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둥팃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둥팃선은 홍콩의 철도 노선으로, 1864년 영국 철도 기술자에 의해 홍콩과 중국 본토 간 철도 연결이 처음 제안되었다. 1910년 구광철로-영단이 정식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개량과 확장을 거쳐 현재 홍콩 섬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7년 홍콩철로 유한공사에 통합되어 둥팃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14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다. 이 노선은 MTR 현대 로템 EMU 열차를 사용하며, 1등석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둥팃선 - 훙함역
    훙함역은 홍콩 주룽 지구에 있는 MTR 철도역으로, 동철선과 툰마선의 환승역이며, 한때 중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도 운행했던 교통 요지이다.
  • 둥팃선 - 로우역
    로우역은 홍콩 지하철 동철선의 종착역이자 중국 선전 지하철 1호선 및 중국철로 선전역과 연결되어 홍콩과 중국 본토 간의 중요한 관문 역할을 수행하며, 경제 개혁 이후 인적, 물적 교류의 중심지로 기능해왔다.
  • 홍콩의 철도 노선 - 훙함역
    훙함역은 홍콩 주룽 지구에 있는 MTR 철도역으로, 동철선과 툰마선의 환승역이며, 한때 중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도 운행했던 교통 요지이다.
  • 홍콩의 철도 노선 - 피크 트램
    피크 트램은 1888년 개통된 아시아 최초의 강삭 철도로, 홍콩 중완에서 빅토리아 피크까지 운행하며, 혁신적인 교통수단이자 주요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홍콩 지하철 - 홍콩 공항철도
    홍콩 공항철도는 1998년 홍콩 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개통된 급행 노선으로, 홍콩역, 구룡역, 칭이역을 거쳐 공항역과 아시아월드-엑스포역까지 운행하며, 퉁충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 홍콩 지하철 - 둥충선
    둥충선은 1998년에 개통되어 홍콩 역에서 둥충 역까지 8개의 역을 운영하며, 칭마 대교를 지나 란터우 섬으로 연결되는 MTR 노선이다.
둥팃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MTR 현대 로템 EMU|현대 로템 R-트레인 EMU]]가 [[대학역 (MTR)|대학역]]으로 진입하는 모습
현대 로템 R-트레인 EMU가 대학역으로 진입하는 모습
노선 종류통근 철도 / 도시 철도
시스템MTR
소유주구광철도공사
운영자MTR 공사
지역홍콩의 구역: 위안랑, 북, 다이포, 샤틴, 가우룽 시티, 삼수이포, 야우침몽, 완차이, 중사이
기점뤄후 역 / 록마차우 역
종점애드미럴티
연결 노선관탕 선
아이랜드 선
사우스 아이랜드 선
취안완 선
튄마 선
선전 지하철 1호선
선전 지하철 4호선
이전 연결 노선마온산 선
웨스트 레일 선
일일 평균 승객 수1,044,800명 (주중, 2014년 9월)
개통일1910년 10월 1일
차량기지호퉁라우
사용 차량현대 로템 EMU: R-트레인
노선 길이46km
선로 수복선
열차 보호 시스템AWS (KTT 직통 열차 전용)
신호 시스템지멘스 CBTC (트레인가드 MT)
속도평균: 50km/h
최고: 120km/h
전철화 방식25kV 50Hz (가공 전선)
이스트 레일 노선도
이스트 레일 노선도
노선 명칭
한국어동철선
간체자东铁线
병음dōng tiě xiàn
월어 병음dung1 tit3 sin3
월어둥팃신
영어East Rail Line
일본어東鉄線 (とうてつせん)
역 목록
연혁
전철화 완료1983년 7월 15일 (뤄후 역 ~ 가우룽)

2. 역사

둥팃선은 원래 구광철로(九廣鐵路)의 홍콩 내 구간인 '''구광철로 영국 구간'''(KCR British Section)에서 시작되었다. 1898년 영국청나라 정부 간의 협정으로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1910년 10월 1일 홍콩 내 구간이 단선 철도로 먼저 개통되었다. 당시 종착역은 짐사저이에 있었으며, 1911년 10월 8일 중국 본토 구간(화단, 華段)이 개통되면서 광저우까지 전 구간이 연결되어 광구직통차(廣九直通車) 운행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증기기관차로 운행되었으나 1962년디젤 기관차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선전강의 뤄후교를 경계로 사실상 노선이 분단되었고, 홍콩 측은 영국 구간, 중국 측은 화단(이후 광선 철로)으로 분리 운영되었다. 홍콩 측에서는 1970년대 신제 지역 신도시 개발과 함께 노선 현대화가 추진되었다. 1975년 종착역이 짐사저이에서 훙함으로 이전되었고, 1978년 정부는 전 구간 복선화 및 전철화 계획을 승인했다. 이 계획에 따라 1983년까지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었고, 영국제 전동차가 도입되어 통근 노선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1996년에는 노선명이 '''구광동철'''(KCR East Rail)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 들어 여러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4년 10월 24일에는 훙함역에서 짐둥역까지 짐사저이 지선이 개통되었고, 2007년 8월 15일에는 성서이역에서 록마자우역까지 록마자우 지선이 개통되어 선전시 푸톈 검문소와 연결되었다.

2007년 12월 2일, 구광철도공사(KCRC)가 홍콩철로 유한공사(MTR)에 합병되면서 노선명은 현재의 '''둥팃선'''(東鐵綫)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 8월 16일 가우룽 남선 개통으로 짐사저이 지선이 서철선(현 튄마선)에 편입되면서 둥팃선의 남쪽 종착역은 다시 훙함역이 되었다. 2022년 5월 15일에는 사틴-중완선 계획의 일부로 훙함역에서 빅토리아 항 해저 터널을 지나 홍콩섬감중역까지 연장 구간이 개통되어 홍콩섬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과거에는 중국 본토와의 화물열차 운행도 있었으나, 수요 감소로 2010년 6월 15일부로 중단되었다. 현재는 여객 운송이 주를 이루며, 광구직통차 등 중국 본토 주요 도시로 가는 국제열차도 훙함역에서 출발한다.

2. 1. 초기 구상 및 건설 (1864년 ~ 1911년)

둥팃선은 원래 '''구광철로'''(九廣鐵路, 중국 대륙에서는 '''광구철로'''(廣九鐵路)라고도 함)의 홍콩 영내 구간에서 시작되었다. 1864년[76], 인도 철도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영국 철도 기술자 맥도널드 스티븐슨(Macdonald Stephenson)이 처음으로 홍콩과 중국 본토를 잇는 철도 건설을 제안했다. 그러나 당시 베이징의 청나라 정부와 홍콩 주요 기업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이 제안은 연기되었다.

1890년대에 들어서 홍콩과 중국 본토, 특히 광저우와의 무역이 활발해지고, 유럽 열강의 중국 내 세력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철도 건설 제안이 다시 검토되기 시작했다. 1898년 영국과 청나라 정부는 가우룽에서 광저우까지 철도를 건설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총 길이는 약 140.01km로 계획되었으며, 이 중 영국령 홍콩 구간은 약 35.41km, 청나라 구간은 약 104.61km였다.[11] 1899년, 청나라 정부는 영국의 구광철로 건설에 동의하였으나, 영국은 제2차 보어 전쟁의 여파로 건설을 잠시 중단했다.

1905년 9월, 홍콩 입법 회의의 동의를 얻어 구광철로 공사가 시작되었고, 실제 건설은 1906년에 착수되었다. 공사는 주로 중국인 노동자들이 수행했으며, 영국 정부는 공사를 지원하기 위해 가우룽에 캠프를 건설했다. 노선의 대부분은 평탄한 지형이었으나, 약 약 2194.56m 길이의 비컨힐 터널 공사는 매우 어려웠다. 터널 양쪽 끝은 연약 지반이었고 중앙부는 단단한 화강암이어서 공사가 지연되었으며, 건설 과정에서 약 100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12]

1907년 7월, 구광철로의 홍콩 구간인 '''구광철로-영단'''(九廣鐵路英段|zho, KCR British Section)이 먼저 부분적으로 개통되었고, 광둥 구간인 '''구광철로-화단'''(九廣鐵路華段|zho)은 1909년에 완공되었다. 영국과 중국 양측의 합의에 따라 뤄후교(羅湖橋)를 경계로 영국 구간과 중국 구간으로 나누어 관리하기로 했다. 홍콩 내 영국 구간은 영국이 건설, 관리, 운영을 담당했고, 광저우와 선전 사이의 중국 구간은 청나라가 담당했다.

1910년 10월 1일, 구광철로-영단이 정식으로 여객 영업을 시작했으며, 구광철로국(KCRC)이 관리를 맡았다.[11] 개통 당시에는 단선 철도였으며, 6개의 역이 문을 열었다. 이 역들은 가우룽역(현 짐사저이 시계탑 부근), 야우마티역, 사틴역, 다이보우가우역, 다이보우허이케이역, 판링역이었다. 초기에는 협궤로 계획되었으나 개통 직전에 표준궤로 변경되었다.

1911년 10월 8일, 중국 본토 구간인 화단이 개통되면서 뤄후에서 광저우(당시 다시터우역)까지 구광철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이로써 홍콩과 광저우를 직접 잇는 광구직통차(廣九直通車)의 운행이 시작되었다. 당시 홍콩의 종착역은 짐사저이 페리 터미널 옆에 있었으며, 현재는 짐사저이 시계탑만이 남아 그 흔적을 보여준다. 광저우의 종착역은 시가지 동부의 다시터우(大沙頭)에 위치했다.

2. 2. 증기 기관차 시대 (1911년 ~ 1962년)

1911년 10월 8일, 구광철로의 중국 본토 구간인 화단(華段)이 개통하면서 홍콩 내 영국 구간(英段)과 연결되어 전 구간 운행이 시작되었다.[11] 이로써 홍콩과 광저우를 잇는 광구직통차(廣九直通車) 운행이 가능해졌다. 초기 구광철로에서는 증기기관차를 이용하여 열차를 운행했으며, 1950년대 이전까지 총 20대의 증기 기관차가 있었다. 당시 노선은 기본적으로 단선이었고 각 역에 대피선이 설치된 형태였다.

개통 이후에도 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1930년 5월 16일에는 상수이역이 문을 열었고, 1956년 9월 24일에는 마리우서이역(馬料水站)이 개업했다. 마리우서이역은 원래 협궤 규격으로 계획되었으나 개통 시에는 표준궤로 변경되었다. 한편, 판링에서 사타우곡까지 운행하던 협궤 노선인 사타우곡 지선은 도로 개통 이후 수송량이 급감하여 1928년 4월 1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1950년대부터 디젤 기관차가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51번 기관차가 첫 디젤 기관차였다. 이후 점차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여 1962년에는 모든 열차가 디젤 기관차로 운행하게 되면서 증기 기관차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3. 디젤 기관차 시대와 신도시 개발 (1962년 ~ 1983년)

초기 구광철로에서는 증기기관차로 운송되었으나, 1962년디젤 기관차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1970년대에 정부는 철도를 따라 건설되는 신도시에 맞추어 구광철로를 현대화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종착역인 가우룽중역(짐사저이역의 전신)은 부지가 협소하고 확장 공간도 부족했기 때문에, 1975년 훙함만 매립지에 새로 건설된 훙함역으로 이전했다. 이전 후 옛 역 건물은 철거되었으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짐사쩌이 종루는 보존됐다.

1976년, 구광철로국(KCRC)은 외부 자문회사에 의뢰하여 철도의 개선 및 확장 가능성을 연구했다. 1978년 1월, 구광철로 전 구간 현대화 및 전철화 계획이 정부 승인을 받았다. 이 계획에는 전 구간 복선화가공 전차선 설치, 가우룽사틴 사이 기존의 비컨힐 터널을 대체하는 새 터널 건설 등이 포함됐다. 중문대학역과 다이보우허이역 사이 터널은 복선 철도를 수용하도록 확장되거나 새로 건설됐으며, 다른 기존 터널들도 복선화됐다. 또한 지하철과 환승이 가능하도록 가우룽통역을 신설했다. 모든 역은 현대화 및 전철화 기준에 맞게 재건축되거나 일부 이전됐다.

전 구간 현대화 및 전철화 공사는 1982년에서 1983년 사이에 완료됐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영국제 전동차를 도입해 기존 디젤 기관차를 대체했다.[77]

2. 4. 전철화와 현대화 (1983년 ~ 2007년)

1970년대 홍콩 정부는 신제 지역에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구광철로의 전면적인 현대화 및 개선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1978년 1월, 정부는 구광철로 전 구간의 현대화 및 전철화 계획을 승인하였다. 이 계획에는 전 구간 복선화, 가공 전차선 설비 설치, 그리고 기존의 단선 터널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터널 건설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가우룽과 사틴 사이의 비컨힐 터널은 복선화를 위해 새로 건설되었고, 대학역과 타이포마켓역 사이의 다이보우허이 터널(大埔滘隧道)이 추가되었으며, 그 외 기존 터널들은 복선 철도를 수용하도록 확장되거나 철거되었다.

철도 전철화 직후 도입된 메트로-캐멜 전동차.


또한, 지하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가우룽통역을 신설하여 환승역으로 만들었다. 기존의 역들도 현대화 기준에 맞추어 재건축되거나 이전되었다. 예를 들어, 타이포 카우역과 기존 타이포 마켓역은 폐쇄되었고, 폐쇄된 타이포 마켓역 부지는 이후 홍콩 철도 박물관으로 활용되었다. 전 구간의 현대화 및 전철화 공사는 1982년부터 1983년 사이에 단계적으로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영국 메트로-캐멜에서 제작한 새로운 전동차가 도입되어 기존의 디젤 기관차를 완전히 대체하였다.[77][14]

현대화된 샤틴역 승강장 모습.


철도 현대화와 신도시 개발이 맞물리면서 이용객 수는 급증했다. 1983년 하루 평균 19만 명이었던 승객 수는 1990년에는 49만 1천 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역들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임시역으로 먼저 개통했던 타이 와이역은 1986년에 정식 역으로 완공되었고, 포 탄역은 인근 공업단지의 수요를 위해 1985년에, 타이 워역은 타이 워 주택단지 주민들을 위해 1989년에 개통되어 기존의 타이포 카우역을 대체했다.

1993년, 구광철로공사(KCRC)는 모든 역의 폴사인을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하고(이 폴사인은 2008년까지 사용되었다), 같은 해에 안내 방송 시스템을 도입하여 서비스 개선을 꾀했다.

1996년, KCRC는 기존의 구광철로-영단 노선과 당시 건설 중이던 서부 노선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노선명을 변경했다. 구광철로-영단은 '''구광동철'''(九廣東鐵, KCR East Rail)로, 새로 개통될 서부 노선은 구광서철(九廣西鐵, KCR West Rail, 현재의 튄마선 일부)로 명명되었다.

현대화된 타이포 마켓역 대합실. 기존 역사는 홍콩 철도 박물관으로 활용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둥팃선은 몇 차례의 확장을 거쳤다. 쿤통선과의 유일한 환승역이었던 가우룽통역의 극심한 혼잡을 완화하고 짐사저이 지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04년 10월 24일 훙함역에서 짐둥역까지 이어지는 짐사저이 지선(尖沙咀支線)이 개통되었다. 이로써 29년 만에 둥팃선의 종착역이 다시 짐사저이 지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21일에는 마온산선(현재 튄마선의 일부)이 개통되어 다이와이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7년 8월 15일에는 성서이역에서 록마자우역까지 이어지는 록마자우 지선(落馬洲支線)이 개통되었다. 이 지선은 선전시의 푸톈 검문소와 연결되어 기존 로우역의 출입경 혼잡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동시에 장래 구둥역 신설을 위한 부지도 마련되었다.

2. 5. MTR 합병과 확장 (2007년 ~ 현재)

2007년 8월 15일, 성서이역과 록마자우역 간의 록마자우 지선(落馬洲支線)이 개통되었다. 이 지선은 선전의 푸톈 검문소와 연결되어, 기존 로우역 검문소의 혼잡을 완화하고 홍콩중국 본토 간의 두 번째 철도 국경 통과 지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2일, 구광동철은 다른 KCR 노선들과 함께 홍콩철로 유한공사(MTR)에 합병되었다. 이로써 구광동철은 공식적으로 '''둥팃선'''(東鐵綫)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MTR 시스템의 일부가 되었다.

2009년 8월 16일에는 가우룽 남선(九龍南綫)이 개통되었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짐사저이 지선은 가우룽 남선과 통합되어 서철선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따라 둥팃선의 남쪽 종착역은 다시 홍함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둥팃선에서 짐둥역으로 가려면 홍함역에서 튄마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2022년 5월 15일, 사틴-중완선 계획의 일환으로 홍함역에서 감중역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빅토리아 항 해저 터널을 통해 완차이 북부의 회전역을 거쳐 홍콩섬감중역까지 이어지며, 둥팃선이 처음으로 홍콩섬까지 직접 연결되었다.

3. 노선 정보

둥팃선은 홍콩섬 감중에서 시작하여 가우룽훙함, 웡곡 동부, 가우룽통, 신계의 신도시를 거쳐 선전시와의 경계인 로우와 신계 서쪽 록마차우에 이른다. 로우에서는 뤄후교(羅湖橋)를 통해 중국 대륙광선 철로와 연결된다. 총연장은 46km이다.[19][20][21] 2022년 기준으로 총 14개의 역이 있으며[19][20][21], 이 중 감중역, 훙함역, 가우룽통역, 다이와이역 등 5개 역에서 군통선, 튄마선, 췬완선, 공도선, 남공도선과 환승할 수 있다. 훙함역-감중역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지상에 건설되었으며,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 노선 색상은 하늘색이다.

항목내용
노선 거리44.8km
* 본선(홍함 - 뤄후): 33.3km
* 뤄마저우 지선(상수이 - 뤄마저우): 7.3km
* 사틴-센트럴선(애드미럴티 - 홍함): 4.2km
역 수14개 (기점, 종점, 마장역, 뤄마저우역 포함)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전 구간 복선
전철화전 구간 (교류 25,000 V 50 Hz)
최고 속도120km/h
차량 기지호동러우 차량기지
폐색 방식차내 신호 폐색 방식 (ATP + ATO)
주행 방향좌측 통행



R-Train 전동차 내부


R-Train 전동차 선두부


원래 구광철로 영국 구간의 통근철도 노선이었으나, 대규모 신도시 개발로 승객이 증가하면서 1990년대광역철도로 전환되었다. MTR에 통합되기 전인 KCR 시절에는 요금이 버스보다 저렴하여 적자를 보기도 했으나, 로우역의 높은 운임으로 일부 손실을 만회했다.

신계 동부 지역의 도로망이 부족하여 출퇴근 시간대 라이온 록 터널, 홍콩 9호 간선 일부 구간, 다푸 공로(大埔公路) 사틴 구간, 워털루 로(窩打老道) 등이 혼잡할 때 둥팃선은 버스보다 유리한 경쟁력을 가진다. 싱먼 터널, 테이츠 케른 터널을 이용하는 버스 노선과 경쟁하고 있지만, 신계 지역에서는 철도가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과거에는 컨테이너, 일반 화물, 가축 등을 중국 본토까지 운송하는 화물 서비스도 제공했다. 특히 성서이 도축장 운영 전에는 가축(주로 돼지) 운반 열차로 인한 냄새가 심했다고 전해진다. 훙함역 화물 야적장에는 중국 본토 우편물을 처리하는 국제 우편 센터가 있었다. 그러나 국경 간 화물 수요 감소로 2009년 화물 운송 중단을 발표했고, 2010년 6월 15일을 마지막으로 국경 간 화물 운송 서비스가 공식 종료되었다.

2007년 12월 2일, MTR-KCR 합병으로 KCR 동철은 MTR 둥팃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당시 노선은 남쪽 이스트침사추이에서 북쪽 로우/록마차우까지 운행했다. 2009년 8월 16일 가우룽 남선 개통으로 훙함역이 둥팃선과 서철선의 남쪽 종착역이 되었고, 훙함-이스트침사추이 구간은 서철선(현재 튄마선의 일부)으로 편입되었다.

2020년코로나19 범유행으로 홍콩 정부는 로우 및 록마차우 국경 통행을 폐쇄했다.[19] 이 기간 동안 로우역은 인근 주민에게만 제한적으로 개방되었고, 록마차우역은 운영이 중단되었다. 북행 열차는 성서이까지만 운행하다가 2023년 1월 8일 록마차우 통행이 재개되었고,[20] 로우역은 같은 해 2월 6일에 다시 개방되었다.[21]

2022년 5월 15일, 사틴-중완선 계획에 따라 훙함역에서 빅토리아 항을 건너 회전역을 경유하여 홍콩섬감중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일반 열차는 5도어 통근형 전동차인 MTR R-train 9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감중역에서 로우역 또는 록마차우역까지 운행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사틴역, 타이포마켓역 등에서 중간 회차하는 열차도 있다. 본선 전 구간 표준 소요 시간은 44분이지만, 소음 대책으로 인한 속도 제한이나 직통 열차 대기 등으로 지연될 수 있다.

둥팃선에는 특별석인 "터우당처샹"(頭等車廂, First Class)이 1량 연결되어 있다. 터우당처샹 요금은 해당 구간 일반 운임과 동일한 금액이 추가되어, 총 운임은 일반 운임의 2배가 된다. 다른 노선에서 환승하여 이용할 경우, 처음 개찰한 역을 기준으로 요금이 계산된다. 전 좌석 자유석이다.

훙함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가 출발하여 광저우둥역, 베이징 서역, 상하이역까지 운행한다. 이 열차들은 훙함역에서 출입경 수속을 진행한다.

=== 지선 ===

본 노선에는 2개의 지선이 있다.

==== 마장 지선 ====

홍콩 사틴구의 사틴 경마장 방문객 수송을 위해 건설된 지선이다. 실제로는 포탄역 인근 차량 기지 외곽에 임시 승강장을 설치한 형태이다. 경마 개최일에만 운행하며, 마장역 전용 운임이 적용된다. 훙함역에서 마장역을 경유하여 성서이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와 마장역 종착 열차가 있다.

==== 록마차우 지선 ====

홍콩선전 간의 늘어나는 통행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계획된 지선이다. 성서이역에서 록마차우역까지의 거리는 7.4km이며, 2007년 8월 15일에 개통되었다. 이 지역은 홍콩의 주요 습지 중 하나이다. 중국 본토 측 푸톈커우안역에서 선전 지하철 4호선선전 지하철 10호선과 환승할 수 있다.

4. 철도 차량

둥팃선에서는 현재 대한민국현대로템에서 제작한 MTR R-Stock 통근형 열차가 주력으로 운행되고 있다. 이 열차는 9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영국 메트로-캐멜에서 제작한 메트로 캠멜 전동차(MLR)와 일본 긴키 차량에서 제작한 SP1900 EMU가 운행되었다. 이들 차량은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나, 사틴-센트럴 링크 확장 개통 및 신호 시스템 교체에 따라 단계적으로 운행을 종료하였다. SP1900 EMU는 2021년 2월 튄마선으로 모두 이전되었으며[36], 메트로 캠멜 전동차는 2022년 5월 6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퇴역하였다.[37][70]

둥팃선은 홍콩의 철도 노선 중 유일하게 1등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4. 1. 현재 운행 차량

현재 둥팃선에는 대한민국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MTR R-Stock 통근형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메트로 캠멜 전동차와 일본 긴키 차량에서 제작한 SP1900 EMU가 운행되었다. SP1900 EMU는 2003년 8대의 12량 편성 열차가 도입되었으나, 2021년 2월 튄마선으로 모두 이전되어 둥팃선 운행을 종료했다.

2012년 12월, MTR은 노후된 메트로 캠멜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R-Stock 열차 9량 37대를 주문했다. 이는 사틴-센트럴 링크 (SCL) 확장 프로젝트와 새로운 Trainguard MT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신호 시스템 도입에 맞춰 진행되었다. R-Stock 1차 도입분은 2015년 9월 14일 홍콩에 도착했으며, 신호 시스템 교체가 완료된 후 2021년 2월 6일 첫 본선 운행을 시작했다.[24][70]

2021년 2월 6일부터 2022년 5월 6일까지는 새로운 9량 R-Stock 열차와 기존 12량 메트로 캠멜 열차가 함께 운행하는 "혼합 열차 운행"(Mixed Fleet Operation, MFO) 기간을 거쳤다. 이 기간 동안 승객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열차 길이에 따라 승강장 내 승차 위치를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안내하였다.

혼합 열차 운행(MFO) 기간 중 카오룽통역 승강장. 9량(R-Stock)과 12량(메트로 캠멜) 열차의 승차 위치를 색상으로 구분하여 안내하였다.


기존 메트로 캠멜 전동차는 2022년 5월 6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40년간의 운행을 마치고 완전히 퇴역했다.

4. 2. 과거 운행 차량

2021년 2월 6일 R-Stock 열차가 도입되기 전까지, 둥팃선에서는 두 종류의 통근 열차가 운행되었다.

개조된 형태의 메트로-캐멜 MLR EMU. 이 열차는 2022년 5월까지 동철선에서 운행되었다.


영국 메트로-캐멜에서 제작한 29대의 메트로 캠멜 전동차(Mid-Life Refurbished Trains, MLR)가 주력으로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1982년 둥팃선 전철화와 함께 도입되었으며, 초기 6량 편성에서 증결을 거쳐 1등석 객차를 포함한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70] 노후화에 따라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갱신 작업을 거쳤으며, 모든 MLR 열차는 샤틴 구의 호퉁라우 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었다.

SP1900 EMU가 포탄역에 정차해 있다. 이 열차는 2021년 2월 6일에 동철선에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1년에는 일본 긴키 차량에서 제작한 8대의 SP1900 EMU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이 열차 역시 1등석 객차를 포함한 12량 편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존 메트로 캠멜 전동차와 동일한 외부 색상과 도어 배치(1등석 객차 제외 차량당 5쌍)를 가졌으나 내부 디자인은 달랐다. 특히 메트로 캠멜 객차 끝부분의 가로 방향 좌석 대신 세로 방향 좌석을 채택하여 객차 간 통로 공간을 넓혔다.

샤틴-센트럴 링크 건설 계획에 따라 노선 플랫폼 길이가 9량 편성에 맞춰지면서 기존 12량 편성 열차들의 교체가 필요해졌다. 이에 2012년 12월 MTR은 노후된 메트로 캠멜 전동차(MLR)를 단계적으로 폐차하고, 대한민국의 현대로템이 제작하는 9량 편성의 R-Stock 열차 37대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32]

SP1900 EMU는 2021년 2월 5일 둥팃선 운행을 마지막으로 중단하였다. 이후 튄마선(당시 서철선 및 마온산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8량 편성으로 재조성되어 MTR 팟헤웅 차량기지로 모두 이전되었다.[36] 메트로 캠멜 전동차(MLR)는 2022년 5월 6일 오후 1시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40년간의 운행을 마치고 최종 퇴역하였다.[37]

아래는 과거 둥팃선에서 운행했던 차량 목록이다.

모델제작사운행 기간편성 수편성비고
MLR메트로-캐멜1982년 5월 6일 – 2022년 5월 6일291-2-5+6-2-5+6-2-4+6-2-3
1-2-5-5-2-6+6-2-4+6-2-3
29개 편성 모두 퇴역 및 운행 중단
IKK 열차 (SP1900 EMU)긴키 차량2001년 9월 4일 – 2021년 2월 5일8D-P-M-H+C-H+M-P+F-M-P-D튄마선으로 이전


4. 3. 1등석

둥팃선 R-Train 차량의 1등석 부분


1등석 객차의 외부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둥팃선은 홍콩의 철도 환경에서 유일하게 1등석 통근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선이다. 각 열차의 한 객차는 1등석 객차로 지정되어 있다(북행 4호차, 남행 6호차). 이 객차는 일반석보다 더 부드럽고 넓은 좌석 배치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좌석에 앉아 갈 수 있으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입석 승객이 발생하기도 한다.

1등석 이용 요금은 일반석 요금의 두 배이다. 승객은 1등석 승차권을 구매하거나(둥팃선 역의 자동판매기 또는 다른 역의 매표소에서 구매 가능), 1등석 객차에 탑승하기 전에 옥토퍼스 카드를 1등석 리더기에 재인증해야 한다. 1등석 리더기는 역 승강장과 1등석 객차의 통로 문 옆에 설치되어 있다. 검표원이 열차 내에서 무작위로 검표를 실시하며, 유효한 1등석 승차권이나 인증된 옥토퍼스 카드를 제시하지 못하는 승객에게는 1000HKD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38]

5. 역 목록



'''참고 사항'''

6. 운행 시간

열차는 평일 기준 05:00부터 다음 날 01:00 사이에 운행한다.[39] 하루 중 대부분 시간대에는 약 3~8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비첨두 시간대에는 각 방향으로 시간당 약 15~16대(tph)의 열차가 운행된다.[39] 이른 아침과 늦은 밤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길어져 운행 횟수는 시간당 최소 6대(tph)로 줄어든다.[39]

출퇴근 시간대(첨두 시간대)에는 열차 운행 빈도가 높아져 2~3분 간격으로 운행한다.[41] 특히 셩수이와 감중 사이 구간은 오전 첨두 시간대에 시간당 20대(tph)가 운행되어, 열차 운행 간격이 2.7~3.8분까지 짧아진다.[41] 또한, 다이포시장역과 사틴역에서 출발하는 추가 단거리 열차가 운행되어, 사틴역 남쪽 구간의 운행 횟수는 시간당 23대(tph)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감중역과 로우역 또는 록마자우역 사이를 운행하며, 일반적으로 로우행 열차 2대 다음에 록마자우행 열차 1대가 운행되는 패턴을 따른다.[40] 그러나 로우역은 다음 날 00:30에, 록마자우역은 23:00에 운영을 종료한다. 이는 해당 역에 연결된 국경 검문소의 운영 시간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경 검문소가 폐쇄된 이후 시간에는 북행 열차가 셩수이역에서 종착한다.

비 경마일의 일반적인 운행 패턴은 다음과 같다:[42]



일부 열차는 일반적인 경로 외에 특수 운행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북행 열차는 아침 출근 시간에 포탄역이나 다이포시장역에서 운행을 마칠 수 있으며, 호동러우 차량기지 입고를 위해 사틴역에서 종착하는 경우도 있다.

북쪽으로 향하는 열차가 사틴역 1번 플랫폼에서 종착하는 모습.


남행 열차는 몽콕이스트역에서 종착하는 경우도 있다.

경마장역은 사틴 경마장에서 경마 경주가 열리는 날에만 운영된다. 이 기간에는 일부 열차가 포탄역을 경유하지 않고 경마장역에 정차하며, 경마장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운행될 수 있다. 경마일의 주요 운행 경로는 아래와 같다.

본선 전 구간의 표준 소요 시간은 44분으로 안내되지만, 소음 대책을 위한 시간대별 속도 제한이나 다른 열차의 통과 대기 등으로 인해 실제 소요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7. 사진첩

8. 안전

동철선은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중전철 노선(트램과는 대조적으로)이다. 일반적으로 매우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역사적으로 몇몇 심각한 사고를 겪었다. 주요 안전 문제로는 과거 발생했던 여러 차례의 열차 사고, 2005년에 발견된 구형 열차의 차대 균열 문제, 그리고 일부 역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넓은 승강장 간격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시설 개선과 안전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8. 1. 열차 사고

1923년 6월 14일 오전 11시경,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마류수이에서 열차가 탈선했다. 기관차와 객차 1량이 탈선하여 타이드 코브 가장자리로 굴러 떨어졌으나, 부상자는 없었다.[47]

1931년 4월 20일, 1923년 사고에 연루되었던 동일한 기관차가 더 심각한 탈선 사고를 겪었다. 폭우로 인해 오늘날의 대학교역 남쪽 마류수이의 제방이 약해졌다. 오후 5시 10분경, 구룡행 열차가 지나가면서 제방이 무너져 기관차와 객차 4량이 충돌하며 서로 겹쳐졌다. 이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47]

1955년 11월 12일, 사유 군사 건널목인 17과 1/4 마일 지점에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했다. 과속으로 달리던 여객 열차가 건널목에서 영국군 코멧 전차와 충돌했다. 새로운 디젤 전기 기관차인 'Sir Alexander'(현재 홍콩 철도 박물관에 전시됨)가 탈선했으며, 다른 객차들도 심하게 손상되었다. 이 사고로 열차 승무원과 전차 승무원 1명이 사망했다.[48]

1980년 12월 18일 오후 3시, 몽콕(현재 몽콕 동) 역을 건설하던 시공업체가 실수로 신호 케이블을 절단하여 자동 신호 시스템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당시 철도는 부분적으로만 복선화되었으며, 옛 단선인 비콘힐 터널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날 늦게 두 열차가 터널 바로 남쪽에서 의도치 않게 정면 충돌 경로에 진입했다. 오후 6시 40분, 약 1,500명의 승객을 태운 로우행 열차가 야우 얏 춘 근처 터널 앞 복선 구간 끝 지점에 도달했을 때, 분기기라는 안전 장치가 작동하여 열차를 탈선시켜 충돌을 막았다. 이 과정에서 일부 승객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1분 후, 남쪽으로 향하던 열차가 사고 현장에서 급정거했다. KCR 대변인은 사고 원인을 "전화 통신의 오해"라고 밝혔다.[49][50]

1984년 11월 25일, 셩수이역과 로우역 사이에서 열차가 탈선했다. 기관사가 열차를 셩수이 역으로 후진시키려다 제한 속도를 초과하고 속도/정지 신호를 따르지 않아 발생했다. 열차는 후방 객실에서 운전되었고, 기관사는 앞 객차에 있던 열차 승무원의 신호에 의존했다. 열차는 위험 신호를 무시하고 30 km/h로 측선으로 진입했는데, 이는 10 km/h로 본선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열차는 측선 끝의 콘크리트 완충 장치와 충돌하여 앞 두 량의 차량이 서로 겹쳐졌다. 차량 손상이 심각하여 다시 운행에 투입되지 못했다. 사고 전에 승객들이 모두 하차했고, 두 명의 KCR 직원은 심각한 부상을 면했다. 이 사고로 열차 운행이 하루 동안 중단되었고, 철도 안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KCR은 시스템 고장이 아닌 인적 오류로 결론짓고, 해당 기관사를 정직시켰으며, 셩수이에서 열차를 후진시킬 때는 기관사가 앞 객실에서 운전하도록 절차를 변경했다.[51][52][53]

1988년에는 중국 화물 열차의 탈선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 5월 28일, 포탄역 근처에서 기관차와 화물칸이 선로를 이탈하여 선로가 막혔고, 서비스는 임시로 경마장 역을 통해 우회되었다.[54] 6월 4일, 대학교역 근처에서 화물칸이 탈선하여 다시 선로가 막혔다. 같은 날 사자암 터널에서 발생한 트럭 사고와 겹쳐, 구룡과 사틴 지역의 교통이 혼잡해졌다.[55] 7월 2일, 선전에서 도착한 또 다른 화물칸이 로우의 측선에서 탈선했다. 다음 날 오전 1시 44분, 포탄 작업장으로 견인되어 검사를 받던 중 다시 탈선했으나, 선로 손상은 경미했다.[54] 이 사고들로 인한 부상자는 없었다. 문제의 원인으로는 화물 열차의 불균형한 적재, 화물칸에 비해 급격한 곡선 선로, 중국 열차의 구조적 특성 등이 지목되었다.[56] 이에 KCRC는 선로 개선 작업을 실시하고 광저우 철도 관리국과 협력했다. 당시 KCRC는 연간 625만 량의 화물칸을 처리했으므로, 탈선 사고는 비교적 드문 사건이었다.[56]

1989년 5월 31일 이른 아침, 디젤 기관차 L57이 몽콕(현재 몽콕 동) 역에서 정차해 있던 기관차 L56과 정면 충돌하여 4명의 KCR 직원이 부상을 입었다. L57에 탑승했던 세 명의 직원은 기관차를 구룡(현재 훙함) 역에서 포탄으로 옮겨 수리하려던 중이었다. 기관차는 적색 신호를 무시하고 약 50 km/h로 운행하다 충돌했다. KCRC 건설 감독관 찬 야우-키웅이 중상을 입고 광와 병원에서 6월 8일 사망했다.[58] 그는 운전사 고 육-칭과 공동 운전사 리 캄-밍 사이에 서 있었다. 고는 자격을 갖춘 운전사였고, 조작 보조원인 리는 고의 감독 하에 운전하고 있었다.[57] 사고 당시 리가 운전하고 있었으나, 운전실 왼쪽에 앉아 있어 오른쪽에 있는 신호를 차량의 롱 후드에 가려 볼 수 없었다.[58] 절차상 리는 신호 상태 확인을 고에게 의존해야 했다.[58] 사고 후 심문에서 고는 어지러움을 느껴 신호의 색상을 기억할 수 없다고 진술했다.[57] 열차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L57 기관차의 사전 경고 시스템(AWS)은 꺼져 있었다.[58] KCR 통제 센터 직원들은 임박한 충돌을 감지했지만, L57의 무전기가 꺼져 있어 승무원에게 경고할 수 없었다.[57]

2019년 9월 17일 훙함 역에서 탈선한 MTR Metro-Cammell EMU


2019년 9월 17일 오전 8시 32분, 약 500명의 승객을 태운 동철 서비스 L094 열차가 훙함역 1번 플랫폼으로 접근하던 중 탈선하여 승객 8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5명이 입원했다.[59] 4~6호 객차가 탈선했고, 4호와 5호 객차는 분리되었으며, 나머지 객차는 선로에 남아 있었다. 전기기계 서비스 부서의 독립적인 조사 결과, 탈선 원인은 레일 침목의 노후화로 인해 궤간이 넓어졌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P5116 분기기의 침목(35-36)이 썩고 나사 구멍이 변형되어 커진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침목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적절한 궤간을 유지하는 능력이 현저히 약화되었고, 열차가 지나가는 동적 스트레스 하중으로 인해 궤도가 안전 한계(1455mm, 설계 궤간은 1435mm)를 초과하여 넓어졌다. 가드 레일을 포함한 선로 일부 구간에서 파손과 균열도 발견되었다. L094 서비스 전에 그날 아침 훙함 역에 진입했던 네 대의 열차 바퀴에서도 충격 자국이 발견되었다. 조사는 향후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해 개선된 유지 관리 체제를 통해 선로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 설치를 권고했다.[60][61]

8. 2. 차대 균열

2005년 12월 21일, 메트로-캐멜 EMU 열차가 운행 중 고장을 일으켰다. 열차 점검 결과, KCRC 직원은 일부 언더프레임 구성 요소의 부착 브래킷 용접 부위에서 미세한 균열을 발견했다. 이에 KCRC는 검토 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문제의 원인을 조사했다.[62]

조사 과정에서 2003년 자동 열차 운전 (ATO) 시스템이 전면 도입된 이후, ATO 운전으로 인한 잦은 가속과 감속 변화가 언더프레임 구성 요소에 스트레스를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근본 원인 규명을 위해 2006년 1월 15일부터 ATO 시스템 사용이 잠정 중단되었고, 열차는 운전사가 직접 운전하되 자동 열차 보호 (ATP) 시스템의 통제를 받도록 변경되었다.[18] 이 조치로 인해 운행 빈도는 시간당 24편에서 23편으로 줄었고, 운행 시간은 90초 늘어나 총 42.5분이 소요되었다.[62] 또한 KCRC는 열차 유지 보수를 위해 서철선에서 일부 직원을 임시로 파견하기도 했다.

한편, 환경교통건설부는 KCRC가 2005년 열차 문제를 발견하고도 즉시 정부에 보고하지 않은 점을 강하게 질책했다. 당시 랴오 슈전 부 장관은 KCRC에 모든 열차를 검사하도록 지시했으며, 안전에 문제가 있다면 운행 중단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KCRC 회장에게 관리 및 전반적인 시스템 운영을 검토하여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이에 KCRC 회장 톈 베이준은 관련 정보를 제때 대중에게 알리지 못한 회사의 판단 착오에 대해 책임을 인정했다.

2006년 1월 21일, 톈 베이준 회장은 동철선의 안전 문제가 통제되고 있으며, 중국 설날 연휴를 포함하여 열차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추가 조사 결과 ATO 시스템이 균열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결론이 내려졌고, 2006년 8월 6일부터 ATO 시스템 운행이 재개되었다.[18]

8. 3. 승강장 간격

레이스 코스 역 플랫폼에 설치된 반 높이 자동 플랫폼 게이트(APG)


여러 역, 특히 로 우 역, 타이 와 역, 중문 대학교 역, 구룡 통 역, 몽콕 이스트 역의 넓은 플랫폼 틈새는 안전 문제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과거 홍콩철도공사(KCRC)는 해당 역들의 플랫폼에 "틈새 위험 구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새에 판을 설치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플랫폼 틈새는 주로 역 구조의 곡선과 열차가 역 구내로 진입하는 방식 때문에 발생한다. 기계식 틈새 메꿈 장치 시스템이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로 우 역에서 시범 운영되었으나,[63] 악천후 시 신뢰성이 낮고 고장률이 높아 더 이상 추진되지 않았다.[29]

1985년 중문 대학교 역에서 어린이가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두 차례 발생한 후, 이 문제는 입법회에서 논의되었다. 당시 교통부 장관은 틈새가 "국제 안전 기준" 내에 있으며, 역의 곡선과 매일 역을 통과하는 중국 횡단 열차의 "다소 넓은 차체" 때문에 틈새를 좁히기 어렵다고 주장했다.[64] 2008년에는 중문 대학교 역에서 한 남성이 열차를 타려다 틈새로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피해자는 틈새 폭이 약 35cm였다고 주장한 반면, MTR 측은 해당 구간의 틈새는 22cm에 불과하다고 밝혔다.[65]

새로운 MTR R-Stock 열차는 기존 동철선 차량보다 객실 폭이 넓어 승강장 틈새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열차 길이가 12량에서 9량으로 줄어들면서 열차가 플랫폼에서 곡선이 덜한 구간에 정차하게 되어 틈새 폭이 도시 노선과 비슷해질 것으로 기대된다.[66]

2013년, 홍콩철도공사(MTR Corporation)는 사틴에서 센트럴 링크(SCL)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동철선 플랫폼에 반 높이 자동 플랫폼 게이트(APG)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레이스 코스 역과 타이포 마켓 역을 시작으로 노선을 따라 13개의 지상 또는 고가 역에 약 1,600쌍의 게이트를 설치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67] 그러나 기존 신호 시스템은 APG와 원활하게 연동되기 어려웠고, 메트로-캐멀 EMU 열차는 APG 작동에 필요한 정밀한 정차 위치 제어가 불가능했다.[29] 이 때문에 APG의 실제 설치는 새로운 트레인가드 MT CBTC 신호 시스템이 도입되고 모든 메트로-캐멀 EMU가 운행에서 제외된 후에야 가능했다. 플랫폼 구조 보강 등 사전 작업은 2013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첫 APG 설치는 2023년 5월 7일 레이스 코스 역에서 이루어졌다.[30] 이후 샤틴 역, 타이 와이 역, 록마차우 역, 셩수이 역 등에서 순차적으로 설치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며, 모든 역의 APG 설치는 2025년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68]

APG 설치로 인해 승객들이 넓은 플랫폼 틈새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MTR은 몽콕 이스트 역, 중문 대학교 역, 로 우 역에 140개의 기계식 틈새 메꿈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승객의 안전 위험을 줄일 예정이다.[69]

참조

[1] 웹사이트 Weekday patronage of MTR heavy rail network from September 1 to 27 and September 28 to October 25, 2014 http://gia.info.gov.[...] Legislative Council 2014-10-29
[2] 웹사이트 Business Overview https://www.mtr.com.[...] MTR 2022-10-01
[3] 웹사이트 East Rail Line: Cross-Harbour Extension https://mtreastraill[...] MTR 2021-01-01
[4] 웹사이트 Hong Kong's East Rail Line extension opens with Siemens Mobility CBTC technology https://press.siemen[...] Siemens 2022-05-18
[5] 웹사이트 Business Overview https://www.mtr.com.[...] MTR 2021-07-01
[6] 간행물 East Rail Line Cross-Harbour Extension to Commence Service on 15 May 2022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22-05-03
[7] 간행물 LCQ2: East Rail Line https://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18-11-21
[8] 웹사이트 East Rail Line https://www.hyd.gov.[...] Highways Department
[9] 웹사이트 MTR Exits Freight Business to Focus on Passenger Service https://www.mtr.com.[...] 2009-10-29
[10] 웹사이트 Intercity Through Train services may be terminated permanently in a year: source https://www.thestand[...] The Standard
[11] 서적 One Hundred Years of Railway Operations in Hong Kong http://www.kcrc.com/[...] Kowloon-Canton Railway Corporation & MTR Corporation Limited 2010-01-01
[12] 서적 Forgotten Souls - A Social History of the Hong Kong Cemetery https://hkupress.hku[...] HKU Press (Royal Asiatic Society Hong Kong Studies Series) 2011-01-01
[13] 뉴스 KCR meets MTR as $75m interchange is finished 1982-05-05
[14] 간행물 Kowloon-Canton Railway Continental Railway Journal 1994-10-01
[15] 웹사이트 Hong Kong Mass Transit, China http://www.urbantran[...]
[16] 웹사이트 KCRC – ATP Project Contract No.4 Civil and Trackwork http://www.buildking[...] Build King Holdings Limited
[17] 뉴스 Heritage sites recognised but remain ungraded http://www.scmp.com/[...] 2008-01-28
[18] 웹사이트 Automatic Train Operation (ATO) of East Rail trains http://www.legco.gov[...] Kowloon-Canton Railway Corporation 2007-05-01
[19] 웹사이트 Hong Kong announces further border closures over Wuhan virus https://edition.cnn.[...] CNN 2020-02-03
[20] 웹사이트 Progressive, orderly and comprehensive resumption of normal travel between Hong Kong and Mainland to be achieved https://www.info.gov[...]
[21] 웹사이트 Lo Wu crossing to reopen Monday https://www.thestand[...] The Standard
[22] 간행물 LCQ4: New signalling system of East Rail Line https://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20-10-21
[23] 뉴스 MTR East Rail signalling problems caused by Siemens' failure to meet speed standards, says lawmaker https://hongkongfp.c[...] 2020-10-22
[24] 간행물 MTR Announces Launch of East Rail Line New Signalling System and 9-car Trains on 6 February and a Series of Measures to Enhance Shatin to Central Link Project Control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21-02-01
[25] 웹사이트 消息:東鐵綫過海段下月15日通車 - RTHK https://news.rthk.hk[...]
[26] 웹사이트 East Rail Line to reach HK Island on May 15: source - RTHK https://news.rthk.hk[...]
[27] 보고서 Changes in patronage upon the commissioning of the East Rail Line cross-harbour extension https://www.legco.go[...] 2022-05-26
[28] 간행물 LCQ21: Impacts of MTR service expansion on public transport services https://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22-06-15
[29] conference Application of Automatic Platform Gates to reduce safety risks https://www.emsd.gov[...] 2015-10-04
[30] 웹사이트 Automatic platform gates at Racecourse Station and Tai Po Market Station put into service https://www.mtr.com.[...] 2023-01-01
[31] 서적 SoftRepublic 2008-07-31
[32] 문서 Press release. New Trains and Signalling System for the future Shatin to Central Link http://www.mtr.com.h[...] mtr.com 2012-12-14
[33] 웹사이트 黨鐵增訂6列R-Train https://www.hkitalk.[...]
[34] 웹사이트 LCQ1: Crowdedness in MTR train compartments http://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Press Release
[35] 웹사이트 東鐵線將減三卡車廂 市民質疑難加班次疏導 https://thestandnews[...] Stand News
[36] 웹사이트 【港鐵新車】國貨取代日產? 鐵路迷:馬鞍山綫車頭有邪惡的微笑 https://www.hk01.com[...] 2017-04-06
[37] 웹사이트 In Pictures: Hundreds of Hong Kong rail fans bid farewell to last 12-car train https://hongkongfp.c[...] 2022-05-06
[38] 웹사이트 Travelling First Class http://www.mtr.com.h[...] MTR official site 2023-08-17
[39] 웹사이트 Scheduled train service level from 22/Jul (Sat) https://checkfare.sw[...] 2023-08-04
[40] 간행물 Lo Wu Station on East Rail Line Set to Serve Cross-boundary Passengers with New Face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23-02-03
[41] 웹사이트 Service Hours https://www.mtr.com.[...] 2023-08-03
[42] 웹사이트 【資料】東鐵平日特車時間表 (2023年2月6日起生效) https://www.hkitalk.[...] 2023-08-03
[43] 간행물 LCQ9: Fares for cross-boundary journeys on MTR East Rail Line https://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23-06-21
[44] 문서 MTR East Rail Line Targeted to Extend Service to Hong Kong Island by June – July 2022 https://www.mtr.com.[...] mtr.com 2021-10-22
[45] 간행물 New Look for MTR East Rail Line Stations puts passengers 'In Touch with Nature' http://mtr.com.hk/en[...] MTR Corporation 2008-05-23
[46] 웹사이트 (Policy Address 2021) New MTR station to be built at Science Park https://www.thestand[...]
[47] 웹사이트 The Kowloon Canton Railway (British Section) 1910-1940 – major accidents/incidents http://industrialhis[...] The Industrial History of Hong Kong Group 2016-03-23
[48] 서적 Annual Department Report by the General Manager, Railway for the Financial Year 1955-56 Government Printer 1956
[49] 뉴스 Nine hurt as train jumps rails: Possible KCR collision averted 1980-12-19
[50] 뉴스 Train message 'misunderstood': Accident due to very great pressure, says KCR 1980-12-20
[51] 뉴스 Derailed train driver suspended 1984-12-21
[52] 뉴스 Crash news spins into a time warp 1984-11-27
[53] 뉴스 Inquiry into KCR crash ruled out 1984-12-12
[54] 뉴스 Third Chinese freight wagon in derailment http://hknews.lib.hk[...] 1988-07-04
[55] 뉴스 Rush hour accidents clog up Kowloon http://hknews.lib.hk[...] 1988-06-05
[56] 뉴스 KCR plans big rail work http://hknews.lib.hk[...] 1988-08-27
[57] 뉴스 'Signal ignored' in KCR crash 1991-05-07
[58] 뉴스 Ex-driver accused of train death 1991-08-30
[59] 뉴스 MTR train derails at Hung Hom station leaving 8 injured https://www.hongkong[...] 2020-03-31
[60] 보고서 Technical Investigation report on train derailment incident at Hung Hom Station on MTR East Rail Line https://www.emsd.gov[...] 2020-03-03
[61] 간행물 EMSD announces 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s on train derailment incident at Hung Hom Station on MTR East Rail Line https://www.info.gov[...] The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2020-03-03
[62] 웹사이트 KCREast Rail Train Incident on 21 December http://www.legco.gov[...] Kowloon-Canton Railway Corporation 2006-01
[63] 문서 Legislative Council Panel on Transport Subcommittee on Matters Relating to Railways, April 2007 https://www.legco.go[...]
[64] 웹사이트 Hansard http://www.legco.gov[...] Legislative Council of Hong Kong 1985-11-06
[65] 웹사이트 CHAN CHUNG KUEN v MTR CORPORATION LIMITED DCPI 764/2009 http://legalref.judi[...] District Cour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66] 웹사이트 Presentation LegCo Railway Subcom APG_v6 http://www.legco.gov[...] MTRC 2013-11-22
[67] 간행물 East Rail Line Trains to Stop at New Platform Positions Starting from 19 February Paving the Way for the Installation of Automatic Platform Gates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23-02-14
[68] 웹사이트 East Rail Line automatic gates to be fully installed late 2025: MTR Corp https://www.thestand[...]
[69] 웹사이트 MTR Projects Journal – Issue 4 https://www.mtr.com.[...] MTR Corporation 2014-09
[70] 웹사이트 東鐵綫全新9卡列車 - East Rail Line new 9-car trains http://www.mtr.com.h[...] MTR Co. Ltd 2020-09-08
[71] 웹사이트 KCRC http://www.kcrc.com/[...] 2018-11-04
[72] 뉴스 東鐵過海 直達金鐘 https://orientaldail[...] 東方日報 2022-05-04
[73] 웹사이트 罗湖站局部开放 便民沙岭扫墓 _大公网 http://www.takungpao[...] 2022-05-18
[74] 웹인용 Weekday patronage of MTR heavy rail network from September 1 to 27 and September 28 to October 25, 2014 http://gia.info.gov.[...] Legislative Council 2015-04-15
[75] Youtube 香港電台-鏗鏘集(電氣化火車 – Part 1) https://www.youtube.[...] 홍콩라디오텔레비전 1990-10-18
[76] 웹인용 九廣鐵路公司-歷史 https://web.archive.[...] 2018-12-31
[77] Youtube 九鐵1989年電氣化火車廣告 https://www.youtube.[...]
[78] 웹사이트 Travelling First Class http://www.mtr.com.h[...] MTR official site 2011-01-14
[79] 문서 2023년 개통 예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