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 단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제 단말기는 신용카드, IC 카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초기에는 수동 임프린터를 사용하여 신용 카드 정보를 종이 슬립에 기록했지만, 1979년 비자가 전자 데이터 캡처 단말기를 도입하면서 전자 결제가 시작되었다. 이후 베리폰, 하이퍼콤, 립만, 인제니코 등의 회사들이 결제 단말기 시장을 주도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스마트 카드와 비접촉 결제가 도입되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CAT)와 CAFIS 네트워크가 등장하면서 신용카드 결제가 본격화되었고, 이후 기술 발전을 통해 결제 속도가 향상되었다. 결제 단말기는 마그네틱, IC, 비접촉 방식의 카드 결제, 팁 처리, 환불, 정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잉제니코, PAX 테크놀로지, 베리폰 등이 주요 제조사이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PC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기반 결제, QR 코드 결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등 다양한 대안이 존재한다.
결제 단말기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양한 전자 결제 수단을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장치이다. 과거 신용카드 결제는 인쇄기를 이용해 카드 정보를 복사하고 서명을 받아 카드 매입사로 우편 발송하는 번거로운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위조 카드 판별이 어렵고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12]
2. 역사
결제 단말기가 개발되기 전, 상점에서는 수동 임프린터(일명 ZipZap 기계)를 사용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탄소 복사지가 덧대어진 종이 전표에 기록했다. 이 방식은 전표를 직접 은행으로 가져가 처리해야 했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POS(Point of Sale) 단말기는 1979년 비자(Visa)가 최초의 전자 데이터 캡처(EDC) 단말기를 도입하면서 등장했다. 같은 해, 카드 뒷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추가되면서 카드 정보를 전자적으로 읽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는 현대적인 결제 단말기 개발의 시발점이 되었다.
결제 단말기 전문 제조사들도 속속 등장했다. 베리폰(Verifone)은 1981년 하와이에서 설립되어 1983년 ZON 단말기 시리즈를 출시하며 시장의 표준을 만들어나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헝가리 출신 조지 월너(George Wallner)가 1978년 하이퍼콤(Hypercom)을 설립하고 1982년부터 단말기 생산을 시작했다. 하이퍼콤은 오세아니아 시장을 장악하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와의 계약을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며 베리폰과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5] 1994년에는 이스라엘에서 립만 일렉트로닉 엔지니어링이 설립되어 Nurit 라인을 선보였으며, 특히 1990년대 후반 무선 결제 단말기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다. 베리폰은 이후 2006년 립만을, 2011년 하이퍼콤의 결제 사업 부문을 인수하며 시장 지배력을 강화했다.
유럽에서는 1980년 프랑스에서 인제니코(Ingenico)가 설립되어 1984년 첫 단말기를 개발했다. 인제니코는 그룹 불, 드 라 루의 결제 단말기 사업부, 독일 Epos 등을 인수하며 유럽 시장의 강자로 부상했다.[6]
일본에서는 1980년대 초, 여러 카드사의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인 CAFIS와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CAT)가 등장하여 카드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결제 보안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는 버블 경제 시기와 맞물려 신용카드 결제 인프라 확산에 기여했다.
기술 발전도 계속되었다. 초기 단말기는 카드 뒷면의 마그네틱 스트립을 긁어 정보를 읽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보안 강화를 위해 전자 칩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가 도입되어 단말기에 카드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비슷한 시기에 비접촉 결제 시스템도 등장하여,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술이 탑재되기 시작했다.
2. 1. 초기 결제 방식 (수동 임프린터)
결제 단말기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상인들이 수동 임프린터(일명 '찍찍이' 또는 ZipZap 기계)를 사용하여 결제를 처리했다. 이 방식은 신용카드 표면에 엠보싱 처리된 카드 번호, 유효 기간, 고객 이름 등의 정보를 탄소 복사지가 덧대어진 다중 용지 전표에 압인하는 형태였다.[12]
상점 주인은 수동 임프린터에 신용카드와 매출 전표 용지를 넣고 손잡이를 밀어 카드 정보를 전표에 찍었다. 이후 금액과 고객의 서명을 받아 전표를 완성했다. 이렇게 작성된 종이 전표는 상점에서 모아두었다가 주기적으로 은행이나 신용카드 처리 회사(어콰이어러)로 보내 결제 대금을 정산받았다.
이 수동 방식은 여러 단점이 있었다. 우선 전표를 직접 은행이나 카드 회사로 보내야 했기 때문에 결제 처리 및 정산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 또한, 위조되거나 도난된 카드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어 고액 거래 시에는 일일이 전화로 승인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의 불편함과 시간 소요는 POS 단말기와 같은 전자식 결제 시스템 개발의 배경이 되었다.
2. 2. 전자 결제 단말기의 등장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결제 단말기가 개발되기 전, 상점에서는 주로 수동 임프린터(일명 ZipZap 기계)를 사용했다. 이 기계는 신용카드 표면에 양각으로 새겨진 정보를 탄소 복사 용지에 찍어내는 방식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종이 전표는 처리를 위해 은행으로 보내야 했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이었다.[12]
본격적인 전자 결제 단말기는 1979년 비자(Visa)가 처음으로 부피가 큰 전자 데이터 캡처(EDC, Electronic Data Capture) 단말기를 선보이면서 등장했다. 같은 해, 신용카드 뒷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도입되면서 카드 정보를 전자적으로 읽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는 현대적인 결제 단말기 개발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 초,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와 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인 CAFIS가 등장하기 전까지 비슷한 수동 방식을 사용했다. 점원이 수동 인쇄기로 카드 정보(엠보싱)를 복사 전표에 찍고, 금액과 서명을 받아 카드 회사(어콰이어러)로 우편 발송하는 방식이었다.[12] 이 방식은 위조 카드 사용을 즉시 확인하기 어려웠고(고액 거래 시 전화 승인 필요), 시간이 오래 걸려 주로 백화점 등 일부에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여러 카드 발행사(이슈어)의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하는 CAFIS가 등장하면서 카드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보안과 편의성을 크게 높였고, 버블 경제 시기의 소비 확대와 맞물려 신용카드 결제 인프라 확산에 기여했다. 초기 CAT 단말기는 내장된 모뎀을 이용해 일반 가입 전화망으로 다이얼 업 접속을 했기 때문에 신용 조회에 2분 가까이 소요되기도 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결제 단말기 전문 기업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베리폰(Verifone)은 1981년 하와이에서 작은 전자 회사로 출발하여, 1983년 ZON 단말기 시리즈를 출시하며 현대적인 결제 단말기의 표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는 헝가리 출신 조지 월너(George Wallner)가 1978년 하이퍼콤(Hypercom)을 설립하고, 1982년부터 결제 전용 단말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하이퍼콤은 빠르게 성장하여 오세아니아 지역 시장을 장악했으며, 이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와 계약을 맺고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본사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미국 애리조나로 이전했으며, 이는 기존 강자였던 베리폰과의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하는 것이었다.[5]
유럽에서는 1980년 프랑스에서 장 자크 푸트렐(Jean-Jacques Poutrel)과 미셸 말루이트르(Michel Malhouitre)가 인제니코(Ingenico)를 설립했다. 인제니코는 1984년 첫 결제 단말기를 개발했으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연구 개발 부서는 이후 10년간 단말기 기술 개발을 이끌었다.
2. 3. 스마트 카드와 비접촉 결제의 도입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초기 결제 단말기는 카드의 뒷면에 있는 마그네틱 스트립에서 정보를 읽는 방식이었다. 카드를 단말기에 긁어서 정보를 캡처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는 보안 강화를 위해 카드에 전자 칩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스마트 카드는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와 달리 단말기에 카드를 삽입하여 정보를 읽는 방식이었다.
이어서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비접촉 결제 시스템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결제 단말기도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술을 탑재하여 비접촉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기능이 업데이트되었다.
2. 4. 한국에서의 결제 단말기 발전
1980년대 초 신용카드 결제가 도입되었을 초기에는 가맹점에서 인쇄기 형태의 기기에 신용카드와 복사식 매출 전표를 넣고 카드 표면의 엠보싱된 정보를 전표에 찍어 기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12] 고객의 서명을 받은 전표는 가맹점에서 모아 카드 회사(어콰이어러)로 우편 발송해야 했다. 이 방식은 위조 카드나 도난 카드 등 부정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웠고, 고액 거래 시 전화 승인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처리 시간이 오래 걸려 주로 백화점 등 고가 상품을 취급하는 곳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신용카드 정보를 온라인으로 조회하여 유효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신용 조회 단말기(CAT)와 이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망이 등장하면서 결제 환경이 크게 변화했다. CAT 단말기는 카드 결제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이는 신용카드 가맹점이 급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서점, 음식점, 미용실과 같은 전문점은 물론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 다양한 가맹점으로 신용카드 결제가 확대되면서 CAT 단말기는 필수적인 인프라스트럭처로 자리 잡았다.
초기 CAT 단말기는 내장된 모뎀을 이용한 다이얼 업 접속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신용 조회에 2분 가까이 소요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전용선이나 ISDN 회선이 도입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ADSL이나 광섬유를 이용한 광대역 인터넷 연결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결제 처리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가맹점의 운영 효율성 증대에 기여했다.
백화점, 쇼핑센터, 편의점, 슈퍼마켓, 가전 양판점 등 대형 유통 매장에서는 별도의 CAT 단말기 대신 POS 시스템에 신용카드 결제 기능이 통합된 경우가 많다. POS 시스템 내에 카드 결제 처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상품 계산 시 카드 리더에 카드를 읽히고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승인 처리가 이루어진다. 승인된 정보는 POS 시스템에 기록되고, 상품 영수증과 함께 카드 매출 전표가 출력되는 방식이다. 이는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승인 응답 속도가 빠르고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2000년대 초반에는 구형 단말기를 스키밍하여 카드 정보를 불법 복제하는 범죄가 발생하기도 했다.[13][14]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단말기 분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봉인 씰' 부착 등의 보안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IC 카드 도입이 추진되었다. IC 카드는 기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방식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며, 서명 대신 비밀번호(PIN)를 입력하여 본인 인증을 하는 방식이 확산되었다.
보안 강화를 위해 2020년 3월까지 매장 결제 단말기의 IC 카드 처리 기능 탑재가 의무화되었다.[15] 이에 따라 기존 POS 시스템에 IC 카드 리더를 추가로 연결하거나, IC 카드 처리 기능이 내장된 새로운 결제 단말기(CCT, Credit Card Terminal)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편의점과 같이 자체 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 IC 결제 기능이 통합된 전용 POS 단말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IC 카드 결제 외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QR 코드 결제,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술을 활용한 터치 결제(비접촉 결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이 등장하며 결제 단말기 시장은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16][17] 이에 따라 IC, 마그네틱, 터치 결제를 모두 지원하는 통합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3. 주요 기능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1980년대 초 일본에서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와 네트워크망 CAFIS가 등장하면서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 CAT는 온라인 통신을 통해 카드의 유효성을 즉시 확인하여 결제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는 신용카드 가맹점과 이용의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 결제 단말기는 단순히 카드 정보를 읽는 것을 넘어, IC 카드 거래 시 개인 식별 번호(PIN) 입력이나 서명 확인을 통한 고객 인증,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비접촉 결제, 팁/봉사료 처리, 환불, 정산, POS 시스템과의 연동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처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촉각 버튼이나 이어폰 잭을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이기도 한다.[7][8]
3. 1. 기본 기능
결제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카드 결제 및 관련 업무를 처리한다. 주요 기본 기능은 다음과 같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와 유사하게, 많은 결제 단말기에는 시각 장애인이 소리를 통해 결제 과정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돌출된 촉각 버튼과 이어폰 잭이 마련되어 있다.[7][8]
3. 2. 추가 기능
현금 자동 입출금기와 마찬가지로 많은 결제 단말기에는 시각 장애인이 소리로 결제 과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돌출된 촉각 버튼과 이어폰 잭이 장착되어 있다.[7]
4. 주요 제조사
결제 단말기 시장에는 전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여러 주요 제조사들이 있다.
4. 1. 글로벌 제조사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결제 단말기를 제공하고, 전 세계에 판매하며, 최신 국제 결제 산업 표준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3개의 주요 글로벌 제조사가 있다.[9]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나 금융 기관과 연동되도록 지원하고 미리 설정하는 다양한 유통 업체를 통해 가맹점에 단말기를 제공한다.- 인제니코(Ingenico)
- PAX 테크놀로지(PAX Technology)
- 베리폰(VeriFone)
4. 2. 한국 제조사 및 서비스
(내용 없음)5. 대안
전용 결제 단말기 하드웨어 대신, PC나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기반 방식 외에도, 전화 주문 등 카드가 실제로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가상 단말기[11]나, 스마트폰과 인쇄된 QR 코드를 이용하는 QR 코드 결제 시스템 등 다양한 대안이 존재한다.[10]
5. 1. 소프트웨어 기반 결제
가맹점은 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을 PC 또는 모바일 장치 (예: 스마트폰)에서 실행하여 전용 신용 카드 단말기 하드웨어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수락 응용 프로그램은 탭투폰 또는 소프트웨어 POS라고도 불린다.일반적으로 카드 리더와 함께 작동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며, 스마트 카드(예: EMV 기술 사용)와 작동하는 일부 제품도 있지만 스마트폰 리더에서는 드물다. 필요한 하드웨어가 없다면, 카드 번호 및 기타 데이터의 수동 입력을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더 많은 장치에서 추가 외부 하드웨어 없이 RFID 또는 NFC 기술을 내장하여 비접촉 결제나 모바일 결제 방식을 수용하기 시작했다.[10]
일부 결제 처리업체는 전화로 결제하는 경우처럼 카드가 실제로 없는 상태에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가상 단말기를 제공한다.[11]
QR 코드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결제 단말기 없이 스마트폰과 인쇄된 QR 코드에 의존한다.
5. 2. 모바일 결제 시스템
가맹점은 PC나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폰)에서 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용 신용 카드 단말기 하드웨어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수락 응용 프로그램은 탭투폰 또는 소프트웨어 POS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카드 리더와 함께 사용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일부는 스마트 카드(예: EMV 기술 사용)와도 연동된다. 다만, 스마트폰용 리더에서는 스마트 카드 지원이 드문 편이다. 필요한 하드웨어가 없는 경우, 카드 번호 및 기타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점차 많은 모바일 장치들이 추가 외부 하드웨어 없이 내장된 RFID나 NFC 기술을 통해 비접촉 결제나 모바일 결제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10]QR 코드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별도의 결제 단말기 없이 스마트폰과 인쇄된 QR 코드만을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6. 한국 신용카드 부정 사용 문제와 대응
2000년대 전후, 일부 유흥업소 등을 중심으로 구형 결제 단말기를 불법으로 분해하여 카드 정보를 빼돌리는 스키머 기능을 부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실제 사용된 신용카드 번호를 이용해 위조 카드를 만들고 부정하게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다.[13][14]
이러한 신용카드 부정 사용을 막기 위해, 모든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및 CCT(Credit Card Terminal) 단말기에는 기기를 함부로 분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 씰"을 부착하게 되었다. 봉인 씰이 훼손된 단말기는 조작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보안 강화를 위해 2020년 3월까지 매장에서 사용하는 결제 단말기에 IC 카드 결제 기능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하는 조치가 발표되었다. 이는 기존의 마그네틱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은 IC 칩 방식의 결제를 활성화하여 카드 복제 및 부정 사용 위험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sk Barclaycard a question
https://ask.barclayc[...]
2017-09-28
[2]
웹사이트
Ingenico Group – Expertise – Pay-at-the-Table
https://ingenico.us/[...]
2017-09-13
[3]
웹사이트
A First Look at the Target Intrusion, Malware – Krebs on Security
https://krebsonsecur[...]
2014-01-16
[4]
웹사이트
ATM 'Shimmers' Target Chip-Based Cards — Krebs on Security
https://krebsonsecur[...]
2017-01-27
[5]
웹사이트
Hypercom Corporation History
http://www.fundingun[...]
Funding Universe
[6]
웹사이트
Ingenico – Our history
https://www.ingenico[...]
[7]
웹사이트
iSC Touch 480
https://ingenico.us/[...]
2017-09-13
[8]
웹사이트
Talking ATM Overview – Wells Fargo
https://www.wellsfar[...]
2017-09-13
[9]
웹사이트
How the Top 3 Card Machine Manufacturers are Redefining the Payment Industry
https://www.expertsu[...]
ExpertSure
[10]
웹사이트
App turns Google Nexus phone into payment tool
http://www.cnet.com/[...]
CNET
2011-03-24
[11]
웹사이트
MX 915
https://www.verifone[...]
2017-09-13
[12]
웹사이트
最先端テクノロジーの活用
http://www.gpnetwork[...]
2011-02-16
[13]
웹사이트
大阪の風俗店、クレジット磁気情報転写しカード偽造
http://www.security-[...]
2011-02-17
[14]
웹사이트
都内の風俗店でカードを『スキミング』、客のデータを盗み取り
http://www.security-[...]
2011-02-17
[15]
웹사이트
最新決済トレンドを詰め込んだパナソニック新決済端末「JT-VT10」【鈴木淳也のPay Attention】
https://www.watch.im[...]
2022-08-02
[16]
웹사이트
JET-S端末「CT-6100 / PICT-6100」を発売(東芝テック/CARDNET) {{!}} ペイメントナビ
https://paymentnavi.[...]
2022-11-15
[17]
웹사이트
オムロンの「eZCATS-100C」、店舗の運用を考えた独自のノウハウとは? {{!}} ペイメントナビ
https://paymentnavi.[...]
2023-03-08
[18]
웹사이트
クレジットカード参考書
http://www.cardporta[...]
2011-02-17
[19]
웹사이트
NTTデータのカード決済総合ネットワーク「CAFIS®」小売業者向けに、ネットワーク型決済サーバを提供
http://www.nttdata.c[...]
2011-02-16
[20]
웹사이트
CAFIS - カード決済端末INFOX
http://solution.cafi[...]
2011-02-15
[21]
웹사이트
端末機器のご案内 - オンライン端末サービス
http://www.cardnet.c[...]
2011-02-15
[22]
웹사이트
カード決済サービス「INFOX®」サービス開始10周年 !
http://www.nttdata.c[...]
2011-02-16
[23]
웹사이트
モバイル端末iWL250が、JET−MOBILEとして日本カードネットワーク社より発売開始
http://ingenico.co.j[...]
2016-03-31
[24]
웹사이트
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事業の拡大をめざした事業会社の再編について
https://www.sii.co.j[...]
[25]
웹사이트
CREPiCO決済端末 {{!}} CREPiCO 決済サービス {{!}}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
http://www.seiko-sol[...]
[26]
웹사이트
イケア・ジャパン全店舗で決済端末導入実現(ネットアライブ)
https://www.paymentn[...]
2011-03-08
[27]
웹사이트
CAFIS Arch®
https://www.nttdata.[...]
[28]
웹사이트
CAFIS Arch | CAFIS
https://solution.caf[...]
[29]
웹사이트
サービス & クラウド {{!}} 寺岡精工 {{!}} クラウド型マルチ決済サービス
https://www.teraokas[...]
[30]
웹사이트
株式会社エム・ピー・ソリューション MP-Solution Inc.|サービス情報|KAZAPi概要
https://mp-solution.[...]
2017-05-12
[31]
웹사이트
1台でほとんどのキャッシュレス決済に対応する「PAYGATE Station」。ポイント対応も
https://www.watch.im[...]
2018-11-02
[32]
웹사이트
導入事業者を地区ナンバーワンへと押し上げたタクシー向けポイントサービスとは {{!}} ソリューション コラム {{!}} プラスチックカード・ICカード製造 株式会社ナテック[NATEC]
https://www.natec-ja[...]
[33]
웹사이트
マルチ決済端末機 MCS-TX01 – モバイル・コマース・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https://mcs-inc.co.j[...]
[34]
웹사이트
マルチ決済端末機
https://www.mcs-taxi[...]
[35]
웹사이트
JapanTaxi株式会社は4月1日(水)から「株式会社Mobility Technologies」へ 社名も新たにモビリティの進化を牽引 {{!}} JapanTaxi株式会社
https://japantaxi.co[...]
JapanTaxi株式会社
[36]
웹사이트
業界初・決済機付きタブレット新登場 2018年9月より全国展開
https://japantaxi.co[...]
2019-07-18
[37]
웹사이트
決済端末について
https://www.ana-dg.c[...]
2023-10-08
[38]
웹사이트
マルチ決済端末VEGA3000、1台でクレジットや電子マネー、QR決済などすべてに対応!|アイティフォー
https://www.itfor.co[...]
2023-10-08
[39]
웹사이트
金融機関向け、決済端末・キャッシュレス決済事業 導入支援サービス|アイティフォー
https://www.itfor.co[...]
2023-10-08
[40]
웹사이트
フライト、全ての決済に1台で対応 コンタクトレスEMV対応据置型マルチ決済装置「Incredist Trinity」を発表
https://prtimes.jp/m[...]
2019-11-01
[41]
웹사이트
三井住友カードの決済端末「stera terminal」が始動 店舗側のメリットは?
https://www.itmedia.[...]
2020-07-08
[42]
웹사이트
steraで実現する新しいキャッシュレス The Payment Platform. Stera|ご加盟店契約、アクワイアラーならクレジットカードの三井住友カード
https://www.smbc-car[...]
2020-07-08
[43]
웹사이트
三井住友カード、決済プラットフォーム「stera」にオールインワンモバイル決済端末「stera mobile」をラインナップに追加 {{!}} 最新情報
https://www.tm-nets.[...]
2024-06-04
[44]
웹사이트
stera mobile - オールインワンモバイル端末|stera(ステラ)|ご加盟店契約、アクワイアラーならクレジットカードの三井住友カード
https://www.smbc-car[...]
2023-08-09
[45]
웹사이트
PayCAS(ペイキャス)|カード・電子マネー・QR決済をカンタン・スムーズに導入
https://www.paycas.j[...]
2024-06-04
[46]
웹사이트
PayCAS Terminal|キャッシュレス決済で 店舗運営がもっと楽に・便利に
https://www.paycas.j[...]
2024-06-04
[47]
웹사이트
PayCAS Mobile(ペイキャスモバイル)|モバイル型オールインワン端末
https://www.paycas.j[...]
2024-06-04
[48]
웹사이트
モバイルペイメント対応マルチ決済端末 FP-1
https://www.technoho[...]
2021-08-29
[49]
웹사이트
「キャッシュレスtech」レポート — そこはマルチ決済端末の宝庫だった!
https://pipitchoice.[...]
2019-02-22
[50]
웹사이트
業務用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 TM-P1000
https://www.technoho[...]
2021-08-29
[51]
웹사이트
モバイルクレジット決済端末機「TM-P1000」 {{!}} 決済代行のゼウス
https://www.cardserv[...]
2023-10-03
[52]
웹사이트
日本ポステック株式会社合併のお知らせ {{!}}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代行のアナザーレーン
https://www.alij.ne.[...]
2023-10-08
[53]
웹사이트
CAT端末決済サービスの導入 {{!}}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代行のアナザーレーン
https://www.alij.ne.[...]
2024-06-04
[54]
웹사이트
継続課金決済を導入したい {{!}}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代行のアナザーレーン
https://www.alij.ne.[...]
2024-06-04
[55]
웹사이트
C→REX
http://www.jtb.co.jp[...]
2011-02-15
[56]
웹사이트
カード端末サービス
http://www.gpnetwork[...]
2011-02-16
[57]
웹사이트
J-Mups {{!}} クラウド型マルチ決済システム
https://j-mups.com/#[...]
2023-10-08
[58]
웹사이트
日本ポステック株式会社
http://pos.pos-tec.j[...]
2019-07-12
[59]
웹사이트
CAT端末決済サービスの導入 {{!}}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代行のアナザーレーン
https://www.alij.ne.[...]
2023-10-08
[60]
웹사이트
タクシーの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端末<さっとシステム株式会社>
http://sat.la.coocan[...]
2019-07-12
[61]
웹사이트
【Airペイ】カード・電子マネー・QRコード決済も使えるお店のキャッシュレス決済
https://airregi.jp/p[...]
2023-08-09
[62]
웹사이트
STORES(ストアーズ)はあなたのお商売を応援します {{!}} まずはご相談ください
https://stores.jp/
2023-08-09
[63]
웹사이트
誰でもすぐに導入できるSquareの決済
https://squareup.com[...]
2023-08-09
[64]
웹사이트
Square Reader、主要電子マネーに対応
https://squareup.com[...]
2020-08-04
[65]
웹사이트
カード決済端末 {{!}} Square Terminal {{!}} Square (スクエア)
https://squareup.com[...]
2021-03-26
[66]
웹사이트
次世代のSquare スタンドが新登場 {{!}} Square(スクエア)
https://squareup.com[...]
2023-08-10
[67]
웹사이트
導入検討中の店舗様へ - 楽天ペイアプリ
https://pay.rakuten.[...]
2023-08-09
[68]
웹사이트
サービス - 楽天ペイの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電子マネー決済、アプリ決済 - 楽天ペイ(実店舗決済)
https://pay.rakuten.[...]
2023-08-09
[69]
웹사이트
Times PAY(タイムズペイ) {{!}} タイムズのクレジット・電子マネー決済サービス
https://www.timesclu[...]
2023-08-09
[70]
웹사이트
自分のタブレットを使用したいのですが {{!}} Times PAY(タイムズペイ) タイムズのクレジット・電子マネー決済サービス
https://timespay.jp/[...]
2023-08-09
[71]
웹사이트
クレカ・電子マネーも使えるキャッシュレス決済 - USEN PAY
https://pos.usen.com[...]
2023-08-09
[72]
웹사이트
利用可能端末について
https://pos.usen.com[...]
2023-08-10
[73]
웹사이트
JET-Smart
https://www.linkproc[...]
2023-08-09
[74]
웹사이트
Anywhere 概要
https://www.linkproc[...]
2023-08-10
[75]
웹사이트
お店に合わせて選べるカード決済端末(おてがるPay) | クレジットカードの決済代行会社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https://www.japanmer[...]
2023-08-10
[76]
웹인용
Ask Barclaycard a question
https://ask.barclayc[...]
2017-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