이터''는 2008년 11월 샌디에이고로 귀환했다. 이후 2009년 5월에 여섯 번째 배치에 나서 2009년 11월 샌디에이고로 다시 돌아왔다.
2. 4. 아시아 지역 안보 및 국제 협력 (2010년 ~ 현재)
2010년 12월, 샨티 세티 사령관이 부사령관에서 사령관으로 진급하며 함선 지휘를 맡게 되었다. 이는 미국 해군 역사상 12번째 여성 사령관 임명 사례이다.
2013년 4월, 북한 지도부의 호전적인 발언과 행동에 대응하여, ''디케이터''는 한반도 인근 서태평양 해역에 파견되었다. 이는 존 S. 맥케인함, 피츠제럴드함과 함께 이루어진 조치였다. 당시 미국은 재래식 또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B-2 스텔스 폭격기 등 군용기를 한반도 지역에 전개하는 등 무력 시위를 벌였으며,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은 강력한 방어 의지를 표명했다.[5][6][7]
2018년 9월 30일, ''디케이터''는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 군도 해역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하던 중, 중국 해군의 란저우함 (DDG-170)과 위험할 정도로 근접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당시 ''디케이터''는 중국이 점유 중인 게이븐 암초(중국명 난쉰자오)와 존슨 암초(중국명 츠과자오)의 12해리 이내 해역을 통과하고 있었다. 이때 중국의 란저우함(DDG-170)이 접근하여 두 함선 간의 거리가 41m까지 좁혀졌다.[11][8] 미국 해군은 란저우함의 기동을 "안전하지 않고 전문적이지 않은 기동"이라고 비판했다.[9] 이 사건은 국제법상 영해 설정 기준과 다른 중국의 일방적인 영유권 주장과, 이를 인정하지 않는 미국의 입장이 충돌하며 발생한 것으로,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의 긴장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3. 문장
USS 디케이터의 문장은 함선의 역사, 능력, 그리고 이름을 딴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의 유산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도록 디자인되었다. 문장은 크게 방패, 깃털 장식, 좌우명, 그리고 인장으로 구성된다.
방패는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이 거둔 주요 해전에서의 승리와 함선의 현대적인 대공전(AAW) 능력을 상징하는 요소들로 채워져 있다. 깃털 장식은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 시대의 해군과 그의 이름을 계승한 함선들의 전통을 나타낸다. 좌우명인 "평화를 추구하며"(In Pursuit of Peaceeng)는 함선의 임무와 지향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인장은 공식 문장을 포함하여 함선을 나타내는 완전한 상징이다. 각 구성 요소는 미국 해군의 전통적인 색상과 상징물을 사용하여 디케이터함의 정체성과 역사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3. 1. 방패
방패의 배경은 짙은 파란색이며, 중앙에는 붉은 왕관이 자리 잡고 있다. 왕관 중앙에는 영국 장교의 검과 색스(sax)가 교차하고 있다.방패에는 전통적인 해군 색상인 짙은 파란색과 금색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각각 바다와 탁월함을 나타낸다. 색스는 스티븐 디케이터가 바르바리 국가의 해상 세력에 대해 거둔 승리를 의미한다. 영국 장교의 검은 1812년 전쟁 중 HMS ''마케도니안''(Macedonian)에 대한 디케이터의 승리를 상징하며, 이는 해군 역사상 중요한 단일 함선 전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천상의 왕관은 대공전(AAW) 능력을 상징한다. 왕관에 있는 다섯 개의 별 모양은 '디케이터'라는 이름을 가진 역대 함선들을 나타내며, 또한 1812년 전쟁 동안 스티븐 디케이터가 영국군과 벌인 교전을 상징하기도 한다. 금색은 탁월함을, 진홍색은 용기와 희생을 나타낸다.
3. 2. 깃털
문장은 깃발을 단 배의 돛대와 돛으로 구성되어 있다. 돛대와 돛은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 시대의 해군과 디케이터라는 이름의 유산을 나타내며, 그의 이름을 딴 최초의 선박을 나타낸다. 돛대는 또한 디케이터 해군의 선박들이 전통적으로 소나무로 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깃발은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이 얻은 해군 최고 권위를 상징한다.3. 3. 좌우명
이 함선의 모토는 "평화를 추구하며"(In Pursuit of Peaceeng)이다. 이 모토는 파란색 뒷면이 있는 흰색 두루마리에 적혀 있다.3. 4. 인장
정식 문장에 따른 완전한 색상의 문장은 금색 로프 테두리로 외부 가장자리를 두르고 상단에 "USS 디케이터"를, 하단에 "DDG 73"을 금색으로 새긴 짙은 남색 타원형 테두리 안에 흰색 배경을 사용한다.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USS ''Decatur'' DDG-73 Website
http://www.public.na[...]
2011-04-02
[2]
웹사이트
U.S. links al Qaeda to Persian Gulf drug boat
http://edition.cnn.c[...]
2015-02-14
[3]
웹사이트
Surface Force Ships, Crews Earn Battle 'E'
http://www.navy.mil/[...]
2015-02-14
[4]
웹사이트
AEGIS Destroyer Demonstrates Unique Anti-Missile Capability
http://defense-updat[...]
2015-02-14
[5]
웹사이트
North Korea in 'state of war' with South
http://www.aljazeera[...]
2015-02-14
[6]
웹사이트
US Navy shifts destroyer in wake of North Korea missile threats
http://worldnews.nbc[...]
2015-02-14
[7]
웹사이트
US sends second warship to Asia-Pacific as tensions rise with North Korea
http://www.globalpos[...]
2015-02-14
[8]
웹사이트
U.S. Navy Releases Images Of Chinese Warship's Dangerous Maneuvers Near Its Destroyer
http://www.thedrive.[...]
2021-10-18
[9]
웹사이트
Chinese warship in 'unsafe' encounter with US destroyer, amid rising US-China tensions
https://edition.cnn.[...]
2021-10-18
[10]
뉴스
中国駆逐艦、「航行の自由」作戦の米艦に異常接近 南シナ海
https://megalodon.jp[...]
AFP BB NEWS (AFP)
2018-10-02
[11]
뉴스
남중국해 미중 군함 `41m 초근접 일촉즉발` 사진 공개돼
연합뉴스
2018-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