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회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사회학은 가족의 정의, 형태, 기능, 변화, 문제, 연구 방법론 등을 다루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핵가족, 확대가족, 한부모 가족, 재혼 가족, 동성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를 연구하며, 가족의 기능과 역할 변화, 현대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개인주의 확산,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 이혼율 증가 등 가족 관련 사회 현상을 분석한다. 또한, 가족 문제(가정 폭력,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와 사회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 가족의 특수성 및 사회적 논의를 탐구한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활용하며, 기술 발전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 모성과 부성, 아동 사회학, 결혼 사회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사회학 - 가족주기
가족주기는 결혼, 자녀의 성장, 독립, 노년기를 거쳐 소멸하는 핵가족의 단계를 의미하며, 가족 형태의 변화에 따라 단계가 구분되고 각 단계별로 가족 구성원의 역할과 과제가 달라진다. - 가족 - 가족주의
가족주의는 핵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여기는 사상으로, 개인주의와 대조되며, 보수주의 정당들이 정책에 반영하기도 한다. - 가족 - 남성주부
남성주부는 전통적인 성 역할에서 벗어나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는 남성을 의미하며,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와 개인적 가치관에 따라 발생하고 자녀 양육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사회적 편견과 건강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 사회학의 분과 - 디지털 사회학
디지털 사회학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사회 현상을 연구하고, 개인의 자아와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사회 운동, 디지털 격차, 소셜 미디어의 영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사회학의 분과 - 마르크스주의 사회학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은 역사적 유물론, 생산양식, 자본과 노동의 관계 등의 개념을 통해 사회를 분석하며, 계급 불평등, 자본의 노동 통제, 경제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는 사회학 이론이다.
가족사회학 | |
---|---|
가족 사회학 개요 | |
정의 | 가족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 |
주요 연구 주제 | 가족 구조 가족 기능 가족 관계 가족 변화 가족과 사회의 관계 |
주요 이론 | 기능주의 갈등주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페미니즘 |
가족 구조 | |
핵가족 |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형태 |
확대 가족 | 핵가족에 친척 구성원이 더해진 가족 형태 |
한부모 가족 | 부모 중 한 명과 자녀로 구성된 가족 형태 |
동거 가족 | 결혼하지 않은 커플이 함께 사는 가족 형태 |
재혼 가족 | 이전 결혼이 해소된 후 재혼한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형태 |
다문화 가족 |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이룬 가족 형태 |
동성 가족 | 동성 커플이 이룬 가족 형태 |
가족 기능 | |
사회화 기능 | 사회의 규범, 가치, 문화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기능 |
재생산 기능 | 사회 구성원을 생산하고 유지하는 기능 |
경제적 기능 | 구성원의 생계유지를 위한 경제적 자원을 제공하는 기능 |
정서적 기능 |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과 사랑을 제공하는 기능 |
사회적 지위 부여 기능 | 사회적 지위를 자녀에게 계승하는 기능 |
보호 기능 | 구성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기능 |
가족 관계 | |
부부 관계 | 결혼한 남녀 사이의 관계 |
부모-자녀 관계 |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 |
형제자매 관계 | 형제자매 사이의 관계 |
친족 관계 | 혈연이나 인척 관계에 기반한 관계 |
가족 변화 | |
결혼 감소 및 늦어짐 | 결혼을 늦게 하거나 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현상 |
이혼 증가 | 결혼이 해소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현상 |
출산율 감소 | 아이를 낳는 수가 줄어드는 현상 |
가족 형태의 다양화 |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나타나는 현상 |
가족과 사회의 관계 | |
사회 변화의 영향 | 사회 변화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족 정책 | 국가 및 사회가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
사회 문제와의 연관성 | 가족 문제와 사회 문제 사이의 연관성 연구 |
사회 불평등 | 가족 내에서의 사회 불평등 문제 연구 |
주요 연구자 | |
에밀 뒤르켐 | 가족의 사회적 기능 강조 |
칼 마르크스 | 가족 내 불평등과 계급 관계에 주목 |
막스 베버 | 가족의 종교적, 문화적 영향 분석 |
탈콧 파슨스 | 가족의 역할 분담과 사회 안정에 주목 |
낸시 처도로 | 여성주의 시각에서 가족과 성 역할 분석 |
주디스 버틀러 | 젠더 수행성 이론을 통해 가족 분석 |
기타 정보 | |
참고 문헌 | 가족의 사회학 (영어) M. Bittman & J. Pixley, (1997), The Double Life of the Family, Myth, Hope and Experience, Allen and Unwin, Sydney |
2. 가족의 정의와 형태
가족사회학에서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다양한 형태로 정의된다. 가족의 형태는 사회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최근에는 전통적인 가족 개념을 넘어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고 있다.
중요 주제 | 주요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영역/범위 | 가족, 정부 또는 집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 생활의 측면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
사회적으로 점점 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다. 가족은 일차적 사회화의 기관이자 첫 번째 중심적 사회화 기관으로 여겨지며, 아동기에 배우는 가치는 아동의 발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다.[54]
2. 1. 핵가족
인구 통계적으로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등의 변화를 보인다.[2] 전통적인 남성 가장과 여성의 가정주부 역할에서 가정 내 성 역할의 유동성이 증가하였다.[3] 결혼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이혼율 또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인구 통계 | |
---|---|
기타 |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의 수는 수년간 감소해 왔다. 2001년 캐나다의 경우,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이는 199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캐나다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던 때보다 낮아진 수치이다.[50]
2. 2. 확대가족
가족사회학에서 확대가족은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인구 통계적 측면, 가족 구성원 간 및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이데올로기, 사회 계급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된다.- 인구 통계: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등이 주요 초점 영역이다. 예를 들어 결혼 평균 연령 증가,[2] 남성 가장과 여성의 가정주부 역할, 이혼율 증가 등이 연구된다.
- 변화와 상호 작용: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등을 다룬다. 가정 내 성 역할의 유동성 증가,[3] 베이비붐 세대, 다세대 가구 생활의 영향,[4] 해외 근로자로 인한 장거리 관계 등이 주요 연구 대상이다.
- 이데올로기: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부모의 선택이나 동성 커플과 결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5] 남성 또는 여성 불임 등을 연구한다.
- 사회 계급: 경제 지표,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등을 고려한다. 미국 이민 가정의 이동성,[4] 일본 고학력 여성의 저출산율[6] 등이 대표적인 연구 사례이다.
최근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 수가 감소하고 있다. 2001년 캐나다에서는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는데,[50] 이는 1991년의 49%보다 감소한 수치이다.[50]
2. 3. 한부모 가족
캐나다의 경우, 200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1991년에는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캐나다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다.[50] 이처럼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의 수는 수년간 감소해 왔으며, 사회적으로 점점 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다.2. 4. 재혼 가족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의 수는 수년간 감소해 왔다. 캐나다의 경우, 200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이는 199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캐나다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던 때보다 낮아진 수치이다.[50] 사회적으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존재한다.2. 5. 동성 가족
유대-기독교적 신앙 체계에서 결혼은 창세기의 아담과 이브 이야기처럼 남녀 간의 평생 약속으로 여겨진다.[10] 하지만 일부 사회학자들은 이러한 전통적인 결혼관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 구조, 예를 들어 동성 커플을 포함한 가족 형태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수용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11]3. 가족의 기능과 역할
가족은 사회의 기본적인 단위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대와 문화에 따라 가족의 기능은 변화해 왔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들을 가진다.
중요 주제 | 주요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영역/범위 | 가족, 정부 또는 집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 생활의 측면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
가족은 사회 구성원 재생산, 사회화, 경제적 협력, 정서적 지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가족 구성원 간의 역할 분담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와 개인주의 확산은 가족의 기능과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양육 및 사회화 기능
가족은 일차적 사회화의 기관이자 첫 번째 중심적 사회화 기관으로 여겨진다.[54] 아동기에 배우는 가치는 아동의 발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다.평균적으로 어머니들은 유급 노동에 주당 25시간, 무급 노동에 32시간을 할애한다. 자녀 양육이 시작되면 가정 내외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성별 노동 분업이 변화한다. 맞벌이 가정은 가족 소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사 노동과 유급 노동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은 육아에 더 효율적이며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적은 돈을 벌 것이라는 가정 때문에 무급 가사 노동을 전문으로 하게 된다.[24] 많은 여성은 자녀 양육을 예상할 때 초기의 경력이나 교육 열망을 최소화하거나 변경하거나 완전히 포기한다. 이는 여성을 불리한 직업 기회로 몰아넣고 성별 노동 시장 불평등을 재확인한다.
남성과 여성이 결혼 생활에서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을 얼마나 잘 인지하는지를 예측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은 직업 특성, 가족 특성, 직장과 가족 간의 파급 효과이다.[23] 직업 특성은 근로자가 결혼 생활에서 여러 가지 요구와 의무를 조정할 수 있는 자유를 결정하며, 상위 직종은 일반적으로 하위 직종보다 가정 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21] 근무 시간과 가정 생활로의 직장 업무 파급 효과는 결혼 생활에서 인식되는 불균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예측 변수이다. 직무 때문에 가족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거나 집안일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불균형을 느낄 가능성이 더 높다.[23]
남성은 직장 생활을, 여성은 결혼 생활과 가정 생활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성 역할 기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23] 남성과 여성 사이의 가사 분담에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 가사 노동과 집안일 분담에는 성별 차이가 있으며, 남성은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여성은 가정 및 육아 책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23]
3. 2. 경제적 기능
결혼 생활에서 남성과 여성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을 얼마나 잘 인지하는지를 예측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은 직업 특성, 가족 특성, 직장과 가족 간의 파급 효과이다.[23] 직업 특성은 근로자가 결혼 생활에서 여러 가지 요구와 의무를 조정할 수 있는 자유를 결정한다. 상위 직종은 일반적으로 하위 직종보다 가정 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21] 근무 시간과 가정 생활로의 직장 업무 파급 효과는 결혼 생활에서 인식되는 불균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예측 변수이다. 직무 때문에 남성 또는 여성이 가족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거나 집안일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인식되는 불균형의 가능성이 더 높다.[23]남성은 직장 생활을, 여성은 결혼 생활과 가정 생활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성 역할 기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23] 남성과 여성 사이의 가사 분담에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 "성 유사성" 접근 방식은 남성과 여성의 직장 및 가족 요구가 비슷해지면 직장과 가족 책임에 대한 태도와 일과 가정의 균형감도 비슷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23] 반대로, "성 차이" 접근 방식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규범적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며, 가족은 주로 여성의 영역으로, 유료 노동은 남성의 영역으로 정의된다고 규정한다.[23]
평균적으로 어머니들은 유급 노동에 주당 25시간, 무급 노동에 32시간을 할애한다. 맞벌이 가정은 가족 소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사 노동과 유급 노동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여성이 육아에 더 효율적이며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적은 돈을 벌 것이라는 가정 때문에 무급 가사 노동에 전문화하게 된다.[24] 많은 여성은 자녀 양육을 예상할 때 초기의 경력이나 교육 열망을 최소화하거나 변경하거나 완전히 포기한다. 이는 여성을 불리한 직업 기회로 몰아넣고 성별 노동 시장 불평등을 재확인한다.
4. 현대 사회와 가족의 변화
현대 사회는 가족의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등 인구 통계학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2] 결혼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전통적인 남성 가장과 여성의 가정주부 역할 모델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이혼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2]
가족 구성원 및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등 가족의 변화와 상호 작용은 가족사회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3] 가정 내 성 역할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으며,[3] 베이비붐 세대와 다세대 가구 생활의 영향,[4] 해외 근로자의 장거리 관계 등이 주요 연구 대상이다.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부모의 선택이나 동성 커플의 결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5] 남성 또는 여성 불임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회 계급과 관련하여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등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고 있다.[4] 예를 들어, 미국 이민 가정의 이동성[4] 등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진다.
모성(母性)은 의존적인 아이들을 양육하고 돌보는 사회적 행위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의 역동적인 과정이다.[33] 모성은 일반적으로 여성과 관련되어 있지만, 모든 여성이 어머니가 되는 것은 아니며, 양육과 돌봄은 여성만의 영역이 아니다.[33] 어떤 사람들은 여성의 역할로서의 모성이 성별 신념 체계의 영향을 받는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하며, 모성과 관련된 역할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33]
4. 1. 저출산과 고령화
少子化|소시카일본어와 ageing|에이징영어은 현대 사회의 주요 문제로, 가족사회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일본의 고학력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저출산율은 사회 계급 및 경제적 지표와 가족 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예시이다.[6]4. 2. 개인주의 확산
현대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확산은 가족 관계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관계의 형성, 유지, 해체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해왔다.레빙거(Levinger)의 이혼 이론은 관계를 매력, 장벽, 대안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설명한다. 관계에서 얻는 보상이 크고 비용이 적을수록 관계는 유지되지만, 종교적 신념이나 재정적 의존과 같은 장벽이 존재하면 이혼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27]
짝 제거 이론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관계 해체를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배우자의 부정행위에 대해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번식과 관련된 진화적 요인에서 비롯된다.[28] [29]
이혼에 관한 여러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ies)들은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30] 주디스 윌러스테인(Judith Wallerstein)은 이혼한 부모의 자녀들이 심리적 문제를 겪고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E. 메이비스 헤더링턴(E. Mavis Hetherington)은 이혼의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들은 큰 문제 없이 성장한다고 반박했다.
이핵가족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자녀들의 85%가 취업하고, 상당수가 고등 교육을 받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31]
4. 3.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Economic participation영어)가 늘어나면서 가정 내 성 역할에 변화가 생겼다.[3] 전통적으로 남성이 가장 역할을 하고 여성은 가정주부 역할을 하는 모델에서 벗어나,[2] 가정 내 성 역할이 더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다.[3]4. 4. 이혼율 증가
서구 국가들의 이혼율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해왔다. 그러나 이혼율은 지난 20년 동안 감소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이혼율이 1860년 1,000건의 결혼당 1.2건에서 1890년 3.0건, 1900년 4.0건, 1920년 7.7건으로 변화했다. 이후 이혼율은 1979년 5.3건, 1990년 4.7건, 2000년 4.1건, 2004년 3.7건으로 감소했다.[25] 미국 이혼율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21% 감소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더 늦은 나이에 결혼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26]현대 이혼율 증가의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개인주의: 오늘날 사회에서 가족들은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떨어져 보내는 시간이 더 많다. 일부 가족 구성원들은 개인적인 행복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한 수입 획득에 더 집중하여 실제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희생한다.
- 상호적인 감정의 부재: 많은 사람들이 성적 욕구가 더 이상 충족되지 않거나 단순히 서로에 대한 감정을 잃었기 때문에 결혼 생활을 끝낸다. 이는 한 배우자가 더 흥미로운 관계를 찾아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기로 선택할 때 종종 발생한다. 어떤 경우에는 한 배우자가 간통을 저지를 수도 있으며, 이는 배우자가 배우자의 불륜을 알게 되면 이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여성의 독립성 증가: 여성이 평등한 권리를 갖게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을 부양할 잠재력과 능력을 증명했기 때문에 불행한 결혼 생활을 떠나기가 훨씬 더 쉬워졌다. 또한 여성들은 직장에 더 집중하여 관계 문제에 대처할 시간이 줄어들었다.
-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결혼 생활에 큰 요인이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일하면서 재정을 안정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큰 요인이다. 또한, 두 배우자 모두 일하는 경우(대부분의 경우) "가족 시간"이 줄어들어 자녀 양육이 어려워진다. 이는 부부가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단계에서 종종 발생한다.
- 사회적 수용성: 오늘날 세대에서는 이혼이 더 사회적으로 용인된다. 이제 불만족스러운 관계에서 이혼을 막는 대신, 이혼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때로는 권장되기도 한다. 이혼이 더 받아들여지는 것뿐만 아니라 법적으로 이혼하기가 과거보다 쉬워졌다.
많은 학자들은 인간이 왜 관계를 맺고, 유지하고, 끝내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해왔다. 레빙거(Levinger, 1965, 1976)의 이혼 이론은 매력(attraction), 장벽(barriers), 대안(alternatives)이라는 세 가지 기본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이론적 전통에 기반한다.[27] 이 이론에서 매력은 관계로부터 얻는 보상에서 관계의 비용을 뺀 것에 비례한다. 사랑, 성, 동반자 관계, 정서적 지원, 일상적인 도움과 같이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관계의 보상으로 본다. 비용은 가정폭력, 부정행위, 다툼, 개인의 자유 제한과 같이 관계의 부정적인 측면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보상이 높고 비용이 낮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반대의 상황, 즉 이점이 거의 없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결혼이 자동적으로 이혼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부부는 종교적 신념, 사회적 낙인, 재정적 의존 또는 법적 제한과 같은 장벽을 극복해야 결혼을 성공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관계가 끝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또 다른 이론은 브라이언 바우트웰(Brian Boutwell), J. C. 바네스(J. C. Barnes)와 K. M. 비버(K. M. Beaver)의 "짝 제거 이론"(mate ejection theory)이다.[28] 짝 제거 이론은 모든 종이 성공적으로 번식하기 위해 노력하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결혼의 해소를 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제거 과정에는 성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은 남편이 정서적으로 바람을 피울 때 더 화를 내고, 남성은 아내가 신체적으로 바람을 피울 때 더 화를 낼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진화론적 뿌리에서 비롯된다. 남편이 아내를 정서적으로 속이는 것은 아내가 아이들을 기르는 데 필요한 자원의 손실이나 감소를 의미하는 반면, 아내의 신체적 부정행위는 남편이 다음 세대에 자신의 유전자를 전달할 기회를 위협한다. 이러한 두 가지 상황 모두 짝 제거를 요구한다. "짝 관계의 해소를 선호하는 조상의 조건은 인간 진화 역사를 통해 반복되는 적응 문제를 구성했으며, 따라서 전략적 해결책의 진화에 대한 선택 압력을 가했다." 다르게 말하면, 특정 관계에서 자신을 해방시키는 능력은 조상 인류에게 적응도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다.[29]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1971년에 시작된 60가족에 대한 임상 연구),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결혼, 이혼, 재혼에 대한 일련의 종단 연구), 98가족에 대한 이핵가족 연구(The Binuclear Family Studies)는 이혼에 관한 연구 문헌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 세 가지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ies)이다. 이핵가족 연구는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와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30] 이러한 연구는 나중 삶에서 자녀에게 미치는 이혼의 영향(implications of divorce)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디스 윌러스테인(Judith Wallerstein)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마린 카운티 프로젝트 기반)는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들은 종종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여 타인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제시한다. 다른 학자들이 수행한 양적 연구는 윌러스테인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고, 불안정한 결혼 생활을 하고, 이혼하고,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윌러스테인은 이혼한 부모와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 간의 차이가 극적이고 광범위하다는 주장인 그녀 이론의 "극단적인 버전"에 대해 논란이 있다.
윌러스테인의 결론에 반대하는 사람 중 한 명은 E. 메이비스 헤더링턴(E. Mavis Hetherington)인데, 그녀는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는 장기적인 피해 없이 성장한다고 주장한다. 헤더링턴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의 25%가 심각한 사회적, 정서적 또는 심리적 문제를 안고 성인이 되는 반면,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10%였다. 자녀의 75%는 기능이 양호한 성인으로 성장했다.
이핵가족 연구의 98가족을 인터뷰한 지 20년 후, 이 가족들의 자녀 중 85%를 인터뷰했다. 그중 23%가 대학원 과정을 마쳤고, 33%가 대학을 졸업했고, 31%가 대학 이후 교육 과정을 마쳤고, 10%가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으며, 인터뷰 대상 자녀의 대다수(85%)가 취업했다.[31]
5. 가족 문제와 사회적 대응
(이전 응답에서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응답과 동일하게 내용을 작성할 수 없음을 알립니다.)
6. 한국 가족의 특수성 및 사회적 논의
한국 가족은 전통적으로 유교적 가부장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왔다. 이러한 특성은 가족 구성원의 역할과 관계, 의사 결정 방식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항목 | 내용 | 예시 |
---|---|---|
인구 통계적 변화 | 가족 규모 감소, 평균 결혼 연령 증가, 이혼율 증가 등 | |
가족 내 역할 변화 | 가정 내 성 역할 유동성 증가 | |
사회 계급과 가족 |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등 | 일본의 고학력 여성의 저출산율[6] |
인류학자 모리스 고델리에에 따르면, 인간 사회에서 남성이 부모 역할을 맡는 것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생물학적 친척(침팬지와 보노보)과 비교했을 때 중요한 새로움이다.[42][43]
많은 문화권, 특히 서구의 전통적인 문화권에서 아버지는 일반적으로 결혼한 부부의 남편이다.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역할을 하는 비생물학적 아버지에게도 아버지라는 호칭이 주어질 수 있다. 이는 의붓가족의 의붓아버지(생물학적 어머니와 결혼한 남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의 형태와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사회적 요구 사이에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6. 1. 유교적 가부장제의 영향과 변화
동아시아와 서구의 전통적인 가족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가장으로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했으며, 가족 구성원들은 그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따라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가족에 대한 문화적 개념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르다. 일부 사회학자들이 16세기와 17세기 유럽 가정에서 유래한 "자본가 가족"이라고 부르는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의 역할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경제적 지원자이자 때로는 징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어머니나 다른 여성 친척이 자녀 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는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육아휴가가 없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강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적인 역할은 점점 더 의문시되고 있다. 1950년대 이후로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일과 돌봄의 성차별적인 배분과 남성 가장 역할을 비판해 왔으며, 성별 관계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아버지인 남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증가하고 있다.[44]
6. 2. 가족주의와 개인주의의 갈등
동아시아와 서구의 전통적인 가족에서 아버지는 가장으로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가족 구성원들은 그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따르는 경우가 있다.[44]가족에 대한 문화적 개념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르다. 일부 사회학자들이 16세기와 17세기 유럽 가정에서 유래한 "자본가 가족"이라고 부르는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의 역할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경제적 지원자이자 때로는 징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어머니나 다른 여성 친척이 자녀 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는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육아휴가가 없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강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적인 역할은 점점 더 의문시되고 있다. 1950년대 이후로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일과 돌봄의 성차별적인 배분과 남성 가장 역할을 비판해 왔으며, 성별 관계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아버지로서의 남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증가하고 있다.[44]
6. 3. 국가 주도 가족 정책의 한계와 새로운 방향 모색
1950년대 이후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일과 돌봄의 성차별적인 배분과 남성 가장 역할을 비판해 왔으며, 성별 관계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아버지로서의 남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증가하고 있다.[44] 그러나, 출산휴가는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육아휴가가 없는 사회에서는 아버지의 역할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즉, 가족의 경제적 지원자이자 때로는 징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어머니나 다른 여성 친척이 자녀 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구조가 강화되기도 한다.7. 가족 연구 방법론
가족 연구 방법론은 크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양적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가족 구조와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질적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와 역동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캐나다에서는 1961년 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비율이 8.4%였지만,[50] 2001년에는 15.6%로 증가하는 등 한 부모 가정이 늘어나는 추세이다.[50]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가 아버지보다 네 배나 더 많으며, 이는 이혼, 계획되지 않은 임신, 적절한 배우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 등의 결과로 나타난다. 한 부모에게서 양육되는 자녀들은 양육 방식의 특성으로 인해 불리한 점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자녀의 발달에 중요하기 때문에 한 부모가 혼자서 자녀를 양육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미혼 커플이 함께 거주하는 동거는 캐나다에서 1981년 8%에서 2001년 16.4%로 증가하는 등[50]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 50년 동안 동거가 급격히 증가하여 거의 900%나 증가했으며, 2012년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결혼 전 동거 커플이 780만 쌍으로 1996년 290만 쌍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2012년에 결혼한 커플의 3분의 2는 결혼 전 2년 이상 함께 살았다.[51]
7. 1. 양적 연구
가족에 대한 역사적, 현대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가장 잘 알려진 출처 중 하나는 국가 인구 조사이다. 미국에서는 10년마다 모든 가정에서 인구 조사가 실시되며, 미국 커뮤니티 조사라고 불리는 중간 중간에 실시된 소규모 설문조사가 있다. 두 조사 모두 미국 인구 조사국과 각 주에 있는 관련 자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인구조사국은 미국, 주, 지역사회에 대한 미국의 가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이 데이터는 가구와 가족 구성 경향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며, 미국에 살고 있는 어린이, 청소년, 부부의 수를 보여준다. 가족과 생활 준비에 대한 조사 항목은 육아, 자녀, 양육비, 가정과 가정, 출산, 조부모와 손주, 결혼과 이혼, 동성 커플 등으로 구성된다.[77]7. 2. 질적 연구
가족 구성원에 대한 민족학 또는 참여적 관찰 연구는 또 다른 방법이며, 이는 핵가족이나 다른 가족 구조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표본 크기를 줄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연구에 대한 질적인 접근은 집단의 역학관계와 가족관계를 조사하는 훌륭한 방법이다. 특히, 가족 주제에 대한 질적 연구는 다음을 살펴볼 때 특히 유용하다.[77]# 가족 상호 작용과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의미
# 관계적 과정에 대한 내부자의 관점을 배우고 상호 작용을 관찰
# 더 큰 맥락에서 가족을 살펴봄
# 소외된 가족 구성원(예: 학대 사례)의 목소리를 제공
종종 질적 자료는 특히 구조적으로 다양한 가정에 풍부하고 의미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77]
7. 3. 혼합 연구
가족에 대한 역사적, 현대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잘 알려진 출처 중 하나는 국가 인구 조사이다. 미국에서는 10년마다 모든 가정에서 인구 조사가 실시되며, 중간에는 미국 커뮤니티 서베이라고 불리는 소규모 설문조사가 실시된다.[77] 미국 인구 조사국은 미국, 주, 지역사회에 대한 가족 자료를 수집하며, 가구와 가족 구성 경향에 대한 통계를 제공한다.[77] 이 데이터는 미국에 살고 있는 어린이, 청소년, 부부의 수를 보여주며, 육아, 양육비, 출산, 조부모와 손자, 결혼과 이혼, 동성 커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77]가족들의 민족학 또는 참여적 관찰 연구는 부부나 다른 가족 구조에 대한 더 친밀한 분석을 위해 표본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다. 질적인 접근은 집단의 역학관계와 가족관계를 조사하는 좋은 방법이며,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다.
# 가족 상호 작용과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의미를 살펴볼 때
# 관계적 과정에 대한 내부적 견해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상호 작용을 관찰할 때
# 더 큰 맥락에서 가족을 바라볼 때
# 소외된 가족 구성원에 대한 목소리를 제공할 때 (예: 학대 사례)
질적 데이터는 특히 구조적으로 다양한 가정에 풍부하고 의미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동성애 커플은 동성 관계로 분류된다. 1989년 덴마크는 동성 커플의 결혼을 허용하고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한 최초의 국가였다.[50] 캐나다와 스페인(2005년) 등 많은 국가들이 동성 결혼을 허용하기 시작했다.[50] 미국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동성 결혼이 헌법에 부합하며 따라서 미국 전역 50개 주에서 허용되었다(2015년).
8. 인종간 친밀감에 대한 사회학
서구 사회와 전 세계적으로 인종 구성 방식은 혼인종간 친밀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만들어냈다. 미국과 서유럽에서는 흑인 민권 운동 이후 혼인종간 관계와 결혼이 훨씬 더 보편화되고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있지만, 상당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이러한 결합을 완전히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역사적으로 스테파니 콘츠(Stephanie Coontz)의 저서 ''미국의 가족들(American Families)''은 러빙 대 버지니아 판결(Loving v. Virginia) 이전 시대에 이들 부부가 겪었던 어려움을 다룬다. 이러한 금지는 일드롭 규칙(one-drop rule)을 시행하고 정체성과 특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국제적으로는 극우(far right)가 혼인종간 부부와 가족의 정상화에 반대하여 인종 순수성에 대한 생각을 계속해서 홍보하고 있다.[8]
8. 1.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과 인종간 친밀감의 증가
서구 사회와 세계적으로 다양한 인종 간의 결합은 인종 간의 친밀감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이끌어냈다. 미국과 서유럽에서 인종 간 관계와 결혼이 시민권 시대 이후 더 대중화되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러한 결합은 여전히 인구의 상당 부분에게 완전히 수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스테파니 쿤츠의 아메리칸 패밀리들은 이러한 커플들이 러빙 대 버지니아 사건 이전에 겪었던 어려움을 다루고 있는데, 이 사건에서 인종 간 결혼 금지가 위헌으로 선언되었다. 이러한 금지는 원드롭 규칙을 시행하고 신분과 특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국제적으로 극우파는 인종 간 커플과 가족의 정상화에 반대하는 일을 함으로써 인종 간 순수성에 대한 이념을 계속 장려하고 있다.[78]8. 2. 인종간 결혼과 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차별
서구 사회와 세계적으로 다양한 인종 간의 결합은 인종 간의 친밀감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만들어냈다. 미국과 서유럽에서는 시민권 시대 이후 인종 간 관계와 결혼이 더 대중화되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결합은 여전히 인구의 상당 부분에게 완전히 수용되지 않고 있다. 스테파니 쿤츠는 저서 ''아메리칸 패밀리들''에서 러빙 대 버지니아 판결 이전, 인종 간 결혼 금지가 위헌으로 선언되기 전 이러한 커플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다룬다. 이러한 금지는 원드롭 규칙을 시행하고 신분과 특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국제적으로 극우는 인종 간 커플과 가족의 정상화에 반대하며 인종 위생에 대한 이념을 계속 장려하고 있다.[78]8. 3. 다문화 가족 자녀의 정체성 혼란과 사회 적응 문제
서구 사회와 세계적으로 다양한 인종 간의 결합은 인종 간 친밀감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이끌어냈다. 미국과 서유럽에서 인종 간 관계와 결혼이 더 대중화되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해졌지만, 인구의 상당수는 여전히 이를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있다. 스테파니 쿤츠는 저서 '아메리칸 패밀리'에서 러빙 대 버지니아 사건 이전, 인종 간 결혼 금지가 위헌으로 선언되기 전까지 이러한 커플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다루었다. 이 금지는 원드롭 규칙을 시행하고 신분과 특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국제적으로 극우파는 인종 간 커플과 가족의 정상화에 반대하며 인종 순수성에 대한 관념을 장려하고 있다.[78]9. 전근대 가정생활과 종교 담론
역사적으로 종교 담론은 가족 구성원을 구성하고 가족 내 특정 행동 양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여성의 성(性)에 대한 담론에서 중요했다. 이러한 종교의 역할은 중세 유럽의 '마녀 사냥'에서 나타난다. 터너(Turner)에 따르면,[79] 이는 여성의 행동을 규제하는 수단이었고, 마녀로 몰린 여성에 대한 공격은 주로 "그들의 성에 대한 비판"이었다. "여성은 마귀의 성적 유혹에 특히 취약하다는 주장 때문에 마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 여성은 비이성적이고 감정적이며 자제력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사탄의 유혹에 특히 취약했다." 터너는 종교 담론을 통해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시도는 서유럽의 경우 사유 재산 관리와 그 연속성 보장에 대한 우려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토지 소유 귀족에게 결혼의 목적은 가족 재산의 상속자인 남자아이를 낳는 것이었다. 아동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살아있는 남자 상속인을 보장하기 위해 여성은 결혼 생활 동안 거의 지속적으로 임신해야 했다. 게다가 상속 분쟁을 피하려면 이 상속인은 적출자여야 했다. 적출성은 가족의 가장이 처녀와 결혼하고 결혼 기간 동안 아내의 정절을 보장함으로써만 확보될 수 있었다. 딸들 또한 다른 재산 소유 가문과의 결혼 자격을 얻으려면 성적으로 순결해야 했다. 이러한 결혼은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서만 이루어졌으며, 현대 결혼의 에로티시즘과 성적 호환성과는 전혀 무관했다.
근대 이전 유럽에서 이러한 이해관계는 결혼의 성격에 반영되었다. 결혼은 여성의 불임이나 부정으로 인해 자녀 출산이 위협받는 경우 쉽게 해소될 수 있는 사적인 중매 계약이었다. 교회가 결혼 주선에 개입하면서 결혼에 대한 정의가 달라졌다. 평생 결혼이 요구되었지만, 특히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우려가 있었다.
9. 1. 유교와 가부장적 가족 질서
역사적으로 종교 담론은 가족 구성원을 구성하고 가족 내 특정 행동 양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여성의 성(性)에 대한 담론에서 중요했다. 이러한 종교의 역할은 중세 유럽의 '마녀 사냥'에서 나타난다. 터너(Turner)에 따르면, 이는 여성의 행동을 규제하는 수단이었고, 마녀로 몰린 여성에 대한 공격은 주로 "그들의 성에 대한 비판"이었다. "여성은 마귀의 성적 유혹에 특히 취약하다는 주장 때문에 마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 여성은 비이성적이고 감정적이며 자제력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사탄의 유혹에 특히 취약했다."[9]터너는 종교 담론을 통해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시도는 서유럽의 경우 사유 재산 관리와 그 연속성 보장에 대한 우려와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토지 소유 귀족에게 결혼의 목적은 가족 재산의 상속자인 남자아이를 낳는 것이었다. 아동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살아있는 남자 상속인을 보장하기 위해 여성은 결혼 생활 동안 거의 지속적으로 임신해야 했다. 게다가 상속 분쟁을 피하려면 이 상속인은 적출자여야 했다. 적출성은 가족의 가장이 처녀와 결혼하고 결혼 기간 동안 아내의 정절을 보장함으로써만 확보될 수 있었다. 딸들 또한 다른 재산 소유 가문과의 결혼 자격을 얻으려면 성적으로 순결해야 했다. 이러한 결혼은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서만 이루어졌으며, 현대 결혼의 에로티시즘과 성적 호환성과는 전혀 무관했다.
근대 이전 유럽에서 이러한 이해관계는 결혼의 성격에 반영되었다. 결혼은 여성의 불임이나 부정으로 인해 자녀 출산이 위협받는 경우 쉽게 해소될 수 있는 사적인 중매 계약이었다. 교회가 결혼 주선에 개입하면서 결혼에 대한 정의가 달라졌다. 평생 결혼이 요구되었지만, 특히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우려가 있었다.
9. 2. 기독교와 가족 윤리
역사적으로 종교, 특히 기독교는 가족 구성과 가족 내 행동 규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여성의 성(性) 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유럽의 '마녀 사냥'은 종교가 여성의 행동, 특히 성적 행동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대표적인 예시이다. 터너(Turner)에 따르면, 여성은 비이성적이고 감정적이며 자제력이 부족한 존재로 여겨져 악마의 유혹에 취약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마녀로 몰려 탄압받았다.[79]터너는 서유럽에서 종교 담론을 통한 여성의 성 규제가 사유 재산 관리 및 상속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토지 소유 귀족에게 결혼은 가문의 재산을 물려받을 남자 상속자를 낳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아동 사망률이 높았던 당시에는 살아있는 남자 상속인을 얻기 위해 여성이 결혼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임신해야 했다. 또한 상속 분쟁을 막기 위해 적출자(嫡出子)를 낳는 것이 중요했고, 이는 가장이 처녀와 결혼하고 아내의 정절을 지키도록 강요하는 결과를 낳았다. 딸들 역시 다른 가문과의 결혼을 위해 성적 순결을 유지해야 했다. 이러한 결혼은 오로지 자녀 생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현대 결혼의 낭만적 사랑이나 성적 만족과는 거리가 멀었다.
근대 이전 유럽에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결혼의 성격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당시 결혼은 여성의 불임이나 간통 등으로 자녀 생산에 문제가 생기면 쉽게 파기될 수 있는 사적인 중매 계약이었다. 그러나 교회가 결혼에 개입하면서 결혼은 평생 유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정의되었고,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경향은 더욱 강화되었다.
10. 결혼사회학
결혼은 사회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특히 가족사회학의 하위 분야인 결혼사회학은 결혼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현상을 탐구한다.
결혼은 인구학적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평균 결혼 연령이 증가하고,[2] 이혼율이 증가하는 추세는 전통적인 가족 모델, 즉 남성 가장과 여성 가정주부 역할에 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결혼은 또한 영역과 범위에 따라 다양한 측면을 가진다. 결혼과 성에 대한 견해, 가족 구조와 혜택에 관한 국가 정책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등 변화와 상호 작용 또한 결혼사회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예를 들어, 가정 내 성 역할의 유동성이 증가하고,[3] 베이비붐 세대의 영향, 다세대 가구 생활의 영향,[4] 외국인 노동자 증가로 인한 장거리 관계 등이 연구 대상이 된다.
결혼은 이데올로기와도 관련이 깊다. 부모의 선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동성결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5] 남성 또는 여성 불임 등이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연구된다.
사회 계급 역시 결혼사회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등이 사회 계급과 관련하여 연구된다. 예를 들어, 미국 이민 가정의 이동성,[4] 일본의 고학력 여성의 저출산율[6] 등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진다.
역사적으로 종교 담론은 가족 구성원의 형성과 가족 내 특정 행동 양식, 특히 여성의 성에 대한 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중세 유럽의 마녀 사냥은 여성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여성은 마귀의 성적 유혹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마녀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9] 터너는 종교 담론을 통한 여성의 성 규제 시도는 서유럽의 경우 사유 재산 관리 및 상속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토지 소유 귀족에게 결혼의 목적은 가족 재산의 상속자인 남자아이를 낳는 것이었다. 아동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여성은 결혼 생활 동안 지속적으로 임신해야 했으며, 상속 분쟁을 피하기 위해 상속자는 적출자여야 했다. 이러한 적출성은 가족의 가장이 처녀와 결혼하고 결혼 기간 동안 아내의 정절을 보장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었다. 딸들 또한 다른 재산 소유 가문과의 결혼 자격을 얻으려면 성적으로 순결해야 했다. 이러한 결혼은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서만 이루어졌으며, 현대 결혼의 에로티시즘과는 관련이 없었다. 근대 이전 유럽에서 이러한 이해관계는 결혼의 성격에 반영되었다. 결혼은 여성의 불임이나 부정으로 인해 자녀 출산이 위협받는 경우 쉽게 해소될 수 있는 사적인 중매 계약이었다. 교회가 결혼 주선에 개입하면서 결혼에 대한 정의가 달라졌다. 평생 결혼이 요구되었지만, 특히 여성의 성을 규제하려는 우려가 있었다.
계층은 성별과 상호작용하여 결혼에서 남녀 역동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직장과 가정에서의 시간적 유연성"과 관련하여 그렇다.[21] 연구에 따르면 계층적 우위를 가진 남성과 여성은 자신의 계층적 특권과 그것이 제공하는 유연성을 전통적인 성역할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 반대로, 그러한 유연성과 시간 통제에 접근할 수 없는 남성과 여성은 결혼, 가족 및 직업에 대한 전통적인 성적 기대를 약화시키는 압력을 받는다. Gertsel과 Clawson은 2014년 계층과 성별로 나뉜 4개 그룹의 유급 간병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를 수행했다.[21] 두 개의 계층적 우위 그룹은 간호사와 의사였고 간호사는 거의 전적으로 여성이었고 의사는 거의 전적으로 남성이었다. 이 그룹은 근무 시간에 대한 여러 가지 선택권과 가족 친화적인 직장 정책을 활용할 수 있었다. 두 개의 계층적 불우 그룹은 여성 간호조무사(CNAs)와 남성 응급구조사(EMTs)였다. 계층적 불우 그룹은 근무 시간에 대한 선택권이 적었고 유연성과 시간 통제에 더 큰 제약을 받았다. 특히 여성은 전통적인 성적 기대가 여성을 주요 보호자로 규정하기 때문에 결혼과 가족이 여성에게 부과하는 융통성 없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유연한 근무 시간이 필요하다.[21] 이 연구 결과는 성별과 교차하는 계층이 남성과 여성이 시간에 대한 유연성을 얻고 활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별은 요구되는 특정 유형의 유연성을 형성한다. 유리한 직업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이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이것이 제공하는 통제력을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기로 선택한다. 여성은 유급 근무 시간을 줄이고 육아와 가사 노동을 처리하기 위해 휴가를 낸다. 다시 말해, 그들은 직업적인 희생을 한다. 반면에 남성은 가족 친화적인 정책을 활용하여 직업적인 희생을 할 가능성이 적다. 그들은 집에서 더 적은 시간을 보내고 직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본질적으로, 계층적 우위를 가진 직업의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의 지위가 제공하는 유연성을 사용하여 "신전통적인 성적 기대를 실현한다".[21]
또한, 남성은 고용주가 자녀가 없는 남성보다 자녀가 있는 아버지를 더 헌신적이고 생산적이며 책임감 있는 사람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직장에서도 우위를 점한다.[22] 노동 계급 남성은 생계 유지를 위한 남성성을 강조하는 반면, 중산층 남성은 전통적인 성별 기반의 노동 분업에 초점을 맞춘다. 평균적으로 아버지는 유급 노동에 주당 약 43시간, 가사와 자녀 양육에 주당 18시간을 소비한다. 궁극적으로 이것은 아버지가 유급 노동의 약 3분의 2와 무급 노동의 약 3분의 1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4]
계층적으로 불우한 남성과 여성은 시간을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동일한 시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은 근무 시간과 정책에 더 엄격한 제약을 받으므로 직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낼지 아니면 집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낼지 선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계층적으로 불우한 여성이라도 직장에서 더 적은 시간을 보내고 자녀나 가정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할 수 있지만, 직장에서 휴가를 얻거나 휴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럴 수 없을 수 있다.[21]
6명 중 5명의 어머니는 집을 비운 동안 충분한 보육을 받을 수 있다면 직장에 복귀할 것이다. 미국에서 영아 보육의 평균 비용은 연간 약 9589USD이며, 4세 미만의 어린이 보육 비용은 1년 동안 정규직 최저임금 근로자의 수입의 약 64%를 차지한다.[14] 이러한 이유로 저소득 가정은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 한 명을 직장 밖에 두는 것으로 비용을 절감할 것이다. 가정에서 무급 노동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관계나 재정적 결정에 대한 발언권이 거의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생계 유지자에게 종속된다고 느낄 수 있다. 또한, 어린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임금, 혜택 및 사회보장 기여금을 잃게 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가족을 위해 3년 이상 직장을 쉰 어머니는 소득이 약 37% 감소하는데, 이것은 "맘미 택스"로 간주된다.[14] 물론, 생계 유지자와 결혼한 여성에게는 이것이 덜 두드러지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자신의 소득과 재산을 전업 주부인 배우자와 기꺼이 공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층적 불우는 남성과 여성 모두 전통적인 성적 기대를 준수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연구자들은 계층적 우위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성을 행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계층적 불우는 "성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성적 기대의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 오늘날 전업주부 아버지의 수가 20년 전보다 두 배나 증가하면서 성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14] 전업주부 아버지 5명 중 4명은 장애, 질병, 교육, 실업 또는 은퇴 때문에 집에만 있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인종도 아버지의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 흑인, 히스패닉계, 아시아계 남성과 교육 수준이 낮은 남성은 백인 고학력 남성보다 집에 머무를 가능성이 더 높다.[14]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이 결혼 생활에서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을 얼마나 잘 인지하는지를 예측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은 직업 특성, 가족 특성 및 직장과 가족 간의 파급 효과이다.[23] 직업 특성은 근로자가 결혼 생활에서 여러 가지 요구와 의무를 조정할 수 있는 자유를 결정한다. 상위 직종은 일반적으로 하위 직종보다 가정 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21] 또한, 근무 시간과 가정 생활로의 직장 업무 파급 효과는 결혼 생활에서 인식되는 불균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예측 변수이다. 직무 때문에 남성 또는 여성이 가족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거나 집안일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인식되는 불균형의 가능성이 더 높다.[23]
남성은 직장 생활을, 여성은 결혼 생활과 가정 생활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성 역할 기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23] 그러나 남성과 여성 사이의 가사 분담에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 이 개념을 설명하는 한 가지 이론적 접근 방식은 "성 유사성" 접근 방식으로, "남성과 여성의 직장 및 가족 요구의 수렴은 직장과 가족 책임에 대한 태도와 일과 가정의 균형감에 대한 수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23] 반대로, "성 차이" 접근 방식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규범적 차이가 남아 있으며, 가족은 여전히 주로 여성의 영역으로, 유료 노동은 남성의 영역으로 정의된다"고 규정한다.[23] 두 이론 모두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 일부 연구는 남성과 여성의 직장 경험의 수렴을 뒷받침한다. 남성과 여성 모두 고용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결혼 생활과 개인 생활을 조정하는 동시에 배우자와 가족 의무를 유지하기 위해 직장에서도 조정을 한다. 그러나 가사 노동과 집안일 분담에는 성별 차이가 있으며, 남성은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여성은 가정 및 육아 책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23]
평균적으로 어머니들은 유급 노동에 주당 25시간, 무급 노동에 32시간을 할애한다. 자녀 양육의 시작은 가정 내외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성별 노동 분업을 변화시킨다. 맞벌이 가정은 가족 소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사 노동과 유급 노동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은 여성이 육아에 더 효율적이며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적은 돈을 벌 것이라는 가정 때문에 무급 가사 노동에 전문화하게 된다.[24] 많은 여성은 자녀 양육을 예상할 때 초기의 경력이나 교육 열망을 최소화하거나 변경하거나 완전히 포기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여성을 불리한 직업 기회로 몰아넣고 성별 노동 시장 불평등을 재확인한다.
많은 학자들은 인간이 왜 관계를 맺고, 유지하고, 끝내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해왔다. 레빙거(Levinger)의 이혼 이론은 세 가지 기본 구성 요소, 즉 매력, 장벽, 대안으로 구성된다.[27] 이 이론에서 매력은 관계로부터 얻는 보상에서 관계의 비용을 뺀 것에 비례한다. 사랑, 성, 동반자 관계, 정서적 지원, 일상적인 도움과 같이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관계의 보상으로 본다. 비용은 가정폭력, 부정행위, 다툼, 개인의 자유 제한과 같이 관계의 부정적인 측면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보상이 높고 비용이 낮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반대의 상황, 즉 이점이 거의 없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결혼이 자동적으로 이혼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부부는 종교적 신념, 사회적 낙인, 재정적 의존 또는 법적 제한과 같은 장벽을 극복해야 결혼을 성공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관계가 끝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또 다른 이론은 브라이언 바우트웰(Brian Boutwell)의 "짝 제거 이론"이다.[28] 짝 제거 이론은 모든 종이 성공적으로 번식하기 위해 노력하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결혼의 해소를 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제거 과정에는 성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은 남편이 정서적으로 바람을 피울 때 더 화를 내고, 남성은 아내가 신체적으로 바람을 피울 때 더 화를 낼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진화론적 뿌리에서 비롯된다. 남편이 아내를 정서적으로 속이는 것은 아내가 아이들을 기르는 데 필요한 자원의 손실이나 감소를 의미하는 반면, 아내의 신체적 부정행위는 남편이 다음 세대에 자신의 유전자를 전달할 기회를 위협한다. 이러한 두 가지 상황 모두 짝 제거를 요구한다. 특정 관계에서 자신을 해방시키는 능력은 조상 인류에게 적응도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다.[29]
세 가지 종단 연구인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1971년에 시작된 60가족에 대한 임상 연구),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결혼, 이혼, 재혼에 대한 일련의 종단 연구), 98가족에 대한 이핵가족 연구는 이혼에 관한 연구 문헌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이핵가족 연구는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와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30] 이러한 연구는 나중 삶에서 자녀에게 미치는 이혼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디스 윌러스테인(Judith Wallerstein)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마린 카운티 프로젝트 기반)는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들은 종종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여 타인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제시한다. 다른 학자들이 수행한 양적 연구는 윌러스테인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고, 불안정한 결혼 생활을 하고, 이혼하고,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윌러스테인은 이혼한 부모와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 간의 차이가 극적이고 광범위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윌러스테인의 결론에 반대하는 사람 중 한 명은 E. 메이비스 헤더링턴(E. Mavis Hetherington)인데, 그녀는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는 장기적인 피해 없이 성장한다고 주장한다. 헤더링턴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의 25%가 심각한 사회적, 정서적 또는 심리적 문제를 안고 성인이 되는 반면,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10%였다. 자녀의 75%는 기능이 양호한 성인으로 성장했다.
이핵가족 연구의 98가족을 인터뷰한 지 20년 후, 이 가족들의 자녀 중 85%를 인터뷰했다. 그중 23%가 대학원 과정을 마쳤고, 33%가 대학을 졸업했고, 31%가 대학 이후 교육 과정을 마쳤고, 10%가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으며, 인터뷰 대상 자녀의 대다수(85%)가 취업했다.[31]
결혼사회학 관련 학술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Family Matters, 호주 가족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발행[74]
- 국제 가족사회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 가족 역사 저널(Journal of Family History)
- 결혼과 가족 저널(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 가족 문제 저널(Journal of Family Issues)
10. 1. 결혼의 의미와 기능 변화
주데오-기독교 신앙 체계에서 결혼은 아담과 이브의 평생 동안 남자와 여자 사이의 약속을 본뜬 것이다. 그 부부는 핵가족을 구성하는 아이를 낳는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현재 이 이상적인 배열이 미국 사회에서 가족의 진정한 구조를 얼마나 가지고 있고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 1995년 사회학자 스테파니 쿤츠(Stephanie Coontz)는 미국 가정이 항상 경제적 필요에 의해 가장 먼저 정의되었다고 언급하였다. 쿤츠는 1950년대에 들어서야 행복한 핵가족의 신화가 생겨났다고 주장한다.[80]"현대 가정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결혼하지 않은 동거, 이혼, 한부모 가정, 동성간의 동반자 관계, 그리고 복잡한 가족 관계를 받아들이면서 크게 변화하고 있다. 조부모들 또한 그들의 일을 하고 있다."[81]
쿤츠는 20세기 동안 개인들이 사회적 또는 경제적 편의보다는 사랑과 애정의 이상을 위해 조합을 찾기 시작하면서 미국에서 결혼이 점점 불안정해졌다고 주장한다.[82] 이러한 전환은 "제2의 교대"라고 불리는 가정과 육아의 유지보수가 이제 부부 동반자 간의 논쟁의 주제가 되는 등 생계를 책임지는 가정-가정주부 모델 내의 분업을 흐리게 만들었다. 사회학자 알리 러셀 호치차일드(Alie Russell Hochchild)는 결혼의 목적과 결혼에 대한 경제적인 토대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미국 가족의 손해를 위해 많은 보살핌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호치차일드는 부부평등과 배우자 만족을 줄임으로써 제2교대의 불평등한 분열이 가족의 복지를 저해하는 방법을 잘 보여준다.[83]
오늘날 우리는 가정주부와 생계를 책임지는 결혼의 변형된 모습을 보고 있다. 이 결혼식은 여성이 가장 역할을 채택하지만 여전히 가정을 돌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여성이 원한다면 일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가정에서의 실제 가정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일할 수 있다고 믿는 신전통주의자로 여겨진다.[84] 결과적으로, 이것은 여성들로 하여금 가정주부가 되기 위한 일차적인 의무에 따라 구조화된 불리한 직업 기회를 갖도록 강요하고 성별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다시 강조한다.[85]
결혼과 가족은 점점 더 성별이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그러나 결혼에서 성별의 차이는 단지 "개인적인 투쟁"으로 인식되어 왔고 사회적 불평등을 차이점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탈정치화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86]
10. 2. 결혼 선택과 결정 요인
결혼은 사회학적으로 중요한 제도이며, 누가 누구와 결혼하는지를 결정하는 요인은 복잡하고 다양하다.사람들이 결혼 상대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적 모델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교육 수준과 성별을 함께 고려하는 교차적 접근 방식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남성과 여성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결혼 시장"에서 활동한다. 이 중에서도 교육 수준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자신과 비슷한 교육 수준을 가진 배우자와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87] 브루제, 스바러, 바이스의 연구(2015)에서는 저학력을 고등학교 교육 이하, 중학력을 직업 교육, 고학력을 대학 교육으로 정의했다.[87]
결혼은 양쪽의 기대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기대에 기반하여 "형성되거나 종료"된다.[88]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교육 수준에 따라 결혼 시장에 들어오거나 나간다.[88] 가장 두드러진 경향은 교육 수준이 낮은 남성들이 결혼 시장에서 점차 배제되어 독신으로 남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이유는 배우자 모두 또는 남편만 교육 수준이 낮은 결혼이, 배우자 모두 또는 남편이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결혼보다 이혼으로 끝날 확률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중등 교육 수준의 젊은 여성들은 결혼율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인다. 고학력 남성은 고학력 여성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으며, 고학력 남성과 여성은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결혼하는 나이보다 늦게 결혼한다. 이러한 경향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강해지는데, 고학력 남성 중 비슷한 수준의 고학력 여성과 결혼한 비율은 남성이 46세일 때 64%에 달한다.[89]
성별과 결혼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결혼 시장이다.[90] 결혼 시장은 경제 상황이 결혼 대상, 관계 지속 여부, 그리고 이것이 미래 세대의 노동자와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의미한다. 결혼 시장 분석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결혼 시장 상황은 외부에서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 작용하여, 결혼 결정의 전반적인 경향에 영향을 미친다.[91] 즉, 개인의 상황은 특정한 결혼 결정을 유도할 수 있지만, 결혼 시장은 거시적인 수준에서 모든 사람의 결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안정적인 소득과 직업은 안정적인 결혼 생활에 필수적이다. 또한, 고용 안정성은 생산성 향상을 통해 고용주와 가족 모두에게 더 큰 결속력을 제공한다. 둘째, 결혼 시장 상황은 다양한 경제적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91] 경험적 연구 결과는 재정적 안정이 결혼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실업률이 높은 취약한 결혼 시장에서는 결혼을 원하는 부부가 실업이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결혼을 연기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결혼한 부부도 자신이나 배우자의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해 불안감을 느껴 결혼 생활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반대로, 실업률이 낮은 강력한 노동 시장은 배우자의 고용 및 재정 상황을 개선하여 결혼을 촉진하고 경제적 안정을 높일 수 있다.[91] 따라서 결혼 시장이 강하고 실업률이 낮을 때는 결혼 시장이 약하고 실업률이 높을 때보다 결혼이 개인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91]
10. 3. 결혼 생활의 만족도와 안정성
스테파니 쿤츠(Stephanie Coontz)는 1995년 기사 "미국 가족과 명성 함정"에서 미국 가정이 경제적 필요에 의해 우선적으로 정의된다고 언급했다. 식민지 시대에 가정은 경제적 자립을 위해 노예나 하인에게 의존했다. 쿤츠는 현대의 "빵 굽는 사람-가정주부 모델"은 역사적 근거가 거의 없으며, 1950년대에 들어서야 행복한 핵가족이 올바른 가족 구조라는 신화가 생겨났다고 주장한다.[80]현대 가정은 미혼 동거, 이혼, 한부모 가정, 동성 파트너십, 복잡한 가족 관계를 수용하면서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조부모 또한 그들의 역할을 하고 있다.[81] 가족 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매우 다양한 가족 구조가 존재한다.
쿤츠는 20세기 동안 사람들이 사회적 또는 경제적 편의보다는 사랑과 애정의 이상을 위해 결합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미국에서 결혼이 점점 불안정해졌다고 주장한다.[82] 이러한 전환은 "제2의 교대"라고 불리는 가정과 육아의 유지보수가 이제 부부 파트너 간의 논쟁의 주제가 되는 등 생계를 책임지는 가정-가정주부 모델 내의 분업을 흐리게 만들었다. 사회학자 앨리 러셀 호크쉴드(Alie Russell Hochschild)는 "제2의 교대"에서 결혼의 목적과 결혼에 대한 경제적인 토대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미국 가족의 손해를 위해 많은 보살핌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호크쉴드는 부부 평등과 배우자 만족을 줄임으로써 제2교대의 불평등한 분열이 가족의 복지를 저해하는 방법을 잘 보여준다.[83]
오늘날 우리는 가정주부와 생계를 책임지는 결혼의 변형된 모습을 보고 있다. 이 결혼은 여성이 가장 역할을 채택하지만 여전히 가정을 돌볼 것으로 예상되는 신전통주의적 형태이다.[84] 결과적으로, 이것은 여성들로 하여금 가정주부가 되기 위한 일차적인 의무에 따라 구조화된 불리한 직업 기회를 갖도록 강요하고 성별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다시 강조한다.[85]
가족과 결혼은 점점 더 성별이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그러나 결혼에서 성별의 차이는 단지 "개인적인 투쟁"으로 인식되어 왔고 사회적 불평등을 차이점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탈정치화되었다.[86]
사람들이 결혼 상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이론적 모델들이 있다. 중요한 성별 중심 접근 방식은 교육 수준과 성별을 결합한 교차 접근 방식이다. 남성과 여성은 "결혼 시장"에서 활동하며, 교육 수준은 가장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자신과 비슷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파트너와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브루제(Bruze), 스바러(Svarer), 와이즈(Weiss)의 연구(2015)에서 저학력은 고등학교 교육 이하, 중학력은 직업 교육, 고학력은 대학 교육으로 정의된다.[87] 결혼은 두 사람의 기대에 따라 "형성 및 종료"되며, 개인들은 "교육에 근거하여 결혼 시장을 드나든다".[88] 교육 수준이 낮은 남성들은 결혼 시장에서 천천히 선택되고 독신으로 남는 경향이 있다. 배우자나 남편만 학력이 낮은 결혼은 이혼으로 끝날 확률이 높다. 중등교육 수준의 젊은 여성들은 결혼률이 가장 높으며, 고학력 남성은 고학력 여성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고학력 남성과 여성은 결혼을 늦추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나이가 들수록 더 강해진다.[89]
결혼 시장은 경제성이 누구와 결혼하고, 누구의 유대가 견디는지, 그리고 이것이 미래 세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영향을 준다. 결혼 시장 상황은 외부에서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며, 결혼 결정의 일반적인 경향에 영향을 미친다.[91] 개인의 상황은 결혼에 대한 결정을 내리게 하지만, 결혼 시장은 거시적 수준에서 모든 사람의 결정에 영향을 준다. 안정된 수입과 일자리는 건전한 결혼을 위한 것이며, 고용 안정성은 생산성 향상을 통해 고용주와 가족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경제적 안정성은 결혼의 중요한 요건이다. 취약한 결혼 시장(높은 실업률)에서 결혼을 원하는 부부는 실업이나 재정난으로 인해 결혼을 미룰 수 있다. 이미 결혼한 부부도 미래 경제 상태에 대한 의구심으로 결혼 불안정을 겪을 수 있다. 반대로, 강한 노동 시장(낮은 실업률)은 결혼을 촉진하고 경제적 안정을 증가시킬 수 있다.[91] 따라서 결혼 시장이 강하고 실업률이 낮을 때 결혼은 더 매력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10. 4. 결혼 시장과 교육 수준, 성별의 교차성
사람들이 결혼 상대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설명하는 많은 이론적 모델들이 있다. 중요한 성별 중심 접근 방식은 교육 수준과 성별을 결합한 교차적 접근 방식이다. 남성과 여성은 많은 경쟁 요소의 영향을 받는 "결혼 시장"에서 활동한다. 가장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는 교육 수준이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자신의 교육 수준과 유사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배우자와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Bruze, Svarer, Weiss의 연구(2015)에서 저학력은 고등학교 교육 이하, 중학력은 직업 교육, 고학력은 대학 교육으로 정의된다.[17] 결혼은 두 사람의 기대에 달려 있으며, 그러한 기대에 따라 "형성되고 종료된다". 따라서 개인은 "자신의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결혼 시장에 진입하거나 탈락한다".[17] 가장 두드러진 결혼 추세는 저학력 남성이 결혼 시장에서 점차 배제되어 독신으로 남는다는 것이다. 이 과정의 원동력은 배우자 모두 또는 남편만 저학력인 결혼은 배우자 모두 또는 남편이 저학력이 아닌 결혼보다 이혼율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중학력의 젊은 여성은 결혼율이 가장 높은 경향이 있다. 고학력 남성은 고학력 여성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학력을 받은 남성과 여성은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결혼하는 나이보다 결혼을 늦춘다. 이러한 추세는 나이가 들수록 더욱 강해진다. 고학력 남성 중 유사하게 고학력인 여성과 결혼한 비율은 남성이 46세일 때 64%에 달한다.[17]성별과 결혼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교차적 요소는 결혼 시장이다.[18] 결혼 시장은 경제가 누가 결혼하고 누구의 유대감이 지속되며 이것이 미래 세대의 노동자와 부모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의미한다. 결혼과 관련된 결혼 시장을 분석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첫째, 결혼 시장 여건은 대상 외부에서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며, 이는 결혼 결정의 일반적인 추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19] 다시 말해, 개인적인 상황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결혼에 대한 결정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개인적인 상황에 특정될 수 있다. 결혼 시장은 거시적 수준에서 모든 사람의 결혼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즉, 안정적인 소득과 직업은 건전한 결혼을 위한 것이다. 또한 직업 안정성은 더 높은 생산성을 통해 고용주와 가족 모두에게 더 큰 결속력을 제공한다. 둘째, 결혼 시장 여건은 많은 경제적 영향을 포착할 수 있다.[19] 경험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정적 안정성은 결혼에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취업률이 높은 취약한 결혼 시장에서는 결혼하고 싶은 부부가 실업이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결혼을 미룰 수 있다. 더욱이, 이미 결혼한 부부조차도 자신이나 배우자의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의구심을 품을 수 있으며, 이는 결혼 생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실업률이 낮은 강력한 노동 시장은 배우자의 고용 상황과 재정 상황을 개선하여 결혼을 용이하게 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19] 따라서 결혼 시장이 강하고 실업률이 낮으면 결혼 시장이 약하고 실업률이 높을 때보다 결혼이 개인에게 더 매력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20]
11. 이혼
가족사회학에서 이혼은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혼은 개인과 가족, 사회 전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주요 주제 | 주요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영역/범위 | 가족, 정부, 집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 생활 측면 | 결혼과 성에 대한 견해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 상호 작용, 정책 조치 영향 | 가정 내 성 역할 유동성 증가[3]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부모 선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 최고 학력 |
이혼 관련 이론으로는 레빙거(Levinger)의 이혼 이론과 브라이언 바우트웰 등의 "짝 제거 이론"이 대표적이다. 레빙거 이론은 이혼 결정 요인을 매력, 장벽, 대안으로 설명하며,[27] 짝 제거 이론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혼을 설명한다.[28]
11. 1. 이혼율 추이와 원인
서구 국가들의 이혼율은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했지만, 지난 20년 동안 감소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이혼율은 1860년 1,000건의 결혼당 1.2건에서 1920년 7.7건으로 증가했다가, 1979년 5.3건, 2000년 4.1건, 2004년 3.7건으로 감소했다.[25]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의 이혼율은 21% 감소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더 늦은 나이에 결혼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26]현대 이혼율 증가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개인주의: 오늘날 사회에서 가족들은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떨어져 보내는 시간이 더 많다. 일부 가족 구성원들은 개인적인 행복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한 수입 획득에 더 집중하여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희생한다.
- 상호적인 감정의 부재: 성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거나 서로에 대한 감정을 잃어 결혼 생활을 끝내는 경우가 있다. 한 배우자가 더 흥미로운 관계를 찾아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거나, 간통을 저지르는 경우 이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여성의 독립성 증가: 여성이 평등한 권리를 갖게 되고, 자신을 부양할 능력을 증명하면서 불행한 결혼 생활을 떠나기가 더 쉬워졌다. 또한 여성들이 직장에 더 집중하여 관계 문제에 대처할 시간이 줄어들었다.
- 스트레스: 가족을 부양하고 재정을 안정시키려는 노력은 결혼 생활에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두 배우자 모두 일하는 경우 "가족 시간"이 줄어들어 자녀 양육이 어려워진다.
- 사회적 수용성: 오늘날 이혼이 더 사회적으로 용인된다. 불만족스러운 관계에서 이혼을 막는 대신, 이혼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때로는 권장되기도 한다. 이혼이 더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법적으로 이혼하기도 과거보다 쉬워졌다.
레빙거(Levinger)의 이혼 이론(1965, 1976)은 매력, 장벽, 대안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27] 매력은 관계의 보상(사랑, 성, 정서적 지원 등)에서 비용(가정폭력, 다툼 등)을 뺀 것이다. 보상이 높고 비용이 낮은 관계는 유지되는 경향이 있지만, 종교적 신념, 사회적 낙인, 재정적 의존 등의 장벽을 극복해야 이혼할 수 있다.
관계가 끝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또 다른 이론은 브라이언 바우트웰 등의 "짝 제거 이론"이다.[28] 이 이론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결혼 해소를 설명한다. 여성은 남편의 정서적 외도에, 남성은 아내의 신체적 부정행위에 더 분노하는데, 이는 진화론적 이유 때문이다. 남편의 정서적 외도는 자원 손실을, 아내의 신체적 외도는 남성의 유전자 전달 기회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 이핵가족 연구 등 세 가지 종단 연구는 이혼에 관한 연구에 기여했다.[30] 이 연구들은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디스 윌러스테인은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들이 심리적 문제를 겪고, 불안정한 결혼 생활을 하며,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위험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E. 메이비스 헤더링턴은 이혼의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는 장기적인 피해 없이 성장한다고 반박한다. 헤더링턴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의 25%가 심각한 문제를 겪는 반면,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10%였다.
이핵가족 연구의 자녀들을 인터뷰한 결과, 대다수(85%)가 취업했으며, 상당수가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았다.[31]
11. 2.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주디스 윌러스테인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마린 카운티 프로젝트 기반)는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들은 종종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여 타인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제시한다.[30] 다른 학자들이 수행한 양적 연구는 윌러스테인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고, 불안정한 결혼 생활을 하고, 이혼하고,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윌러스테인은 이혼한 부모와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 간의 차이가 극적이고 광범위하다는 주장인 그녀 이론의 "극단적인 버전"에 대해 논란이 있다.윌러스테인의 결론에 반대하는 사람 중 한 명은 E. 메이비스 헤더링턴인데, 그녀는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는 장기적인 피해 없이 성장한다고 주장한다. 헤더링턴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의 25%가 심각한 사회적, 정서적 또는 심리적 문제를 안고 성인이 되는 반면, 계속 결혼한 부모를 둔 자녀는 10%였다. 자녀의 75%는 기능이 양호한 성인으로 성장했다.
이핵가족 연구의 98가족을 인터뷰한 지 20년 후, 이 가족들의 자녀 중 85%를 인터뷰했다. 그중 23%가 대학원 과정을 마쳤고, 33%가 대학을 졸업했고, 31%가 대학 이후 교육 과정을 마쳤고, 10%가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으며, 인터뷰 대상 자녀의 대다수(85%)가 취업했다.[31]
11. 3. 이혼 후 가족 관계 재조정
서구 국가들의 이혼율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해왔지만, 지난 20년 동안 감소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이혼율이 1860년 1,000건의 결혼당 1.2건에서 1920년 7.7건으로 증가했다가, 1979년 5.3건에서 2004년 3.7건으로 감소했다.[25]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의 이혼율은 21% 감소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더 늦은 나이에 결혼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26]현대 이혼율 증가의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개인주의: 오늘날 사회에서 가족들은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떨어져 보내는 시간이 더 많다. 일부 가족 구성원들은 개인적인 행복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한 수입 획득에 더 집중하여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희생한다.
- 상호적인 감정의 부재: 많은 사람들이 성적 욕구가 더 이상 충족되지 않거나 서로에 대한 감정을 잃었기 때문에 결혼 생활을 끝낸다. 어떤 경우에는 한 배우자가 간통을 저지를 수도 있으며, 이는 이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여성의 독립성 증가: 여성은 평등한 권리를 갖게 되었고, 자신을 부양할 능력을 증명했기 때문에 불행한 결혼 생활을 떠나기가 더 쉬워졌다. 또한, 여성들이 직장에 더 집중하여 관계 문제에 대처할 시간이 줄어들었다.
-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결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일하면서 재정을 안정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은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두 배우자 모두 일하는 경우 "가족 시간"이 줄어들어 자녀 양육이 어려워진다.
- 사회적 수용성: 오늘날에는 이혼이 더 사회적으로 용인된다. 이혼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때로는 권장되기도 하며, 법적으로 이혼하기가 과거보다 쉬워졌다.
레빙거(Levinger)의 이혼 이론은 매력, 장벽, 대안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27] 매력은 관계에서 얻는 보상에서 비용을 뺀 것이다. 사랑, 성, 정서적 지원 등은 보상으로, 가정폭력, 부정행위, 다툼 등은 비용으로 간주된다. 보상이 높고 비용이 낮은 관계가 유지되는 경향이 있지만, 종교적 신념, 사회적 낙인, 재정적 의존 등의 장벽도 이혼에 영향을 미친다.
관계가 끝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또 다른 이론은 브라이언 바우트웰 등의 "짝 제거 이론"이다.[28] 이 이론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결혼 해소를 설명한다. 여성은 남편의 정서적 외도에, 남성은 아내의 신체적 부정행위에 더 분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진화론적 이유 때문이다. 남편의 정서적 외도는 자원 감소를, 아내의 신체적 외도는 유전자 전달 기회 위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29]
마린 카운티 프로젝트, 버지니아 카운티 연구, 이핵가족 연구 등 세 가지 종단 연구는 이혼에 관한 연구에 기여했다.[30] 이러한 연구는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디스 윌러스테인은 이혼한 부모를 둔 자녀들이 심리적 문제를 겪고 불안정한 결혼 생활을 할 위험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E. 메이비스 헤더링턴은 이혼의 부정적 영향이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는 장기적인 피해 없이 성장한다고 반박한다. 헤더링턴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 가정 자녀의 25%가 심각한 문제를 겪는 반면, 일반 가정 자녀는 10%였다.
이핵가족 연구의 98가족을 인터뷰한 지 20년 후, 자녀들의 85%를 인터뷰한 결과, 대다수가 취업했으며 상당수가 고등 교육을 마쳤다.[31]
모성(母性)은 아이들을 양육하고 돌보는 사회적 행위이다.[33] 모성은 일반적으로 여성과 관련이 있지만, 모든 여성이 어머니가 되는 것은 아니며, 양육은 여성만의 영역이 아니다. 모성과 관련된 역할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33]
12. 기술 발전과 가족의 변화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사회와 가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커졌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기술은 부모와 자녀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가족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12. 1. 정보통신 기술과 가족 소통 방식의 변화
정보통신 기술, 특히 소셜 미디어는 가족 소통 방식과 부모의 양육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쇼페-설리반(Schoppe-Sullivan) 박사는 맞벌이 부부 가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아버지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른 부모들을 보며 자신감을 얻는 반면, 어머니들은 이상적인 가족의 모습이나 다른 사람들의 비판적인 댓글에 불안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32] 이는 어머니들의 스트레스 증가와 자신감 저하로 이어져 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녀들의 행동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32]12. 2. 소셜 미디어와 가족 관계의 양면성
기술, 특히 소셜 미디어는 가족 관계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친다. 쇼페-설리반(Schoppe-Sullivan) 박사는 2008년부터 2009년 사이에 첫 아이를 낳은 맞벌이 부부 약 200쌍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가 부모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32] 연구 결과, 아버지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다른 부모들을 보고 자신감이 높아진 반면, 어머니들은 이상적인 가족 사진이나 다른 사람들의 비판적인 댓글을 보고 불안감을 느끼거나 자신감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32] 이러한 부모의 스트레스와 자신감 변화는 자녀들의 행동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2]12. 3. 기술 발전과 새로운 가족 문제의 등장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커졌습니다. 쇼페-설리반(Schoppe-Sullivan) 박사는 특히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기술이 부모와 자녀 양육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습니다. 그녀는 2008년부터 2009년 사이에 첫 아이를 낳은 약 200쌍의 맞벌이 부부 가정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가 부모 역할에 어떤 압력을 가하는지 관찰했습니다. 연구 결과, 아버지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다른 부모들을 보고 자신감이 높아진 반면, 어머니들은 그 반대의 효과를 보였습니다.[32] 어머니들은 이상적이거나 완벽한 가족 사진을 묘사하는 게시물을 보고 불안감을 느끼거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양육 방식을 비판하는 댓글에 대해 걱정했습니다. 이는 직접적으로 스트레스 증가와 자신감 저하로 이어졌고, 이는 자녀들이 부모에게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쳐 자녀들의 행동 변화를 초래했습니다.[32]13. 모성과 부성
모성은 자녀를 양육하고 보호하며 훈련하는 일련의 활동을 포함하며, 이는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편적인 "모성 행위"로 간주된다.[33] 모성 이데올로기는 가족 구조의 이상화에 영향을 미치며, 전통적으로는 이성애 부부와 자녀라는 이미지를 강조한다.[35]
부성은 결혼한 부부의 남편으로서, 자녀 양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동아시아와 서구의 전통적인 가족에서 아버지는 가장으로서 재정적 지원과 중요한 결정을 담당했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이러한 전통적인 아버지 역할과 남성 가장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기해 왔다.[44]
주제 |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
13. 1. 모성 이론: 보편주의적 접근과 특수주의적 접근
보편주의적 모성 접근법은 어머니들이 하는 일을 개념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접근법은 어머니들이 어떻게 느끼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하는지로 어머니들을 구분한다. 어머니들은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보편적인 "모성 행위"로 알려진 일련의 활동들을 공유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자녀의 양육, 보호 및 훈련이 포함된다. 개인의 모성 행위는 가족, 개인, 아동의 본성, 그리고 자녀의 본성에 대한 그들의 신념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것들은 또한 그들 자신의 아동기와 과거의 자녀와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은 깊고 의미있는 유대감을 형성한다.[33]특수주의적 모성 접근법은 어머니의 역할, 활동, 이해가 그들이 살고 있는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모성은 "인종, 계급, 성별의 상호 연관된 구조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한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일어난다.[34] 더욱이, 어머니가 개발하는 전략과 의미는 지역 및 지역 정치 경제와 계급, 민족, 문화, 성적 지향의 교차점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위치의 영향을 받는다.[33]
13. 2. 현대 사회의 모성 이데올로기와 변화
현대 사회에서 모성 이데올로기는 가족 구조의 이상화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주로 자녀를 둔 이성애 부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다.[35] 이러한 가족 모델은 16세기와 17세기 유럽의 "부르주아 가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아버지는 경제적 지원과 징계를 담당하고 어머니 또는 다른 여성 친척이 육아를 전담하는 형태였다.하지만 이러한 모성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다양한 문화적 모순과 양육 방식이 존재한다. 미혼모, 저소득층 모, 소수 민족 모, 이민자 모, 레즈비언 모 등은 결혼과 전업 주부라는 전통적인 모성 역할에서 벗어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3]
어머니날은 가족 내 어머니의 역할을 기념하는 날이다. 앤 자비스는 원래 직장의 청결 및 위생 부족에 항의하며 어머니의 노동절을 조직했고,[37][38] 그녀의 딸이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전국 어머니의 날을 제정했다.[37]
미국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어머니가 있으며, 첫째 출산의 평균 연령은 25.1세이다. 2008년에는 출산의 10%가 10대 소녀에 의한 것이었고, 14%는 35세 이상 여성에 의한 것이었다.[40]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교육 기간이 길수록 출산 연령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41]
13. 3. 부성 이론: 남성성의 구성과 아버지 역할의 다양성
인류학자 모리스 고델리에에 따르면, 인간 사회에서 남성이 부모 역할을 맡는 것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생물학적 친척(침팬지와 보노보)이 부계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중요한 새로움이다.[42][43]많은 문화권, 특히 서구의 전통적인 문화권에서 아버지는 일반적으로 결혼한 부부의 남편이며, 자녀 양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의붓가족의 의붓아버지(생물학적 어머니와 결혼한 남성)와 같이 비생물학적 아버지에게도 아버지라는 호칭이 주어질 수 있다.
동아시아와 서구의 전통적인 가족에서는 아버지가 가족의 가장으로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가족 구성원들은 그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따라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가족에 대한 문화적 개념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르다. 일부 사회학자들이 16세기와 17세기 유럽 가정에서 유래한 "자본가 가족"이라고 부르는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의 역할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경제적 지원자이자 때로는 징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어머니나 다른 여성 친척이 자녀 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는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육아휴가가 없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강화된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로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일과 돌봄의 성차별적인 배분과 남성 가장 역할을 비판해 왔으며, 성별 관계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아버지로서의 남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증가하고 있다.[44] '아버지 기술(father craft)' 연구는 '남성 부모의 과학'으로 묘사되며, 주로 1920년대 영국과 미국(그리고 유럽 전역에서도)에서 등장했다. "모성 및 유아 복지 센터의 남성 보조자들은 전간기 영국에서 유아 복지와 육아에서 어머니의 지배적인 역할에 반응하여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45]
미국 사회에서 남성들이 아버지상을 어떻게 보고 정의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남성들이 아버지가 되는 것을 선택하는 이유와 아버지 역할과 현대 남성성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있다. 정체성 이론에 기반하여 남성의 삶에서 아버지 정체성의 중요성, 중심성, 현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자녀와의 관계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정체성이 더욱 현저하고 중심적일수록 개인은 그 정체성과 관련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현저성은 특정 상황에서 정체성을 행동으로 나타낼 준비성을 의미한다. 중심성은 다른 정체성과 관련하여 정체성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아버지 정체성의 중심성은 남성이 "훌륭한" 아버지가 되어야 한다는 성차별적인 기대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형제, 남편 등과 비교하여). 아버지 역할을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중심적이고 중요한 부분으로 여기는 남성은 자녀와 더 많이 교류하고 책임감 있는 아버지 역할에 참여하려고 노력할 가능성이 더 높다. 아버지가 되는 데 성공하지 못하거나 자녀를 가질 수 없는 남성들은 아버지가 되지 못하는 것을 자신의 남성성에 대한 위협으로 여긴다. 결과적으로, 남성성에 대한 위협은 불임이거나 여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들이 아버지가 되도록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47]
아버지가 되는 것을 선택하지 않는 남성에 대한 연구는 종종 아버지 역할이 남성성과 남성의 중심적인 정체성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많은 남성들은 경제적 어려움, 문화적 차이, 삶의 상황 등을 아버지가 되는 것을 망설이게 하는 잠재적 요인으로 지적한다.[47]
경제적 어려움(경제적 문제)은 남성들이 아버지가 되는 것을 피하는 주요 설명으로 작용한다. 미국에서는 가족을 부양하는 것이 아버지의 정체성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남성들에게는 직업적 성공과 아버지가 되는 것을 분리하기 어렵다. 그 결과, 경제적 어려움과 아버지가 되는 것의 중요성 사이에 복잡한 관계가 형성된다. 실업 상태이거나 저임금인 남성들은 종종 아버지이자 남성으로서 실패했다고 느낀다. 반면에,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남성들은 아버지가 되는 것을 매우 매력적으로 여기는데, 이는 직업 세계에서 그들에게 부족했던 성취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되는 것의 문화적 중요성 측면에서, 백인 남성과 유색인종 남성은 아버지가 되는 것에 대한 견해가 달라 이러한 남성들이 아버지가 되는 데 참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8]
일부 남성들은 아버지가 되는 것을 추구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 삶의 상황을 지적한다. 삶의 상황은 개인의 관계 상태(미혼 또는 기혼)와 나이로 정의된다. 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많고 기혼인 남성은 아버지가 되는 것을 추구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은 결혼, 직장, 아버지가 되는 것을 "패키지 거래"[49]로 계속해서 본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즉, 직장이나 결혼과 같이 이러한 요소 중 하나가 부족하면 자녀를 갖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13. 4. 한국 사회의 모성과 부성: 전통과 변화의 공존
많은 문화권, 특히 서구의 전통적인 문화권에서 아버지는 일반적으로 결혼한 부부의 남편이다.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역할을 하는 비생물학적 아버지에게도 아버지라는 호칭이 주어질 수 있다. 이는 의붓가족의 의붓아버지(생물학적 어머니와 결혼한 남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동아시아와 서구의 전통적인 가족에서는 아버지가 가족의 가장으로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가족 구성원들은 그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따라야 하는 경우도 있다.
가족에 대한 문화적 개념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르다. 일부 사회학자들이 16세기와 17세기 유럽 가정에서 유래한 "자본가 가족"이라고 부르는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의 역할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가족 모델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경제적 지원자이자 때로는 징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어머니나 다른 여성 친척이 자녀 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는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육아휴가가 없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강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적인 역할은 점점 더 의문시되고 있다. 1950년대 이후로 사회과학자들과 페미니스트들은 일과 돌봄의 성차별적인 배분과 남성 가장 역할을 비판해 왔으며, 성별 관계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아버지로서의 남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증가하고 있다.[44]
주제 |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14. 다양한 가족 형태
가족사회학은 다양한 가족 형태를 연구하며,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가족 구조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를 탐구한다.
중요 주제 | 주요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영역/범위 | 가족, 정부 또는 집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 생활의 측면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
14. 1. 한부모 가족: 증가 추세와 사회적 지원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수는 수년간 감소해 왔다. 캐나다의 경우, 200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이는 199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캐나다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던 때보다 낮아졌다.[50] 사회적으로 점점 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다.14. 2. 동거 가족: 사회적 수용과 법적 쟁점
사회적으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존재한다.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의 수는 수년간 감소해 왔다. 캐나다의 경우, 200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이는 1991년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가 캐나다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던 때보다 낮아졌다.[50]14. 3. 동성 가족: 법적 인정과 사회적 인식 개선
동성 가족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많이 나타나는 가족 형태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핵가족 모델, 즉 남녀 간의 결혼과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구성된 가족과는 다른 형태를 띤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인식과 법적 인정의 변화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동성 커플의 결혼과 가족 구성에 대한 논의는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특히, 동성 커플이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5]
14. 4. 1인 가구: 증가 원인과 사회적 영향
인구 통계적 변화는 가족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혼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2] 이혼율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가족 모델이었던 남성 가장과 여성 가정주부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가정 내 성 역할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으며,[3]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와 다세대 가구 생활의 영향,[4] 해외 근로자 증가로 인한 장거리 관계 등도 가족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구분 | 내용 |
---|---|
인구 통계학적 변화 | 결혼 평균 연령 증가, 이혼율 증가, 성 역할 변화, 베이비붐 세대 고령화, 다세대 가구 증가, 외국인 노동자 증가 등 |
사회적 영향 | 다양한 가족 형태 증가 (예: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 부부 감소) |
캐나다의 경우, 2001년 기준으로 25세 미만 자녀를 둔 결혼 부부와 사실혼 부부는 전체 가구의 44%를 차지했다.[50] 이는 1991년의 49%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50]
15. 아동 사회학
아동 사회학은 가족, 사회, 문화 속에서 아동의 역할과 경험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가족사회학의 하위 분야로서, 아동의 발달, 사회화, 권리,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다.
주요 주제 | 주요 초점 영역 | 예시 |
---|---|---|
인구 통계 | 가족 규모, 연령, 민족, 다양성, 성별 | |
영역/범위 | 가족, 정부, 집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 생활의 측면 | |
변화와 상호 작용 | 가족 구성원 간 상호 작용, 다른 조직과의 상호 작용, 정책 조치의 영향 | |
이데올로기 | 가족 기반 신념과 심리적 영향 | |
사회 계급 | 경제 지표 및 자본, 이동성, 직업, 가구 소득, 가족 구성원의 최고 학력 |
15. 1. 아동을 사회적 행위자로 보는 관점
2000년대 이후, 스칸디나비아와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아동사회학이라는 새로운 하위 분야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실증 연구와 활발한 이론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이 채택되었는데, 유럽 사회학자들은 아동 권리 신장에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다.[55] 그때까지 사회학은 주로 사회화의 관점에서 아동과 아동기를 접근해 왔으며, 새로운 아동 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은 사회학 전통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과 병행했다. 아동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의 "성인 중심적" 접근 방식과 아동에 대한 "분리적 시각"을 비판했다. 따라서 아동 사회학의 핵심 연구는 역사, 문화 연구, 민족방법론, 교육학을 연결하는 등 상당히 학제 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핵심 저서로는 제임스와 프라우트의 "아동성의 구성과 재구성"(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1990/1997), 제임스, 젠크스, 프라우트의 "아동성 이론화"(Theorizing Childhood, 1998), 그리고 프라우트의 "아동의 미래"(The Future of Childhood, 2005) 등이 있다. 아동과의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는 크리스텐센과 제임스가 편집한 "아동과의 연구"(Research with Children, 2008)를 참고할 수 있다.15. 2. 세대 질서와 아동의 위치
아동기에 배우는 가치는 아동의 발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다. 가족은 일차적 사회화의 기관이자 첫 번째 중심적 사회화 기관으로 여겨진다.[54]2000년대 이후, 아동사회학이라는 새로운 하위 분야가 스칸디나비아와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실증 연구와 활발한 이론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이 채택되었는데, 유럽 사회학자들은 아동 권리 신장에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다.[55] 그때까지 사회학은 주로 사회화의 관점에서 아동과 아동기를 접근해 왔으며, 새로운 아동 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은 사회학 전통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과 병행했다. 아동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의 "성인 중심적" 접근 방식과 아동에 대한 "분리적 시각"을 비판했다.
따라서 아동 사회학의 핵심 연구는 역사, 문화 연구, 민족방법론, 교육학을 연결하는 등 상당히 학제 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핵심 저서로는 제임스와 프라우트의 "아동성의 구성과 재구성"(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1990/1997), 제임스, 젠크스, 프라우트의 "아동성 이론화"(Theorizing Childhood, 1998), 그리고 프라우트의 "아동의 미래"(The Future of Childhood, 2005) 등이 있다. 아동과의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는 크리스텐센과 제임스가 편집한 "아동과의 연구"(Research with Children, 2008)를 참고할 수 있다.
15. 3. 아동기의 혼종성과 새로운 연구 방향
아동기에 배우는 가치는 아동의 발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다. 가족은 일차적 사회화의 기관이자 첫 번째 중심적 사회화 기관으로 여겨진다.[54]2000년대 이후, 아동사회학이라는 새로운 하위 분야가 스칸디나비아와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실증 연구와 활발한 이론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이 채택되었는데, 유럽 사회학자들은 아동 권리 신장에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다.[55] 그때까지 사회학은 주로 사회화의 관점에서 아동과 아동기를 접근해 왔으며, 새로운 아동 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은 사회학 전통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과 병행했다. 아동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의 "성인 중심적" 접근 방식과 아동에 대한 "분리적 시각"을 비판했다. 따라서 아동 사회학의 핵심 연구는 역사, 문화 연구, 민족방법론, 교육학을 연결하는 등 상당히 학제 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핵심 저서로는 제임스와 프라우트의 "아동성의 구성과 재구성"(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1990/1997), 제임스, 젠크스, 프라우트의 "아동성 이론화"(Theorizing Childhood, 1998), 그리고 프라우트의 "아동의 미래"(The Future of Childhood, 2005) 등이 있다. 아동과의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는 크리스텐센과 제임스가 편집한 "아동과의 연구"(Research with Children, 2008)를 참고할 수 있다.
15. 4. 성별과 아동기: 사회적 구성과 차별
아동기에 배우는 가치는 아동의 발달과 사회화에 중요하다. 가족은 일차적 사회화의 기관이자 첫 번째 중심적 사회화 기관으로 여겨진다.[54]참조
[1]
웹사이트
The Sociology of the Family Unit
https://www.thoughtc[...]
[2]
웹사이트
This Is The Average Age Of Marriage Right Now
https://www.womenshe[...]
2018-03-26
[3]
논문
Family Patterns of Gender Role Attitudes
[4]
논문
Making It in America: Social Mobility in the Immigrant Population
http://www.nber.org/[...]
[5]
웹사이트
What does the scholarly research say about the well-being of children with gay or lesbian parents?
https://whatweknow.i[...]
2019-08-06
[6]
웹사이트
Japan is trying really hard to persuade women to start having babies again
https://qz.com/16467[...]
2019-06-21
[7]
웹사이트
Families & Living Arrangements
https://www.census.g[...]
2024-07-05
[8]
논문
A White Side of Black Britain: Interracial Intimacy and Racial Literacy
2010
[9]
서적
Medical Power and Social Knowledge
Sage
[10]
논문
The American Family and the Nostalgia Trap
http://www.eric.ed.g[...]
[11]
웹사이트
Is the nuclear family a happier one?
https://www.bbc.co.u[...]
2014-11-10
[12]
서적
Marriage, A History
https://archive.org/[...]
Viking Adult
[13]
서적
The Second Shift
Penguin Books
[14]
서적
Gender
[15]
논문
With Thanks
2002-12-01
[16]
논문
Filling the glass: Gender perspectives on families
[17]
논문
The dynamics of marriage and divorce
https://www.econstor[...]
[18]
뉴스
OPINION: Inequality damages marriage
http://america.aljaz[...]
2017-01-18
[19]
논문
Education, labor markets and the retreat from marriage
[20]
뉴스
The Marriage Gap: The Impact of Economic and Technological Change on Marriage Rates Brookings Institution
https://www.brooking[...]
2017-01-18
[21]
논문
Class advantage and the gender divide: Flexibility on the job and at home
[22]
논문
BECOMING MOTHERS AND FATHERS: Parenthood,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1997-12
[23]
논문
Predictors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Gender difference or gender similarity
https://digitalschol[...]
[24]
논문
2008-11
[25]
논문
A history of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26]
논문
The coming divorce decline
[27]
논문
A Comparison of High and Low Distress Marriages That End in Divorce
[28]
논문
When love dies: Further elucidating the existence of a mate ejection module
[29]
서적
The Evolution of Desire: Strategies of Human Mating
Basic
[30]
논문
Family ties after divorce: Long-term implications for children
[31]
논문
Reconciling divergent perspectives: Judith Wallerstein, quantitative family research, and children of divorce
[32]
웹사이트
How to Be a Better Parent (using Science)
https://www.scienceo[...]
2016-06-11
[33]
논문
Conceiving and Investigating Motherhood: The Decade's Scholarship
2000-11
[34]
서적
Shifting the Center: Race, Class, and Feminist Theorizing About Motherhood
Yale University Press
1994
[35]
서적
Rethinking the Family: Some Feminist Questions
https://archive.org/[...]
Longman
1993
[36]
논문
Exploring the Lives of Asian American Men: Racial Identity, Male Role Norms, Gender Role Conflicts, and Prejudicial Attitudes
https://umdrive.memp[...]
2010-06-01
[37]
웹사이트
Soap to ploughshares: How to return Mother's Day to its original meaning
http://www.slate.com[...]
2009-05-08
[38]
웹사이트
Ann Maria Reeves Jarvis
http://www.wvculture[...]
West Virginia Division of Culture and History
2009-09-25
[39]
논문
The Motherhood Mandate
1976
[40]
웹사이트
The New Demography of American Motherhood
http://pewresearch.o[...]
Pew Research
2010-05-06
[41]
웹사이트
When Should You Become a Mom
http://www.forbes.co[...]
[42]
서적
Métamorphoses de la parenté
[43]
웹사이트
The Labyrinth of Kinship
http://newleftreview[...]
New Left Review
2007-07-24
[44]
논문
Changing men, changing times; fathers and sons from an experimental gender equality study
http://www.margunnbj[...]
[45]
논문
Fatherhood and the British Fathercraft Movement, 1919-39
2006-03-06
[46]
웹사이트
Baby Talk: Communicating with your child
http://www.medicinen[...]
MedicineNet
2009-09-25
[47]
논문
Identity salience and psychological centrality: Equivalent, overlapping, or complementary concepts?
[48]
서적
The package deal: Marriage, work, and fatherhood in men's lives
Temple University Press
[49]
논문
The Importance of Fatherhood to U.S. Married and Cohabiting Men
http://digitalcommon[...]
[50]
서적
Sociology
Pearson
[51]
웹사이트
The Science of Cohabitation: A Step Toward Marriage, Not a Rebellion
https://www.theatlan[...]
2019-10-18
[52]
보고서
Lesbian & Gay Parenting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4-10-19
[53]
서적
Sociology of Families: Change, Continuity, and Diversi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8-02
[54]
서적
The Sociology of Childhood
http://journals.open[...]
Sage
2014-01-03
[55]
간행물
A History of the Sociology of Childhood: An Interview with Berry Mayall
[56]
서적
Ethnomethodology: Selected Readings
https://archive.org/[...]
Penguin
[57]
서적
How to Observe Face-to-Face Communication: A Sociological Introduction.
Goodyear Publishing
[58]
서적
The Process of Schooling: A Sociological Reader
Routledge & Kegan Paul
[59]
웹사이트
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Contemporary issues in the sociological study of childhood, 3rd Edition (Paperback) – Routledge
https://www.routledg[...]
2017-01-04
[60]
논문
Childhood and social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61]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62]
웹사이트
Conceptualising Child-Adult Relations (Paperback) – Routledge
https://www.routledg[...]
2017-01-04
[63]
논문
The new wave of childhood studies: Breaking the grip of bio-social dualism?
2011-12-20
[64]
웹사이트
The Future of Childhood (Paperback) – Routledge
https://www.routledg[...]
2017-01-04
[65]
논문
Navigating the bio-politics of childhood
http://wrap.warwick.[...]
2011-01-13
[66]
논문
Beyond 'voice', beyond 'agency', beyond 'politics'? Hybrid childhoods and some critical reflections on children's emotional geographies
https://figshare.com[...]
2013-11-01
[67]
논문
What else? some more ways of thinking and doing 'Children's Geographies'
2006-04-01
[68]
논문
Alter-Childhoods: Biopolitics and Childhoods in Alternative Education Spaces
http://pure-oai.bham[...]
2015-01-02
[69]
웹사이트
Policy Press Geographies of alternative education – Diverse learning space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By Peter Kraftl
https://policypress.[...]
2017-01-04
[70]
논문
Haraway's 'bag lady story-telling': relocating childhood and learning within a 'post-human landscape'
2013-02-01
[71]
서적
Children's Spatialities – Embodiment, Emotion and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72]
논문
Sons, Daughters, And Family Processes: Does Gender Of Children Matter?
2006
[73]
논문
A Review of Sex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 Processes: Potential Trade-offs for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Girls and Boys
2006
[74]
웹사이트
Family Matters
http://www.aifs.gov.[...]
2008-12-29
[75]
웹인용
The Family Unit Functions as Its Own Small Society
https://www.thoughtc[...]
2021-04-05
[76]
서적
The Double Life of the Family, Myth, Hope and Experience
Allen and Unwin
1997
[77]
웹인용
US demographic pyramid
http://dx.doi.org/10[...]
2021-06-04
[78]
저널
A White Side of Black Britain: Interracial Intimacy and Racial Literacy . By France Windance Twine.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10. Pp. xvii+305. $23.95 (paper).
https://www.journals[...]
2012-01
[79]
저널
Reviews : Bryan S. Turner, Medical Power and Social Knowledge (London, Sage, 1987)
http://dx.doi.org/10[...]
1989-02
[80]
저널
Internet2 and the K20 Initiative
http://dx.doi.org/10[...]
2002-02
[81]
저널
Mardell, Mark Ian, (born 10 Sept. 1957), Presenter, The World This Weekend and The World at One, BBC Radio 4, since 2014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82]
서적
Marriage, a history : from obedience to intimacy or how love conquered marriage
https://www.worldcat[...]
Viking
2005
[83]
저널
The Second Shift.
http://dx.doi.org/10[...]
1991-12
[84]
서적
Gender
https://www.worldcat[...]
2019
[85]
저널
With Thanks
http://gas.sagepub.c[...]
2002-12-01
[86]
저널
Filling the Glass: Gender Perspectives on Families
http://doi.wiley.com[...]
2010-06-18
[87]
저널
The Dynamics of Marriage and Divorce
http://dx.doi.org/10[...]
2015-01
[88]
저널
The Dynamics of Marriage and Divorce
http://dx.doi.org/10[...]
2015-01
[89]
저널
The Dynamics of Marriage and Divorce
http://dx.doi.org/10[...]
2015-01
[90]
저널
How social-class stereotypes maintain inequality
http://dx.doi.org/10[...]
2017-12
[91]
저널
Education, Labor Markets and the Retreat from Marriage
http://dx.doi.org/10[...]
2011-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