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리맨더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리맨더링은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의도적으로 분할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1812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지사 엘브리지 게리가 소속 정당에 유리하게 선거구를 조정하면서 도룡뇽을 닮은 기형적인 선거구가 만들어진 데서 유래했다. 게리맨더링은 지지층의 표 효과를 극대화하고 반대층의 표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분할, 집중, 납치, 유괴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행위는 선거의 공정성을 해치고, 유권자의 대표성을 왜곡하며, 선거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국, 호주, 캐나다 등 많은 국가에서 독립적인 선거구 획정 기구를 통해 게리맨더링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충류 관련 문화 - 악어의 눈물
악어의 눈물은 희생자를 잡아먹으면서 눈물을 흘린다는 고대 이야기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위선적인 감정이나 가짜 후회를 비유적으로 나타내지만, 실제 악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은 감정적 이유가 아닌 생리적 작용 때문이며, 사회적으로는 가식적인 행태를 비판하는 은유로 사용된다. - 선거구 획정 - 벵골 분할령
벵골 분할령은 1905년 영국령 인도 제국이 행정 효율성을 명분으로 벵골 지역을 분할한 정책이며, 민족 운동을 분열시키려는 의도로 힌두교와 무슬림을 분리하려 했으나 벵골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911년 철회되었지만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 선거구 획정 - 네스팅
네스팅은 작은 선거구를 큰 선거구 안에 포함시키는 선거구 획정 방식이다.
게리맨더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치적 조작의 한 형태 |
정의 | 특정 정당이나 집단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조작하는 행위 |
로마자 표기 | gerimaendeoring 또는 gerrymandering |
발음 | |
특징 | |
목표 |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의 당선 가능성을 높임 |
방법 | 선거구 경계선을 복잡하게 조정 특정 성향의 유권자를 의도적으로 포함시키거나 제외 |
결과 | 유권자의 투표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현상 발생 정치적 불균형 및 불공정 초래 |
역사적 배경 | |
어원 | 1812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지사 엘브리지 게리(Elbridge Gerry)의 이름에서 유래 |
유래 과정 | 게리 주지사 시절 선거구 모양이 도마뱀과 비슷해 '게리맨더'라는 이름이 붙음 |
용어 사용 시작 | 미국에서 선거구 조작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 시작 |
국가별 사례 | |
미국 | 선거구 조작이 빈번하게 발생 |
기타 국가 | 다른 국가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
윤리적 문제 | |
민주주의 원칙 훼손 | 유권자의 의사를 왜곡 |
선거의 공정성 저해 | 불평등한 정치 환경 조성 |
정치적 양극화 심화 | 특정 정당이나 집단에 유리한 환경 조성 |
반대 의견 및 논쟁 | |
비판 | 선거의 공정성, 투명성 및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비판 유권자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 |
찬성 주장 | 소수 집단의 대표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주장 (주로 소수 민족 관련) |
영향 | |
정치적 영향 | 선거 결과 및 정치 구도에 큰 영향 |
사회적 영향 | 유권자의 정치적 참여 의지를 저해 |
관련 용어 | |
유사 용어 | 선거구 획정, 선거구 개편 |
관련 개념 | 선거구 정치 선거 투표 민주주의 부정선거 |
2. 어원과 발음
1812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주지사였던 엘브리지 게리는 자신의 소속 정당인 민주공화당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획정했다.[8] 이때 새로 구획된 선거구 중 하나의 모양이 기이하여, 마치 전설상의 동물인 샐러맨더(Salamander)와 비슷하다고 여겨졌다. 이에 사람들은 당시 주지사 '게리'(Gerry)의 이름과 '샐러맨더'(Salamander)를 합쳐 '''게리맨더'''(Gerry-mander)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고, 이후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하게 선거구를 정하는 행위를 '게리맨더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94][195]
게리맨더링은 특정 후보자의 당선을 유리하게 하거나 특정 정당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하도록 선거구를 지리적인 구역과 다르게 기형적인 모양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선거구를 법률로 정하고, 기본적으로 행정구역의 경계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선거구의 인구 기준보다 인구가 조금 미달하는 기초자치단체(시·군·자치구)의 선거구를 유지시키기 위해 다른 선거구의 일부를 떼어 선거구의 인구 기준을 약간 상회하게 인위적으로 구획하거나, 행정구역의 경계가 접하지 않은 시·군·자치구를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것은 금지된다. 다만, 선거구 사이의 인구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선거구 수가 늘지 않도록 선거구를 조정하는 것은 허용된다.[207]
'게리맨더'라는 단어는 1812년 3월 26일 보스턴에서 발행된 신문 ''보스턴 가제트''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용어는 엘브리지 게리 주지사가 민주공화당에 유리하도록 매사추세츠주 상원 선거구를 재구획하는 법안에 서명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졌다. 게리 자신은 개인적으로 이러한 관행에 반대했지만, 법안 서명을 막지는 않았다. 당시 연방당 성향의 신문 편집자들과 비평가들은 보스턴 지역의 기형적인 선거구 모양을 샐러맨더에 비유하며 비판했다.[8] 이와 함께 발톱, 날개, 용의 머리를 가진 괴물 모습으로 선거구를 그린 정치 풍자 만화가 등장하면서 '게리맨더'라는 용어는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 만화는 19세기 초 화가이자 판화가인 엘카나 티스데일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9][10] 용어의 정확한 창시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역사가들은 연방당 신문 편집자 네이선 헤일, 벤자민 러셀, 존 러셀 등을 유력한 인물로 보고 있다.[12]
이러한 선거구 재획정은 1812년 선거에서 실제로 민주공화당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연방당이 주 하원과 주지사 선거에서 승리하여 게리 주지사는 재선에 실패했지만, 논란이 된 방식으로 구획된 매사추세츠주 상원은 민주공화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8] '게리맨더링'이라는 용어는 이후 매사추세츠뿐 아니라 뉴잉글랜드 전역과 미국 전체로 퍼져나가, 특정 정당의 이익을 위해 선거구를 조작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다.[13] 이 단어는 1848년 사전에, 1868년 백과사전에 등재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14]
'게리맨더링'의 원래 발음은 엘브리지 게리의 이름('Gerry')을 따라 영어 'get'의 g와 같은 경음 /ɡ/으로 시작하여 '게리맨더링'에 가까웠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에서는 영어 'gentle'의 g와 같은 연음 /dʒ/을 사용하는 '제리맨더링'이 일반적인 발음이 되었다. 하지만 엘브리지 게리의 고향인 매사추세츠주 마블헤드에서는 여전히 원래의 /ɡ/ 발음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15]
때때로 특정 정치인이나 집단의 선거구 획정 행위를 비판하기 위해 "-맨더"(-mander)를 접미사처럼 붙여 새로운 용어를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앤드류 존슨의 '헨리맨더링'(Henrymandering), 제리 브라운의 '제리맨더링'(Jerrymandering),[16] 릭 페리의 '페리맨더링'(Perrmandering),[17][18] 아일랜드의 '툴리맨더링'(Tullymander),[19] 호주의 '벨케맨더링'(Bjelkemander) 등이 있다.
3. 게리맨더링의 개념과 목적
게리맨더링의 주된 목표는 지지자들의 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반대자들의 표의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20] 이는 단순히 선거구 법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제정되는 모든 입법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을 가진다.[20] 이러한 목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21]
이러한 전술들은 종종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특정 정당이 소수의 선거구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하고 나머지 다수의 선거구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도록 만든다.[24]
게리맨더링은 무효표 효과 때문에 효과를 발휘한다. 무효표란 특정 후보의 당선에 기여하지 못하는 표, 즉 승리 정족수를 초과하는 표나 패배한 후보에게 던져진 표를 의미한다. 게리맨더링을 통해 특정 정당은 반대 정당 지지자들의 표를 소수의 선거구에 집중시켜 불필요한 무효표(초과 득표)를 늘리고, 다른 선거구에서는 반대 정당이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게 만들어 또 다른 무효표(사표)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결과를 얻는 것이다.[25] 게리맨더링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효율성 격차가 있다. 이는 각 정당의 무효표 차이를 계산한 것이다.[26][27] 예를 들어, 2016년 미국 지방 법원은 위스콘신주의 2011년 선거구 획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는데, 당시 약 12~13%에 달하는 효율성 격차가 근거 중 하나였다. 2012년 주 의회 선거에서 공화당은 양당 득표율의 48.6%를 얻었지만, 주의회 99석 중 61%를 차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28]
소선거구제에서는 한 선거구에서 한 명만 당선되기 때문에 게리맨더링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특정 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지역을 잘게 쪼개어(분할) 다른 선거구에 흡수시키거나, 반대로 특정 지역에 몰아넣어(집중) 해당 지역 외 다른 선거구에서 유리한 구도를 만들 수 있다.[196] 때로는 주요 정당들이 서로 합의하여 각자에게 유리한 '안정 선거구'를 만드는 방식으로 게리맨더링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게리맨더링'이라는 용어는 1812년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주지사였던 엘브리지 게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게리 주지사는 자신의 소속 정당인 민주공화당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획정했는데, 그 결과 일부 선거구가 매우 부자연스러운 모양이 되었다. 특히 보스턴의 한 신문은 그중 한 선거구가 도롱뇽(Salamander)을 닮았다고 풍자하며, 주지사의 이름 '게리(Gerry)'와 '샐러맨더(mander)'를 합쳐 '게리맨더(Gerry-mander)'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194][195]
4. 게리맨더링의 방법
게리맨더링의 주된 목표는 특정 정당 지지자들의 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반대 정당 지지자들의 표의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20]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21]
- 분할 (Cracking): 특정 성향의 유권자들을 여러 선거구에 분산시켜, 어느 선거구에서도 의미 있는 유권자 블록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21] 선거구 획정 권한을 가진 정당은 이 방법을 통해 반대 정당 지지자들이 특정 선거구에서 다수가 되는 것을 막아 입법부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수 있다.[22][23] 예를 들어, 특정 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도시 지역 유권자들을 여러 개의 선거구로 나누고, 각 선거구를 다른 성향의 교외 지역 유권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집중 (Packing): 특정 성향의 유권자들을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선거구에 집중시켜, 해당 선거구에서는 반대 정당이 압도적으로 승리하게 만들지만, 나머지 다른 선거구에서는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법이다.[21][23] 이 방법은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수자 다수 선거구를 만들어 소수 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을 보장하려는 목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선거구 획정을 통제하는 정당이 주 전체에서 소수파일 경우, 반대 정당 지지자들을 소수의 선거구에 몰아넣어(집중) 해당 선거구를 포기하는 대신, 나머지 선거구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분할 전략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수 있다.[196]
- 납치 (Hijacking): 선거구를 재조정하여 같은 정당 또는 다른 정당 소속의 현역 의원 두 명을 하나의 선거구에서 경쟁하게 만들어, 그중 한 명을 정치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21]
- 유괴 (Kidnapping): 현역 의원의 지지 기반이 약한 지역으로 선거구를 옮겨, 해당 의원이 새로운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게 하거나 아예 선거구 내에 거주하지 않게 만들어 재선을 어렵게 하는 방법이다.[21] 이 방법은 특히 여러 도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인들을 겨냥하여, 그들의 선거구를 도시 외곽이나 시골 지역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분할과 집중 등의 전술들은 종종 결합되어 사용된다. 선거구 획정을 주도하는 정당은 반대 정당이 소수의 선거구에서 큰 표 차이로 승리하도록 유도하는 대신, 자신들은 더 많은 선거구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도록 선거구를 설계한다.[24] 이는 사표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인데, 반대 정당 지지자들의 표는 소수의 선거구에 집중되어 승리에 필요한 수를 훨씬 넘어서는 표(초과표)나, 다른 다수의 선거구에서 패배하여 반영되지 못하는 표(낙선표)로 만들어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식이다.[25][196]
5. 게리맨더링의 효과
게리맨더링의 주된 목표는 특정 정당 지지자들의 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반대 정당 지지자들의 표의 효과는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순히 특정 선거구의 승패뿐만 아니라, 선거 결과에 따라 제정되는 모든 입법 결정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을 가진다.[20]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법이 동원된다.[21]
- 분할(Cracking): 특정 성향의 유권자들을 여러 선거구에 흩어지게 만들어, 어느 선거구에서도 세력화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이다.[21] 선거구 획정 권한을 가진 정당은 이 방식을 통해 반대 정당 지지자들이 특정 선거구에서 다수를 점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자신들의 입법 권력을 유지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22][23] 예를 들어, 특정 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도시 지역 유권자들을 여러 개의 교외 지역 중심 선거구로 분산시켜 각 선거구에서 도시 유권자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 집중(Packing): 특정 성향의 유권자들을 소수의 특정 선거구에 몰아넣어, 해당 선거구에서는 반대 정당이 압도적으로 승리하게 만들지만, 나머지 다른 선거구에서는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식이다.[21][23] 때로는 소수자 다수 선거구처럼 특정 소수 집단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한 긍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다수당이 소수당 지지자들을 특정 지역에 고립시켜 전체적인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 납치(Hijacking): 선거구를 조정하여 같은 정당 소속 현직 의원 두 명이 하나의 선거구에서 경쟁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한 명은 탈락시키는 방식이다.[21]
- 유괴(Kidnapping): 현직 의원의 주소지를 기존 선거구가 아닌 다른 선거구로 옮겨버리는 방식이다.[21] 이 경우 해당 의원은 기반이 약한 새로운 지역구에서 어려운 선거를 치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게리맨더링을 시도하는 정당은 여러 선거구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고, 상대 정당은 소수의 선거구에서 큰 표 차이로 승리하는 결과를 유도한다.[24]

게리맨더링이 효과를 발휘하는 핵심 원리는 무효표를 만들어내는 방식에 있다. 선거에서 '무효표'란 특정 후보의 당선에 기여하지 못한 표, 즉 당선에 필요한 득표수를 초과한 표(사표)나 낙선한 후보에게 던져진 표를 의미한다. 게리맨더링은 선거구 경계를 조작하여 상대 정당 지지자들의 표를 특정 선거구에 몰아넣어(집중) 불필요한 초과 득표(사표)를 늘리거나, 여러 선거구에 분산시켜(분할) 어느 곳에서도 당선되지 못하게 하여 낙선자에게 던져진 표(사표)를 늘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실제 전체 득표율과 무관하게 특정 정당에 유리한 의석 배분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25]
게리맨더링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효율성 격차(Efficiency gap)가 사용된다. 이는 각 정당이 얻은 무효표(낭비된 표)의 차이를 계산하여 선거구 획정이 특정 정당에 얼마나 유리하거나 불리한지를 나타낸다.[26][27] 예를 들어, 2012년 위스콘신주 의회 선거에서는 높은 효율성 격차로 인해, 전체 양당 득표율 48.6%를 얻은 정당이 전체 99개 의석 중 61%를 차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28]
이처럼 게리맨더링은 선거 경쟁을 감소시키고 현직 의원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며, 유권자의 의사를 왜곡하여 대표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5. 1. 선거 경쟁에 미치는 영향
게리맨더링은 현직자가 재선될 가능성을 높여 선거 경쟁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정치학자 노먼 오른스타인(Norman Ornstein)과 토머스 만(Thomas Mann)에 따르면, 2002년 미국 의회 선거에서는 현직 의원을 이긴 도전자가 단 4명에 불과했는데, 이는 현대 미국 역사상 가장 낮은 수치였다.[33] 이는 게리맨더링이 현직자, 특히 선거구 획정을 주도하는 다수당 소속 현직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브루킹스 연구소의 토머스 만은 재선거구획이 현직 의원들이 자신의 정치적 위험을 줄이거나(초당적 게리맨더링), 소속 정당의 의석 수를 늘리기 위해(당파적 게리맨더링)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매우 정치적인 과정이라고 지적했다.[34] 특정 정당에 유리하지 않은 초당적 게리맨더링조차도, 특정 지지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선거구를 재편하여 현직자의 당선을 사실상 보장할 수 있다. 이렇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안전한' 선거구는 입법부의 당파성을 심화시키고 정치적 교착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게리맨더링은 민주적 책임성 원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쟁이 없는 선거구의 현직 정치인들은 유권자의 뜻을 따르기보다는 소속 정당의 입장을 우선시할 가능성이 커진다. 현직 정치인들은 유권자의 이익보다는 당의 이익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게리맨더링은 대표성을 왜곡한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무효표가 많이 발생하도록 선거구를 획정함으로써, 특정 유권자 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이 실제 투표 인구 비율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선거 결과가 유권자의 선호보다는 선거구를 설계하는 사람들의 의도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소수 집단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이들을 특정 선거구에 집중시키는 방식(긍정적 게리맨더링)이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같은 인종적 소수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선거구를 의도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해당 집단을 특정 선거구에 고립시켜 오히려 정치적 소외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실제로 게리맨더링은 득표율과 의석수 간의 불균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2012년 펜실베이니아 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들이 공화당 후보들보다 총 8만 3천 표를 더 많이 얻었지만, 2010년 공화당이 주도한 선거구 획정의 결과로 18개 선거구 중 13개에서 공화당 후보가 승리했다.[36] 같은 해, 공화당이 선거구 획정을 완전히 통제한 7개 주에서는 공화당 후보들이 전체 득표의 50.4%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주들의 하원 의석 68% 이상을 차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37] 미시간주에서도 2011년 공화당 주도로 이루어진 선거구 획정이 도시 지역의 민주당 표를 희석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분석이 있다.[38]
이 외에도, 기형적으로 넓거나 복잡한 형태의 선거구는 후보자들의 교통비나 선거 광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35] 또한, 현직 의원이 일반적으로 가지는 선거 자금 모금의 우위는 게리맨더링으로 인해 경쟁이 약화된 선거구에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5. 2. 현직 의원의 이점과 선거 비용
재선거구획, 즉 게리맨더링은 현직 의원들에게 특히 유리하게 작용하여 재선 가능성을 높인다. 정치학자 노먼 오른스타인(Norman Ornstein)과 토머스 만(Thomas Mann)에 따르면, 2002년 미국 의회 현직 의원을 물리친 도전자는 단 4명에 불과했는데, 이는 현대 미국 역사상 가장 낮은 수치이다.[33] 현직 의원들은 대부분 게리맨더링을 기획하는 다수당 소속일 가능성이 높으며, 소수당 소속 현직 의원을 포함하여 후속 선거에서 쉽게 재지명되는 경향이 있다.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의 토머스 만은 "재선거구획은 매우 정치적인 과정으로, 현직 의원들은 자신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초당적 게리맨더링) 또는 당에 추가 의석을 확보하기 위해(당파적 게리맨더링) 적극적으로 노력한다"고 지적했다.[34] 여기서 초당적 게리맨더링은 특정 정당에 유리하지 않더라도, 당파적 지지가 높은 지역으로 선거구를 "강화"하여 현직 의원의 승리를 사실상 보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소수당이 상당한 저지력을 가져 당파적 게리맨더링이 어려울 때, 현직 의원들이 자신의 재선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동의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0년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양대 정당이 협력하여 현직 의원들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선거구를 재획정했고, 그 결과 2004년 선거에서는 단 한 명의 당적 변경도 없었다. 뉴욕주 역시 1981년 암묵적 합의 이후 전국에서 가장 경쟁이 없는 선거구를 가지게 되었으며, 현직 의원의 99% 이상이 재선되었다.[39]
이러한 게리맨더링은 거버넌스 관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당파성을 높이기 위해 선거구를 형성하면 입법부의 당파성이 더욱 심화되고, 이는 당파적 교착 상태를 만들고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민주주의의 책임성 원칙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경쟁 없는 선거구에서는 현직 정치인들이 유권자의 이익보다는 소속 정당의 이익을 더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직책을 잃을 두려움이 줄어들어 유권자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동기가 약화될 수 있다.
게리맨더링은 선거 비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선거구가 넓어지면 후보자들은 선거구 전역을 이동하고 선거 광고를 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할 수 있다.[35] 또한, 선거 자금 모금에서 현직 의원이 가지는 우위는 게리맨더링으로 확보된 안전한 의석을 가진 또 다른 이점으로 작용한다.
5. 3. 대표성 문제
게리맨더링은 게리맨더링된 선거구에서 유권자가 받는 대표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게리맨더링은 유권자들 사이에서 무효표 수를 늘리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집단의 상대적 대표성이 실제 투표 인구 비율에서 크게 바뀔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게리맨더링 시스템이 비례적이고 정확한 대표성을 달성하는 것을 상당히 방해할 수 있는데, 선거의 승자는 점점 유권자의 선호도가 아니라 선거구를 획정하는 사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게리맨더링을 통해 특정 집단의 대표성을 왜곡하는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다.[21]
- 분할(Cracking): 특정 유형의 유권자들을 여러 선거구에 분산시켜 어떤 특정 선거구에서도 충분히 큰 유권자 블록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이다.[21] 이를 통해 반대 정당 지지자들이 특정 선거구에서 다수가 되는 것을 막아 입법적 통제를 유지하거나 확보할 수 있다.[22][23] 예를 들어, 도시 지역 유권자를 여러 교외 중심 선거구에 분산시켜 도시 유권자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 집중(Packing): 한 유형의 유권자들을 단일 선거구에 집중시켜 다른 선거구에서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식이다.[21][23]
경우에 따라, '집중' 방식은 공동의 이익을 가진 공동체, 특히 소수 집단을 위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수자 다수 선거구를 만들어 해당 소수 집단 출신 대표가 선출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여러 선거구에 걸쳐 소수 집단의 표를 희석시켜 영향력을 없애는 것보다 나은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인종 차별 관련 소송을 피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해당 소수 집단을 단일 선거구에 고립시켜 오히려 정부 전체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정 선거구 밖의 정치인들은 더 이상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해당 소수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같은 인종적 소수 집단이 다수를 차지하는 '소수 민족 다수 선거구'를 의도적으로 만드는 재선거구 획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최대화 정책"은 공화당(소수 집단 지지 기반이 약해 다른 지역에서 유리했음)과 해당 선거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소수 대표(안정적인 의석 확보)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다.
2012년 미국 선거는 당파적 게리맨더링이 대표성을 왜곡한 사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펜실베이니아에서는 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공화당 후보들보다 총 8만 3천 표를 더 많이 얻었지만, 2010년 공화당 주도로 이루어진 재선거구 획정 결과 18개 선거구 중 13개에서 공화당 후보에게 패배했다.[36] 공화당이 재선거구 획정 과정을 완전히 통제했던 7개 주 전체에서는 공화당 하원 후보가 1670만 표, 민주당 하원 후보가 1640만 표를 받았으나, 공화당은 107개 의석 중 73석을 차지했다. 즉, 득표율은 50.4%에 불과했지만 의석의 68% 이상을 확보한 것이다.[37] 이러한 불균형적인 대표성은 민주주의 시스템의 정당성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미시간주에서는 2011년 공화당 의회가 재선거구 획정을 실시했다.[38] 연방 의회 선거구는 배틀 크릭, 그랜드래피즈, 잭슨, 칼라마주, 랜싱, 이스트랜싱과 같은 도시들이 의회 선거에서 이들 도시의 민주당 표를 희석시키는 보수 성향이 강한 외곽 지역과 분리되도록 설계되었다.
교도소 기반 선거구 재분할(Prison-based gerrymandering) 역시 대표성 왜곡 문제를 야기한다. 이는 수감자를 교도소가 위치한 선거구의 주민으로 계산하여 해당 지역의 인구를 부풀리는 방식이다. 많은 수감자들이 실제로는 도시 지역 출신이고 형기 종료 후 도시로 돌아감에도 불구하고, 대형 교도소가 있는 농촌 지역의 인구로 계산되어 해당 농촌 선거구의 정치적 대표성이 인위적으로 높아진다. 이는 교도소가 없는 다른 선거구 유권자들의 대표성을 희생시키고, 수감자 자신은 투표권이 없음에도 특정 지역의 정치적 영향력을 키우는 데 이용되어 1인 1표 원칙을 위반한다는 비판을 받는다.[40] 반면, 수감자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지 않고 법적으로 투표할 자격이 없으므로 원래 거주지의 주민으로 계산해서는 안 된다는 반론도 존재한다.[41][42]
6. 게리맨더링 방지 노력
게리맨더링이 선거의 공정성과 민주적 책임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여러 국가에서 이를 방지하거나 그 효과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개혁 방안을 모색하고 시행해 왔다.
=== 중립적 기구에 의한 선거구 획정 ===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정치적 입김을 배제하기 위해, 영국, 호주, 캐나다 및 다수 유럽 국가들은 선거구 경계를 설정하는 책임을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거나 초당적인 독립 기구에 맡기고 있다.[151] 이 방식은 특정 정당이나 현직 의원의 이해관계가 선거구 모양에 반영되는 것을 막는 데 목적이 있다. 스페인의 경우, 1978년 헌법 제정 이후 선거구가 고정되어 변경되지 않고 있다.[151]
=== 투표 시스템 변경 ===
게리맨더링은 특정 정당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표, 즉 '무효표'를 양산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무효표 발생을 줄이는 선거 제도를 도입하면 게리맨더링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51]
- 비례대표제: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나 결선투표제와 같이 여러 명을 선출하는 다수 선출구와 함께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 무효표를 줄여 게리맨더링의 유인을 낮출 수 있다. 특히 유권자가 후보 목록 내에서 순위를 정할 수 있는 개방 목록은 선거구 경계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 방법은 오스트리아,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등에서 사용된다. 비례대표제는 다양한 정당이 의회에 진출하는 다당제를 촉진하고, 투표 참여율을 높이며, 더 넓은 범위의 정치적 의견이 반영되도록 돕는 경향이 있다.[52] 정치학자 모리스 뒤베르제가 설명한 뒤베르제의 법칙에 따르면, 각 선거구에서 단 한 명의 승자만 선출하는 최다득표제는 양당제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53]
- 준비례대표제: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나 누적 투표제와 같은 준비례대표제 방식 역시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무효표 비율을 줄여 게리맨더링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51]
=== 고정 선거구 사용 ===
선거구 획정 과정을 아예 없애고, 주, 군, 도와 같은 기존의 행정 구역 경계를 선거구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선거구 조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상원은 주 경계를 그대로 선거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입법부가 선거구를 획정하는 미국 하원에 비해 선거 경쟁이 더 치열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인구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인구가 크게 변동하면 각 유권자의 투표 가치가 달라지는 인구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여 대표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국에서는 산업혁명 시기 인구가 급감한 일부 선거구가 소수의 유권자만으로 의원을 선출하는 '썩은 자치구'가 되기도 했다. 미국 앨라배마주에서는 주 의회가 60년 이상 선거구 조정을 거부하여, 1960년에는 주 인구의 4분의 1 미만이 의회 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54] 이러한 문제로 미국에서는 1964년 ''레놀즈 대 심스'' 연방 대법원 판결을 통해 '1인 1표' 원칙을 확립하면서, 주 의회 선거에서 고정된 선거구를 사용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했다.
=== 객관적인 획정 기준 설정 ===
선거구 획정 과정의 자의성을 줄이기 위해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기준을 도입하려는 노력도 있다.
- 인접성(Contiguity): 미국 법원은 연방 의회 선거구가 지리적으로 서로 붙어 있어야 한다고 판결했지만,[55] 이는 매우 좁은 땅으로 떨어진 지역들을 연결하는 방식 등으로 쉽게 회피될 수 있어 효과적인 제약이 되지는 못한다. 텍사스 제35선거구가 그 예이다.
- 압축성(Compactness): 선거구가 가능한 한 기형적이지 않고 콤팩트한 모양을 가지도록 요구하는 기준이다. 압축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가 제안되었다.
- 최소 선거구 대 볼록 다각형 비율: 선거구를 감싸는 가장 작은 볼록 다각형(선거구 윤곽 주위에 고무줄을 당긴 모양, 즉 볼록 껍질)을 그린 뒤, 선거구 면적을 다각형 면적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어느 정도의 불규칙한 경계(예: 자연 지형, 기존 행정 구역 경계)를 허용하면서 지나치게 기형적인 선거구를 방지하려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의도적인 꾸역쌓기와 분할이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다.

- 최단 분할선 알고리즘: 주 경계, 목표 선거구 수(N), 인구 분포만을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알고리즘으로 선거구를 나누는 방식이다.[58][57] 알고리즘은 주를 N개의 선거구로 나누기 위해, 먼저 N을 두 정수 A와 B의 합(N=A+B, A와 B는 같거나 1 차이)으로 표현한다. 그 다음, 주를 A:B의 인구 비율로 나누는 모든 가능한 직선 중 가장 짧은 직선을 선택하여 주를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각 구역에 대해 지정된 수(A개 또는 B개)의 선거구가 만들어질 때까지 이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적용한다. 이 방식은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인위적 조작이 불가능하고 비교적 단순한 경계를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강, 산맥 등 지리적 특성이나 공동체 경계를 고려하지 않아 비현실적인 선거구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소수 집단 인구가 특정 지역에 밀집해 있지 않은 경우 이들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대도시 지역을 가로질러 분할할 가능성도 있다.[59]
- 등주 비율: 선거구 면적과 둘레 길이의 제곱 사이의 비율을 측정하는 방식이다.[61] 이 비율이 높은, 즉 면적에 비해 둘레가 짧은 콤팩트한 모양을 장려한다. 하지만 강이나 산과 같은 자연적인 경계선이 많은 지역에서는 이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 효율성 격차: 게리맨더링의 영향을 측정하는 간단한 지표로, 각 정당의 '낭비된 표'(패배한 선거구의 모든 표 + 승리한 선거구에서 당선에 필요한 표를 초과한 표)를 계산하여 그 차이를 총 투표수로 나눈 값이다.[62] 효율성 격차가 작을수록 선거 결과가 양당의 전체 득표율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수학자 보리스 알렉세예프와 더스틴 믹슨은 2017년 연구에서 때때로 낮은 효율성 격차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기형적인 모양의 선거구가 필요할 수도 있음을 증명했다. 이는 압축성 기준과 효율성 기준이 상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63][64][65]
이러한 개혁 노력들은 게리맨더링으로 이익을 얻는 정치 세력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히기도 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선거구 획정 방식 개혁이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7. 대한민국의 사례
대한민국에서는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임의로 분할하는 게리맨더링을 막기 위해 선거구를 법률로 정하고, 기본적으로 행정구역의 경계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인구 기준에 미달하는 기초자치단체(시·군·자치구) 선거구를 유지시키기 위해 다른 선거구 일부를 떼어 붙이거나, 행정구역 경계가 접하지 않는 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것은 금지된다. 다만, 선거구 간 인구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정은 허용된다.[207]
그러나 실제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게리맨더링으로 의심되는 사례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 창원시 반송동 사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반송동은 오랫동안 의창구 지역 안에 섬처럼 떨어져 있는 형태로 존재했다. 이는 1991년 옛 창원시 선거구를 나눌 때 지역 유력 정치인이었던 황낙주의 영향으로 반송동을 창원시 을 선거구에, 대신 용지동을 창원시 갑 선거구에 포함시킨 결과라는 주장이 있다.[204]
- 옥천군·보은군·영동군 선거구 분할 사례: 1995년 충청북도 옥천군, 보은군, 영동군을 획정하면서, 옥천군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진 보은군과 영동군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안이 추진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이를 옥천군 선거구와 보은군·영동군 선거구로 분리하는 것은 지리적 연관성이 없는 지역을 묶은 비합리적인 획정이라며 전형적인 게리맨더링으로 판단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209][205] 이 결정에 따라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세 군을 다시 하나의 선거구(옥천군·보은군·영동군)로 합쳐 선거를 치렀다.[208]
- 2020년 선거구 획정 논란: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루어진 선거구 획정에서도 여러 지역이 게리맨더링 사례로 지적되었다. 예를 들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일부를 분할하여 화성시 갑, 화성시 을, 병 3개 선거구를 만들고, 안산시는 4개 선거구(안산시 상록구 갑, 안산시 상록구 을, 안산시 단원구 갑, 안산시 단원구 을)로 나눈 것,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일부(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와 전라남도 순천시 일부(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를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합쳐 선거구를 만든 반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부산광역시 남구는 단독으로 분구(갑, 을)한 것 등이 논란이 되었다. 특히 순천시에서는 해룡면을 분할하여 인근 지역과 묶어 인구 약 26만 2천 명의 거대 선거구(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를 만든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7. 1. 관련 판례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평등선거의 원칙에 근거하여 게리맨더링을 부정하고 있다. 평등선거 원칙은 헌법 제11조 제1항의 평등의 원칙이 선거 제도에 적용된 것으로, 다음 두 가지 핵심 내용을 포함한다.[211]- 1인 1표 원칙 (수적 평등): 모든 유권자는 동등하게 1표씩 행사해야 한다.
- 투표 가치의 평등 (성과 가치 평등): 각 유권자의 1표가 대표자 선정이라는 선거 결과에 기여하는 가치는 동등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집단의 의사가 정치 과정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도록 의도적으로 선거구를 획정하는 게리맨더링은 이러한 평등선거 원칙에 위배된다.[210][211]
8. 세계 각국의 사례
게리맨더링과 이것이 경쟁적인 선거와 민주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인식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관행을 더 어렵게 만들거나 효과를 줄이는 개혁을 시행해 왔다. 영국, 호주, 캐나다, 그리고 유럽의 대부분 국가들은 선거구 경계를 정하는 책임을 중립적이거나 초당적인 기구로 이관했다. 스페인에서는 1978년 이후 헌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151] 개방형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는 선거구 경계를 없애고 유권자들이 제시된 후보 명부를 순위 매기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게리맨더링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이 방법은 오스트리아,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에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개혁이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게리맨더링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집단의 특히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더 중립적인 시스템에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흔히 주장되는 선거구 획정 개혁 제안은 선거구 재획정 과정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안에 따르면, 입법부가 아닌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추정되는 위원회가 선거구 재획정을 위해 특별히 설립된다.
영국에서는 독립적인 경계 위원회가 선거구의 경계를 하원과 분권 입법부에 대해 결정하고, 해당 기관의 비준을 받는 시스템을 사용한다(거의 항상 논의 없이 승인됨). 호주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존재하는데, 독립적인 호주 선거 위원회와 그 주 기반 대응 기관이 연방, 주 및 지방 관할 구역의 선거 경계를 결정한다.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거구 재획정 기관의 구성원은 은퇴한 판사나 오랫동안 공무원으로 근무한 사람과 같이 비교적 정치적이지 않은 출처에서 임명될 수 있으며, 경쟁하는 정당 간의 적절한 대표성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위원회 구성원은 인구의 인구 통계적 구성이나 투표 패턴과 같이 선거구 획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제약으로, 합의 요건을 부과하여 결과적으로 생성된 선거구 지도가 더 넓은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선거구 제안에 대해서도 위원회의 초과 다수결 찬성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합의 요건은 2000년 인구 조사 이후 미주리주에서 발생한 것처럼 교착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당시 동수의 당파적 임명자들은 합리적인 시간 내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고, 따라서 법원이 선거구 경계를 결정해야 했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서는 비정당적인 입법 서비스국(LSB, 미국 의회 조사처와 유사)이 선거구 경계를 결정한다. 연방에서 요구하는 인접성 및 인구 평등 기준을 충족하는 것 외에도, LSB는 카운티와 도시의 통일성을 요구한다. 현직자의 위치, 이전 경계 위치 및 정당 비율과 같은 정치적 요소를 고려하는 것은 특별히 금지된다. 아이오와주의 카운티는 주로 규칙적인 모양의 다각형이기 때문에 LSB 과정은 카운티 경계를 따르는 선거구로 이어졌다.[33]
2005년 미국 오하이오주는 독립 위원회를 설립하는 투표 조치를 취했는데, 이 위원회의 최우선 순위는 경쟁적인 선거구, 일종의 "역 선거구 획정"이었다. 선거구의 경쟁력을 결정하기 위해 복잡한 수학 공식이 사용될 예정이었다. 이 조치는 주로 유권자들이 지역 사회의 이익이 깨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유권자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43]
2017년, 하원의원 존 델러니는 비정당적 선거구 재획정을 시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2017년 민주주의 개방법을 미국 하원에 제출했다.
재선거구 획정 시 단일 정당이 주 의회의 양원을 모두 장악할 경우,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이 과정을 비밀리에 진행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2010년 5월에는 미국 공화당 전국위원회(Republican National Committee)가 오하이오(Ohio)에서 "비밀로 유지하고, 안전하게 지키자(Keep it Secret, Keep it Safe)"라는 주제로 재선거구 획정 교육 세션을 개최했다.[46] 2012년 공공정직성센터(Center for Public Integrity)의 조사에서는 모든 주의 재선거구 획정 과정에 대한 투명성과 공공 의견 수렴 가능성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24개 주에 D 또는 F 등급을 부여했다.[47]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의회(US Congress)에 재선거구 획정 투명성 법안이 여러 차례 제출되었다. 여기에는 2010년, 2011년, 2013년 재선거구 획정 투명성 법안이 포함된다.[48][49][50] 이러한 정책 제안은 미국의 재선거구 획정 시스템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재선거구 획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의 장점은 주로 입법자들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그러한 선거구를 옹호해야 한다면 게리맨더링된 선거구를 그리는 데 덜 마음이 기울 것이라는 전제에 근거한다.
=== 미국 ===
미국은 최초로 선출된 대표 정부를 가진 국가들 중 하나이며, '선거구 경계 조작(gerrymandering)'이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새로운 주의 경계를 조작하는 관행은 미국 남북 전쟁 이후 19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공화당은 의회 장악력을 이용하여 자당에 우호적인 지역에 더 많은 주의 편입을 확보했다. 대표적인 예로 다코타 준주를 두 개의 주로 나누어 편입한 것을 들 수 있다. 선거인단의 대표 규칙에 따라, 각 새로운 주는 인구에 관계없이 최소 3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했다.[177]
미국의 모든 미국의 선거구 재획정은 권력을 다투는 정당들이 장악해 왔기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었다. 미국 헌법에 따라 10년마다 실시되는 인구 조사의 결과로, 하원 의원의 선거구는 주의 의원 수가 변경될 때마다 재구성되어야 한다. 많은 주에서 주 의회는 동시에 주 의회 선거구의 경계를 재구성한다.
주 의회는 주 정부와 연방 의회 대표단에서 소수 민족의 대표성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인종에 따라 선거구 경계 조작을 해왔다. 오하이오주에서는 공화당 관계자들 간의 대화가 녹음되었는데, 이는 선거구 재획정이 그들의 정치 후보를 돕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178] 더욱이, 이러한 논의에서는 유권자의 인종을 선거구 재획정의 요소로 평가했는데, 흑인들이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전제에 근거한 것이다. 공화당은 하원 의원 후보인 공화당 후보 짐 라우센의 선거구에서 약 1만 3천 명의 흑인 유권자를 제거하여, 한때 민주당 후보에게 유리했던 선거구의 판도를 바꾸려는 시도를 한 것으로 보인다.[179]
민권 운동과 1965년 투표권법의 통과와 함께, 모든 시민의 참정권에 대한 연방 집행 및 보호가 제정되었다. 인종 또는 민족 소수 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거구 경계 조작은 금지되었다. 1965년 투표권법 통과 후, 일부 주에서는 소수 민족의 투표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수 민족 다수 지역"을 만들었다. "긍정적 선거구 경계 조작"이라고도 하는 이러한 관행은 역사적인 차별을 바로잡고 소수 민족이 정부에서 일정한 의석과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부 주에서는 초당적 선거구 경계 조작이 일반적이다. 양당의 주 의원들은 때때로 양당의 현직 대표 대부분 또는 전원의 재선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연방 하원 선거구 경계를 설정하는 데 동의하기도 한다.[180]
일부 주에서는 정치적 영향력을 더 많이 허용하는 대신, 정치인으로부터 선거구 재획정 권한을 이관하여 무당파 선거구 재획정 위원회에 맡겼다. 워싱턴주,[181] 애리조나주,[182] 캘리포니아주[183]는 2010년 인구 조사 이후 선거구 재획정을 위한 상임 위원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 경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선거구 경계 조작이 계속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184] 로드아일랜드주,[185] 뉴저지주[186]는 임시 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새로운 인구 조사 데이터와 관련된 지난 두 번의 10년 단위 재할당을 개발했다. 한편 플로리다주 개정안 5호와 6호는 선거구 설립 규칙을 제정했지만 독립 위원회를 의무화하지는 않았다.[187]
2018년 미시간주 유권자들은 2020년 미국 인구 조사 이후 새로운 연방 의회 지도를 작성할 독립 위원회를 설립하는 제안을 승인하여 주 의회의 책임을 제거했다. 또한, 2018년 오하이오주 유권자들은 기존의 선거구 재획정 법규를 수정하여 위원회가 새로운 지도를 작성하도록 했다. 그러나 주 의회가 연방 의회 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은 남아 있었고, 이는 선거구 경계 조작의 위험을 제기한다. 2018년 중간 선거에서 위원회를 설립한 다른 주로는 콜로라도주가 있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 민주 기관 및 인권 사무소의 국제 선거 관찰단은 2004년 전국 선거를 관찰하고 보고하기 위해 초청되었으며, 미국의 연방 하원 선거구 재획정 절차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고 연방 의회 선거 경쟁의 진정한 경쟁력을 보장하기 위해 절차를 검토할 것을 권고했다.[188]
2019년 6월, 미국 연방 대법원은 ''라몬 대 베니섹''과 ''루초 대 커먼 코즈''에서 5대 4로 당파적 선거구 경계 조작에 대한 이의 제기를 연방 법원이 관할권이 없다고 판결했다.[189]
미국에서는 사회 계층이나 민족·인종의 차이로 거주 지역이 나뉘어 있으며, 그 차이가 투표 성향에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지역과 투표 성향에 상관관계가 있으며, 소선거구제에서 선거구 획정을 조작함으로써 투표 결과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특정 정당을 유리하게 만들 수 있다. 미국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하원에서 정원이 복수로 할당된 44개 주 중 33개 주에서 획정은 주 의회 주도로 결정되며, 정치인의 이해관계나 의도에 따른 게리맨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독립 기구에서 획정을 결정하는 개혁 운동도 일어나고 있다.[194] 미국 상원은 정원이 각 주 2명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게리맨더링은 발생하지 않는다.[194]
주 의회 여당이 자당에 유리한 선거구 획정을 하는 게리맨더링에 대해 유권자가 소송을 제기한 사건(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민주당이, 메릴랜드주에서 공화당이 각각 불리해졌다고 판단됨)에서, 2019년 6월 27일 연방 대법원은 “연방 대법원의 손이 미치지 않는 정치적 문제다”라는 최초의 판단을 내려 게리맨더링을 제한하는 사법 판단을 피했다.[197]
미시간주처럼 주 의회가 선거구 획정을 담당했지만 2017년부터 2018년에 걸쳐 유권자가 운동을 벌여 주민 투표로 주 헌법을 개정하는 형태로 독립 위원회에 의한 선거구 획정을 실현한 사례도 있다.[194]
선거구 | 지도 | 설명 |
---|---|---|
하원 일리노이주 4선거구 | ||
시카고를 둘러싼 히스패닉계 주민이 많은 두 지역을 주간 고속도로 294호선으로 연결한 기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2013년부터 폭이 약간 넓어졌다. | ||
하원 플로리다주 5선거구 | ||
잭슨빌에서 올랜도까지 이어지는 기형적인 선거구이다. | ||
하원 메릴랜드주 3선거구 | ||
볼티모어, 아나폴리스, 하워드 카운티 일부를 포함하며, 미국에서 가장 기형적인 선거구 중 하나로 꼽힌다. | ||
하원 노스캐롤라이나주 4선거구 | ||
더럼과 롤리를 포함하며,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지역을 묶었다. 2017년 재획정되었다. | ||
하원 노스캐롤라이나주 12선거구 (2003년~2017년) | ||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민을 다수로 하는 선거구였지만, 2017년 동주 1선거구와 함께 선거구 획정의 불공정을 주장하는 소송에 의해 해소되었다. | ||
하원 일리노이주 17선거구 (2003년~2013년) | ||
미시시피 강을 따라 길게 뻗어 있으며, 여러 도시 지역을 포함한다. | ||
하원 캘리포니아주 38선거구 (2003년~2013년) | ||
로스앤젤레스 동부 교외 지역을 포함하며, 히스패닉계 유권자를 집중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비판이 있다. | ||
하원 캘리포니아주 23선거구 (2003년~2013년) | ||
민주당이 우세한 선거구로, 해안선을 따라 길게 뻗어 있다. | ||
하원 오하이오주 7선거구, 12선거구, 15선거구 (2003년~2013년) | ||
중부의 프랭클린군 콜럼버스는 민주당이 우세한 도시이지만, 3개로 분할됨으로써, 투표에서는 모두 교외에서 다수표를 확보한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3년에 콜럼버스의 대부분이 새로운 3선거구에 편입된 이후로는 민주당이 계속 당선되었다. | ||
하원 오하이오주 9선거구 | ||
이리호 연안을 따라 길게 뻗은 선거구로 "호숫가의 뱀"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 호주 ===
게리맨더링은 일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선거 제도의 문제로 여겨지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선거구 획정이 일반적으로 초당파적인 선거 위원회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러 주에서 유권자를 선거구에 배분하는 것이 인구에 비례하지 않는 인구 불균형의 역사적 사례가 있었다.[81] 1996년,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맥긴티 대 서호주주'' 판결에서 동일한 선거 제도 내에서 서로 다른 선거구의 가중치가 다른 선거 제도의 헌법적 합법성을 확인했는데, 특히 이 판결은 서호주의 선거 제도를 승인했다.
서호주 입법평의회(Western Australian Legislative Council)는 오랫동안 인구 불균형(malapportionment)을 통해 게리맨더링(gerrymandering)되어 왔는데, 이는 농촌 보수당인 국가당(National Party)에 분명 유리하게 작용했다. 주가 유권자 수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기 때문이다. 노동당(Labor Party)이 2021년 서호주 주 선거(2021 Western Australian state election)에서 양원 모두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후, 선거구 제도를 폐지하고 단일 주 전역 선거구로 대체하여, 선택적 선호 투표(optional preferential voting)를 통해 37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1표 1가치(one-vote, one-value) 시스템을 만들었다.[85]
2014년, 보수 성향의 뉴사우스웨일스주 자유당(Liberal Party NSW) 주 정부는 시드니 시(City of Sydney) 의회 선거를 자르기(gerrymandering)하여 클로버 무어(Clover Moore)를 선출직에서 축출하려는 지속적인 시도의 일환으로 삼았다. 무어는 이미 주 정부 대표와 지방 의회 의원을 동시에 맡는 것을 금지하는 법에 따라 주 정부 대표직에서 물러났으며, 주 정부는 그녀를 의회에서 제거하려는 시도로 해당 지역의 모든 사업체에 두 표를 부여하고 의회가 선거인 명부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각 사업체에 투표 자격을 알리도록 하는 법을 도입했다. 무어는 이 법을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자르기(undemocratic gerrymander)"라고 비난했고, 선거 분석가 앤토니 그린(Antony Green)은 이러한 변화가 "분명히 클로버 무어를 불리하게 만들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이 법은 시드니 시 의회에만 적용되었고 주 전체의 다른 의회에는 확대 적용되지 않았다. 이 시도는 실패했고 무어는 여러 차례의 추가 선거를 통해 시드니 시장직을 유지했다.[86][87]
=== 바하마 ===
1962년 바하마 총선거는 게리맨더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88] 이 선거는 보통선거가 처음으로 허용된 선거였다. 진보자유당(PLP)은 득표율 44%를 얻었지만, 바하마연합당(UBP)은 36%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나머지 20%는 제3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얻었다.[89] PLP는 과반수의 득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바하마 의회(House of Assembly) 33석 중 8석만을 차지한 반면, UBP는 18석을 차지했다.[90]
=== 캐나다 ===
게리맨더링은 과거 캐나다 정치에서 두드러졌으나, 모든 주에 독립적인 선거구역 재분배 위원회가 설립된 이후로는 더 이상 두드러지지 않는다.[91][92] 캐나다 초기 역사에서 연방 및 주 정부 모두 당파적 권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게리맨더링을 사용했다. 1905년 앨버타주와 서스캐처원주가 연방에 가입했을 때, 각각의 원래 선거구 경계는 해당
9. 관련 용어
- 선거구 인구 불균형 (Malapportionment): 선거구별 유권자 수가 크게 차이 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지역의 표 가치를 다른 지역보다 높거나 낮게 만들어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호주의 플레이맨더나 벨케맨더링 사례에서 이러한 불균형 문제가 나타났다.
- 툴리맨더링 (Tullymandering): 아일랜드에서 게리맨더링 시도가 오히려 역효과를 낳아 실패한 사례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1970년대 중반, 당시 노동당 소속의 지방정부 장관 제임스 툴리는 집권 연립정부(파인 게일-노동당)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획정하려 시도했다. 그는 집권당이 강세인 지역에는 3석 선거구를 늘리고, 약세인 지역에는 4석 선거구를 배치하여 의석 확보를 노렸으나, 1977년 아일랜드 총선에서 예상과 달리 야당인 피아나 파일이 압승을 거두면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사건 이후 게리맨더링 시도가 의도와 반대의 결과를 낳는 경우를 '툴리맨더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9] 이전에도 아일랜드에서는 1947년 피아나 페일 정부가 신생 정당 클란 나 포블라흐타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 3석 선거구를 늘리는 선거법 개정을 시도한 바 있으며, 이는 1948년 아일랜드 총선에서 클란 나 포블라흐타가 득표율에 비해 적은 의석을 얻는 결과로 이어졌다.[125]
- 벨케맨더링 (Bjelkemander):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에서 컨트리당 출신 주지사 존 벨케-피터슨 시절(1970년대-1980년대)에 시행된 극심한 선거구 불균형과 게리맨더링의 결합을 지칭하는 용어이다.[83] 이 제도는 원래 농촌 지역에 유리하게 설계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컨트리당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했다. 벨케-피터슨은 농촌 선거구의 유권자 수를 도시 선거구의 절반 수준으로 조정하고, 노동당 지지 지역을 소수의 선거구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선거구 획정을 조작했다. 이 결과 국민당은 득표율이 5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집권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986년 선거에서는 1순위 투표의 39.64%를 얻고도 전체 89석 의회에서 49석을 차지했지만, 41.35%를 얻은 노동당은 30석에 그쳤다.[84] 벨케-피터슨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한 시위 진압 등으로 경찰 국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결국 광범위한 부패 스캔들(피츠제럴드 조사)로 인해 불명예 퇴진했다.
- 플레이맨더 (Playmander):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서 토머스 플레이퍼드 4세 주총리 재임 기간(1938년~1965년) 동안 유지되었던 불균형적인 선거구 획정 시스템을 가리킨다. 이는 엄밀히 말해 선거구 모양을 기형적으로 조작하는 게리맨더링과는 차이가 있지만, 선거구 간 인구 불균형을 통해 특정 정당(플레이퍼드의 자유지방연맹)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유사한 문제점을 지닌다.[82]
참조
[1]
웹사이트
Gerrymandering Definition & Meaning -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2023-06-15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2008-04-03
[3]
웹사이트
The ReDistricting Game
https://web.archive.[...]
USC Annenberg's Media Center
2017-02-10
[4]
뉴스
In America, voters don't pick their politicians. Politicians pick their voters
https://www.theguard[...]
2014-10-09
[5]
웹사이트
Ask Cokie: Is Gerrymandering Rigging America's Political System?
https://www.npr.org/[...]
NPR Morning Edition
2017-10-11
[6]
서적
The Big Book of Beastly Mispronunciations
Houghton Mifflin
[7]
사전
Gerrymander
[8]
서적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Gerrymander
https://books.google[...]
Scott, Foresman and Co
[9]
논문
The Original Gerrymander
[10]
논문
Elkanah Tisdale: Designer, Engraver and Miniature Painter
[11]
기타
Original woodblocks for printing "Gerrymander" political cartoon
http://lccn.loc.gov/[...]
Library of Congress
[12]
논문
The Original Gerrymander
[13]
논문
The Original Gerrymander
[14]
사전
Gerrymander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Supreme Court rules on Marblehead 'gerrymandering' letter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The Looming Redistricting Reform; How will the Republican Party Fare?
http://www.politico.[...]
[17]
잡지
'Perrymander': Redistricting Map That Rick Perry Signed Has Texas Hispanics Up in Arms
http://www.nationalj[...]
2011-08-19
[18]
뉴스
Redistricting Journal: Showdown in Texas—reasons and implications for the House, and Hispanic vote
https://www.cbsnews.[...]
2011-09-21
[19]
서적
Conor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Press – MQUP
1994
[20]
논문
The Thickest Thicket: Partisan Gerrymandering and Judicial Regulation of Politics
1987
[21]
웹사이트
Redistricting, a Devil's Dictionary
https://www.propubli[...]
ProPublica
2011-11-02
[22]
뉴스
Packing and cracking: The Supreme Court takes up partisan gerrymandering
https://www.yahoo.co[...]
[23]
뉴스
A Deeper Look at Gerrymandering
https://web.archive.[...]
2017-08-01
[24]
뉴스
What is Gerrymandering and why does it matter?
http://culturalistpr[...]
[25]
백과사전
gerrymandering – politics
https://www.britanni[...]
2023-06-10
[26]
논문
Partisan Gerrymandering and the Efficiency Gap
[27]
잡지
Here's How We Can End Gerrymandering Once and for All
https://newrepublic.[...]
2014-07-02
[28]
뉴스
Judges Find Wisconsin Redistricting Unfairly Favored Republicans
https://www.nytimes.[...]
2016-11-21
[29]
논문
The Gerrymanderers Are Coming! Legislative Redistricting Won't Affect Competition or Polarization Much, No Matter Who Does It
2012-01
[30]
논문
Partisan Gerrymandering and the Voting Rights Act
2006-03
[31]
논문
Does Gerrymandering Cause Polarization?
https://web.archive.[...]
2009-07
[32]
뉴스
New Faces Set For California in the Capitol
https://www.nytimes.[...]
2012-02-14
[33]
웹사이트
Iowa's Redistricting Process: An Example of the Right Way to Draw Legislative
http://www.centrists[...]
Centrists.Org
2004-07-22
[34]
웹사이트
Redistricting Reform
http://www.brookings[...]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5-06-01
[35]
간행물
Let the Voters Choose
https://www.ced.org/[...]
2018-03-13
[36]
뉴스
Boehner and House Republicans Lack Mandate to Oppose Obama
https://whyy.org/art[...]
NewsWorks
2012-12-14
[37]
뉴스
The Great Gerrymander of 201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2-02
[38]
웹사이트
Redistricting in Michigan
http://ballotpedia.o[...]
[39]
서적
One Person, One Vote: A Surprising History of Gerrymandering in America
Pantheon Books
2022
[40]
Editorial
Prison-Based Gerrymandering
http://www.prisoners[...]
The New York Times
2006-05-20
[41]
웹사이트
New York Prison-Based Gerrymandering Bill – Policy
https://www.prisoner[...]
[42]
웹사이트
New York Prison-Based Gerrymandering Technical Amendment
https://www.prisoner[...]
[43]
웹사이트
Issue 4: Independent Redistricting Process – Ohio State Government
http://www.smartvote[...]
Smartvoter.org
[44]
논문
A partisan districting protocol with provably nonpartisan outcomes
2017-10-24
[45]
웹사이트
A new method of redistricting could solve gerrymandering
https://slate.com/ne[...]
Slate.com
2018-02-27
[46]
웹사이트
Study of GOP Maps Points to Politics
http://www.dispatch.[...]
Dispatch.com
2011-12-13
[47]
뉴스
Behind Closed Doors: GOP and Dems Alike Cloaked Redistricting in Secrecy
http://openchannel.n[...]
NBC News
2012-11-01
[48]
웹사이트
Redistricting Transparency Act of 2010 (2010; 111th Congress H.R. 4918) – GovTrack.us
http://www.govtrack.[...]
[49]
웹사이트
Redistricting Transparency Act of 2011 (2011; 112th Congress H.R. 419) – GovTrack.us
http://www.govtrack.[...]
[50]
웹사이트
Redistricting Transparency Act of 2013 (2013; 113th Congress H.R. 337) – GovTrack.us
http://www.govtrack.[...]
[51]
논문
Various arguments on Single Transferable Voting systems and minority representation
[52]
웹사이트
Voter Turnout Rat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www.idea.int/[...]
[53]
서적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http://archive.org/d[...]
Methuen
1964
[54]
웹사이트
U.S. Elections Project: Alabama Redistricting Summary
http://elections.gmu[...]
Dept.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George Mason University
[55]
판례
Reynolds v. Sims
wikisource:Reynolds [...]
[56]
웹사이트
Hating Gerrymandering Is Easy. Fixing It Is Harder.
https://fivethirtyei[...]
2018-01-25
[57]
웹사이트
Gerrymandering and a cure—shortest splitline algorithm
http://www.RangeVoti[...]
RangeVoting.org
[58]
웹사이트
RangeVoting.org – Center for Range Voting – front page
https://www.rangevot[...]
[59]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rangevoti[...]
[60]
웹사이트
Splitline districtings of all 50 states + DC + PR
http://www.RangeVoti[...]
RangeVoting.org
[61]
저널
Flagrant Gerrymandering: Help from the Isoperimetric Theorem?
https://archive.siam[...]
2007-11
[62]
잡지
Here's How We Can End Gerrymandering Once and for All
https://newrepublic.[...]
2014-07-03
[63]
저널
An Impossibility Theorem for Gerrymandering
[64]
웹사이트
You can't tell a gerrymandered district by its shape
https://news.osu.edu[...]
Ohio State University
2017-10-25
[65]
웹사이트
When Math Gets Impossibly Hard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20-09-14
[66]
웹사이트
Dave Bradlee
http://gardow.com/da[...]
[67]
뉴스
The Great Gerrymander of 2012
https://www.nytimes.[...]
2013-02-02
[68]
웹사이트
Technology allows citizens to be part of redistricting process
https://usatoday30.u[...]
[69]
Working Paper
A new automated redistricting simulator using markov chain monte carlo
https://imai.fas.har[...]
2015
[70]
웹사이트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are more prone to gerrymandering than proportional systems
http://www.democrati[...]
2016-06-01
[71]
웹사이트
Is Gerrymandering to Blame for Our Polarized Politics?
https://daily.jstor.[...]
2018-03-19
[72]
웹사이트
Solving the Problem of Partisan Gerrymandering
https://www.conferen[...]
CED
2019-05-15
[73]
웹사이트
The real fix for gerrymandering i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https://www.vox.com/[...]
2017-10-11
[74]
서적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A Definition and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2-06
[75]
백과사전
gerrymandering {{!}} politics
https://www.britanni[...]
2017-05-27
[76]
잡지
The Twisted History of Gerrymandering in American Politics
https://www.theatlan[...]
2017-05-27
[77]
서적
One Person, One Vote: A Surprising History of Gerrymandering in America
Pantheon Books
2022
[78]
학술지
Senate Apportionment as a Source of Political Inequality
https://www.jstor.or[...]
2006
[79]
웹사이트
How do other countries handle redistricting?
https://www.vox.com/[...]
2014-04-15
[80]
웹사이트
The Electoral System in Israel
https://knesset.gov.[...]
2018-10-08
[81]
학술지
"Malapportionment"—Australian style
https://www.tandfonl[...]
1968
[82]
서적
Playford's South Australia: Essays on the History of South Australia, 1933–1968
Association of Professional Historians
[83]
학술지
Electoral Malapportionment: Partisanship, Rhetoric and Reform in the Shadow of the Agrarian Strong-Man
[84]
웹사이트
Parliament of Queensland, Assembly election, 1 November 1986
http://elections.uwa[...]
2013-07-17
[85]
웹사이트
WA government uses majority to introduce sweeping changes to electoral system
https://amp.abc.net.[...]
2024-10-22
[86]
웹사이트
Comment: Why Clover Moore is better at politics than everyone else
https://www.sbs.com.[...]
[87]
웹사이트
Clover Moore's power under threat after more than 20,000 'business' voters enrolled
https://www.smh.com.[...]
2016-08-08
[88]
서적
Elections in the Americas : a data handbook
[89]
서적
Race and politics in the Bahamas
St. Martin's Press
1981
[90]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s 1962 - UBP Wax Lyrical About Losing - Winning Came As A Surprise
https://bahamianolog[...]
2022-12-07
[91]
웹사이트
How Canada ended gerrymandering
https://www.vox.com/[...]
2021-04-08
[92]
학술지
Redistricting: What the United States Can Learn from Canada
2004-09
[93]
서적
The Turner Thesis and the Canadian West: A Closer Look at the Ranching Frontier
University of Alberta Press
[94]
서적
The failure of civic reform movements in Winnipeg civic elections : 1971-1992
Institute of Urban Studies
1995
[95]
뉴스
No Christmas election: Binns
https://www.cbc.ca/n[...]
2006-11-16
[96]
웹사이트
Ley-18700 06-May-1988 Ministerio del Interior
http://www.leychile.[...]
Leychile.cl
2010-12-19
[97]
웹사이트
Ley-18799 26-May-1989 Ministerio del Interior
http://www.leychile.[...]
Leychile.cl
2010-12-19
[98]
웹사이트
Documento de trabajo. Programa FLACSO-Chile. Número 428, septiembre 1989
http://flacsochile.o[...]
FLACSO Chile Biblioteca
[99]
학술지
Representación y tamaño de los distritos electorales en Chile, 1988-2002
2005
[100]
학술지
Territoriality and Citizenship: Membership and Sub-State Polities in Post-Yugoslav Space
http://dx.doi.org/10[...]
2015
[101]
학술지
Srpska oblast Istočna Slavonija, Baranja i Zapadni Srijem – od "Oluje" do dovršetka mirne reintegracije hrvatskog Podunavlja (prvi dio)
https://hrcak.srce.h[...]
2011
[102]
학술지
When EU Political Convergence Fails in New Member States: Corporate and Party State Capture in Croatia and the Czech Republic
https://doi.org/10.1[...]
2021
[103]
웹사이트
Ustavni sud odbio ocijeniti ustavnost Zakona o izbornim jedinicama
https://www.jutarnji[...]
Jutarnji list
2022-11-26
[104]
웹사이트
N1 doznaje: Ne ispuni li se jedan uvjet, Ustavni sud može i zabraniti izbore
https://n1info.hr/vi[...]
N1 (TV channel)
2022-11-26
[105]
웹사이트
Miroslav Šeparović upozorava: Nezamislivo je da idemo na izbore bez promjene izbornih jedinica! To će biti neustavno
https://www.vecernji[...]
Večernji list
2022-11-26
[106]
웹사이트
Reforma de Municipios en El Salvador Crea Fricciones
https://www.prensa-l[...]
2023-01-04
[107]
웹사이트
Reducción de Municipios Debe Ser con Base en Censo, Señala VAMOS
https://www.elsalvad[...]
2022-01-04
[108]
웹사이트
Intención de Bukele de Reducir Municipios es para Concentrar Más Poder, Afirman Expertos
https://www.elsalvad[...]
2023-01-03
[109]
웹사이트
Reducir Municipios Generaría un Efecto para Deteriorar las Elecciones Municipales, Reitera Acción Ciudadana
https://www.elsalvad[...]
2023-01-05
[110]
웹사이트
Oficialismo Evalúa Proponer Reducción en el Número de los Municipios y Diputados
https://www.laprensa[...]
2023-02-21
[111]
서적
Découpage électoral
Pour la science
2002
[112]
웹사이트
Quand la politique découpe la géographie • 21Maps
http://21maps.com/qu[...]
2018-03-15
[113]
웹사이트
Emmanuel Macron's gamble on New Caledonia's crisis
https://www.rnz.co.n[...]
2024-05-28
[114]
웹사이트
Tjibaou and Metzdorf win New Caledonia's seats in French National Assembly
https://islandsbusin[...]
2024-07-08
[115]
웹사이트
Overhang mandates –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https://www.bundeswa[...]
Statistisches Bundesamt
[116]
웹사이트
www.eleftheria.gr
https://www.elefther[...]
2007-05-22
[117]
논문
Electoral Systems in Greece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1994
[118]
웹사이트
Functional Representation in Hong Kong: Problems and Possibilities by Rowena y. F. Kwok, Elaine y. M. Chan
https://www.questia.[...]
[119]
논문
Gerrymandering in Electoral Autocracies: Evidence from Hong Kong
[120]
웹사이트
Index – Belföld – Így lesz jobboldali Magyarország
http://index.hu/belf[...]
Index.hu
2011-11-28
[121]
웹사이트
Gerrymandering Fidesz' way to re-election?
https://www.policyso[...]
[122]
웹사이트
Index – Belföld – Elfogadták az új választójogi törvényt
http://index.hu/belf[...]
Index.hu
2011-12-23
[123]
웹사이트
Fellebbez a Political Capital a választókerületi aránytalanságok miatt | Közélet | Világgazdaság Online
http://www.vg.hu/koz[...]
Vg.hu
[124]
뉴스
A wild gerrymander makes Hungary’s Fidesz party hard to dislodge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2-04-02
[125]
서적
De Valera: Long Fellow, Long Shadow
Hutchinson
1993
[126]
뉴스
Forbes India Investigation: India's most gerrymandered constituencies
https://www.forbesin[...]
2019
[127]
논문
Gerrymandering Hypothesis in the Italian Constituencies: the Case of Genoa's District
http://opo.iisj.net/[...]
2019-03-07
[128]
웹사이트
The Changing Nature of the Parliamentary System in Kuwait
http://www.asafas.ky[...]
[129]
뉴스
Kuwait: Political crisis at critical juncture
https://www.bbc.com/[...]
BBC
[130]
웹사이트
Zmiany granic okręgów wyborczych dotkną polską mniejszość narodową
https://kurierwilens[...]
2023-12-06
[131]
웹사이트
Lietuvos Respublikos Seimo rinkimų apygardų ribų žemėlapis
https://vrk.maps.arc[...]
[132]
웹사이트
2024 M. SEIMO RINKIMAI VIENMANDAČIŲ RINKIMŲ APYGARDŲ RIBŲ POKYČIAI (PRIIMTAS SPRENDIMAS)
https://www.vrk.lt/d[...]
2023-11-30
[133]
뉴스
What's Malay for gerrymandering?
https://www.economis[...]
2014-08-09
[134]
웹사이트
Malaysia among the most malapportioned countries in the world
https://dapmalaysia.[...]
2013-07-19
[135]
뉴스
In a historic election, Malaysia's allegedly corrupt prime minister lost to his 92-year-old former mentor who ran on behalf of a man he put in jail
https://www.business[...]
2018-05-10
[136]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Nomos
[137]
뉴스
Why is Nepal's new constitution controversial?
https://www.bbc.com/[...]
2015-09-19
[138]
웹사이트
'Gerrymandering' warned
https://kathmandupos[...]
2017-08-04
[139]
웹사이트
Necessity or gerrymandering? From the Nepali Press Nepali Times
https://archive.nepa[...]
2017-06-01
[140]
뉴스
Noynoy hits creation of Camarines Sur district for Dato
http://www.philstar.[...]
2010-03-18
[141]
뉴스
Supreme Court ruling on Camsur clears Senate
http://www.philstar.[...]
2013-07-30
[142]
뉴스
Senate fails to pass Nueva Camarines measure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2013-07-30
[143]
웹사이트
'More detailed explanation needed to fend off gerrymandering claims'
https://www.todayonl[...]
2024-10-22
[144]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Office, Our Departments
https://web.archive.[...]
2008-06-07
[145]
서적
Electoral Engineering: Voting Rules and Political Behavio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46]
뉴스
Insight: GRCs: 20 years on
https://wpsn.wordpre[...]
2015-08-08
[147]
서적
South Africa : the rise and fall of apartheid
2016
[148]
웹사이트
Book 4: Industrialisation, Rural Change and Nationalism - Chapter 3 - Afrikaner Nationalism in the 1930s and 1940s by Albert Grundlingh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1-11-08
[149]
서적
Modernización política y elecciones generales en Murcia durante el reinado de Alfonso XIII (1903-1923)
Real Academia Alfonso X el Sabio
1991
[150]
서적
Les eleccions generals a Catalunya de 1901 a 1923
http://www.fbofill.c[...]
Fundació Jaume Bofill
1982
[151]
서적
Constitution of Spain in English
http://www.congreso.[...]
Government of Spain
1978
[152]
웹사이트
Ley Orgánica 5/1985, de 19 de junio, del Régimen Electoral General - Título II (Disposiciones especiales para la elección de diputados y senadores)
https://www.juntaele[...]
Junta Electoral Central
2022-10-04
[153]
웹사이트
How does a Spanish general election work?
https://www.elnacion[...]
El Nacional
2023-07-23
[154]
웹사이트
Ley Orgánica 5/1985, de 19 de junio, del Régimen Electoral General - Título III (Disposiciones especiales para las elecciones municipales)
https://www.juntaele[...]
Junta Electoral Central
2022-10-04
[155]
웹사이트
Ley Orgánica 5/1985, de 19 de junio, del Régimen Electoral General - Título VI (Disposiciones especiales para las elecciones al Parlamento Europeo)
https://www.juntaele[...]
Junta Electoral Central
2022-10-04
[156]
웹사이트
¿Cómo se dice "gerrymandering" en español?
https://ethnicmedias[...]
Ethnic Media Services
2021-07-14
[157]
웹사이트
The Island
https://web.archive.[...]
[158]
웹사이트
Ward Map of Vavuniya South (Sinhala) Pradeshiya Sabha – Vavuniya District
https://web.archive.[...]
[159]
웹사이트
Ward Map of Vavuniya South (Tamil) Pradeshiya Sabha – Vavuniya District
https://web.archive.[...]
[160]
웹사이트
Rift Valley Report
https://web.archive.[...]
[161]
뉴스
AKP redraws Turkey despite opposition ire
http://www.hurriyetd[...]
2012
[162]
웹사이트
Northern Ireland House of Commons, 1921–1972
http://www.ark.ac.uk[...]
Ark.ac.uk
[163]
서적
The state in Northern Ireland, 1921–72 : political forces and social classe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64]
서적
Irish Political Prisoners 1920–1962: Pilgrimage of Desol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65]
서적
The Irish Revolution 1912-23: Tyrone
Four Courts Press
[166]
서적
Local Government in Ireland: Inside Out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167]
뉴스
The North in crisis-The realities of discrimination
https://magill.ie/ar[...]
1969-09-01
[168]
웹사이트
Gerrymandering electoral boundaries An Phoblacht
https://www.anphobla[...]
[169]
서적
The Resurrection of Ireland: The Sinn Féin Party, 1916–192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0]
웹사이트
CAIN: Issues – Discrimination: John Whyte, 'How much discrimination was there under the Unionist regime, 1921–1968?'
https://web.archive.[...]
Cain.ulst.ac.uk
[171]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Ireland 1900–2000
Profile Press
[172]
웹사이트
The Case for Home Rule
http://www.ucc.ie/ce[...]
2010-08
[173]
뉴스
Gerrymandering in Londonderry in the late 1960s
https://www.bbc.co.u[...]
BBC Bitesize
1981-02-17
[174]
서적
The Mutilation of a Nation : The Story behind Partition in Ireland
https://jstor.org/st[...]
The Derry Journal Ltd
2023-07-24
[175]
뉴스
Q&A: Boundary changes
https://www.bbc.co.u[...]
BBC
2013-01-29
[176]
뉴스
Election 2010 Results
http://news.bbc.co.u[...]
BBC
2010-05-06
[177]
웹사이트
Map of the United States in 1860
http://www.lib.utexa[...]
[178]
웹사이트
LaRose would 'be fine with' chief justice's impeachment over redistricting rulings
https://ohiocapitalj[...]
2023-05-23
[179]
뉴스
Republican Party Politics (Part II)
https://web.archive.[...]
WCPO
2002-04-29
[180]
뉴스
In Virginia, an incumbent protection plan
https://www.washingt[...]
2013-09-29
[181]
웹사이트
Washington State Redistricting Commission
http://www.redistric[...]
Redistricting.wa.gov
[182]
웹사이트
Arizona Independent Redistricting Commission
http://www.azredistr[...]
Azredistricting.org
[183]
법률
California Proposition 11 (2008) and Proposition 20 (2010)
[184]
웹사이트
How Democrats Fooled California's Redistricting Commission — ProPublica
https://www.propubli[...]
2011-12-21
[185]
웹사이트
Rhode Island Reapportionment Commission
https://web.archive.[...]
[186]
웹사이트
New Jersey Redistricting Commission
[187]
웹사이트
Election 2010: Palm Beach County & Florida Voting, Candidates, Endorsements | The Palm Beach Post
https://web.archive.[...]
Projects.palmbeachpost.com
[188]
웹사이트
XI
http://www.osce.org/[...]
[189]
웹사이트
US supreme court declines to block partisan gerrymandering
http://www.theguardi[...]
2019-06-27
[190]
뉴스
The WP: Parliament election was an unmistakable rebuff to Chávez
http://www.elunivers[...]
2010-10-01
[191]
학술지
Racial Jurymandering: Cancer or Cure – A Contemporary Review of Affirmative Action in Jury Selection
http://heinonlinebac[...]
[192]
학술지
Critical Evaluations of Hispanic Participation on the Grand Jury: Key-Man Selection, Jurymandering Language, and Representative Quotas
http://heinonlinebac[...]
[193]
웹사이트
gerrymander verb
http://www.oxfordlea[...]
Oxford University Press
[194]
뉴스
『ゲリマンダー』変えた若者 米中西部ミネソタ州 FB投稿→署名で住民投票→独立委が選挙区割り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2-05-06
[195]
서적
No Uncertain Terms: More Writing from the Popular "On Language" Column in The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96]
뉴스
悪習横行、憤る市民 分割され焼失・いびつな選挙区 民主も共和も 米『ゲリマンダー』
朝日新聞社
2021-12-26
[197]
뉴스
『区割りは政治問題』連邦最高裁が初判断 州議会選挙 共和党有利に?
中日新聞社
2019-06-29
[198]
법률
参議院合同選挙区
[199]
법률
地方自治体の条例
[200]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121回国会 本会議 第8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1]
뉴스
参院6増案、与党押し切る 野党『身を切る改革に逆行』
https://web.archive.[...]
中日新聞東京本社
2018-07-12
[202]
뉴스
定数増、理解得られる?=自民、独り善がりの参院6増案-ニュースを探るQ&A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8-06-17
[203]
뉴스
参院定数『6増』案が可決 今国会で成立の見通し
http://news.tv-asahi[...]
テレビ朝日
2018-07-12
[204]
웹사이트
창원 반송동·용지동 행정구역 조정하라
https://www.knnews.c[...]
2011-02-15
[205]
웹사이트
헌법재판소 1995. 12. 27. 선고 95헌마224·239·285·373 全員裁判部 [公職選擧및選擧不正防止法[別表1]의「國會議員地域選擧區區域表」違憲確認] [헌집7-2, 760]
https://casenote.kr/[...]
케이스노트
[206]
서적
日本比較政治学会年報
ミネルヴァ書房
2017-06
[207]
법률
헌법재판소 2014.10.30. 2012헌마192 등 선고
[208]
지도
옥천군, 보은군, 영동군 위치를 볼 수 있는 구글 지도
http://maps.google.c[...]
[209]
법률
95헌마224등 선고
1995-12-27
[210]
법률
헌법재판소 2001. 10. 25. 2000 92 선고
[211]
법률
96헌마5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에놀라 게이와 천안문 망루 [코즈모폴리턴]
선거구 조작에서 군 투입까지…미국은 파시즘 전야?
[Correspondent’s column] Gerrymandering and the state of America to come
게리맨더링이 빚을 암울한 미국의 미래 [특파원 칼럼]
“이건 전쟁”…미 전역으로 번지는 ‘게리맨더링’ 대전
美 후진적 게리맨더링 전쟁...공화-민주 텃밭 사수 올인
‘전투적 민주주의’가 필요한 때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