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경보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경보 시스템은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생물학적 경보 시스템은 통증, 공포, 경계색, 위협 등의 본능적인 반응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인위적인 경보 시스템은 산업 현장, 교통, 건축물, 민방위,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경보 전달 방식은 음향, 조명, 표지, 방송 매체 등 다양하며, 대한민국에서도 여러 경보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상 통신 -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선박, 항공기 등이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구조 신호로, 1923년 프레더릭 스탠리 맥포드가 프랑스어 "m'aidez"에서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허위 호출은 범죄로 간주된다.
  • 비상 통신 - CQD
    CQD는 마르코니 회사에서 개발한 해상 무선 전신 고난 호출 신호로, 초기 무선 조난 신호였으나, 수신 혼동 가능성으로 인해 SOS 신호로 대체되었다.
  • 경보 시스템 - 폐쇄회로 텔레비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은 영상을 촬영하여 특정 장소로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범죄 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개인정보보호 침해 문제와 함께 국가별 법률 및 안면 인식 기술과 결합된 감시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보 시스템 - 조기 경보 시스템
    조기 경보 시스템은 군사, 자연재해, 감염병, 기후 변화 등 다양한 분야의 위험을 감지하고 알리는 데 사용되며,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이후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재난 경보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재난 경보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경보 시스템
개요
유형재해 경보, 기상 경보, 보안 경보 등
목적위험 상황 발생 시 사람들에게 알리고 대피 또는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
작동 방식센서, 통신 네트워크, 경보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경보를 전파
구성 요소
감지 시스템센서 (지진, 화재, 기상 변화 등 감지)
감시 장비 (카메라, 레이더 등)
통신 시스템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라디오, 위성 통신 등)
인터넷
경보 장치사이렌
방송 시스템
문자 메시지
앱 알림
종류
자연 재해 경보지진 경보
쓰나미 경보
홍수 경보
태풍 경보
산사태 경보
화산 폭발 경보
기상 경보폭염 경보
한파 경보
호우 경보
대설 경보
강풍 경보
미세먼지 경보
사회 기반 시설 경보화재 경보
가스 누출 경보
방사능 누출 경보
댐 붕괴 경보
교통 사고 경보
보안 경보침입 경보
테러 경보
미사일 경보
해킹 경보
작동 원리
감지센서 또는 감시 장비가 위험 징후를 감지
분석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정도를 판단
경보 발령위험 수준에 따라 적절한 경보 발령 (사이렌, 방송, 문자 메시지 등)
전파경보 내용을 관련 기관 및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전파
대응경보를 접수한 사람들은 대피, 차단, 진화 등의 대응 조치를 수행
효과적인 경보 시스템 구축 방안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센서 및 분석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고 오경보를 최소화
신속한 전파 체계 구축다양한 통신 수단을 활용하여 경보 내용을 신속하게 전파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경보 내용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보 메시지 작성
정기적인 훈련 및 교육경보 발령 시 행동 요령에 대한 훈련 및 교육 실시
시스템 유지 보수경보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 보수
장점 및 단점
장점인명 및 재산 피해 최소화
신속한 대응 가능
사회적 불안감 해소
단점오경보 발생 가능성
시스템 구축 및 유지 비용 발생
기술적 문제 발생 가능성
기타
참고재해 발생시, 한국에서는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경보를 전파한다.

2. 생물학적 경보 시스템

지구상의 생물본능적으로 자신에게 닥쳐오는 위기를 경고로서 자기 인식시키는 시스템을 몇 가지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통증외상이나 체내 이상을 알려주며, 공포는 위험에 대한 방어력을 높인다.

또한, 특정 대상에 대한 경고를 발함으로써 스스로를 지키는 생물도 있다. 경고색(경계색)은 몸의 색채나 무늬로 주위에 경고를 보내며, 위협은 몸을 크게 보이거나 소리를 내어 상대를 위축시키는 행동이다.

2. 1. 통증

지구상의 생물본능적으로 자신에게 닥쳐오는 위기를 경고로서 자기 인식시키는 시스템을 몇 가지 갖추고 있다.

  • 통증 (일반적으로 말하는 아픔을 가리키는 의학 용어) - 통증에 의해 외상이나 체내의 이상을 인식시킨다. "아픔의 정도", 부위 등에 따라 상세한 상태를 인식하고, 보호 행동이나 통증 경험에 기초한 회피 행동으로 이어진다.

2. 2. 공포

지구상의 생물본능적으로 자신에게 닥쳐오는 위기를 경고로서 자기 인식시키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공포를 느끼면 위험에 대처하려는 방어력이 일시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공포 체험은 그것에 대한 회피 행동으로 이어진다.

2. 3. 기타 생물학적 경보



지구상의 생물에게는,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닥쳐오는 위기를 경고로서 자기 인식시키는 시스템이 몇 가지 갖춰져 있다.

  • 통증 (일반적으로 말하는 아픔을 가리키는 의학 용어) - 통증에 의해 외상이나 체내의 이상을 인식시킨다. "아픔의 정도", 부위 등에 따라 상세한 상태를 인식하고, 보호 행동이나 통증 경험에 기초한 회피 행동으로 이어진다.
  • 공포 - 공포를 느낀 것을 계기로, 위험에 대처하려는 방어력이 일시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공포 체험은 그것에 대한 회피 행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경고 (특정 대상에 대한 경보)를 발함으로써 스스로를 지키려는 시스템을 가진 생물도 있다.

  • 경고색 (경계색) - 자신의 몸 색채나 무늬에 의해 주위에 경고를 발하여, 스스로를 지키려고 한다고 여겨진다.
  • 위협 - 자신의 몸을 크게 보이거나, 색이나 무늬를 바꾸거나, 소리를 내거나, 움직임을 보이거나 하여 상대를 위축시키려는 행동. 위협은 공격의 전 단계로서 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지키려는 측면도 있다.

3. 인위적인 경보 시스템

인위적인 경보 시스템은 자연재해, 사건, 사고 등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고, 위험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들에게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경고하는 화재 경보기

  • 각종 경보 시스템 (알파벳 순):
  • 앨버타 비상 알림
  • 앨버타 비상 공공 경고 시스템 (앨버타 비상 알림으로 대체)[4]
  • 얼럿 레디(Alert Ready, 캐나다)
  • 자동 경고 시스템
  • 아동 유괴 경보 시스템
  • 댐 안전 시스템
  • 지진 경보 시스템
  • 긴급 경보 시스템(Emergency Alert System, EAS, 미국)
  • 기근 조기 경보 시스템 네트워크
  • 연방 민방위청
  • 화재 경보 시스템
  • 강풍 경보
  • 지상 접근 경보 시스템
  • 인도양 쓰나미 경보 시스템
  • 국제 조기 경보 프로그램
  • J-Alert(J-Alert, 일본)
  •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 국가 심각 기상 경보 서비스
  • N.E.A.R. (국가 비상 경보 중계기)
  • 북방 경보 시스템
  • 표준 비상 경고 신호(Standard Emergency Warning Signal, 호주)
  • 교통 충돌 회피 시스템
  • 열차 보호 및 경고 시스템
  • 쓰나미 경보 시스템

  • 긴급 방송:
  • CONELRAD(미국, 비상 방송 시스템으로 대체)
  • 비상 방송 시스템(EBS)(미국, 긴급 경보 시스템으로 대체)

3. 1. 산업 현장

산업 현장에서는 산업 안전 보건법·산업 안전 보건 규칙 및 관련 특정 작업을 규정한 법규에 따라 일부 작업에서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유기 용제나 특정 화학 물질, 가연성 가스 등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작업, 산소 결핍 환경이나 굴착 등을 수행하는 건설 현장, 갱도 내 작업 등에서 규정되어 있다. 경보는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농도의 감시 측정이 의무화되어 있는 경우, 경보 기능이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율적으로 경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3. 2. 교통


  • 항공 분야
  • * 항공 교통 충돌 방지 장치(TCAS)의 경보 시스템
  • * 지상 접근 경보 장치(GPWS)
  • * 비행장 경보
  • 철도 분야
  • * 자동 열차 보호 장치의 경보 시스템
  • * 건널목 경보기
  • 선박 분야
  • * 해상 경보
  • 교통 분야
  • * 충돌 피해 경감 제동 장치 - 자동차의 충돌 방지 경고 시스템.

3. 3. 건축물



사회에는 실로 다양한 목적과 형태의 경보 시스템이 존재한다.

  • 소방법에 의거하여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건축물에는 자동 화재 탐지 설비가 설치되어, 지구 음향 장치(벨)나 비상 방송 설비의 큰 소리로 화재를 알린다.
  • 누전에 의한 화재 위험이 높은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건축물에는 누전 화재 경보기에 의해 누전 시 경보를 발하여 화재의 위험을 알린다.
  • 또한 방범 및 불심자 대책 등 보안을 목적으로 경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3. 4. 민방위 경보 시스템

Alert Ready|얼럿 레디영어(캐나다), 긴급 경보 시스템(미국), J-Alert(일본)와 같이 사회에는 다양한 목적과 형태의 경보 시스템이 존재한다. 자연 재해, 사건, 사고 등 불특정 다수에게 위험이 미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널리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경보 시스템이 사용된다.

  • 자연재해 관련 경보:
  • 기상 경보, 기상 주의보 - 큰 , 큰 , 눈보라, 홍수, 강, 번개
  • 분화 경보 - 화산분화
  • 긴급 지진 속보 등의 지진 경보 시스템 - 지진
  • 경계 선언, 도카이 지진에 관한 정보 - 도카이 지진의 예지 시
  • 쓰나미 경보, 쓰나미 주의보 등의 쓰나미 경보 시스템 - 지진에 의한 쓰나미
  • 홍수 예보, 수방 경보 - 홍수
  • 대기 오염 주의보 - 광화학 스모그 등의 대기 오염

  • 기타 경보:
  • 국민 보호 경보 - 무력 공격
  • 앰버 경보 -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 유괴 사건이나 실종 사건이 발생했을 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 전광 게시판 등으로 널리 홍보하는 시스템.
  • 긴급 경보 방송 - 쓰나미 경보나 경계 선언 발표 시 등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대응 기종 수신기를 자동 기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방송.
  • 전국 순시 경보 시스템 - 위 내용을 포괄적으로 커버하여 시민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또한 시町村 등 지방 자치 단체는 위와 같은 재해 전반에 대해 재해 대책 기본법에 의거하여 그 위험성에 따라 피난 준비 정보, 피난 권고, 피난 지시를 발표하는 외에 경계 구역을 설정하여 법적으로 출입을 제한한다. 이들은 경보·주의보 등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지만 피난을 촉구하는 경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3. 5. 군사 경보 시스템

구분내용
역사적 비콘 기반 시스템9세기 소아시아의 비잔틴 비콘 시스템
우주 기반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공중 조기 경보 시스템공중 조기 경보 통제 시스템 ("AWACS" for 나토, 많은 국가에서 자체 AEW&C 시스템 개발)
지상 기반 조기 경보 레이더 시스템
광학 센서폭탄 경보 시스템


3. 6. 기타 경보 시스템


  • 앨버타 비상 알림
  • 앨버타 비상 공공 경고 시스템(앨버타 비상 알림으로 대체)[4]
  • 얼럿 레디(Alert Ready, 캐나다)
  • 자동 경고 시스템
  • 아동 유괴 경보 시스템
  • 댐 안전 시스템
  • 지진 경보 시스템
  • 긴급 경보 시스템(Emergency Alert System, EAS, 미국)
  • 기근 조기 경보 시스템 네트워크
  • 연방 민방위청
  • 화재 경보 시스템

  • 강풍 경보
  • 지상 접근 경보 시스템
  • 인도양 쓰나미 경보 시스템
  • 국제 조기 경보 프로그램
  • J-Alert(J-Alert, 일본)
  •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 국가 심각 기상 경보 서비스
  • N.E.A.R. (국가 비상 경보 중계기)
  • 북방 경보 시스템
  • 표준 비상 경고 신호(Standard Emergency Warning Signal, 호주)
  • 교통 충돌 회피 시스템
  • 열차 보호 및 경고 시스템
  • 쓰나미 경보 시스템
  • 기상 경보, 기상 주의보 - 큰 , 큰 , 눈보라, 홍수, 강, 번개
  • 분화 경보 - 화산분화
  • 긴급 지진 속보 등의 지진 경보 시스템 - 지진
  • 경계 선언, 도카이 지진에 관한 정보 - 도카이 지진의 예지 시
  • 쓰나미 경보, 쓰나미 주의보 등의 쓰나미 경보 시스템 - 지진에 의한 쓰나미
  • 홍수 예보, 수방 경보 - 홍수
  • 대기 오염 주의보 - 광화학 스모그 등의 대기 오염
  • 국민 보호 경보 - 무력 공격
  • 앰버 경보 -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 유괴 사건이나 실종 사건이 발생했을 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 전광 게시판 등으로 널리 홍보하는 시스템.
  • 긴급 경보 방송 - 쓰나미 경보나 경계 선언 발표 시 등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대응 기종의 수신기를 자동 기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방송.
  • 전국 순시 경보 시스템 - 위 내용을 포괄적으로 커버하여 시민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또한 시町村 등 지방 자치 단체는 위와 같은 재해 전반에 대해 재해 대책 기본법에 의거하여 그 위험성에 따라 피난 준비 정보, 피난 권고, 피난 지시를 발표하는 외에 경계 구역을 설정하여 법적으로 출입을 제한한다. 이들은 경보·주의보 등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지만 피난을 촉구하는 경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 비콘 기반 시스템:

  • 9세기 소아시아의 비잔틴 비콘 시스템


우주 기반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 국방 지원 프로그램(미국, "우주 기반 적외선 시스템"으로 대체 예정)
  • 우주 기반 적외선 시스템(SBIRS)(미국)
  • 오코(Oko), "SPRN"으로도 알려짐(러시아)


공중 조기 경보 시스템:

  • 공중 조기 경보 통제 시스템 ("AWACS" for 나토, 많은 국가에서 자체 AEW&C 시스템 개발)


지상 기반 조기 경보 레이더 시스템:

  •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및 PAVE PAWS(미국)
  • 두가 레이더(Duga radar), "러시아 딱따구리"로도 알려짐(러시아)
  • 드네스트르 레이더(Dnestr radar)(1세대 러시아)
  • 다리알 레이더(Daryal radar)(2세대 러시아)
  • 보로네시 레이더(Voronezh radar)(3세대 및 현재 러시아)
  • 체인 홈(Chain Home)(영국, 현재는 사용 중단)
  • 체인 홈 로우(Chain Home Low)(영국, 현재는 사용 중단)
  • ROTOR(영국, 현재는 사용 중단)


광학 센서:

  • 폭탄 경보 시스템


긴급 방송:

  • CONELRAD(미국, 비상 방송 시스템으로 대체)
  • 비상 방송 시스템(EBS)(미국, 비상 경보 시스템으로 대체)

4. 경보 전달 방식



자동으로 경보를 발하는 것으로는 부저나 벨, 스피커(음성 방송이나 사이렌) 등의 음향이나 조명의 점등·점멸을 사용하여 알리는 것이 있다. 건설 현장이나 교통 관제 등에서는 호루라기나 유도봉이 경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위험이 상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표지(픽토그램이나 문자)로 알리는 것이 있다.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매체,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기기를 사용한 경보 시스템도 널리 일반에게 경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5. 대한민국의 경보 시스템

대한민국에는 다음과 같은 경보 시스템이 존재한다.


  • 자연 재해 관련 경보 시스템
  • 기상 경보, 기상 주의보 - 큰 , 큰 , 눈보라, 홍수, 강, 번개
  • 분화 경보 - 화산분화
  • 긴급 지진 속보 등의 지진 경보 시스템 - 지진
  • 쓰나미 경보, 쓰나미 주의보 등의 쓰나미 경보 시스템 - 지진에 의한 쓰나미
  • 홍수 예보, 수방 경보 - 홍수
  • 대기 오염 주의보 - 광화학 스모그 등의 대기 오염
  • 국가 안보 관련 경보 시스템
  • 국민 보호 경보 - 무력 공격
  • 실종/유괴 관련 경보 시스템
  • 앰버 경보 -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 유괴 사건이나 실종 사건이 발생했을 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 전광 게시판 등으로 널리 홍보하는 시스템.
  • 긴급 상황 방송 시스템
  • 긴급 경보 방송 - 쓰나미 경보나 경계 선언 발표 시 등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대응 기종의 수신기를 자동 기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방송.
  • 전국 순시 경보 시스템 - 위 내용을 포괄적으로 커버하여 시민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시町村 등 지방 자치 단체는 재해 대책 기본법에 의거하여 재해 위험성에 따라 피난 준비 정보, 피난 권고, 피난 지시를 발표하고, 경계 구역을 설정하여 법적으로 출입을 제한한다. 이들은 경보·주의보 등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지만 피난을 촉구하는 경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sting sirens https://www.bevoelke[...] Swiss Federal Office for Civil Protection 2013-09-07
[2] 논문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early warning systems for natural hazards: Concept and application to debris flow warning https://www.era.bgu.[...] 2015-10
[3] 웹사이트 Attempts to predict earthquakes may do more harm than good https://www.theguard[...] 2012-05-30
[4] 웹사이트 https://www.municip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